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600B1 -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600B1
KR101966600B1 KR1020180133484A KR20180133484A KR101966600B1 KR 101966600 B1 KR101966600 B1 KR 101966600B1 KR 1020180133484 A KR1020180133484 A KR 1020180133484A KR 20180133484 A KR20180133484 A KR 20180133484A KR 101966600 B1 KR101966600 B1 KR 101966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ead bolt
door lock
bracke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김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수 filed Critical 김길수
Priority to KR102018013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600B1/ko
Priority to PCT/KR2019/005517 priority patent/WO2020091169A1/ko
Priority to US17/079,766 priority patent/US2021004077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9Feeding by transfer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에 형성되어 전기신호에 의해 데드볼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데드볼트가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브라켓 내부의 전원기판과 접촉시 외부의 상시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고, 상기 데드볼트가 본체로 인입되어 상기 전원기판과 비접촉시 1차전지 또는 2차전지 형태의 내부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어댑터 방식으로 연결되는 외부전원을 데드볼트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드볼트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홈 도어락 시스템은 댁 내에 출입하는 방문자를 제한하기 위한 잠금 장치로서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종래에는 단순히 열쇠, 혹은 비밀번호를 이용한 홈 도어락 시스템이 일반적이었으나 고장 및 보안성이 취약하여 네트워크로 통합관리되는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상에서 홈 도어락 시스템을 구현할 경우 대규모 주택 단지와 같은 시설에서 통합 관리하기가 매우 유용하다.
최근에는 도어락에 대한 원격제어에 대한 기술이 활발해지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9811호는 "원격으로 개폐 제어가 가능한 홈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댁(Home)에 방문자가 있을 경우 집 주인이 홈 도어락 시스템에 기 등록된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홈 도어락 시스템의 잠금 설정을 해제하여 방문자가 댁에 출입할 수 있도록 원격으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도어락으로 전력 소모가 크고,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어와 도어틀 자체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설치 및 관리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어댑터 방식으로 연결되는 외부전원을 데드볼트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어틀에 설치되는 브라켓의 설치방향에 따라 전원단자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다양한 도어틀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생활정보를 수집하여 알림하여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잠금화면을 원격에서 가변시킬 수 있어 보완을 강화시킬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에 형성되어 전기신호에 의해 데드볼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데드볼트가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브라켓 내부의 전원기판과 접촉시 외부의 상시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고, 상기 데드볼트가 본체로 인입되어 상기 전원기판과 비접촉시 1차전지 또는 2차전지 형태의 내부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제1 측면에 상기 데드볼트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과 수직방향인 제2 측면에 상기 데드볼트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전원기판이 상기 제1 삽입구와 대향하도록 안착되는 제1 안착홈과, 상기 전원기판이 상기 제2 삽입구와 대향하도록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제1 측면에 상기 데드볼트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과 수직방향인 제2 측면에 상기 데드볼트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전원기판이 상기 제1 삽입구와 대향하도록 안착되는 제1 안착홈과, 상기 전원기판이 상기 제2 삽입구와 대향하도록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날씨정보, 기상정보, 교통정보 및 일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활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근접시 상기 생활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실내 또는 실외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내 또는 실외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댑터 방식으로 연결되는 외부전원을 데드볼트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어틀에 설치되는 브라켓의 설치방향에 따라 전원단자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다양한 도어틀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생활정보를 수집하여 알림하여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화면을 원격에서 가변시킬 수 있어 보완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에서 데드볼트의 전진 및 후퇴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브라켓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결되는 브라켓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중 표시부를 통해 잠금화면 및 생활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중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중 표시부를 통해 제공되는 생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10), 도어틀(11), 브라켓(20), 어댑터(30) 및 디지털 도어락(100)을 포함한다. 도어(10)는 금속재, 목재 등의 여닫이 문으로 힌지 구조로 도어틀(11)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동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폴딩 방식, 슬라이딩 방식도 가능하다. 도어(10)에는 디지털 도어락(100)과 별도의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틀(11)은 도어(10)의 외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브라켓(20)이 설치된다. 도어틀(11)은 도어(10)와 나란하게 형성되거나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어틀(11)이 도어(10)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어틀(11)의 외측면에 브라켓(20)이 설치되고, 도어틀(11)이 도어(10)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어틀(11)의 내측면에 브라켓(20)이 설치된다.
