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149B1 -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149B1
KR101593149B1 KR1020140155808A KR20140155808A KR101593149B1 KR 101593149 B1 KR101593149 B1 KR 101593149B1 KR 1020140155808 A KR1020140155808 A KR 1020140155808A KR 20140155808 A KR20140155808 A KR 20140155808A KR 101593149 B1 KR101593149 B1 KR 101593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unit
handl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채희
Original Assignee
윤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희 filed Critical 윤채희
Priority to KR102014015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하우징에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앤풀부;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를 받아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도어록 해정부; 및 상기 푸시앤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는 구조에 맞추어 손잡이를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고, 캐릭터나 미려한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를 실내 인테리어에 따라 수시로 교체시킬 수 있어 장식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로고, 상표, 마크 등이 새겨진 손잡이를 간편하게 장착시켜 광고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유치원이나 학교, 학원 등의 교실 문 손잡이를 다양한 캐릭터로 각 반의 특색을 살려 각 반을 구분할 수 있고, 아이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본 발명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이중 잠금장치를 통해 보안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손잡이를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은 기존의 열쇠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지문 등을 활용하는 첨단 잠금장치이다. 모든 디지털 도어록은 전자키, 비밀번호, 카드 혹은 지문인식을 이용하고 전자적인 반응에 의하여 문을 여닫는다.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의 내측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모티스는 외부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와, 실내에 설치되는 인바디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어의 잠금과 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디지털 도어록의 잠금을 해제하여 외부로 나가고자 할 때, 먼저 레버를 돌리거나 또는 버튼을 눌러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하고, 도어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래치볼트의 잠금을 해제한 다음 그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개방해야 하는 3가지 동작을 행해야 한다.
특히, 도어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연속적인 동작은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들이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은 다음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얻어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또는 긴급한 피난을 요하는 화재, 홍수 등의 비상사태발생시 사용자가 당황하게 되면 조작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어 손잡이의 회전동작으로 조작이 신속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티스는 데드볼트만으로 도어를 잠그도록 되어 있어 도난의 위험성을 항상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의 인테리어를 다양하고 미려하게 연출하는 데 있어 도어의 손잡이는 기존의 단순한 모양이 항상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손잡이의 회전식 개폐구조가 아닌 밀고 당기는 개폐구조에 맞추어 손잡이의 다양한 변화가 필요하고, 변화된 손잡이를 쉽게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10-0909560 (공고일 2009.07.27) 한국등록특허: 10-0934781 (공고일 2009.12.3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고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는 구조에 맞추어 손잡이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를 간단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 잠금장치를 통해 보안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가 닫혔을 때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관공서나 공연장 등 많은 인파가 출입하는 곳에서는 도어가 닫히더라도 자동으로 도어가 잠금되는 것은 차단하여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하우징에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앤풀부;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를 받아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도어록 해정부; 및 상기 푸시앤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푸시앤풀부에 원터치 결합되거나 또는 체결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의 원터치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에 탄성편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 상기 탄성편이 끼움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끼울 때 상기 푸시앤풀부의 탄성편이 압축되었다가 상기 결합홈에서 복원되어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은 외향 경사지게 절곡시킨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분리시 상기 결합홈에 걸림된 탄성편을 가압하여 압축시킬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핀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원터치 결합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콜레트가 결합되고,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에 상기 콜레트에 물림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끼울 때 상기 콜레트의 역걸림턱이 상기 푸시앤풀부의 결합홈에 물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원터치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 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홈 내로 인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홈 외로 돌설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끼울 때 상기 스토퍼가 홈 내로 인입되었다가 관통공에서 돌출되어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원터치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에 외향 돌설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 상기 푸시앤풀부의 걸림돌기가 끼움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연장되는 로킹홈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일 방향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로킹홈에 위치되어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의 체결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일단부 외측에 형성된 홈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형성된 돌부가 상호 끼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단턱이 상호 걸림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 외측면과 상기 단턱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체결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앤풀부와 손잡이부가 상호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체결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재의 전면부에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푸시앤풀부재의 체결홀들에 대응하여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결합공과 상기 푸시앤풀부재의 체결홀에 볼트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1 잠금장치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이동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2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 결합형 활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부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구성은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 모두 적용된다.
