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613A -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 Google Patents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613A
KR20160030613A KR1020140119912A KR20140119912A KR20160030613A KR 20160030613 A KR20160030613 A KR 20160030613A KR 1020140119912 A KR1020140119912 A KR 1020140119912A KR 20140119912 A KR20140119912 A KR 20140119912A KR 20160030613 A KR20160030613 A KR 20160030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lock
pinion
ra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943B1 (ko
Inventor
곽금석
Original Assignee
(주)에버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버넷 filed Critical (주)에버넷
Priority to KR102014011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9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0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 방식의 도어 락 모티스와 결합되어 사용 가능한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 락은,
도어 락 아웃 바디와, 상기 아웃 바디 내측에 결합되어 모티스의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와, 상기 아웃 바디 외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핸들과, 상기 아웃 바디에 형성된 핸들 삽입홈에 삽입되는 핸들의 일측 단부 면에 형성된 장공에 일부가 삽입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가능한 쉬프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에 결합되는 피니언 회전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 좌우측에 맞물려 상기 구동축을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랙과 제2랙을 포함하고, 상기 쉬프트 부재는 상기 핸들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제1랙 혹은 제2랙으로 전달하기 위한 작동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DOOR-LOCK OF PUSH-FULL TYPE}
본 발명은 도어 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 방식의 도어 락 모티스와 결합되어 사용 가능한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인 도어 락은 내측 핸들을 회전시켜 도어의 데드볼트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핸들 방식의 일반적인 도어 락은 문이 열리는 방향과 문을 열기 위해 핸들에 가하는 힘의 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신속하고도 직관적인 작동이 어렵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등장한 방식이 푸쉬-풀 방식(push-pull type)의 도어 락이다.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에서는 단순하게 내측 핸들 혹은 외측 핸들을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잠금 해제되면서 도어가 열리는 방식이다.
이러한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역시 핸들 방식의 도어 락과 같이 도어의 내측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모티스는 외부에 설치되는 도어 락의 아웃바디와 실내에 설치되는 인바디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어의 잠금기능과 해제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핸들 방식의 도어 락은 좌수형과 우수형으로 구분된다. 도어를 보았을 때 도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경첩이 좌측에 달려 있으며, 핸들과 모티스가 도어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를 좌수형이라고 하고, 반대로 경첩이 우측에 달려 있으며 핸들과 모티스가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우수형이라고 한다. 좌수형은 왼손잡이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기 편하게 되어 있으며 우수형은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출입문을 열고 닫기 편하게 되어 있다.
좌수형과 우수형에 맞게 모티스를 설계하는 것보다 좌수형과 우수형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 가능한 모티스가 보다 효율적이기 때문에 핸들 방식의 도어 락에서는 좌우수 변경이 가능한 도어 락의 모티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좌우수 변경이 가능한 도어 락의 모티스에서는 래치볼트 작동부가 핸들과 연결되어 있어 핸들이 시계방향(우수형) 혹은 반시계 방향(좌수형)으로 회전할 경우 래치볼트가 모티스 내부로 이동하여 해정되고, 그에 따라 도어는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좌우수 변경이 가능한 도어 락의 모티스는 핸들 방식의 도어 락에 맞게 설계된 것이기에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에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므로, 핸들 방식의 도어 락 모티스를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에 사용할 수 있다면 그 효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236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08980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써, 핸들 방식의 도어 락 모티스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 방식의 도어 락 모티스의 도어 장착 방향에 상관없이 도어 락의 아웃 바디에 위치한 핸들 조작에 따라 래치볼트가 해정될 수 있는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은,
도어 락 아웃 바디와;
상기 아웃 바디 내측에 결합되어 모티스의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와;
상기 아웃 바디 외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핸들과;
상기 아웃 바디에 형성된 핸들 삽입홈에 삽입되는 핸들의 일측 단부 면에 형성된 장공에 일부가 삽입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가능한 쉬프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에 결합되는 피니언 회전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 좌우측에 맞물려 상기 구동축을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랙과 제2랙을 포함하고,
상기 쉬프트 부재는 상기 핸들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제1랙 혹은 제2랙으로 전달하기 위한 작동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구조의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은,
