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957B1 -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957B1
KR101295957B1 KR1020110136487A KR20110136487A KR101295957B1 KR 101295957 B1 KR101295957 B1 KR 101295957B1 KR 1020110136487 A KR1020110136487 A KR 1020110136487A KR 20110136487 A KR20110136487 A KR 20110136487A KR 101295957 B1 KR101295957 B1 KR 101295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od
pin
press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987A (ko
Inventor
최윤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13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9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푸쉬 타입 록킹장치를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구성하여, 동작 관계를 단순화 시켜 덮개를 안정적으로 열거나 잠글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전방을 향해 버튼 조립홀을 갖고 좌측에는 측판(11)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가이드면(12)이 성형된 버튼 조립체 하우징(10)과;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가이드면(12) 상단에 위치되어 상부면에 스프링수납공간과 전방 우측의 편향된 위치에 좌향구동축(31)을 형성하고, 좌측 일단에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측판(11) 외부에 위치하는 받침대(33)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33) 하단부에 측판(11)을 관통하는 걸림핀(32)이 더 돌출 성형된 좌측 로드부재(30)와,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의 상부 수납 공간에 장착하며, 우측 일단이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에 지지되는 인장스프링(25)과,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의 상부에서 상기 인장스프링(25)의 좌측 일단을 지지하게 장착되며, 전방에 좌향구동축(31)이 통과하는 장공의 통과홈(42)이 형성되고, 상부면 후방 좌측의 편향된 위치에 우향 구동축(41)이 더 돌출 형성된 우측 로드부재(40)를 포함해 적층 조립되어, 상기 좌,우 로드부재(30)(4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복귀 가능하게 구성된 로드조립체(20)와;
상기 로드조립체(20)의 상부에서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에 축 결합되며, 전, 후방 양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51a)(51b)에 로드부재(30)(40)의 구동축(31)(41)이 각각 위치되며, 상단부에 가입핀(52)이 더 성형된 회전암(50)과;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전방에서 복원스프링(61)을 포함하고, 몸체 후방에 가압부(62)와 가이드부(63)가 성형되어, 상기 회전암(50)의 가압핀(52) 전방에 가압부(62)가 위치되도록 조립하는 푸쉬 버튼(60)과;
상기 회전암(50)의 상단에서 버튼 조립체 하우징(10)과 체결 조립되어, 몸체 내부의 로드조립체(20)를 가이드 하며, 몸체 상부로 회전암(50)의 가압핀(52)이 끼워져 회전암(50)의 회전 시 상기 가압핀(52)을 가이드 하는 안내홀(71)을 형성한 상부커버(70)와;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측판(11)에 잠금스프링(81)을 포함해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며, 몸체 상부의 관통홀(82)에는 푸쉬 버튼(60)의 가이드부(63)가 관통 조립되고, 하부단속부(83)에는 로드부재(30)의 걸림핀(32)이 내측으로 관통 조립하는 록킹부재(8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버튼(60)의 가이드부(63)에는 상부로 경사면(63a)을 형성하여, 푸쉬 버튼(60) 인입 시 록킹부재(80)의 상부관통홀(82) 상단에 형성된 안내면(82a)을 밀어 올리게 되고, 동시에 록킹부재(80)의 하부단속부(83)에 형성된 걸림턱(84)에 잠겨진 받침대(33)의 잠금홈(33a)을 해제하고, 푸쉬 버튼(60)의 가압부(62) 인입에 따라 회전암(50)의 가압핀(52)를 밀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로드부재(30)(40)가 양측으로 벌어져 잠금 해제한다.
또, 상기 회전암(50)의 가압핀(52)과 푸쉬 버튼(60)의 가압부(62)는 일정거리(l)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부(63)의 경사면(63a)은 록킹부재(80)의 안내면(82a)과 접촉된 상태로 조립되어, 푸쉬 버튼(60) 가압 시 가이드부(63)가 록킹부재(80)를 우선 상승시키면서 가압부(62)가 가압핀(52)을 밀어내도록 구성시켜 달성한다.

