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482B1 -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482B1
KR101810482B1 KR1020160061284A KR20160061284A KR101810482B1 KR 101810482 B1 KR101810482 B1 KR 101810482B1 KR 1020160061284 A KR1020160061284 A KR 1020160061284A KR 20160061284 A KR20160061284 A KR 20160061284A KR 101810482 B1 KR101810482 B1 KR 101810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opening
shaft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728A (ko
Inventor
윤채희
Original Assignee
윤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희 filed Critical 윤채희
Priority to KR102016006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48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구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변환하는 제 1 개폐유닛; 상기 제 1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래치유닛; 상기 손잡이부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키; 상기 잠금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제 2 개폐유닛; 및 상기 제 2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데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유닛은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래치하우징과, 상기 래치하우징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이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2 결합부가 구비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에 일측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와, 상기 래치헤드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 및 래치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개폐유닛과 결합되는 래치바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래치바가 관통되는 스토퍼홀이 형성되어 상기 래치바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몸체에 탄지되는 스프링의 미는 힘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울기를 갖음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하고,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스프링의 반대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본 발명은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현관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정확하고 부드러운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며, 이중 잠금장치를 통해 보안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의 양면에 각각 회전식 손잡이가 구비되고, 각 손잡이와 연동하는 래치가 도어의 단부에 돌출된 상태로 탄설되어 구현된다.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이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2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여야 도어가 개방된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개방동작이 어려웠다.
특히, 도어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연속적인 동작은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들이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은 다음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얻어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또는 긴급한 피난을 요하는 화재, 홍수 등의 비상사태발생시 사용자가 당황하게 되면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신속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사용되어 조립이 어려우며, 제품의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이 부드럽지 못하고 개폐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조는 래치유닛만으로 도어를 잠그기 때문에 보안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하여 외부인이 출입하는 현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회전식 손잡이가 적용된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경우도, 데드유닛만으로 현관문을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도난의 위험성을 항상 지니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래치유닛은 도어의 닫힘시와 개방시를 고려하여 래치헤드의 형상이 직선면과 호형의 원호면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형상의 래치헤드는 도어의 개방시 래치헤드의 직선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어를 빠르게 개방시키면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여 도어틀의 홈에 걸리게 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래치헤드의 끝단이 도어틀을 빠져나오기 전까지는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래치헤드의 끝단이 도어틀을 빠져나오는 순간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게 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 동작이 부드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909560 (공고일 2009.07.27) 한국등록특허: 10-0934781 (공고일 2009.12.3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고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이 부드럽고 정확한 개방동작이 이루어지며, 이중 잠금장치를 통해 보안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시 래치유닛의 래치바의 이동에 따라 래치헤드가 래치하우징 내로 인입되다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게 함으로써 종래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에 걸려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고, 아울러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종래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렸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린이 및 노약자와 같이 손힘이 약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구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변환하는 제 1 개폐유닛; 상기 제 1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래치유닛; 상기 손잡이부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키; 상기 잠금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제 2 개폐유닛; 및 상기 제 2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데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유닛은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래치하우징과, 상기 래치하우징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이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2 결합부가 구비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에 일측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와, 상기 래치헤드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 및 래치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개폐유닛과 결합되는 래치바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래치바가 관통되는 스토퍼홀이 형성되어 상기 래치바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몸체에 탄지되는 스프링의 미는 힘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울기를 갖음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하고,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스프링의 반대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가이드몸체와 연동하여 이동하다가 래치하우징에 밀려 수직으로 세워지고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래치바의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에는 길이가 래치바보다 짧고 경사면의 돌출턱이 형성되며 타단이 개폐유닛에 결합된 슬라이드바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경사면의 돌출턱에 걸리는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유닛의 구동에 따른 슬라이드바의 이동시 상기 스토퍼의 기지돌기가 돌출턱의 경사면을 타고 승강하여 스토퍼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지지하고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바는 단면의 형상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바가 관통되는 스토퍼홀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와 래치하우징에는 각각 래치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육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의 이면과 래치하우징의 후방 내측벽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몸체를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상기 래치헤드가 래치하우징의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지시키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하우징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중공의 몸체 후방을 커버하는 후면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헤드는 상기 제 1 결합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가 접촉되는 면에 곡면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래치바가 결합되는 면에는 상기 래치바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편이 형성되고, 래치헤드의 원호면 하단부에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에 걸리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면 하단부에는 상기 래치바의 이동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래치헤드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유도경사면을 갖는 안내편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개폐유닛은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활주체가 결합되는 래치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활주체는 상기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개폐유닛은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체가 구비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활주체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체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체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활주체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활주안내부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주체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주체는 상기 래치이송부 또는 슬라이더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이송부는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개폐유닛은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잠금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텐션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상기 잠금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이 상기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슬라이더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간 이동시 슬라이더부가 슬롯을 통해 내부에 수용될 때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현관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체에 의해 제 1 개폐유닛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개폐유닛의 활주체가 