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477B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477B1
KR100996477B1 KR1020070053691A KR20070053691A KR100996477B1 KR 100996477 B1 KR100996477 B1 KR 100996477B1 KR 1020070053691 A KR1020070053691 A KR 1020070053691A KR 20070053691 A KR20070053691 A KR 20070053691A KR 100996477 B1 KR100996477 B1 KR 100996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ing
rotating member
lock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516A (ko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슈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to KR102007005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477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쇠에 의한 도어의 록킹 해제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도어가 항상 록킹 해제되거나 록킹 해제 불가능하는 등 도어의 록킹 해제 가능 상태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가 록킹되는 삽입위치와,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는 이탈되는 이탈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데드볼트;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도어에 결합되며,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되어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데드볼트;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도어에 결합되며, 그 회전에 연동되어 데드볼트가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데드볼트에 연결되며, 소정 형상의 열쇠가 도어의 실외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열쇠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열쇠공에 삽입된 열쇠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 걸림부를 가지며, 회전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걸림부가 회전부재에 걸리는 걸림위치와, 걸림부와 회전부재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도어에 결합되는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가 걸림위치와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Figure R1020070053691
도어, 록킹, 록킹해제, 데드볼트

Description

도어록 장치 {A door lock device}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동부재가 걸림해제위치 및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도 5에 도시된 이동부재가 상시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Ⅵ-Ⅵ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구동부재가 걸림해제위치 및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가압부재의 회전에 의해 구동부재가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Ⅷ-Ⅷ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10...데드볼트
20...회전부재 21...메인회전부재
22...보조회전부재 30...이동부재
31...슬롯 32...볼트부재
33...걸림부 34...가압돌출부
35...홈부 40...구동부재
41...돌출부 42...접촉돌출부
50...고정부재 60...노브부재
61...노브부 62...제1끼움부
62...제2끼움부 70...가압부재
80...제1가압회전부재 90...제2가압회전부재
100...도어록 장치 211...열쇠공
212...연장부 221...판상부
222...보조연장 223...걸림턱
224...끼움홈부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 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록 장치(100')는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1)에 결합되는 데드볼트(10)를 구비한다. 데드볼트는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에 삽입되어 도어가 록킹되는 삽입위치와,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는 이탈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다. 또한, 도어록 장치(100')는 키패드로 구성된 입력부(11)와, 모터 등으로 구성된 구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키패드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입력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인증되어 구동부가 작동하게 됨으로서 데드볼트(10)가 구동된다. 그리고, 도어의 실내측 하우징(12) 및 실외측 하우징(13)에는 각각 핸들(121,13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실내측 하우징(12)에는 키패드 및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배터리가 수납된다. 또한, 도어의 실외측, 특히 핸들(131)에는 비상시, 예를 들어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거나 모터의 고장시에 수동으로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공(211)를 가지는 열쇠뭉치(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열쇠공(211)에 삽입된 열쇠를 회전하게 되면 도어(1)를 수동으로 록킹해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개방되어 있던 도어(1)가 닫히게 되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어 도어(1)가 자동적으로 록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100')에 있어서는, 도어의 실 외측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거나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도어가 록킹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열쇠가 분실되는 경우에는 도어록 장치(100')의 보안성을 담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가 개방된 후 닫히게 되면, 도어가 항상 다시 록킹되게 되므로, 일정 시간 동안 사람이 계속해서 출입해야 하는 상황이 있는 경우에도, 사람이 출입할 때마다 항상 비밀번호를 재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열쇠에 의한 도어(1)의 록킹을 방지하거나 도어(1)가 항상 록킹 해제되도록 하는 등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록킹 해제 가능 상태가 자유롭게 설정 가능한 도어록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쇠에 의한 도어의 록킹 해제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도어가 항상 록킹 해제되거나 록킹 해제 불가능하는 등 도어의 록킹 해제 가능 상태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가 록킹되도록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위치와, 상기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데드볼트;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그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며, 소정 형상의 열쇠가 상기 도어의 실외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열쇠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열쇠공에 삽입된 열쇠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전부재에 걸리는 걸림위치와, 상기 걸림부와 회전부재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걸림위치와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동부재가 걸림해제위치 및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5는 도 5에 도시된 이동부재가 상시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Ⅵ-Ⅵ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구동부재가 걸림해제위치 및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7은 가압부재의 회전에 의해 구동부재가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3의 Ⅷ-Ⅷ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도 데드볼트(10)와, 구동부(미도시)와, 입력부(11)와, 실내측 하우징(12) 및 실외측 하우 징(13)과, 핸들(121,131)을 구비하는 점은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와 다를 바 없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11), 예를 들어 키패드가 실외측 하우징(13)에 결합된 핸들(131)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는 도어(1)의 록킹 해제 가능 상태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면에서 종래의 도어록 장치와는 다르다. 즉, 도어록 장치(100)는 회전부재(20)와, 이동부재(30)와, 구동수단과, 가압부재(70)를 구비한다.
