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080B1 -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 - Google Patents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080B1
KR100561080B1 KR1020030064639A KR20030064639A KR100561080B1 KR 100561080 B1 KR100561080 B1 KR 100561080B1 KR 1020030064639 A KR1020030064639 A KR 1020030064639A KR 20030064639 A KR20030064639 A KR 20030064639A KR 100561080 B1 KR100561080 B1 KR 100561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oor
key bundle
releas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413A (ko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3006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08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35Electric alarm locks by rotation of key or rot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걸쇠 역할을 하는 데드볼트와, 회전운동을 통하여 데드볼트를 잠금 및 해정시키는 키뭉치와, 키뭉치의 회전을 제한 및 해제시키는 키뭉치 제한수단과, 키뭉치의 회전 제한이 해제되거나 키뭉치를 해정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음을 감지하여 해제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와, 감지부로부터 해제신호를 인가 받아 키뭉치의 해정 시도가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기구적인 구조로 키뭉치의 회전을 제어하므로 정전이나 화재 등과 같은 경우에도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정동작이 가능해지고 키뭉치가 해정된 이후가 아니라 키뭉치의 해정이 시도되는 단계에서 경보가 발생되므로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는 도어록을 제공한다.
도어록, 잠금, 해정, 경보, 키뭉치

Description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 { Door lock having alarm device }
도 1a는 전자식 잠금 장치를 채용한 종래 도어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 도어록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키뭉치와 키뭉치 제한수단의 결합 형상을 도시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상태에서 키뭉치의 회전제한을 해제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2d는 도 2b의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도어록을 해정시키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3a와 도 3b는 감지부와 출력부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록 110 : 키삽입구
120 : 가이드관 200 : 키박스
202 : 키뭉치 204 : 키몸체
206 : 카이드홈 210 : 호형 가이드홈
220 : 직선형 가이드홈 300 : 키뭉치 제한수단
310 : 이송몸체 320 : 가이드 돌기
330 : 복원스프링 340 : 스토퍼
400 : 감지부 410 : 제 1 단자
420 : 제 2 단자 430 : 센서
500 : 출력부 600 : 제어부
700 : 전원부 800 : 스위치
본 발명은 주택, 아파트 등의 현관문 등에 적용되는 도어록(door lock)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도어록의 해정(unlocking)이 시도될 때 경보장치를 통하여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보안기능을 한층 강화시킨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금 장치(locking apparatus)는 일반 주택 또는 아파트나 기업, 사무실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잠금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현관문 등에 장착된 도어록(door lock)에는 일반적으로 래치볼트(latch bolt)(또는, 트리거 볼트(trigger bolt))와 데드볼트(dead bolt)를 갖는 모티스(mortise lockset)가 장착된다. 상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는 모티스의 측면에 출몰될 수 있 는 구조로 장착되고 도어의 핸들과 회전 노브에 의해 조작된다.
도어록 등의 잠금 장치는 수동으로 잠금(locking)과 해정(unlocking)을 하도록 되어 있는 기계 방식과, 솔레노이드 및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잠금/해정 할 수 있는 전기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기 방식 잠금 장치에는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예를 들어, 키패드(keypad device), 지문 인식기(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카드 리더기(card reader) 등을 이용하여 출입자를 판단하는 전자식(또는 디지털식) 잠금 장치도 포함된다. 전자식 잠금 장치는 출입자 인증 과정이 전기, 전자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른 방식들에 비하여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도어록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전자식 잠금 장치를 채용한 종래 도어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 도어록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어록 커버(20)에는 주제어회로(22),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3)가 내장되어있다. 외부 도어록 커버(30)에는, 키패드(33)가 외부에 장착되고, 외부 도어 핸들(31)의 기계적인 잠금/해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34)와 기계 어셈블리(35)가 내장된다. 키패드(33)와 모터(34)는 각각 제1, 제2 커넥터 케이블(32, 37)에 의해 주제어회로(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내부/외부 도어 핸들(21, 31)은 각각 제1, 제2 회전축(26, 36)에 의해 모티스(10)의 도어 핸들 장착홈(15)에 결합된다. 내부 도어 핸들(21)은 통상 도어를 개 방할 수 있도록 모티스(10)와 결합되나, 외부 도어 핸들(31)은 통상 잠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는 도어(40)를 개방할 수 없다.
