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416A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2416A KR20100122416A KR1020090041444A KR20090041444A KR20100122416A KR 20100122416 A KR20100122416 A KR 20100122416A KR 1020090041444 A KR1020090041444 A KR 1020090041444A KR 20090041444 A KR20090041444 A KR 20090041444A KR 20100122416 A KR20100122416 A KR 201001224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driving member
- housing
- pressing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하우징;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잠금쇠;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잠금쇠를 가압 구동하며, 기준위치 및 기준위치로부터 하우징에 대한 회전중심축방향 또는 잠금쇠를 가압하는 직선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으로 이격된 이격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가압부재가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 및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도록 가압부재를 가압하며,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가압부재가 이격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압부재와 접촉 지지하는 안티패닉위치 및 가압부재가 기준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압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패닉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1구동부재; 및 제1구동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구동부재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가압부재가 잠금쇠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2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제1구동부재의 안티패닉위치에의 배치시, 가압부재는 제2구동부재의 회전 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며, 제1구동부재의 패닉위치에의 배치시, 가압부재는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 인식 등의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한 후에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잠금쇠를 직선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비상시에 정신적으로 패닉상태에 빠진 사람이 실내에서 쉽게 탈출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패닉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즉, 도어의 실내측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실내측에 있는 사람이 정신적으로 패닉상태에 빠져 있게 되어 가장 단순한 동작, 즉 실내측 핸들만을 회전시키므로, 이러한 실내측 핸들의 회전만으로 도어가 록킹해제되어야 할 필요성 있었다. 이러한 패닉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도어록 장치는 이미 시중에 시판되고 있으 며 나아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9,932호 등 다수의 특허문헌에도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술한 패닉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실내측 사용자가 실내측 핸들만을 회전시켜 도어를 록킹해제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나 치매 등의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등이 쉽게 탈출할 수 있게 되어 패닉기능을 무력화시킬 필요성이 있었다.
더구나, 창문 등으로 침입한 침입자도 실내측 핸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를 통해 쉽게 탈출할 수 있게 되므로, 보안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닉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비상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입자가 도어를 통해 탈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문설주에 형성된 잠금쇠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잠금쇠;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며, 기준위치 및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중심축방향 또는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직선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으로 이격된 이격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거나 상기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 및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직선 이동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 지지하는 안티패닉위치 및 상기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압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패닉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1구동부재; 및 상기 하우징 및 제1구동부재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2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구동부재의 상기 안티패닉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의 상기 패닉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상기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잠금쇠;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며, 기준위치 및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중심축방향으로 이격 된 이격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압부재에 대해 상대 직선 이동 가능한 매개가압부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일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도어가 록킹되되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와 접촉하는 록킹위치 및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도어가 록킹해제되되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와 접촉하는 록킹해제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1구동부재; 및 상기 하우징 및 제1구동부재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2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구동부재의 상기 록킹위치 또는 록킹해제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매개가압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닉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비상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입자가 도어를 통해 탈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모티스에 있어서 도어가 록킹되며 제1구동부재가 안티패닉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는 실내측유닛(100)과, 실외측유닛(200)과, 모티스(300)를 구비한다.
실내측유닛(100)은 도어(1)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실내측 하우징(110)과, 실내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120)을 포함한다. 핸들(120)에는 제1핀부재(130)가 고정되어 있다. 제1핀부재(130)는 핸들(120)의 회전시 핸들(120)의 회전중심축 주위를 회전한다. 제1핀부재(130)는 모티스(300)에 삽입되며, 제1핀부재(130)의 회전에 연동되어 후술하는 잠금쇠(20) 및 래치볼트(70)가 작동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핸들(120)은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어서, 핸들(120)을 회전시킨 후 놓게 되면 원상태로 복귀한다.
