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711B1 -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Google Patents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2711B1 KR102122711B1 KR1020190014290A KR20190014290A KR102122711B1 KR 102122711 B1 KR102122711 B1 KR 102122711B1 KR 1020190014290 A KR1020190014290 A KR 1020190014290A KR 20190014290 A KR20190014290 A KR 20190014290A KR 102122711 B1 KR102122711 B1 KR 1021227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door
- handle
- groove
- clas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6—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essentially defining a completely closed surface together with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68—Spring arrangements in locks made of one piece with a lock par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37—Powered actuators with automatic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by non-powered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에 관한 것으로써,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걸쇠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걸쇠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슬라이더에 조립되는 도어핸들 및 상기 도어핸들을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대해 도어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직선운동변환부를 포함하여, 도어가 잠금 상태일 때는 도어핸들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보안성이 향상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관문과 같은 건축용 도어에 사용되는 도어락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잠금 상태에서는 도어에 인입되는 플러시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힌지(4)에 의해 일측이 문틀(미도시)에 결합되고, 도어(1)의 타측에 형성되는 도어락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락은 외부핸들(2)과 걸쇠(3)를 포함하고, 외부핸들(2)과 걸쇠(3)에 의해 잠금, 잠금해제, 열림 및 닫힘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더 상세하게는 걸쇠(3)는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는 사용자의 인증(키 삽입, 비밀번호 입력, 카드 접촉, 지문 인식 등)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래치볼트는 상기 외부핸들의 조작(회전, 밀림 등)에 의해 잠금이 해제된다. 이러한 도어(1)를 열고 닫는 힘이 도어(1)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5)의 힘보다 강하면 도어(1)가 힌지(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락의 구조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3396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3396호'의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는 사용자가 실외핸들을 통해 래치볼트를 작동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구성과, 키입력부 또는 카드접촉부를 통해 데드볼트를 해제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락의 경우 래치볼트의 해제와 데드볼트의 해제가 별도의 동작으로 이루어지고 링크 구조로 되어있어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실외 핸들이 항상 도어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이 해제되면 누구나 손쉽게 문을 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한 디자인이 2013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작 중 방범 강화 도어락(Concealed Door Lock)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범 강화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카드키를 대면 손잡이가 튀어 나오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사용자 인증 후 손잡이가 튀어나오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을 뿐, 도어락의 잠금 해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구조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Ssangyong Engineering & Construction. Concealed Door Lock. iF WORLD DESIGN GUIDE, [online], [2018년 12월 11일 검색], 인터넷: <URL: https://ifworlddesignguide.com/entry/107524-concealed-door-lock>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잠금 상태에는 도어에 인입되고,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도어에 인출되며, 상기 인입 및 인출 동작에 의해 도어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은,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걸쇠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걸쇠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슬라이더에 조립되는 도어핸들과,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걸쇠의 잠금해제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도어핸들을 도어에서 인출되게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걸쇠의 잠금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도어핸들을 도어에 인입되게 슬라이딩시키는 직선운동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핸들은 상기 슬라이더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경사장공과, 상기 경사장공을 따라 이동되게 상기 도어핸들에 설치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더 내에 배치되는 이동너트와, 상기 이동너트에 체결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를 복귀시키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복귀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 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이동너트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이동너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이동너트에는 상기 센서를 누를 수 있는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이동너트는 상기 돌기가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에 배치되게 상기 슬라이더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핸들의 외측에는 입력부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어의 내측에서 누를 수 있게 설치되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어의 내측에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 방향으로 수동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보조걸쇠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어의 내측에서 도어를 당길 수 있는 보조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걸쇠가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가 상기 걸쇠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만으로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하여 구조가 단순해진다.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의해 도어핸들이 도어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도어의 잠금시엔 상기 도어핸들이 도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아 방범 기능이 강화된다.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경사장공과 상기 경사장공 및 상기 도어핸들에 설치되는 핀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도어핸들이 하나로 조립되어 구조가 단순해지고, 부품수가 감소하여 원가가 절감된다.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로 인해, 상기 도어핸들이 전동으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으로 인해, 상기 도어핸들 인입시 손이나 옷이 끼이는 것이 방지 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구동부에 포함된 이동너트를 상기 슬라이더와 분리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상기 도어핸들에 끼었을 경우에도 상기 도어핸들을 당겨 손을 빼낼 수 있어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이 설치된 현관문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에서 보조걸쇠를 잠근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도(막음판 제외).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범퍼부재의 정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도어핸들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도어핸들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걸쇠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걸쇠의 배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슬라이더의 정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슬라이더의 배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막음판의 정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상태의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배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상태의 배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손끼임 방지 상태의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손끼임 방지 상태의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에서 보조걸쇠를 잠근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도(막음판 제외).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범퍼부재의 정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도어핸들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도어핸들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걸쇠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걸쇠의 배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슬라이더의 정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슬라이더의 배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막음판의 정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상태의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배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상태의 배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손끼임 방지 상태의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손끼임 방지 상태의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은 도어(10)의 외측 및 내측 방향을 의미하며, 좌우방향은 도어(10)의 외측을 기준으로 도어(10)의 좌우방향을 의미하고, 상하방향은 도어(10)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실외에서 봤을 때 도어(10)의 우측이 문틀에 고정되는 현관문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600)와, 슬라이더(1600)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메인걸쇠(1420)와, 슬라이더(1600)를 메인걸쇠(142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방향(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1700) 및 슬라이더(1600)에 조립되는 도어핸들(1200)과, 도어핸들(1200)을 슬라이더(1600)의 슬라이딩에 대해 도어(1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직선운동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부는 슬라이더(1600)에 형성되는 제1,2경사장공(1601,1602)과, 제1,2핀(1301,1302)을 포함한다.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핸들(1200)이 도어(10)에 인입되어 있을 때는 메인걸쇠(1420)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도어가 잠기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핸들(1200)이 도어(10) 전방으로 인출되어 있을 때는 메인걸쇠(1420)가 우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메인걸쇠(1420) 외에 보조걸쇠(1430)를 더 포함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상태에 위치에 있는 보조걸쇠(1430)를 좌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걸쇠(1430)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도어가 이중으로 잠기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
하우징(1100)은 도 8 내지 도 10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100)은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전면부(1191)와, 전면부(1191)의 둘레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둘레부(1192)와, 둘레부(1192)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1193)로 구성된다. 돌출부(1193)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세하게는 외측이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전면부(1191)와 둘레부(1192)로 이루어진 공간은 상기 공간에 가로로 형성되는 제1분리판(1150) 및 제2분리판(1160)에 의해 상하부로 나뉜다.
제1분리판(1150)은 후술할 제3가이드부(1104) 및 제1센서 설치홈(1105)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2분리판(1160)은 후술할 도어핸들 관통공(1101)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1분리판(1150)은 제2분리판(1160)의 바로 우측에 배치되고, 제1분리판(1150)은 제2분리판(116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1분리판(1150)은 우측이 둘레부(1192)의 하부와 연결되고, 좌측이 제2분리판(1160)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하우징(1100)의 중앙부에는 도어핸들(1200) 및 슬라이더(1600)가 배치되고, 하우징(1100)의 우측부에는 구동부(1700)가 배치되고, 하우징(1100)의 좌측부에는 걸쇠부(1400)가 배치된다.
