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743A -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743A
KR20240066743A KR1020220147913A KR20220147913A KR20240066743A KR 20240066743 A KR20240066743 A KR 20240066743A KR 1020220147913 A KR1020220147913 A KR 1020220147913A KR 20220147913 A KR20220147913 A KR 20220147913A KR 20240066743 A KR20240066743 A KR 2024006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interlocking
opening knob
armrest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진
오원석
노홍길
Original Assignee
카이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6743A/ko
Publication of KR2024006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74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에서 각각 자동차의 암레스트를 열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안한다. 전방 열림노브(12a) 및 후방 열림노브(12b)는, 리드프레임(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같이 연동한다. 한 쌍의 전방 연동바아(20) 및 후방 연동바아(30)는, 어느 일측 열림노브의 눌러짐에 의하여, 내측으로 이동하여 리드프레임에 설치된 걸림턱과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후크(2c,2d)를 단부에 각각 구비한다. 본 발명의 연동수단은, 전방 열림노브 및 후방 열림노브 중의 일측이 눌러짐에 따라, 타측의 열림노브도 내측으로 이동시켜 걸림턱과의 로킹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양측의 리드(2a,2b)가 열리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rmrest of console box}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솔박스의 암레스트를 양측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암레스트의 개폐를 위한 내부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암레스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콘솔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콘솔은 하부에 설치되는 저장박스(Storage box)와, 이러한 저장박스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암레스트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콘솔의 저장박스의 개폐를 더욱 편하게 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가 제안되고 실제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제10-2440678호는 양측으로 개폐되는 암레스트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솔의 암레스트가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고, 양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는 경우, 암레스트의 개폐를 위한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양측 개폐형 암레스트의 경우, 내부 구성은 간단하면서도 양측의 암레스트가 같이 연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문 개폐형 암레스트에서, 양문 개폐를 위한 내부 구성을 최대한 단순화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문 개폐형 암레스트에서, 양문의 개폐 동작을 일치시키면서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는, 저장박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리드 힌지에 의하여 리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드를 전후에서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 열림노브 및 후방 열림노브는, 리드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같이 연동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전방 연동바아 및 후방 연동바아는, 어느 일측 열림노브의 눌러짐에 의하여, 내측으로 이동하여 리드프레임에 설치된 걸림턱과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후크를 단부에 각각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동수단은, 전방 열림노브 및 후방 열림노브 중의 일측이 눌러짐에 따라, 타측의 열림노브도 내측으로 이동시켜 걸림턱과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연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연동수단에 대한 실시례에 의하면, 전방 연동바아 및 후방 연동바아의 내측부분에 성형되는 랙기어부와, 각각의 랙기어부를 사이에서 맞물리고 어느 일측의 연동바아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타측의 연동바아도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연동피니언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전방 연동바아 및 후방 연동바아의 외측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전방 연동바아 및 후방 연동바아, 그리고 전방 열림노브 및 후방 열림노브를 각각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좌우 양측으로 리드가 개폐되는 암레스트에서, 전방 또는 후방의 어디에서도 리드를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전방 개폐노브와 후방 개폐노브가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차량 내부의 어디에서도 암레스트를 열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편리한 작용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암레스트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암레스의 일부를 제외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암레스트의 로킹부분을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암레스트의 내부 중심부분을 보인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솔의 저장박스 상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는 양측(좌우방향)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리드(2;2a,2b)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리드(2)는 각각의 외측면을 따라 설치된 리드 힌지(Lid hinge)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외측으로 열리게 되고, 이렇게 열린 상태가 도 1의 (c)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리드(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드 힌지의 구조 등은 다양한 공지된 구성예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한 쌍의 리드(2)는 리드프레임(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데, 이러한 리드프레임(10)은 저장박스 상부에 설치된 것이고 후술하는 많은 부품을 지지하는 기본 구조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리드(2)를 열기 위한 한 쌍의 열림노브(12a,12b)가 프레임의 전후 양측에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쌍의 리드(2)는 (a) 및 (b)에 도시한 닫힌 상태에서, 열림노브(12a,12b)가 눌러지면 (c)에 도시한 열린 상태로 열린다. 여기서 상기 리드(2)의 전후면에는 각각 로킹을 위한 후크(2c,2d)가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2a,2b)의 내부에는 후크(2c,2d) 및 주변 구성(M)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2c,2d)는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연장되어, 바아 형상을 가지는 연동바아(20,30)를 형성하고 있음과 같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후크(2c,2d)는 항상 외측(전방 및 후방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힘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리드프레임(10)의 내측 중앙부분 중에서 상기 후크(2c,2d)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걸림턱(도시 생략)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리드(2a,2b)가 닫히게 되면, 상기 외측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는 후크(2c,2d)가 걸림턱에 걸려서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후크(2c,2d) 및 걸림턱은 실질적으로 암레스트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열림노브(12a,12b)가 눌러지면 후크(2a,2d)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턱과의 로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렇게 걸림턱과의 로킹 상태가 해제되면, 한 쌍의 리드(2a,2b)는 내장된 스프링(탄성부재)의 힘에 의하여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리게 된다. 