상기 활주안내부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부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활주부는 상기 래치 또는 슬라이더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래치는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잠금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푸시앤풀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된 일측면 중앙을 통해 타측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슬롯이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원통체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거나 또는 슬롯이 슬라이더부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원통체의 구간 이동시 슬라이더가 슬롯을 통해 원통체의 내부로 수용되는 것에 의해 원통체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동력전달부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개폐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 신호가 전송되어도 상기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수동개방버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록 해정부에는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해정 동작을 감지하는 검출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해정 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에 인식된 정보와 기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도어록 해정부의 해정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인식부는 도어폰 카메라, 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홍체 인식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때,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오픈버튼부가 더 구비되고, 비상열쇠 삽입시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비상키홀이 더 구비되며,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화제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어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는 구조에 맞추어 손잡이를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고, 캐릭터나 미려한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를 실내 인테리어에 따라 수시로 교체시킬 수 있어 장식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로고, 상표, 마크 등이 새겨진 손잡이를 간편하게 장착시켜 광고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유치원이나 학교, 학원 등의 교실 문 손잡이를 다양한 캐릭터로 각 반의 특색을 살려 각 반을 구분할 수 있고, 아이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은 활주부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에 연동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져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한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닫혔을 때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관공서나 공연장 등 많은 인파가 출입하는 곳에서는 도어가 닫히더라도 자동으로 도어가 잠금되는 것은 차단하여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해지되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실외측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손잡이부와 푸시앤풀부와 도어록 해정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3 실시 예를 도시한 반 단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4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5 실시 예를 도시한 반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6 실시 예를 도시한 반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7 실시 예를 도시한 반 단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록 해정부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9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개방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감지부 및 검출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록 해정부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와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개폐감지부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개폐감지부가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4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5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서 이탈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실외측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손잡이부와 푸시앤풀부와 도어록 해정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는 하우징(101,102)과, 키입력부(110)와, 제어부(120)과, 푸시앤풀부(200)와, 손잡이부(300)와, 도어록 해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은 도어의 일면과 이면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 1 하우징(101)과 제 2 하우징(102)로 이루어진다.
키입력부(110)는 제 1 하우징(101) 전면부에 설치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버튼과 특수키 버튼이 조합된 키패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키입력부(110)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키입력부(110)는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된 비밀번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키입력부(110)에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어록 해정부(400)에 구동신호를 전송한다.
푸시앤풀부(200)는 제 1 하우징(101)과 제 2 하우징(102)의 하단부에 각각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푸시앤풀부(200)는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는 중공의 제 1 고정브라켓(201)과 제 1 고정브라켓(201)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누름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부재(202)로 구성되는 푸시부(203), 및 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중공의 제 2 고정브라켓(204)과 제 2 고정브라켓(204)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당김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풀부재(205)로 구성되는 풀부(2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제 2 고정브라켓(201,204)은 중앙에 중공의 수용부(201a,204a)가 형성되고, 수용부(201a,204a)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도어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브라켓(201)과 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브라켓(204)은 도어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핀(20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고정브라켓(201)의 수용부(201a)에는 푸시부재(202)가 구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름 동작이 수행되고, 제 2 고정브라켓(204)의 수용부(204a)에는 풀부재(205)가 구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당김 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00)는 푸시부재(202) 및 풀부재(205)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손잡이부(300)는 푸시부재(202) 및 풀부재(205)에 원터치 결합되거나 또는 체결결합된다.
여기서, 푸시앤풀부(200)는 푸시부(203)와 풀부(206)를 함께 지칭한 것이고, 이하에서는 푸시부재(202)와 풀부재(205)를 푸시앤풀부재(210)라 지칭한다.
도 4 내지 도 11은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탈착 구조의 제 1 내지 제 7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8은 손잡이부가 푸시앤풀부재에 원터치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도 9 내지 도 11은 손잡이부가 푸시앤풀부재에 체결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210)와 손잡이부(300)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탈착 구조는 푸시앤풀부재(210)의 외측면에 탄성편(211)이 구비되고, 손잡이부(300)의 내측면에 상기 탄성편(211)이 끼움되는 결합홈(311)이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편(211)은 푸시앤풀부재(21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외향 경사지게 절곡시킨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홈(221)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핀 홀(312)이 형성된다.
따라서, 푸시앤풀부재(210)의 외측으로 손잡이부(300)를 끼워 넣으면 손잡이부(300)의 내측면에 의해 푸시앤풀부재(210)의 탄성편(211)이 가압되어 압축되었다가 가압력이 해제되는 결합홈(311)에서 복원되어 결합홈(311)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00)를 푸시앤풀부재(2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결합홈(311)에 형성된 핀 홀(312)에 핀을 넣어 결합홈(311)에 걸림된 탄성편(211)을 가압하여 압축시킨 다음 손잡이부(300)를 푸시앤풀부재(210)로부터 빼내면 쉽게 분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210)와 손잡이부(300)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탈착 구조는 손잡이부(300)의 일단부에 콜렛트(321)가 결합되고, 푸시앤풀부재(210)의 외측면에 콜렛트에 물림되는 결합홈(2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콜렛트(321)는 몸체 내부에는 걸림턱(322)이 형성되고, 몸체 외측에는 내경을 조절하는 조절노브(323)가 구비된다.