하우징(1100)에는 도어핸들 관통공(1101)이 하우징(1100)의 중앙부에서 좌측부까지 길게 형성된다. 도어핸들 관통공(1101)은 도어핸들(1200)의 전면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측이 원호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어핸들 관통공(1101)은 도어핸들(1200)의 전면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도어핸들 관통공(1101)과 도어핸들(12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해준다.
둘레부(1192)의 상부와 제2분리판(1160)의 상부에는 제1가이드부(1102) 및 제2가이드부(1103)가 도어핸들 관통공(1101)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102)는 도어핸들 관통공(1101)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도어핸들(1200) 및 슬라이더(1600)에 삽입된 제1,2핀(1301,1302)과, 슬라이더(16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제1가이드부(1102)는 각각이 좌측과 우측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제1가이드부(1102)의 좌측 및 우측은 전후방향으로 곧게 이어지는 직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1102)에 의해 제1,2핀(1301,1302)은 제1가이드부(1102)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103)는 도어핸들 관통공(110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더(16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제2가이드부(1103)는 전후방향으로 곧게 이어지는 직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1100)의 우측 하부에는 2개의 제1센서 설치홈(1105)이 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된다. 제1센서 설치홈(1105)은 상부의 일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테두리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센서(21a,21b)는 제1센서 설치홈(1105)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방된 부위를 통해 눌리게 된다.
하우징(1100)의 우측 중앙에는 3개의 제3가이드부(1104)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1104)는 도어핸들 관통공(1101)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3가이드부(1104)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1104)의 후방에는 리드스크류 설치홈(1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중간부에 배치되는 제3가이드부(1104)의 전후 폭의 길이는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제3가이드부(1104)의 전후 폭의 길이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후술할 리드스크류 설치홈(1131)에 설치되는 리드스크류(1724) 및 리드스크류(1724)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 각각의 중간부 및 상부와 하부가 제3가이드부(1104)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돌출부(1193)의 좌측 하부에는 버튼 설치홈(1106)이 형성된다. 버튼 설치홈(1106)은 우측 일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테두리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22)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설치된다.
돌출부(1193)의 좌측 상부에는 걸쇠 관통홈(1107)이 형성된다. 걸쇠 관통홈(1107)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후술할 보조걸쇠(1430)의 제1보조걸쇠돌기(1431)가 걸쇠 관통홈(1107)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제1보조걸쇠돌기(1431)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둘레부(1192)의 좌측 상부에는 슬라이더 관통홈(1108)이 형성된다. 슬라이더 관통홈(1108)은 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후술할 슬라이더(1600)의 메인걸쇠걸림부(1608)가 슬라이더 관통홈(1108)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둘레부(1192)의 후방에는 막음판 삽입홈(1109)이 형성된다. 막음판 삽입홈(1109)은 슬라이더 관통홈(1108)이 형성되는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에 형성된다. 막음판 삽입홈(1109)의 외측면은 둘레부(1192)의 외측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막음판 삽입홈(1109)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에는 전방으로 함몰되게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후술할 막음판(1800)의 하우징삽입돌기(1801)가 끼워진다.
하우징(1100)의 전면 외측은 후술할 범퍼부재(1500)와 결합된다. 도어핸들 관통공(1101)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제1범퍼체결부(1113)가 형성된다. 도어핸들 관통공(1101)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는 복수의 제2범퍼체결부(1114)가 형성된다. 제2범퍼체결부(1114)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도어핸들 관통공(1101)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제1범퍼체결부(1113)와 제2범퍼체결부(1114) 사이 및 제2범퍼체결부(1114)와 제2범퍼체결부(1114) 사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태로 제3범퍼체결부(1115)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1100)과 범퍼부재(1500)는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의 우측 하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제1모터 설치홈(1121)이 형성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의 상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웜기어 설치홈(1122)이 형성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 및 웜기어 설치홈(1122)은 제3가이드부(1104)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 및 웜기어 설치홈(1122)과 제3가이드부(1104) 사이에는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가 형성된다.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는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의 상부가 둘레부(1192)와 연결되고,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의 하부가 제1분리판(1150)에 연결되게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의 우측 및 하측은 둘레부(1192)에 의해 막히고, 제1모터 설치홈(1121)의 상측은 제1모터 설치홈(1121)과 웜기어 설치홈(1122)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에 막히고, 제1모터 설치홈(1121)의 좌측은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 및 제1분리판(1150)에 의해 막힌다.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의 상하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홈이 형성된다.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의 상부에 형성되는 홈에는 리드스크류(1724)의 우측이 설치되고,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 하부에 형성되는 홈에는 모터(1710)와 연결되는 전선(20)이 지나간다.
제1모터 설치홈(1121)의 하부에는 제1모터 지지부(1124)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에 삽입되는 모터(1710) 하부의 일부가 제1모터 지지부(1124)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웜기어 설치홈(1122)의 하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되어, 모터(17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웜(1721)이 상기 홈을 통해 웜기어 설치홈(1122)에 설치된다.
웜기어 설치홈(1122)의 상부에는 후방 및 하부가 개방되게 홈이 형성되는 제1모터축 설치부(1123)가 형성되어, 웜(1721)의 상부가 설치된다.
웜기어 설치홈(1122)의 우측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홈이 형성되는 리드스크류 우측 설치부(1133)가 형성되어, 리드스크류(1724) 축의 우측이 설치된다.
둘레부(1192)의 우측면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리드스크류 지지부(1134)가 형성된다. 리드스크류 지지부(1134)는 리드스크류 우측 설치부(1133)의 우측에 배치된다. 리드스크류 지지부(1134)에 의해 리드스크류(1724)의 우측단이 지지되어, 리드스크류(1724)가 그 이상 우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제3가이드부(1104)와 도어핸들 관통공(1101) 사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리드스크류 좌측 설치부(1135)가 형성된다. 리드스크류 좌측 설치부(1135)의 우측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리드스크류(1724) 및 리드스크류(1724)에 설치되는 이동너트(1750)가 그 이상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한다. 리드스크류 좌측 설치부(1135)의 좌측은 우측이 볼록한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어, 리드스크류 좌측 설치부(1135)와 도어핸들(12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리드스크류 좌측 설치부(1135)의 중앙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리드스크류(1724) 축의 좌측이 설치된다.
제2분리판(1160)의 하부에는 배터리 설치부(1161)가 형성된다. 배터리 설치부(1161)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분리판(1160)은 상부가 제2분리판(1160)과 연결되고, 하부가 둘레부(1192)의 하부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소켓설치부(1162)를 포함한다. 소켓설치부(1162)는 제2분리판(1160)의 우측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배치된다.
소켓설치부(1162)의 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으로 전선(20)이 지나갈 수 있다.
배터리 설치부(1161)의 좌측은 둘레부(1192)에 가로막히고, 배터리 설치부(1161)의 우측은 소켓설치부(1162)에 가로막힌다.
배터리 설치부(1161)의 좌측 및 우측에는 소켓이 설치되어, 배터리 설치부(1161)에 삽입되는 배터리하우징(1910)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된다.
제1분리판(1150)의 하부에는 PCB설치부(1151)가 형성된다. PCB설치부(1151)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PCB설치부(1151)의 좌측은 소켓설치부(1162)에 의해 막히고, PCB설치부(1151)의 우측은 제1분리판(1150)에 의해 막힌다.
PCB설치부(1151)의 좌우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PCB끼움돌기(1152)가 형성된다.