브라켓(20)은 디지털 도어락(100)의 데드볼트(111)가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브라켓(20)은 2가지 방향으로 도어틀(11)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0)은 도어락(100)의 데드볼트(111)가 인출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도어틀(11)에 설치되거나, 데드볼트(111)가 인출되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도어틀(11)에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20) 내부에는 전원기판(31)이 형성되어 외부의 상시전원을 데드볼트(111)를 통해 공급할 수 있다.
어댑터(30)는 브라켓(20)에 삽입된 전원기판(31)과 착탈식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상시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어댑터(30)는 브라켓(20) 내부의 전원기판(31)과 접속하여 데드볼트(111)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어댑터(30)는 전원기판(31)과 착탈방식으로 접속하여 별도로 도어(10)나 도어틀(11)의 내부에 배선을 하지 않고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전원기판(31)은 무선방식으로 데드볼트(111)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데드볼트(111)의 외주면을 따라 무선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도어(10)를 관통하여 양측에 형성된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사용자 단말(40)과 통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전기신호에 의해 데드볼트(111)를 인출시켜 브라켓(20)에 삽입시킨다. 이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은 데드볼트(111)를 통해 외부의 상시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거나, 내부전원(113)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전원(113)은 1차전지 또는 2차전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외부의 사용자 단말(40)과 통신하여 원격에서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에서 데드볼트의 전진 및 후퇴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브라켓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결되는 브라켓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100)은 도어(10)의 일면에 제1 본체(101)가 형성되고, 도어(10)의 타면에 제2 본체(102)가 형성되고, 도어(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된다. 제1 본체(101)에는 구동부(110),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가 형성된다. 제2 본체(102)에는 표시부(103), 카메라(104), 통신패드(105), 인체감지센서(106)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101)에도 표시부(103), 카메라(104), 통신패드(105), 인체감지센서(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본체(101)는 실내에서 사용되며, 제2 본체(102)는 실외에서 사용된다. 제1 본체(101)는 도어(10)틀(11)에 고정된 브라켓(20)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브라켓(20)의 위치는 도어(10)틀(11)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브라켓(20)은 도어틀(11) 중 도어(10)와 대향하는 제1 측면 상에 형성되거나, 도어(10)와 수직방향의 제2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10)는 도어(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전기신호에 의해 데드볼트(111)를 이동시킨다. 구동부(110)는 전기모터(112)와 데드볼트(111)를 포함한다. 구동부(110)는 데드볼트(111)를 통해 외부의 상시전원을 공급받거나, 탈착식 배터리와 같은 내부전원(113)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전원(113)은 1차전지 또는 2차전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드볼트(111)는 일측이 직육면체 형태의 부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구동전극(111-1)이 형성된다. 데드볼트(111)는 절연성 고강도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데드볼트(111)는 전기모터(112)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한다. 데드볼트(111)가 전진시 도어틀(11)에 형성된 브라켓(20)에 삽입되어 도어(10)가 열리는 것을 차단한다. 데드볼트(111)가 후퇴시 브라켓(20)으로부터 이탈되어 제1 본체(101) 내부로 인입되어 도어(10)가 개방된다.
도 3의 (a)는 데드볼트(111)가 제1 본체(101)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내부전원(113)으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b)는 데드볼트(111)가 제1 본체(101)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브라켓(20) 내부에 삽입된 전원기판(31)과 접촉하여 외부전원으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데드볼트(111)의 또 다른 일측은 회동부(111-2)와 연결되고, 회동부(111-2)는 전기모터(112)와 연결된다. 구동부(110)는 전기신호에 의해 전기모터(112)가 회동부(111-2)를 회동시킴에 따라 데드볼트(111)를 이동시키게 된다.
