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814B1 - 도어 개폐용 도어록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814B1
KR101898814B1 KR1020170114417A KR20170114417A KR101898814B1 KR 101898814 B1 KR101898814 B1 KR 101898814B1 KR 1020170114417 A KR1020170114417 A KR 1020170114417A KR 20170114417 A KR20170114417 A KR 20170114417A KR 101898814 B1 KR101898814 B1 KR 101898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indle
thickness
plat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목
Original Assignee
백창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창목 filed Critical 백창목
Priority to KR102017011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 E05B63/00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for different door thickn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D) 상에 결합되어 도어(D)의 개폐를 시행하게 시건장치(1)가 내장된 도어(D) 개폐용 도어록에 있어서: 파지가 가능한 내, 외부레버(11)(21)와 각축(2)이 삽설되는 동체(12)를 구비하는 내, 외부손잡이(10)(20); 상기 내, 외부손잡이(10)(20) 상에 장착되어 내부에 스프링(4)에 의해 회전과 복원을 시행하는 플레이트(31)(41)를 구비하는 커버부(30)(40); 및 상기 커버부(30)(40)의 플레이트(31)(41) 상에 도어(D)의 두께(A)(B)에 따라 내, 외부손잡이(10)(20)를 삽설 장착하여 내, 외부손잡이(10)(20)의 회전을 통해 록케이스(3)의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스핀들(51)을 갖되, 스핀들(51)은 플레이트(31)(41)에 형성된 요홈(52)에 각각 대응되게 삽설하도록 분리형으로 형성되면서 도어(D)의 두께(A)(B)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는 조절수단(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한 두께로 형성된 도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내, 외부손잡이를 서로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도어의 두께에 상관없이 효율적 작업이 가능함으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도어록{Door Lock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두께로 형성된 도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내, 외부손잡이를 서로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도어의 두께에 상관없이 효율적 작업이 가능함으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도어 개폐용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록(Door Lock)은 외부 침입자가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보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도어록은 다양한 도어(door) 상에 장착되어 사용되어야 하는데 예전에는 도어의 두께가 비슷하게 형성되어 일반적인 두께인 3.5∼4.5cm 가량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어의 경우 다양한 스타일과 다양한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내, 외부손잡이를 시건장치에 장착 시 두께가 너무 두꺼워 장착이 되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경우 작업이 되지 않아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일반적인 두께의 도어 만을 기준으로 형성된 내, 외부손잡이가 많기 때문에 작업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였다.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4580호에 따르면, ‘도어의 내, 외측에 각각 장착되는 손잡이를 가지며, 이들 손잡이 조작에 의해 작동유닛의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있는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 및 해지 기능을 수행하는 통상의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내측 손잡이(20a)의 선단에 스핀들(24a)이 일체형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이 스핀들(24a)의 몸체 일측에는 내경부측으로 절곡 성형된 걸림턱(26)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스핀들(24A)의 내경부에는 걸림턱(26)에 연계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동하는 록킹허브(29)가 장착되어 샤프트(25)를 조작시키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44B)를 잠그거나 해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록 장치는 스핀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두꺼운 도어에는 장착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529300호에 따르면, ‘도어의 외측 일면에 장착되는 외부하우징(100); 외부하우징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되어 도어의 내측 일면에 장착되는 내부하우징(200); 내·외부하우징으로 각각 인입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210,110); 레버의 각단부에서 끼움 결합되는 스핀들(400); 스핀들을 수단으로 내·외부하우징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랫치(300);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하우징(100)과 결합되는 레버(110)는 키박스(120)의 장착을 위하여 직선 타입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내부하우징(200)과 결합되는 레버(210)에는 스핀들(400)의 단부를 인입 수용한 상태에서 해당 레버(2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거나 함몰 형성되어 인위적인 조작에 기인한 도어의 개폐를 유도할 수 있도록 잠금수단(250)이 더 구성되는 판넬용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200)과 상호 결합되는 레버(210)는 외부하우징(100)과 상호 결합되는 레버(110)에 비해 측 방향으로의 돌출 범위가 협소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핀들(400)은 스핀들홀더(195) 상에 맞물려 개재되는 지지부(41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410)는 중공의 내부 공간으로 형성하여 키박스(120)와 끼움 체결되는 조작부(411); 및 잠금수단(250)으로의 끼움 체결이 유도되는 진입부(412);를 양단에 각각 돌출 연장되고, 상기 잠금수단(250)과 키박스(120)는 잠금수단과 결부된 진입부(412)와 키박스에 결부된 조작부(411)의 개별 조작에 기인하여 양방향으로의 개폐 행위가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판넬용 도어록.’