KR101810489B1 -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489B1
KR101810489B1 KR1020140171985A KR20140171985A KR101810489B1 KR 101810489 B1 KR101810489 B1 KR 101810489B1 KR 1020140171985 A KR1020140171985 A KR 1020140171985A KR 20140171985 A KR20140171985 A KR 20140171985A KR 101810489 B1 KR101810489 B1 KR 10181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ush
unit
closing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784A (ko
Inventor
윤채희
Original Assignee
윤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희 filed Critical 윤채희
Priority to KR102014017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4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72Sign-, picture- or letter-based permu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설치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 연동하여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의 힘을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잠금장치;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전송받아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고, 비교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여 도어의 해정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와, 활주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래치부의 개폐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활주안내부에 의해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본 발명은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정확하고 부드러운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은 기존의 열쇠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지문 등을 활용하는 첨단 잠금장치이다. 모든 디지털도어록은 전자키, 비밀번호, 카드 혹은 지문인식을 이용하고 전자적인 반응에 의하여 문을 여닫는다.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의 내측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모티스는 외부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와, 실내에 설치되는 인바디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어의 잠금과 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디지털 도어록의 잠금을 해제하여 외부로 나가고자 할 때, 먼저 레버를 돌리거나 또는 버튼을 눌러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하고 도어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래치볼트의 잠금을 해제한 다음 그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개방해야 하는 3가지 동작을 행해야 한다.
특히, 도어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연속적인 동작은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들이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은 다음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얻어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또는 긴급한 피난을 요하는 화재, 홍수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사용자가 당황하게 되면 조작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어 손잡이의 회전동작으로 조작이 신속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사용되어 조립이 어려우며, 제품의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이 부드럽지 못하고 개폐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909560 (공고일 2009.07.27) 한국등록특허: 10-0934781 (공고일 2009.12.3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고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개폐동작이 정확하면서도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가 닫혔을 때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관공서나 공연장 등 많은 인파가 출입하는 곳에서는 도어가 닫히더라도 자동으로 도어가 잠금되는 것은 차단하여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설치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 연동하여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의 힘을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잠금장치;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전송받아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고, 비교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여 도어의 해정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 상기 손잡이부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하는 푸시풀바와, 상기 푸시풀바의 중앙을 가로질러 상기 푸시풀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푸시풀바의 구간이동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구간 이동되는 활주부와,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상기 활주안내부에 전달되어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푸시풀바는 상,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활주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활주부는 푸시풀바의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몸체와, 상기 가이드홀의 외측으로 돌출된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활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는 상기 푸시풀바가 관통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면에 상기 활주부가 삽입되는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전달되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커버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잠금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잠금장치에는 해정 동작을 감지하는 검출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해정 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개폐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 신호가 전송되어도 상기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수동개방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에 인식된 정보와 기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해정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인식부는 도어폰 카메라, 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홍체 인식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비상열쇠 삽입시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비상키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해정 신호를 받아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때,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오픈버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해정 신호를 받아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감지한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때 상기 제어부에 이상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상신호를 받으면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 잠금장치에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활주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활주부에 전달하는 가압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중앙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활주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 방향을 제어하는 잠금키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와, 활주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래치부의 개폐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활주안내부에 의해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확한 동작으로 인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을 통해 부드러운 개폐동작이 이루어짐으로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닫혔을 때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관공서나 공연장 등 많은 인파가 출입하는 곳에서는 도어가 닫히더라도 자동으로 도어가 잠금되는 것은 차단하여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해지되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이중 잠금장치를 통해 보안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실외측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실내측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1, 제 2 잠금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1, 제 2 잠금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2 잠금장치 및 개폐감지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2 잠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1 잠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제 1 잠금장치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1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12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실외측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실내측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1, 제 2 잠금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1, 제 2 잠금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는 키입력부(110)가 구비되는 하우징(100)과, 손잡이부(200)와, 제 1 잠금장치(300)와, 제어부(400)와, 구동부(500)와, 제 2 잠금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도어의 일면과 이면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 1 하우징(101)와 제 2 하우징(10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하우징(101)의 전면부에는 키입력부(110)가 구비된다.
