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611B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611B1
KR100977611B1 KR1020070042489A KR20070042489A KR100977611B1 KR 100977611 B1 KR100977611 B1 KR 100977611B1 KR 1020070042489 A KR1020070042489 A KR 1020070042489A KR 20070042489 A KR20070042489 A KR 20070042489A KR 100977611 B1 KR100977611 B1 KR 100977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erminal
emergency
unit
door
emergency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513A (ko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슈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to KR1020070042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611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충전단자가 평상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배터리가 방전되어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비상충전단자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며, 나아가 비상충전단자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경보음이 발생하여 외부 침입자가 도어록 장치를 훼손하고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와,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며, 그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공을 가지는 하우징과,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입력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의 방전시 입력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외부의 비상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단자와, 비상충전단자가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관통공을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비상전원장치의 삽입 경로 상에 배치되어 비상전원장치로부터 충전이 가능한 충전위치와, 삽입 경로로부터 이탈되게 배치되는 비충전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비상충전단자를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 잠금쇠, 비상충전단자, 회전부재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oor lock device}
도 1은 종래의 도어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비상충전단자가 회전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스위칭부가 구동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가 경보음을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실내측 하우징 11...배터리수납부
12...손잡이 13...배터리
20...모티스 21...케이스
22...잠금쇠 23...래치볼트
30...실외측 하우징 31...수용부
32...관통공 40...핸들
41...제1로터리부재 42...결합부
43...핸들부 44...제2로터리부재
45...제1삽입공 46...키패드
47...볼트 48...연결부재
50...회전부재 51...제2삽입공
60...클러치 61...결합부재
62...걸림턱 70...비상충전단자
71...건전지 80...누름스위치
91...센서부 92...판단부
93...배터리 측정부 94...감지부
95...제어부 96...알람부
97...알람발생장치 100...도어록 장치
D...도어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 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번호입력, 지문인식 등의 방법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도어록 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록 장치(9)는 데드볼트(6)와, 래치볼트(8)와, 실외측 하우징(1)을 구비한다.
데드볼트(6)는 도어(D)에 대하여 돌출 및 몰입되도록 도어(D)에 설치된다. 데드볼트(6)는 문설주(미도시)에 형성된 데드볼트공(5)에 삽입 및 이탈되어 도어(D)를 록킹 및 록킹해제한다.
래치볼트(8)는 도어(D)에 대하여 돌출 및 몰입되도록 도어(D)에 설치된다.
실외측 하우징은 도어(D)의 실외측에 설치된다. 실외측 하우징(1)에는 핸들(2)과, 키패드(3)와, 한쌍의 비상충전단자(4)가 설치된다.
핸들(2)은 실외측 하우징(1)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핸들(2)은 그 회전시 래치볼트(8)가 래치볼트공(7)으로 몰입되도록 래치볼트(8)와 연결된다.
키패드(3)는, 복수의 키버튼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키패드(3)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인증하며, 데드볼트(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구동신호는 데드볼트를 구동하는 구동원(미도시), 예를 들어 모터에 입력된다. 키패드(3) 및 모터는 도어록 장치, 예를 들어 실내측 하우징(미도시)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가능하게 된다.
한 쌍의 비상충전단자(4)는 배터리의 방전시 키패드(3) 및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외부의 건전지(미도시)로부터 충전 받기 위한 것이다. 비상충전단자(4)는 실외측 하우징(1)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9)에 있어서, 배터리가 방전되어 키패드(3) 및 모터가 구동 불가능한 경우, 건전지의 양 단자를 한 쌍의 비상충전단자(4)에 접촉하면, 건전지의 전원이 도어록 장치(9)에 설치된 축전지에 충전되거나 건전지의 전원이 키패드(3) 및 모터에 직접 인가되므로, 키패드(3)와 모터가 작동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키패드(3) 및 모터가 작동 가능한 상태에서는, 키패드(3)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D)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도어록 장치(9)에 있어서는 비상충전단자(4)가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비상충전단자(4)가 본연의 목적이 아닌 해킹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도어록 장치(9)의 보안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침입자가 외부로 노출된 비상충전단자(4)를 통해서 도어록 장치(9)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도어록 장치(9)의 전자회로가 쉽게 파손된다. 그리고 고전압에 의해 전자회로가 오작동하여 도어(D)의 록킹이 해제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충전단자가 평상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배터리가 방전되어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비상충전단자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 며, 나아가 비상전원단자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경보음이 발생하여 외부 침입자가 도어록 장치를 훼손하고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와,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며, 그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공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의 방전시 상기 입력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외부의 비상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단자 및 상기 비상충전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비상전원장치의 삽입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비상전원장치로부터 충전이 가능한 충전위치와, 상기 삽입 경로로부터 이탈되게 배치되는 비충전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상기 비상충전단자를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비상충전단자가 회전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는 모티스(20)와, 실내측 하우징(10)과, 실외측 하우징(30)을 구비한다.