실외측유닛(200)은 실외측 하우징(210)과, 실외측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220)와, 키패드(211)를 가진다. 핸들(220)에는 제2핀부재(2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제2핀부재(230)는 핸들(220)의 회전시 핸들(220)의 회전중심축 주위를 회전한다. 제2핀부재(230)는 모티스(300)에 삽입되며, 제2핀부 재(230)의 회전에 연동되어 후술하는 래치볼트(70)가 작동하도록 연결된다. 키패드(211)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인증되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모티스(300)는 도어(1)의 내부에 설치된다. 모티스(300)는 하우징(10)과, 잠금쇠(20)와, 가압부재(30)와, 제1구동부재(40)와, 제2구동부재(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도어(1)의 측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지 않도록 도어(1)에 삽입된다. 하우징(10)은 상호 결합되는 케이스(11), 전면판(12) 및 커버(13)를 가진다. 전면판(12)에는 후술하는 잠금쇠(20)가 출입하는 잠금쇠 출입공(121) 및 후술하는 래치볼트가 출입하는 래치볼트 출입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쇠(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쇠(20)는 잠금쇠 출입공(121)을 통하여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가능하며, 잠금쇠(20)는 문설주(2)에 형성된 잠금쇠 삽입공(3)에 삽입되어 도어(1)를 록킹한다. 반대로, 잠금쇠(20)는 잠금쇠 삽입공(3)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1)를 록킹해제한다. 잠금쇠(20)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3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회전부재(30)의 단부는 홈부(21)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압회전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 가압회전부재(30)의 단부는 홈부(21)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잠금쇠(20)를 하우징(10)에 돌출되는 방향 또는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도어가 록킹 또는 록킹해제된다. 그리고, 가압부재(30) 및 잠금쇠(20)는 토션스프링(2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토션스프링(22)은 잠금 쇠(20)가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때에 잠금쇠(20)가 그 이동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 토션스프링(22)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가압부재(30) 및 잠금쇠(20)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가압부재(30)는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기준위치 및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이격위치 사이에서 가압부재의 회전중심축방향을 따라서 직선 이동한다. 즉, 가압부재(30)의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방향은 가압부재(30)의 회전중심축방향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30)가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하게 되면, 가압부재(30)는 케이스(11)의 바닥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특히, 가압부재(30)가 이격위치에 배치되면, 기준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비해 케이스(11)의 바닥면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가압부재(30)는 기준위치에서는 후술하는 제2구동부재에 접촉 지지되며, 이격위치에서는 커버(13)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131)에 접촉한다. 따라서, 가압부재(30)는 스토퍼부(131)에 걸려서 더 이상 직선 이동하지 못한다. 그리고, 가압부재(30)는 압축코일스프링(31)에 의해 기준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압축코일스프링(31)의 일단부는 커버(13)에 접촉지지되며, 압축코일스프링(31)의 타단부는 가압부재(30)에 접촉지지된다.
제1구동부재(40)는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구동부재(40)에는 한 쌍의 경사면(41,42), 한 쌍의 지지면(43,44) 및 한 쌍의 가압면(45,46)이 형성된다. 한 쌍의 경사면 사이, 한 쌍의 지지면 사이 그리고 한 쌍의 가압면 사이에는 가압부재가 배치된다.
한 쌍의 경사면(41,42)은 각각 가압부재(30)의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경사면(41,42)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30)가 기준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구동부재(40)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면, 각 경사면(41,42)은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30)와 접촉하여 가압부재(30)를 케이스(11)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가압부재를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승시켜 이격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각 경사면(41,42)은 가압부재(30)가 회전하도록 가압력을 작용시켜 가압부재(3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정도 회전할 수도 있다. 다만, 가압부재(30)가 스토퍼부(131)에 접촉하여 더 이상 직선이동하지 못할 때까지는, 경사면(41,42)의 가압력은 주로 가압부재(30)를 직선구동하는데 작용한다.
한 쌍의 지지면(43,44)은 한 쌍의 경사면(41,42)과 각각 연결된다. 각 지지면(43,44)은 각 지지면(43,44)에 연결된 경사면(41,42)에 대해 경사지게, 특히 가압부재(3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가압부재(30)가 경사면(41,42)에 의해 가압되어 이격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그 직후 가압부재(30)의 바닥면은 한 쌍의 지지면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에 접촉 지지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1)를 록킹하기 위해 제1구동부재(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재(3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면(42)에 접촉 지지된다.