여기서 도 1의 (c)를 참고하면, 전방 해제벼튼(12a)은 리드(2a,2b)의 전방측 후크(2c,2d)를 후퇴하도록 연동시키고, 후방 해제노브(12b)은 후방측의 후크가 리드 속으로 후퇴하도록(들어가도록) 연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크(2c,2d)는 리드(2a,2b)의 전방 및 후방에 모두 설치되어 있어서, 좌우 양측의 리드(2a,2b)가 열리기 위해서는 리드의 전후방 후크(2c,2d)가 모드 걸림턱에서 해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방 열림노브(12a)와 후방 열림노브(12b)가 서로 연동하도록 설치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한 쌍의 열림노브(12a,12b) 중에서 어느 하나가 눌러지면, 다른 하나의 열림노브도 이에 연동하여 같이 열리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음에는 열림노브(12a,12b)이 눌러지면, 인접한 후크(2c,2d)가 걸림턱에서 해제되는 동작 및 타측 후크가 걸림턱에서 동시에 해제되는 연동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의 열림노브(12a)가 전방 열림노브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전방 열림노브(12a)이 눌러져서 후방으로 직선 이동(도 3에서는 좌측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면, 그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연동부재(14)도 같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동부재(14)도 리드프레임(10)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내측단부(14a)는 상술한 후크(2c,2d)에 대응하는 위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방 열림노브(12a)이 눌러지면, 연동부재(14)의 내측단부(14a)는 후크(2c,2d)를 동시에 내측(후방)으로 밀게 된다. 후크(2c,2d)가 안으로 밀려 들어가면, 실질적으로 리드프레임(10)에 형성된 걸림턱(16)과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이렇게 전방 열림노브(12a)가 눌려지면, 전방에 있는 후크(2c,2d)와 걸림턱(16)과의 체결 상태가 해제됨을 알 수 있다. 후크(2c,2d)는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아 형상을 가지는 연동바아(20)의 외측 선단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크(2c,2d)가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다는 것은, 연동바아(20)가 내측으로 직선 운동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그리고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후크(2c,2d)는 좌우측 리드(2a,2b)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열림노브(12a) 및 연동부재(14)는 좌우 한 쌍의 전방 후크(2c,2d)를 동시에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후크(2c,2d)의 이동은 한 쌍의 연동바아(20)를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연동바아(20)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구조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고 동작도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어느 일측의 연동바아(20)를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나, 한 쌍의 연동바아(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고 있다. 연동바아(20)는 암레스트의 중앙 부분까지 연장되고 있고, 그 내측단부에는 랙기어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랙기어부(22)의 내측에는 연동피니언(40)이 맞물려 있고, 랙기어부(22)의 직선 운동은 연동피니언(40)의 회전운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연동피니언(40)의 타측(내측)에는 타측의 연동바아(30)의 랙기어부(32)와 맞물려 있다. 여기서 상술한 연동바아(20)가 전방측 연동바아라면, 타측의 연동바아(30)는 후방측 연동바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동바아(2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연동피니언(40)을 회전시키고, 연동피니언(40)은 타측(후방측)의 연동바아(30)를 직선 이동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연동피니언(40)에 의한 타측 연동바아(30)의 이동 방향은 실질적으로 연동바아(20)와 반대 방향이다. 즉, 전방측 연동바아(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후방측 연동바아(30)는 연동피니언(40)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전방측 연동바아(20)의 후방 이동에 의하여 전방측의 후크(2c,2d)가 걸림턱(16)에서 해제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후방측 연동바아(3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전방측 연동바아(20) 및 후크(2c,2d)의 동작과 완전히 동일하게 후방측 후크가 걸림턱에서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는 한 쌍의 리드(2a,2b)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전후방의 모든 후크가 걸림턱에서 해제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드(2a,2b)를 잡고 있던 후크(2c,2d)가 모두 걸림턱(16)에서 해제되면, 리드(2a,2b)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스프링의 힘이 리드(2a,2b)를 상방으로 열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분에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내측벽(60)은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리드(2a,2b)의 내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내측벽(60)의 외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50)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50)는 박스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술한 전방측 연동바아(20) 및 후방측 연동바아(30)를 피니언(40)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부(50)는 리드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50) 이외에도, 연동바아(20,30)의 직선 운동을 정확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리드프레임(10)에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스프링(Sa)은, 각각의 연동바아(20,30)가 원래의 상태, 즉 각각의 연동바아(20,30)가 전후방의 외측으로 밀려난 상태(리드의 닫힌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프링(Sa)의 일단(내측단부는 프레임(20) 또는 가이드부(50)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외측단부)는 연동바아(20,30)에 지지됨으로써, 연동바아(20,30)가 외측으로 나가도록 탄성력을 발생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스프링(Sb)은 연동부재(14) 및 열림노브(12a)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스프링(Sb)의 내측은 리드프레임(10)의 일측에 지지되고, 스프링(Sb)의 타측(외측)은 접촉부재(18)를 통하여 연동부재(14)를 밀고, 연동부재(14)는 열림노브(12a)를 외측으로 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스프링(Sb)은 열림노브(12a)를 외측으로 밀어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은, 기본적으로 어느 일측의 열림노브를 누르면, 타측의 열림노브도 같이 열리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그 보호범위가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한 것이다.
2a, 2b ..... 리드
10 ..... 리드프레임
12a, 12b ..... 열림노브
14 ..... 연동부재
20, 30 ..... 연동바아
22 .... 랙기어부
40 ..... 연동피니언
50 ..... 가이드부