Description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Push type locking apparatus for glove box}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푸쉬 타입 록킹장치를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구성하여, 동작 관계를 단순화 시켜 덮개를 안정적으로 열거나 잠글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서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글로브 박스(glove box)와 같은 물품 수납용 박스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즉, 상기 글로브 박스의 구성은, 차량의 조수석 전면 패널에 수납공간을 갖는 함체가 마련되어, 각종 소형 물품을 수납 가능하며, 상기 함체 전방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가 설치되는데, 이 덮개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함체 전방에서 덮개를 고정 및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에는 덮개 일측에 배치되는 푸쉬 버튼형 글로브 박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 푸쉬 버튼형의 구성은 버튼을 가압해 덮개의 록킹을 해제하는 작동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 푸쉬 버튼형 록킹장치는, 푸쉬 버튼을 누르면 후방의 스트라이커가 내부로 이동하면서 로드바를 양측으로 밀어 잠김이 해제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는 글로브 박스에 대한 덮개의 잠김을 해제하기 위한 부품수가 상당히 많고, 그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마운팅부재 및 스크류 등의 구성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원가가 상승되며, 다수의 구성품을 조립하기 위해 글로브 박스의 두께가 증대되어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글로브 박스는 차량 운행 도중에 충돌이나 추돌 등의 충격을 받게 되면, 그 충격에 의해 덮개가 열리게 되면서 수납공간에 보관중인 물품이 쏟아져 나와 승객이 부상을 입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와 적은 수의 부품으로 안정적으로 덮개의 개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립성 및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푸쉬 버튼의 작동에 따라 회전암이 로드부재를 이동시키고, 그 과정에서 그 작동 소음을 최소화시켜 제품의 고급화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방을 향해 버튼 조립홀을 갖고 좌측에는 측판(11)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가이드면(12)이 성형된 버튼 조립체 하우징(10)과;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가이드면(12) 상단에 위치되어 상부면에 스프링수납공간과 전방 우측의 편향된 위치에 좌향구동축(31)을 형성하고, 좌측 일단에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측판(11) 외부에 위치하는 받침대(33)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33) 하단부에 측판(11)을 관통하는 걸림핀(32)이 더 돌출 성형된 좌측 로드부재(30)와,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의 상부 수납 공간에 장착하며, 우측 일단이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에 지지되는 인장스프링(25)과,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의 상부에서 상기 인장스프링(25)의 좌측 일단을 지지하게 장착되며, 전방에 좌향구동축(31)이 통과하는 장공의 통과홈(42)이 형성되고, 상부면 후방 좌측의 편향된 위치에 우향 구동축(41)이 더 돌출 형성된 우측 로드부재(40)를 포함해 적층 조립되어, 상기 좌,우 로드부재(30)(4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복귀 가능하게 구성된 로드조립체(20)와;
상기 로드조립체(20)의 상부에서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에 축 결합되며, 전, 후방 양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51a)(51b)에 로드부재(30)(40)의 구동축(31)(41)이 각각 위치되며, 상단부에 가입핀(52)이 더 성형된 회전암(50)과;
삭제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전방에서 복원스프링(61)을 포함하고, 몸체 후방에 가압부(62)와 가이드부(63)가 성형되어, 상기 회전암(50)의 가압핀(52) 전방에 가압부(62)가 위치되도록 조립하는 푸쉬 버튼(60)과;
상기 회전암(50)의 상단에서 버튼 조립체 하우징(10)과 체결 조립되어, 몸체 내부의 로드조립체(20)를 가이드 하며, 몸체 상부로 회전암(50)의 가압핀(52)이 끼워져 회전암(50)의 회전 시 상기 가압핀(52)을 가이드 하는 안내홀(71)을 형성한 상부커버(70)와;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측판(11)에 잠금스프링(81)을 포함해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며, 몸체 상부의 관통홀(82)에는 푸쉬 버튼(60)의 가이드부(63)가 관통 조립되고, 하부단속부(83)에는 로드부재(30)의 걸림핀(32)이 내측으로 관통 조립하는 록킹부재(8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버튼(60)의 가이드부(63)에는 상부로 경사면(63a)을 형성하여, 푸쉬 버튼(60) 인입 시 록킹부재(80)의 상부관통홀(82) 상단에 형성된 안내면(82a)을 밀어 올리게 되고, 동시에 록킹부재(80)의 하부단속부(83)에 형성된 걸림턱(84)에 잠겨진 받침대(33)의 잠금홈(33a)을 해제하고, 푸쉬 버튼(60)의 가압부(62) 인입에 따라 회전암(50)의 가압핀(52)를 밀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로드부재(30)(40)가 양측으로 벌어져 잠금 해제한다.