PCB(1920)는 PCB끼움돌기(1152) 하부에 설치되어, PCB끼움돌기(1152)로 인해 위쪽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1분리판(1150)의 중앙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전선 관통홈(1141)이 형성된다. 전선 관통홈(1141)은 제1센서 설치홈(1105)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센서 설치홈(1105)의 사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전선 가이드부(1142)가 형성되어, 좌측 제1센서 설치홈(1105)과 우측 제1센서 설치홈(1105)은 전선 가이드부(1142)에 의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PCB(1920)에 연결된 전선(20)은 전선 관통홈(1141)을 통해 제1분리판(1150)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고, 전선(20) 중 일부는 전선 가이드부(1142) 하부를 통해 제1센서(21a,21b)와 연결된다.
제2분리판(1160)의 우측에는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전선 관통홈(1143)이 형성된다. 전선 관통홈(1143)은 소켓설치부(1162)의 우측에 배치되어, PCB설치부(1151)의 좌측 상부와 연통된다.
이로 인해 PCB(1920)에 연결된 전선(20)은 전선 관통홈(1143)을 통해 제2분리판(1160)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도어핸들(1200) 내부에 설치되는 LED(23) 및 입력부(1260)에 연결된다.
배터리 설치부(1161)의 좌측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전선 관통홈(1144)이 형성된다. 전선 관통홈(1144)은 버튼 설치홈(1106)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PCB(1920)에 연결된 전선(20)이 소켓설치부(1162)의 후방 및 전선 관통홈(1144)을 통해 버튼(22)에 연결될 수 있다.
돌출부(1193)의 상부와 하부에는 후술할 막음판(1800)과 결합되는 제1막음판체결부(1111)와, 제2막음판체결부(1112)가 형성된다.
제1막음판체결부(1111)는 스크류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홈은 스크류의 헤드가 제1막음판체결부(1111)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 후 스크류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도 6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막음판체결부(1111)에 삽입된 스크류의 전면은 돌출부(1193)의 상부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막음판체결부(1111)에 삽입된 스크류와 돌출부(1193)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1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된다.
제2막음판체결부(1112)는 볼트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 6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막음판체결부(1112)에 삽입되는 볼트는, 후방에서부터 차례대로 막음판(1800), 하우징(1100), 도어(10) 및 지지판(1850)과 결합되어, 하우징(1100) 및 막음판(1800)이 도어(10)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제2막음판체결부(1112)의 볼트를 제거하더라도 제1막음판체결부(1111)의 스크류가 존재하기 때문에 하우징(1100)과 막음판(1800)은 분리되지 않는다.
<범퍼부재>
범퍼부재(1500)는 도 11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범퍼부재(1500)의 중앙부에는 도어핸들(1200) 및 핸들커버(1250)가 슬라이딩 되는 도어핸들 관통공(150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어핸들 관통공(1501)은 도어핸들(1200) 전방 및 핸들커버(1250)의 형상에 따라 좌우측이 원호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형상은 다단으로 구성되며, 범퍼부재(15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형상의 크기가 커진다. 이로 인해 범퍼부재(1500)의 후방에 형성되는 도어핸들 관통공(1501)과 전방에 형성되는 도어핸들 관통공(1501) 사이에는 핸들커버 설치홈(1502)이 계단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범퍼부재(1500)의 강도가 향상된다.
범퍼부재(1500)의 후방은 하우징(1100)의 전면과 결합된다. 도어핸들 관통공(1501)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제1하우징체결부(1503)가 형성된다. 도어핸들 관통공(1501)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는 복수의 제2하우징체결부(1504)가 형성된다. 제2하우징체결부(1504)는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하우징(1100)의 제2범퍼체결부(1114)의 중앙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체결부(1503)와 제2하우징체결부(1504) 사이 및 제2하우징체결부(1504)와 제2하우징체결부(1504) 사이에는 하우징(1100)의 제3범퍼체결부(1115)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범퍼부재(1500)와 하우징(1100)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범퍼부재(1500)로 인해 하우징(1100)은 도어(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또한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나 수분이 하우징(1100)에 유입되지 않도록 방진, 방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핸들>
도어핸들(1200)은 도 12 내지 도 1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어핸들(1200)은 전체적으로 'ㅂ'자의 밑변이 전방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핸들(1200)의 좌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통공(1201)이 형성되고, 도어핸들(1200)의 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및 제2통공(1202)이 형성된다. 제1통공(1201) 및 제2통공(1202)은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어핸들(1200)은 보다 경량화 된다.
도어핸들(1200)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3통공(1203)이 형성된다. 제3통공(1203)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통공(1203)은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는 제3통공(1203)에 손을 넣어 도어핸들(1200)을 당길 수 있다. 이 때, 제3통공(1203)의 형상에 의해 사용자의 그립감이 향상된다.
도어핸들(1200)의 후방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4통공(1204)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어핸들(1200)은 보다 경량화 되고, 슬라이더(1600)와 닿는 면적이 적어진다.
제2통공(1202) 전방의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LED 설치홈(1205)이 형성된다. LED 설치홈(1205)에는 LED(23)의 하부가 삽입되어, 사용자가 도어핸들(1200) 바깥에서 LED(23)의 불빛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2통공(1202)을 통해 전선(20)이 LED(23)에 연결된다.
도어핸들(1200)의 전방부는 도어핸들 관통공(1101)의 형상에 따라 좌우측이 원호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핸들(1200)의 전방부에는 상기 전방부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곳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둘레부(1210)가 형성된다. 둘레부(1210)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입력부 지지부(1206)가 형성된다.
둘레부(1210)의 상하좌우에는 후크 형태의 핸들커버 체결부(121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핸들커버 체결부(121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둘레부(1210)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의 양쪽에 상기 돌기가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내외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한다.
핸들커버 체결부(1211)와 핸들커버 체결부(1211)의 사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핸들커버 지지부(1212)가 형성된다. 핸들커버 지지부(1212)의 높이는 핸들커버 체결부(1211)의 높이와 유사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핸들커버(1250)가 도어핸들(1200)에 체결 된 후, 핸들커버(1250)의 내측면이 핸들커버 지지부(1212)에 맞닿는다.
도어핸들(1200) 좌측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핀 설치홈(1221)이 형성되고, 도어핸들(1200)의 우측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핀 설치홈(1222)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어핸들(1200)은 제1핀 설치홈(1221)에 삽입되는 제1핀(1301) 및 제2핀 설치홈(1222)에 삽입되는 제2핀(1302)에 의해 슬라이더(1600)와 연결된다.
<핸들커버>
핸들커버(1250)는 도 12 내지 도 1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핸들커버(1250)는 도어핸들(1200)의 전방의 형상에 따라 좌우측이 원호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핸들커버(1250)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핸들커버(1250)의 중앙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입력부 설치홈(1251)이 형성된다. 입력부 설치홈(1251)에는 입력부(1260)가 삽입되어, 사용자는 입력부(1260)를 조작할 수 있다.
핸들커버(1250) 상하좌우에는 후크 형태의 도어핸들 체결부(1252)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핸들 체결부(125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핸들커버(1250) 조립시, 핸들커버(1250)의 도어핸들 체결부(1252)의 경사부는 도어핸들(1200)의 핸들커버 체결부(1211)의 경사부를 밀어 핸들커버 체결부(1211)가 점차적으로 탄성변형 될 수 있게 한다.
