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152Y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152Y1
KR200402152Y1 KR20-2005-0024565U KR20050024565U KR200402152Y1 KR 200402152 Y1 KR200402152 Y1 KR 200402152Y1 KR 20050024565 U KR20050024565 U KR 20050024565U KR 200402152 Y1 KR200402152 Y1 KR 200402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output
input
power
digit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5-0024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1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1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05B2047/0087Electric spare devices, e.g. auxiliary batteries or capacitors for back u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의 비상 전원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입력 전원으로 전달받아 입력 전원의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출력 전압을 갖는 출력 전원을 디지털 도어락에 공급하는 승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상 시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디지털 도어락의 비상 전원으로 공급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을 정도의 전류를 얻을 수 있고, 인증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Digital Door Lock with Emergency Electric Power by Using Electric Power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도어락을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의 전압을 승압하고, 승압된 전압으로 전류를 충전하여 일정 시간 동안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도록 충전 전류를 얻은 후에 충전된 전압과 전류를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 전원으로서 공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상점, 정부 기관, 기업 등은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출입 통제 시스템은 저가의 단순 자물쇠에서 복잡한 기계적 메커니즘(Mechanism)을 가진 고가의 기계적 장치와 기계적 메커니즘에 전자적 기술이 결합된 전자적 장치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단지 기계적 메커니즘(Mechanism)에 의해서만 작동하는 출입문의 잠금 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기(Electromagnetic)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키 입력부를 통한 인증 수단 입력 방식, 마그네틱 띠(Magnetic Stripe)를 입힌 마그네틱 카드 방식, RF(Radio Frequency) 카드 방식,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방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등의 다양한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출입자를 인증하고, 불법적인 침입을 방지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이 출입문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A는 디지털 도어락(100)이 출입문에 설치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100)은 크게 전면부(Front Body)(110)와 후면부(Main Body)(120)로 구성되고,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는 각각 출입문(130)의 전면과 후면에 부착된다.
출입문(130)에는 출입문(130) 밖으로 돌출되거나 출입문(130) 안으로 인입되어 디지털 도어락(100)을 괘정 또는 해정하는 데드 볼트(140)가 삽입되어 있으며, 후면부(150)에는 디지털 도어락(100)에 주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를 삽입하기 위한 건전지함(150)이 있다.
1B는 디지털 도어락(100)이 출입문(130)에 설치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출입문(130)을 출입하는 출입자가 디지털 도어락(100)의 전면부(110)에 구비된 키 입력 버튼(152)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를 입력하거나 소지한 인증키를 인증키 터치부(160)에 접촉하거나 가까이 근접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은 모티스를 구동하여 데드 볼트(140)를 출입문(100) 안쪽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출입문(1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출입자의 출입을 허용한다.
한편, 디지털 도어락(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건전지함(150)의 건전지로부터 공급받는데, 건전지는 영구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수단이 될 수 없고, 건전지의 충전된 전원만큼만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지로부터 주 전원을 공급받는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100)의 작동 가능 시간은 건전지의 수명에 따른다. 즉, 건전지의 수명이 다하면 디지털 도어락(100)도 작동을 중단할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건전지를 교체하거나 다른 전원을 디지털 도어락(100)에 공급해야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건전지함(150)은 디지털 도어락(100)의 후면부(120)에 위치한다. 따라서, 건전지를 교체하려면 출입문(130) 안쪽에서 후면부(120)의 건전지함(150)을 열고 새로운 건전지를 삽입해야 한다. 그런데 만일, 출입문(130)이 잠겨진 상태에서 건전지의 수명이 다한 경우, 출입문 안쪽에 사람이 없다면 출입문 밖에서 건전지를 교체할 방법이 없다.
이를 위해,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100)은 비상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를 구비한다. 출입자는 디지털 도어락(100)의 건전지의 수명이 다한 경우, 전면부(110)에 구비된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에 비상용 건전지(180)를 접촉하고, 접촉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인증키를 접촉 또는 근접하게 하여, 비상용 건전지(180)의 전원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 공급되게 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을 작동시킨다.
하지만, 디지털 도어락(100)에 구비된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을 한시적으로 작동시킨 후 건전지를 교체하는 전술한 방법은 불편한 문제점을 수반한다.
