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177B1 -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177B1
KR102118177B1 KR1020190139726A KR20190139726A KR102118177B1 KR 102118177 B1 KR102118177 B1 KR 102118177B1 KR 1020190139726 A KR1020190139726 A KR 1020190139726A KR 20190139726 A KR20190139726 A KR 20190139726A KR 102118177 B1 KR102118177 B1 KR 102118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et
power supply
electrod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원
배영호
김상학
Original Assignee
(주)영신에프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신에프앤에스 filed Critical (주)영신에프앤에스
Priority to KR102019013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해제수단과 잠금수단이 분리 설치되던 통상적인 도어락 장치와 달리,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명령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는 NFC나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모듈 하우징에 통합 설치하여,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얇은 캐비닛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무선 카드키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해제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개폐가 가능할 수 있게 한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BACKGROUND TYPE DOOR LOCK DEVICE FOR CABINET WITH A HIDDEN UNLOCKING MEANS}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해제수단과 잠금수단이 분리 설치되던 통상적인 도어락 장치와 달리,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명령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는 NFC나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모듈 하우징에 통합 설치하여,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얇은 캐비닛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무선 카드키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해제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개폐가 가능할 수 있게 한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번호입력이 가능한 키패드나 NFC 또는 RFID 등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는 무선 카드키로 개폐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이 활성화되면서 열쇠를 이용한 개폐장치의 대체수단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보다 안전성이 높아지고 편의성이 향상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연구 개발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디지털 도어락이 등장하고 있음에도, 사무실이나 가정에 구비되어 있는 캐비닛이나 서랍장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가구들의 경우에는 대부분 아직까지도 일반적인 열쇠를 이용하는 기계적 자물쇠 잠금 장치가 적용되고 있을 뿐, 디지털 도어락이 일반적으로 적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디지털 도어락이 주로 적용되는 출입용 도어와는 달리, 캐비닛이나 서랍장과 같은 가구류의 경우 가구 내부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일은 없고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을 수납한 후 도어 외부에서만 개폐를 제어하게 되는 이용환경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라 할 것이다.
즉, 도어의 외부와 내부 양쪽에서의 개폐 조작이 모두 가능한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을 그대로 적용할 필요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디지털 도어락을 추가하기 위해 증가하게 되는 제조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없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캐비닛이나 서랍장 등의 가구류에 디지털 도어락이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캐비닛이나 서랍장 등의 경우 열쇠를 이용하는 기계식 자물쇠 잠금 장치가 부착된 상태로 판매 및 이용됨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처럼 열쇠를 이용하여 개폐하기 위해서는 열쇠를 중요하게 보관하여야 하는데, 열쇠의 보관 및 관리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캐비닛 등의 개폐를 위해서는 열쇠를 항상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캐비닛의 잠금 개폐가 철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열쇠 등의 보관을 위한 불편함이 있어 출근 후 캐비닛을 사용하고자 일정 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열쇠를 이용하여 캐비닛을 개방한 후에는 일일이 잠그지 않고 개방해 놓은 상태로 업무를 보다가 퇴근시에만 다시 잠그는 등 사용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개폐하기 보다는 캐비닛을 개방해 놓은 상태로 장시간 업무를 보는 경우가 많으므로, 업무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중요한 물품을 보관해야 하는 캐비닛 등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형 버튼이나 터치식 키패드로 이루어진 번호 입력부가 구비된 도어락 장치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처럼 캐비닛에 번호 입력부가 구비된 도어락 장치를 설치할 경우 단순한 기계식 자물쇠 잠금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비용이 증가됨은 물론, 도어락을 개방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일일이 외우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전성을 강하게 요구하는 금고와는 달리 캐비닛 등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가구류에 도어락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보관을 위한 개폐수단으로서의 안전성과 사용상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설치를 위한 제조비용의 증가가 크지 않아야 하는 제한이 있게 된다. 따라서, 캐비닛 등의 가구류에서 기계식 자물쇠 잠금 장치를 도어락으로 대체하여 그 보급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개폐수단으로서의 안전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도어락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49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6600호
본 발명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명령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는 NFC나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모듈 하우징에 통합 설치하여,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얇은 캐비닛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무선 카드키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해제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개폐가 가능할 수 있게 한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는,