따라서, 콜렛트(321)의 조절노브(323)를 당겨 콜렛트(321)의 내경을 키운 상태에서 푸시앤풀부재(210)의 외측으로 손잡이부(300)를 끼워 넣은 다음 당기고 있던 조절노브(323)를 놓으면 콜렛트(321) 내부의 걸림턱(322)이 푸시앤풀부재(210)의 결합홈(221)에 물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00)를 푸시앤풀부재(2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콜렛트의 조절노브(323)를 당겨 콜렛트(321)의 내경을 키운 상태에서 푸시앤풀부재(210)로부터 손잡이부(300)를 빼내면 콜렛트 내부의 걸림턱(322)이 푸시앤풀부재(210)의 결합홈(221)으로부터 빠져나와 쉽게 분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210)와 손잡이부(300)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탈착 구조는 푸시앤풀부재(210)의 외측면에 홈(231)이 형성되고, 홈(231)에는 탄성스프링(232)에 고정되는 스토퍼(233)가 안착된다. 즉, 스토퍼(233)는 외력이 가해지면 홈(231) 내로 인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홈(231) 외로 돌설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00)에는 스토퍼(233)가 삽입되는 관통공(331)이 형성된다.
따라서, 푸시앤풀부재(210)의 외측으로 손잡이부(300)를 끼워 넣으면 손잡이부(300)의 내측면에 의해 스토퍼(233)가 가압되어 홈(231) 내로 인입되었다가 가압력이 해제되는 관통공(331)에서 돌출되어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00)를 푸시앤풀부재(2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관통공(33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233)를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빼내면 쉽게 분리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210)와 손잡이부(300)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탈착 구조는 푸시앤풀부재(210)의 외측면에 외향 돌설되는 걸림돌기(241)가 좌우 또는 상하 양측으로 구비되고, 손잡이부(300)에는 손잡이부의 후면과 연통되어 푸시앤풀부재의 걸림돌기(241)가 끼움되는 삽입홈(341)과, 삽입홈(341)으로부터 연장되는 로킹홈(342)이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푸시앤풀부재(210)의 외측으로 손잡이부(300)를 끼워 푸시앤풀부재의 걸림돌기(241)가 손잡이부의 삽입홈(341)에 삽입되게 한 다음 손잡이부(300)를 일 방향 회전시키면 걸림돌기(241)가 로킹홈(342)에 위치되어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00)를 푸시앤풀부재(2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손잡이부(30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로킹홈(342)에 위치되어 있던 걸림돌기(241)가 삽입홈(341)에 위치되게 한 다음 푸시앤풀부재(210)로부터 손잡이부(300)를 빼내면 쉽게 분리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210)와 손잡이부(300)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탈착 구조는 푸시앤풀부재(210)의 일단부 외측에 홈부(251)가 형성되고 손잡이부(300)의 내측에 돌부(351)가 형성되어 푸시풀부재의 홈부(251)와 손잡이부의 돌부(351)가 상호 끼움결합되고, 푸시앤풀부재(210)의 외측면에는 손잡이부(300)의 타단부가 걸림될 수 있는 위치에 단턱(252)이 돌설되어 손잡이부(300)의 타단부와 단턱(252)이 상호 지지되며, 손잡이부(300)의 타단부와 단턱(25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푸시앤풀부재(210)의 타단부 외측으로 체결너트(353)가 삽입되어 손잡이부(300)의 타단부 외측면과 단턱(252)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00)를 푸시앤풀부재(2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체결너트(353)를 풀고 푸시앤풀부재(210)의 홈부(251)에서 손잡이부의 돌부(351)를 빼내면 쉽게 분리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210)와 손잡이부(300)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탈착 구조는 푸시앤풀부재(210)의 외측면에 수나사산(261)이 형성되고, 손잡이부(300)의 내측면에 암나사산(361)이 형성되며, 푸시앤풀부재(210)의 수나사산(261)에 손잡이부(300)의 암나사산(361)이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00)를 푸시앤풀부재(2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푸시앤풀부재(210)에 체결된 손잡이부(300)를 체결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풀어주면 쉽게 분리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210)와 손잡이부(300)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탈착 구조는 푸시앤풀부재(210)의 전면부에 복수 개의 체결홀(271)이 형성되고, 손잡이부(300)에는 푸시앤풀부재(210)의 체결홀(271)들에 대응하여 결합공(371)이 형성되며, 손잡이부의 결합공(371)과 푸시앤풀부재의 체결홀(271)에 볼트(373)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00)를 푸시앤풀부재(2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결합공(371)과 체결홀(271)에 체결된 볼트(373)를 풀어 주면 손잡이부(300)와 푸시앤풀부재(210)가 분리된다.