한 쌍의 가압면(45,46)은 한 쌍의 지지면(43,44)과 각각 경사지게 연결되되, 특히 연결된 지지면(43,44)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가압부재(30)가 이격위치로 이동한 후에 지지면(43,44)에 접촉 지지된 후에도 계속해서 회전하게 되면, 가압부재의 측면은 가압면(45,46)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구동부재(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재(30)는 가압면(46)에 의해 가압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구동부재(4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에 가압부재(30)를 가압하여 가압부재를 기준위치로부터 이격위치로의 직선 이동시키고 나아가 가압부재(30)를 제1구동부재(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1)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킨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구동부재(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구동부재의 경사면(42)이 가압부재(30)와 접촉한 순간부터 가압부재(30)를 가압하여 이격위치쪽에 이동시키며, 제1구동부재의 지지면(44)에 가압부재(30)의 바닥면이 지지되고 제1구동부재의 가압면(46)에 의해 가압부재(30)의 우측면이 가압되면서부터는 제1구동부재의 가압면(46)이 가압부재(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가압부재(3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과정에서 잠금쇠 홈부(21)의 내측면이 가압부재(30)에 의해 좌측으로 가압되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가 록킹된다.
그리고, 제1구동부재(40)는 안티패닉위치 및 패닉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제1구동부재(40)가 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티패닉위치에 배치되면, 가압부재(30)가 제1구동부재의 지지면(43,44)에 접촉 지지되어 계속해서 이격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제1구동부재(40)가 안티패닉위치로부터 시 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패닉위치에 배치되면, 제1구동부재(4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과정에서 제1구동부재의 지지면(43,44)과 가압부재(30)가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되며 나아가 압축코일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 제1구동부재(30)는 다시 기준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제1구동부재(40)에는 전체적으로 원호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복수의 치(齒)를 가지는 기어부(47)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어부(47)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기어(48)에 기어결합된다. 여기서, 피니언 기어(48)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49)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모터(49)의 구동시 회전한다.
제2구동부재(50)는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구동부재(50)에는 피봇부(51) 및 한 쌍의 가압부(52,53)가 형성된다.
피봇부(51)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커버(13) 및 케이스(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피봇부(51)에는 각각 가압부재(30) 및 제1구동부재(40)가 삽입된다. 따라서, 가압부재(30), 제1구동부재(40) 및 제2구동부재(50)는 모두 피봇부(5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2구동부재(50)는 제1구동부재(4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피봇부(51)는 가압부재(3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한다.
한 쌍의 가압부(52,53)는 가압부재(30)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며, 한 쌍의 가압부(52,53) 사이에는 가압부재(30)가 배치된다. 한 쌍의 가압부(52,53)는 제2구동부재(30)의 회전시 가압부재(3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가압한다. 예를 들 어,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구동부재(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부재(3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1)가 록킹되며,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특히 제1구동부재(40)가 가상선으로 도시된 패닉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구동부재(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부재(3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1)가 록킹 해제된다.
한편, 제2구동부재(50)는 도어(1)가 록킹된 상태에서 제1구동부재(40)의 위치에 따라서 도어를 록킹해제시킬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1구동부재(40)가 안티패닉위치에 배치되면, 가압부재(30)는 제2구동부재(50)의 회전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제2구동부재(50)를 아무리 회전시키더라도 가압부재(3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어(1)를 록킹해제할 수 없다. 한편, 제1구동부재(40)가 패닉위치에 배치되면, 가압부재(30)가 제2구동부재(50)의 회전경로상에 배치되므로, 도어(1)를 록킹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구동부재(50)는 실내측 핸들(120)에 연결되어, 실내측 핸들(120)의 회전시 제2구동부재(50)도 회전한다. 여기서, 제2구동부재(50) 및 실내측 핸들(120)의 연결구조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닉기능을 달성하는 도어록 장치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어록 장치는 센서와, 사용자인터페이스와, 제어기를 더 구비한다.
