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810B1 -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 Google Patents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810B1
KR102478810B1 KR1020200184437A KR20200184437A KR102478810B1 KR 102478810 B1 KR102478810 B1 KR 102478810B1 KR 1020200184437 A KR1020200184437 A KR 1020200184437A KR 20200184437 A KR20200184437 A KR 20200184437A KR 102478810 B1 KR102478810 B1 KR 10247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opper
glove box
pie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578A (ko
Inventor
손동일
최동용
권오심
엄태용
Original Assignee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8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로서, 상기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마련되는 스톱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수납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납부의 직선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SLIDING TYPE GLOVE BOX HAVING STOPPING STRUCTURE}
본 발명은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이 경사 구간을 주행할 때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아울러, 슬라이딩 이동되는 일정 구간에서 멈춤될 수 있도록 구성된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전방에 계기장치나 조작스위치, 오디오 등이 설치되는 대쉬보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대쉬보드의 일측, 즉, 조수석 측에는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되는 소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글로브 박스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글로브 박스는,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전면 패널을 크게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물품이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회동방식 또는 슬라이딩 이동 방식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수납부의 전면부에 형성된 홈부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의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전면과 마주하는 상기 전면 패널의 면상에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수납부를 개폐 가능한 상태로 변환시키는 래치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래치부는 한 쌍의 록킹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록킹로드의 길이방향 단부는 수납부의 양측에 형성된 록키홀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또 다른 록킹홀과 체결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록킹로드는 사용자가 전면 패널에 마련된 손잡이를 당기거나 놓으면 직선 왕복운동되면서 상기 록킹홀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록킹홀에 록킹로드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면 수납부는 하우징에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동시키면 록킹로드의 길이방향 단부가 록킹홀에서 이탈되며, 이때, 수납부는 하우징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하지만, 기존의 글로브 박스는,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완전히 선회시키지 않고 일부만 선회시킨 상태에서 당기기 때문에, 상기 록킹로드의 길이방향 단부가 록킹홀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은 채 수납부의 이동에 의해 하우징의 측벽을 긁으면서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록킹홀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던 록킹로드의 길이방향 단부가, 록킹홀에서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상태에서 수납부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록킹로드의 길이방향 단부가 록킹홀을 구획하는 하우징의 내벽과 마찰되면서 록킹홀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이에 따라, 록킹로드의 길이방향 단부와 하우징의 내벽이 서로 마찰되어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이 경사 구간을 주행하는 과정에서 하우징에서 개방된 상태의 수납부가 의도치 않게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차량에서 수납부를 개방하였을 때, 수납부가 의도치 않게 이동되어 닫히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수납부의 이동에 의해 조수석에 앉은 사용자에게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41444호의 '글로브 박스용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전면 패널에 마련된 손잡이부를 완전히 선회시킨 후 당길 수 있도록 유도하고, 차량이 경사구간을 주행할 시에 의도치 않게 수납부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로서, 상기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마련되는 스톱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수납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납부의 직선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형성된 안착 공간에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부와 연결되는 가이드바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안착 공간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절곡편; 상기 절곡편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편; 상기 수직편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편; 및 상기 수평편에서 소정 곡률을 가진 채로 돌출 형성되는 가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의 저면에는 상기 스톱퍼부의 가압편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 공간에는 상기 가압편의 저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편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수납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톱퍼부 중에서 일측에 배치된 스톱퍼부는, 상기 수납부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완전히 수용되어 닫힘 상태를 이룰 때 상기 수납부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상기 한 쌍의 스톱퍼부 중에서 타측에 배치된 스톱퍼부는, 상기 수납부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인출되어 개방 상태를 이룰 때 상기 수납부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사용자가 전면 패널에 마련된 손잡이를 최대 각도로 선회시킨 상태에서 수납부를 당기도록 유도하는 스톱퍼부를 제공하므로, 록킹로드가 하우징과 수납부에 각각 형성된 록킹홀에서 완전히 빠져나온 후 수납부가 이동됨에 따라 록킹로드의 길이방향 단부가 변형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차량이 경사 구간을 주행할 시에, 수납부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수납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수납부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되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의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가 글로브 박스가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수납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수납부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되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100)는, 대쉬보드(미도시)에 장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부(120)와, 상기 레일부(120)를 따라 이동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130)를 크게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수납부(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전방 측부에는 수납부(130)에 형성된 록킹홀(미도시)을 경유한 록킹로드(R)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또 다른 록킹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레일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바닥부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121) 및 상기 외측 레일(1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와 연결되는 내측 레일(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부(120)는, 소정 간격을 두고서 수납부(130)의 인출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121)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채 수납부(130)의 인출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외측 레일(121)은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을 가진 채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레일(122)은, 상기 외측 레일(1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채로 외측 레일(121)이 형성하는 내측 홈부에 마련될 수 있다. 