자유곡면의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 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부드러운 개방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동작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개폐유닛의 동작에 연동하여 래치유닛의 래치바가 이동하면서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가 수용부 내로 인입되고 아울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에 따라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빠져나오기 때문에 종래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렸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키의 잠금 선택시 데드유닛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고,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개폐유닛에 전달되지 않는 것에 의해 래치유닛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짐으로써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도난 방지 및 보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이 및 노약자와 같이 손힘이 약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회전식이 아닌 눌림식으로 작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재 발생시 도어 부분이 녹는 경우 회전작동이 불가능한데, 눌림식의 경우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1 개폐유닛의 활주체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래치유닛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래치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래치유닛을 결합하여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13은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에 F1의 힘이 작용할 때 기울기를 갖는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도어의 개방시 래치바에 F2의 힘이 작용하여 래치바가 이동되면 기울어진 스토퍼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바의 이동을 허용하는 동작과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래치유닛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결합 단면도로서,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에 F1의 힘이 작용할 때 기울기를 갖는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6의 결합 단면도로서, 도어의 개방시 개폐유닛의 구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바가 먼저 당겨져 이동하고, 슬라이드바의 이동에 스토퍼의 지지돌기가 경사면의 돌출턱을 타고 승강하여 스토퍼가 수직이 되게 지지함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바의 이동을 허용하는 동작과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래치유닛과 데드유닛이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제 2 개폐유닛의 동작에 연동하는 데드유닛이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개폐유닛과 연동되는 래치유닛의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5의 (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2 개폐유닛의 잠금 해지시 동력전달부가 제 1 개폐유닛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6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2 개폐유닛의 잠금시 동력전달부가 제 1 개폐유닛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2 개폐유닛의 잠금 해지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서 이탈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어 래치유닛의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부로 인입되어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 2 개폐유닛의 잠금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고,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며, 도 4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제 1 개폐유닛의 활주체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형태들을 설명하고, 도 10 내지 도 20을 참고로 하여 래치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21을 참고로 하여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설명하고, 도 22를 참고로 하여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며, 도 23을 참고로 하여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래치유닛의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됨과 동시에 회전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설명한다. 또한, 도 24 내지 도 26은 동력전달부의 동력전달 여부에 따른 제 1, 제 2 개폐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고, 도 27 내지 도 29는 제 2 개폐유닛의 잠금 여부에 따라 록킹돌기와 록킹홈이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100)와,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여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1 개폐유닛(200)과, 제 1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래치유닛(300)과, 손잡이부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키(400)와, 잠금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잠금키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이동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개폐유닛(500); 상기 제 2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데드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제 1, 제 2 개폐유닛(200,500)의 외측에는 제 1, 제 2 개폐유닛(200,50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 부품에 대응되는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래치유닛(300)의 래치헤드와 데드유닛(600)의 데드볼트가 각각 출입되도록 일측면에 제 1, 제 2 출입공(710,720)이 형성되어 제 1, 제 2 개폐유닛(200,500)를 보호하는 커버(700)가 구성된다.
먼저, 도어의 일면과 이면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손잡이부(100)가 설치된다.
손잡이부(100)는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손잡이부(10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 이동이 이루어진다.
손잡이부(10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10)과, 고정브라켓(110)에 일단부가 끼움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120)로 구성된다.
고정브라켓(110)은 중앙에 중공의 수용부(111)가 형성되고, 수용부(111)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도어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0)과 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0)은 도어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핀(1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파지부(120)는 사용자의 손으로 잡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지부(120)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목부가 고정브라켓의 수용부(111)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면서 수용부(1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된다.
제 1 개폐유닛(200)은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로 구분된다.
먼저, 제 1 개폐유닛(200)의 제 1 실시 예는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210)와,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223)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220)와,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2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2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활주체(230)가 결합되는 래치이송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샤프트(210)는 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절개되어 개방되고, 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가이드홀(211)이 형성되며, 그 양단이 손잡이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손잡이부(100)를 누르거나 당겨서 수평 이동시키면 누름 및 당김 동작에 따른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손잡이부(100)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된다.
슬라이더부(220)는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221)와, 이동대(221)에 결합되고 일면에 활주안내부(223)가 형성되는 캠블록(222)과, 캠블록(222)의 후면에 구비되어 캠블록(22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2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대(221)는 후술되는 제 2 개폐유닛(500)의 제 2 샤프트(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210)의 가이드홀(211)을 통해 제 1 샤프트(2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캠블록(222)은 이동대(221)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동대(221)의 구간 이동에 의해 이동되고 일면에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2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쿠션패드(224)는 캠블록(222)의 후면에 부착되어 캠블록(222)의 구간 이동시 캠블록(222)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충격시의 소음발생을 방지한다.
그리고, 캠블록(222)에 형성된 활주안내부(223)에는 래치이송부(240)에 결합되는 활주체(230)가 접촉된다.
래치이송부(240)는 제 1 샤프트(210)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래치유닛(300)이 결합되는 결합공(242)이 형성되며, 제 1 샤프트(210)와 교차되도록 제 1 샤프트(210)를 가로질러 배치된다. 그리고, 래치이송부(240)의 내측에는 활주안내부(2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활주체(230)가 결합된다.
활주체(230)는 활주안내부(2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이송부(240)를 구간 이동시킨다.
도 4 내지 도 6은 제 1 개폐유닛의 캠블록에 형성된 활주안내부 및 래치이송부에 구비된 활주체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222)의 활주안내부(223)는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이송부의 활주체(2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222)의 구간 이동시 활주체(230)인 롤러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2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이송부(240)를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223)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체(2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222)의 구간 이동시 활주체(230)인 롤러가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2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이송부(240)를 구간이동시킨다. 이때, 자유곡면은 롤러의 구간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롤러의 구름 동작이 힘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손에 느껴져 도어의 개방동작이 감지되게 된다. 또한, 자유곡면에서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활주체(2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이송부(240)의 인출입을 빠르게 동작시킨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223)는 직선의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체(230)는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222)의 구간 이동시 활주체(230)인 제 2 경사면이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223)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이송부(240)를 구간이동시킨다.