<입력부>
입력부(1260)는 도 12 내지 도 1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입력부(1260)의 전면에는 비밀번호 입력부(1261) 및 IC카드 입력부(1262)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입력부(126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입력부(1260)는 지문인식부, 스마트키삽입부, 리모컨 신호 수신부, 블루투스 신호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1260)의 후방은 도어핸들(1200)의 입력부 지지부(1206)에 막혀,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걸쇠부>
걸쇠부(1400)는 도 14 내지 도 1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걸쇠부(1400)는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걸쇠하우징(1410)과, 걸쇠하우징(1410)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걸쇠(1420)와, 걸쇠하우징(1410)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걸쇠(1430)를 포함한다.
걸쇠하우징(1410)은 도어(10)의 측면에 노출되는 도어설치판(1411)과, 도어설치판(1411)의 우측에 형성되는 걸쇠 가이드부(1419)를 포함한다.
도어설치판(1411)은 넓은 면이 좌우방향을 향하게 배치되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쇠 가이드부(1419)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쇠 가이드부(1419)의 전후방향 폭 및 높이는 도어설치판(1411)의 전후방향 폭 및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어설치판(141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도어체결구(1412)가 형성된다. 도어체결구(1412)는 걸쇠 가이드부(1419)의 위쪽 및 아래쪽에 각각 배치된다. 도어체결구(1412)를 통해 도어(10)에 삽입되는 볼트로 인해 도어설치판(1411)은 도어(10)에 고정된다.
도어설치판(1411) 및 걸쇠 가이드부(1419)의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메인걸쇠관통홈(1413)이 형성된다.
걸쇠 가이드부(1419)의 전방 및 후방에는 우측이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슬라이더가이드홈(1414)이 형성된다. 슬라이더가이드홈(1414)은 메인걸쇠관통홈(1413)과 연통된다.
이로 인해 후술할 슬라이더(1600)의 메인걸쇠걸림부(1608)가 메인걸쇠(1420)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메인걸쇠걸림부(1608)와 걸쇠 가이드부(1419) 사이의 간섭이 방지된다.
걸쇠 가이드부(1419)의 하부에는 우측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메인걸쇠가이드홈(1415)이 형성된다. 메인걸쇠가이드홈(1415)에 후술할 메인걸쇠(1420)의 메인걸쇠돌기(1423)가 삽입되어, 메인걸쇠(142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이 가이드된다.
도어설치판(1411) 및 걸쇠 가이드부(1419)의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보조걸쇠관통홈(1416)이 형성된다.
걸쇠 가이드부(1419)의 후방에는 우측이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보조걸쇠가이드홈(1417)이 형성된다. 제1보조걸쇠가이드홈(1417)은 보조걸쇠관통홈(1416)과 연통된다.
이로 인해 후술할 보조걸쇠(1430)의 제1보조걸쇠돌기(1431)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이 가이드된다.
걸쇠 가이드부(1419)의 상부에는 우측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보조걸쇠가이드홈(1418)이 형성된다. 제2보조걸쇠가이드홈(1418)에 후술할 보조걸쇠(1430)의 제2보조걸쇠돌기(1432)가 삽입되어, 보조걸쇠(143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이 가이드된다.
메인걸쇠(1420)는 전체적으로 좌우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메인걸쇠(1420)의 좌측 후방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메인걸쇠(1420)는 문틀에 형성되는 메인걸쇠홈(미도시)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메인걸쇠(1420)의 우측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슬라이더걸림홈(1421)이 형성된다. 슬라이더걸림홈(1421)은 걸쇠 가이드부(1419)의 슬라이더가이드홈(1414)과 같은 높이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더걸림홈(1421)의 상하방향 폭은 후술할 슬라이더(1600)의 메인걸쇠걸림돌기(1609)의 지름과 유사하거나 보다 크게 형성되고, 좌우방향 폭은 메인걸쇠걸림돌기(1609)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좌우방향 폭에 의해 슬라이더(16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로크 양과, 메인걸쇠(1420)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로크 양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메인걸쇠(1420)의 우측 하부에는 우측 및 하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하우징걸림홈(1422)이 형성된다. 하우징걸림홈(1422)은 슬라이더걸림홈(1421)의 하부에 배치된다.
하우징걸림홈(1422)의 우측면은 메인걸쇠(142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될 때, 둘레부(1192)에 걸린다. 이로 인해 메인걸쇠(1420)는 일정 거리 이상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메인걸쇠(1420)의 하부에는 메인걸쇠돌기(1423)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메인걸쇠돌기(1423)의 전후방향 폭은 걸쇠 가이드부(1419)의 메인걸쇠가이드홈(1415)의 폭과 유사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된다. 메인걸쇠돌기(1423)는 메인걸쇠가이드홈(1415)에 삽입된다.
보조걸쇠(1430)는 전체적으로 좌우방향으로 긴 직육면체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조걸쇠(1430)의 좌측 후방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보조걸쇠(1430)는 문틀에 형성되는 보조걸쇠홈(미도시)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보조걸쇠(1430)의 우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1보조걸쇠돌기(1431)가 형성된다.
제1보조걸쇠돌기(1431)의 높이는 걸쇠 가이드부(1419)의 제1보조걸쇠가이드홈(1417)의 높이와 유사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보조걸쇠돌기(1431)는 제1보조걸쇠가이드홈(1417)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보조걸쇠돌기(1431)는 하우징(1100)에 막음판(1800)이 조립됐을 때, 후술할 막음판(1800)의 보조걸쇠관통홈(1811)을 통해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막음판(1800)의 후방인 실내에서 제1보조걸쇠돌기(1431)를 이용해 보조걸쇠(1430)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보조걸쇠(1430)의 상부에는 제2보조걸쇠돌기(1432)가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보조걸쇠돌기(1432)의 전후방향 폭은 걸쇠 가이드부(1419)의 제2보조걸쇠가이드홈(1418)의 폭과 유사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보조걸쇠돌기(1432)는 제2보조걸쇠가이드홈(1418)에 삽입된다.
<구동부>
구동부(1700)는 도 16 내지 도 1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1700)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되는 웜(1721)과, 웜(1721)에 의해 회전되는 더블기어(1722)와, 더블기어(1722) 및 하우징(110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너트(1750)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1710)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700)는 하우징(1100)의 우측에 배치된다.
모터(1710)는 상하방향으로 하우징(1100)에 설치된다.
모터(1710)는 제어부(1900)에 의해 작동되거나 작동을 멈춘다.
제어부(1900)는 배터리하우징(1910)과, PCB(1920)와, 전선(20)을 포함한다.
배터리하우징(1910)의 후면 중앙에는 손잡이(1911)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손잡이(1911)로 인해 사용자는 손쉽게 배터리하우징(1910)의 후면을 열어 내부의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다.
모터(1710)의 축에는 웜(1721)이 설치된다.
더블기어(1722)는 웜휠(1723)과 웜휠(1723)의 좌측에 배치되는 리드스크류(1724)를 포함한다. 웜휠(1723)과 리드스크류(1724)는 하나의 축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한다. 웜휠(1723)과 리드스크류(1724) 사이에는 일면이 웜휠(1723)과 연결되고, 타면이 리드스크류(1724)와 연결되는 원판이 형성된다.
웜(1721)은 웜휠(1723)과 치합된다. 더블기어(1722)는 웜(1721)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리드스크류(1724)의 외측에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이 설치된다. 조립 완료 후,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의 일측은 슬라이더(1600)의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에 설치되고,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의 타측은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의 좌측면에 접한다.
