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353A -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353A
KR20120041353A KR1020100102768A KR20100102768A KR20120041353A KR 20120041353 A KR20120041353 A KR 20120041353A KR 1020100102768 A KR1020100102768 A KR 1020100102768A KR 20100102768 A KR20100102768 A KR 20100102768A KR 20120041353 A KR20120041353 A KR 20120041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love box
locking member
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주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1353A/ko
Publication of KR2012004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4Spring clips, e.g. of wire or of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글로브박스를 크래쉬패드로부터 개.폐 시키기 위해 글로브박스에 구비되는 핸들을 작동시킬 경우, 핸들을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야만 글로브박스를 개방시킬 수 있어서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글로브박스를 개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로브박스를 크래쉬패드로부터 개.폐 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결합공(110)이 형성되어 스크류(120)으로 글로브박스 커버(150)의 후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하로 한쌍의 힌지홀(130)이 구비되고, 중앙에 핸들 결합홀(180)이 형성되는 핸들커버(100);와 핸들커버(100)의 힌지홀(130)에 결합되는 일측의 힌지(210)를 기점으로 회전되며, 중앙 후면에는 노출공(260)이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에 스프링 고정돌기(270)가 구비된 걸림부재 결합부(250)가 일체로 형성된 핸들(200);과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10)가 걸림부재 결합부(250)의 노출공(260)을 통해 상부로 출몰되도록 핸들(200)의 걸림부재 결합부(250)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에 고정돌기(320)가 형성되는 걸림부재(300);와 걸림부재 결합부(250)의 스프링고정돌기(270)와 걸림부재(300)의 고정돌기(320) 사이에 끼워져 걸림부재(300)를 승강시키는 핸들스프링(400);과 일측 끝단(510)이 외측커버(160)의 괘정공에 끼워져 괘정되도록 글로브박스 커버(150) 후면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핸들(200)의 상승된 걸림돌기(310)에 걸려 동력을 부여받는 돌기부(520)가 구비되고, 타측단이 제1랙기어부(530)로 형성된 제1괘정간(500);과 제1랙기어부(530)가 일측에 치합되어 해정시는 제1랙기어부(530)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받고, 괘정시는 제1괘정간(500)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600);와 일측단에 구비된 제2랙기어부(730)는 제1랙기어부(530)와 반대로 동작하도록 피니언기어(600)를 사이에 두고 대향으로 치합되어 피니언기어(600)를 통해 동력을 부여받거나 회전력을 부여하여, 타측 끝단(710)이 외측커버(160)와 타측 괘정공에 끼워져 괘정되는 제2괘정간(700);과 제2괘정간(700)의 스프링결합부(750)와 글로브박스커버(150) 후면에 스프링고정부(155) 사이에 설치되어 제2괘정간(700)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로드스프링(8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handle system of glove box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글로브박스 커버에 일측 상하로 한쌍의 힌지홀이 형성되는 핸들커버를 결합시킨 후, 운전자 및 탑승자가 핸들을 운전석 방향으로 당겨 작동시키면 핸들커버의 힌지홀에 결합되는 일측의 힌지를 기점으로 핸들이 회전되어 글로브박스 커버 후면의 제1괘정간 및 제2괘정간을 이동시켜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였을 때, 운전자가 몸을 조수석 방향으로 기울이지 않고도 쉽게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전자 및 탑승자를 원하는 지점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목적인것이다.