센서(미도시)는 도어(1)의 록킹여부를 감지하며, 그에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센서는 잠금쇠(20)의 직선 이동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센서의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미도시)는 사용자가 패닉모드 및 안티패닉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패닉모드는 제1구동부재(40)가 패닉위치에 배치되어 실내측 핸들(120)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록킹된 도어를 록킹해제할 수 있는 모드를 말하며, 안티패닉모드는 제1구동부재(40)가 안티패닉위치에 배치되어 실내측 핸들(120)을 아무리 회전시키더라도 록킹된 도어(1)를 록킹해제할 수 없는 모드를 말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실내측 하우징(110)이나 실외측 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선택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설정버튼이나 사용자로부터 선택명령을 입력받아 무선으로 선택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미도시)는 도어(1)가 록킹된 상태에서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구동부재(40)가 안티패닉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센서로부터 도어(1)의 록킹에 대응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사용자인터페이스로부터 패닉모드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기는 모터(49)를 작동시켜 제1구동부재(40)를 패닉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1구동부재(40)가 패닉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센서로부터 도어(10의 록킹에 대응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사용자인터페이스로부터 안티패닉모드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기는 모터(49)를 작동시켜 제1구동부재(40)를 안티패닉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구동부재(40)가 안티패닉위치 또는 패닉위치 중 어느 위치에 배치되는지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가 더 구비되어, 제1구동부재(40)의 위치에 대응되는 감지신호가 제어기로 입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구동부재(40)가 안티패닉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안티패닉모드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입력되더라도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어록 장치는 열쇠뭉치회전체(60)와, 래치볼트(70)를 더 구비한다.
열쇠뭉치회전체(60)는 실외측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열쇠뭉치회전체(60)에는 열쇠공(61)이 형성된다. 열쇠공(61)에는 열쇠공(61)의 형상에 대응되는 열쇠가 삽입되며, 열쇠공(61)에 삽입된 열쇠를 회전시키면, 열쇠뭉치회전체(60)는 회전한다. 열쇠뭉치회전체(60)는 제1구동부재(40)에 연결되어 있어서, 열쇠뭉치회전체(6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구동부재(40)도 회전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열쇠를 열쇠공(61)에 넣고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를 록킹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상태, 즉 제1구동부재(40)가 안티패닉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열쇠를 열쇠공(6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쇠를 이용함으로써 안티패닉모드 및 패닉모드를 수동으로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래치볼트(70)는 하우징(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볼트(70)는 래치볼트 삽입공(4)에 삽입 및 이탈되며, 래치볼트 삽입공(4)에 삽입되면 록킹해제된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가 바람이나 약한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열리는 것이 방지된다. 래치볼트(70)는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래치볼트(70)는 실외측 핸들(220) 및 실내측 핸들(120)의 회전시 각각 하우징(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도어(1)의 실외측에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한 후에 실외측 핸들(220)을 회전시키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패닉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어(1)의 실내측에서 실내측 핸들(120)을 회전시키면 잠금쇠(20) 및 래치볼트(70)가 모두 동시에 하우징(10)에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도어를 록킹해제된 상태로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키패드(211)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도어의 실내측에서 핸들(120)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와 달리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패닉모드 또는 안티패닉모드를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티패닉모드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실내측에서 핸들(120)을 아무리 회전시키더라도 도어를 록킹해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패닉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침입자가 도어를 통해 탈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구동부재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구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티스(300a)에서는 제1구동부재(40a)가 하우징(1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구동부재(40a)의 일측에는 경사면(41), 지지면(43) 및 가압면(45)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며, 제1구동부재(40a)의 타측에는 경사면(42), 지지면(44) 및 가압면(46)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구동부재(40a)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는 가압부재(30)가 배치된다. 제1구동부재(40a)에는 복수의 치(齒)를 포함하는 랙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랙부에 형성된 복수의 치는 제1구동부재(40a)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랙부에는 피니언기어(미도시)가 직접 맞물린다. 따라서, 모터(미도시)를 작동시키면, 제1구동부재(40a)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부재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앞선 실시예에서는 잠금쇠, 래치볼트, 실내측 핸들 및 실외측 핸들이 모두 구비되는 소위 주키 형태의 도어록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주키 형태의 도어록 장치 뿐만 아니라 보조키 형태의 도어록 장치, 즉 실내측 핸들, 실외측 핸들 및 래치볼트가 없고 잠금쇠 및 실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80)를 포함하도록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노브(8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2구동부재가 회전하며, 보조키 형태의 도어록 장치에서는 잠금쇠 삽입공(811)이 문설주에 형성되지 않고 문설주에 별도로 고정되는 캡부재(81)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하우징(10)이 구비되지 않고 잠금쇠(20) 및 노브(80) 그리고 잠금쇠(20)를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부재, 제2구동부재 및 가압부재가 모두 실내측 하우징(110a)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는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도 록 구성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모터나 솔레노이드 없이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구동부재는 열쇠뭉치회전체에 연결되어 열쇠뭉치회전체의 회전시 구동되며, 제2구동부재는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핸들이나 노드에 연결되어 핸들 또는 노브의 회전시 구동된다. 특히, 열쇠뭉치회전체의 회전 정도를 조절함으로서 패닉모드 또는 안티패닉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선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가 제1구동부재 및 제2구동부재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압되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구동부재 및 제2구동부재가 매개가압부재를 직접적으로 가압하고, 가압된 매개가압부재가 다시 가압부재를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가압부재(30b)는 앞선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회전 가능하게만 설치될 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에의 도어록 장치에서는 매개가압부재(90)가 구비된다. 매개가압부재(90)는 실내측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삽입부(91) 및 피가압부(92)를 가진다.