그리고, 제 1 개폐유닛(200)의 제 2 실시 예는 손잡이부(1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210)와,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체(230)가 형성된 슬라이더부(220)와, 활주체(2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223)가 형성되어 활주체(230)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슬라이더부(2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이송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개폐유닛(200)의 제 2 실시 예는 제 1 개폐유닛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캠블록(222)에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 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체(230)가 형성되고, 래치이송부(240)에 활주체(230)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223)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제 1 개폐유닛의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캠블록에 형성된 활주체 및 래치이송부에 형성된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222)에 형성된 활주체(2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이송부(2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223)가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2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체(230)인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223)의 경사면이 활주체(230)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이송부(240)를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222)에 형성된 활주체(2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이송부(2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223)가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2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체(230)인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223)의 자유곡면이 활주체(2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이송부(240)를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222)에 형성된 활주체(230)가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이송부(2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223)가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2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체(230)인 제 1 경사면에 접촉된 활주안내부(223)의 제 2 경사면이 활주체(2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이송부(240)를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이처럼 제 1 개폐유닛(200)의 제 2 실시 예는 슬라이더부의 캠블록(222) 일면에 제 1 샤프트(210)의 수평 이동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체(230)가 형성되고, 래치이송부(240)에 일체로 활주체(23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223)가 형성되어 캠블록(220)의 구간 이동시 래치이송부(240)를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그리고, 래치이송부(240)는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귀스프링(243)에 탄지된다.
복귀스프링(243)은 일단이 커버(700)의 내벽에 결합되고, 타단이 래치이송부(240)의 결합되어 래치이송부(2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래치이송부(240)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래치이송부(240)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래치이송부(240)의 결합공(242)에는 래치유닛(300)이 결합된다.
도 10 내지 도 20은 래치유닛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여기서, 래치유닛은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로 구분된다. 즉, 도 10 내지 도 15에는 래치유닛의 제 1 실시 예가 도시되고, 도 16 내지 도 20에는 래치유닛의 제 2 실시 예가 도시된다.
먼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유닛(300)의 제 1 실시 예는 래치하우징(310)과, 가이드몸체(320)와, 래치헤드(330)와, 래치바(340)와, 스토퍼(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래치하우징(310)은 내부에 수용부(317)가 구비되고, 수용부의 일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312)가 형성되며, 개구부가 외부를 향하도록 도어의 측면에 삽입 장착된다.
그리고, 래치하우징(310)은 일면에 개구부(312)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311)와, 중공의 몸체(311) 내에 가이드몸체, 래치헤드, 래치바, 스토퍼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중공의 몸체(311) 후방을 커버하는 후면판(313)이 결합되어 수용부(317)를 형성한다. 그리고, 후면판(313) 중앙에는 후술되는 래치바(340)의 후단부가 통과되는 제 1 관통공(314)이 형성되고, 제 1 관통공(314)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가 출입되는 구멍(3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래치하우징(310)의 수용부(317) 내에 가이드몸체(320)가 삽입된다.
가이드몸체(320)는 외면이 래치하우징의 수용부(317) 내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용부(317)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수용부(317)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당기거나 미는 힘의 가해지면 수용부(317) 내면을 따라 접촉되는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몸체(320)는 일면의 상단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결합부(322)가 구비되고, 이면의 상단에 외향 돌출되는 제 2 결합부(323)가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래치바(340)가 통과되는 제 2 관통공(324)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몸체(320)의 제 1 결합부(322)에는 래치헤드(330)가 결합된다.
래치헤드(330)는 도어의 닫힘시와 개방시를 고려하여 직선면과 호형의 원호면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래치헤드(330)의 일측 상단 즉, 직선면의 일단에는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322)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편(331)이 형성된다.
래치헤드(330)의 제 1 결합편(331)은 가이드몸체(320)의 제 1 결합부(322)와 힌지(332)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는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때, 힌지(332)에는 일단이 제 1 결합부(322)에 결합되고 타단이 래치헤드의 제 1 결합편(331)에 결합되는 스프링(333)이 감기며, 스프링(333)은 래치헤드(330)의 회전시 복원력을 부여한다.
또한, 래치헤드(330)에는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322)가 접촉되는 면에 곡면의 홈(334)이 형성된다. 곡면의 홈(334)은 래치헤드(300)의 회전시 제 1 결합부(322)와 마찰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래치헤드(330)의 후면에는 래치바(34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편(335)이 형성되고, 제 2 결합편에는 장홀(336)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몸체(320)의 이면과 래치하우징(310)의 후면판(313) 사이에는 가이드몸체(320)를 탄성력으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337)이 장착된다.
탄성스프링(337)은 가이드몸체(320)의 이면에 형성된 홈(321)과 후면판(313)에 형성된 돌기(316)에 끼움되어 장착되고, 탄성력으로 가이드몸체(320)를 밀어서 래치헤드(330)가 래치하우징의 개구부(312)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지시킨다.
이로 인하여 가이드몸체(320)의 제 1 결합부(322)에 결합된 래치헤드(330)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31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래치헤드(330)의 원호면 하단부에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312) 내측 턱에 걸리는 단턱(338)이 형성되고, 단턱(338)은 래치헤드(33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나 복귀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여 래치헤드(330)가 개구부(312)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한다.
그리고, 래치헤드(330)의 제 2 결합편(335)에는 래치바(340)가 결합된다.