무선 카드키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는 아무것도 노출되지 않고 캐비닛 도어의 후면 일측에만 설치된 상태로, 도어 전면에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와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구동이 제어되면서 바형상의 잠금 슬라이드를 좌우로 이동시켜 캐비닛 도어를 개폐하는 후면 도어락 모듈; 및 상기 후면 도어락 모듈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닛의 도어 외부에서 전기적인 접촉을 가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비상전원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후면 도어락 모듈은,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캐비닛의 내부 방향인 도어의 후면 일측에 설치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되어 있는 캐비닛의 다른 도어에 걸리도록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여 캐비닛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잠금 슬라이드;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좌우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캐비닛의 외부 방향인 도어의 전면에서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와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 및 상기 개폐 제어부에서의 근거리 무선통신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전원 공급수단은 상기 잠금 슬라이드에 직접 부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슬라이드 전극부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전극부는,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부; 및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전극부는,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전극부;가 더 포함되어, 상기 개폐 제어부를 리셋할 수 있는 리셋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상전원 공급수단은, 상기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플렉서블 필름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도어 전극부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 전극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면을 감싸면서 도어 외부에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플렉서블 필름;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부;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상면에서 상기 제1전극부와는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어 전극부는,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상면에서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 모두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전극부;가 더 포함되어, 상기 개폐 제어부를 리셋할 수 있는 리셋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상전원 공급수단은, 손잡이를 분리한 후 노출되는 도어의 손잡이 내측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손잡이 전극부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 전극부는, 캐비닛 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의 결합구 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부; 및 상기 손잡이의 결합구 후면에서 상기 제1전극부와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 전극부는, 상기 손잡이 결합구의 후면에서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 모두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전극부;가 더 포함되어, 상기 개폐 제어부를 리셋할 수 있는 리셋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얇은 캐비닛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무선 카드키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해제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도어락 장치를 개폐를 가능하여, 부품의 감소에 따른 제조비용 절감과 아울러 해제수단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해제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캐비닛 도어를 통해 부분적으로만 노출되는 비상전원 공급수단에 의해 배터리 방전시 비상전원의 공급이 가능함은 물론, 개폐 제어부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리셋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이용한 개폐도 가능하도록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번호 입력부를 필요에 따라 추가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해제수단의 노출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의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후면 도어락 모듈에 구비된 비상전원 공급수단으로서의 슬라이드 전극부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후면 도어락 모듈에 구비된 비상전원 공급수단으로서의 슬라이드 전극부를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후면 도어락 모듈에 구비된 비상전원 공급수단으로서의 도어 전극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라 손잡이부에 의해 은폐되어 있는 비상전원 공급수단으로서의 손잡이 전극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의 도어 전면부에 번호 입력부가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종래기술로서 캐비닛의 도어에 번호 입력부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었던 통상적인 캐비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의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는,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는 아무것도 노출되지 않고 캐비닛 도어의 후면 일측에만 설치된 상태로 도어 전면에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와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구동이 제어되면서 바형상의 잠금 슬라이드를 좌우로 이동시켜 캐비닛 도어를 개폐하는 후면 도어락 모듈(100)과, 상기 후면 도어락 모듈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닛의 도어 외부에서 전기적인 접촉을 가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비상전원 공급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명령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는 NFC나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모듈 하우징(110)에 통합 설치하여, 캐비닛 도어(20)의 전면에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4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얇은 캐비닛 도어(20)를 투과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무선 카드키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회로부 등의 해제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개폐가 가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출입문 등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도어락 장치의 경우, 도어의 전면인 외부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무선 카드키를 인식할 수 있는 회로부 등이 구비된 해제수단이 설치되고, 도어의 후면인 내부에는 비밀번호나 무선 카드키를 인식하였음을 도어 전면에 설치된 해제수단으로부터 전달받아 구동 모터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이러한 