이동너트(175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동너트(1750)는 넓은 면이 좌우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이동너트(1750)의 중앙부에는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하우징 삽입홈(1754)과, 제2하우징 삽입홈(1754)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1752)와, 제2가이드부(1752)의 상부 및 하부에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하우징 삽입홈(1753)과, 제1하우징 삽입홈(1753)의 상부 및 하부에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1751)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 삽입홈(1753)의 전후방향 깊이는 제2하우징 삽입홈(1754)의 전후방향 깊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 삽입홈(1753)과 제2하우징 삽입홈(1754)에는 하우징(1100)의 제3가이드부(1104)가 삽입된다.
제1가이드부(1751)의 후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슬라이더(160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이동너트(1750)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동너트(1750)는 중앙부에서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드스크류 삽입부(1755)를 포함한다.
리드스크류 삽입부(1755)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에 리드스크류(1724)가 끼워진다.
리드스크류(1724)가 회전하면, 이동너트(1750)는 일측이 하우징(1100)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3가이드부(1104)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된다.
이동너트(1750)는 후술할 슬라이더(1600)의 우면(1630)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175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1600)는 이동너트(1750)에 의해 우측으로 밀리고, 이동너트(175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1600)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에 의해 좌측으로 밀린다.
하부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1751)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제1센서 누름부(1756)가 형성된다. 제1센서 누름부(1756)는 이동너트(175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제1센서(21a,21b)의 상부를 누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돌출된다.
이동너트(1750)는 제1센서 누름부(1756)가 슬라이더(1600)의 전면보다 전방에 배치되게 슬라이더(1600) 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1750)와 별개로 슬라이더(160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슬라이더(1600)와 제1센서 누름부(1756) 사이의 간섭이 방지된다.
<슬라이더>
슬라이더(1600)는 도 18 내지 도 1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더(1600)는 우면(1630) 및 좌면(1640)과 우면(1630) 및 좌면(1640)의 상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면(1610) 및 하면(1620)을 포함한다. 즉, 슬라이더(1600)는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도어핸들(1200)이 수납될 수 있다.
상면(1610) 및 하면(162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면(1610) 및 하면(1620)의 우측에는 전방 및 우측이 개방되게 하우징 간섭방지부(1607)가 형성된다. 하우징 간섭방지부(1607)의 좌측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16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될 때 슬라이더(1600)와 하우징(1100)이 간섭되지 않은 선에서, 하우징(1100) 우측의 전후방향 폭을 최대한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면(1610) 및 하면(1620)의 좌측과 우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2경사장공(1601,1602)이 형성된다. 제1,2경사장공(1601,160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경사장공(1601)은 슬라이더(1600)의 좌측에 형성되고, 제2경사장공(1602)은 슬라이더(1600)의 우측에 형성된다.
제1경사장공(1601) 및 제2경사장공(1602)은 전방부터 후방까지 같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폭의 너비는 제1핀(1301) 및 제2핀(1302)의 지름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하면(1620)의 후면 우측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전선관통홈(1603)이 형성된다. 전선관통홈(1603)으로 인해 PCB(1920)에 연결된 전선(20)이 전선관통홈(1603)을 통해 슬라이더(1600)에 설치된 도어핸들(12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면(1610)과 하면(1620)의 후방에는 상면(1610)과 하면(1620)을 연결하는 형태로 보강부(1606)가 형성된다. 보강부(1606)로 인해 슬라이더(1600)의 강성이 향상된다.
우면(163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우면(1630)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와,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의 상부와 하부에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너트 삽입홈(1605)을 포함한다.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는 오목한 부분이 전방을 향하게 형성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의 내측에는 후술할 리드스크류(1724)가 배치되고,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의 외측에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이 끼워진다. 즉,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는 리드스크류(1724)와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의 내측 지름은 리드스크류(1724)에 끼워지는 이동너트(1750)의 외측 지름과 유사 동일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와 리드스크류(1724)는 서로 닿지 않는다.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너트 삽입홈(1605) 하부의 내측면은 하우징(1100)의 제3가이드부(1104)와 접촉하여 제3가이드부(1104)에 의해 가이드 되고, 상부의 내측면은 제3가이드부(1104)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너트 삽입홈(1605)은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너트 삽입홈(1605)과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 삽입홈(1605)과 제3가이드부(1104) 사이에는 이동너트(175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동너트(1750) 설치 후 이동너트(1750)의 내측면과 제3가이드부(1104)의 외측면은 서로 접촉한다.
좌면(1640)은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면(1640)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메인걸쇠걸림부(1608)를 포함한다.
메인걸쇠걸림부(1608)는 메인걸쇠걸림부(1608)의 좌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메인걸쇠걸림돌기(1609)를 포함한다.
메인걸쇠걸림부(1608)의 좌우방향 길이는 슬라이더(1600)가 완전히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었을 때, 메인걸쇠(1420)가 문틀의 메인걸쇠홈(미도시)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을 만큼 길게 형성된다.
메인걸쇠걸림돌기(1609)는 메인걸쇠(1420)의 슬라이더걸림홈(1421)에 삽입된다.
<막음판>
막음판(1800)은 도 4 및 도 20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막음판(1800)은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후면부(1891)와, 후면부(1891)의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둘레부(1892)와, 둘레부(1892)의 전방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1893)로 구성된다.
막음판(18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하우징(110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후면부(1891)의 좌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격벽(1804)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격벽(1804)의 상부에는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슬라이더 관통홈(1805)이 형성된다.
슬라이더 관통홈(1805)은 하우징(1100)의 슬라이더 관통홈(1108)의 후방에 배치되어, 슬라이더 관통홈(1108)과 연통된다.
후면부(1891)의 상하부 및 우측과, 슬라이더 관통홈(1805) 구간을 제외한 격벽(1804)의 우측에는 하우징삽입돌기(1801)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우징삽입돌기(1801)는 둘레부(1892) 및 격벽(1804)에서 내측으로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된다. 하우징삽입돌기(1801)는 하우징(1100)의 막음판 삽입홈(1109)에 삽입된다.
후면부(1891)의 우측에는 하우징 지지부(180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우징 지지부(1802)의 좌측은 좌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원호 모양으로 돌출되고, 하우징 지지부(1802)의 우측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 모양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하우징 지지부(1802)에는 하우징(1100)의 리드스크류 좌측 설치부(1135)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드스크류 좌측 설치부(1135)는 보다 견고하게 리드스크류(1724)를 지지할 수 있다.
후면부(1891)의 좌측 및 중앙 하부에는 배터리하우징지지부(1803)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배터리하우징지지부(1803)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배터리하우징지지부(1803)는 하우징(1100)에 설치된 배터리하우징(1910)의 손잡이(191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배치된다.
배터리하우징지지부(1803)는 손잡이(191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배터리하우징지지부(1803)의 전후방향 길이는 손잡이(1911)의 전후방향 길이와 유사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하우징(1910)의 좌측 및 우측은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후면부(1891)의 좌측 상부에는 보조걸쇠관통홈(181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보조걸쇠관통홈(1811)을 통해 걸쇠부(1400)의 보조걸쇠(1430)의 제1보조걸쇠돌기(1431)가 막음판(180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보조걸쇠관통홈(1811)의 좌우방향 폭은 제1보조걸쇠돌기(1431)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보조걸쇠돌기(1431)는 보조걸쇠관통홈(181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후면부(1891)의 좌측 하부에는 버튼설치홈(1812)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버튼설치홈(1812)을 통해 하우징(1100)에 설치된 버튼(22)의 후방부가 막음판(18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버튼(22)을 누를 수 있게 된다.