이처럼 손잡이부(300)는 푸시앤풀부재(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쉽게 교체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00)는 누르거나 당김이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캐릭터 형상이나 미려한 이미지 또는 로고, 마크 등을 이용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광고 및 장식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00)의 탈착구조는 설명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손잡이부(300)가 푸시앤풀부재(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어록 해정부(400)는 도어에 내설되어 푸시앤풀부재(210)와 연결된다. 도어록 해정부(400)는 푸시앤풀부재(2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부(120)의 제어신호를 받아 도어의 해정 동작을 수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록 해정부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해정부(400)는 제 1 잠금장치(410)와, 구동부(450)와, 제 2 잠금장치(460)와, 개폐감지부(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제 1, 제 2 잠금장치(410,450)의 외측에는 상기 구성들을 보호하는 커버(500)가 포함된다.
먼저, 커버(500)는 제 1, 제 2 잠금장치(410,46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 구성들이 관통되는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제 1 잠금장치(410)의 래치볼트(441)가 출입되는 제 1 출입공(510)과, 제 2 잠금장치(460)의 데드볼트(476)가 출입되는 제 2 출입공(520)과, 개폐감지부(480)의 감지볼트(481)가 출입되는 제 3 출입공(530)이 형성된다.
제 1 잠금장치(410)는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로 구분된다.
먼저,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1 실시 예는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 구간 이동하는 푸시앤풀부재(2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411)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420)와,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440) 결합형 활주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샤프트(411)는 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절개되어 개방되고, 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가이드홀(412)이 형성되며, 그 양단이 푸시앤풀부재(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겨서 수평 이동시키면 누름 및 당김 동작에 따른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손잡이부(300)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된다.
슬라이더부(420)는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421)와, 이동대(421)에 결합되고 일면에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는 캠블록(422)과, 캠블록(422)의 후면에 구비되어 캠블록(42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4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대(421)는 후술되는 제 2 잠금장치(460)의 제 2 샤프트(4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캠블록(422)은 이동대(421)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동대(421)의 구간 이동에 의해 이동되고 일면에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쿠션패드(424)는 캠블록(422)의 후면에 부착되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캠블록(422)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충격시의 소음발생을 방지한다.
그리고,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에는 활주부(430)가 접촉된다. 여기서 활주부(430)는 래치(4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래치(4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활주부(430)는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도 13 내지 도 15는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430) 및 활주안내부(423)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의 활주안내부(423)는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롤러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423)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부(4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롤러가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이때, 자유곡면은 롤러의 구간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롤러의 구름 동작이 힘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손에 느껴져 도어의 개방동작이 감지되게 된다. 또한, 자유곡면에서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의 인출입을 빠르게 동작시킨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423)는 직선의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부(430)는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제 2 경사면이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그리고, 래치(440)는 커버(5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출입공(510)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의 일측으로 출입되는 래치볼트(441)와, 활주부(430)와 결합되어 래치볼트(44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442)와, 가이드부재(442)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커버(500)의 내벽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가이드부재(44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귀스프링(44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귀스프링(443)은 평상시 가이드부재(442)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고, 이로 인하여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된 래치볼트(441)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가이드부재(442)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으로 가이드부재(442)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킨다.
이처럼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1 실시 예는 슬라이더부의 캠블록(422) 일면에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430)가 형성되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2 실시 예는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 구간 이동하는 푸시앤풀부재(2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411)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된 슬라이더부(420)와,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어 활주부(430)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는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캠블록(422)에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활주부(430)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430) 및 활주안내부(423)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원형봉에 접촉되는 활주안내부(423)의 경사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원형봉에 접촉되는 활주안내부(423)의 자유곡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제 1 경사면에 접촉되는 활주안내부(423)의 제 2 경사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이처럼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2 실시 예는 슬라이더부의 캠블록(422) 일면에 제 1 샤프트(411)의 수평 이동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일체로 활주부(43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구동부(450)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역 회전하는 정역회전모터로 구성된다.
제 2 잠금장치(460)는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구동부(4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461)와, 제 2 샤프트(461)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제 2 샤프트(46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462)와, 회전부재(462)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제 2 샤프트(46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470)와, 작동부재(470)에 결합되어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4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2 샤프트(461)는 구동부(450)에 결합되고 구동부(450)의 정역 회전시 구동부(450)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손잡이부(30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연동하여 구간 이동되도록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부재(462)는 제 2 샤프트(461)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제 2 샤프트(461)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작동부재(470)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463)가 구비된다. 이때, 레버(463)의 끝단부에는 돌출부(464)가 형성되고, 돌출부(464)의 외주면을 따라 안내홈(465)이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70)는 중앙면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472)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회전부재의 레버(463)가 걸림되는 요입홈(473)이 형성되며, 요입홈(473)의 상단 양 측벽에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4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핀(471)에는 회전부재(462)의 레버(46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레버(46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텐션스프링(475))이 감김된다. 텐션스프링(475)은 지지핀(471)에 감김되는 일단이 커버(50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레버(463)의 돌출부에 형성된 안내홈(465)을 경유하여 커버의(500) 내측벽에 고정된다.