내측 레일(1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130)의 저부와 연결된 채 외측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레일(122)이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수납부(13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3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브라켓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부(123)는,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 단부에 마련된 연결편(121a)에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연결편(121a)은 외측 레일(121)과 일체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부를 향해 절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30)는, 각종 물품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공간을 통하여 물품을 넣거나 뺄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수납부(130)의 전면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된 전면 패널(140)이 장착된다. 그리고, 수납부(130)의 전면부와 전면 패널(140)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수납부를 개폐 가능한 상태로 변환시키는 래치부(미도시)가 내장된다. 상기 래치부는 수납부(130)의 측부에 형성된 록킹홀과,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록킹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록킹로드(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않도록, 상기 래치부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20)의 내측 레일(122)과 연결되는 가이드바(13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131)는, 수납부(130)의 저부 일측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개방되기 위하여, 내측 레일(122)이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 측으로 이동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31)가 배치되지 않은 부위만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채 수납부(130)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131)와 상기 내측 레일(122)의 배치 관계에 의하여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상에서 개방되어도 레일부(200)가 외부로 비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부에 마련되는 스톱퍼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부(200)는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채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톱퍼부(2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부에 형성된 안착 공간(111)에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부(120)의 내측 레일(122)과 연결되는 가이드바(131)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톱퍼부(200)는, 수납부(130)의 직선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사용자가 전면 패널(140)에 마련된 손잡이를 완전히 선회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스톱퍼부(200)는, 사용자가 전면 패널(140)에 마련된 손잡이를 최대의 각도로 회동시켜 하우징(110)에 마련된 록킹홀(110a)과 수납부(130)에 마련된 록킹홀(130a)에서 록킹로드의 길이방향 단부가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완전히 수용되어 닫힘 상태를 이루었을 때, 상기 스톱퍼부(200)는, 가이드바(131)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할수 있다. 그러면, 수납부(130)는 상기 스톱퍼부(200)에서 제공되는 탄성 가압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퍼부(200)는, 사용자가 전면 패널(140)에 마련된 손잡이를 최대로 선회시킨 후 당길때까지, 상기 수납부(130)를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일시적으로 잡아두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스톱퍼부(200)는, 사용자가 전면 패널(140)에 마련된 손잡이를 최대로 선회시켜 하우징(110)의 록킹홀(110a)과 수납부(130)의 록킹홀(130a)에서 록킹로드의 길이방향 단부가 완전히 빠져나올 때까지 상기 수납부(130)를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일시적으로 잡아두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스톱퍼부(200)는, 사용자가 전면 패널(140)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최대로 선회시킨 후 당겼을 때, 상기 수납부(130)에 인가되는 힘보다 작은 힘으로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를 탄성 가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아울러, 스톱퍼부(200)는, 사용자가 전면 패널(140)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일부 선회시킨 후 당겼을 때, 상기 수납부(130)에 인가되는 힘보다 큰 힘으로 수납부(130)의 저부를 탄성 가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톱퍼부(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공간(111)에 형성된 결합구멍(h)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절곡편(210); 상기 절곡편(210)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편(220); 상기 수직편(22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편(230); 및 상기 수평편(230)에서 소정 곡률을 가진 채로 돌출 형성되는 가압편(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절곡편(210)과 수직편(220)은, 상기 안착 공간(111)에 스톱퍼부(200)가 견고히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즉, 절곡편(210)과 수직편(220)은, 서로 협력하여 전체적으로 'U'자 또는 'J'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안착 공간(111)에 형성된 결합구멍(h)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 후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편(210)과 수직편(220)은 결합구멍(h)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결합구멍(h) 상기 안착 공간(111)에 마련된 걸림부재(111a)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즉, 결합구멍(h)은 안착 공간(111)을 구획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바닥부측 면과 상기 걸림부재(111a)의 일면 사이에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절곡편(210)의 단부는 상기 걸림부재(111a)에 걸림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편(220)은 상기 걸림부재(111a)의 일면과 마주하는 하우징(110)의 바닥부측 면, 즉, 안착 공간(111)을 구획하는 일면과 접촉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절곡편(210)과 수직편(220)에 의하여 스톱퍼부(200)는 안착 공간(111)에 견고히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절곡편(210)과 수직편(220)는 서로 이격된 채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안착 공간(111)에 형성되는 결합구멍(h)도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편(230)은, 상기 걸림부재(111a)의 지지를 받아 안착 공간(1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편(240)은, 상기 수납부(130)의 저면에 마련된 가이드바(131)의 저면과 