또한 운전자 및 탑승자와 함께 여러가지 형태와 크기의 사물도 함께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동차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공간인 승차부와 사물을 싣는 공간인 수납부로 나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납부에는 큰 짐이나 자주사용하지 않아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에서 내린 후 물건을 싣거나 내릴 수 있는 트렁크가 있으며, 차량의 도어나 크레쉬패드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운전중에 자주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을 수납하는 도어 수납부나 글로브박스 등이 있다.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는 도어 수납부는 주로 별도의 커버 없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가 많으나, 크래쉬패드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의 경우 글로브박스 커버로 폐쇄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글로브박스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글로브박스에 구비되는 핸들을 작동시켜 글로브박스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글로브박스는 간편하게 수납하고 열쇠 등의 잠금장치로 용이하게 폐쇄시킬 수 있어서 단일 차량에 가장 많이 탑승하는 운전자가 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글로브박스의 개방장치에는 푸쉬버튼을 이용하여 글로브박스를 개방하는 방식과 핸들을 하부에서 상부로 들어올려 글로브박스를 개방하는 방식 이 주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즉, 운전자가 글로브박스를 개방시키기 위해 글로브박스 커버(20) 일측에 형성되는 핸들(21)을 하부에서 상부로 들어올리면 글로브박스가 개방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글로브박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핸들을 하부에서 상부로 작동시켜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경우, 운전자가 조수석 방향으로 몸을 많이 기울여야하기 때문에 작동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운전자가 운전중에 글로브박스의 핸들을 작동시킬 경우 운전자가 몸이 조수석 방향으로 기울어져 전방을 주시하기 힘들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푸쉬버튼으로 글로브박스를 개방하는 경우 구조가 복잡해져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용이하게 글로브박스의 핸들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글로브박스 커버에 일측 상하로 한쌍의 힌지홀이 형성되는 핸들커버를 결합시킨 후 운전자 및 탑승자가 핸들을 운전석 방향으로 당겨 작동시키면 핸들커버의 힌지홀에 결합되는 일측의 힌지를 기점으로 핸들이 회전되어 글로브박스 커버 후면의 제1괘정간 및 제2괘정간을 이동시켜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글로브박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핸들을 하부에서 상부로 작동시켜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경우, 운전자가 조수석 방향으로 몸을 많이 기울여야하기 때문에 작동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운전자가 운전중에 글로브박스의 핸들을 작동시킬 경우 운전자가 몸이 조수석 방향으로 기울어져 전방을 주시하기 힘들기 대문에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핸들을 이용하여 글로브박스를 개방하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해짐으로써 푸쉬버튼을 사용할 경우 구조가 복잡해져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글로브박스에 보관되는 귀중품과 같은 사물 등을 보관할 경우 글로브박스 핸들시스템에 함께 형성된 잠금부재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구성에 의해 설치,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로브박스를 크래쉬패드로부터 개.폐 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스크류으로 글로브박스 커버의 후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하로 한쌍의 힌지홀이 구비되고, 중앙에 핸들 결합홀이 형성되는 핸들커버;와 핸들커버의 힌지홀에 결합되는 일측의 힌지를 기점으로 회전되며, 중앙 후면에는 노출공이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에 스프링 고정돌기가 구비된 걸림부재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핸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걸림부재 결합부의 노출공을 통해 상부로 출몰되도록 핸들의 걸림부재 결합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걸림부재;와 걸림부재 결합부의 스프링고정돌기와 걸림부재의 고정돌기 사이에 끼워져 걸림부재를 승강시키는 핸들스프링;과 일측 끝단이 외측커버의 괘정공에 끼워져 괘정되도록 글로브박스 커버 후면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핸들의 상승된 걸림돌기에 걸려 동력을 부여받는 돌기부가 구비되고, 타측단이 제1랙기어부로 형성된 제1괘정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랙기어부가 일측에 치합되어 해정시는 제1랙기어부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받고, 괘정시는 제1괘정간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와 일측단에 구비된 제2랙기어부는 제1랙기어부와 반대로 동작하도록 피니언기어를 사이에 두고 대향으로 치합되어 피니언기어를 통해 동력을 부여받거나 회전력을 부여하여, 타측 끝단이 외측커버와 타측 괘정공에 끼워져 괘정되는 제2괘정간;과 제2괘정간의 스프링결합부와 글로브박스커버 후면에 스프링고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2괘정간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로드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에 잠금부재 결합홀을 형성하고, 걸림부재에 수평으로 길다란 잠금홀을 형성하며, 일측에 키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부재의 