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138B1 -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138B1
KR101593138B1 KR1020140155807A KR20140155807A KR101593138B1 KR 101593138 B1 KR101593138 B1 KR 101593138B1 KR 1020140155807 A KR1020140155807 A KR 1020140155807A KR 20140155807 A KR20140155807 A KR 20140155807A KR 101593138 B1 KR101593138 B1 KR 101593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push
slid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채희
Original Assignee
윤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희 filed Critical 윤채희
Priority to KR102014015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도어에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앤풀부와, 상기 푸시앤풀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키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며 상기 잠금키의 회전에 연동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도어록 해정부와, 상기 푸시앤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는 구조에 맞추어 손잡이를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고, 캐릭터나 미려한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를 실내 인테리어에 따라 수시로 교체시킬 수 있어 장식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로고, 상표, 마크 등이 새겨진 손잡이를 간편하게 장착시켜 광고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유치원이나 학교, 학원 등의 교실 문 손잡이를 다양한 캐릭터로 각 반의 특색을 살려 각 반을 구분할 수 있고, 아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본 발명은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현관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이중 잠금장치를 통해 보안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손잡이를 간단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의 양면에 각각 회전식 손잡이가 구비되고, 각 손잡이와 연동하는 래치가 도어의 단부에 돌출된 상태로 탄설되어 구현된다.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이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2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여야 도어가 개방된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개방동작이 어려웠다.
특히, 도어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연속적인 동작은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들이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방문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은 다음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얻어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또는 긴급한 피난을 요하는 화재, 홍수 등의 비상사태발생시 사용자가 당황하게 되면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신속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사용되어 조립이 어려우며, 제품의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이 부드럽지 못하고 개폐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조는 래치볼트만으로 도어를 잠그기 때문에 보안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하여 외부인이 출입하는 현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회전식 손잡이가 적용된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경우도, 데드볼트만으로 현관문을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도난의 위험성을 항상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의 인테리어를 다양하고 미려하게 연출하는 데 있어 도어의 손잡이는 기존의 단순한 모양이 항상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손잡이의 회전식 개폐구조가 아닌 밀고 당기는 개폐구조에 맞추어 손잡이의 다양한 변화가 필요하고, 변화된 손잡이를 쉽게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79909 (공고일 2005.03.28) 한국등록특허: 10-0909560 (공고일 2009.07.2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는 구조에 맞추어 손잡이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를 간단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 잠금장치를 통해 보안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에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앤풀부; 상기 푸시앤풀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키;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며 상기 잠금키의 회전에 연동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도어록 해정부; 및 상기 푸시앤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푸시앤풀부에 원터치 결합되거나 또는 체결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의 원터치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에 탄성편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 상기 탄성편이 끼움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끼울 때 상기 푸시앤풀부의 탄성편이 압축되었다가 상기 결합홈에서 복원되어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은 외향 경사지게 절곡시킨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분리시 상기 결합홈에 걸림된 탄성편을 가압하여 압축시킬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핀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원터치 결합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콜레트가 결합되고,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에 상기 콜레트에 물림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끼울 때 상기 콜레트의 역걸림턱이 상기 푸시앤풀부의 결합홈에 물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원터치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 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홈 내로 인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홈 외로 돌설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끼울 때 상기 스토퍼가 홈 내로 인입되었다가 관통공에서 돌출되어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원터치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에 외향 돌설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 상기 푸시앤풀부의 걸림돌기가 끼움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연장되는 로킹홈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일 방향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로킹홈에 위치되어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의 체결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일단부 외측에 형성된 홈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형성된 돌부가 상호 끼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단턱이 상호 걸림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 외측면과 상기 단턱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체결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앤풀부와 손잡이부가 상호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체결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재의 전면부에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푸시앤풀부재의 체결홀들에 대응하여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결합공과 상기 푸시앤풀부재의 체결홀에 볼트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1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이동하여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2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는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 결합형 활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는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부, 및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부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구성은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 모두 적용된다.