후면부(1891)의 우측에는 모터 지지부(1821)와, 축 지지부(1822)와, 슬라이더 저지부(1823)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모터 지지부(1821)는 후면부(1891)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다.
모터 지지부(1821)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모터 지지부(1821)는 보다 경량화 된다.
모터 지지부(1821)의 전면은 하우징(1100)에 설치되는 모터(1710)의 후면과 접한다. 이로 인해 모터(1710)는 후방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축 지지부(1822)는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축 지지부(1822)는 모터 지지부(1821)의 상부에 배치된다.
축 지지부(1822)의 상부는 모터(1710) 축의 상부와 접한다. 이로 인해 모터(1710)의 축은 후방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축 지지부(1822)의 우측은 리드스크류(1724) 축의 우측과 접한다. 이로 인해 리드스크류(1724)의 축은 후방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슬라이더 저지부(1823)는 넓은 면이 상하방향을 향하게 배치되는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슬라이더 저지부(1823)는 모터 지지부(1821) 및 축 지지부(1822)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슬라이더 저지부(1823)는 상하방향으로 3개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저지부(1823)의 전후방향 길이는 중간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저지부(1823)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더 저지부(1823)의 전면은 하우징(1100)의 제3가이드부(1104)의 후면에 접한다. 슬라이더 저지부(1823) 및 제3가이드부(1104)에 의해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은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유동외지 않게 된다.
연장부(1893)의 상부 및 하부에는 하우징(1100)과 결합되는 제1체결부(1831)와, 제2체결부(1832)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1831)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체결부(1831)는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하우징(1100)의 제1막음판체결부(1111)와 연통된다. 이로 인해 스크류를 제1막음판체결부(1111)를 통해 제1체결부(1831)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함으로써, 하우징(1100)과 막음판(1800)을 체결할 수 있다.
제2체결부(1832)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체결부(1832)는 하우징(1100)의 제2막음판체결부(1112)와 연통된다.
연장부(1893)의 둘레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우징삽입부(1894)가 형성된다. 하우징삽입부(1894)의 전면은 도어(10)의 후면과 맞닿는다.
하우징삽입부(1894)의 내측에는 하우징(1100)의 돌출부(1193)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실내에서 볼 때 하우징(1100)은 막음판(180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게 된다.
막음판(1800)은 보조핸들(18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핸들(1840)은 막음판(1800)의 좌측에 후방에 형성된다.
보조핸들(1840) 'ㄷ'자의 좌측변이 후방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조핸들(1840)의 상하방향 길이는 막음판(180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보조핸들(1840) 상부 및 하부와 막음판(1800) 사이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홈(1841)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실내에서 홈(1841)에 손을 넣고 실내쪽으로 당겨 도어(10)를 닫을 수 있다.
보조핸들(184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홈(1842)이 형성된다.
보조핸들(1840)을 도어(10)에 보다 견고히 체결할 수 있게 지지판(18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지지판(1850)은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보조핸들(1840) 상부와 체결되는 지지판(1850)은 'ㅗ'자 형태로 형성되고, 보조핸들(1840) 하부와 체결되는 지지판(1850)은 'ㅜ'자 형태로 형성된다.
보조핸들(1840) 상부와 체결되는 지지판(1850)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판(1850)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보조핸들(1840)의 체결홈(1842)과 연통되게 배치된다. 지지판(1850)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홈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홈은 하우징(1100)의 제2막음판체결부(1112)와 연통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지지판(1850)의 하부는 막음판(1800) 및 하우징(1100)과 체결되고, 지지판(1850)의 상부는 보조핸들(1840)과 체결된다. 이로 인해 보조핸들(1840)의 상부 및 하부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지지판(1850)과 막음판(1800) 및 하우징(1100) 사이에는 도어(10)가 설치된다. 이로 인해 막음판(1800) 및 하우징(1100)은 도어(10)에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인출 과정>
이하에서는 도어핸들(1200)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핸들(1200)이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60)의 비밀번호 입력부(1261)나 IC카드 입력부(1262)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면, 제어부(1900)에 의해 모터(1710)가 작동된다.
모터(1710)가 작동되면, 웜(1721)이 회전하게 되고, 웜(1721)이 회전함에 따라 더블기어(1722)의 웜휠(1723)이 회전하게 되고, 웜휠(1723)과 함께 리드스크류(1724)도 회전하게 된다.
리드스크류(1724)가 회전하면, 리드스크류(1724)와 치합되어 있는 이동너트(175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너트(1750)에 의해 슬라이더(1600)도 우측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160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1핀(1301) 및 제2핀(1302)이 슬라이더(1600)의 제1,2경사장공(1601,160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어핸들(1200)이 전방으로 인출되어 도 22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동너트(175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이동너트(1750)의 제1센서 누름부(1756)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제1센서(21b)를 누르게 된다. 제1센서(21b)가 눌리면 모터(1710)의 작동이 멈춘다.
또한, 슬라이더(16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슬라이더(1600)와 결합되어 있는 메인걸쇠(142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메인걸쇠(1420)가 문틀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고, 도어(10)의 잠금이 해제된다.
사용자는 인출된 도어핸들(1200)을 전방으로 당겨 도어(10)를 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사용자가 실내에서 버튼(22)을 눌러서 제어부(1900)에 의해 모터(1710)가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도어(10)를 전방으로 밀어 도어(10)를 열 수 있다.
<인입 과정>
이하에서는 도어핸들(1200)이 후방으로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핸들(1200)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1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의해 도어(10)가 닫히거나, 사용자가 보조핸들(1840)을 이용하여 도어(10)를 닫는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버튼(22)을 누르면 제어부(1900)에 의해 모터(1710)가 작동된다.
모터(1710)가 도어핸들(1200)의 인출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너트(1750)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16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160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핀(1301) 및 제2핀(1302)이 슬라이더(1600)의 제1,2경사장공(1601,160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동너트(175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이동너트(1750)의 제1센서 누름부(1756)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제1센서(21a)를 누르게 된다. 제1센서(21a)가 눌리면 모터(1710)의 작동이 멈춘다.
또한, 슬라이더(160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슬라이더(1600)와 결합되어 있는 메인걸쇠(142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메인걸쇠(1420)가 문틀에서 삽입되고, 도어(10)가 잠긴다.
상술한 바와 달리, 도어핸들(1200)이 인출되어 우측의 제1센서(21b)가 눌린 뒤 일정 시간 후에 모터(1710)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도어핸들(1200)이 인입되게 할 수도 있다.
<보조걸쇠를 이용한 잠금>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실내에서 보조걸쇠(1430)의 제1보조걸쇠돌기(1431)를 좌측으로 밀어 보조걸쇠(1430)에 의해 도어(10)가 잠기게 할 수 있다.