삽입부(91)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삽입부(91)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압부재(30b)에는 삽입부(91)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공(301)이 형성되며, 결합공(301)에는 삽입부(91)가 삽입된다. 삽입부(91)는 매개가압부재(90)의 회전중심축이 된다. 그리고, 매개가압부재(90)의 회전시 매개가압부재(90) 및 가압부재(30b)는 한 몸체로서 회전한다. 또 한, 삽입부(91)에는 제1구동부재(40b) 및 제2구동부재(50b)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제1구동부재(40b) 및 제2구동부재(50b)도 삽입부(9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피가압부(92)는 제1구동부재(40b) 및 제2구동부재(50b)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다. 피가압부(92)는 제1구동부재(40b)에 형성된 한 쌍의 경사면(41,42)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제2구동부재(50b)에 형성된 한 쌍의 가압부(52,53) 사이에 배치된다.
매개가압부재(9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가압부재(30b)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실선으로 도시된 기준위치 및 도 11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이격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매개가압부재(90)의 직선이동은 삽입부(91) 및 결합공(301)의 삽입구조에 의해 가이드된다. 매개가압부재(90)가 기준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구동부재(40b) 및 제2구동부재(50b) 중 어느 하나의 구동부재의 회전하면, 매개가압부재(90)가 가압되어 회전하므로 가압부재(30b)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매개가압부재(90)가 이격위치에 배치되면, 매개가압부재(90)는 제2구동부재(50b)의 회전경로로부터 이탈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매개가압부재의 피가압부(92)가 제1구동부재(40b)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도어(1)가 록킹되고 이 때 매개가압부재의 피가압부(92)가 제1구동부재(40b)의 지지면(43,44) 중 하나의 지지면에 접촉지지됨으로서 매개가압부재(90)가 이격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제2구동부재(50b)를 아무리 회전시키더라도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매개가압부재(90)는 압축코일스프링(31b)에 의해 이격위치쪽으로 탄 성바이어스된다. 압축코일스프링(31b)의 일단부는 실내측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되며, 압축코일스프링(31b)의 타단부는 매개가압부재(90)에 접촉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구동부재(40b), 제2구동부재(50b) 및 매개가압부재(90)의 대부분은 실내측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1구동부재(40b)에는 한 쌍의 경사면(41,42), 한 쌍의 지지면(43,44) 및 한 쌍의 가압면(45,46)이 형성되며, 제2구동부재(50b)에는 한 쌍의 가압부(52,53)가 형성된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가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나,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가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이며, 여기서는 가압부재가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구동부재(50c)의 피봇부(51c)에는 조인트(95)가 일체로 형성된다. 조인트(95)는 구면 형상 또는 구면의 일부분을 외측 표면으로 가지도록 형성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조인트의 외측 표면은 구면의 절반 부분이 피봇부(57c)를 한 바퀴 둘러싸도록 형선된다. 그리고, 가압부재(30c)에는 조인트(95)에 삽입되는 삽입공(301)이 형성된다. 삽입공(301)의 내측면은 조인트(95)의 외측 표면과 동일한 형상, 즉 조인트(95) 외측 표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조인트(95)의 외측 표면은 삽입공(301)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된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30c)가 조인트(95)에 삽입되면, 제2회전중심축(R2)을 중 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압부재(30c)가 도 13에 실선으로 도시된 기준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구동부재(40)를 회전시키면, 가압부재(40)는 제1구동부재(40)의 회전과정에서 제1구동부재의 경사면(42)에 의해 가압되어 제2회전중심축(R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1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이격위치에 배치된다. 그 후, 제1구동부재(40)가 계속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부재(30c)는 제1회전중심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2회전중심축(R2)은 제1회전중심축(R1)과 직교한다.