즉,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에 접촉해야 하는 비상용 건전지(180)는 통상적으로 9 V의 전압을 갖는 중형 건전지로서 대중들이 자주 사용하는 건전지가 아니기 때문에, 건전지의 수명이 언제 다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출입자가 이 비상용 건전지(180)를 항상 휴대할 수는 없다. 따라서, 막상 건전지의 수명이 다해 비상용 건전지(180)가 필요한 때, 비상용 건전지(180)를 구매하거나 찾는 일이 손쉬운 것만은 아니어서 출입자는 번거로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비상용 건전지(180)가 대중들이 자주 사용하는 건전지라 할지라도, 마찬가지로 건전지의 수명이 언제 다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출입자가 항상 비상용 건전지(180)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100)에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비상 전원으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디지털 도어락(100)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소켓부를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 소켓부에 직접 연결시키는 제 1 방법과 디지털 도어락(100)에 비상용 건전지(18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를 슬라이딩(Sliding) 형식으로 구성하여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의 단자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제 2 방법 등이 개발되었지만, 이 방법들도 다른 문제점을 파생하였다.
제 1 방법의 경우에는 디지털 도어락(100)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이용하기 위한 충전 소켓부를 추가적으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디지털 도어락(100)의 전면부(110)의 구성이 크고 복잡해 져서 디지털 도어락(100)의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고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제 2 방법의 경우에는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를 슬라이딩 형식으로 제작함으로써 출입자가 단자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정확히 접촉하기 어렵고 확실히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으로 공급하는 방법들은 단순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디지털 도어락에 연결하는 데에만 주안점을 두었을 뿐,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입력된 전원으로 디지털 도어락(100)을 작동시킬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상세한 고찰을 하지 못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4.2 V 전압을 외부의 주변 기기들로 공급하고,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는 통상적으로 9 V 전압을 입력받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로 입력하기 위한 전압으로 변압해야 하고, 변압에 따라 전류가 감소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이 출입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 인증키를 접촉받아 출입자를 인증하고 모티스를 구동하여 데드 볼트(140)를 해정할 수 있을 만큼의 전류가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도어락을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의 전압을 승압하고, 승압된 전압으로 전류를 충전하여 일정 시간 동안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도록 충전 전류를 얻은 후에 충전된 전압과 전류를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 전원으로서 공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의 비상 전원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입력 전원으로 전달받아 입력 전원의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출력 전압을 갖는 출력 전원을 디지털 도어락에 공급하는 승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활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디지털 도어락(100)을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배터리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승압 및 충전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으로 공급한다.
2A는 디지털 도어락(100),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 이동통신 단말기(210) 각각을 나타낸 것이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를 전면부(110)에 구비하고 있다(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을 통해 이미 상세히 설명했으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과 같이 이동 중에도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최근에 대다수의 사람이 소지하여 휴대하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바람직한 도구로서 활용된다.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본체 케이스의 특정 부위에, 통상적으로 하단에 충전, 핸즈프리, 직렬 데이터 통신, USB 통신 및 주변 기기로의 전원 공급 등을 위한 총 24 개의 단자핀이 배치되어 있는 입출력 단자 소켓(212)을 구비한다.
그리고, 정보통신부가 표준화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가 인증한 24핀 구조에 따르면, 24 개의 단자핀 중 12번 및 19번 단자핀은 전원의 접지를 위한 접지(-) 단자로서 활용되고, 21번 및 22번 단자핀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주변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단자로서 활용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디지털 도어락(100)이나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부착되거나 장착되는 형태가 아니라 휴대용으로 제작되어 출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함께 휴대하면서 비상 시에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배터리 전원을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장치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의 내부 회로 구성과 외관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100)과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그 본체의 양단 중 일단은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입출력 단자 소켓(212)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승압 및 충전하고, 승압 및 충전된 전원 즉 전압 및 전류를 디지털 도어락(100)에 공급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의 내부 회로 구성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배터리(310)와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전원 공급 단자(170)를 함께 도시하였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입력 전원 접촉 단자(310), 승압부(320), 충전부(330) 및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를 포함한다.
입력 전원 접촉 단자(31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입출력 단자 소켓(212)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 및 접지(-)의 전력을 각각 입력 전원 단자(312) 및 입력 접지 단자(314)를 이용하여 전달받아 승압부(330)로 전달한다.