래치바(340)는 일단부에 핀홀(341)이 형성되고 래치헤드의 제 2 결합편(335)에 형성된 장홀(336)에 핀홀(341)이 포개져서 핀(342) 결합된다. 그리고, 래치바(340)의 타단부는 가이드몸체(320)에 형성된 제 2 관통공(324)과 래치하우징의 후면판(313)에 형성된 제 1 관통공(314)을 통과하여 손잡이부(100)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하는 개폐유닛(200)과 결합된다.
여기서, 래치바(340)는 단면의 형상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래치바(340)가 통과되는 제 1, 제 2 관통공(314,324)은 육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그리고, 래치바(340)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면 이에 연동하는 개폐유닛의 동작과 연동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된다.
즉,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힘(F2)이 작용하여 래치바(340)가 힘(F2)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래치바(340)에 결합된 래치헤드(330)가 래치바(340)의 이동방향으로 이끌려 가게 되는데 이때, 래치헤드(330)가 결합된 가이드몸체(320)도 함께 이끌려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330)가 래치하우징의 수용부(317) 내로 인입되고, 아울러 가이드몸체(320)의 제 2 결합부(323)에 결합된 스토퍼(350)가 래치하우징의 후면판(313)에 걸려 가이드몸체(32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래치바(340)가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330)가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게 된다.
이때, 가이드몸체(320)의 하단부에는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는 래치헤드(330)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유도경사면(326)을 갖는 안내편(325)이 일체로 구비된다.
안내편(325)은 래치헤드(330)의 회전각과 동일한 곡면의 유도경사면(326)을 형성하여 힌지(332)를 중심으로 젖혀지는 래치헤드(33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한다.
여기서, 래치헤드(330)가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는 동작은 래치바(340)가 힘(F2)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래치바(340)가 래치헤드(330)를 당기는 힘에 의해 젖혀질 수도 있지만, 역으로 래치헤드(330)의 직선면에 힘(F1)이 가해질 때 래치헤드가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으로 인해 래치바(340)가 이동되는 동작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어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려는 의도가 아닌 도어에 외력이 가해져 래치헤드(330)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도어가 임의로 열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래치헤드(330)에 외력이 가해질 때는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기 때문에 래치헤드(330)가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바(3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50)가 구비된다.
스토퍼(350)는 일단이 가이드몸체(320)의 제 2 결합부(3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래치바(340)가 관통되는 스토퍼홀(351)이 형성되어 래치바(340)의 외측에 끼워진다. 그리고, 가이드몸체(320)의 이면에 탄지되는 스프링(352)의 미는 힘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울기를 갖는다.
여기서, 스토퍼(350)의 일단은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323)에 핀 결합되어 회전될 수도 있고, 제 2 결합부(323)에 스토퍼(350)의 일단이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토퍼의 스토퍼홀(351)은 래치바(340)의 형상과 동일하게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육각형 형상의 스토퍼홀(351)은 스토퍼(350)의 기울기에 의해 경사지며, 경사진 스토퍼홀(351)이 래치바(340)의 외면을 물어 래치바(340)의 이동을 구속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헤드(33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스토퍼(350)의 구속에 의해 래치바(340)가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래치헤드(330)가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아울러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스토퍼(350)는 스프링(352)의 미는 힘의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경사진 스토퍼홀(351)이 수평의 상태가 되면서 래치바(34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개방시 개폐유닛(200)의 연동에 따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힘(F2)이 작용하면 래치바(340)가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래치바(340)에 결합된 래치헤드(330)와 함께 가이드몸체(320)가 이끌려 래치바(34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울러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323)에 결합된 스토퍼(350)도 이동하여 래치하우징(310)의 후면판(313)에 닿게 되면서 후면판에 밀려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다. 이때, 스토퍼홀(351)이 래치바(340)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바(340)의 이동을 허용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헤드(330)는 래치바(340)의 이동에 이끌려 래치하우징의 수용부(317) 내로 인입되고 가이드몸체(320)의 제 2 결합부(323)에 결합된 스토퍼(350)가 래치하우징의 후면판(313)에 걸려 가이드몸체(32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래치바(340)가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33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래치유닛의 제 1 실시 예는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에 F1의 힘이 작용하면 기울기를 갖는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어의 개방시 래치바에 F2의 힘이 작용하여 래치바가 이동되면 가이드몸체와 함께 이동된 스토퍼가 래치하우징의 후면판에 밀려 수직에 가깝게 세워짐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고 아울러 구속이 해제된 래치바의 이동에 이끌려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어를 빠르고 부드럽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유닛의 제 2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게 래치하우징(310)과, 가이드몸체(320)와, 래치헤드(330)와, 래치바(340)와, 스토퍼(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래치하우징(310)과 가이드몸체(320)와 래치헤드(330)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래치하우징과 가이드몸체와 래치헤드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이 존재하는 래치바(340)와 스토퍼(35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바(340)는 일단부에 형성된 핀홀(341)이 래치헤드의 제 2 결합편(335)에 형성된 장홀(336)과 핀(342) 결합되고, 타단부가 가이드몸체에 형성된 제 2 관통공(324)과 래치하우징의 후면판(313)에 형성된 제 1 관통공(314)을 통과하여 손잡이부(100)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하는 개폐유닛(200)과 결합된다.
이에 더하여 래치바(340)의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343)이 형성되고, 가이드홀(343)에는 슬라이드바(344)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가이드홀(343)은 래치바(340)의 끝단에서 개방된 형태이고, 슬라이드바(344)는 가이드홀(343) 내외부로 인출입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바(344)는 일면에 경사면(346)을 갖는 돌출턱(345)이 형성되고 타단이 개폐유닛(200)에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드바(344)의 길이는 래치바(340)보다 짧게 형성되어 개폐유닛(200)에 결합시 슬라이드바(344)의 끝단이 래치바(340)의 끝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개폐유닛(200)의 구동시 슬라이드바(344)가 먼저 당겨져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드바(344)의 끝단이 래치바(340)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때 래치바(340)가 같이 당겨져 이동하게 된다.