도 4의 (a)는 브라켓(20)이 제1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며, (b)는 브라켓(20)이 제2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a)의 경우 도어(10)와 도어틀(11)의 평면상에 나란하게 위치한 경우이다. 이 경우 도어(10)에는 디지털 도어락(100)이 설치되고, 브라켓(20)은 도어틀(11)에 외측면인 제1 방향으로 설치된다. 브라켓(20)의 내부에는 전원기판(31)이 삽입되고, 전원기판(31)은 외부의 어댑터(30)와 연결된다. 디지털 도어락(100)의 데드볼트(111)는 제1 본체(101)부로부터 인출되어 브라켓(20) 내부로 인입하고, 전원기판(31)과 접촉하여 외부전원을 공급받는다.
(b)의 경우 도어틀(11)이 도어(10)의 평면보다 돌출되어 위치한 경우이다. 이 경우 브라켓(20)은 도어틀(11)의 내측면인 제2 방향으로 설치된다. 브라켓(20) 내부에는 전원기판(31)이 (a)의 경우와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되고, 전원기판(31)은 외부의 어댑터(30)와 연결된다. 디지털 도어락(100)의 데드볼트(111)는 제1 본체(101)부로부터 인출되어 브라켓(20) 내부로 인입하고, 전원기판(31)과 접촉하여 외부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와 같이, 도어(10)와 도어틀(11)의 위치에 따라 브라켓(20)의 설치 방향과 전원기판(31)의 삽입 위치가 가변되어 설치가 용이하다.
도 5의 (a)는 브라켓(20)의 외부를 나타내고, (b)는 브라켓(20)의 내부를 나타낸다. 브라켓(20)의 외부에는 제1 삽입구(21), 제2 삽입구(22) 및 볼트공(23)이 형성된다. 제1 삽입구(21)는 데드볼트(111)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제1 삽입구(21)는 브라켓(20)의 제1 측면에 형성되며, 브라켓(20)이 도어틀(1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데드볼트(111)가 삽입되도록 위치한다. 제2 삽입구(22)는 데드볼트(111)가 삽입되는 또 다른 구멍이다. 제2 삽입구(22)는 브라켓(20)의 제2 측면에 형성되며, 브라켓(20)이 도어틀(1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데드볼트(111)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삽입구(21)와 제2 삽입구(22)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브라켓(20)의 설치위치에 따라 데드볼트(111)가 삽입되는 방향이 달라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볼트공(23)은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볼트공(23)은 볼트가 삽입되어 브라켓(20)을 도어틀(11)에 고정시키게 한다.
브라켓(20)의 내부에는 제1 안착홈(21-1), 제2 안착홈(22-1), 제1 전선홈(24) 및 제2 전선홈(25)이 형성된다. 제1 안착홈(21-1)은 전원기판(31)이 안착되는 홈이다. 제1 안착홈(21-1)은 제1 삽입구(21)를 통해 데드볼트(111)가 삽입시 데드볼트(111)의 선단면이 전원기판(31)과 접속하도록 내부 격벽에 제1 삽입구(21)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제2 안착홈(22-1)은 전원기판(31)이 안착되는 또 다른 홈이다. 제2 안착홈(22-1)은 제2 삽입구(22)를 통해 데드볼트(111)가 삽입시 데드볼트(111)의 선단면이 전원기판(31)과 접속하도록 내부 격벽에 제2 삽입구(22)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안착홈(21-1)과 제2 안착홈(22-1)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전선홈(24)은 어댑터(30)의 전선을 고정하는 홈이다. 제1 전선홈(24)은 브라켓(2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는 브라켓(2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어댑터(30)의 전선을 배선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전선홈(25)은 브라켓(20)의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어 전선을 고정하는 또 다른 홈이다. 이에 따라, 브라켓(20)의 바닥면에는 제1 전선홈(24), 제2 전선홈(25)이 형성되어 다양한 위치로 어댑터(30) 전선의 배선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전선홈(24) 및 제2 전선홈(25)은 어댑터(30)의 전선을 고정하여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로 구현되어 도어(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부(120)는 접촉식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제1 본체(101)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감지부(120)는 도어(10)가 닫히는 경우 도어틀(11)에 접촉되며, 도어(10)가 열리는 경우 도어틀(11)과 비접촉되도록 형성된다. 감지부(120)는 도어(10)가 도어틀(11)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도어(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100)이 외부전원을 공급받는지 혹은 내부전원(113)을 공급받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또한, 감지부(120)는 적외선센서, 조도센서, 마그네틱센서 등과 같이 비접촉식 센서로 구현되어 도어(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감지부(120)는 접촉식 센서와 비접촉식 센서가 동시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촉식 센서를 통해 도어(10)의 개폐여부에 대한 제1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비접촉식 센서를 통해 도어(10)의 개폐여부에 대한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감지부(12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감지신호가 도어(10)가 열린상태이고, 제2 감지신호가 도어(10)가 닫힌상태인 경우, 혹은 그 반대인 경우와 같이 서로 다른 상태의 감지신호인 경우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회로기판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MCU(Micro Controller Unit)으로 구현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본체(101) 또는 제2 본체(102)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기신호에 의해 데드볼트(111)를 이동시켜 도어(10)의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데드볼트(111)가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도어틀(11)에 형성된 브라켓(20) 내부의 전원기판(31)과 접촉시 외부의 상시전원을 공급받도록 스위칭한다. 