모티스(20)는 케이스(21)와, 잠금쇠(22)와, 래치볼트(23)를 구비한다.
케이스(21)는 도어(D)의 내부에 삽입된다. 케이스(21)의 내부에는 구동원(미도시), 예를 들어 모터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는 구동신호 인가시 구동한다. 잠금쇠(22)는 도어(D)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도어(D)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도록 케이스(21) 내부에 설치된다. 잠금쇠(22)는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직선이동하도록 모터에 연결되어 있다. 래치볼트(23)는 도어(D)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21) 내부에 설치된다.
실내측 하우징(10)은 도어(D)의 실내측에 배치된다. 실내측 하우징(10)에는 배터리수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납부(11)에는 배터리(13), 예를 들어 복수의 배터리(13)가 수납된다. 배터리(13)는 모터 및 후술하는 입력부(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 및 입력부(46)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실내측 하우징(10)에는 손잡이(1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손잡이(12)는 래치볼트(23)와 연결되어 있어서, 손잡이(12)의 회전시 래치볼트(23)가 도어(D)에 대하여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실외측 하우징(30)은 도어(D)의 실외측에 설치된다. 실외측 하우징(30)에는 수용부(31)와, 관통공(32)이 형성된다.
수용부(31)는 실외측 하우징(30) 내부에 형성된다.
관통공(32)은 수용부(31)가 실외측 하우징(3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32)은 실외측 하우징(30) 하측을 관통하며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2)은 후술하는 비상충전장치(71), 예를 들어 건전지(71)가 외부로부터 실외측 하우징의 수용부(31)로 삽입되는 통로이다. 따라서 관통공(32)은 건전지(71)가 삽입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외측 하우징(30)에는 구동유닛이 결합된다. 구동유닛은 핸들(40)과, 회전부재(50)와, 클러치(60)를 포함한다.
핸들(40)은 실외측 하우징(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실외측 하우징(30)에 결합된다. 핸들(40)은 핸들(40)의 회전시 래치볼트(23)를 도어(D)에 대여 돌출 및 몰입시키도록 래치볼트(23)와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핸들은(40)는 제1로터리부재(41)와, 제2로터리부재(44)를 포함한다.
제1로터리부재(41)에는, 결합부(42)와 핸들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42)는 실외측 하우징(3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부(42)의 단부는 실외측 하우징(30)에 끼워진다. 그리고, 결합부(42)의 외측면은 결합부(42)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부(43)는 결합부(42)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된 부분이다. 핸들부(43)는 결합부(42)의 회전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핸들부(43)는 록킹상태가 해제된 도어(D)를 열기 위해서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핸들부(43)는 래치볼트(23)가 도어(D) 외부로 완전히 돌출되도록 하는 위치, 즉 초기위치와, 래치볼트(23)가 도어(D) 내부로 완전히 몰입되도록 하는 위치, 즉 최대회전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 다.