도 19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개방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감지부 및 검출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록 해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19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감지부(480)는 커버(500)의 제 3 출입공(530)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지볼트(481)와, 감지볼트(481)를 수용하는 수용부(482)와, 수용부(482) 내측에 구비되어 감지볼트(481)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83)과, 감지볼트(481)의 이동을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84)로 구성된다.
개폐감지부(480)의 감지볼트(481)는 도어의 개방시 커버의 제 3 출입공(530) 외측으로 돌출되고 도어의 닫힘시 출입문의 측벽에 가압되어 제 3 출입공(530)으로 내측으로 인입되며, 감지센서(484)는 감지볼트(481)의 인입과 돌출을 센싱하여 도어의 닫힘 여부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개폐감지부(48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450)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 2 잠금장치(460)의 데드볼트(476)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제 1 하우징(101)의 전면부에는 수동개방버튼부(130)가 설치된다. 수동개방버튼부(130)는 도어가 닫히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신호를 제어부(120)에 인가한다. 즉, 제어부(120)는 수동개방버튼(130)부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개폐감지부(48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가 전송되어도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 2 잠금장치(460)의 데드볼트(476)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에 더하여 도어록 해정부(400)에는 제 2 잠금장치(460)의 해정 동작을 감지하는 검출센서(485)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하우징(101)에는 검출센서(485)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해정 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40)가 더 구비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01) 전면부에는 인식부(150)가 더 설치된다. 인식부(150)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인식수단이란 CMOS 또는 CCD로 구성된 도어폰 카메라,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홍체인식기 등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 외의 목소리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150)는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식된 정보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또한, 제 1 하우징(101)의 전면부에는 비상키홀(160)이 더 설치된다. 비상키홀(160)은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비상열쇠 삽입시 제어부(120)에 해정 신호를 인가한다.
그리고, 제 2 하우징(102)의 전면부에는 오픈버튼부(170)가 더 설치된다. 오픈버튼부(170)는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실내에서 실외로 나가고자 할 때, 제어부(120)에 해정 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제 2 하우징(102)의 전면부에는 화제감지센서(180)가 더 설치된다. 화제감지센서(180)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이상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키입력부(110), 수동개방버튼부(130), 인식부(150), 비상키홀(160), 오픈버튼부(170), 화제감지센서(180), 전원공급부(190),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45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20)는 키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가 전송되거나 인식부(150)로부터 인식된 정보가 전송되면 기설정된 비밀번호 또는 정보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또는 정보가 일치한 경우 구동부(4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도어록 해정부의 잠금을 해정시킨다.
또한, 제어부(120)는 오픈버튼부(170)로부터 해정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동부(4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도어록 해정부의 잠금을 해정시킨다. 또한, 화재감지센서(180)로부터 전송된 온도가 기 설정온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기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부(4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도어록 해정부(400)의 잠금을 해정시킨다. 또한, 비상키홀(160)에 열쇠가 삽입되어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부(4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도어록 해정부의 잠금을 해정시킨다.
전원공급부(190)는 교류전원 또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각 구성부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비상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보조전원공급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전원공급부(195)는 비상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어 정전인 경우 또는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 사태의 경우, 또는 주전원 배터리가 수명을 다한 경우 비상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는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에 강한 전기적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가해진 전기가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하여 하우징의 충격을 감소시키고, 아울러 전기적 충격으로 인한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와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개폐감지부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1은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는 도 21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개폐감지부가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닫힘 상태는 제 1 잠금장치(410)의 래치볼트(441)가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하고, 도어의 잠금 상태는 제 2 잠금장치(460)의 데드볼트(476)가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1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인식부(150)에 사용자를 인식시키면, 키입력부(110)에 입력된 비밀번호나 인식부(150)에 인식된 정보가 제어부(120)에 전송되고, 제어부(120)는 전송된 비밀번호 또는 인식정보를 기설정된 비밀번호 또는 인식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정시킨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로부터 해정 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일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일 방향 회전시킨다. 아울러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에는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가이드홀(472)에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가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회전되는 레버(463)는 요입홈(473)의 일측벽 걸림홈(474)에 걸림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462)의 레버(463)는 지지하고 있는 텐션스프링(475)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역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작동부재(470)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작동부재(470)의 이동에 의해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아울러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아울러,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 회전부재(462)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5)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인입 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도 21의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와 결합된 푸시앤풀부재(210)가 구간 이동되고, 푸시앤풀부재(21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1 샤프트(411)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411)를 구간 이동시킨다.
이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은 제 2 샤프트(4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를 가압하여 이동대(421)를 구간 이동시키며, 이동대(421)의 이동은 이동대(421)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캠블록(422)을 구간 이동시킨다.