잠금홀에 결합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잠금부재를 핸들의 잠금부재 결합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잠금부재를 회전시켜 걸림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글로브박스 커버의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핸들커버의 상부면 일측에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핸들 작동 시 핸들과 핸들커버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며, 핸들커버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한쌍의 힌지홀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힌지에 의해 고정되고, 코일스프링의 시작과 끝단은 핸들커버의 스프링 고정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를 개방시키기 위해 핸들을 작동시킬 때 핸들을 하부에서 상부로 작동시키지 않고 핸들을 운전자 방향의 측면으로 당겨 글로브박스를 개방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경우 운전자의 몸이 조수석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글로브박스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가 조수석으로 몸을 이동하지 않고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안정적으로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핸들에 글로브박스 잠금장치를 고정하는 구성이 단순한 결합에 의해 고정,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차량의 감성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가 외측커버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는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핸들과 핸들커버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핸들이 잠긴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가 외측커버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는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핸들과 핸들커버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시스템의 핸들이 잠긴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로브박스를 크래쉬패드로부터 개.폐 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결합공(110)이 형성되어 스크류(120)으로 글로브박스 커버(150)의 후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하로 한쌍의 힌지홀(130)이 구비되고, 중앙에 핸들 결합홀(180)이 형성되는 핸들커버(100);와 핸들커버(100)의 힌지홀(130)에 결합되는 일측의 힌지(210)를 기점으로 회전되며, 중앙 후면에는 노출공(260)이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에 스프링 고정돌기(270)가 구비된 걸림부재 결합부(250)가 일체로 형성된 핸들(200);과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10)가 걸림부재 결합부(250)의 노출공(260)을 통해 상부로 출몰되도록 핸들(200)의 걸림부재 결합부(250)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에 고정돌기(320)가 형성되는 걸림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걸림부재 결합부(250)의 스프링고정돌기(270)와 걸림부재(300)의 고정돌기(320) 사이에 끼워져 걸림부재(300)를 승강시키는 핸들스프링(400);과 일측 끝단(510)이 외측커버(160)의 괘정공에 끼워져 괘정되도록 글로브박스 커버(150) 후면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핸들(200)의 상승된 걸림돌기(310)에 걸려 동력을 부여받는 돌기부(520)가 구비되고, 타측단이 제1랙기어부(530)로 형성된 제1괘정간(500);과 제1랙기어부(530)가 일측에 치합되어 해정시는 제1랙기어부(530)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받고, 괘정시는 제1괘정간(500)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6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측단에 구비된 제2랙기어부(730)는 제1랙기어부(530)와 반대로 동작하도록 피니언기어(600)를 사이에 두고 대향으로 치합되어 피니언기어(600)를 통해 동력을 부여받거나 회전력을 부여하여, 타측 끝단(710)이 외측커버(160)와 타측 괘정공에 끼워져 괘정되는 제2괘정간(700);과 제2괘정간(700)의 스프링결합부(750)와 글로브박스커버(150) 후면에 스프링고정부(155) 사이에 설치되어 제2괘정간(700)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로드스프링(8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핸들(200)에 잠금부재 결합홀(290)을 형성하고, 걸림부재(300)에 수평으로 길다란 잠금홀(350)을 형성하며, 일측에 키홀(9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부재(300)의 잠금홀(350)에 결합되는 돌기(920)를 구비하는 잠금부재(900)를 핸들(200)의 잠금부재 결합홀(29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잠금부재(900)를 회전시켜 걸림부재(300)를 고정시킴으로써 글로브박스 커버(150)의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핸들커버(100)의 상부면 일측에 완충부재(190)를 구비하여, 핸들(200) 작동 시 핸들(200)과 핸들커버(1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커버(100)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한쌍의 힌지홀(130) 사이에 코일스프링(410)이 힌지(210)에 의해 고정되고, 코일스프링(410)의 시작과 끝단은 핸들커버(100)의 스프링 고정홀(1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 커버(150)에 핸들커버(100)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핸들커버(100)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크류(120)으로 글로브박스 커버(150)에 결합되는 것이다.