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판넬용 도어록 역시도 스핀들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두꺼운 도어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4580호 “도어록 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529300호 “판넬용 도어록”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두께로 형성된 도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내, 외부손잡이를 서로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도어의 두께에 상관없이 효율적 작업이 가능함으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도어 개폐용 도어록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 상에 결합되어 도어의 개폐를 시행하게 시건장치가 내장된 도어 개폐용 도어록에 있어서: 파지가 가능한 내, 외부레버와 각축이 삽설되는 동체를 구비하는 내, 외부손잡이; 상기 내, 외부손잡이 상에 장착되어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회전과 복원을 시행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플레이트 상에 도어의 두께에 따라 내, 외부손잡이를 삽설 장착하여 내, 외부손잡이의 회전을 통해 록케이스의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스핀들을 갖되, 스핀들은 플레이트에 형성된 요홈에 각각 대응되게 삽설하도록 분리형으로 형성되면서 도어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두께로 형성된 도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내, 외부손잡이를 서로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도어의 두께에 상관없이 효율적 작업이 가능함으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도어록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도어록의 장착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도어록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도어록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도어록의 장착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도어록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어(D) 상에 결합되어 도어(D)의 개폐를 시행하게 시건장치(1)가 내장된 도어(D) 개폐용 도어록에 관련되며, 내, 외부손잡이(10)(20), 커버부(30)(40), 조절수단(5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시건장치(1)는 손잡이(10)가 각축(2)을 수용한 상태로 커버부(20) 상에 삽설하여 작동을 시행하는 록케이스(3)와의 구성은 여타 도어록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 외부손잡이(10)(20)는 파지가 가능한 내, 외부레버(11)(21)와 각축(2)이 삽설되는 동체(12)를 구비한다. 내, 외부손잡이(10)(20)는 도어(D)를 중심으로 방, 건물 등의 내부와 외부 상에 각각 장착되어 동체(12)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내, 외부레버(11)(21)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내, 외부손잡이(10)(20)에는 각축(2)이 삽설되어 시건장치(1)의 록케이스(3)에 장착하게 된다. 그럼으로, 내, 외부손잡이(10)(20)의 회전 시 각축(2)에 의해 랫치(5)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 상에 도시된 내, 외부레버(11)(21)의 형태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레버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30)(40)는 상기 내, 외부손잡이(10)(20) 상에 장착되어 내부에 스프링(4)에 의해 회전과 복원을 시행하는 플레이트(31)(41)를 구비한다. 커버부(30)(40)는 상술한 내, 외부손잡이(10)(20)가 장착된 상태로 내부에 각각 플레이트(31)(41)를 삽설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플레이트(31)(41)는 록케이스(3)에 삽설된 장축(6)에 의해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술한 내, 외부손잡이(10)(20)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스프링(4)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복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50)은 상기 커버부(20)의 플레이트(31)(41) 상에 도어(D)의 두께(A)(B)에 따라 내, 외부손잡이(10)(20)를 연결하여 록케이스(3)의 작동이 가능하게 스핀들(51)을 갖는다. 조절수단(50)은 도어(D)의 두께(A)(B)에 따라 내, 외부손잡이(10)(20)를 연결할 수 있는 스핀들(51)을 구비하여 록케이스(3)를 작동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조절수단(50)은 종래에 도어(D)의 두께가 약4cm 가량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핀들(51)의 길이 또한 정해져 있었다. 하지만, 현재의 도어(D)의 두께는 다양하고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핀들(51)을 통해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럼으로, 도시된 도어(D)의 두께(A)(B)와 같이 다른 두꺼움이 형성되어도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50)의 스핀들(51)은 플레이트(31)(41)에 형성된 요홈(52)에 각각 대응되게 삽설하도록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핀들(51)의 경우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바, 각각의 플레이트(31)(41)에 형성된 요홈(52)에 삽설하여 억지끼움되어 고정되고, 하나의 스핀들(51)이 플레이트(31)(41)에 형성된 각각의 요홈(52)에 양끝이 대응되게 삽설하여 고정하게 됨으로 다양한 두께(A)(B)를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록케이스(3)가 도어(D)의 중심(C)에 위치하지 않고, 내, 외부 방향으로 가깝게 위치하여도 분리형으로 형성된 스핀들(51)로 장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스핀들(51)은 플레이트(31)(41)에 형성된 한쌍의 요홈(52) 중 어느 하나에 삽설되거나 스핀들(51)을 한쌍으로 형성하여 각각 삽설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한쌍의 요홈(52) 중 어느 하나에 삽설될 경우 외, 내부레버(11)(21)의 방향에 따라 스핀들(51)을 삽설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50)의 스핀들(51)은 도어(D)의 두께(A)(B)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절수단(50)의 경우 상술한 두께(A)(B)에 따라 정확한 길이의 스핀들(51)을 형성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정확한 길이를 통해 스핀들(51)이 제작됨에 따라 내, 외부손잡이(10)(20)의 작동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조절수단(50)의 스핀들(51)을 일반적인 도어(D)의 두께인 약 4cm에 맞게 형성하여도 대략 0.5∼1cm의 오차는 수용할 수 있지만, 더 굵은 도어(D)에는 그 두께(A)(B)에 따라 스핀들(51)의 길이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작동 상의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면 상에 도시된 두께(A)(B)의 경우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도어(D)의 두께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바, 이는 방화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도어(D)의 두께도 점차 두꺼워지는 추세이고, 방화문의 소요 또한 증가되고 있다. 