그리고, 도 13에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스토퍼부(131)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구조를 이용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매개가압부재 역시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 및 매개가압부재가 직선 이동만 하거나 회전만 하도록 구성하여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가압부재 및 매개가압부재가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하여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모티스에 있어서 도어가 록킹되며 제1구동부재가 안티패닉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모티스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실내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 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2...문설주
10...하우징 20...잠금쇠
21...홈부 30,30b,30c...가압부재
31,31b...압축코일스프링 40,40a,40b...제1구동부재
41,42...경사면 43,44...지지면
45,46...가압면 47...기어부
50,50b,50c...제2구동부재 95...조이트
51,51c...피봇부 52...가압부
60...열쇠뭉치회전체 61...열쇠공
70...래치볼트 80...노브
81...캡부재 90...매개가압부재
91...삽입부 92...피가압부
100...실내측유닛 110...실내측 하우징
120,220...핸들 200...실외측유닛
210...실외측 하우징 301...삽입공
300,200a...모티스 811...잠금쇠 삽입공
Claims (20)
-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잠금쇠;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며, 기준위치 및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중심축방향 또는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직선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으로 이격된 이격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거나 상기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 및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직선 이동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 지지하는 안티패닉위치 및 상기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압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패닉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1구동부재; 및상기 하우징 및 제1구동부재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2구동부재;를 구비하며,상기 제1구동부재의 상기 안티패닉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며,상기 제1구동부재의 상기 패닉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상기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압부재 또는 제1구동부재에는 상기 제1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구동부재에 형성되며,상기 제1구동부재에는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며 상기 경사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티패닉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재를 각각 접촉 지지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과 연결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의 회전시 상기 잠금쇠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구동부재에 한 쌍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경사면 사이에는 상기 제1가압부재가 배치되며,상기 제1구동부재에는 상기 한 쌍의 경사면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경사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면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면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일방향 및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면이 더 형성되며,상기 한 쌍의 지지면 중 하나는 상기 안티패닉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접촉 지지하며,상기 제2구동부재에는 상기 가압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어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며 상기 회전중심축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상기 제1구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며 상기 회전중심축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상기 제1구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이격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구동부재 및 제2구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봇부가 마련되며,상기 제1구동부재 및 제2구동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피봇부에 삽입되며,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피봇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피봇부에 삽입되며,상기 제1구동부재, 제2구동부재 및 가압부재는 각각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잠금쇠;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가압부재;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며, 기준위치 및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중심축방향으로 이격된 이격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압부재에 대해 상대 직선 이동 가능한 매개가압부재;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와 접촉 지지하는 안티패닉위치 및 상기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패닉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1구동부재; 및상기 하우징 및 제1구동부재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2구동부재;를 구비하며,상기 제1구동부재의 상기 안티패닉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매개가압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며,상기 제1구동부재의 상기 패닉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매개가압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상기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가압부재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상기 매개가압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제1구동부재 및 제2구동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를 포함하며,상기 매개가압부재 및 가압부재는 상기 매개가압부재의 피가압시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한 몸체로서 회전하며,상기 제1구동부재 및 제2구동부재는 상기 매개가압부재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실내측 하우징이며,상기 잠금쇠 및 가압부재는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모티스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매개가압부재의 피가압부 또는 제1구동부재에는 상기 제1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시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의 상기 기준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구동부재에 형성되며,상기 제1구동부재에는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며 상기 경사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티패닉위치에서 상기 매개가압부재를 각각 접촉 지지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과 연결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의 회전시 상기 잠금쇠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전원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제1구동부재 및 제2구동부재 중 어느 하나가 구 동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재 및 제2구동부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및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구동부재 및 제2구동부재 중 다른 하나가 구동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재 