한편, 표준화된 24핀 구조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외부로 공급되는 전원은 4.2 V로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입출력 단자 소켓(212)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을 4.2 V라고 가정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승압부(320)는 입력 전압을 입력 전압 이상의 전압값을 갖는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인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와 같은 직류 컨버터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압부(320)는 입력 전원 접촉 단자(31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의 전압인 4.2 V 전압을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9 V 전압으로 승압하여 충전부(330)로 승압된 9 V 전압의 전원을 전달한다. 승압부(320)가 4.2 V 전압을 9 V 전압으로 승압하는 방법 및 그에 필요한 회로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충전부(330)는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화확 에너지로 변환하여 축적하고, 축적된 화학 에너지를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방출하는 회로를 말한다. 충전부(330)는 축전지 양단에 전원을 연결하여 일정한 전압과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여 충전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축전지의 출력 전류와 출력 전압으로 방전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330)는 승압부(320)로부터 전달된 9 V 전압과 그에 따른 전류를 저장하여 9 V의 출력 전압과 디지털 도어락(100)에서 일정 시간(5 내지 10 초) 동안 출입자를 인증하고, 데드 볼트(140)를 해정하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를 출력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3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전술한 충전과 방전 절차를 반복하여 일정 전압과 일정 전류를 일정 시간 동안 출력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본 고안에서 충전부(330)는 디지털 도어락(100)에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은 디지털 도어락(100)에서 비상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압보다 작기 때문에, 승압부(320)를 통해 승압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전압이 상승하게 되어 전류는 승압되기 전의 전류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원이 일정한 상태에서, 승압부(3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승압이 되어 커지게 되고, 전원이 제공할 수 있는 전류 제공 능력은 승압한 비율만큼 떨어지게 되어, 전류는 작아지게 된다. 작아진 전류가 디지털 도어락(100)에 그대로 전달되었을 때, 이 전류가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으로 사용되어 출입자를 인증하고, 모티스를 구동하여 데드 볼트(140)를 해정할 수 있을 만큼의 에너지를 가져야 하지만, 작아진 전류는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으로 사용하기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충전부(330)를 구비한다. 즉, 충전부(330)는 승압부(320)로부터 전달된 전원의 전류를 축적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고 모티스를 구동하여 데드 볼트(140)를 해정할 수 있을 만큼, 일정 이상의 전류를 출력한다. 충전부(330)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는 충전부(330)로부터 전달된 전원(+) 및 접지(-)를 각각 출력 전원 단자(312) 및 출력 접지 단자(314)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로 전달한다.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는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와 접촉되어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의 출력 전원 단자(312) 및 출력 접지 단자(314)로부터 전원(+) 및 접지(-)를 전달받아 디지털 도어락의 비상 전원으로 사용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충전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330)는 축전지(410), 입력 스위치(420), 출력 스위치(430), 제어부(440), 표시등(450) 및 리셋(Reset) 스위치(460)를 포함한다.
축전지(410)는 입력 스위치(420)를 통해 승압부(32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의 전류를 축적하고, 축적된 전류를 출력 스위치(430)를 통해 방출한다. 이를 위해, 축전지(410)는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 리튬이온전지 등 통상적인 2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고, 캐패시터(Capacitor)와 같이 소량의 전류를 축적하기 위한 전기 소자일 수 있다. 여기서, 2차 전지란 알칼리전지, 아연전지, 수은전지 등 재사용이 불가능한 1차 전지와 달리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는 전지를 말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간편해야 하므로 캐패시터와 같은 소형의 전기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디지털 도어락(100)의 주 전원인 건전지의 수명이 다했을 때, 디지털 도어락(100)으로 비상 전원을 공급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을 해정하고, 주전원인 건전지를 교체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이므로,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예를 들면, 5 내지 10초 동안)만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원을 공급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전지(410)는 디지털 도어락(100)을 1 회 정도 해정할 수 있도록 5 초 내지 10 초 동안 9 V 전압과 약 100 ~ 200 mA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정격의 축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스위치(420)와 출력 스위치(430)는 전기회로의 개폐나 접속상태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구로서, 계전기, 진공관, 반도체 등을 이용한 전자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스위치(420)와 출력 스위치(430)는 각각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승압부(320)와 축전지(410) 사이의 회로를 개폐하고, 축전지(410)와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 사이의 회로를 개폐한다.