구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로 이루어진 잠금수단이 설치되는 등,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해제수단과 잠금수단이 분리 설치됨으로써 도어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서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게 함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통상적인 출입문이 아닌 물품 보관을 위한 캐비닛 등의 경우에는 도어의 후면인 캐비닛 내부에서는 개폐 조작이 가능하게 할 필요가 없음에도, 통상적인 도어락 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는 해제수단과 잠금수단을 모두 구비하여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하여야 하였는바, 제조비용의 절감을 꾀하기 어려웠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는, 통상적인 출입문에 비해 두께가 얇고 목재나 플라스틱 등 절연물질로 제조되는 캐비닛 등 가구의 특징을 고려하여 NFC나 RFID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캐비닛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해제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개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어락 장치의 개폐 편의성을 유지하면서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의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후면 도어락 모듈(100)은,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캐비닛의 내부 방향인 도어의 후면 일측에 설치되는 모듈 하우징(110)과,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되어 있는 캐비닛의 다른 도어에 걸리도록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여 캐비닛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잠금 슬라이드(120)와,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좌우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0)와, 상기 캐비닛의 외부 방향인 도어의 전면에서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와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140)와, 상기 개폐 제어부에서의 근거리 무선통신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후면 도어락 모듈(100)은, 외부에서 접근하게 되는 무선 카드키를 인식하는 해제수단과 이러한 해제수단에서의 인식 결과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잠금수단이 캐비닛의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모듈 하우징 내부에 통합적으로 함께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캐비닛의 외부인 도어 전면에는 해제수단과 관련된 어떠한 장치도 노출되지 않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모듈 하우징(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슬라이드와 구동모터와 개폐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캐비닛 도어에의 결합을 위한 볼트 등의 결합수단이 구비되어야 함은 통상적인 도어락 장치와 동일한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적인 캐비닛(10) 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쌍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며, 이처럼 쌍여닫이문을 잠그기 위해서는 한쪽 문을 캐비닛 본체에 고정시키고 나머지 문에 기계식 잠금장치 또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설치하여 잠금 슬라이드와 같은 수단이 고정되어 있는 문에 걸리게 하곤 한다.
그에 따라, 상기 모듈 하우징의 경우에도 별도의 브라켓을 고정되어 있는 도어의 후면에 설치하여 잠금 슬라이드가 그러한 브라켓에 걸리게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브라켓 제조를 위한 추가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도어락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브라켓의 위치 조정 등의 번거로움이 있는바, 별도의 브라켓 없이 잠금 슬라이드가 고정된 도어의 후면에 걸려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캐비닛(10)의 한쪽 도어(20) 후면에 모듈 하우징(110)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브라켓 설치나 전면에의 해제수단 설치 없이도 도어락 장치를 캐비닛에 적용할 수 있게 되며, 이처럼 도어락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의 절감과 설치과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 슬라이드(120)는,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40)를 인식한 상기 개폐 제어부(140)의 신호로 구동되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모듈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고정되어 있는 도어 후면에 걸리거나 상기 모듈 하우징으로 다시 수납되어 도어 후면에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캐비닛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잠금 슬라이드(1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진 캐비닛의 두 도어 사이 공간을 통해 캐비닛 외부에서의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한 비상전원 공급수단(200)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비상전원 공급수단으로서의 슬라이드 전극부가 구비될 수 있는 두께와 폭을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30)는, 상기 모듈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잠금 슬라이드(120)를 좌우 직선운동하게 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은 통상적인 도어락 장치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개폐 제어부에서 무선 카드키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모듈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는 건전지 등의 배터리로 구성됨도 통상적인 도어락 장치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개폐 제어부(140)는, 상기 모듈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에서 도어 전면에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4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도어를 투과하여 진행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서 무선 카드키가 인증되면 상기 구동모터(130)를 회전시켜 상기 잠금 슬라이드(120)의 좌우 이동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인 도어락 장치의 경우에는 전원공급부가 도어의 후면인 내측의 잠금수단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도어의 전면인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해제수단인 번호 입력부나 카드 인식부에서의 인식결과에 의해 잠금수단을 이루는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제어부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잠금수단 뿐만 아니라 무선 카드키를 인식할 수 있는 해제수단도 모듈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로 도어의 후면인 내측에 설치되어 있어 도어 외부에서는 잠금수단의 해제를 위한 어떠한 수단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락 장치를 개폐하기 위한 해제수단이 도어의 외부에서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더라도, 해당 캐비닛을 사용하여 물품이나 문서를 보관하는 소수의 사용자들은 도어의 후면에 모듈 하우징이 설치된 위치를 기억하고 있는바, 모듈 하우징이 설치된 위치의 도어 전면에 무선 카드키 등을 접촉시키는데 어려움을 겪지는 않게 될 것이다.