회전부재(20)는 도어(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도어에 결합된다.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은 도어(1)에 두께방향과 평행하다. 회전부재(20)는 데드볼트(10)에 연결되어 있어서, 회전부재(20)의 회전시 데드볼트(10)가 직선 이동하여 도어가 록킹 또는 록킹해제된다. 그리고, 회전부재(20)와 데드볼트(10)의 연동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부재(20)는 메인회전부재(21)와, 보조회전부재(22)를 포함한다.
메인회전부재(21)는 도어(1)의 실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메인회전부재(21)의 내부에는 열쇠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열쇠공(211)은 소정 형상의 열쇠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열쇠는 도어(1)의 실외측으로부터 열쇠공(211)으로 삽입 가능하며, 삽입된 열쇠를 회전시키면, 메인회전부재(21)는 열쇠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메인회전부재(21)는 도어(1)의 두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연장부(212)를 가진다. 각 연장부(212)는 곡선 형상을 이루어진다.
보조회전부재(22)는 메인회전부재(21)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조회 전부재(22)는 도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조회전부재(22)에는 판상부(221)와, 한 쌍의 보조연장부(222)와, 한 쌍의 걸림턱(223)과, 끼움홈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판상부(221)는 대략 원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보조연장부(222)는 각각 판상부(221)로부터 도어(1)의 두께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보조연장부(222)는 한 쌍의 연장부(212) 일측 및 타측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보조연장부(222) 및 연장부(212)는 보조회전부재(22)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서로 번갈아가면서 나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메인회전부재(21)의 회전시 보조회전부재의 보조연장부(222)는 메인회전부재의 연장부(212)에 의해 가압되므로, 보조회전부재(22)는 메인회전부재(21)와 함께 회전한다.
한 쌍의 걸림턱(223)은 판상부(221)에 형성된 홈부의 내측면으로서, 보조회전부재(22)의 회전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끼움홈부(224)는 판상부(221)의 외측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30)는 구동부재의 회전중심축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동부재(30)에는 이동부재(3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슬롯(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부재(30)의 직선이동은 슬롯(31)에 끼워져 이동부재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볼트부재(32)에 의해 가이드된다. 여기서, 볼트부재(32)는 실내측 하우징(12)에 나사결합된다. 이동부재(30)는 도어(1)의 두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33)를 가진다. 이동부재(30)는 걸림해제위치와, 걸림위치와, 상시개방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다.
이동부재(30)가 도 4a에 도시된 걸림해제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걸림부(33)가 걸림턱(223)의 회전경로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게 되므로, 걸림부(33)가 걸림턱(223)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조회전부재(22)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동부재(30)가 걸림해제위치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도 4b에 걸림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보조회전부재(22)의 회전시 걸림부(33)가 한 쌍의 걸림턱(223) 중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에 걸려서, 보조회전부재(22)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동부재(30)가 걸림해제위치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상시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시개방위치에서는 후술하는 제1가압회전부재(80)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동부재(30)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가압돌출부(34)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부재(30)에는 홈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35)는 이동부재(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가압홈부(35)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략 포물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홈부(35)의 일측 내측면의 곡률은 홈부(35)의 타측 내측면의 곡률과 상이하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제1가압회전부재(80) 및 제2가압회전부재(90)가 생략되어 있다.
구동수단은 이동부재(30)를 구동하여 이동부재(30)를 걸림위치, 걸림해제위 치 및 상시개방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킨다. 구동수단은 구동부재(40)와, 고정부재(50)와, 노브부재(60)를 구비한다.