및 제2구동부재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핸들 또는 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실외측으로 개방된 열쇠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구동부재 또는 제2구동부재가 구동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재 또는 제2구동부재에 연결되는 열쇠뭉치회전체;를 더 구비하며,상기 열쇠뭉치회전체는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서 상기 열쇠공에 삽입된 열쇠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제1구동부재는 상기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시 구동되며,상기 도어의 록킹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상기 록킹된 도어가 상기 핸들 또는 노브의 회전에 연동되어 록킹 해제되는 패닉모드 및 상기 록킹된 도어가 상기 핸들 또는 노브의 회전의 회전시에도 계속해 서 유지되는 안티패닉모드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상기 센서 및 사용자인터페이스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상기 도어의 록킹에 대응되는 감지신호 및 상기 안티패닉모드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기초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에 출력하는 제어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실외측으로 개방된 열쇠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구동부재가 구동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재에 연결되는 열쇠뭉치회전체; 및상기 제2구동부재는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2구동부재가 구동되도록 상기 제2구동부재에 연결되는 핸들 또는 노브;를 더 구비하며,상기 열쇠뭉치회전체는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서 상기 열쇠공에 삽입된 열쇠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잠금쇠;상기 하우징에 대해 제1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며, 기준위치 및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제2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배치되는 이격위치 사이에서 배치 가능한 가압부재;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제2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및 상기 제1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 지지하는 안티패닉위치 및 상기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압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패닉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1구동부재; 및상기 하우징 및 제1구동부재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제1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2구동부재;를 구비하며,상기 제1구동부재의 상기 안티패닉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며,상기 제1구동부재의 상기 패닉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상기 도어에 대해 몰입되 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구면 형상 또는 구면의 일부분을 외측 표면으로 가지는 조인트;를 더 구비하며,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조인트의 외측 표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조인트에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잠금쇠;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에 대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가압부재;상기 하우징에 대해 제1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구동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며, 기준위치 및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제2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배치되는 이격위치 사이에서 배치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매개가압부재;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 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제2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및 상기 제1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와 접촉 지지하는 안티패닉위치 및 상기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패닉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한 제1구동부재; 및상기 하우징 및 제1구동부재에 대해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에 대한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매개가압부재가 상기 잠금쇠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매개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2구동부재;를 구비하며,상기 제1구동부재의 상기 안티패닉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매개가압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며,상기 제1구동부재의 상기 패닉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매개가압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가 상기 도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구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444A KR20100122416A (ko) | 2009-05-12 | 2009-05-12 | 도어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444A KR20100122416A (ko) | 2009-05-12 | 2009-05-12 | 도어록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2416A true KR20100122416A (ko) | 2010-11-22 |
Family
ID=4340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1444A KR20100122416A (ko) | 2009-05-12 | 2009-05-12 | 도어록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2241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7911B1 (ko) * | 2022-03-24 | 2022-10-25 |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재난 발생시 자동 개방구조를 갖는 도어 |
-
2009
- 2009-05-12 KR KR1020090041444A patent/KR201001224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7911B1 (ko) * | 2022-03-24 | 2022-10-25 |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재난 발생시 자동 개방구조를 갖는 도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5258B1 (ko) |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 |
KR101142425B1 (ko) | 도어록 해정장치 | |
KR101962783B1 (ko) | 디지털 도어록의 다기능 내측 핸들 | |
JP4205081B2 (ja) | 開き戸の施解錠機構 | |
KR101196054B1 (ko) |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 |
JP4823874B2 (ja) | 電気錠 | |
KR100961878B1 (ko) |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 |
KR20100122416A (ko) | 도어록 장치 | |
KR20100067217A (ko) |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 |
KR100734032B1 (ko) |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 |
JP4363627B2 (ja) | 扉用電気錠の防犯システム | |
KR100799932B1 (ko) | 도어록 장치 | |
KR100994344B1 (ko) | 도어록 장치 | |
KR20110048400A (ko) | 도어록 장치 | |
KR20100126135A (ko) | 도어록 장치 및 도어록 시스템 | |
KR200378846Y1 (ko) | 도어록의 모티스 | |
KR200407877Y1 (ko) |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 |
KR20070066157A (ko) | 도어잠금장치 | |
KR200407876Y1 (ko) |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 |
KR20080065515A (ko) | 도어록 장치 | |
KR100996477B1 (ko) | 도어록 장치 | |
KR20090071341A (ko) | 도어록 장치 | |
KR20100047769A (ko) | 도어록 장치 | |
KR20080042379A (ko) | 도어록 장치 | |
KR101105590B1 (ko) | 도어록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