상기 활주안내부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부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활주부는 상기 래치 또는 슬라이더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래치는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잠금장치는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상기 잠금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푸시앤풀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상기 잠금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이 상기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슬라이더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간 이동시 슬라이더부가 슬롯을 통해 내부에 수용될 때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는 구조에 맞추어 손잡이를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고, 캐릭터나 미려한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를 실내 인테리어에 따라 수시로 교체시킬 수 있어 장식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로고, 상표, 마크 등이 새겨진 손잡이를 간편하게 장착시켜 광고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유치원이나 학교, 학원 등의 교실 문 손잡이를 다양한 캐릭터로 각 반의 특색을 살려 각 반을 구분할 수 있고, 아이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특히,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은 활주부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키의 잠금 선택시 데드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고, 푸시앤풀부재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잠금장치에 전달되지 않는 것에 의해 래치볼트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도난 방지 및 보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 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반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3 실시 예를 도시한 반 단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4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5 실시 예를 도시한 반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6 실시 예를 도시한 반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제 7 실시 예를 도시한 반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와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2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3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서 이탈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에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앤풀부(100)와, 푸시앤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200)와, 푸시앤풀부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키(300)와,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며 상기 잠금키의 회전에 연동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도어록 해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푸시앤풀부(100)는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는 중공의 제 1 고정브라켓(101)과 제 1 고정브라켓(101)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누름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부재(102)로 구성되는 푸시부(103), 및 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중공의 제 2 고정브라켓(104)과 제 2 고정브라켓(104)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당김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풀부재(105)로 구성되는 풀부(1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제 2 고정브라켓(101,104)은 중앙에 중공의 수용부(101a,104a)가 형성되고, 수용부(101a,104a)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도어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브라켓(101)과 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브라켓(104)은 도어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핀(10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고정브라켓(101)의 수용부(101a)에는 푸시부재(102)가 구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름 동작이 수행되고, 제 2 고정브라켓(102)의 수용부(102a)에는 풀부재(105)가 구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당김 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00)는 푸시부재(102) 및 풀부재(105)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손잡이부(200)는 푸시부재(102) 및 풀부재(105)에 원터치 결합되거나 또는 체결결합된다.
여기서, 푸시앤풀부(100)는 푸시부(103)와 풀부(106)를 함께 지칭한 것이고, 이하에서는 푸시부재(102)와 풀부재(105)를 푸시앤풀부재(110)라 지칭한다.
도 3 내지 도 10은 푸시앤풀부재와 손잡이부의 탈착 구조의 제 1 내지 제 7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7은 손잡이부가 푸시앤풀부재에 원터치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도 8 내지 도 10은 손잡이부가 푸시앤풀부재에 체결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10)와 손잡이부(200)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탈착구조는 푸시앤풀부재(110)의 외측면에 탄성편(111)이 구비되고, 손잡이부(200)의 내측면에 상기 탄성편(111)이 끼움되는 결합홈(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편(111)은 푸시앤풀부재(11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외향 경사지게 절곡시킨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홈(211)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핀 홀(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푸시앤풀부재(110)의 외측으로 손잡이부(200)를 끼워 넣으면 손잡이부(200)의 내측면에 의해 푸시앤풀부재(110)의 탄성편(111)이 가압되어 압축되었다가 가압력이 해제되는 결합홈(211)에서 복원되어 결합홈(211)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00)를 푸시앤풀부재(1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결합홈(211)에 형성된 핀 홀(212)에 핀을 넣어 결합홈(211)에 걸림된 탄성편(111)을 가압하여 압축시킨 다음 손잡이부(200)를 푸시앤풀부재(110)로부터 빼내면 쉽게 분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10)와 손잡이부(200)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탈착구조는 손잡이부(200)의 일단부에 콜렛트(221)가 결합되고, 푸시앤풀부재(110)의 외측면에 콜렛트에 물림되는 결합홈(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콜렛트(221)는 몸체 내부에는 걸림턱(222)이 형성되고, 몸체 외측에는 내경을 조절하는 조절노브(223)가 구비된다.
따라서, 콜렛트(221)의 조절노브(223)를 당겨 콜렛트(221)의 내경을 키운 상태에서 푸시앤풀부재(110)의 외측으로 손잡이부(200)를 끼워 넣은 다음 당기고 있던 조절노브(223)를 놓으면 콜렛트(221) 내부의 걸림턱(222)이 푸시앤풀부재(110)의 결합홈(121)에 물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00)를 푸시앤풀부재(1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콜렛트의 조절노브(223)를 당겨 콜렛트(221)의 내경을 키운 상태에서 푸시앤풀부재(110)로부터 손잡이부(200)를 빼내면 콜렛트 내부의 걸림턱(222)이 푸시앤풀부재(110)의 결합홈(121)으로부터 빠져나와 쉽게 분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10)와 손잡이부(200)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탈착구조는 푸시앤풀부재(110)의 외측면에 홈(131)이 형성되고, 홈(131)에는 탄성스프링(132)에 고정되는 스토퍼(133)가 안착된다. 즉, 스토퍼(133)는 외력이 가해지면 홈(131) 내로 인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홈(131) 외로 돌설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00)에는 스토퍼(133)가 삽입되는 관통공(231)이 형성된다.