제어부(130)는 데드볼트(111)가 본체로 인입되어 전원기판(31)과 비접촉시 내부전원(113)을 공급받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상시전원과 내부전원(113) 간의 전원 공급원을 전환시 전기신호의 전압레벨을 시프트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이 정전 상태에 이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도어(10)가 폐쇄시 데드볼트(111)를 통해 상시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내부전원(113)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고장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를 통해 도어(10)의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0)가 폐쇄된 경우임에도 외부의 상시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고장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내부전원(113)이 충전지로 구성되는 경우 상시전원이 내부전원(113)에 충전되지 않는 경우 고장신호를 출력한다. 고장신호는 사용자 단말(40)로 전송되거나, 알람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부(120)를 통해 접촉 여부가 감지되는 제1 감지신호와, 데드볼트(111)의 구동전극(111-1)이 전원기판(31)의 전원단자와 접촉 여부가 감지되는 제2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고장신호는 사용자 단말(40)로 전송되거나, 알람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부(120)가 접촉식 센서와 비접촉식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접촉식 센서의 제1 감지신호와 비접촉식 센서의 제2 감지신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고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고장신호는 사용자 단말(40)로 전송되거나, 알람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내부전원의 잔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어(10)가 폐쇄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시전원을 이용하여 내부전원에 전기신호를 보내 잔량 상태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내부전원이 2차전지로 구현되는 경우 충방전 성능의 열화상태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2차전지 형태의 내부전원에 대한 특성전압의 특성을 파악하여 충전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2차전지 형태의 내부전원이 충전성능이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고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00)은 통신부(140) 및 소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40)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한다. 외부의 사용자 단말(4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단말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통신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40)로 도어(10)의 개폐 여부에 대한 감지신호를 출력하거나, 디지털 도어락(100) 내부전원(113)의 잔량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제1 본체(101) 또는 제2 본체(102)에 형성된 카메라(104)를 통해 실내 또는 실외의 영상을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원격에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격에서도 도어락(100)을 개폐하거나, 실내 또는 실외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소리부(150)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한다. 소리부(150)는 주파수 분석을 통해 실내 또는 실외의 사용자를 판별할 수 있다. 소리부(150)는 슬립모드로 동작하다가 일정 이상의 주파수가 감지되면 개시모드로 동작하여 주파수를 감지한다. 소리부(150)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40)로 소리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주변의 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방문자의 주파수와 비교하여 방문자정보를 식별하여 외부의 상기 사용자 단말(40) 또는 관리서버로 출력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40) 또는 관리서버에는 방문자별 음성에 대한 주파수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격에서도 방문자와 내실자에 대한 구분을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1 본체(101) 또는 제2 본체(102)에 형성된 표시부(103)를 통해 키패드입력, 패턴입력, 문답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잠금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표시부(103)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기호, 문자 등의 조합으로 된 코드가 입력되면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표시부(103)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제스처의 패턴이 입력되면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표시부(103)를 통해 문답형식의 퀴즈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그에 대한 답이 입력되면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잠금화면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잠금화면을 제공하여 타인에 의해 숄더 서핑(Shoulder surfing)에 대한 위험을 줄이고,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본체(101) 또는 제2 본체(102)에 형성된 표시부(103)를 통해 식별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03)는 터치디스플레이로 구현되어 기호, 문자, 도형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40)의 근접시 관리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랜덤하게 변경되는 식별코드를 전송받아 표시부(103)에 출력한다. 