상기 핸들의 복원력을 만들어 주기 위해 상기 피니언 회전 구동축을 에워싸는 비틀림 스프링과,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아웃 바디에서 돌출된 고정봉과,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피니언에서 돌출된 리브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피니언 회전 구동축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웃 바디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봉들에 나사 결합되는 동력 전달부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 커버에는 상기 모티스에 형성된 홀들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봉들이 더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봉들의 일측 끝단은 상기 보호 커버에 형성된 홀들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 락 아웃 바디는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가해지는 회전력 모두에 반응하여 래치볼트가 해정되는 핸들 방식의 모티스와 결합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핸들 방식의 도어 락 모티스 활용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수형 푸쉬-풀 방식 도어 락의 모티스(10)와 아웃 바디(100) 결합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형 푸쉬-풀 방식 도어 락의 모티스(10)와 아웃 바디(100) 결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 도어 락의 아웃 바디(100) 분해 예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 도어 락의 아웃 바디(100) 동작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수형 푸쉬-풀 방식 도어 락의 모티스(10)와 아웃 바디(100)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형 푸쉬-풀 방식 도어 락의 모티스(10)와 아웃 바디(100)의 결합상태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핸들 방식의 도어 락 모티스(10)는 동일한 것으로 좌수형 도어 락과 우수형 도어 락에 공히 사용 가능한 모티스로서, 일반 핸들 방식의 도어 락 모티스 처럼 측면에 래치볼트(20)와 데드볼트(60)가 위치하며, 모티스 바디에는 후술할 동력 전달부의 피니언 회전 구동축(170)이 삽입되는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40)는 소켓이라 명하기도 하며, 모티스(10)가 도어 위치에 따라 좌수형 혹은 우수형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모티스(10)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아울러 모티스(10) 바디에는 도어 락 아웃 바디(100)의 내측에 체결되어 있는 보호 커버(210)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봉들(220)이 삽입되는 홀들(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봉 삽입 홀들(30) 역시 관통형 구조를 가진다. 결합봉(220)이 결합봉 삽입 홀들(30)에 삽입됨으로서 모티스(10)는 도어 락 아웃 바디(100)에 지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어 락의 아웃 바디(100)에 내측에는 아웃 바디(100) 내측에 결합되어 모티스(10)의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4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140,150,170)가 위치하며, 외측에는 아웃 바디(100)에 형성된 핸들 삽입홈에 삽입되어 조작에 따른 동력을 발생시키는 핸들(110)이 위치한다. 동력 전달부(140,150,170)와 핸들의 상호 구성 및 동작은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아웃 바디(100) 내측에는 후술할 피니언 회전 구동축(170)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웃 바디(100)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봉들(250)에 나사 결합되는 동력 전달부 보호 커버(210)가 위치하되, 상기 보호 커버(210)에는 모티스(10)에 형성된 홀들(3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봉들(220)이 더 형성되어 있다. 결합봉들(220)의 일측 끝단은 상기 보호 커버(210)에 형성된 홀들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 도어 락의 아웃 바디(100) 분해도를 예시한 것으로,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동력 전달부(140,150,170)와 핸들(1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는 아웃 바디(100) 내측에 결합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모티스(10)의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4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를 위해 동력 전달부는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40)에 결합되는 피니언 회전 구동축(170)을 회전시키기 위한 피니언(160)과, 상기 피니언(160) 좌우측에 맞물려 상기 구동축(170)을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랙(140)과 제2랙(1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니언(160) 기어의 상부 면에는 당겨진 핸들(110)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피니언 회전 구동축(170)을 에워싸는 비틀림 스프링(200)이 구비되며, 피니언 회전 구동축(170)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비틀림 스프링(200)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봉(190)이 아웃 바디(100) 내부 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아울러 비틀림 스프링(200)의 타단을 피니언 회전 구동축(170)과 연동시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피니언(160) 기어의 상부 면 일부에는 리브(180)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아웃 바디(100)에 형성된 핸들 삽입홈(A)에 삽입되는 핸들(110)의 일측 단부 면에는 장공(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장공(130)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어 장공(130)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가능한 쉬프트 부재(120, 125)가 구비된다.
쉬프트 부재(120,125)는 아웃 바디(100)와 회전축 결합된 핸들(110)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제1랙(140) 혹은 제2랙(150)으로 전달하기 위한 작동편(120)과, 상기 작동편(120)을 상기 제1랙(140) 혹은 제2랙(150) 하단에 위치시키기 위한 스토퍼(125)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편(120)의 일측 끝단은 상기 장공(130)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타측 끝단은 상기 제1랙(140) 혹은 제2랙(150) 하단에 위치하도록 장공(130)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스토퍼(125)는 장공(130) 내에서 직선 운동하는 작동편(120)의 이동경로 상에 돌출된 걸림돌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작동편(120)에 형성된 걸림홈에 결합됨으로써 작동편(120)을 제1랙(140) 혹은 제2랙(150) 하단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동작을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 도어 락의 아웃 바디(100) 동작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4에서는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40)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력이 전달될 때 래치볼트가 모티스 내부로 이동하는 모티스가 아웃 바디(100)에 결합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이러한 가정하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외측에 위치하는 핸들(110)을 잡아당기면, 아웃 바디(100)에 형성된 핸들 삽입홈(A)에 삽입된 핸들(110)의 일측 단부 면에 돌출된 작동편(120)은 회전축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상승한다.