제2로터리부재(44)는 실외측 하우징(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로터리부재(44)의 단부는 실외측 하우징(30)에 끼워진다. 그리고, 제2로터리부재(44)는 제1로터리부재(41)의 결합부(42)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2로터리부재(44)가 삽입되어, 제2로터리부재(44)와 제1로터리부재(41)는 상호 동축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1로터리부재(41)와 제2로터리부재(44)는 매개부재(48)를 관통하며 결합되는 볼트(47)에 의해 상호 결합 되어 있다. 제2로터리부재(44)에는 제1삽입공(45)이 관통 형성된다. 제2로터리부재(44)에는 입력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부(46)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명령을 입력받아 잠금쇠(22)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입력부(46)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키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4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키패드(46)는 제2로터리부재(44)이 표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입력명령은 키패드(46)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가 출력되어 모터가 구동된다. 키패드(46)는 배터리(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3)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다.
회전부재(50)는 도어(D)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 수용부(31)에 설치된다. 회전부재(50)는 핸들부(43)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핸들(40)에 연결된다. 회전부재(50)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회전부재(50)에는 제2삽입공(51)이 형성된다. 회전부재(50)에는 비상충전단자(70)가 한 쌍 결합되어 있다.
비상충전단자(70)는 배터리(13)의 방전시 외부의 비상충전장치(71), 예를 들어 건전지(71)로부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비상충전단자(70)를 통해 건전지(71)로부터 충전 받은 전원은 모터 및 키패드(46)로 공급된다. 비상충전단자(70)는 회전부재(50)의 외주면에 한 쌍 결합된다. 한 쌍의 비상충전단자(70)는 회전부재(50)의 회전시에 회전부재(50)와 함께 회전하여 충전위치와 비충전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전위치에서는, 한 쌍의 비상충전단자(70)가 건전지(71)의 삽입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있어, 건전지(71)의 양 단자를 한 쌍의 비상충전단자(70)에 접촉하면 건전지(71)로부터 전원을 충전 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건전지(71)의 삽입 경로는 건전지(71)가 외부로부터 관통공(32)을 통하여 실외측 하우징(30)의 수용부(31)로 삽입되는 경로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충전위치에서는, 비상충전단자(70)가 건전지(71)의 삽입 경로로부터 이탈되어 있어, 건전지(71)의 양 단자를 한 쌍의 비상충전단자(70)에 접촉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건전지(71)로부터 전원을 충전 받을 수 없게 된다.
한 쌍의 비상충전단자(70)는 핸들부(43)의 기준위치 배치시 비충전위치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접근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부(43)를 최대회전위치로 회전하면, 회전부재(50)가 핸들(40)과 함께 핸들부(43)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회전부재(50)에 결합된 비상충전단자(70)는 충전위치, 즉 관통공(32)과 마주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클러치(60)는 실외측 하우징(30)에 설치되어 핸들(40)의 회전력을 회전부 재(50)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클러치(60)는 결합부재(61)와 걸림턱(62)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결합부재(61)는 일방향, 즉 도어(D)의 두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61)는 제1삽입공(45)에 끼워져서, 도어(D)의 두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다. 결합부재(61)는 도 3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이탈위치와, 도 3에 실선으로 표시된 삽입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다. 이탈위치에서는 결합부재(61)가 제1삽입공(45)과 제2삽입공(5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61)가 제2삽입공(51)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핸들(40)의 회전력이 회전부재(50)로 전달되지 않으며, 그 결과 핸들(40)의 회전시 핸들(40)과 회전부재(50)가 상대회전한다. 이탈위치에 위치한 결합부재(61)가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면, 삽입위치로 배치된다. 삽입위치에서는 결합부재(61)가 제1삽입공(45) 및 제2삽입공(51)에 모두 삽입된다. 따라서, 결합부재(61)를 통하여 핸들(40)의 회전력이 회전부재(50)로 전달되어, 회전부재(50)가 핸들(40)과 함께 회전한다.
걸림턱(62)은 결합부재(6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걸림턱(62)은 결합부재(61)가 도어(D)의 실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로터리부재(44)의 내측면에 걸려서, 결합부재(61)가 제1삽입공(45)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칭부(80)와, 센서부(91)와, 판단부(92)와, 배터리 측정부(93)와, 감지부(94)와, 제어부(95)와, 알람부(96)와, 알람발생장치(97)를 더 구비한다.