이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으로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울러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의 가이드부재(442)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며 아울러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된 래치볼트(441)가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부재(442)를 인장력으로 지지시키고 있던 복귀스프링(443)은 가이드부재(442)의 구간 이동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활주안내부(423)의 자유곡면은 활주부(430)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441)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430)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면, 개폐감지부(480)의 감지볼트(481)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감지센서(484)가 감지볼트(481)의 돌출을 센싱하여 도어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한편, 도 22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제 1 샤프트(411) 및 슬라이더부(420)를 구간 이동시키던 힘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슬라이더부(420)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이동한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는 역으로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제 1 샤프트(411)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가이드부재(442)는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443)의 복원력으로 이동 전 상태로 복귀되면서 커버(500)의 내측에 인입되어있는 래치볼트(441)를 밀어내고, 래치볼트(441)는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진다.
이어,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돌출된 감지볼트(481)가 출입문의 측벽에 의해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되고, 인입되는 감지볼트(481)를 감지센서(484)가 감지하여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개폐감지부(48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450)를 구동시킨다.
이어, 제어부(120)로부터 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타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타 방향 회전시킨다. 아울러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가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도 20의 상태가 된다.
아울러,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방향으로 회전된 회전부재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5)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돌출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잠금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도어가 잠금 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그러나, 수동개방버튼부(130)를 눌러 제어부(120)에 수동개방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개폐감지부(48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가 전송되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 2 잠금장치(4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는 관공서나 공연장 등 인파가 많은 곳에서 도어의 닫힘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면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신속한 출입을 위하여 도어가 닫히더라도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게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실내 측에서 외부로 나가기 위해 도어를 개방할 때는 제 2 하우징(102)에 구비된 오픈버튼부(170)를 누르면, 제어부(120)가 오픈버튼부(170)의 신호를 받아 구동부(450)를 구동시키고 구동부(450)의 구동과 연동되는 제 2 잠금장치(460)의 잠금을 해정시킨다. 이어 손잡이부(300)를 당기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에 제 1 잠금장치(410)가 연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3은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24의 (a),(b)는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5의 (a),(b)는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의 다른 실시 예는 일 실시 예의 구성에서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제 1 잠금장치(410)의 슬라이더부(4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00)가 더 부가된 것이다. 따라서, 동력전달부(600) 이외의 구성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600)는 손잡이부(300)와 결합되는 제 1 샤프트(411)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부(450)와 연결되는 제 2 샤프트(461)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동력전달부(600)는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따라 구간 이동되고,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구간 이동시의 힘을 슬라이더부(4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동력전달부(600)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 중앙에 제 2 샤프트(461)가 관통되는 삽입홈(610)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슬롯(620)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제 1 샤프트(411)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샤프트(461)는 동력전달부(600)의 개방된 일측면 중앙을 통해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홈(610)으로 삽입되어 관통되고, 삽입홈(610)을 관통한 제 2 샤프트(461)의 끝단부에 구동부(450)가 결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600)의 개방된 일측면 전방에는 슬라이더부(420)가 위치되고, 동력전달부(60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630)이 장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600)는 구동부(4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에 의해 좌,우 회전되고, 좌, 우 회전방향에 따라 원통체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420)의 이동대(421)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또는 대응되게 위치된다.
즉, 사용자가 키입력부(11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인식부(150)에 사용자를 인식시키면, 키입력부(110)에 입력된 비밀번호나 인식부(150)에 인식된 정보가 제어부(120)에 전송되고, 제어부(120)는 전송된 비밀번호 또는 인식정보를 기설정된 비밀번호 또는 인식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450)를 일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로부터 해정 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일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가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에 삽입된 레버(46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는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아울러, 회전부재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5)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인입 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140)에 출력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20)로부터 신호를 받은 음성출력부(140)는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461)로부터 구동부(45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600)는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600)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어긋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411)를 통해 동력전달부(6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은 동력전달부(6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를 가압하여 슬라이더부(420)를 구간 이동시키고,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으로 슬라이더부(420)의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아울러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가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어 래치볼트(441)가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개폐감지부(480)의 감지볼트(481)는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진다.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돌출된 감지볼트(481)가 출입문의 측벽에 의해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되고, 인입되는 감지볼트(481)를 감지센서(484)가 감지하여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개폐감지부(48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45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로부터 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타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타 방향 회전시킨다. 아울러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가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커버의 제 2 출입공(520)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회전부재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5)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돌출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도어가 잠금 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461)로부터 구동부(45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600)는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600)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411)를 통해 동력전달부(6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동력전달부(6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가 동력전달부에 형성된 슬롯(620)으로 삽입되어 동력전달부(60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부(420)는 움직이지 않게 되며, 래치볼트(441)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부(420)가 움직이지 않아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타고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래치볼트(441)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볼트(441)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441)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
아울러, 동력전달부(600)는 슬라이더부(420)가 동력전달부(60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부(600) 내부에 구비된 탄성스프링(630)이 압축되고,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를 놓게 되면 탄성스프링(630)의 복원력에 의해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도어의 잠금 해제시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동력전달부의 슬롯 위치가 슬라이더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됨으로써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 일체형 활주부가 이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잠금키의 잠금 선택시에는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동력전달부의 슬롯 위치가 제 1 잠금장치의 슬라이더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동력전달부에 전달되더라도 슬라이더부가 동력전달부의 슬롯 내부로 인입되어 동력을 전달받지 못함으로써 래치볼트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서 이탈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8은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일 실시 예의 구성에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록킹부(700)가 더 부가된 것이다. 따라서, 록킹부 이외의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록킹부(700)는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샤프트(411)에 록킹홈(710)이 형성되고, 제 2 잠금장치의 회전부재(462)의 외측면에 록킹돌기(720)가 구비되어 회전부재(462)의 회전방향에 따라 록킹돌기(720)가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지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것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로부터 해정 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일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일 방향 회전시키고,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는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일 방향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부재(462)에 구비된 록킹돌기(720)는 회전부재(462)를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으로부터 빠져나와 록킹홈(710)과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어, 레버(463)의 회전시의 힘을 전달받은 작동부재(470)가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때, 회전부재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5)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인입 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140)에 출력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은 음성출력부(140)는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 1 샤프트(411)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지고,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은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420)를 가압하여 구간 이동시킨다.