구동부재(40)는 도어(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도어에 결합된다. 구동부재(40)는 보조회전부재(22)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재(40)는 이동부재(30)에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부재(40)의 회전시 이동부재(30)가 직선 이동하게 된다. 구동부재(40)에는 홈부(35)에 끼워지는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재(40)가 일방향,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홈부(35)의 내측면이 돌출부(41)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부재(30)가 좌측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재(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홈부(35)의 내측면이 우측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부재(30)가 우측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홈부(35)가 돌출부(41)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동부재(30)가 가압해제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구동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30)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가압되면 이동부재(30)가 가압위치 또는 상시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재(40)는 도어(1)의 두께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다. 구동부재(40)는 걸림위치와,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다. 구동부재(40)가 도 6b에 도시된 걸림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구동부재(40)가 보조회전부재(22)에 걸리게 되어 보조회전부재(22)의 회전이 방지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부재(40)에는 끼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끼움돌출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앞서 설명한 돌출부(41)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끼움돌 출부, 즉 돌출부(41)는 구동부재(40)가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끼움홈부(224)에 끼워지게 되어, 회전부재(20)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모두 방지된다. 그리고, 구동부재(40)가 도 6a에 도시된 걸림해제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구동부재(40)와 보조회전부재(22) 간의 걸림이 해제되어 보조회전부재(22)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걸림해제위치에서는 끼움돌출부, 즉 돌출부(41)가 끼움홈부(224)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제1가압회전부재(80)가 생략되어 있다.
구동부재(40)에는 접촉돌출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돌출부(42)는 구동부재(40)의 걸림위치로의 이동시 후술하는 제2가압회전부재(90)와 접촉하여 제2가압회전부재(90)를 가압하게 된다. 접촉돌출부(42)는 걸림위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접촉돌출부(42)에는 구동부재(40)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재(50)는 실내측 하우징(12)에 고정된 매개부재(14)에 볼트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도어(1)에 대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재(50)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부재(50)의 내부에는 구동부재(40)가 삽입되어 있어서, 구동부재(40)의 직선이동은 고정부재(50)에 의해 가이드된다.
노브부재(60)는 도어(1)에 대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브부재(60)는 구동부재(5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노브부재(60)는 구동부재(5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브부재(60)에는 노브부(61)와, 제1끼움부(62)와, 제2끼움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노브부(61)는 구동부재(40)를 회전시키거나 직선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키거나 누르는 부분이다.
제1끼움부(61)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끼움부(62)는 구동부재(40)에 항상 끼워져 있다. 따라서, 노브부(61)를 잡고 회전시키면, 노브부재(60)와 구동부재(40)가 함께 회전한다.
제2끼움부(62)는 한 쌍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끼움부(62) 사이에는 제1끼움부(61)가 배치되어 있다. 제2끼움부(62)는 삽입해제위치와, 삽입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다. 제2끼움부(62)가 도 6a에 도시된 삽입해제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2끼움부(62)가 고정부재(5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노브부재(60)를 직선이동시키더라도 구동부재(40)가 직선 이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삽입해제위치에서 제2끼움부(62)를 눌러서, 즉 제2끼움부(62)를 구동부재(40)의 걸림위치쪽으로 누르면, 제2끼움부(62)가 삽입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삽입위치에서는 제2끼움부(62)가 고정부재(50)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삽입위치에 위치한 노브부재(60)를 걸림위치쪽으로 누르면, 노브부재(60) 및 구동부재(40)가 함께 걸림위치쪽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구동부재(40)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노브부재(60)에는 제1끼움부(62) 및 제2끼움부(63)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부재(40)는 제2끼움부(63)의 위치에 따라 회전 및 직선 이동이 선택적으로 가능해지게 된다. 즉, 제2끼움부(63)가 삽입해제위치 및 삽입위치에 각각 위치하게 되면, 구동부재(40)는 회전 및 직선 이동만이 각각 가능해지게 된다.
가압부재(70)는 핸들(121)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게 도어(1)에 결합된다. 즉, 가압부재(70)와 핸들(121)은 각각 연결부재(15)에 결합되어 있어서, 핸들(121)의 회전시 가압부재(70)도 핸들(121)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압부재(70)는 이동부재(30)와 구동부재(40) 사이에 배치된다. 가압부재(70)는 원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원형부(71)와, 원형부(71)로부터 원형부의 직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압부(72)를 가진다. 그리고, 구동부재(40)가 도 7에 실선으로 도시된 걸림해제위치로부터 직선 이동하여 도 7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121)을 회전시켜 가압부재(70)를 회전시키면, 가압부재(70)의 회전과정에서 가압부(72)가 접촉돌출부(42)와 접촉하여 접촉돌출부(42)를 가압하게 되므로, 구동부재(40)가 걸림해제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은 돌출부(41)가 끼움홈부(224)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즉, 돌출부(41)와 끼움홈부(224)의 끼움은 핸들(121)의 회전에 의해 해제 가능하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린더부재(16)는 실내측 하우징(12)에 고정되며, 핸들(121)은 이 실린더부재(16)에 끼워진다.