키입력부(110)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버튼과 특수키 버튼이 조합된 키패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키입력부(110)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1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된 비밀번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손잡이부(200)는 제 1 하우징(101)과 제 2 하우징(102)의 하단부에 각각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손잡이부(20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각각 결합되어 제 1 하우징(101) 및 제 2 하우징(102)의 전면부로 돌출되는 고정브라켓(210)에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에 따라 구간 이동되게 결합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브라켓(210)은 중앙에 중공의 수용부(211)가 형성되고, 수용부(211)는 도어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10)과 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10)은 도어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핀(22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00)는 사용자의 손으로 잡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손잡이부(200)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목부가 고정브라켓의 수용부(211)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면서 수용부(2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된다. 즉, 손잡이부(20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결합된 고정브라켓(210)에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잠금장치(300)는 도어에 내설되어 손잡이부(200)와 연결되고,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어의 내부에는 제 1, 제 2 잠금장치(300,600)의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800)가 구비된다.
커버(800)는 제 1, 제 2 잠금장치(300,60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 구성들이 관통되는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제 1 잠금장치(300)의 래치볼트가 출입되는 제 1 출입공(810)과, 제 2 잠금장치(600)의 데드볼트가 출입되는 제 2 출입공(820)과, 후술되는 개폐감지부(700)의 감지볼트가 출입되는 제 3 출입공(830)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잠금장치(300)는 손잡이부(200)에 양단이 결합되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시 손잡이부(200)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하는 푸시풀바(310)와, 푸시풀바(310)의 중앙을 가로질러 푸시풀바(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푸시풀바(310)의 구간 이동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구간 이동되는 활주부(320)와, 활주부(3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332)가 형성되고 활주부(32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활주안내부(332)에 전달되어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푸시풀바(310)는 중공의 사각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311)이 형성된다.
이러한 푸시풀바(310)는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양단이 도어의 구멍을 관통하여 손잡이부(200)에 결합된다. 즉, 푸시풀바(310)는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시의 힘에 의해 손잡이부(200)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된다.
활주부(320)는 푸시풀바(310)의 상,하면에 형성된 가이드홀(3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활주부(320)는 푸시풀바(310)의 가이드홀(311)을 관통하는 몸체(321)와, 가이드홀(311)의 외측으로 돌출된 몸체(321)의 양단에 결합되는 활주체(322)로 구성된다. 여기서, 활주체(322)는 몸체(32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활주안내부(332)의 접촉면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부(330)는 가이드부재(331)와, 래치볼트(334)와, 복귀스프링(3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부재(331)는 푸시풀바(310)가 관통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면에 활주부(3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332)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래치볼트(334)가 결합된다.
여기서, 활주안내부(332)는 활주부(3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자유곡면의 일면을 포함한다. 즉, 활주안내부(332)는 활주부(3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자유곡면의 일면을 포함하는 안내홀로 구성된다.
또한, 활주안내부(332)는 활주부(3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자유곡면의 일면을 포함하는 삼각, 사각, 타원 등 다양한 형상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331)는 활주안내부(332) 내에 활주부(320)가 삽입되도록 푸시풀바(310)의 외측에 끼워진다. 즉, 가이드부재(331)는 푸시풀바(310)의 외측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활주부(320)의 활주체(322)는 활주안내부(332)에 삽입되어 자유곡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331)는 활주부(320)의 구간 이동시 활주안내부(332)의 자유곡면에 의해 활주부(3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부드러운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가이드부재(331)(333)에 결합되는 래치볼트(334)는 커버(8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출입공(810)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귀스프링(336)은 가이드부재(331)의 일측면과 커버(800)의 내측벽에 결합되어 평상시 가이드부재(331)를 밀어내는 힘으로 탄설 지지하며, 이로 인하여 가이드부재(331)에 결합된 래치볼트(334)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게 유지시킨다. 또한, 복귀스프링(336)은 가이드부재(331)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으로 가이드부재(331)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킨다.