따라서, 푸시앤풀부재(110)의 외측으로 손잡이부(200)를 끼워 넣으면 손잡이부(200)의 내측면에 의해 스토퍼(133)가 가압되어 홈(131) 내로 인입되었다가 가압력이 해제되는 관통공(231)에서 돌출되어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00)를 푸시앤풀부재(1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관통공(23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33)를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부(200)를 빼내면 쉽게 분리된다.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10)와 손잡이부(200)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탈착구조는 푸시앤풀부재(110)의 외측면에 외향 돌설되는 걸림돌기(141)가 좌우 또는 상하 양측으로 구비되고, 손잡이부(200)에는 손잡이부의 후면과 연통되어 푸시앤풀부재의 걸림돌기(141)가 끼움되는 삽입홈(241)과, 삽입홈(241)으로부터 연장되는 로킹홈(242)이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푸시앤풀부재(110)의 외측으로 손잡이부(200)를 끼워 푸시앤풀부재의 걸림돌기(141)가 손잡이부의 삽입홈(241)에 삽입되게 한 다음 손잡이부(200)를 일 방향 회전시키면 걸림돌기(141)가 로킹홈(242)에 위치되어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00)를 푸시앤풀부재(1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손잡이부(20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로킹홈(242)에 위치되어 있던 걸림돌기(141)가 삽입홈(241)에 위치되게 한 다음 푸시앤풀부재(110)로부터 손잡이부(200)를 빼내면 쉽게 분리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10)와 손잡이부(200)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탈착구조는 푸시앤풀부재(110)의 일단부 외측에 홈부(151)가 형성되고 손잡이부(200)의 내측에 돌부(251)가 형성되어 푸시풀부재의 홈부(151)와 손잡이부의 돌부(251)가 상호 끼움결합되고, 푸시앤풀부재(110)의 외측면에는 손잡이부(200)의 타단부가 걸림될 수 있는 위치에 단턱(152)이 돌설되어 손잡이부(200)의 타단부와 단턱(152)이 상호 지지되며, 손잡이부(200)의 타단부와 단턱(15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푸시앤풀부재(110)의 타단부 외측으로 체결너트(253)가 삽입되어 손잡이부(200)의 타단부 외측면과 단턱(152)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00)를 푸시앤풀부재(1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체결너트(253)를 풀고 푸시앤풀부재(110)의 홈부(151)에서 손잡이부의 돌부(251)를 빼내면 쉽게 분리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10)와 손잡이부(200)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탈착구조는 푸시앤풀부재(110)의 외측면에 수나사산(161)이 형성되고, 손잡이부(200)의 내측면에 암나사산(261)이 형성되며, 푸시앤풀부재(110)의 수나사산(161)에 손잡이부(200)의 암나사산(261)이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00)를 푸시앤풀부재(1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푸시앤풀부재(110)에 체결된 손잡이부(200)를 체결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풀어주면 쉽게 분리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10)와 손잡이부(200)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탈착 구조는 푸시앤풀부재(110)의 전면부에 복수 개의 체결홀(171)이 형성되고, 손잡이부(200)에는 푸시앤풀부재(110)의 체결홀(171)들에 대응하여 결합공(271)이 형성되며, 손잡이부의 결합공(271)과 푸시앤풀부재의 체결홀(171)에 볼트(273)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00)를 푸시앤풀부재(1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결합공(271)과 체결홀(171)에 체결된 볼트(273)를 풀어 주면 손잡이부와 푸시앤풀부재가 분리된다.