식별코드는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40)이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관리서버로부터 인증받는 경우 데드볼트(111)를 본체로 인입시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디지털 도어락(100)의 표시부(103)를 통해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거나, 지문을 인식시키지 않고도 비접촉식으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코드 관리서버에서 암호화하여 관리하며,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랜덤하게 정보가 변경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본체(101) 또는 제2 본체(102)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106)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1 본체(101) 또는 제2 본체(102)에 형성된 카메라(104)로 촬영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사용자에 대한 인체를 촬영하여 푸쉬알람 형태로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실내에 형성된 원격카메라와 통신하여 도어(10)가 오픈된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 내에 형성된 카메라(104)의 기능을 오프(off)하고, 실내의 원격카메라를 온(on)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어(10)가 열리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100)의 카메라(104)는 제대로 실내로 촬영할 수 없기 때문에 원격카메라(40)를 통해 출입자 및 실내 상황을 촬영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외부의 기상서버, 인터넷서버 등과 접속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의 표시부(103)에 기상정보, 스케줄정보 등의 생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100)에 접근하면 인체감지센서(106)를 통해 감지하여 표시부(103)를 통해 오늘의 날씨나 스케줄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외부의 교통정보 등을 연계하여 디지털 도어락(100)의 표시부(103)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40)과 통신하여 기상정보, 일정정보, 교통정보 등과 같은 공공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직접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스피커를 통해 이러한 정보들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중 표시부(103)를 통해 잠금화면 및 생활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는 표시부(103)를 통해 잠금화면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지털 도어락(100) 중 실외에 노출되는 제2 본체(102)에는 표시부(103)가 형성되고, 표시부(103)를 통해 기 설정된 잠금화면이 표출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원격에서 잠금화면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잠금화면은 키버튼입력, 패턴입력, 문답입력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화면은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랜덤하게 변경됨으로써 제3자에 쉽게 노출되지 않아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잠금해제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도어락(100)의 제2 본체(102)에는 카메라(104), 통신패드(105)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04)를 통해 실외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통신패드(105)를 통해 NFC 전자태드를 접촉시켜 도어락(100)을 해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b)는 표시부(103)를 통해 생활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표시부(103)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안심번호가 표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심번호는 시간에 따라 랜덤하게 변경되고, 외부의 방문객이 호출하였을 경우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문자가 안심번호를 통해 문자, SNS 등의 메시지를 남기면, 디지털 도어락(100)은 이를 저장하여 표시부(103)에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40)로 별도로 푸쉬 알람 등을 통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면 표시부(103)를 통해 부재중 연락을 남긴 방문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100)의 표시부(103)에는 기 설정된 광고콘텐츠가 노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콘텐츠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변경된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주변에 사람이 접근하면 해당 광고콘텐츠를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광고콘텐츠는 표시부(103)와 스피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락(100)을 해제시키려 시도하는 경우 광고콘텐츠가 먼저 노출되고, 도어락(100)을 해제시키면 기 설정된 포인트가 사용자 단말(40)의 계정으로 적립된다.