또한, 도어록 장치(100)는 제1가압회전부재(80)와, 제2가압회전부재(90)와, 제1센서(미도시)와, 제2센서(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제1가압회전부재(80)는 도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가압회전부재(80)의 회전중심축은 구동부재(40)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하다. 제1가압회전부재의 피봇축(81)은 제1가압회전부재(80)를 관통하여 매개부재(14)에 결합된다. 제1가압회전부재(80)는 이동부재의 가압돌출부(34) 부근에 배치되어 있어서 이동부 재(30)에 의해 구동된다. 즉, 제1가압회전부재(8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30)의 상시개방위치로의 이동과정에서 가압돌출부(34)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한다.
제2가압회전부재(90)는 도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가압회전부재(90)의 회전중심축은 제1가압회전부재(80)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하다. 제2가압회전부재의 피봇축(91)은 제2가압회전부재(90)를 관통하여 매개부재(14)에 결합된다. 제2가압회전부재(90)는 구동부재(40)와 구동부재(40)의 이동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2가압회전부재(90)와 제1가압회전부재(80) 사이에는 보조회전부재의 판상부(221)가 배치된다. 제2가압회전부재(90)는 구동부재(40)의 걸림위치로의 이동과정에서 구동부재(4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2가압회전부재(90)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촉돌출부(42)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된 구동부재(40)가 걸림위치에 위치하도록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이동과정에서 제2가압회전부재(90)의 경사면이 접촉돌출부(42)의 경사면과 슬라이딩되어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2가압회전부재(90)가 회전하게 된다.
제1센서 및 제2센서는 각각 제1가압회전부재(80) 및 제2회전부재(90)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제1센서 및 제2센서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 또는 각 가압회전부재의 회전시 각 가압회전부재에 의해 눌려지는 돔스위치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센서 및 제2센서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구동부를 제어한다. 즉, 제1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도어(1)는 항상 록킹해제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입력부(11), 예를 들어 키패드로의 비밀번호 입력에 무관하게 도어(1)가 계속해서 록킹해제된다. 또한, 제2센서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인증이 항상 거부되어 도어(1)가 계속해서 록킹 유지된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11), 예를 들어 키패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더라도 도어(1)가 계속해서 록킹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100)에 있어서는, 노브부재(6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노브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구동부재(40)가 회전하게 되며, 구동부재의 회전 과정에서 구동부재의 돌출부(41)에 의해 이동부재의 홈부(35) 내측면이 가압되어 이동부재(30)가 직선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해제위치에 위치한 이동부재(30)를 걸림위치 또는 상시개방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0)가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이동부재의 걸림부(33)가 보조회전부재의 걸림턱(223)에 끼워지게 되어 보조회전부재(22)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도어의 실외측에서 열쇠공(211)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더라도 메인회전부재(21)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동부재(30)가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도어의 록킹해제가 키패드(11)에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만 가능하다. 한편, 이동부재(30)가 도 5에 도시된 상시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이동부재(30)의 이동과정에서 제1가압회전부재(80)가 이동부재의 가압돌출부(34)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게 되며, 제1가압회전부재(80)의 회전상태가 제 1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에 입력됨으로써 구동부가 항상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부재(30)가 상시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키패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도어(1)가 항상 록킹해제되어 있다.