이처럼 상기 개폐 제어부를 도어의 후면에 설치하여 무선 카드키의 인식이 도어를 투과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은, 목재나 플라스틱 등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면서도 도어의 두께가 수밀리미터에 불과한 캐비닛의 특성 때문이라 할 것이다. 즉, 도어락 장치가 주로 사용되는 일반 출입문의 경우 외부에서의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을 수 있는 금속이나 두꺼운 목재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그 두께도 수 센티미터에 이르게 되는바, NFC나 RFID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출입문을 투과하여 이루어지게 할 경우 무선 카드키 인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 하지만 수 밀리미터의 얇은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도어를 형성하는 캐비닛의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이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지게 하더라도 그 두께가 얇아 무선 카드키 인식의 신뢰성에 큰 저하를 초래하지 않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든 잠금수단과 해제수단을 도어의 후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개폐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모든 해제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의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에도 도어 외부에서는 도어락 장치의 개폐 또는 리셋을 위한 접근이나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캐비닛의 도어 외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개폐 제어부에 리셋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인 접촉을 가할 수 있게 한 비상전원 공급수단(20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비상전원 공급수단(200)은, 쌍여닫이문의 구조를 이루는 캐비닛 도어의 특성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같이 두 개의 도어 사이 공간으로 노출되는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전극부(210)로 구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상기 후면 도어락 모듈이 설치된 도어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어 도어 외부에서의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한 도어 전극부(220)로 구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제3실시예와 같이 캐비닛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가 손잡이를 제거하면 노출될 수 있도록 손잡이의 결합구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 전극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비상전원 공급수단(200)은,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부(211)와,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부(212)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전극부(2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전극부(210)는,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전극부(213)를 더 포함함으로써, 비상전원 공급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 제어부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 제어부를 리셋할 수 있는 리셋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전극부(211)와 제2전극부(212)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개폐 제어부를 포함한 도어락 장치의 리셋 신호를 인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전극부(211)와 제3전극부(213)에 전원을 인가하여 오류 수정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 전극부(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상면과 하면 및 전면에 각각 접합 또는 증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된 금속전극이 유연한 연결선에 의해 전원공급부(15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에 부여되는 전기적인 극성을 달리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반적으로 캐비닛의 도어는 2㎜ 이상의 틈을 갖는 쌍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지며, 캐비닛의 도어를 잠근 상태에서는 상기 모듈 하우징에서 다른 도어의 후면에 이르기까지 인출되어 있는바, 두 개의 도어 사이 공간을 통해 잠금 슬라이드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있거나, 고정되어 있지 않은 도어를 잡아당길 경우 일정한 유격이 있어 앞으로 당겨지면서 두 개의 도어 사이 공간을 통하여 잠금 슬라이드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이처럼 쌍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도어 사이 공간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상기 슬라이드 전극부에 배터리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비상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개폐 제어부 및 구동모터를 일시적으로 활성화시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거나, 리셋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개폐 제어부 및 구동모터의 오류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비상전원 공급수단(200)은, 상기 도어의 일측면을 감싸면서 도어 외부에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플렉서블 