이와 같이 작동편(120)이 위로 상승하면서 피니언(160) 좌측에 물려 있는 제1랙(140)의 하단부를 밀어 올림으로써 피니언(160)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160) 회전에 따라 피니언 회전 구동축(170)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피니언 회전 구동축(170)의 회전력은 도 2에 도시한 모티스(10)의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40)에 전달됨으로써, 래치볼트(20)는 모티스(10) 내부로 이동하게 되어 잠금 해제된다.
참고적으로 피니언(16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에 따라 비틀림 스프링(200) 역시 회전하게 되며, 이때 비틀림 스프링(200)의 일단은 고정봉(190)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은 피니언(160) 기어 상부 면에 돌출되어 있는 리브(18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잡아당긴 핸들(110)을 놓게 되면 비틀림 스프링(200)의 복원력에 의해 피니언(160)은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제1랙(140) 역시 하강하여 제1랙(140)의 하단부 역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아웃 바디(100)는 핸들 방식의 모티스(10)와 결합되어 핸들 조작에 따른 동력을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40)에 전달함으로써, 래치볼트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에 의해 정상적으로 잠금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40)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력이 전달될 때 래치볼트가 모티스 내부로 이동하는 모티스(10)가 아웃 바디(100)에 결합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다만, 아웃 바디(100) 설치자가 도 4와는 다르게 쉬프트 부재인 작동편(120)의 위치를 사전에 우측으로 이동시킨 것을 가정한 경우이다.
이러한 가정하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외측에 위치하는 핸들(110)을 잡아당기면, 아웃 바디(100)에 형성된 핸들 삽입홈(A)에 삽입된 핸들(110)의 일측 단부 면에 돌출된 작동편(120)은 회전축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상승한다.
이와 같이 작동편(120)이 위로 상승하면서 피니언(160) 우측에 물려 있는 제2랙(150)의 하단부를 밀어 올림으로써 피니언(160)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160) 회전에 따라 피니언 회전 구동축(170)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피니언 회전 구동축(170)의 회전력은 도 1에 도시한 모티스(10)의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40)에 전달됨으로써, 래치볼트(20)는 모티스(10) 내부로 이동하게 되어 잠금 해제된다.
참고적으로 피니언(16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에 따라 비틀림 스프링(200) 역시 회전하게 되며, 이때 비틀림 스프링(200)의 일단은 고정봉(190)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은 피니언(160) 기어 상부 면에 돌출되어 있는 리브(180)에 의해 회전한다. 따라서 잡아당긴 핸들(110)을 놓게 되면 비틀림 스프링(200)의 복원력에 의해 피니언(160)은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제2랙(150) 역시 하강하여 제2랙(150)의 하단부 역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아웃 바디(100)는 핸들 방식의 모티스(10)와 결합되어 핸들 조작에 따른 동력을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40)에 전달함으로써, 래치볼트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에 의해 정상적으로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도어 락 아웃 바디(100)는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가해지는 회전력 모두에 반응하여 래치볼트가 해정되는 핸들 방식의 모티스와 결합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핸들 방식의 도어 락 모티스 활용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도어 락 아웃 바디와, 상기 아웃 바디 내측에 결합되어 모티스의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와, 상기 아웃 바디 외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핸들과, 상기 아웃 바디에 형성된 핸들 삽입홈에 삽입되는 핸들의 일측 단부 면에 형성된 장공에 일부가 삽입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쉬프트 가능한 쉬프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래치볼트 작동부의 입력부에 결합되는 피니언 회전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 좌우측에 맞물려 상기 구동축을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랙과 제2랙을 포함하고,
    상기 쉬프트 부재는 상기 핸들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제1랙 혹은 제2랙으로 전달하기 위한 작동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부재의 장공에는 상기 작동편을 상기 제1랙 혹은 제2랙 하단에 위치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복원력을 만들어 주기 위해 상기 피니언 회전 구동축을 에워싸는 비틀림 스프링과;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아웃 바디에서 돌출된 고정봉과;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피니언에서 돌출된 리브;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회전 구동축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웃 바디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봉들에 나사 결합되는 동력 전달부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 커버에는 상기 모티스에 형성된 홀들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봉들이 더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들의 일측 끝단은 상기 보호 커버에 형성된 홀들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KR1020140119912A 2014-09-11 2014-09-11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KR101642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912A KR101642943B1 (ko) 2014-09-11 2014-09-11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912A KR101642943B1 (ko) 2014-09-11 2014-09-11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613A true KR20160030613A (ko) 2016-03-21