한편, 제어부(400)는 키입력부(110)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비교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구동부(500)는 손잡이부(200) 내에 구비되어 제어부(400)로부터 구동신호를 받아 구동한다. 여기서, 구동부(500)는 제어부(4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회전모터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2 잠금장치 및 개폐감지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잠금장치(600)는 구동부(500)에 연결되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구동부(500)의 구동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610)와, 샤프트(61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620)와, 회전부재(620)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630)와, 작동부재(630)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샤프트(610)는 구동부(500)에 결합되어 구동부(500)의 좌,우 회전시 구동부(500)와 연동하여 좌,우 회전되고, 외측에 결합되는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부재(620)는 샤프트(610)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샤프트(610)가 관통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작동부재(630)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621)가 구비된다. 이때, 레버(621)의 끝단부에는 돌출부(622)가 형성되고, 돌출부(622)의 외주면을 따라 안내홈(6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부재(630)는 중앙면에 커버(8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631)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632)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회전부재의 레버(621)가 걸림되는 요입홈(633)이 형성되며, 요입홈(633)의 상단 양 측벽에 레버(621)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6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핀(631)에는 회전부재의 레버(62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레버(621)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텐션스프링(635))이 감김된다.
텐션스프링(635)은 지지핀(631)에 감김되는 일단이 커버(80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레버(621)의 돌출부에 형성된 안내홈(623)을 경유하여 커버(800)의 내측벽에 고정된다.
이에 더하여 제 2 잠금장치(600)에는 제 2 잠금장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검출센서(650)가 구비된다.
검출센서(650)는 회전부재(6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회전부재의 레버(621)가 회전되어 작동부재의 요입홈(633)의 걸림홈(634)에 걸림될 때 레버(621)가 접지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하우징(101)에는 검출센서(650)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해정 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2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제 1 잠금장치(300)와 제 2 잠금장치(600)의 사이에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개폐감지부(700)가 더 구비된다.
개폐감지부(700)는 커버(800)의 제 3 출입공(830)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지볼트(710)와, 감지볼트(710)를 수용하는 수용부(720)와, 수용부(720) 내측에 구비되어 감지볼트(7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730)과, 감지볼트(710)의 이동을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40)로 구성된다.
개폐감지부(700)의 감지볼트(710)는 도어의 개방시 커버의 제 3 출입공(830) 외측으로 돌출되고 도어의 닫힘시 출입문의 측벽에 가압되어 제 3 출입공(830)으로 내측으로 인입된다.
그리고, 감지센서(740)는 감지볼트(710)의 인입과 돌출을 센싱하여 도어의 닫힘 여부를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개폐감지부(70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5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 2 잠금장치(600)의 데드볼트(640)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제 1 하우징(101)의 전면부에는 수동개방버튼부(130)가 설치된다.
수동개방버튼부(130)는 도어가 닫히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신호를 제어부(400)에 인가한다. 즉, 제어부(400)는 수동개방버튼(130)부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개폐감지부(70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가 전송되어도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 2 잠금장치(600)의 데드볼트(640)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제 1 하우징(101) 전면부에는 인식부(140)가 더 구비된다. 인식부(140)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인식수단이란 CMOS 또는 CCD로 구성된 도어폰 카메라,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홍체인식기 등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 외의 목소리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14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인식된 정보를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인식부(140)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기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 2 잠금장치(6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 1 하우징(101)의 전면부에는 비상키홀(150)이 더 구비된다. 비상키홀(150)은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비상열쇠 삽입시 제어부(400)에 해정 신호를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해정 신호를 받아 제 2 잠금장치(6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도 2로 되돌아가서, 제 2 하우징(102)의 전면부에는 오픈버튼부(160)가 더 구비된다. 오픈버튼부(16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실내에서 실외로 나가고자 할 때, 제어부(400)에 해정 신호를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해정 신호를 받아 제 2 잠금장치(6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 2 하우징(102)의 전면부에는 화재감지센서(170)가 더 구비된다. 화재감지센서(170)는 화재감지센서(170)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이상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이상신호를 받으면 제 2 잠금장치(6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 2 하우징(102)에는 각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0)가 더구비되고, 제 1 하우징(101)에는 전원공급부(180)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공급부(190)가 더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80)는 교류전원 또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각 구성부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보조전원공급부(190)는 비상용 배터리를 포함하여 정전인 경우 또는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 사태의 경우, 또는 주전원 배터리가 수명을 다한 경우 비상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는 하우징(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에 강한 전기적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가해진 전기가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하여 하우징(100)의 충격을 감소시키고, 아울러 전기적 충격으로 인하여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의 닫힘 상태는 제 1 잠금장치(300)의 래치볼트(334)가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하고, 도어의 잠금 상태는 제 2 잠금장치(600)의 데드볼트(640)가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도 5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1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인식부(140)에 사용자를 인식시키면, 키입력부(110)에 입력된 비밀번호나 인식부(140)에 인식된 정보가 제어부(400)에 전송되고, 제어부(400)는 전송된 비밀번호 또는 인식정보를 기설정된 비밀번호 또는 인식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50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제 2 잠금장치(600)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로부터 해정 신호를 받은 구동부(500)는 일 방향으로 구동되어 구동부(500)에 연결된 샤프트(610)를 일 방향 회전시킨다. 