필름(225)과,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부(221)와,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상면에서 상기 제1전극부와는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부(222)를 포함하는 도어 전극부(2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 전극부(220)는,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상면에서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 모두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전극부(223)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개폐 제어부를 리셋할 수 있는 리셋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 전극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일측면에 부착된 상태로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어 제1 내지 제3전극부가 외부에서의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바, 비상전원 공급과 리셋 신호의 입력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전극부(221)와 제2전극부(222)를 통하여 외부에서 비상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전극부(221)와 제3전극부(223)에 전원을 인가하여 외부에서 리셋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됨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러한 상기 도어 전극부의 경우에도, 약 2㎜ 내외의 틈을 갖는 쌍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지는 캐비닛 도어의 특성상 도어를 반복적으로 열거나 닫더라도, 도어의 일측면에 부착된 플렉서블 필름과 제1 내지 제3전극부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비상전원 공급수단(200)은, 캐비닛 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의 결합구(30) 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부와, 상기 손잡이의 결합구 후면에서 상기 제1전극부와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전극부(2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전극부는, 상기 손잡이 결합구의 후면에서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 모두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전극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개폐 제어부를 리셋할 수 있는 리셋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캐비닛에는 쌍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진 도어를 잡아당기며 열 수 있도록 도어 전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손잡이는 도어에 미리 형성된 손잡이 결합구에 나사결합되거나 끼움결합되어 조립 형성되곤 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결합구(30)의 저면에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를 형성함으로써, 평소에는 손잡이가 결합되어 있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비상전원의 공급이 필요하거나 리셋 명령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손잡이를 분리하여 결합구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전극부를 노출시킴으로써 비상전원의 공급 또는 리셋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어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결합구에 손잡이 전극부를 설치할 경우, 평소에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캐비닛에 보관하고 있는 물품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비상시에 캐비닛의 파손 없이 배터리 교체나 리셋을 통한 오류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 해제수단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번호 입력부를 선택적으로 더 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번호 입력부를 도어의 전면에 설치할 경우, 통상적인 도어락 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번호 입력부와 상기 개폐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에 번호 입력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캐비닛 20 : 도어
30 : 손잡이 결합구 40 : 무선 카드키
100 : 후면 도어락 모듈 110 : 모듈하우징
120 : 잠금 슬라이드 130 : 구동모터
140 : 개폐 제어부 150 : 전원공급부
200 : 비상전원 공급수단 210 : 슬라이드 전극부
211 : 제1전극부 212 : 제2전극부
213 : 제3전극부 220 : 도어 전극부
221 : 제1전극부 222 : 제2전극부
223 : 제3전극부 225 : 플렉서블 필름
230 : 손잡이 전극부
300 : 번호 입력부

Claims (8)

  1. 무선 카드키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캐비닛 도어의 전면에는 아무것도 노출되지 않고 캐비닛 도어의 후면 일측에만 설치된 상태로, 도어 전면에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와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구동이 제어되면서 바형상의 잠금 슬라이드를 좌우로 이동시켜 캐비닛 도어를 개폐하는 후면 도어락 모듈; 및
    상기 후면 도어락 모듈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닛의 도어 외부에서 전기적인 접촉을 가할 수 있도록 쌍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캐비닛 도어 사이 공간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잠금 슬라이드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전원 공급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 도어락 모듈은,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캐비닛의 내부 방향인 도어의 후면 일측에 설치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되어 있는 캐비닛의 다른 도어에 걸리도록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여 캐비닛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잠금 슬라이드;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좌우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캐비닛의 외부 방향인 도어의 전면에서 접근하는 무선 카드키와 도어를 투과하여 이루어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 및