제어부(440)는 미리 입력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에 따라 충전부(330)의 모든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440)는 승압부(320)와 입력 스위치(420) 사이의 전압을 감시하여 입력 스위치(420)로 전원이 인가되면 입력 스위치(420)와 출력 스위치(430)를 각각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승압부(32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축전지(410)로 인가하여 축전지(410)를 충전하고, 축전지(410)의 충전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이 완료되면 입력 스위치(420)와 출력 스위치(430)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전환하여 축전지(410)에 충전된 전원을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4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같은 연산 모듈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440)는 축전지(410)의 충전이 완료되면, 표시등(450)을 점등하고, 축전지(410)가 방전되면 표시등(450)을 소등한다. 또한, 제어부(440)는 리셋 스위치(460)로부터 리셋 신호를 수신하면, 전술한 충전 절차 즉, 입력 스위치(420)와 출력 스위치(430)를 각각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축전지(410)를 충전하고, 축전지(410)에 충전이 완료되면 표시등(450)을 점등하고, 입력 스위치(420)와 출력 스위치(430)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전환하며, 축전지(410)가 방전되면 표시등(450)을 소등하는 절차를 반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부(330)를 구비하여, 승압부(32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의 전류를 축적하여 일정 이상의 크기의 전류를 출력하게 함으로써, 승압부(320)에 의해 승압된 전원의 전류가 작아져서 디지털 도어락(100)에서 비상 전원으로 활용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충전부(330)에서 충전하는 데에 필요한 일정 시간의 충전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전원을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으로 바로 사용하지 못하므로, 충전이 완료되어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표시등(450)을 구비하여 출입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출입자가 충전한 전원을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 동안 디지털 도어락(100)을 해정하지 못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리셋 스위치(460)를 구비하여, 출입자가 리셋 스위치(460)를 누르면, 충전 절차를 반복하여 재 충전함으로써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를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분리한 후 재부착하여 재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외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의 외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510), 입력측 케이스(520), 출력측 케이스(522), 입력측 캡(530), 출력측 캡(532)으로 구성된다.
본체 케이스(510)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의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케이스이다. 또한, 본체 케이스(510)의 중앙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가 인증키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인증 데이터를 내장하고, 디지털 도어락(100)의 인증키 터치부(160)와 전파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2004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RFID를 지칭하는 한글명칭으로서 “전파식별”이란 용어를 정한 바 있으므로, 본 명칭에서는 이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인증 데이터를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달함으로써 출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키(540)가 부착된다.
인증키(540)로서는 스마트 카드 또는 전파식별 태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간편한 것이 바람직하므로, 부피가 큰 스마트 카드보다는 소형의 전파식별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증키(540)와 인증키 터치부(160) 간에 전파식별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체 케이스(510)에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리셋 스위치(460)가 측면에 부착되어, 출입자는 리셋 스위치(460)를 통해 재충전할 수 있다.
입력측 케이스(520)와 출력측 케이스(522)는 각각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입출력 단자 소켓(212)과 연결되는 입력 전원 접촉 단자(310)를 보호하는 케이스와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와 연결되는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를 보호하는 케이스이다. 입력측 케이스(520)와 출력측 케이스(522) 각각은 본체 케이스(510)의 외부의 일부를 감싸고, 본체 케이스(510)의 외부와 슬라이드 구조로 연결되어 본체 케이스(510)의 중심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입력측 케이스(520)와 출력측 케이스(522) 각각이 본체 케이스(510)의 중심 방향으로 당겨지면,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입출력 단자 소켓(212)와 연결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접촉 단자(310)와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와 연결하기 위한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가 노출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입력측 케이스(520)와 출력측 케이스(522) 각각이 본체 케이스(510)의 중심 방향으로 당겨지기 전에, 입력측 캡(530)과 출력측 캡(532)가 미리 오픈되어 열려있어야 한다.