외부에서 도어(4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키패드(33)를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해야한다. 키패드(33)를 통해 입력된 패스워드(키패드(33)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바뀐)는 주제어회로(22)로 송부된다. 주제어회로(22)는 입력된 패스워드의 진위를 연산하여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도어(40)를 개방하기 위해 모터(34)를 구동시킨다. 모터(34)가 회전함에 따라 모터(34)와 연동하는 기계 어셈블리(35)가 동작되어 외부 도어 핸들(31)에 의해 도어(40)가 개방 가능하도록 된다. 즉, 잠금 상태에서 제2 회전축(36)은 외부 도어 핸들(31)과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지만, 모터(34)에 의해 기계 어셈블리(35)가 동작하면 외부 도어 핸들(31)에 의해 제2 회전축(36)이 연동하게 되어 데드볼트(12)가 동작함으로써 도어(40)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40)가 개방된 후에는 다시 모터(34)가 역회전하면서 기계 어셈블리(35)를 이전 잠금 상태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도어록은 배터리(23)가 방전되는 경우 동작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비상시 기계적인 방법으로 문을 열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록은 비정상적으로 도어록이 해정되었을 때에만 경보음이 발생하고 비정상적인 도어록 해정이 시도되는 단계에서는 경보음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돌발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을 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구적인 구조로 키뭉치의 회전을 제어하고, 키뭉치의 해정이 시도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은, 도어의 잠금걸쇠 역할을 하는 데드볼트와; 회전운동을 통하여 상기 데드볼트를 잠금 및 해정시키며, 외측면에는 상기 키뭉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는 호형 가이드홈과, 상기 호형 가이드홈과 사이각이 형성되도록 연결되는 직선형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키뭉치와; 상기 키뭉치의 회전을 제한 및 해제시키도록 일부가 상기 도어록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록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이송몸체와, 상기 호형 가이드홈 및 상기 직선형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키뭉치 제한수단과; 상기 키뭉치의 회전 제한이 해제되거나 상기 데드볼트를 해정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음을 감지하여 해제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해제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키뭉치의 회전제한 해제 또는 상기 데드볼트의 해정 시도가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감지부는, 이송몸체가 도어록 내부로 인입되면 이송몸체에 의하여 단락(Short)되고 이송몸체가 도어록 외부로 인출되면 개방(Open)되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해제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감지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부로의 해제신호 전달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와, 출력부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출력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변압시키는 계전기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구비한다.
출력부는 음향 출력장치, 영상 출력장치, 빛 출력장치, 신호 출력장치 중 하나 이상의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보장치가 장착된 도어록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키뭉치와 키뭉치 제한수단의 결합 형상을 도시하고,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100)은,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잠금걸쇠 역할을 하는 데드볼트(미도시)와, 회전운동을 통하여 데드볼트를 잠금 및 해정시키는 키뭉치(202) 및 키뭉치(20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키몸체(204)로 구성되는 키박스(200)와, 키뭉치(202)의 회전을 제한 및 해제시키는 키뭉치 제한수단(300)과, 키뭉치(202)의 회전 제한이 해제되거나 데드볼트를 해정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음을 감지하여 해제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400)와, 감지부(400)로부터 해제신호를 인가 받아 키뭉치(202)의 회전제한 해제 또는 데드볼트의 해정 시도가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출력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뭉치(202)는 키몸체(204)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키 삽입이 가능한 형상의 키인입홀(230)이 내부에 형성된다.
키뭉치(202)를 회전시켜 데드볼트를 잠금 및 해정시키는 방법 및 구조는, 종래의 도어록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법 및 구조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내용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키뭉치(202)의 외측면에는, 키뭉치(20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호(弧) 형상으로 외주면에 형성되는 호형 가이드홈(210)과, 호형 가이드홈(210)과 사이각이 형성되도록 연결되는 직선형 가이드홈(220)이 형성된다.
호형 가이드홈(210)의 내각은 데드볼트의 잠금 및 해정을 위한 키뭉치(202)의 회전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키뭉치(202)의 회전각이 180°인 경우 호형 가이드홈(210)의 내각은 180°이상이 되어야하며, 키뭉치(202)의 회전각이 360°이상인 경우 호형 가이드홈(210)은 키뭉치(202)의 외측면 전주에 걸쳐 형성된다.
키몸체(204)는 키뭉치(202)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키뭉치(202)가 결합되었을 때 직선형 가이드홈(2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직선형 가이드홈(220)과 대응되는 부위에 구멍 형상의 가이드홀(206)이 형성된다.
키뭉치 제한수단(300)은, 일측 끝단이 도어(4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도어(40)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이송몸체(310)와, 이송몸체(3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가이드홈(206)을 관통하여 호형 가이드홈(210) 및 직선형 가이드홈(220)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320)는, 외력에 의해 이송몸체(310)의 끝단이 도어(40)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직선형 가이드홈(22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운동을 하게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320)가 호형 가이드홈(210)이 형성된 지점에 위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사용자가 키인입홀(230)에 키를 인입시켜 키뭉치(202)를 회전시키고자 하더라도 가이드 돌기(320)와의 간섭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불가해진다.