이어, 슬라이더부(420)의 구간이동으로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고,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어 래치볼트(441)가 커버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다. 이때, 개폐감지부(480)의 감지볼트(481)는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져 도 2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아울러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돌출된 감지볼트(481)가 출입문의 측벽에 의해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되고, 인입되는 감지볼트(481)를 감지센서(484)가 감지하여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개폐감지부(48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전송받아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45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로부터 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타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타 방향 회전시킨다. 아울러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가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476)가 커버의 제 2 출입공(520)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1차 잠금시킨다.
이때, 회전부재(462)에 구비된 록킹돌기(720)는 회전부재(462)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에 삽입된다.
아울러, 회전부재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5)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돌출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도어가 잠금 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푸시앤풀부재(210)에 결합된 제 1 샤프트(411)가 록킹돌기(720)에 걸림되어 구간 이동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푸시앤풀부재(210)는 물론 제 1 샤프트(411)가 이동되지 않게 된다. 즉 손잡이부(300)는 눌러지지도 않고 당겨지지도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은 제 1 잠금장치(410)는 래치볼트(441)의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슬라이더부(420)가 움직이지 않아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타고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래치볼트(441)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볼트(441)가 움직이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441)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에 구비된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에 형성된 록킹홈으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허용되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고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일체형 활주부가 이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에 구비된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에 형성된 록킹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며, 이로 인하여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잠금장치에 전달되지 못함으로써 래치볼트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래치볼트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는 구조에 맞추어 손잡이를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고, 캐릭터나 미려한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를 실내 인테리어에 따라 수시로 교체시킬 수 있어 장식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로고, 상표, 마크 등이 새겨진 손잡이를 간편하게 장착시켜 광고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특히, 유치원이나 학교, 학원 등의 교실 문 손잡이를 다양한 캐릭터로 각 반의 특색을 살려 각 반을 구분할 수 있고, 아이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특히,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은 활주부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에 연동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져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한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닫혔을 때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관공서나 공연장 등 많은 인파가 출입하는 곳에서는 도어가 닫히더라도 자동으로 도어가 잠금되는 것은 차단하여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해지되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1: 제 1 하우징 102: 제 2 하우징
110: 키입력부 120: 제어부
130: 수동개방버튼부 140: 음성출력부
150: 인식부 160: 비상키홀
170: 오픈버튼부 180: 화제감지센서
190: 전원공급부 195: 보조 전원공급부
200: 푸시앤풀부 201: 제 1 고정브라켓
202: 푸시부재 203: 푸시부
204: 제 2 고정브라켓 201a,204a: 수용부
205: 풀부재 206: 풀부
207: 고정핀 210: 푸시앤풀부재
211: 탄성편 221: 결합홈
231: 홈 232: 탄성스프링
233: 스토퍼 241: 걸림돌기
251: 홈부 252: 단턱
261: 수나사산 271: 체결홀
300: 손잡이부 311: 결합홈
312: 핀홀 321: 콜렛트
322: 걸림턱 323: 조절노브
331: 관통공 341: 삽입홈
342: 로킹홈 351: 돌부
353: 체결너트 361: 암나사산
371: 결합공 373: 볼트
400: 도어록 해정부 410: 제 1 잠금장치
411: 제 1 샤프트 412: 가이드홀
420: 슬라이더부 421: 이동대
422: 캠블록 423: 활주안내부
424: 쿠션패드 430: 활주부
440: 래치 441: 래치볼트
442: 가이드부재 443: 복귀스프링
450: 구동부 460: 제 2 잠금장치
461: 제 2 샤프트 462: 회전부재
463: 레버 464: 돌출부
465: 안내홈 470: 작동부재
471: 지지핀 472: 가이드홀
473: 요입홈 474: 걸림홈
475: 텐션스프링 476: 데드볼트
480: 개폐감지부 481: 감지볼트
482: 수용부 483: 스프링
484: 감지센서 485: 검출센서
500: 커버 510,520,530: 제1, 제2, 제3 출입공
600: 동력전달부 610: 삽입홈
620: 슬롯 630: 탄성스프링
700: 록킹부 710: 록킹홈
720: 록킹돌기

Claims (29)

  1.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하우징에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앤풀부;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를 받아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도어록 해정부; 및