입력측 캡(530)과 출력측 캡(532)은 각각 입력측 케이스(520)와 출력측 케이스(522)와 연결되어 평상 시에 입력 전원 접촉 단자(310)와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손상되거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의 활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5A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입력측 케이스(520)와 출력측 케이스(522)를 구비하여 입력 전원 접촉 단자(310)와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를 보호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의 입렵측 캡(530)을 열고, 입력측 케이스(520)를 본체 케이스(510)의 중심 방향으로 당기면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전원 접촉 단자(310)가 외부로 노출되고, 출력측 캡(532)을 열고, 출력측 케이스(522)를 본체 케이스(510)의 중심 방향으로 당기면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가 외부로 노출된다. 출입자는 이와 같이 노출된 입력 전원 접촉 단자(310)를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입출력 단자 소켓(212)에 연결하고,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를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에 연결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 경량의 제작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액세서리 형태나 목걸이 형태로 출입자에 의해 휴대되어 필요할 때에 즉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입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를 휴대하다가 디지털 도어락(100)에 비상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의 입력측 캡(530)을 열고, 입력측 케이스(520)를 본체 케이스(510)의 중심 방향으로 당겨 입력 전원 접촉 단자(310)를 외부로 노출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입출력 단자 소켓(212)에 연결한 다음, 출력측 캡(532)을 열고, 출력측 케이스(522)를 본체 케이스(510)의 중심 방향으로 당겨 출력 전원 접촉 단자(340)를 외부로 노출한 후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 공급 단자(170)에 연결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전원을 디지털 도어락(100)의 비상 전원으로 공급한다.
또한, 출입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의 본체 케이스(510)에 부착된 표시등(450)을 통해 충전 완료 상황을 파악하고, 표시등(450)이 점등되면 디지털 도어락(100)에 연결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을 해정하고, 비밀번호를 잘 못 입력하는 등의 특정한 이유로 신속하게 디지털 도어락(100)을 해정하지 못한 경우 리셋 스위치(460)를 누름으로써 축전지(410)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출입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의 본체 케이스(510)에 부착된 인증키(540)를 디지털 도어락(100)의 인증키 터치부(160)에 가까이 하거나 터치함으로써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220)를 인증키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락에 주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 출입자가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디지털 도어락의 비상 전원으로 공급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승압하여 디지털 도어락으로 공급함에 따라 발생하는 전류의 감소로 인해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할 수 없는 문제점을 충전을 통해 극복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을 만큼의 전류를 디지털 도어락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사유로 인해 충전한 전원으로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하지 못했을 때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재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리셋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재충전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다.
또한,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소형, 경량의 액세서리 형태로 제작되어 출입자에 의해 항상 휴대될 수 있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디지털 도어락의 비상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출입을 위한 인증 매체를 구비하여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인증을 위한 수단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이 출입문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활용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충전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외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디지털 도어락 110: 전면부
120: 후면부 130: 출입문
140: 데드 볼트 150: 건전지함
152: 키 입력 버튼 160: 인증키 터치부
170: 비상 전원 공급 단자 180: 비상용 건전지
210: 이동통신 단말기 212: 입출력 단자 소켓
220: 비상 전원 공급 장치 310: 입력 전원 접촉 단자
312: 입력 전원 단자 314: 입력 접지 단자
320: 승압부 330: 충전부
340: 출력 전원 접촉 단자 342: 출력 전원 단자
344: 출력 접지 단자 410: 축전지
420: 입력 스위치 430: 출력 스위치
440: 제어부 450: 표시등
460: 리셋 스위치 510: 본체 케이스
520: 입력측 케이스 522: 입력측 캡
530: 출력측 케이스 532: 출력측 캡
540: 전파식별 태그

Claims (9)

  1.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의 비상 전원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원을 입력 전원으로 전달받아 상기 입력 전원의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전압을 갖는 출력 전원을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공급하는 승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승압부와 연결되어 상기 출력 전원을 전달받고, 상기 출력 전원의 출력 전류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일정 시간 동안 해정할 수 없는 전류인 경우에는 상기 출력 전류를 충전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일정 시간 동안 해정할 수 있는 충전 출력 전류를 갖는 충전 출력 전원을 전달하는 충전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출력 전류 및 상기 출력 전압을 갖는 상기 출력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출력 전압에서 상기 출력 전류를 충전한 후 상기 충전 출력 전류 및 상기 출력 전압을 갖는 상기 충전 출력 전원을 전달하는 축전지;
    상기 축전지와 상기 승압부 사이에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승압부의 회로를 개폐하는 입력 스위치;
    상기 축전지와 상기 디지털 도어락 사이에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디지털 도어락 사이의 회로를 개폐하는 출력 스위치; 및