스토퍼(350)는 일단이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3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래치바(340)와 슬라이드바(344)가 관통되는 스토퍼홀(351)이 형성되어 래치바(340)와 슬라이드바(344)의 외측에 끼워진다. 그리고, 스토퍼(350)의 타단에는 슬라이드바(344)에 형성된 돌출턱(345)의 경사면(346)에 대응되도록 지지돌기(353)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몸체의 이면에 탄지되는 스프링(352)의 미는 힘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울기를 갖는다.
이때, 스토퍼홀(351)은 스토퍼(350)의 기울기에 의해 경사지며, 경사진 스토퍼홀(351)이 래치바(340)와 슬라이드바(344)의 외면을 물어 래치바(340)의 이동을 구속하고 아울러 지지돌기(353)가 돌출턱의 경사면(346)에 걸려 슬라이드바(344)의 이동을 구속한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헤드(330)에 외력(F1)이 가해지더라도 스토퍼(350)의 구속에 의해 래치바(340) 및 슬라이드바(344)가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래치헤드(330)가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아울러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한편, 스토퍼(350)는 스프링(352)의 미는 힘의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직에 가깝게 세워지고 아울러 경사진 스토퍼홀(351)이 수평의 상태가 되면서 래치바(34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개방시 개폐유닛(200)의 구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바(344)가 래치바(340) 보다 먼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슬라이드바(344)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의 지지돌기(353)가 돌출턱의 경사면(346)을 타고 승강하여 돌출턱(345)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지지돌기(353)는 스프링(352)의 미는 힘의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스토퍼(350)를 지지하는 힘을 가하게 되므로 스토퍼(350)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스토퍼홀(351)이 래치바(340)와 수평이 되는 상태가 되어 래치바(34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344)의 끝단이 래차바(340)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개폐유닛의 구동에 의해 래치바(340)와 슬라이드바(344)가 같이 힘(F2)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래치바(340)의 이동에 이끌려 래치헤드(330)는 래치하우징의 수용부(317) 내로 인입되고 가이드몸체(320)는 수용부(317)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50)가 래치하우징(310)의 후면판(313)에 걸려 가이드몸체(32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래치바(340)가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33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게 된다.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330)에 F1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기울기를 갖는 스토퍼의 스토퍼홀(351)이 래치바(340)의 이동을 구속하고 동시에 스토퍼의 지지돌기(353)가 슬라이드바의 돌출턱(345)에 걸려 래치바(340)의 이동을 구속함에 따라 래치헤드(330)의 회전이 방지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래치유닛의 제 2 실시 예는 도어의 개방에 따른 개폐유닛의 구동시, 힘(F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바가 먼저 당겨져 이동되고, 슬라이드바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의 지지돌기가 돌출턱의 경사면을 타고 승강되어 스토퍼가 수직이 되게 지지함에 따라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며, 래치바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래치바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래치바의 부드러운 이동과 동시에 래치헤드의 원활한 회전으로 도어의 안정적인 개방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손잡이부(100)의 파지부 중앙에는 잠금키(400)가 내설된다.
여기서, 잠금키(400)는 키뭉치 또는 조작레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잠금키(4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키뭉치의 키삽입홈 또는 조작레버의 조작면이 파지부(120)의 전면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개폐유닛(500)은 손잡이부(1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잠금키(4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510)와,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520)와,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2 샤프트(510)는 잠금키(400)에 결합되어 잠금키(400)의 좌,우 회전시 잠금키(400)와 연동하여 좌,우 회전되고, 손잡이부(10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연동하여 구간 이동되도록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부재(520)는 제 2 샤프트(510)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제 2 샤프트(510)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작동부재(530)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521)가 구비된다. 이때, 레버(521)의 끝단부에는 돌출부(522)가 형성되고, 돌출부(522)의 외주면을 따라 안내홈(5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부재(530)는 중앙면에 커버(7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531)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532)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회전부재의 레버(521)가 걸림되는 요입홈(533)이 형성되며, 요입홈(533)의 상단 양 측벽에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5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핀(531)에는 회전부재(520)의 레버(52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레버(521)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텐션스프링(535))이 감김된다. 텐션스프링(535)은 지지핀(531)에 감김되는 일단이 커버(70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레버(521)의 돌출부에 형성된 안내홈(523)을 경유하여 커버의(700) 내측벽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 2 개폐유닛(500)의 작동부재(530)에는 데드유닛이 결합된다.
데드유닛은 작동부재(530)에 결합되어 커버에 형성된 제 2 출입공(720)으로 인출입되는 데드볼트(600)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은 제 1 개폐유닛에 연동되는 래치유닛의 래치헤드와 제 2 개폐유닛에 연동되는 데드유닛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제 2 개폐유닛의 동작에 연동되는 데드유닛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3은 도 22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개폐유닛의 동작에 연동되는 래치유닛의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잠금 상태는 데드유닛의 데드볼트(600)가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잠금키(4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4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510)가 잠금키(4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아울러 잠금키(4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520)가 잠금키(400)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530)의 요입홈(533)에 삽입된 레버(52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버(52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530)가 레버(52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530)에는 커버(7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531)이 가이드홀(532)에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53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530)가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회전되는 레버(521)는 요입홈(533)의 일측벽 걸림홈(534)에 걸림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520)의 레버(521)는 지지하고 있는 텐션스프링(535)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역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작동부재(530)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재(530)에 결합된 데드볼트(600)는 작동부재(530)의 이동에 의해 커버(700)의 제 2 출입공(72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아울러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도 22의 상태에서 손잡이부(1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의 파지부(120)가 구간 이동되고, 파지부(12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 1 샤프트(210)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어,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은 제 2 샤프트(4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210)의 가이드홀(211)을 통해 제 1 샤프트(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221)를 가압하여 이동대(221)를 구간 이동시키며, 이동대(221)의 이동은 이동대(221)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캠블록(222)을 구간 이동시킨다.