    상기 개폐 제어부에서의 근거리 무선통신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전원 공급수단은 상기 잠금 슬라이드에 직접 부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슬라이드 전극부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전극부는,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부; 및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여 비상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슬라이드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전극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개폐 제어부를 리셋할 수 있는 리셋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39726A 2019-11-04 2019-11-04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KR102118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726A KR102118177B1 (ko) 2019-11-04 2019-11-04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726A KR102118177B1 (ko) 2019-11-04 2019-11-04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177B1 true KR102118177B1 (ko) 2020-06-02

Family

ID=7109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726A KR102118177B1 (ko) 2019-11-04 2019-11-04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17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687Y1 (ko) * 2003-04-02 2003-07-02 구홍식 전자식 도어록
KR20040019156A (ko) * 2002-08-26 2004-03-05 블루솔텍(주) 리셋 수단을 포함하는 도어 잠금 장치
KR20050077638A (ko) * 2004-01-30 2005-08-03 주식회사 유럽전자 연성 회로기판 형식의 스마트카드 감지부가 마련된비접촉식 도어개폐장치
KR20080065513A (ko) * 2007-05-02 2008-07-14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KR20140121610A (ko) * 2013-04-08 2014-10-16 박영환 외부 노출방지용 디지털 잠금장치
KR101504992B1 (ko) 2014-02-26 2015-03-23 김기동 가구용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966600B1 (ko) 2018-11-02 2019-04-05 김길수 디지털 도어락
KR20190001436U (ko) * 2017-12-07 2019-06-17 박종호 도어락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156A (ko) * 2002-08-26 2004-03-05 블루솔텍(주) 리셋 수단을 포함하는 도어 잠금 장치
KR200318687Y1 (ko) * 2003-04-02 2003-07-02 구홍식 전자식 도어록
KR20050077638A (ko) * 2004-01-30 2005-08-03 주식회사 유럽전자 연성 회로기판 형식의 스마트카드 감지부가 마련된비접촉식 도어개폐장치
KR20080065513A (ko) * 2007-05-02 2008-07-14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KR20140121610A (ko) * 2013-04-08 2014-10-16 박영환 외부 노출방지용 디지털 잠금장치
KR101504992B1 (ko) 2014-02-26 2015-03-23 김기동 가구용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20190001436U (ko) * 2017-12-07 2019-06-17 박종호 도어락 장치
KR101966600B1 (ko) 2018-11-02 2019-04-05 김길수 디지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RU2145378C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BR112015010999B1 (pt) Sistema de porta
US9551168B2 (en) Furniture embedded locking device
TWI598495B (zh) Access control device that allows electronic and mechanical unlocking
CN107355139B (zh) 电子锁及应用其的门禁系统
KR102118177B1 (ko)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KR100977805B1 (ko) 도어 금고 가구 종합 제어 지문 인식 장치
KR102133349B1 (ko) 도어형과 서랍형 수납장에 모두 적용 가능한 도어락 장치
KR101898814B1 (ko) 도어 개폐용 도어록
KR102133350B1 (ko) 돌출형 손잡이가 구비된 디지털 잠금장치
CN109267854B (zh) 一种抽屉柜微型电子锁
KR200311370Y1 (ko) 전자식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 록킹 장치
CN206477732U (zh) 床头柜式保险箱
KR20180008973A (ko) 차량용 트레이 장치
TWM534768U (zh) 允許電子與機械方式解鎖的門禁裝置
KR100788853B1 (ko) 내장형 금고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KR200451117Y1 (ko) 사물함용 도어록
KR20110005371U (ko) 사생활 보호를 위한 대여 금고
CN106320892B (zh) 床头柜式保险箱
CN109236066A (zh) 一种带有自闭功能的锁具
KR102179650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US20240125146A1 (en) Door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ically driven drive assembly of the door lock
KR100418212B1 (ko) 도어록의 열쇠구멍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