아울러 샤프트(6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62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630)의 요입홈(633)에 삽입된 레버(62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레버(62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630)가 레버(62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630)에는 커버(8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631)이 가이드홀(632)에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63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630)가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회전되는 레버(621)는 요입홈(633)의 일측벽 걸림홈(634)에 걸림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620)의 레버(621)는 지지하고 있는 텐션스프링(635)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역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작동부재(630)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재(630)에 결합된 데드볼트(640)는 작동부재(630)의 이동에 의해 커버(800)의 제 2 출입공(82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아울러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아울러 일 방향으로 회전된 회전부재의 레버(621)는 검출센서(650)에 접지되고, 검출센서(650)는 레버(621)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640)의 인입 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120)를 통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이처럼 제 2 잠금장치(60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손잡이부(2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가 구간 이동되고,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과 연동하여 손잡이부에 연결된 푸시풀바(310)가 구간 이동된다.
그리고, 푸시풀바(310)의 구간 이동은 푸시풀바(310)의 가이드홀(311)에 결합된 활주부(320)를 가압하여 구간 이동시킨다.
이어, 구간 이동되는 활주부(320)는 구간 이동시의 힘을 활주안내부(332)의 자유곡면에 전달하고, 활주안내부(332)는 활주부(320)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활주부(3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래치부(330)의 가이드부재(331)를 활주부(3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이때, 가이드부재(331)는 활주안내부(332)의 자유곡면에 의해 빠르고 부드러운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이드부재(331)의 구간 이동은 커버의 제 1 출입공(810)으로 돌출되어있던 래치볼트(334)를 내측으로 인입시켜 도어를 개방시킨다. 이때, 가이드부재(3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귀스프링(336)은 가이드부재(331)의 구간 이동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감지부(700)의 감지볼트(710)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감지센서(740)가 감지볼트(710)의 돌출을 센싱하여 도어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그리고, 도 9의 (a)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2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가이드부재(331)를 구간 이동시키던 힘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복귀스프링(336)이 복원되면서 가이드부재(331)를 이동 전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가이드부재(331)는 활주안내부(332)를 통해 활주부(320)에 복원력을 전달하여 활주부(320)를 구간 이동 전 위치로 복귀시키고, 아울러 커버의 제 1 출입공(810) 내측에 인입되어 있는 래치볼트(334)를 제 1 출입공(810)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도어를 닫힘시킨다. 즉, 도 9의 (b)의 상태가 된다.
이어,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감지부(700)의 돌출된 감지볼트(710)가 출입문의 측벽에 의해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되고, 인입되는 감지볼트(710)를 감지센서(740)가 감지하여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개폐감지부(70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전송받으면 제 2 잠금장치(600)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500)를 구동시킨다.
이어, 제어부(400)로부터 신호를 받은 구동부(500)는 타 방향으로 구동되어 구동부(500)에 연결된 샤프트(610)를 타 방향 회전시킨다. 아울러 샤프트(6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620)가 샤프트(610)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630)의 요입홈(633)에 삽입된 레버(621)를 회전시키며, 레버(62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630)가 레버(62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630)의 가이드홀(632)에 커버(8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63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63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63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630)에 결합된 데드볼트(640)는 커버(800)의 제 2 출입공(820)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타 방향으로 회전된 회전부재의 레버(621)는 검출센서(650)에 접지되고, 검출센서(650)는 레버(621)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640)의 돌출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잠금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120)를 통해 “도어가 잠금 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그러나, 수동개방버튼부(130)를 눌러 제어부(400)에 수동개방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개폐감지부(70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가 전송되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 2 잠금장치(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는 관공서나 공연장 등 인파가 많은 곳에서 도어의 닫힘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면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신속한 출입을 위하여 도어가 닫히더라도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게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실내 측에서 외부로 나가기 위해 도어를 개방할 때는 제 2 하우징(102)에 구비된 오픈버튼부(160)를 누르면, 제어부(400)가 오픈버튼부(160)의 신호를 받아 구동부(500)를 구동시키고 구동부(500)의 구동과 연동되는 제 2 잠금장치(600)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이어 손잡이부(200)를 밀거나 당기면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에 제 1 잠금장치(300)가 연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로서, 제 1 잠금장치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는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잠금장치(300)에서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활주부(320)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340)를 더 포함하고, 동력전달부(340)와 연결된 잠금키(350)가 손잡이부(200)의 전면부 중앙에 구비되어 잠금키(350)의 조작으로 동력전달부(340)를 회전시켜 동력전달부(340)가 전달하는 힘을 활주부(3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동력전달부(340) 및 잠금키(350) 이외의 설명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잠금장치(300)에는 손잡이부(200)에 결합되어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활주부(3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40)가 더 구비된다.