도 7은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중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은 외부의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실내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자체적으로 카메라(104)를 포함하고, 데드볼트(111)가 브라켓(20)에 접속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되면 실내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획득한 영상을 외부의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의 잠금이 해제되어 데드볼트(111)가 브라켓(20)으로부터 이탈되면 디지털 도어락(100)의 카메라(104)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이 경우, 외부의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실내의 영상을 촬영된다. 사용자 단말(40)은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 외에 IP 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되어 카메라(104)가 실내를 제대로 촬영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개인 휴대용 단말이나 IP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를 촬영함으로써 연속 촬영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중 표시부를 통해 제공되는 생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표시부에는 생활정보(800), 광고컨텐츠(801), 잠금인터페이스(80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다. 생활정보(800)는 전력사용량, 전기요금, 포인트, 충전상태 등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생활정보(800)에는 일기예보, 메모, 스케줄 등이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생활정보(800)는 디지털 도어락이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업데이트되는 것이 가능하다.
광고컨텐츠(801)는 미리 저정되거나 외부의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광고컨텐츠(801)는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의 업체의 광고를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출력한다. 이는 디지털 도어락을 광고판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자 계정으로 광고콘텐츠 노출에 따른 소정의 수수료가 정산되어 보상할 수 있다. 광고콘텐츠는 영상, 음성 등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광고콘텐츠는 인체가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노출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잠금인터페이스(802)는 터치 입력을 통해 잠금화면을 해제시킨다. 잠금화면에는 생활정보(800)나 광고콘텐츠가 1차로 형성되고, 잠금화면을 해제시키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추가 인터페이스가 노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잠금인터페이스(802)를 해제시키면 사용자의 계정으로 기 설정된 포인트를 누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잠금화면 상에 광고콘텐츠를 확인한 것에 대한 보상이다. 이에 따라, 잠금화면을 통해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정의 수수료를 보상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 비용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도어 11 : 도어틀
20 : 브라켓 21 : 제1 삽입구
21-1 : 제1 안착홈 22 : 제2 삽입구
22-1 : 제2 안착홈 23 : 볼트공
24 : 제1 전선홈 25 : 제2 전선홈
30 : 어댑터 31 : 전원기판
40 : 사용자 단말
100 : 디지털 도어락 101 : 제1 본체
102 : 제2 본체 103 : 표시부
104 : 카메라 105 : 통신패드
106 : 인체감지센서
110 : 구동부 111 : 데드볼트
111-1 : 구동전극 111-2 : 회동부
112 : 전기모터 113 : 내부전원
120 : 감지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소리부
800 : 생활정보 801 : 광고컨텐츠
802 : 잠금인터페이스

Claims (5)

  1. 도어에 형성되어 전기신호에 의해 데드볼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되, 접촉식 센서를 통해 제1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비접촉식 센서를 통해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및
    상기 데드볼트가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브라켓 내부의 전원기판과 접촉시 외부의 상시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고, 상기 데드볼트가 본체로 인입되어 상기 전원기판과 비접촉시 1차전지 또는 2차전지 형태의 내부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기판은,
    상기 브라켓의 설치 방향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의 선단면과 접속하도록 설치 위치가 가변되며, 외부의 어댑터가 착탈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신호와 상기 제2 감지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장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제1 측면에 상기 데드볼트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과 수직방향인 제2 측면에 상기 데드볼트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전원기판이 상기 제1 삽입구와 대향하도록 안착되는 제1 안착홈과, 상기 전원기판이 상기 제2 삽입구와 대향하도록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이 형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폐쇄시 상기 데드볼트를 통해 상기 상시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상기 내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고장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도어락.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날씨정보, 기상정보, 교통정보 및 일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활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근접시 상기 생활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표시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도어락.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실내 또는 실외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내 또는 실외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20180133484A 2018-11-02 2018-11-02 디지털 도어락 KR101966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484A KR101966600B1 (ko) 2018-11-02 2018-11-02 디지털 도어락