KR101642943B1 KR101642943B1 (ko) 2016-07-26

Family

ID=5565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912A KR101642943B1 (ko) 2014-09-11 2014-09-11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94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027B1 (ko) * 2016-03-24 2016-09-08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핸들의 풀-푸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락
KR101671408B1 (ko) * 2016-03-24 2016-11-01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CN108518128A (zh) * 2018-05-30 2018-09-11 苏州琨山智能科技有限公司 推拉锁内部转动结构
KR20180002919U (ko) * 2018-10-01 2018-10-11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CN109025492A (zh) * 2018-09-11 2018-12-18 江苏东冠五金有限公司 一种防火门锁开启机构
CN109519040A (zh) * 2018-12-28 2019-03-26 深圳市长恩实业有限公司 一种门锁
KR102062274B1 (ko) * 2018-09-07 2020-01-03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푸쉬풀식 디지털도어록
US20210207397A1 (en) * 2020-01-03 2021-07-08 Spectrum Brands, Inc. Ada door knob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364Y1 (ko) 2003-11-21 2004-02-18 주식회사 아이레보 고정핀을 이용하여 좌우수 변경이 가능한 도어락의 모티스
KR101008980B1 (ko) 2010-08-26 2011-01-17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KR101046888B1 (ko) * 2009-03-05 2011-07-06 신종주 사물함용 자물쇠
KR101320590B1 (ko) * 2012-04-06 2013-10-23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의 섬턴 위치 변경장치 및 그 변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364Y1 (ko) 2003-11-21 2004-02-18 주식회사 아이레보 고정핀을 이용하여 좌우수 변경이 가능한 도어락의 모티스
KR101046888B1 (ko) * 2009-03-05 2011-07-06 신종주 사물함용 자물쇠
KR101008980B1 (ko) 2010-08-26 2011-01-17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KR101320590B1 (ko) * 2012-04-06 2013-10-23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의 섬턴 위치 변경장치 및 그 변경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027B1 (ko) * 2016-03-24 2016-09-08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핸들의 풀-푸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락
KR101671408B1 (ko) * 2016-03-24 2016-11-01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CN108518128A (zh) * 2018-05-30 2018-09-11 苏州琨山智能科技有限公司 推拉锁内部转动结构
CN108518128B (zh) * 2018-05-30 2024-02-02 苏州琨山通用锁具有限公司 推拉锁内部转动结构
KR102062274B1 (ko) * 2018-09-07 2020-01-03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푸쉬풀식 디지털도어록
CN109025492A (zh) * 2018-09-11 2018-12-18 江苏东冠五金有限公司 一种防火门锁开启机构
KR20180002919U (ko) * 2018-10-01 2018-10-11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CN109519040A (zh) * 2018-12-28 2019-03-26 深圳市长恩实业有限公司 一种门锁
US20210207397A1 (en) * 2020-01-03 2021-07-08 Spectrum Brands, Inc. Ada door knob
US11725415B2 (en) * 2020-01-03 2023-08-15 Spectrum Brands, Inc. Ada door kno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943B1 (ko)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943B1 (ko)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US9890564B2 (en) Interconnected lock with direct drive for adjustable deadbolt to latchbolt spacing
EP2985397B1 (en) Mortise lock
US20180320411A1 (en) Electric lock and clutch mechanism thereof
US20090284026A1 (en) T-handle actuator and latch
US20170372856A1 (en) Circuit breaker system and safety operating handle for a circuit breaker system
KR101271518B1 (ko) 당김형 도어락 장치
US20120292925A1 (en) Electronic Unit For Locking Device And Locking System
KR10163168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KR101667352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RU2769499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KR101898814B1 (ko) 도어 개폐용 도어록
EP3422499B1 (en) Housing with an instrument panel
KR100713073B1 (ko) 도어락 장치용 락모듈
KR20180024426A (ko) 디지털 도어록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UA122384C2 (uk) Блок натискної дверної ручки з автоматичною стерилізацією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1336049B1 (ko) 도어록용 상자어셈블리의 허브잠금장치
JP5623597B2 (ja) 門扉の係止装置および門扉
KR20140124534A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10256653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JP5372688B2 (ja) ロッカーおよびロッカー用の符号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