스위칭부(80)는 모터 및 키패드(46)와 비상충전단자(70)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부는 누름스위치(80)로 구성된다. 누름스위치(80)는 누름 및 누름해제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그 구조 및 기능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누름스위치(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비상충전단자(7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건전지(71)를 비상충전단자(70)에 접촉시키는 경우,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름스위치(80)가 건전지(71)에 의하여 자동으로 눌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누름스위치(80)가 눌려지면, 도 7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상충전단자(70)가 모터 및 키패드(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반대로 누름스위치(80)가 누름해제 되면, 도 7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충전단자(70)가 모터 및 키패드(46)와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센서부(91)는 회전부재(5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충전단자(70)가 충전위치에 지속적으로 배치되는 지속시간을 측정한다. 센서부(91)는 지속시간에 대응되는 시간신호를 출력한다.
판단부(92)는 센서부(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판단부(92)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비상충전단자(70)가 충전위치에 배치된 후, 비상충전단자(70)에 고전압을 연결하여 키패드(46) 및 구동원을 파손하는데 걸리는 최소한의 시간이다. 판단부(92)는 저장된 기준시간과 센서부(91)로부터 출력된 지속시간을 비교하며, 지속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판단신호를 출력한다.
배터리 측정부(93)는 배터리(13)의 기전력을 측정하며, 측정된 기전력값에 대응되는 기전력신호를 출력한다.
감지부(94)는, 비상충전단자(70)가 키패드(46) 및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비상충전단자(70)가 키패드(46) 및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연결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95)는 판단부(92)와, 배터리 측정부(93)와, 감지부(9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판단신호와, 기전력신호와, 연결신호를 각각 입력받는다. 그리고, 제어부(95)에는 키패드(46) 및 모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최소로 필요한 기전력에 해당하는 기준 기전력값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95)는 입력받은 배터리(13)의 기전력값과 기준 기전력값을 비교한다.
제어부(95)는 판단신호와, 기전력신호와, 연결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95)는 판단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배터리(13)의 기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기전력값 이상인 경우, 즉 배터리(13)에 전원이 충분하여 도어록 장치(100)가 작동 가능한 상태에서 비상충전단자(70)가 기준시간 이상으로 충전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95)는 배터리(13)의 기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기전력값 이상인 상태에서 연결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즉 배터리(13)에 전원이 충분하여 도어록 장치(100)가 작동 가능한 상태에서 비상충전단자(70)가 키패드(46) 및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다만, 배터리(13)의 기전력이 기준 기전력값 보다 낮은 경우에는 비상충전단자(70)가 충전위치에 기준시간 이상으로 배치되거나, 비상충전단자(70)가 키패드(46) 및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도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알람부(96)는 제어부(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알람부(96)는 제어부(95)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되는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발생장치(97)는 알람부(9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알람발생장치(97)는 알람부(96)로부터 알람신호를 입력받아 경고음을 발생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알람발생장치(97)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97)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평상시에 배터리(13)의 전원이 충분하여 키패드(46) 및 모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키패드(46)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D)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에는 결합부재(61)가 눌림 해제된 상태이므로 핸들부(43)의 회전시 비상충전단자(70)는 이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비상충전단자(7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또한 비상충전단자(70)가 충전위치에 기준시간 이상 배치되어 경보음이 울리게 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배터리(13)가 방전되어 배터리(13)의 전원이 기준 기전력값 미만인 경우에는 키패드(46) 및 모터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비상충전단자(70)를 통하여 외부 건전지(71)로부터 충전을 한 다음 도어(D)의 록킹을 해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결합부재(61)를 눌러 결합부재(61)를 삽입위치에 배치한다. 그 후 핸 들부(43)를 최대회전위치까지 회전시키면, 핸들(40)과 회전부재(5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회전부재(50)에 결합된 비상충전단자(70)를 충전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비상충전단자(70)를 충전위치에 배치한 후, 건전지(71)를 관통공(32)에 삽입하여, 건전지(71)를 비상충전단자(70)에 접촉시킨다. 이때 건전지(71)에 의하여 누름스위치(80)가 자동적으로 눌러지므로, 비상충전단자(70)가 키패드(46) 및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건전지(71)의 전원이 비상충전단자(70)를 통해서 공급되면, 키패드(46) 및 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키패드(46)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D)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과정에서는 배터리(13)의 기전력이 기준 기전력값 보다 낮으므로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배터리(13)가 기준 기전력값 이상의 기전력을 가지는 상태, 즉 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침입자가 도어록 장치(100)를 훼손하고 내부로 침입하기 위하여 비상충전단자에 고전압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어록 장치(100)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고음이 발생하게 된다.