이어 캠블록(222)의 구간 이동으로 활주안내부(223))에 접촉된 활주체(230)가 활주안내부(2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울러 활주체(2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이송부(240)가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며 아울러 래치이송부(240)에 결합된 래치유닛의 래치헤드(330)가 커버(700)의 제 1 출입공(7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래치이송부(240)를 탄지시키고 있던 복귀스프링(243)은 래치이송부(240)의 구간 이동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래치유닛은 래치이송부(240)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래치바(340)가 구간 이동되고, 래치바의 이동으로 래치바(340)에 결합된 래치헤드(330)와 함께 가이드몸체(320)가 이끌려 래치바(34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울러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322)에 결합된 스토퍼(350)도 이동하여 래치하우징(310)의 후면판(313)에 닿게 되면서 후면판에 밀려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다. 이때, 스토퍼홀(351)이 래치바(340)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바(340)의 이동을 허용한다.(도 14 참조)
이어, 래치바(340)의 계속적인 이동으로 래치헤드(330)는 래치바(340)에 이끌려 래치하우징의 수용부(317) 내로 인입되고 가이드몸체(320)의 제 2 결합부(323)에 결합된 스토퍼(350)가 래치하우징의 후면판(313)에 걸려 가이드몸체(32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래치바(340)가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33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면서 도어를 개방시킨다.
이때, 스토퍼(350)를 탄지시키는 스프링(352)은 가이드몸체(320)의 이동과 스토퍼(350)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되고, 래치이송부(270)의 후방에 탄설된 복귀스프링(280) 및 래치유닛의 가이드몸체(320)를 탄지시키는 탄성스프링(337)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도 15 참조)
여기서, 활주체가 활주안내부의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시 래치이송부 및 래치바의 빠른 이송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젖혀짐으로써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래치이송부의 활주체가 슬라이더의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개방동작의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3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1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제 1 샤프트(210) 및 슬라이더부(220)를 구간 이동시키던 힘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슬라이더부(220)의 활주안내부(223)를 따라 이동한 활주체(230)는 역으로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223)를 따라 제 1 샤프트(210)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래치이송부(240)는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243)의 복원력으로 이동 전 상태로 복귀된다.
래치이송부(240)의 복귀는 래치바(340)에 작용하던 힘(F2)이 제거되는 상태가 되므로 가이드몸체(320)의 이동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되어 있던 탄성스프링(337)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몸체(320)가 원위치로 이동한다.
아울러 래치헤드(330)는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33)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을 하여 래치하우징(310)의 개구부(31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스토퍼(350)는 가이드몸체(320)의 이동 및 스프링(352)의 미는 힘에 의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울기를 갖게 되며, 스토퍼홀(351)이 래치바(340)의 외면을 물어 래치바(340)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가 된다(도 13참조). 즉, 래치헤드(330)가 래치하우징(310)의 외측 즉, 커버의 제 1 출입공(710)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는 도 22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2의 상태가 되면, 래치유닛(300)은 도 13에서 설명했듯이 래치헤드(330)에 외력(F1)이 가해지더라도 스토퍼(350)의 구속에 의해 래치바(340)가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래치헤드(330)가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아울러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즉,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어에 외력이 가해져 래치헤드(330)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는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잠금키(4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4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510)가 잠금키(400)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샤프트(5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520)가 제 2 샤프트(510)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530)의 요입홈(533)에 삽입된 레버(521)를 회전시키며, 레버(52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530)가 레버(52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530)의 가이드홀(532)에 커버(7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53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53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53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530)에 결합된 데드볼트(600)는 커버의 제 2 출입공(72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도 21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일 실시 예의 구성에 손잡이부(1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슬라이더부(2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800)가 더 부가된 것이다.
여기서, 동력전달부(800)는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잠금키(4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슬라이더부(2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동력전달부(800)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 중앙에 제 2 샤프트(510)가 관통되는 삽입홈(810)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820)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제 1 샤프트(210)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800)의 개방된 일측면 전방에는 슬라이더부(220)가 위치되고, 동력전달부(80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부의 이동대(221)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830)이 장착된다.