또, 상기 회전암(50)의 가압핀(52)과 푸쉬 버튼(60)의 가압부(62)는 일정거리(l)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부(63)의 경사면(63a)은 록킹부재(80)의 안내면(82a)과 접촉된 상태로 조립되어, 푸쉬 버튼(60) 가압 시 가이드부(63)가 록킹부재(80)를 우선 상승시키면서 가압부(62)가 가압핀(52)을 밀어내도록 구성시켜 달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구성된 푸쉬타입 록킹장치를 이용해 차량용 물품 수납용 박스에 덮개를 간편하게 고정 및 개방할 수 있어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되고,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 푸쉬 버튼이 비교적 약한 가압에서도 록킹부재를 잠금 해제하여 덮개를 개방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외부충격 등에는 덮개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아암과 상부커버의 축 결합부에 실리콘 링이 설치되어 회전아암의 회전에 따른 소음발생을 최소화하여 상품성과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푸쉬 타입 록킹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푸쉬 타입 록킹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로드 조립체와 회전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인 록킹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작동에 따른 록킹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작동에 따라 걸림핀이 잠금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는, 푸쉬 타입 록킹장치를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구성하여, 동작 관계를 단순화 시켜 덮개를 안정적으로 열거나 잠글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인 푸쉬 타입 록킹장치(100)는, 소정의 수납공간을 갖는 글로브 박스 함체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개폐가능하게 조립되는 덮개를 푸쉬 버튼의 조작으로 글로브 박스에서 잠금 및 열림 상태를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인 푸쉬 타입 록킹장치(100)의 대략적인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크게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전방에 구비된 푸쉬 버튼(60)의 누름으로 하우징 상부에 축결합된 회전암(50)을 회전시키면서, 하우징 상부면에 조립된 로드 조립체(20)를 좌우로 벌어지게 하여 록킹부재(80)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은, 몸체 일측으로 측판(11)이 구비되고, 몸체 상부에는 가이드면(12)이 성형되며, 몸체 다른 일측으로 일반적인 잠금뭉치(미부호)가 장착된다.
또,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측판(11)에는 몸체 내부로 잠금스프링(81)을 포함한 록킹부재(80)가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측판 하단으로 통과홀이 더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조립체(20)는,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가이드면(12)에서, 몸체 내부로 인장스프링(25)을 포함한 좌,우 로드부재(30)(4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복귀 가능하게 적층 조립된다.
즉, 좌측 로드부재(30)는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가이드면(12) 상단에 위치되어 상부면에 스프링수납공간과 전방 우측의 편향된 위치에 좌향구동축(31)을 형성하고, 좌측 일단에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측판(11) 외부에 위치하는 받침대(33)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33) 하단부에 측판(11)을 관통하는 걸림핀(32)이 더 돌출 성형된다.
또, 인장스프링(25)은,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의 상부 수납 공간에 장착하며, 우측 일단이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에 지지되어진다.