비상충전단자(70)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침입자는 먼저 결합부재(61)를 눌러 삽입위치에 배치한 후, 핸들부(43)를 최대회전위치까지 돌려 비상충전단자(70)를 충전위치로 회전시킨다. 그 후에, 누름스위치(80)를 눌러 비상충전단자(70)를 키패드(46) 및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고전압의 전원장치의 단자를 비상충전단자(70)에 접촉시키거나 고전압의 전원장치에 연결된 전선을 비상충전단자(70)에 접촉시킨다. 이와 같이 고전압의 전원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전 압이 키패드(46) 및 모터에 인가되면, 도어록 장치(100)의 전자회로가 훼손되거나 또는 오작동에 의해 도어(D)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침입자가 내부로 침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전압을 인가하는 과정 중에서, 핸들부(43)가 최대회전위치에서 위치하는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스피커(97)에서 경고음이 발생하게 된다. 즉, 비상충전단자(70)가 충전위치에 배치된 후 기준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판단부(92)에서 판단신호를 제어부(95)로 출력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기준 기전력값 이상인 상태에서 발생하므로, 제어부(95)는 판단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알람부(96)로 출력한다.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알람부(96)는 스피커(97)로 알람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스피커(97)에서 경고음이 발생한다.
또한, 침입자가 핸들부(43)를 최대회전위치까지 회전시킨 후 빠른 시간 내에 고전압을 도어록 장치(100)로 인가하는 경우, 즉 기준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고접압을 도어록 장치(100)로 인가하는 경우에도 경고음이 발생하게 된다. 즉, 침입자가 비상충전단자(70)와 키패드(46) 및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누름스위치(80)를 누르면, 감지부(94)에서 이를 감지하고 연결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는 제어부(95), 알람부(96)를 거쳐 스피커(97)에 도달하게 되고, 그 결과 스피커(97)에서 경고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침입자가 도어록 장치(100)를 훼손하기 위하여 비상충전단자(70)에 고전압을 연결하는 과정 중에, 비상충전단자(70)를 충전위치에 기준시간 이상 배치하거나 누름스위치(80)를 누르는 경우 경고음이 발생하므로, 침입자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록 장치(100)는 비상충전단자(70)가 평상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고, 배터리(13)의 방전시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 받을 수 있는 충전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침입자가 용이하게 비상충전단자(70)를 통하여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입자가 도어록 장치(100)를 훼손하기 위하여 고전압을 비상충전단자(70)로 인가하는 경우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침입자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키패드가 핸들에 설치되어 핸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키패드가 실외측 하우징에 설치되며 핸들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비상충전단자가 충전위치와 비충전위치 사이에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비상충전단자가 충전위치와 비충전위치 사이에 직선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가 알람신호를 입력받아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알람신호가 경찰이나 보안회사의 보안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가 삽입위치에 배치시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결합부재가 삽입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결합부재를 누르거나 누름해제하여 결합부재를 삽입위치 및 이탈위치로 위치시켰으나,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동번호를 입력하여 결합부재를 구동하는 모터 등의 구동원을 구동함으로써 결합부재가 삽입위치 및 이탈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충전단자가 평상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배터리가 방전되어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비상충전단자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다.