이때, 동력전달부(800)는 제 1 샤프트(210)에 형성된 가이드홀(211)의 일측 단부보다 슬라이더부의 이동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동력전달부(800)를 통해 슬라이더부(220)에 전달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샤프트(510)는 동력전달부(800)의 개방된 일측면 중앙을 통해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홈(810)으로 삽입되어 관통되고, 삽입홈(810)을 관통한 제 2 샤프트(510)의 끝단부에 잠금키(400)가 결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800)는 잠금키(4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 2 샤프트(510)의 회전력에 의해 좌,우 회전되고, 좌, 우 회전방향에 따라 원통체에 형성된 슬롯(820)이 슬라이더부(220)의 이동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또는 대응되게 위치된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5의 (a), (b)는 잠금키의 일 방향 회전에 따른 제 2 개폐유닛의 잠금 해지시 동력전달부가 제 1 개폐유닛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6의 (a),(b)는 잠금키의 타 방향 회전에 따른 제 2 개폐유닛의 잠금시 동력전달부가 제 1 개폐유닛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잠금키(4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4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510)가 잠금키(4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샤프트(5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520)가 제 2 샤프트(510)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530)의 요입홈에 삽입된 레버(521)를 일 방향 회전시키며, 레버(52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530)가 레버(52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530)의 가이드홀(532)에는 커버(7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53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53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53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530)에 결합된 데드볼트(600)는 커버(700)의 제 2 출입공(7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510)로부터 잠금키(4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800)는 제 2 샤프트(5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800)에 형성된 슬롯(8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221)와 어긋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210)를 통해 동력전달부(8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80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어, 동력전달부(800)의 구간 이동은 동력전달부(8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221)를 가압하여 슬라이더부(220)를 구간 이동시키고, 슬라이더부(220)의 구간 이동으로 슬라이더부(220)의 활주안내부(223)에 접촉된 활주체(230)가 활주안내부(2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2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아울러 활주체(2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이송부(240)가 슬라이더부(220)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어 래치유닛의 래치바(340)를 이동시킴에 따라 래치바(340)에 결합된 래치헤드(330)가 커버(700)의 제 1 출입공(7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과 동시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1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는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잠금키(4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4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510)가 잠금키(400)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샤프트(5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520)가 제 2 샤프트(510)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530)의 요입홈(533)에 삽입된 레버(521)를 회전시키며, 레버(52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530)가 레버(52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530)의 가이드홀(532)에 커버(7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53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53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53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530)에 결합된 데드볼트(600)는 커버의 제 2 출입공(72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1차 잠금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510)로부터 잠금키(4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800)는 제 2 샤프트(5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800)에 형성된 슬롯(8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2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210)를 통해 동력전달부(8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80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동력전달부(8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221)가 동력전달부에 형성된 슬롯(820)으로 삽입되어 동력전달부(80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부(220)는 움직이지 않게 되며 래치유닛의 래치헤드(330)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래치유닛의 래치헤드(330)가 돌출된 상태에서 기울기를 갖는 스토퍼(350)는 스토퍼홀(351)이 래치바(340)의 외면을 물어 래치바(340)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래치헤드(330)에 외력(F1)이 가해지더라도 래치헤드(330)가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래치바(340)가 이동되지 않게 되어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즉,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래치헤드(33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래치헤드(330)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헤드(330)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330)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
아울러, 동력전달부(800)는 슬라이더부가 동력전달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부(800) 내부에 구비된 탄성스프링(830)이 압축되고,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100)를 놓게 되면 탄성스프링(830)의 복원력에 의해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로서, 제 2 개폐유닛의 잠금 해지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서 이탈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어 제 1 개폐유닛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9는 제 2 개폐유닛의 잠금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일 실시 예의 구성에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록킹부(900)가 더 부가된 것이다.
록킹부(900)는 제 1 개폐유닛의 제 1 샤프트(210)에 록킹홈(910)이 형성되고, 제 2 개폐유닛의 회전부재(520)의 외측면에 록킹돌기(920)가 구비되어 회전부재(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록킹돌기(920)가 제 1 샤프트(210)의 록킹홈(910)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지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210)의 구간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것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잠금키(4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4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510)가 잠금키(400)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아울러 잠금키(4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520)가 잠금키(4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530)의 요입홈에 삽입된 레버(521)를 회전시키며, 레버(52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530)가 레버(52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600)가 커버의 제 2 출입공(7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100)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때, 회전부재(520)에 구비된 록킹돌기(920)는 회전부재(520)를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210)의 록킹홈(910)으로부터 빠져나와 록킹홈(910)과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10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 1 샤프트(210)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지고,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은 제 1 샤프트(210)의 가이드홀(211)을 통해 제 1 샤프트(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220)를 가압하여 구간 이동시킨다.
이어 슬라이더부(220)의 구간이동으로 활주안내부(223)에 접촉된 활주체(230)가 활주안내부(223)를 따라 구간 이동하고, 활주체(2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이송부(240)가 제 1 샤프트(21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어 래치헤드(330)가 커버의 제 1 출입공(7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1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져 도 27과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는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잠금키(40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레버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키(400)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샤프트(510)가 잠금키(400)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아울러 제 2 샤프트(5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520)가 잠금키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530)의 요입홈(533)에 삽입된 레버(52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버(52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530)가 레버(52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600)가 커버의 제 2 출입공(720)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1차 잠금시킨다.