동력전달부(340)는 푸시풀바(3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손잡이부(200)에 결합되는 샤프트(341)와, 샤프트(341)로부터 돌출되어 구간 이동시의 힘을 활주부(320)에 전달하는 가압돌기(342)로 구성된다.
이때, 가압돌기(342)는 활주부(32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샤프트(341)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320)를 가압할 수 있고 중공의 푸시풀바(310)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한 높이로 돌출된다.
즉, 동력전달부(340)는 손잡이부(2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200)에 결합된 샤프트(341)가 구간 이동하고 아울러 샤프트(341)에 돌출된 가압돌기(342)가 구간 이동 시의 힘으로 활주부(320)를 가압하여 구간 이동시킨다.
여기서, 활주부(320)는 일 실시 예에서처럼 푸시풀바(310)에 의해 구간 이동되지 않고 동력전달부의 가압돌기(342)에 의해 가압되어 구간 이동된다.
이에 더하여, 손잡이부(200) 중앙에는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활주부(3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샤프트(341)에 결합되어 샤프트(341)의 방향을 제어하는 잠금키(3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잠금키(350)는 키뭉치 또는 조작레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키뭉치의 키삽입홈 또는 조작레버의 조작면이 손잡이부(200)의 전면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잠금키(350)에 결합된 샤프트(341)는 손잡이부(20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구간 이동이 이루어지고, 잠금키(350)의 조작에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는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 2 잠금장치(60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의 잠금키(3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350)와 연결된 동력전달부의 샤프트(34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아울러 가압돌기(342)가 회전되어 활주부(320)와 교차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과 연동하여 샤프트(341)가 구간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샤프트(341)에 구비된 가압돌기(342)가 활주부(320)를 가압하여 구간 이동시킨다. 이어, 구간 이동되는 활주부(320)는 래치부(330)를 활주부(3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시켜 도어를 개방시킨다.
하지만, 제 2 잠금장치(60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의 잠금키(35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350)와 연결된 동력전달부의 샤프트(341)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압돌기(342)가 활주부(320)와 교차되지 않고 평행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과 연동하여 샤프트(341)가 구간 이동하고 아울러 샤프트(341)에 구비된 가압돌기(342)가 활주부(320)를 가압하지 않고 통과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활주부(320)는 동력전달부(340)로부터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전달받지 않아 움직이지 않게 되고, 아울러 래치부(330)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래치볼트(334)가 돌출된 상태, 즉 도어의 닫힘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게 된다. 즉, 손잡이부(200)를 누르거나 당겨도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 2 잠금장치(60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잠금키(350)의 조작에 따라 제 1 잠금장치(300)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해제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이중 잠금을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잠금장치(600)가 잠금된 상태에서 손잡이부의 잠금키(35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341)의 가압돌기(342)가 활주부(320)와 평행한 상태가 되고, 활주부(320)는 손잡이부(20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전달받지 않아 움직이지 않게 되며, 아울러 래치부(330)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래치볼트(334)가 돌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게 된다.