    상기 푸시앤풀부에 체결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체결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일단부 외측에 형성된 홈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형성된 돌부가 상호 끼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단턱이 상호 걸림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 외측면과 상기 단턱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1 잠금장치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이동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2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 결합형 활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부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6.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안내부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부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활주부는 상기 래치 또는 슬라이더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7.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8.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앤풀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된 일측면 중앙을 통해 타측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슬롯이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원통체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거나 또는 슬롯이 슬라이더부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원통체의 구간 이동시 슬라이더가 슬롯을 통해 원통체의 내부로 수용되는 것에 의해 원통체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동력전달부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개폐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 신호가 전송되어도 상기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수동개방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해정부에는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해정 동작을 감지하는 검출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해정 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에 인식된 정보와 기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도어록 해정부의 해정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인식부는 도어폰 카메라, 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홍체 인식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때,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오픈버튼부가 더 구비되고, 비상열쇠 삽입시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비상키홀이 더 구비되며,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화재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20140155808A 2014-11-11 2014-11-11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08A KR101593149B1 (ko) 2014-11-11 2014-11-11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08A KR101593149B1 (ko) 2014-11-11 2014-11-11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149B1 true KR101593149B1 (ko) 2016-02-16

Family

ID=5544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08A KR101593149B1 (ko) 2014-11-11 2014-11-11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13A1 (ko) * 2018-02-23 2019-08-29 주식회사 온페이스 정확하고 신속한 안면인식 도어락 장치
KR20190101853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온페이스 정확하고 신속한 안면인식 도어락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031A (ja) * 1997-01-31 1998-08-18 Shuichi Kadokawa 着脱式の鍋と取っ手
KR200424894Y1 (ko) * 2006-06-16 2006-08-28 주식회사 셰펠 탈착 가능한 손잡이를 갖는 조리기구
KR100909560B1 (ko) 2009-04-01 2009-07-27 윤병만 도어록 장치
KR100934781B1 (ko) 2009-03-17 2009-12-31 윤병만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KR20120000130U (ko) * 2010-06-29 2012-01-04 이영희 착탈식 손잡이가 설치된 주방 용기
KR20130117459A (ko) * 2012-04-17 2013-10-28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031A (ja) * 1997-01-31 1998-08-18 Shuichi Kadokawa 着脱式の鍋と取っ手
KR200424894Y1 (ko) * 2006-06-16 2006-08-28 주식회사 셰펠 탈착 가능한 손잡이를 갖는 조리기구
KR100934781B1 (ko) 2009-03-17 2009-12-31 윤병만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KR100909560B1 (ko) 2009-04-01 2009-07-27 윤병만 도어록 장치
KR20120000130U (ko) * 2010-06-29 2012-01-04 이영희 착탈식 손잡이가 설치된 주방 용기
KR20130117459A (ko) * 2012-04-17 2013-10-28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13A1 (ko) * 2018-02-23 2019-08-29 주식회사 온페이스 정확하고 신속한 안면인식 도어락 장치
KR20190101853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온페이스 정확하고 신속한 안면인식 도어락 장치
KR102066185B1 (ko) * 2018-02-23 2020-01-14 주식회사 온페이스 정확하고 신속한 안면인식 도어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363098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GB2458889A (en) Door lock having fingerprint reading device, keypad and mechanical locking means
KR101363148B1 (ko) 출입구 개폐장치
US20100251787A1 (en) Micro Motor Locking System
US6935149B1 (en) Electric door lock openable by key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1188995B1 (ko) 도어락
US11655669B2 (en) Lighted door jamb for an access door
US20140311197A1 (en) Door lock indicator
KR101593149B1 (ko)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9B1 (ko)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145971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CN209525725U (zh) 智能门铃
KR102122711B1 (ko)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KR101593329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49097B1 (ko)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KR102031324B1 (ko) 근접센서와 플랫형 터치패드를 구비한 도어록
KR102275749B1 (ko) 전자 잠금장치
KR101336542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72326B1 (ko) 도어록 장치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138B1 (ko)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US10128060B2 (en) Light switch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