이처럼 손잡이부(200)는 푸시앤풀부재(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쉽게 교체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00)는 누르거나 당김이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캐릭터 형상이나 미려한 이미지 또는 로고, 마크 등을 이용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광고 및 장식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00)의 탈착 구조는 설명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손잡이부(200)가 푸시앤풀부재(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로 되돌아 가서, 푸시앤풀부재(110)의 중앙에는 잠금키(300)가 내설된다. 여기서, 잠금키(300))는 키뭉치 또는 조작레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잠금키(3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키뭉치의 키삽입홈 또는 조작레버의 조작면이 푸시앤풀부재(110)의 전면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잠금키(300)는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록 해정부(400)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해정부(400)는 푸시앤풀부재(1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여 푸시앤풀부재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1 잠금장치(410)와, 상기 잠금키(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푸시앤풀부재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2 잠금장치(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제 1, 제 2 잠금장치(410,450)의 외측에는 제 1, 제 2 잠금장치(410,45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 부품에 대응되는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제 1, 제 2 잠금장치(410,450)의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각각 출입되도록 일측면에 제 1, 제 2 출입공(510,520)이 형성되어 제 1, 제 2 잠금장치(410,450)를 보호하는 커버(500)가 구성된다.
먼저, 제 1 잠금장치(410)는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로 구분된다.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1 실시 예는 푸시앤풀부재(1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411)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420)와,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440) 결합형 활주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샤프트(411)는 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절개되어 개방되고, 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가이드홀(412)이 형성되며, 그 양단이 푸시앤풀부재(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손잡이부(200)를 누르거나 당겨 푸시앤풀부재(110)를 구간 이동시키면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푸시앤풀부재(110)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된다.
슬라이더부(420)는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421)와, 이동대(421)에 결합되고 일면에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는 캠블록(422)과, 캠블록(422)의 후면에 구비되어 캠블록(42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4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대(421)는 후술되는 제 2 잠금장치(450)의 제 2 샤프트(4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캠블록(422)은 이동대(421)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동대(421)의 구간 이동에 의해 이동되고 일면에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쿠션패드(424)는 캠블록(422)의 후면에 부착되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캠블록(422)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충격시의 소음발생을 방지한다.
그리고,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에는 활주부가 접촉된다. 여기서 활주부는 래치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래치(4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활주부(430)는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도 12 내지 도 14는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430) 및 활주안내부(423)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의 활주안내부(423)는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롤러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423)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부(4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롤러가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이때, 자유곡면은 롤러의 구간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롤러의 구름 동작은 힘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손에 느껴져 도어의 개방 동작이 감지되게 된다. 또한, 자유곡면에서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의 인출입을 빠르게 동작시킨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423)는 직선의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부(430)는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제 2 경사면이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래치(440)는 활주부(430)가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1)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부재(442)와,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되어 커버(5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출입공(510)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441)와, 가이드부재(442)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커버(500)의 내벽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가이드부재(44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귀스프링(44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귀스프링(443)은 평상시 가이드부재(442)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고, 이로 인하여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된 래치볼트(441)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가이드부재(442)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으로 가이드부재(442)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킨다.
이처럼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1 실시 예는 슬라이더부의 캠블록(422) 일면에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430)가 형성되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도 15 내지 도 17은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430) 및 활주안내부(423)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2 실시 예는 푸시앤풀부재(1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411)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된 슬라이더부(420)와,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어 활주부(430)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는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캠블록(422)에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 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활주부(430)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경사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자유곡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제 1 경사면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제 2 경사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이처럼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2 실시 예는 슬라이더부의 캠블록(422) 일면에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일체로 활주부(43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어 캠블록(420)의 구간 이동시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한편, 제 2 잠금장치(450)는 푸시앤풀부재(1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잠금키(3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451)와,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460)와,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470)와,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2 샤프트(451)는 잠금키(300)에 결합되어 잠금키(300)의 좌,우 회전시 잠금키(300)와 연동하여 좌,우 회전되고, 손잡이부(20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연동하여 구간 이동되도록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부재(460)는 제 2 샤프트(451)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제 2 샤프트(451)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작동부재(470)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461)가 구비된다. 이때, 레버(461)의 끝단부에는 돌출부(462)가 형성되고, 돌출부(462)의 외주면을 따라 안내홈(463)이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70)는 중앙면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472)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회전부재의 레버(461)가 걸림되는 요입홈(473)이 형성되며, 요입홈(473)의 상단 양 측벽에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4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핀(471)에는 회전부재(460)의 레버(46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레버(461)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텐션스프링(475))이 감김된다. 텐션스프링(475)은 지지핀(471)에 감김되는 일단이 커버(50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레버(461)의 돌출부에 형성된 안내홈(463)을 경유하여 커버의(500) 내측벽에 고정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도어락 해정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은 도어락 해정부에서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와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0은 도 19의 상태에서 푸시앤풀부재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잠금 상태는 제 2 잠금장치(450)의 데드볼트(480)가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10)에 구비된 잠금키(3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3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451)가 잠금키(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아울러 잠금키(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0)가 잠금키(300)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버(46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에는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가이드홀(472)에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가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회전되는 레버(461)는 요입홈(473)의 일측벽 걸림홈(474)에 걸림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460)의 레버(461)는 지지하고 있는 텐션스프링(475)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역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작동부재(470)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80)는 작동부재(470)의 이동에 의해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아울러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도 19의 상태에서 손잡이부(2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와 결합된 푸시앤풀부재(110)가 구간이동되고, 푸시앤풀부재(11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 1 샤프트(411)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은 제 2 샤프트(4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를 가압하여 이동대(421)를 구간 이동시키며, 이동대(421)의 이동은 이동대(421)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캠블록(422)을 구간 이동시킨다.