접촉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호의 형태를 가진 채로 수평편(230)에서 상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편(240)은, 그 저부에 배치된 돌출부재(111b)에 의하여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돌출부재(111b)는 전술한 걸림부재(111a)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가압편(240)의 저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31)의 저면에는 상기 가압편(240)과 대응되는 형태의 홈부(131a)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편(240)은, 상기 홈부(131a)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바(131)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130)는 홈부(131a)에 삽입된 가압편(240)에 의해 직선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가압편(240)과 홈부(131a)는 각각 호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면 패널(140)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최대로 선회시킨 후 당기면, 가압편(240)이 홈부(131a)에서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스톱퍼부(200) 중에서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는 스톱퍼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완전히 수용되어 닫힘 상태를 이룰 때,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에 마련된 가이드바(131)의 저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한 쌍의 스톱퍼부(200) 중에서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되는 스톱퍼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인출되어 개방 상태를 이룰 때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된 스톱퍼부(200)는, 차량이 경사 구간을 주행할 시에, 의도치 않게 수납부(13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된 스톱퍼부(200)는, 차량이 내리 막길을 주행할 시에, 개방된 수납부(130)가 그 자중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어 닫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차량이 오르 막길을 주행할 시에, 개방된 수납부(130)가 그 자중에 의해 하우징(110)에서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어 더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부(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톱퍼부(200)가 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스톱퍼부(200)는 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서 각각 세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글로브 박스 110 : 하우징
111 : 안착 공간 120 : 레일부
121 : 외측 레일 122 : 내측 레일
123 : 브랏케부 130 : 수납부
131 : 가이드바 131a : 홈부
140 : 전면 패널 200 : 레일부
210 : 절곡편 220 : 수직편
230 : 수평편 240 : 가압편

Claims (6)

  1.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로서,
    상기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마련되는 스톱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수납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납부의 직선 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형성된 안착 공간에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부와 연결되는 가이드바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안착 공간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절곡편; 상기 절곡편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편; 상기 수직편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편; 및 상기 수평편에서 소정 곡률을 가진 채로 돌출 형성되는 가압편;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 공간에는 상기 가압편의 저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편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의 저면에는 상기 스톱퍼부의 가압편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수납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톱퍼부 중에서 일측에 배치된 스톱퍼부는, 상기 수납부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완전히 수용되어 닫힘 상태를 이룰 때 상기 수납부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상기 한 쌍의 스톱퍼부 중에서 타측에 배치된 스톱퍼부는, 상기 수납부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인출되어 개방 상태를 이룰 때 상기 수납부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0200184437A 2020-12-28 2020-12-28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47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37A KR102478810B1 (ko) 2020-12-28 2020-12-28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37A KR102478810B1 (ko) 2020-12-28 2020-12-28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78A KR20220093578A (ko) 2022-07-05
KR102478810B1 true KR102478810B1 (ko) 2022-12-19

Family

ID=8240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437A KR102478810B1 (ko) 2020-12-28 2020-12-28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8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997B1 (ko) * 2014-10-29 2016-05-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시트의 수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0137B2 (ja) * 1997-10-03 2004-07-0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下の小物入れ装置
DE102013204547A1 (de) * 2013-03-15 2014-09-1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Montageanordnung eines Handschuhfach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997B1 (ko) * 2014-10-29 2016-05-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시트의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78A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446B2 (en) Locking device for automobile tray
KR100505892B1 (ko) 소물 수납함
KR100645186B1 (ko) 센터 어퍼 트레이
EP3944990B1 (en) Shake prevention structure of glove box
JP6342864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
KR20100056409A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KR102478810B1 (ko)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0973134B1 (ko) 글러브 박스
KR20220128537A (ko) 글로브박스용 개폐장치
KR200390556Y1 (ko) 슬라이딩 레일
KR100395067B1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록킹장치
KR102501242B1 (ko)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478817B1 (ko)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530050B1 (ko)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20150094857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킹장치
KR101295957B1 (ko)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JP2009161094A (ja) ドア装置
KR102578483B1 (ko) 글로브 박스의 개폐구조
JP4306569B2 (ja) 引き出し装置
KR20240066743A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JP3587275B2 (ja) 家具用抽斗ロック装置
JP5949685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2007069636A (ja) 収納装置
KR102307652B1 (ko)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
KR100610378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