Claims (4)

  1. 저장박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리드 힌지에 의하여 리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드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리드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 열림노브 및 후방 열림노브와;
    상기 열림노브의 눌러짐에 의하여, 내측으로 이동하여 리드프레임에 설치된 걸림턱과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후크를 단부에 구비하는 각각 한 쌍의 전방 연동바아 및 후방 연동바아; 그리고
    전방 열림노브 및 후방 열림노브 중의 일측이 눌러짐에 따라, 타측의 열림노브도 내측으로 이동시켜 걸림턱과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연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전방 연동바아 및 후방 연동바아의 내측부분에 성형되는 랙기어부와, 각각의 랙기어부를 사이에서 맞물리고 어느 일측의 연동바아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타측의 연동바아도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연동피니언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전방 연동바아 및 후방 연동바아의 외측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연동바아 및 후방 연동바아, 그리고 전방 열림노브 및 후방 열림노브를 각각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전방 연동바아 및 후방 연동바아.


KR1020220147913A 2022-11-08 2022-11-08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KR20240066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913A KR20240066743A (ko) 2022-11-08 2022-11-08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913A KR20240066743A (ko) 2022-11-08 2022-11-08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743A true KR20240066743A (ko) 2024-05-16

Family

ID=9127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913A KR20240066743A (ko) 2022-11-08 2022-11-08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67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965B2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JP6551195B2 (ja) ケーブル装置
JP6342864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
US20080022730A1 (en) Locking Device for the Lid of a Storage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KR102422966B1 (ko) 차량의 센터 암레스트
JPH11348665A (ja) 覆うことができる容器
JP6209765B2 (ja) シートロック装置
US11541792B2 (en) Armrest assembly mounted on console of vehicle
KR101178414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모듈
KR200391926Y1 (ko)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푸쉬버튼식 잠금장치
JP2007022201A (ja) 車両用ドア
JP2007290458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220128537A (ko) 글로브박스용 개폐장치
KR20240066743A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KR102624617B1 (ko)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JP5108441B2 (ja) リッド開閉機構
JP5222182B2 (ja) アームレスト
JP2018204319A (ja)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610377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록킹장치
JP5122926B2 (ja) リッド開閉機構
KR102478810B1 (ko)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0610378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록킹장치
KR20120041353A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WO2023136071A1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JP5450721B2 (ja) リッド開閉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