그에 따른 도어록 제품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도어(D)의 두께 또한 3.5∼4.5cm가 기준이 되고 있지만, 5.0∼8.0cm의 두께 까지 형성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모든 두께의 도어(D)를 수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두께로 형성된 도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내, 외부손잡이를 서로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도어의 두께에 상관없이 효율적 작업이 가능함으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시건장치 2: 각축
3: 록케이스 4: 스프링
5: 랫치 6: 장축
10: 내부손잡이 11: 내부레버
12: 동체 20: 외부손잡이
21: 외부레버 30, 40: 커버부
31, 41: 플레이트 50: 조절수단
51: 스핀들 52: 요홈
A, B: 두께 C: 중심
D: 도어

Claims (3)

  1. 도어(D) 상에 결합되어 도어(D)의 개폐를 시행하게 시건장치(1)가 내장된 도어(D) 개폐용 도어록에 있어서:
    파지가 가능한 내, 외부레버(11)(21)와 각축(2)이 삽설되는 동체(12)를 구비하는 내, 외부손잡이(10)(20);
    상기 내, 외부손잡이(10)(20) 상에 장착되어 내부에 스프링(4)에 의해 회전과 복원을 시행하는 플레이트(31)(41)를 구비하는 커버부(30)(40); 및
    상기 커버부(30)(40)의 플레이트(31)(41) 상에 도어(D)의 두께(A)(B)에 따라 내, 외부손잡이(10)(20)를 삽설 장착하여 내, 외부손잡이(10)(20)의 회전을 통해 록케이스(3)의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스핀들(51)을 갖되, 스핀들(51)은 플레이트(31)(41)에 형성된 요홈(52)에 각각 대응되게 삽설하도록 분리형으로 형성되면서 도어(D)의 두께(A)(B)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는 조절수단(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도어록.
  2. 삭제
  3. 삭제
KR1020170114417A 2017-09-07 2017-09-07 도어 개폐용 도어록 KR101898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17A KR101898814B1 (ko) 2017-09-07 2017-09-07 도어 개폐용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17A KR101898814B1 (ko) 2017-09-07 2017-09-07 도어 개폐용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814B1 true KR101898814B1 (ko) 2018-09-13

Family

ID=6359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417A KR101898814B1 (ko) 2017-09-07 2017-09-07 도어 개폐용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596B1 (ko) * 2019-01-18 2019-11-08 동성산업 주식회사 방화도어용 도어록
KR102212881B1 (ko) 2019-11-06 2021-02-05 주식회사 에이팩 방화문용 도어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224U (ko) * 1999-03-11 2000-10-16 김대영 현관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KR20080004580A (ko) 2005-04-07 2008-01-09 하이디엄, 인크. 물질 남용 및 의존의 치료 방법
KR101529300B1 (ko) 2014-08-20 2015-06-17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판넬용 도어록
KR20170035002A (ko) * 2015-09-22 2017-03-30 백창목 방화문용 도어록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224U (ko) * 1999-03-11 2000-10-16 김대영 현관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KR20080004580A (ko) 2005-04-07 2008-01-09 하이디엄, 인크. 물질 남용 및 의존의 치료 방법
KR101529300B1 (ko) 2014-08-20 2015-06-17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판넬용 도어록
KR20170035002A (ko) * 2015-09-22 2017-03-30 백창목 방화문용 도어록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596B1 (ko) * 2019-01-18 2019-11-08 동성산업 주식회사 방화도어용 도어록
KR102212881B1 (ko) 2019-11-06 2021-02-05 주식회사 에이팩 방화문용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2814B2 (en) Door assembly for selectively interlocking opposing doors
EP2985397B1 (en) Mortise lock
KR101898814B1 (ko) 도어 개폐용 도어록
KR20160030613A (ko)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KR101404510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AU2020309101A1 (en) A lock body for a sliding door
US71979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torm door mortise lock including an integral cam
KR200469307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US11319735B1 (en) Sliding-door latch
US10329802B1 (en) Lock mechanism
US20130340492A1 (en) Locking Device And Leaves Outfitted Therewith And Leaf Installation
TW201823571A (zh) 用於可移除鎖核心的外殼
JP4344723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US10418790B2 (en) Housing
JP2017186838A (ja) 鉄道車両における乗務室出入り口の扉用錠装置
US20150300057A1 (en) Door assembly
KR101930169B1 (ko) 가로,세로 타입 겸용 도어락 장치
AU2021204207B2 (en) Multifunctional Mortice Lock
KR102131254B1 (ko) 다중 잠금구
WO2007008074A2 (en) Key exchange system
KR101852548B1 (ko) 비상용 도어 개방 용구
KR20090071341A (ko) 도어록 장치
US20210047869A1 (en) Quarter turn twist lock door latch
US812821A (en) Lock mechanism.
JP2006097361A (ja) 縦横デットボルト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