또한,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의 상부에는 우측 로드부재(40)가 상기 인장스프링(25)의 좌측 일단을 지지하면서 장착되며, 전방에 좌향구동축(31)이 통과하는 장공의 통과홈(42)이 형성되고, 상부면 후방 좌측의 편향된 위치에 우향 구동축(41)이 더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로드부재(30)(40)의 구동축(31)(41)은 로드조립체(20)의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드조립체(20) 상부에서 버튼 조립체 하우징(10)과 축 결합된 회전암(50)의 가이드홈(51a)(51b)에 각각 끼워지게 조립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33)의 하단에는 잠금홈(33a)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록킹부재(80)의 걸림턱(84)에 단속되어 로드부재(3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로드조립체(2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좌측 로드부재(30)의 몸체 상부로 인장스프링(25)이 수납되어 우측 일단과 결합되고, 몸체의 좌측 일단에 받침대(33)가 하향 절곡되어 그 하단으로 걸림핀(32)이 내측으로 향해 돌출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의 상부에는 인장스프링(25)의 좌측 일단과 몸체 저면이 결합되는 우측 로드부재(4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로드조립체(20)가 내부 인장스프링(25)에 의해 좌우로 벌어진 상태에서도 모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로드조립체(20)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측판(11) 위치에 따라 좌우 로드부재(30)(4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전환해 설치하는 것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또, 상기 로드부재(30)(40)의 몸체 중앙부는 장공홀로 형성되어, 회전암(50)의 샤프트가 로드조립체(20)를 통과하여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에 축 결합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로드부재(30)(40)는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가이드면(12)에 안내되어, 몸체 내부의 장공홀에 끼워진 회전암(50)의 샤프트로 인해 로드조립체(20)가 좌우로 벌어지거나 모여지는 과정에서 상기 로드부재를 안내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암(50)은, 몸체 전방과 후방 양단부에 가이드홈(51a)(51b)이 형성되어 로드부재(30)(40)에 각각 성형된 구동축(31)(41)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몸체 상부 일단으로 가압핀(52)이 성형되어 진다.
또,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전방에서 복원스프링(61)을 포함하는 푸쉬 버튼(60)이 조립되며, 상기 푸쉬 버튼(60)의 몸체 후방에는 가압부(62)와 가이드부(63)가 성형되어 푸쉬 버튼(60) 누름 시에 회전암(50)의 가압핀(52)을 가압부(62)가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즉, 상기 푸쉬 버튼(60)은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전방에 설치되어, 버튼 누름 시 배면의 가압부(62)가 가압핀(52)을 밀어내면, 가압핀(52)과 일체 구성된 회전암(50)이 동시 회전하면서 가이드홈(51a)(51b) 내부에 위치된 구동축(31)(4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밀어 로드부재(30)(40)가 좌우로 벌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회전암(50)의 상단에서 상부커버(70)가 버튼 조립체 하우징(10)과 체결 조립시켜 회전암(50)을 상하부 축 결합되도록 하며, 내부에 수용된 로드조립체(20)를 가이드 함과 아울러 부품의 분리 및 망실을 방지하고, 몸체에 안내홀(71)을 더 형성해 가압핀(52)이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암(50) 회전 시 상기 가압핀(52)을 가이드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암(50)의 샤프트에 실리콘 링을 구비한 상태로 조립하여 회전암(50)의 회전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그리고,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측판(11)에는, 잠금스프링(81)을 포함한 록킹부재(80)가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며, 이 록킹부재(80)의 몸체 상하부에 관통홀(82)과 단속부(83)를 형성시켜, 상부관통홀(82)에는 푸쉬 버튼(60)의 가이드부(63)가 관통되고, 하부단속부(83)에는 로드부재(30)의 받침대(33)에 형성된 걸림핀(32)이 내측으로 관통되게 구성한다.
즉, 상기 록킹부재(80)는, 측판(11)에 형성된 삽입홀에 조립되어, 상부관통홀(82)에 위치된 푸쉬 버튼(60)의 가이드부(63)의 인입에 따라 몸체가 삽입홀 내에서 상승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 상기 록킹부재(80)의 상승에 따라 하부단속부(83)의 걸림턱(84)에 고정된 로드부재(30)의 잠금홈(33a)이 잠금 해제되어 걸림핀(32)과 일체 구성된 좌측 로드부재(30)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푸쉬 버튼(60)의 가이드부(63)에는 상부로 경사면(63a)을 형성하여, 푸쉬 버튼(60) 인입 시 록킹부재(80)의 상부관통홀(82) 상단에 형성된 안내면(82a)을 밀어 올리게 되고, 동시에 록킹부재(80)의 하부단속부(83)에 형성된 걸림턱(84)에 잠겨진 잠금홈(33a)을 해제시켜, 푸쉬 버튼(60)의 가압부(62) 인입에 따라 회전암(50)의 가압핀(52)를 밀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로드부재(30)(40)가 양측으로 벌어져 잠금 해제되게 하였다.