이때, 회전부재(520)에 구비된 록킹돌기(920)는 회전부재(52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210)의 록킹홈(910)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100)와 같이 구간 이동되는 제 1 샤프트(210)가 록킹돌기(920)에 걸림되어 구간 이동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100)는 물론 제 1 샤프트(210)가 이동되지 않게 된다. 즉 손잡이부(100)는 눌러지지도 않고 당겨지지도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1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은 제 1 개폐유닛(200)은 동작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유닛의 래치헤드(330)는 커버의 제 1 출입공(710)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350)는 래치바(340)의 이동을 구속하기 때문에 래치헤드(330)에 외력(F1)이 가해지더라도 래치헤드(330)가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래치바(340)가 이동되지 않게 되어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즉,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래치헤드(33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래치헤드(330)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헤드(330)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330)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체에 의해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특히, 활주체가 활주안내부의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시 래치이송부 및 래치바의 빠른 이송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젖혀짐으로써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래치이송부의 활주체가 슬라이더의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개방동작의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정확한 동작으로 인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활주체가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 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개폐유닛의 동작에 연동하여 래치유닛의 래치바가 이동하면서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가 수용부 내로 인입되고 아울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는 과정에서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빠져나오기 때문에 종래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잠금키의 잠금 선택시 데드유닛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고,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개폐유닛에 전달되지 않는 것에 의해 래치유닛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짐으로써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도난 방지 및 보안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린이 및 노약자와 같이 손힘이 약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손잡이부 110: 고정브라켓
111: 수용부 112: 고정핀
120: 파지부 200: 제 1 개폐유닛
210: 제 1 샤프트 211: 가이드홀
220: 슬라이더부 221: 이동대
222: 캠블록 223: 활주안내부
224: 쿠션패드 230: 활주체
240: 래치이송부 242: 결합공
243: 복귀스프링
300: 래치유닛 310: 래치하우징
311: 몸체 312: 개구부
313: 후면판 314: 제 1 관통공
315: 구멍 316: 돌기
317: 수용부 320: 가이드 몸체
321: 홈 322: 제 1 결합부
323: 제 2 결합부 324: 제 2 관통공
325: 안내편 326: 유도경사면
330: 래치헤드 331: 제 1 결합편
332: 힌지 333: 스프링
334: 곡면의 홈 335: 제 2 결합편
336: 장홀 337: 탄성스프링
338: 단턱 340: 래치바
341: 핀홀 342: 핀
343: 가이드홀 344: 슬라이드바
345: 돌출턱 346: 경사면
350: 스토퍼 351: 스토퍼홀
352: 스프링 353: 지지돌기
400: 잠금키
500: 제 2 개폐유닛 510: 제 2 샤프트
520: 회전부재 521: 레버
522: 돌출부 523: 안내홈
530: 작동부재 531: 지지핀
532: 가이드홀 533: 요입홈
534: 걸림홈 535: 텐션스프링
600: 데드볼트 700: 커버
710,720: 제 1, 제 2 출입공 800: 동력전달부
810: 삽입홈 820: 슬롯
830: 탄성스프링 900: 록킹부
910: 록킹홈 920: 록킹돌기

Claims (28)

  1.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구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변환하는 제 1 개폐유닛; 상기 제 1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래치유닛; 상기 손잡이부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키; 상기 잠금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제 2 개폐유닛; 및 상기 제 2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데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유닛은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래치하우징과, 상기 래치하우징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이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2 결합부가 구비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에 일측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와, 상기 래치헤드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 및 래치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개폐유닛과 결합되는 래치바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래치바가 관통되는 스토퍼홀이 형성되어 상기 래치바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몸체에 탄지되는 스프링의 미는 힘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울기를 갖음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하고,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스프링의 반대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가이드몸체와 연동하여 이동하다가 래치하우징에 밀려 수직으로 세워지고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바의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에는 길이가 래치바보다 짧고 경사면의 돌출턱이 형성되며 타단이 개폐유닛에 결합된 슬라이드바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경사면의 돌출턱에 걸리는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유닛의 구동에 따른 슬라이드바의 이동시 상기 스토퍼의 기지돌기가 돌출턱의 경사면을 타고 승강하여 스토퍼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지지하고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바는 단면의 형상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바가 관통되는 스토퍼홀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와 래치하우징에는 각각 래치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육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의 이면과 래치하우징의 후방 내측벽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몸체를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상기 래치헤드가 래치하우징의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지시키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하우징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중공의 몸체 후방을 커버하는 후면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헤드는 상기 제 1 결합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가 접촉되는 면에 곡면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래치바가 결합되는 면에는 상기 래치바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편이 형성되고, 래치헤드의 원호면 하단부에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에 걸리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면 하단부에는 상기 래치바의 이동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래치헤드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유도경사면을 갖는 안내편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폐유닛은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활주체가 결합되는 래치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체는 상기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폐유닛은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체가 구비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활주체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체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체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체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6.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안내부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체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8.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체는 상기 래치이송부 또는 슬라이더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19.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이송부는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0.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폐유닛은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잠금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상기 잠금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이 상기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슬라이더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간 이동시 슬라이더부가 슬롯을 통해 내부에 수용될 때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20160061284A 2016-05-19 2016-05-19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84A KR101810482B1 (ko) 2016-05-19 2016-05-19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84A KR101810482B1 (ko) 2016-05-19 2016-05-19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728A KR20170130728A (ko) 2017-11-29
KR101810482B1 true KR101810482B1 (ko) 2017-12-20

Family

ID=6081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284A KR101810482B1 (ko) 2016-05-19 2016-05-19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2928A (zh) * 2019-03-25 2019-07-05 深圳市旭源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指纹抽屉锁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728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644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entrance
KR101668632B1 (ko) 방범·방충창용 자동 록킹장치
KR10181048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20180136184A (ko) 초기 개방이 쉬운 미닫이문용 댐퍼 장치
KR101810484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2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US9556645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front entrance
KR101810480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810485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KR100686609B1 (ko) 도어 록 장치
KR20110003030U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1593328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1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674167B1 (ko) 무전원 방식 양방향 구동 모티스
KR10196289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620207B1 (ko) 이중 잠금장치
KR101593138B1 (ko) 손잡이 교체형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JP2010007236A (ja) 係合係脱装置
KR200446702Y1 (ko)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JP4081749B2 (ja) 扉装置
KR200293324Y1 (ko) 도어랫치의 잠금 해제장치
KR101805680B1 (ko) 푸시풀 출입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