이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으로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울러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의 가이드부재(442)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며 아울러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된 래치볼트(441)가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부재(442)를 지지시키고 있던 복귀스프링(443)은 가이드부재(442)의 구간 이동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활주안내부(423)의 자유곡면은 활주부(430)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441)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430)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0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2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제 1 샤프트(411) 및 슬라이더부(420)를 구간 이동시키던 힘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슬라이더부(420)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이동한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는 역으로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제 1 샤프트(411)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가이드부재(442)는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443)의 복원력으로 이동 전 상태로 복귀되면서 커버(500)의 내측에 인입되어있는 래치볼트(441)를 밀어내고, 래치볼트(441)는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는 도 19의 상태가 된다.
한편,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는 푸시앤풀부재(110)에 구비된 잠금키(3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3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451)가 잠금키(300)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샤프트(45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0)가 제 2 샤프트(451)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1)를 회전시키며, 레버(46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80)는 커버의 제 2 출입공(52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도 18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도어록 해정부의 일 실시 예는 푸시앤풀부재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특히,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은 활주부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정확한 동작으로 인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활주부가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 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 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400)의 다른 실시 예는 도어록 해정부(400)의 일 실시 예의 구성에서 푸시앤풀부재(1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슬라이더부(4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00)가 더 부가된 것이다.
여기서, 동력전달부(600)는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잠금키(3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슬라이더부(4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동력전달부(600)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 중앙에 제 2 샤프트(451)가 관통되는 삽입홈(610)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620)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제 1 샤프트(411)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600)의 개방된 일측면 전방에는 슬라이더부(420)가 위치되고, 동력전달부(60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630)이 장착된다.
이때, 동력전달부(600)는 제 1 샤프트(411)에 형성된 가이드홀(412)의 일측 단부보다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동력전달부(600)를 통해 슬라이더부(420)에 전달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샤프트(451)는 동력전달부(600)의 개방된 일측면 중앙을 통해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홈(610)으로 삽입되어 관통되고, 삽입홈(610)을 관통한 제 2 샤프트(451)의 끝단부에 잠금키(300)가 결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600)는 잠금키(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 2 샤프트(451)의 회전력에 의해 좌,우 회전되고, 좌, 우 회전방향에 따라 원통체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420)의 이동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또는 대응되게 위치된다.
도 22의 (a),(b)는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3의 (a),(b)는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 푸시앤풀부재(110)에 구비된 잠금키(3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3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451)가 잠금키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 2 샤프트(45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0)는 제 2 샤프트(451)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1)를 일 방향 회전시키고, 레버(46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는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80)는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451)로부터 잠금키(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600)는 제 2 샤프트(45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600)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어긋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2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411)를 통해 동력전달부(6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은 동력전달부(6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를 가압하여 슬라이더부(420)를 구간 이동시키고,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으로 슬라이더부(420)의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아울러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가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어 래치볼트(441)가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2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는 푸시앤풀부재(110)에 구비되는 잠금키(3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3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451)가 잠금키(300)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샤프트(45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0)가 제 2 샤프트(451)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1)를 회전시키며, 레버(46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80)는 커버의 제 2 출입공(52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1차 잠금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451)로부터 잠금키(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600)는 제 2 샤프트(45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600)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2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411)를 통해 동력전달부(6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동력전달부(6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가 동력전달부에 형성된 슬롯(620)으로 삽입되어 동력전달부(60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부(420)는 움직이지 않게 되며 래치볼트(441)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부(420)가 움직이지 않아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타고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래치볼트(441)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볼트(441)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441)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
아울러, 동력전달부(600)는 슬라이더부가 동력전달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부 내부에 구비된 탄성스프링이 압축되고,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200)를 놓게 되면 탄성스프링(630)의 복원력에 의해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잠금키의 잠금 해제 선택시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동력전달부의 슬롯 위치가 슬라이더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푸시앤풀부재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됨으로써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 일체형 활주부가 이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잠금키의 잠금 선택시에는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동력전달부의 슬롯 위치가 제 1 잠금장치의 슬라이더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푸시앤풀부재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동력전달부에 전달되더라도 슬라이더부가 동력전달부의 슬롯 내부로 인입되어 동력을 전달받지 못함으로써 래치볼트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서 이탈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6은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일 실시 예의 구성에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록킹부(700)가 더 부가된 것이다.