즉, 상기 회전암(50)과 일체 형성된 가압핀(52)이 푸쉬버튼(60)의 누름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암(50)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암(50)의 가이드홈(51a)(51b)에 각각 끼워진 좌,우 구동축(31)(41)을 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로드부재(30)(40)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암(50)의 가압핀(52)과 푸쉬 버튼(60)의 가압부(62)는 일정거리(l)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부(63)의 경사면(63a)은 록킹부재(80)의 안내면(82a)과 접촉된 상태로 조립되어, 푸쉬 버튼(60) 가압 시 가이드부(63)가 록킹부재(80)를 우선 상승시키면서 가압부(62)가 가압핀(52)을 밀어내도록 구성하여 잠금홈(33a) 해제에 따른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100)의 작동상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a에서와 같이 글로브 박스에 덮개가 잠겨진 상태에서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100)는 푸쉬 버튼(60)의 가압부(62)가 회전암(50)의 가압핀(52)과 일정거리(l) 이격된 상태에 위치되어 외부충격에도 가압부(62)가 가압핀(52)을 가압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된 로드조립체(20)는, 좌측 로드부재(30)의 걸림핀(32)과, 우측 로드부재(40)에서 연장 조립된 로드바(미도시)와 걸림핀(미도시)이 글로브 박스의 전방 덮개를 양 측단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삽입되어 잠금 고정한다.
이때에는 도 5a 및 도 6a에서와 같이, 푸쉬 버튼(60)의 가이드부(63)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63a)이 록킹부재(80)의 상부관통홀(82) 상부에 형성된 안내면(82a)과 서로 밀착된 상태를 갖게 되며,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의 받침대(33)에 형성된 잠금홈(33a)에 록킹부재(80)의 하부단속부(83)에 형성된 걸림턱(84)이 걸려져 로드부재(3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덮개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 4b와 같이 푸쉬 버튼(60)을 누르게 되어, 가압부(62)가 회전암(50)의 가압핀(52)을 후방으로 밀게 되어, 상기 가압핀(52)과 일체 성형된 회전암(5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암(50)의 가이드홈(51a)(51b)에는 좌,우 로드부재(30)(40)의 좌,우 구동축(31)(41)이 각각 끼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회전암(50)의 회전으로 가이드홈(51a)(51b)에 끼워진 좌,우 구동축(31)(41)을 밀어 좌,우 로드부재(30)(4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좌,우 로드부재(30)(40)의 내부 사이에는 우측 일단이 좌측 로드부재(30)에 지지되고, 좌측 일단이 우측 로드부재(40)에 지지된 인장스프링(25)이 구비되어, 상기 좌,우 로드부재(30)(40)가 외측으로 벌어져 이동된 상태에서, 푸쉬버튼(60)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인장스프링(25)의 복귀탄력으로 상기 좌,우 로드부재(30)(40)가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진다.