보조걸쇠(1430)는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입력부(1260) 및 버튼(22) 의해 메인걸쇠(142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도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메인걸쇠(142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어있을 때는, 보조걸쇠(1430)에 의해 이중으로 도어(10)를 잠글 수 있고, 메인걸쇠(142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있을 때는, 메인걸쇠(1420)의 잠금이 해제되더라도 보조걸쇠(1430)에 의해 도어(10)가 열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손끼임 방지>
도어핸들(1200)이 인입될 때 제3통공(1203)에 사용자의 손이 끼어 있을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런 상황에서의 손끼임 방지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 내지 도 26은 모터(1710)에 의한 도어핸들(1200)의 인입 동작이 완료된 상태이다. 이동너트(175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이동너트(1750)의 제1센서 누름부(1756)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제1센서(21a)를 누르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 때, 제3통공(1203)에 사용자의 손이 끼어 있어 도어핸들(1200)이 일정 이상 인입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도어핸들(1200)의 인입 정도에 따라 슬라이더(1600) 또한 특정 위치에 고정된 채 그 이상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슬라이더(1600)와 이동너트(1750)는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너트(1750)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슬라이더(1600)가 단독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슬라이더(1600)에는 이동너트(1750)를 좌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모터(1710)의 구동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대신 슬라이더(1600)를 좌측으로 미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의 탄성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슬라이더(1600)를 전방으로 밀어 제3통공(1203)에 끼인 손을 안전하게 빼낼 수 있다.
제3통공(1203)에서 손이 빠져나가면, 슬라이더(1600)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의 탄성력에 의해 완전히 인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도어 2: 도어핸들
3: 걸쇠 4: 힌지
5: 유압실린더 10: 도어
20: 전선 21a: 제1센서
21b: 제1센서 22: 버튼
23: LED
1100: 하우징 1101: 도어핸들 관통공
1102: 제1가이드부 1103: 제2가이드부
1104: 제3가이드부 1105: 제1센서 설치홈
1106: 버튼 설치홈 1107: 걸쇠 관통홈
1108: 슬라이더 관통홈 1109: 막음판 삽입홈
1111: 제1막음판체결부 1112: 제2막음판체결부
1113: 제1범퍼체결부 1114: 제2범퍼체결부
1115: 제3범퍼체결부 1121: 제1모터 설치홈
1122: 웜기어 설치홈 1123: 제1모터축 설치부
1124: 제1모터 지지부 1131: 리드스크류 설치홈
1132: 리드스크류 관통부 1133: 리드스크류 우측 설치부
1134: 리드스크류 지지부 1135: 리드스크류 좌측 설치부
1141: 전선 관통홈 1142: 전선 가이드부
1143: 전선 관통홈 1144: 전선 관통홈
1150: 제1분리판 1151: PCB 설치부
1152: PCB 끼움돌기 1160: 제2분리판
1161: 배터리 설치부 1162: 소켓설치부
1191: 전면부 1192: 둘레부
1193: 돌출부
1200: 도어핸들 1201: 제1통공
1202: 제2통공 1203: 제3통공
1204: 제4통공 1205: LED 설치홈
1206: 입력부 지지부 1210: 둘레부
1211: 핸들커버 체결부 1212: 핸들커버 지지부
1221: 제1핀 설치홈 1222: 제2핀 설치홈
1250: 핸들커버 1251: 입력부 설치홈
1252: 도어핸들 체결부 1260: 입력부
1261: 비밀번호 입력부 1262: IC카드 입력부
1301: 제1핀 1302: 제2핀
1400: 걸쇠부 1410: 걸쇠하우징
1411: 도어설치판 1412: 도어체결구
1413: 메인걸쇠관통홈 1414: 슬라이더가이드홈
1415: 메인걸쇠가이드홈 1416: 보조걸쇠관통홈
1417: 제1보조걸쇠가이드홈 1418: 제2보조걸쇠가이드홈
1419: 걸쇠 가이드부 1420: 메인걸쇠
1421: 슬라이더걸림홈 1422: 하우징걸림홈
1423: 메인걸쇠돌기 1430: 보조걸쇠
1431: 제1보조걸쇠돌기 1432: 제2보조걸쇠돌기
1500: 범퍼부재 1501: 도어핸들 관통공
1502: 핸들커버 설치홈 1503: 제1하우징체결부
1504: 제2하우징체결부 1505: 제3하우징체결부
1600: 슬라이더 1601: 제1경사장공
1602: 제2경사장공 1603: 전선관통홈
1604: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 1605: 이동너트 삽입홈
1606: 보강부 1607: 하우징 간섭방지부
1608: 메인걸쇠걸림부 1609: 메인걸쇠걸림돌기
1610: 상면 1620: 하면
1630: 우면 1640: 좌면
1700: 구동부 1710: 모터
1721: 웜 1722: 더블기어
1723: 웜휠 1724: 리드스크류
1730: 슬라이더복귀스프링 1750: 이동너트
1751: 제1가이드부 1752: 제2가이드부
1753: 제1하우징 삽입홈 1754: 제2하우징 삽입홈
1755: 리드스크류 삽입부 1756: 제1센서 누름부
1800: 막음판 1801: 하우징삽입돌기
1802: 하우징 지지부 1803: 배터리하우징지지부
1804: 격벽 1805: 슬라이더 관통홈
1811: 보조걸쇠관통홈 1812: 버튼설치홈
1821: 모터 지지부 1822: 축 지지부
1823: 슬라이더 저지부 1831: 제1체결부
1832: 제2체결부 1840: 보조핸들
1841: 홈 1842: 체결홈
1850: 지지판 1891: 후면부
1892: 둘레부 1893: 연장부
1894: 하우징삽입부
1900: 제어부 1910: 배터리하우징
1911: 손잡이 1920: PCB
3: 걸쇠 4: 힌지
5: 유압실린더 10: 도어
20: 전선 21a: 제1센서
21b: 제1센서 22: 버튼
23: LED
1100: 하우징 1101: 도어핸들 관통공
1102: 제1가이드부 1103: 제2가이드부
1104: 제3가이드부 1105: 제1센서 설치홈
1106: 버튼 설치홈 1107: 걸쇠 관통홈
1108: 슬라이더 관통홈 1109: 막음판 삽입홈
1111: 제1막음판체결부 1112: 제2막음판체결부
1113: 제1범퍼체결부 1114: 제2범퍼체결부
1115: 제3범퍼체결부 1121: 제1모터 설치홈
1122: 웜기어 설치홈 1123: 제1모터축 설치부
1124: 제1모터 지지부 1131: 리드스크류 설치홈
1132: 리드스크류 관통부 1133: 리드스크류 우측 설치부
1134: 리드스크류 지지부 1135: 리드스크류 좌측 설치부
1141: 전선 관통홈 1142: 전선 가이드부
1143: 전선 관통홈 1144: 전선 관통홈
1150: 제1분리판 1151: PCB 설치부
1152: PCB 끼움돌기 1160: 제2분리판
1161: 배터리 설치부 1162: 소켓설치부
1191: 전면부 1192: 둘레부
1193: 돌출부
1200: 도어핸들 1201: 제1통공
1202: 제2통공 1203: 제3통공
1204: 제4통공 1205: LED 설치홈
1206: 입력부 지지부 1210: 둘레부
1211: 핸들커버 체결부 1212: 핸들커버 지지부
1221: 제1핀 설치홈 1222: 제2핀 설치홈
1250: 핸들커버 1251: 입력부 설치홈
1252: 도어핸들 체결부 1260: 입력부
1261: 비밀번호 입력부 1262: IC카드 입력부
1301: 제1핀 1302: 제2핀
1400: 걸쇠부 1410: 걸쇠하우징
1411: 도어설치판 1412: 도어체결구
1413: 메인걸쇠관통홈 1414: 슬라이더가이드홈
1415: 메인걸쇠가이드홈 1416: 보조걸쇠관통홈
1417: 제1보조걸쇠가이드홈 1418: 제2보조걸쇠가이드홈
1419: 걸쇠 가이드부 1420: 메인걸쇠
1421: 슬라이더걸림홈 1422: 하우징걸림홈
1423: 메인걸쇠돌기 1430: 보조걸쇠
1431: 제1보조걸쇠돌기 1432: 제2보조걸쇠돌기
1500: 범퍼부재 1501: 도어핸들 관통공
1502: 핸들커버 설치홈 1503: 제1하우징체결부
1504: 제2하우징체결부 1505: 제3하우징체결부
1600: 슬라이더 1601: 제1경사장공
1602: 제2경사장공 1603: 전선관통홈
1604: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 1605: 이동너트 삽입홈
1606: 보강부 1607: 하우징 간섭방지부
1608: 메인걸쇠걸림부 1609: 메인걸쇠걸림돌기
1610: 상면 1620: 하면
1630: 우면 1640: 좌면
1700: 구동부 1710: 모터
1721: 웜 1722: 더블기어
1723: 웜휠 1724: 리드스크류
1730: 슬라이더복귀스프링 1750: 이동너트
1751: 제1가이드부 1752: 제2가이드부
1753: 제1하우징 삽입홈 1754: 제2하우징 삽입홈
1755: 리드스크류 삽입부 1756: 제1센서 누름부
1800: 막음판 1801: 하우징삽입돌기
1802: 하우징 지지부 1803: 배터리하우징지지부
1804: 격벽 1805: 슬라이더 관통홈
1811: 보조걸쇠관통홈 1812: 버튼설치홈
1821: 모터 지지부 1822: 축 지지부
1823: 슬라이더 저지부 1831: 제1체결부
1832: 제2체결부 1840: 보조핸들
1841: 홈 1842: 체결홈