록킹부(700)는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샤프트(411)에 록킹홈(710)이 형성되고, 제 2 잠금장치의 회전부재(460)의 외측면에 록킹돌기(720)가 구비되어 회전부재(460)의 회전방향에 따라 록킹돌기(720)가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에 결합되거나 결합 해지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것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 푸시앤풀부재(110)에 구비된 잠금키(3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3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451)가 잠금키(300)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아울러 잠금키(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0)가 잠금키(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에 삽입된 레버(461)를 회전시키며, 레버(46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480)가 커버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때, 회전부재(460)에 구비된 록킹돌기(720)는 회전부재(460)를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으로부터 빠져나와 록킹홈(710)과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와 결합된 푸시앤풀부재(11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 1 샤프트(411)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지고,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은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420)를 가압하여 구간 이동시킨다.
이어 슬라이더부(420)의 구간이동으로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고,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어 래치볼트(441)가 커버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2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져 도 24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는 푸시앤풀부재(110)에 구비된 잠금키(3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3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451)가 잠금키(300)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아울러 제 2 샤프트(45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0)가 잠금키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버(46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480)가 커버의 제 2 출입공(52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1차 잠금시킨다.
이때, 회전부재(460)에 구비된 록킹돌기(720)는 회전부재(46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200)를 누르거나 당기면 푸시앤풀부재(110)와 같이 구간 이동되는 제 1 샤프트(411)가 록킹돌기(720)에 걸림되어 구간 이동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푸시앤풀부재(110)는 물론 제 1 샤프트(411)가 이동되지 않게 된다. 즉 손잡이부(200)가 눌러지지도 않고 당겨지지도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푸시앤풀부재(1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은 제 1 잠금장치(410)는 래치볼트(441)의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슬라이더부(420)가 움직이지 않아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타고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래치볼트(441)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볼트(441)가 움직이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441)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잠금키의 잠금 해제시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에 구비된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에 형성된 록킹홈으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허용되며, 푸시앤풀부재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고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일체형 활주부가 이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잠금키의 잠금 선택시에는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에 구비된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에 형성된 록킹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며, 이로 인하여 푸시앤풀부재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잠금장치에 전달되지 못함으로써 래치볼트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래치볼트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현관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푸시앤풀부재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은 활주부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확한 동작으로 인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활주부가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 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키의 잠금 선택시 데드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고, 푸시앤풀부재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잠금장치에 전달되지 않는 것에 의해 래치볼트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짐으로써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도난 방지 및 보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회전식이 아닌 눌림식으로 작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재 발생시 도어 부분이 녹는 경우 회전작동이 불가능한데, 눌림식의 경우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푸시앤풀부 101: 제 1 고정브라켓
102: 푸시부재 103: 푸시부
104: 제 2 고정브라켓 101a,104a: 수용부
105: 풀부재 106: 풀부
107: 고정핀 110: 푸시앤풀부재
111: 탄성편 121: 결합홈
131: 홈 132: 탄성스프링
133: 스토퍼 141: 걸림돌기
151: 홈부 152: 단턱
161: 수나사산 171: 체결홀
200: 손잡이부 211: 결합홈
212: 핀홀 221: 콜렛트
222: 걸림턱 223: 조절노브
231: 관통공 241: 걸림돌기
242: 로킹홈 251: 돌기
253: 체결너트 261: 암나사산
271: 결합공 273: 볼트
300: 잠금키 400: 도어록 해정부
410: 제 1 잠금장치 411: 제 1 샤프트
412: 가이드홀 420: 슬라이더부
421: 이동대 422: 캠블록