이때, 도 4b 및 도 5b와 같이 푸쉬 버튼(60)의 가이드부(63)에 형성된 경사면(63a)이 록킹부재(80)의 상부관통홀(82)에 구비된 안내면(82a)을 승강시켜 록킹부재(80)가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도 6b와 같이 받침대(33)의 잠금홈(33a)에 걸려진 하부단속부(83) 걸림턱(84)도 동반 상승되어 로드부재(30)에 대한 잠금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록킹부재(80)를 상승시켜 잠금홈(33a)의 단속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로드부재(30)(40)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과정에서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가압부(62)가 회전암(50)을 더 회전시켜 로드부재(30)(40)에 각각 구비된 걸림핀(32)이 덮개 외부로 이탈되어 덮개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덮개를 개방하여 가압력을 해제하면, 푸쉬 버튼(60)은 복원스프링(61)에 의해 초기위치로 이동되면서, 록킹부재(80)는 잠금스프링(81)으로 하강 슬라이드 이동되고, 로드조립체(20)는 인장스프링(25)에 의해 다시 모여지면서 회전암(50)을 초기 상태로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개방된 덮개를 글로브 박스에 닫는 경우에는 라운드 지게 형상된 걸림핀(32)이, 덮개 양 측면이 부딪히며 로드조립체(20)가 외측으로 벌어지고, 덮개가 닫힘 상태에서는 인장스프링(25)에 의해 로드조립체(20)가 다시 모여지면서 걸림핀(32)이 덮개 측면을 고정시켜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버튼 조립체 하우징 11 - 측판
20 - 로드조립체 25 - 인장스프링
30 - 좌측 로드부재 31 - 구동축
32 - 걸림핀 33 - 받침대
33a - 잠금홈 40 - 우측 로드부재
41 - 구동축 50 - 회전암
51a,51b - 가이드홈 52 - 가압핀
60 - 푸쉬 버튼 61 - 복원스프링
62 - 가압부 63 - 가이드부
63a - 경사면 70 - 상부커버
80 - 록킹부재 81 - 잠금스프링
82 - 상부관통홀 82a - 안내면
83 - 하부단속부 84 - 걸림턱
100 - 푸쉬 타입 록킹 장치

Claims (5)

  1. 전방을 향해 버튼 조립홀을 갖고 좌측에는 측판(11)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가이드면(12)이 성형된 버튼 조립체 하우징(10)과;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가이드면(12) 상단에 위치되어 상부면에 스프링수납공간과 전방 우측의 편향된 위치에 좌향구동축(31)을 형성하고, 좌측 일단에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측판(11) 외부에 위치하는 받침대(33)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33) 하단부에 측판(11)을 관통하는 걸림핀(32)이 더 돌출 성형된 좌측 로드부재(30)와,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의 상부 수납 공간에 장착하며, 우측 일단이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에 지지되는 인장스프링(25)과,
    상기 좌측 로드부재(30)의 상부에서 상기 인장스프링(25)의 좌측 일단을 지지하게 장착되며, 전방에 좌향구동축(31)이 통과하는 장공의 통과홈(42)이 형성되고, 상부면 후방 좌측의 편향된 위치에 우향 구동축(41)이 더 돌출 형성된 우측 로드부재(40)를 포함해 적층 조립되어, 상기 좌,우 로드부재(30)(4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복귀 가능하게 구성된 로드조립체(20)와;
    상기 로드조립체(20)의 상부에서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에 축 결합되며, 전, 후방 양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51a)(51b)에 로드부재(30)(40)의 구동축(31)(41)이 각각 위치되며, 상단부에 가입핀(52)이 더 성형된 회전암(50)과;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전방에서 복원스프링(61)을 포함하고, 몸체 후방에 가압부(62)와 가이드부(63)가 성형되어, 상기 회전암(50)의 가압핀(52) 전방에 가압부(62)가 위치되도록 조립하는 푸쉬 버튼(60)과;
    상기 회전암(50)의 상단에서 버튼 조립체 하우징(10)과 체결 조립되어, 몸체 내부의 로드조립체(20)를 가이드 하며, 몸체 상부로 회전암(50)의 가압핀(52)이 끼워져 회전암(50)의 회전 시 상기 가압핀(52)을 가이드 하는 안내홀(71)을 형성한 상부커버(70)와;
    상기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측판(11)에 잠금스프링(81)을 포함해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며, 몸체 상부의 관통홀(82)에는 푸쉬 버튼(60)의 가이드부(63)가 관통 조립되고, 하부단속부(83)에는 로드부재(30)의 걸림핀(32)이 내측으로 관통 조립하는 록킹부재(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글로브 박스의 푸쉬타입 록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60)의 가이드부(63)에는 상부로 경사면(63a)을 형성하여, 푸쉬 버튼(60) 인입 시 록킹부재(80)의 상부관통홀(82) 상단에 형성된 안내면(82a)을 밀어 올리게 되고, 동시에 록킹부재(80)의 하부단속부(83)에 형성된 걸림턱(84)에 잠겨진 받침대(33)의 잠금홈(33a)을 해제하고, 푸쉬 버튼(60)의 가압부(62) 인입에 따라 회전암(50)의 가압핀(52)를 밀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로드부재(30)(40)가 양측으로 벌어져 잠금 해제됨을 특징으로 한 글로브 박스의 푸쉬타입 록킹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암(50)의 가압핀(52)과 푸쉬 버튼(60)의 가압부(62)는 일정거리(l)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부(63)의 경사면(63a)은 록킹부재(80)의 안내면(82a)과 접촉된 상태로 