한편, 노브부재(60)를 눌러서 노브부재의 제2끼움부(63)를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50)에 삽입하기만 하면, 노브부재(60)의 눌림 과정에서 구동부재(40)가 걸림위치쪽으로 직선 이동하여 구동부재의 돌출부(41)가 보조회전부재의 끼움홈부(224)에 삽입되므로, 결국 구동부재(40)가 걸림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노브부재의 제2끼움부(63)가 고정부재(50)에 끼워져서, 노브부재(60) 및 구동부재(40)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재(40)가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열쇠공(211)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더라도 보조회전부재(22)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되므로, 열쇠의 회전에 의해서는 도어(1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구동부재의 걸림위치로의 이동과정에서는 제2가압회전부재(90)가 구동부재의 접촉돌출부(42)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제2가압회전부재의 회전상태가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에 입력됨으로써 구동부가 항상 도어(1)의 록킹이 유지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키패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열쇠를 회전시키더라도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구동부재(60)가 도 6b에 도시된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121)을 회전시키면 가압부재의 가압부(72)가 구동부재의 접촉돌출부(42)를 가압하게 되어 구동부재(60)를 걸림해제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노브부재(60)를 회전시키거나 누르기만 하면, 열쇠에 의한 도어의 록킹 해제가 방지되거나 키패드에의 비밀번호 입력에 의한 도어의 록킹 해제가 방지되거나 도어의 록킹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도록 도어의 록킹 해제 가능 모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도어록 장치의 록킹 해제 가능 모드를 선정함으로써 도어록 장치를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열쇠를 분실한 경우에도 노브부재(60)를 회전 또는 누름으로써 습득된 열쇠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사가 있는 날 등 방문객의 출입이 빈번한 경우에는 이동부재(30)를 상시개방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도어의 록킹해제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데드볼트가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데드볼트가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이동하거나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이 함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에 홈부가 형성되며 구동부재에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동부재 및 구동부재에 각각 돌출부 및 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재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돌출부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구동부재에 돌출부와 별개로 끼움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재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보조회전부재에는 끼움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구동부재 및 보조회전부재에 각각 끼움홈부 및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록킹 해제 가능 상태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열쇠를 분실한 경우에도 노브부재를 회전 또는 누름으로써 습득된 열쇠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사가 있는 날 등 방문객의 출입이 빈번한 경우에는 이동부재를 상시개방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도어의 록킹해제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도어가 록킹되도록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위치와, 상기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데드볼트;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그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며, 소정 형상의 열쇠가 상기 도어의 실외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열쇠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열쇠공에 삽입된 열쇠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전부재에 걸리는 걸림위치와, 상기 걸림부와 회전부재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걸림위치와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내부에 열쇠공이 형성되며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메인회전부재; 및
    상기 메인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메인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턱을 가지는 보조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그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 및 구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 및 구동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홈부의 내측면이 가압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중심축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직선 이동하여 상시개방위치에 위치 가능하며,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상시개방위치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가압회전부재;
    상기 가압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 가능하며, 상기 데드볼트를 직선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도어가 항상 록킹해제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걸리는 걸림위치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해제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 및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재 및 회전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끼움돌출부가 끼워지는 끼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 및 상기 구동부재의 이동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재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와, 상기 구동부재와 함께 상기 걸림위치쪽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고정부재와의 삽입이 해제되는 삽입해제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한 제2끼움부를 가지는 노브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핸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의 회전시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핸들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걸림해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이동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상기 걸림위치로의 이동시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가압회전부재;
    상기 가압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 가능하며, 상기 데드볼트를 직선 구동하는 구동부; 및
    사용자가 인증되어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인증이 항상 거부되어 상기 도어가 록킹 유지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에는, 상기 걸림위치로의 이동시 상기 가압회전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걸림위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접촉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그 회전시 상기 걸림위치에 위치한 구동부재가 상기 걸림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접촉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70053691A 2007-06-01 2007-06-01 도어록 장치 KR100996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691A KR100996477B1 (ko) 2007-06-01 2007-06-01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691A KR100996477B1 (ko) 2007-06-01 2007-06-01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516A KR20080065516A (ko) 2008-07-14
KR100996477B1 true KR100996477B1 (ko) 2010-11-24

Family

ID=3981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691A KR100996477B1 (ko) 2007-06-01 2007-06-01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4709A (zh) * 2019-12-31 2020-04-10 浙江群喜门业有限公司 一种便捷开启式家用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839A (ko) 2002-03-13 2003-09-19 박지순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839A (ko) 2002-03-13 2003-09-19 박지순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4709A (zh) * 2019-12-31 2020-04-10 浙江群喜门业有限公司 一种便捷开启式家用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516A (ko) 2008-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098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331979B1 (ko)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0763885B1 (ko) 도어록 장치
KR100996477B1 (ko) 도어록 장치
KR101196054B1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100977611B1 (ko) 도어록 장치
JP2021031978A (ja) 自動ドアユニット及び建具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JP4487458B2 (ja) 住宅用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KR101810489B1 (ko)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0996111B1 (ko) 도어록 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0212695Y1 (ko) 전자 도어락
KR20110048400A (ko) 도어록 장치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0994344B1 (ko) 도어록 장치
KR200448138Y1 (ko)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102268726B1 (ko)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KR20100126135A (ko) 도어록 장치 및 도어록 시스템
JP3698806B2 (ja) 電子錠
JP3242637U (ja) 引き戸用施解錠装置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200409191Y1 (ko) 디지털 도어록 조립체
KR20100122416A (ko) 도어록 장치
KR100574688B1 (ko) 전자식 도어록 장치
KR20090071341A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