1850: 지지판 1891: 후면부
1892: 둘레부 1893: 연장부
1894: 하우징삽입부
1900: 제어부 1910: 배터리하우징
1911: 손잡이 1920: PCB
Claims (12)
-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걸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걸쇠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
상기 슬라이더에 조립되는 도어핸들; 및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걸쇠의 잠금해제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도어핸들을 도어에서 인출되게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걸쇠의 잠금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도어핸들을 도어에 인입되게 슬라이딩시키는 직선운동변환부;를 포함한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은 상기 슬라이더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변환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경사장공과, 상기 경사장공을 따라 이동되게 상기 도어핸들에 설치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더 내에 배치되는 이동너트와, 상기 이동너트에 체결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복귀시키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복귀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 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이동너트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이동너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이동너트에는 상기 센서를 누를 수 있는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이동너트는 상기 돌기가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에 배치되게 상기 슬라이더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의 외측에는 입력부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청구항 9에 있어서,
도어의 내측에서 누를 수 있게 설치되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청구항 9에 있어서,
도어의 내측에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 방향으로 수동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보조걸쇠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청구항 9에 있어서,
도어의 내측에서 도어를 당길 수 있는 보조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4290A KR102122711B1 (ko) | 2019-02-07 | 2019-02-07 |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4290A KR102122711B1 (ko) | 2019-02-07 | 2019-02-07 |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2711B1 true KR102122711B1 (ko) | 2020-06-15 |
Family
ID=7108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4290A KR102122711B1 (ko) | 2019-02-07 | 2019-02-07 |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271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24255A (zh) * | 2020-11-04 | 2021-02-05 | 杨帆 | 一种按键可隐藏且便于安装的智能锁 |
US20220235583A1 (en) * | 2020-08-03 | 2022-07-28 | Aob Products Company | Vault door |
US20230304318A1 (en) * | 2020-08-26 | 2023-09-28 | Lg Electronics Inc. | Door hand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18759A (ko) * | 2012-08-03 | 2014-02-13 |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도어 손잡이 구조 |
KR101740189B1 (ko) * | 2016-04-08 | 2017-05-26 | 신영환 | 손잡이 엄폐 구조를 가지는 도어 잠금장치 |
KR101873396B1 (ko) | 2016-03-10 | 2018-08-03 | 주식회사 이랜시스 |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
US20180283045A1 (en) * | 2016-03-09 | 2018-10-04 | Pirnar, trzenje, proizvodnja in razvoj, d.o.o. | Door handle assembly and process for extending and/or retracting of door handle assembly |
-
2019
- 2019-02-07 KR KR1020190014290A patent/KR1021227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18759A (ko) * | 2012-08-03 | 2014-02-13 |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도어 손잡이 구조 |
US20180283045A1 (en) * | 2016-03-09 | 2018-10-04 | Pirnar, trzenje, proizvodnja in razvoj, d.o.o. | Door handle assembly and process for extending and/or retracting of door handle assembly |
KR101873396B1 (ko) | 2016-03-10 | 2018-08-03 | 주식회사 이랜시스 |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
KR101740189B1 (ko) * | 2016-04-08 | 2017-05-26 | 신영환 | 손잡이 엄폐 구조를 가지는 도어 잠금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sangyong Engineering & Construction. Concealed Door Lock. iF WORLD DESIGN GUIDE, [online], [2018년 12월 11일 검색], 인터넷: <URL: https://ifworlddesignguide.com/entry/107524-concealed-door-lock>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235583A1 (en) * | 2020-08-03 | 2022-07-28 | Aob Products Company | Vault door |
US20230304318A1 (en) * | 2020-08-26 | 2023-09-28 | Lg Electronics Inc. | Door handle |
CN112324255A (zh) * | 2020-11-04 | 2021-02-05 | 杨帆 | 一种按键可隐藏且便于安装的智能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2711B1 (ko) |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
CN107109870B (zh) | 门闩系统 | |
US10995526B2 (en) | Door latch system | |
JP6654253B2 (ja) | 車両用ドアラッチシステム | |
KR101188995B1 (ko) | 도어락 | |
JP5255544B2 (ja) | 鍵穴隠れ式解錠装置およびその鍵 | |
EP0540902A1 (en) | Locking device for lid | |
KR20170046680A (ko) | 비지퍼 개폐식 슈트케이스에 설치되는 록킹 세트 및 여행용 슈트케이스 | |
KR101895216B1 (ko) | 도어록용 모티스 | |
KR102274300B1 (ko) | 스마트 잠금장치의 구동장치 | |
KR102371729B1 (ko) | 도어락의 안전 핸들 구조체 | |
JP4838037B2 (ja) | 電気錠用取り付け座 | |
US20040187532A1 (en) | Remote-controlled lock | |
KR200463143Y1 (ko) | 개선된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갖는 도어록 | |
KR101843047B1 (ko) | 슬라이딩 잠금장치를 갖는 푸쉬풀 도어락 | |
CN105781260B (zh) | 一种智能电子门栓 | |
KR101879753B1 (ko) | 사물함 잠금장치 | |
JP5659194B2 (ja) | 引戸錠 | |
KR200465216Y1 (ko) | 디지털 도어락을 위한 도어틀 장착기구 | |
KR200428171Y1 (ko) |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 |
CN210598448U (zh) | 一种把手离合结构及门锁 | |
CN109184328B (zh) | 一种锁具 | |
CN109098547B (zh) | 一种离合装置 | |
KR101312239B1 (ko) |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 |
KR101295957B1 (ko) |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