423: 활주안내부 424: 쿠션패드
430: 활주부 440: 래치
441: 래치볼트 442: 가이드부재
443: 복귀스프링 450: 제 2 잠금장치
451: 제 2 샤프트 460: 회전부재
461: 레버 462: 돌출부
463: 안내홈 470: 작동부재
471: 지지핀 472: 가이드홀
473: 요입홈 474: 걸림홈
475: 텐션스프링 480: 데드볼트
500: 커버 510,520: 제 1, 제 2 출입공
600: 동력전달부 610: 삽입홈
620: 슬롯 630: 탄성스프링
700: 록킹부 710: 록킹홈
720: 록킹돌기

Claims (25)

  1. 도어에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앤풀부;
    상기 푸시앤풀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키;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며 상기 잠금키의 회전에 연동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도어록 해정부; 및
    상기 푸시앤풀부에 체결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체결 결합은 상기 푸시앤풀부의 일단부 외측에 형성된 홈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형성된 돌부가 상호 끼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와 상기 푸시앤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단턱이 상호 걸림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 외측면과 상기 단턱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1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이동하여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2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 결합형 활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부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6.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안내부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부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활주부는 상기 래치 또는 슬라이더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7.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8.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장치는 상기 푸시앤풀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상기 잠금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앤풀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상기 잠금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이 상기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슬라이더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간 이동시 슬라이더부가 슬롯을 통해 내부에 수용될 때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20140155807A 2014-11-11 2014-11-11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07A KR101593138B1 (ko) 2014-11-11 2014-11-11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07A KR101593138B1 (ko) 2014-11-11 2014-11-11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138B1 true KR101593138B1 (ko) 2016-02-16

Family

ID=5544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07A KR101593138B1 (ko) 2014-11-11 2014-11-11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1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031A (ja) * 1997-01-31 1998-08-18 Shuichi Kadokawa 着脱式の鍋と取っ手
KR200379909Y1 (ko) 2005-01-03 2005-03-28 주식회사 디엘시스템 도어록장치의 도어손잡이 교체가 가능한 착탈구조
KR200424894Y1 (ko) * 2006-06-16 2006-08-28 주식회사 셰펠 탈착 가능한 손잡이를 갖는 조리기구
KR100909560B1 (ko) 2009-04-01 2009-07-27 윤병만 도어록 장치
KR20120000130U (ko) * 2010-06-29 2012-01-04 이영희 착탈식 손잡이가 설치된 주방 용기
KR20130117459A (ko) * 2012-04-17 2013-10-28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031A (ja) * 1997-01-31 1998-08-18 Shuichi Kadokawa 着脱式の鍋と取っ手
KR200379909Y1 (ko) 2005-01-03 2005-03-28 주식회사 디엘시스템 도어록장치의 도어손잡이 교체가 가능한 착탈구조
KR200424894Y1 (ko) * 2006-06-16 2006-08-28 주식회사 셰펠 탈착 가능한 손잡이를 갖는 조리기구
KR100909560B1 (ko) 2009-04-01 2009-07-27 윤병만 도어록 장치
KR20120000130U (ko) * 2010-06-29 2012-01-04 이영희 착탈식 손잡이가 설치된 주방 용기
KR20130117459A (ko) * 2012-04-17 2013-10-28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148B1 (ko) 출입구 개폐장치
US8505345B2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press button in an inner handle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CN113383140B (zh) 具有可在一侧被锁住的门把的门配件
US11359407B2 (en) Depressible lock with rotating display
KR20110036425A (ko) 도어락
KR10181048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593138B1 (ko)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4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1739812B1 (ko) 손잡이 교체형 푸시풀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149B1 (ko)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TWM541496U (zh) 可上鎖的鎖蓋總成
KR101593328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2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147B1 (ko) 손잡이 교체형 출입구 개폐장치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572326B1 (ko) 도어록 장치
KR101805680B1 (ko) 푸시풀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5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200436140Y1 (ko)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TWI609125B (zh) Lockable lock cover assembly
TWI608154B (zh) Keyhole shielding device
KR101810481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200446702Y1 (ko)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CN221002306U (zh) 门把手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