PCT/KR2019/005517 WO2020091169A1 (ko) 2018-11-02 2019-05-08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서버 및 도어락 시스템
US17/079,766 US20210040772A1 (en) 2018-11-02 2020-10-26 Digital door lock, door lock control server, and door loc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484A KR101966600B1 (ko) 2018-11-02 2018-11-02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600B1 true KR101966600B1 (ko) 2019-04-05

Family

ID=6610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484A KR101966600B1 (ko) 2018-11-02 2018-11-02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6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177B1 (ko) 2019-11-04 2020-06-02 (주)영신에프앤에스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KR102133349B1 (ko) 2019-11-04 2020-07-13 (주)영신에프앤에스 도어형과 서랍형 수납장에 모두 적용 가능한 도어락 장치
KR102133350B1 (ko) 2019-11-04 2020-07-13 (주)영신에프앤에스 돌출형 손잡이가 구비된 디지털 잠금장치
KR20210049354A (ko)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메가테크 재충전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EP3819876A1 (en) * 2019-11-06 2021-05-12 Industrilås I Nässjö AB Handle arrangement with user authentication
WO2021182796A1 (ko) * 2020-03-10 2021-09-16 (주)포인트엔지니어링 터치 센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129Y1 (ko) * 2002-02-09 2002-05-21 이철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JP3131650U (ja) * 2007-02-27 2007-05-17 Uro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トライク
JP2009191581A (ja) * 2008-02-18 2009-08-27 Miwa Lock Co Ltd 電気錠システム
KR101559682B1 (ko) * 2014-10-07 2015-10-19 조동수 실내,외 감시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20180074434A (ko) * 2016-12-23 2018-07-0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홍채인식을 이용한 감성도어락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129Y1 (ko) * 2002-02-09 2002-05-21 이철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JP3131650U (ja) * 2007-02-27 2007-05-17 Uro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トライク
JP2009191581A (ja) * 2008-02-18 2009-08-27 Miwa Lock Co Ltd 電気錠システム
KR101559682B1 (ko) * 2014-10-07 2015-10-19 조동수 실내,외 감시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20180074434A (ko) * 2016-12-23 2018-07-0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홍채인식을 이용한 감성도어락 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354A (ko)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메가테크 재충전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KR102118177B1 (ko) 2019-11-04 2020-06-02 (주)영신에프앤에스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KR102133349B1 (ko) 2019-11-04 2020-07-13 (주)영신에프앤에스 도어형과 서랍형 수납장에 모두 적용 가능한 도어락 장치
KR102133350B1 (ko) 2019-11-04 2020-07-13 (주)영신에프앤에스 돌출형 손잡이가 구비된 디지털 잠금장치
EP3819876A1 (en) * 2019-11-06 2021-05-12 Industrilås I Nässjö AB Handle arrangement with user authentication
WO2021089696A1 (en) * 2019-11-06 2021-05-14 Industrilås I Nässjö Aktiebolag Handle arrangement with user authentication
CN114868160A (zh) * 2019-11-06 2022-08-05 奈舍工业有限公司 具有用户身份验证的把手装置
WO2021182796A1 (ko) * 2020-03-10 2021-09-16 (주)포인트엔지니어링 터치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600B1 (ko) 디지털 도어락
CN103280009B (zh) 一种多功能门禁装置
CN203366408U (zh) 一种基于fpga控制芯片功能应用的多功能门禁
CN204926231U (zh) 一种门禁及门禁系统
US20020183031A1 (en) Wireless call system
WO2007126299A1 (en) Multi digital door
US20210259449A1 (en) Multifunction urban locker
CN204595972U (zh) 一种可共享信息的互联网家居卫士信息服务系统
KR20210025909A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4916016A (zh) 入口智能门禁系统
JP5074857B2 (ja) 電気錠システム
US20210040772A1 (en) Digital door lock, door lock control server, and door lock system
KR20160128644A (ko) 디지털도어락 원격제어장치
KR101528526B1 (ko) 출입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CN213365596U (zh) 一种楼宇对讲主机
KR20200079403A (ko)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CN106437311A (zh) 一种电器智能控制单元的实现方法及其门锁控制系统
KR20120045668A (ko) 외부전원연결 또는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CN105678869A (zh) 门禁智能控制器、门禁智能控制系统及其门禁开启方法
CN208705963U (zh) 一种智能安防门禁装置
US10037637B1 (en) Security system
CN205670316U (zh) 一种室内智能门禁设备
KR20170015955A (ko) 사용자 콜백에 의한 2차인증수행 디지털 도어락
US20230186701A1 (en) Connected lock system
CN106548424B (zh) 一种灯具智能控制单元的实现方法及其门锁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