조립되어, 푸쉬 버튼(60) 가압 시 가이드부(63)가 록킹부재(80)를 우선 상승시키면서 가압부(62)가 가압핀(52)을 밀어내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글로브 박스의 푸쉬타입 록킹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암(50)의 걸림핀(32)과 푸쉬 버튼(60)의 가압부(62)는 일정거리(l) 이격되게 조립되어 외부충격에도 푸쉬 버튼(60)의 가압부(62)가 가압핀(52)을 가압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글로브 박스의 푸쉬타입 록킹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조립체(20)는, 좌,우 로드부재(30)(40)로 구성되어, 버튼 조립체 하우징(10)의 측판(11)에 대향되는 어느 하나의 로드부재(30)가 록킹부재(80)로 잠금 해제되고, 다른 하나의 로드부재(40)에는 로드바와 걸림핀이 연장 조립되어, 상기 록킹부재(80)로 단속되는 로드부재(30)와 연동되게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의 푸쉬타입 록킹장치.
KR1020110136487A 2011-12-16 2011-12-16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KR10129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487A KR101295957B1 (ko) 2011-12-16 2011-12-16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487A KR101295957B1 (ko) 2011-12-16 2011-12-16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987A KR20130068987A (ko) 2013-06-26
KR101295957B1 true KR101295957B1 (ko) 2013-08-13

Family

ID=4886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487A KR101295957B1 (ko) 2011-12-16 2011-12-16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117594A1 (ko) * 2019-12-10 2021-06-17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4188B2 (en) * 2019-08-08 2023-11-14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Fuel drain engagement too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192A (ja) 2003-09-29 2005-04-21 Kojima Press Co Ltd グローブボックス用開閉ロック装置
KR20090007943A (ko) * 2007-07-16 2009-0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푸시 방식 글로브 박스 록킹 장치
KR100906664B1 (ko) 2007-05-23 2009-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192A (ja) 2003-09-29 2005-04-21 Kojima Press Co Ltd グローブボックス用開閉ロック装置
KR100906664B1 (ko) 2007-05-23 2009-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20090007943A (ko) * 2007-07-16 2009-0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푸시 방식 글로브 박스 록킹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117594A1 (ko) * 2019-12-10 2021-06-17
JP7269372B2 (ja) 2019-12-10 2023-05-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解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987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4333B2 (ja) リッド開閉装置
US8353549B2 (en) Push butto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WO2015083619A1 (ja) ロック機構及び開閉装置
US9771744B2 (en) Glove box for vehicle
CN111902595B (zh) 具有集成有按钮式致动机构的可打开件的车辆存储设备
JP2006022482A (ja) プッシュボタン式ボックス開放構造
CN108291412B (zh) 锁止装置
KR102422966B1 (ko) 차량의 센터 암레스트
KR101295957B1 (ko)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JP2020084446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2122711B1 (ko)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KR20150094857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킹장치
KR20170077406A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200471689Y1 (ko)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KR102478810B1 (ko)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US11701991B2 (en) Tray device for vehicle and locking device for tray device
JP3926807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1823383B1 (ko) 글로브박스
KR20120133542A (ko)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JP5132942B2 (ja) キャビネット
EP4248800A1 (en) Push-to-open device
JP4540440B2 (ja) 自動販売機の防盗構造
JP6719936B2 (ja) ロック装置
JP4470676B2 (ja) 家具
KR101727684B1 (ko) 글로브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