또한, 도어(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의 이송몸체(310) 일부에는, 도어(40)의 외부로 이송몸체(310)가 일정길이 이상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도어(40)의 내측면에 간섭되는 스토퍼(340)가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도어(40) 외부로 돌출되는 이송몸체(310)의 길이는 스토퍼(340)의 결합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키몸체(204)의 일측에는 이송몸체(310)의 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20)과, 이송몸체(310)의 일측 끝단이 도어(40)의 외부로 최대한 돌출되도록 이송몸체(3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330)이 추가로 결합된다. 또한, 이송몸체(310)는 가이드관(120)의 방향에 따라 이송 방향이 결정되고, 이송몸체(3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아니하는 한 이송몸체(310)는 일측 끝단이 도어(40)의 외부로 최대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경보장치가 장착된 도어록을 해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어(40)의 외부로 돌출된 이송몸체(310)를 도어(40)의 내부로 인입시켜 가이드 돌기(320)를 호형 가이드홈(210)이 형성된 지점으로 위치시킨 후, 키인입홀(230)에 키를 삽입시켜 키뭉치(202)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록을 해정한다. 이때, 이송몸체(310)의 이송방향과 키의 삽입방향이 평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송몸체(310)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호형 가이드홈(210)과 직선형 가이드홈(220)은 직각을 이루며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감지부(400)는, 이송몸체(310)의 끝단이 도어(40) 내부로 인입되면 이송몸체(310)에 의하여 단락(Short)되고 이송몸체(310)의 끝단이 도어(40) 외부로 인출되면 개방(Open)되는 제 1 단자(410) 및 제 2 단자(420)와, 제 1 단자(410) 및 제 2 단자(420)의 접촉을 감지하여 해제신호를 발생하는 센서(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몸체(310)의 운동에 의하여 제 1 단자(410)와 제 2 단자(420)가 단락 및 개방되는 동작 구조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출력부(500)는 센서(430)로부터 인가된 해제신호를 받아 특정한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발생하는 신호가 효과적으로 외부에 알려질 수 있도록 도어(40)의 외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력부(500)는, 스피커나 벨과 같은 음향 출력장치나, CCTV(Closed-Circuit Television)와 같은 영상 출력장치, 경광등과 같은 빛 출력장치로 적용될 수 있으며, 경찰서나 경비실에 알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여러 종류의 출력장치 중 둘 이상의 출력장치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c는 도 2b의 상태에서 키뭉치의 회전제한을 해제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2b의 상태에서 도어(40)의 외부로 돌출된 이송몸체(310)의 끝단이 외력에 의하여 도어(40)의 내부로 인입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320)는 호형 가이드홈(210)에 위치되어 키뭉치(202)의 회전운동이 가능해진다. 도 2c와 같은 상태가 되면, 제 2 단자(420)는 이송몸체(310)에 의하여 제 1 단자(410)에 단락되고, 센서(430)는 해제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센서(430)로부터 해제신호를 전달받은 출력부(500)는 알람을 발생한다.
이때, 이송몸체(31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될 때 제 2 단자(420)가 도 2b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개방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제 2 단자(42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d는 도 2b의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도어록을 해정시키는 형상을 도시한다.
키인입홀(230)에 키가 아닌 다른 해정수단(240) 삽입되어 도어록(100)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해정되는 경우(예를 들어, 키인입홀(230)에 만능키와 같은 물체가 삽입되거나, 키뭉치(202)를 파괴시키기 위하여 키인입홀(230)에 드릴이 삽입되는 경우),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자(420)는 키인입홀(230)을 관통하는 해정수단(240)에 의해 제 1 단자(410)에 접촉된다.
제 1 단자(410)와 제 2 단자(420)가 단락되면, 도 2c에 도시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센서(430)는 해제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센서(430)로부터 해제신호를 전달받은 출력부(500)는 알람을 발생한다.
도 3a와 도 3b는 감지부와 출력부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감지부(400)와 출력부(5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400)로부터 발생되는 해제신호에 의하여 출력부(500)가 구동될 수 있는 구조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400)와 출력부(500) 사이에 감지부(400)로부터 해제신호를 입력받고 출력부(500)를 동작시키는 동작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600)가 추가되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에는 감지부(400), 출력부(500) 및 제어부(6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원부(700)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때, 도어록을 도어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도어록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를 장착시켜야 하지만, 도어록을 벽이나 도어틀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벽 내부에 인입된 전선을 통하여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배터리가 요구되지 아니하게된다.