즉, 제 2 잠금장치(600)와 제 1 잠금장치(300)의 이중 잠금을 통해 보안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잠금키(350)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레버 형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와, 활주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래치부의 개폐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활주안내부에 의해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정확한 동작으로 인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을 통해 부드러운 개폐동작이 이루어짐으로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도어가 닫혔을 때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관공서나 공연장 등 많은 인파가 출입하는 곳에서는 도어가 닫히더라도 자동으로 도어가 잠금되는 것은 차단하여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해지되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이중 잠금을 통해 보안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01,102: 제 1, 제 2 하우징
110: 키입력부 120: 음성출력부
130: 수동개방버튼부 140: 인식부
150: 비상키홀 160: 오픈버튼부
170: 화재감지센서 180: 전원공급부
190: 보조전원공급부 200: 손잡이부
210: 고정브라켓 211: 수용부
220: 고정핀 300: 제 1 잠금장치
310: 푸시풀바 311: 가이드홀
320: 활주부 321: 몸체
322: 활주체 330: 래치부
331: 가이드부재 332: 활주안내부
334: 래치볼트 336: 복귀스프링
340: 동력전달부 341: 샤프트
342: 가압돌기 350: 잠금키
400: 제어부 500: 구동부
600: 제 2 잠금장치 610: 샤프트
620: 회전부재 621: 레버
622: 돌출부 623: 안내홈
630: 작동부재 631: 지지핀
632: 가이드홀 633: 요입홈
634: 걸림홈 635: 텐션스프링
640: 데드볼트 650: 검출센서
700: 개폐감지부 710: 감지볼트
720: 수용부 730: 스프링
740: 감지센서 800: 커버
810,820,830: 제 1, 제 2, 제 3 출입공

Claims (18)

  1.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설치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 연동하여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의 힘을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잠금장치;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전송받아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고, 비교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여 도어의 해정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 상기 손잡이부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하는 푸시풀바와,
    상기 푸시풀바의 중앙을 가로질러 상기 푸시풀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푸시풀바의 구간이동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구간 이동되는 활주부와,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상기 활주안내부에 전달되어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바는 상,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활주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부는 푸시풀바의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몸체와, 상기 가이드홀의 외측으로 돌출된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활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푸시풀바가 관통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면에 상기 활주부가 삽입되는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전달되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커버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장치에는 해정 동작을 감지하는 검출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해정 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개폐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 신호가 전송되어도 상기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수동개방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에 인식된 정보와 기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해정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인식부는 도어폰 카메라, 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홍체 인식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비상열쇠 삽입시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비상키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해정 신호를 받아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때,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오픈버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해정 신호를 받아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감지한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때 상기 제어부에 이상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상신호를 받으면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장치에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활주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활주부에 전달하는 가압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중앙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활주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어 샤프트의 좌,우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잠금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20140171985A 2014-12-03 2014-12-03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985A KR101810489B1 (ko) 2014-12-03 2014-12-03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985A KR101810489B1 (ko) 2014-12-03 2014-12-03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784A KR20160066784A (ko) 2016-06-13
KR101810489B1 true KR101810489B1 (ko) 2017-12-20

Family

ID=5619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985A KR101810489B1 (ko) 2014-12-03 2014-12-03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815A (ko) * 2017-08-11 2017-09-01 임정훈 버튼을 눌러서 여는 문, 버튼 문
CN108868356B (zh) * 2018-07-23 2024-03-19 浙江浦江梅花锁业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机械密码组件的旋钮智能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781B1 (ko) 2009-03-17 2009-12-31 윤병만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KR100909560B1 (ko) 2009-04-01 2009-07-27 윤병만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784A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363098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GB2458889A (en) Door lock having fingerprint reading device, keypad and mechanical locking means
KR101810489B1 (ko)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331979B1 (ko)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JP4936918B2 (ja) 電気錠用取手及び該取手を用いた電気錠システム
KR100763885B1 (ko) 도어록 장치
KR101593149B1 (ko)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742771B1 (ko) 침입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KR101593329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200436157Y1 (ko) 락카용 문 쇄정장치
KR101336542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JP2023157133A (ja) 建具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KR102031324B1 (ko) 근접센서와 플랫형 터치패드를 구비한 도어록
KR20110048400A (ko) 도어록 장치
KR100996477B1 (ko) 도어록 장치
KR100996111B1 (ko) 도어록 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0378836Y1 (ko) 불법 해정을 센싱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 록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20110008623U (ko) 출입문 안전고리
KR20160056000A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20200099948A (ko) 래치볼트 자동 인입형 도어락 모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