    상기 출력 전압을 감시하여 상기 출력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입력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출력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축전지에 상기 출력 전류를 충전하고, 상기 축전지를 감시하여 상기 축전지에 상기 충전 출력 전류가 충전되면, 상기 입력 스위치를 상기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출력측 스위치를 상기 온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충전 출력 전원을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축전지에 상기 충전 출력 전류가 충전되면 점등하는 표시등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를 감시하여 상기 충전 출력 전류가 충전되면 상기 표시등으로 하여금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출입자에 의해 눌려지면 리셋(Reset) 신호를 전달하는 리셋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셋 스위치로부터 상기 리셋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축전지, 상기 입력 스위치, 상기 출력 스위치 및 상기 표시등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지를 다시 충전하고, 상기 충전 출력 전원을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 다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입력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승압부로 전달하는 입력 전원 접촉 단자; 및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연결되면 상기 충전부 또는 상기 승압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출력 전원 또는 상기 충전 출력 전원을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 전달하는 출력 전원 접촉 단자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승압부 및 상기 충전부를 보호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와 슬라이딩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전원 접촉 단자를 보호하는 입력측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와 상기 슬라이딩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출력 전원 접촉 단자를 보호하는 출력측 케이스;
    상기 입력측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측 케이스의 일단을 개폐하는 입력측 캡; 및
    상기 출력측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출력측 케이스의 일단을 개폐하는 출력측 캡
    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입력측 케이스는 상기 입력측 캡이 열린 후에 상기 본체 케이스의 중심부로 당겨지면, 상기 입력 전원 접촉 단자를 노출하고, 상기 출력측 케이스는 상기 출력측 캡이 열린 후에 상기 본체 케이스의 중심부로 당겨지면, 상기 출력 전원 접촉 단자를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출입자의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출입자를 인증하는 인증키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인증키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세서리 형태로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KR20-2005-0024565U 2005-08-25 2005-08-25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KR200402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565U KR200402152Y1 (ko) 2005-08-25 2005-08-25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565U KR200402152Y1 (ko) 2005-08-25 2005-08-25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152Y1 true KR200402152Y1 (ko) 2005-11-28

Family

ID=4370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565U KR200402152Y1 (ko) 2005-08-25 2005-08-25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15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36B1 (ko) 2006-01-05 2007-04-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용량 캐패시터를 구비한 전자식 도어록
KR100977611B1 (ko) 2007-05-02 2010-08-23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KR101491570B1 (ko) * 2013-06-21 2015-02-11 주식회사 아이레보 비상 전원 공급장치를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
CN109493500A (zh) * 2019-01-07 2019-03-19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使用应急电源复位mcu控制器的智能锁
KR20200082241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시설물의 출입구 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KR102182227B1 (ko) 2019-05-30 2020-11-24 (주) 솔리티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36B1 (ko) 2006-01-05 2007-04-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용량 캐패시터를 구비한 전자식 도어록
KR100977611B1 (ko) 2007-05-02 2010-08-23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KR101491570B1 (ko) * 2013-06-21 2015-02-11 주식회사 아이레보 비상 전원 공급장치를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
KR20200082241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시설물의 출입구 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KR102173051B1 (ko) * 2018-12-28 2020-11-02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시설물의 출입구 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CN109493500A (zh) * 2019-01-07 2019-03-19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使用应急电源复位mcu控制器的智能锁
KR102182227B1 (ko) 2019-05-30 2020-11-24 (주) 솔리티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215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US11080951B2 (en) Contactless electronic access control system
US20030141840A1 (en) Recharging system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US9592736B2 (en) Controlling a locking device of an electric charging port
JP4558723B2 (ja) 自動車のための電子的に作動可能なロック装置
US20090108802A1 (en)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automatic winding mechanism
KR20180079564A (ko) 무선전력전송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US9725925B1 (en) Door lock using a power supply of a mobile device as a power source
KR101757208B1 (ko) 스마트 자물쇠
KR20090127693A (ko) 무선 전원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213175195U (zh) 智能识别门锁
WO2000035114A1 (fr) Dispositif electronique de communication sans contact a source d&#39;energie auxiliaire optionnelle
JP2003184369A (ja) 電気錠の電源装置
KR100553003B1 (ko)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US20060244415A1 (en) Battery back-up for vending machine lock
CN212642366U (zh) 无源电子锁
KR102378777B1 (ko) 재충전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CN220933524U (zh) 电子门锁
JP3351992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329646Y1 (ko) 전자 도어록 장치
CN109386174A (zh) 多功能锁及智能门
CN215987144U (zh) 一种具有身份验证功能的金融数据存储装置
CN117315823A (zh) 电子门锁及电子门锁开锁方法
CN219316671U (zh) 用于内藏式柜锁的无线备用电源结构
CN112647772B (zh) 一种智能充电门锁、充电提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