또한, 감지부(400)와 출력부(500)의 중간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위치(800)가 추가로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록이 해정되고자 하는 시도가 있음을 감지하여 알려주는 경보 기능의 필요 여부에 따라 스위치(800)를 조작하여 감지부(400) 및 출력부(500)를 온/오프 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스위치(800)의 정격 전압과 출력부(500)의 정격 전압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출력부(500)로 입력되는 전류를 변압시켜주는 계전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계전기는 종래의 계전기를 차용하여 적용시키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을 사용하면, 기구적인 구조로 키뭉치의 회전을 제어하므로 정전이나 화재 등과 같은 경우에도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정동작이 가능해지고, 키뭉치가 해정된 이후가 아니라 키뭉치의 해정이 시도되는 단계에서 경보가 발생되므로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삭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도어의 잠금걸쇠 역할을 하는 데드볼트와;
    회전운동을 통하여 상기 데드볼트를 잠금 및 해정시키며, 외측면에는 상기 키뭉치(20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는 호형 가이드홈(210)과, 상기 호형 가이드홈(210)과 사이각이 형성되도록 연결되는 직선형 가이드홈(220)을 구비하는 키뭉치(202)와;
    상기 키뭉치(202)의 회전을 제한 및 해제시키도록 일부가 상기 도어록(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록(100)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이송몸체(310)와,
    상기 호형 가이드홈(210) 및 상기 직선형 가이드홈(220)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몸체(310)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320)를 포함하는 키뭉치 제한수단(300)과;
    상기 키뭉치(202)의 회전 제한이 해제되거나 상기 데드볼트를 해정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음을 감지하여 해제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400)와;
    상기 감지부(400)로부터 해제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키뭉치(202)의 회전제한 해제 또는 상기 데드볼트의 해정 시도가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출력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100).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이송몸체(310)가 상기 도어(40)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이송몸체(310)에 의하여 단락(Short)되고, 상기 이송몸체(310)가 상기 도어(40) 외부로 인출되면 개방(Open)되는 제 1 단자(410) 및 제 2 단자(420)와;
    상기 제 1 단자(410)와 상기 제 2 단자(420)의 단락을 감지하여 해제신호를 발생하는 센서(4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100).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출력부(500)로의 해제신호 전달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와(800), 상기 출력부(500)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출력부(500)로 인가되는 전류를 변압시키는 계전기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100).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500)는,
    음향 출력장치, 영상 출력장치, 빛 출력장치, 신호 출력장치 중 하나 이상의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100).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뭉치 제한수단(300)은,
    상기 가이드 돌기(320)가 직선형 가이드홈(220)에 위치되도록 이송몸체(3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330)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100).
KR1020030064639A 2003-09-18 2003-09-18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 KR10056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639A KR100561080B1 (ko) 2003-09-18 2003-09-18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639A KR100561080B1 (ko) 2003-09-18 2003-09-18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413A KR20050028413A (ko) 2005-03-23
KR100561080B1 true KR100561080B1 (ko) 2006-03-15

Family

ID=3738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639A KR100561080B1 (ko) 2003-09-18 2003-09-18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130B1 (ko) 2011-08-11 2012-03-29 주식회사 우드메탈 비상해제기능을 갖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32B1 (ko) * 2005-11-21 2007-07-03 엘에스전자 주식회사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102647297B1 (ko) * 2023-02-10 2024-03-13 에스케이쉴더스 주식회사 도어 잠금 부재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도어 잠금 부재 인식 장치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130B1 (ko) 2011-08-11 2012-03-29 주식회사 우드메탈 비상해제기능을 갖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413A (ko)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3312B2 (en) Wireless control of security system with key-operated key fob
JP2002500305A (ja) 各々が内蔵再ロック機能を持つ本締めボルト文字合わせロックと押し引きロック及び改竄検出・反応機能付きロックキーパッド
KR100561080B1 (ko)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
KR101528526B1 (ko) 출입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EP2391787B1 (en) Lock cylinder monitor
KR100977611B1 (ko) 도어록 장치
KR101927188B1 (ko) 키 감지장치를 구비한 도어락
KR200384248Y1 (ko) 문 처짐 감지 장치
KR100849524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EP3942125B1 (en) A door lock actuation device for operating a door lock and an alarm installation with such door lock actuation device
CN115836331A (zh) 连接锁系统
KR200311370Y1 (ko) 전자식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 록킹 장치
JP3619549B2 (ja) 機械的錠前の施解錠装置
US20050179556A1 (en) Alarm device for pickproofing a lock member
KR20210057552A (ko) 도어락시스템
JPS61277785A (ja) 電気錠装置
KR102380471B1 (ko)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KR200378836Y1 (ko) 불법 해정을 센싱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 록
KR102456722B1 (ko) 래치 볼트 이중 잠김 장치
JP3081857U (ja) ドア開錠警報装置
KR100479978B1 (ko) 도어록 백세트
KR102552880B1 (ko) 스마트 도어락용 전원 공급 시스템
JP4376498B2 (ja) 住宅用ドアシステム
KR20030025502A (ko) 도어록킹장치
KR200266895Y1 (ko) 경보수단을갖는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