또한, 비상전원단자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경고음이 발생하여 외부 침입자가 도어록 장치를 훼손하고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며, 그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공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의 방전시 상기 입력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외부의 비상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단자; 및
    상기 비상충전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비상전원장치의 삽입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비상전원장치로부터 충전이 가능한 충전위치와, 상기 삽입 경로로부터 이탈되게 배치되는 비충전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상기 비상충전단자를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핸들; 및
    상기 비상충전단자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의 회전시 상기 비상충전단자가 상기 충전위치와 상기 비충전위치에 선택 적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부재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클러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및 회전부재에는 각각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핸들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에 모두 삽입되는 삽입위치와, 상기 핸들이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충전단자와 상기 입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 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충전단자는 한 쌍 구비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비상충전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누름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충전단자가 상기 충전위치에 지속적으로 배치되는 지속시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지속시간이 상기 기준시간 초과시 그에 대응되는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로부터 입력되는 판단신호를 기초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기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기전력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알람부가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충전단자와 입력부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비상충전단자와 상기 입력부가 전기적으로 연결시 그에 대응하는 연결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연결신호를 기초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10.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신호를 입력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알람발생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70042489A 2007-05-02 2007-05-02 도어록 장치 KR10097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489A KR100977611B1 (ko) 2007-05-02 2007-05-02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489A KR100977611B1 (ko) 2007-05-02 2007-05-02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513A KR20080065513A (ko) 2008-07-14
KR100977611B1 true KR100977611B1 (ko) 2010-08-23

Family

ID=3981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489A KR100977611B1 (ko) 2007-05-02 2007-05-02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91A1 (ko) * 2016-10-28 2018-05-03 박제상 증속기를 이용한 자가 발전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도어 핸들형 디지털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2733A (zh) * 2013-08-29 2013-12-04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锁系统及其控制方法和供电控制方法
KR102118177B1 (ko) * 2019-11-04 2020-06-02 (주)영신에프앤에스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KR102642354B1 (ko) * 2022-12-01 2024-02-29 (주)밴플러스 컨테이너용 도어 잠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625Y1 (ko) 2003-09-22 2004-01-07 김미희 자동도어록용 전압공급단말기
KR200402152Y1 (ko) 2005-08-25 2005-11-28 주식회사 아이레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KR20060053038A (ko) * 2004-11-13 2006-05-19 주식회사 현대금속 다기능 전자키 도어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625Y1 (ko) 2003-09-22 2004-01-07 김미희 자동도어록용 전압공급단말기
KR20060053038A (ko) * 2004-11-13 2006-05-19 주식회사 현대금속 다기능 전자키 도어락
KR200402152Y1 (ko) 2005-08-25 2005-11-28 주식회사 아이레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91A1 (ko) * 2016-10-28 2018-05-03 박제상 증속기를 이용한 자가 발전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도어 핸들형 디지털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513A (ko) 2008-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8778B2 (en) Door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7339473B2 (en) Enclosure security device
US10907381B2 (en) Electronic door lock with a monitoring unit
EP1192813A1 (en) Single-key security system
KR100977611B1 (ko) 도어록 장치
KR101026241B1 (ko) 범죄예방을 위한 홈네트워크 연동형 가구 일체형 서랍식금고 및 이의 운용방법
KR100855240B1 (ko) 디지털 모티스 록
KR101088499B1 (ko) 지중전력설비함체용 보안키시스템 및 그 보안키
KR20140142397A (ko) 보안 도어로크
US20180106073A1 (en) Key monitoring door lock, door lock ke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9191632A (zh) 安防指纹锁
WO2007054728A2 (en) Improved locking system
CN112360240A (zh) 智能锁具
JP2007126950A (ja) 生体認証を用いた無線電子ロック装置
KR200166893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257592Y1 (ko) 무선 디지털 도어 자물쇠 개폐 장치
CN110185336A (zh) 应用于电力箱柜的电子式智能锁装置及控制方法
KR100996477B1 (ko) 도어록 장치
KR102552880B1 (ko) 스마트 도어락용 전원 공급 시스템
CN214303305U (zh) 门禁系统
KR100561080B1 (ko)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
KR200477808Y1 (ko) 보안 도어로크
CN219773888U (zh) 一种基于uwb的智能门锁
JP4354883B2 (ja) 建物用施解錠制御装置
CN216043178U (zh) 一种电子物流挂锁的解闭锁检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