핸들커버(100) 일측에는 상하로 한쌍의 힌지홀(130)이 구비되고 중앙에 핸들 결합홀(180)이 형성되어, 핸들(200)이 핸들(200) 일측의 힌지(210)를 기점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핸들커버(100)의 힌지홀(130)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핸들(200)이 힌지(210)를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운전자에 의해 회동된 핸들(200)은 다시 핸들커버(100)에 복귀하게 되는데, 이는 힌지(210)에 고정된 코일스프링(410)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핸들커버(100)와 결합되는 핸들(200) 중앙 후면에는 노출공(26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스프링 고정돌기(270)가 구비된 걸림부재 결합부(250)가 일체로 형성되어 걸림부재 결합부(250)가 핸들커버(100)의 핸들결합홀(18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걸림부재(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10)가 걸림부재 결합부(250)의 노출공(260)을 통해 노출공(260) 상부로 출몰되도록 핸들(200)의 걸림부재 결합부(250)에 끼워져 결합되며, 걸림부재(300)의 하부에는 고정돌기(320)가 형성되어, 걸림부재(300)의 고정돌기(320)와 걸림부재 결합부(250)의 스프링 고정돌기(270) 사이에 핸들스프링(40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글로브박스 커버(150)에 설치된 핸들커버(100)와 핸들(200) 후면에는, 일측 끝단(510)이 외측커버(160)에 형성되는 괘정공에 끼워져 괘정되도록 글로브박스 커버(150) 후면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핸들(200)의 상승된 걸림돌기(310)에 걸려 동력을 부여받는 돌기부(520)가 구비되고, 타측단이 제1랙기어부(530)가 형성된 제1괘정간(500)이 설치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핸들(200)을 운전석 방향으로 당기면 걸림부재(300)의 걸림돌기(310)가 제1괘정간(500)의 돌기부(520)를 글로브박스 커버(150)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괘정간(500)의 끝단(510)이 외측커버(160)의 괘정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제1괘정간(500)이 글로브박스 커버(150)의 중앙부로 이동하면 제1괘정간(500)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1랙기어부(530)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랙기어부(530)는 피니언기어(600)를 사이에 두고 대향으로 치합되어 피니언기어(600)를 통해 동력을 부여받거나 회전력을 부여하는 제2괘정간(700)의 제2랙기어부(730)를 역회전시켜 제2괘정간(700)을 글로브박스 커버(150) 중앙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2괘정간(700)이 제2랙기어부(730)와 함께 글로브박스 커버(150)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괘정간(700)의 끝단(710)이 외측커버(160)의 타측 괘정공으로부터 이탈되어 글로브박스가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 및 탑승자가 핸들(200)을 놓으면 제2괘정간(7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링결합부(750)와 글로브박스 커버(15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부(155) 사이에 구비되는 로드스프링(800)의 탄발력에 의해 제2괘정간(700)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고 피니언기어(600)에 의해 제1괘정간(500) 또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또한, 핸들(200)에 잠금부재 결합홀(290)을 형성하고, 걸림부재(300)에 수평으로 길다란 잠금홀(350)을 형성하며, 일측에 키홀(9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부재(300)의 잠금홀(350)에 결합되는 캠돌기(920)를 구비하는 잠금부재(900)를 핸들(200)의 잠금부재 결합홀(29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운전자 및 탑승자가 키를 키홀(910)에 삽입한 후 잠금부재(900)를 돌리면 잠금부재(900)의 캠돌기(920)가 걸림부재(300)의 수평으로 길다란 형태의 잠금홀(290) 내부를 회전하면서 수평이동하여 걸림부재(300)를 하강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걸림부재(300)가 하강고정되면 운전자 및 탑승자가 핸들(200)을 운전석 방향으로 당겨도 걸림부재(300)의 걸림돌기(310)가 제1괘정간(500)의 돌기부(520)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글로브박스는 개방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 및 탑승자가 키를 돌려 걸림부재(3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걸림부재(300)가 핸들스프링(40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상승고정되는 것이다.
특히, 핸들커버(100)의 상부면 일측에 완충부재(190)를 구비하여, 차량의 운행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특히 핸들(200) 작동시에 핸들(200)과 핸들커버(100)가 서로 마찰되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100 : 핸들커버 130 : 힌지홀
150 : 커버 155 : 스프링고정부
160 : 외부커버 190 : 완충부재
200 : 핸들 210 : 힌지
250 : 걸림부재 결합부 260 : 노출공
270 : 스프링고정돌기 300 : 걸림부재
310 : 걸림돌기 320 : 고정돌기
350 : 잠금홀 400 : 핸들스프링
500 : 제1괘정간 510 : 끝단
520 : 돌기부 530 : 제1랙기어부
600 : 피니언기어 700 : 제2괘정간
710 : 끝단 730 : 제2랙기어부
750 : 스프링결합부 800 : 로드스프링
900 : 잠금부재 910 : 키홀
920 : 캠돌기

Claims (4)

  1. 자동차의 글로브박스를 크래쉬패드로부터 개.폐 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결합공(110)이 형성되어 스크류(120)으로 글로브박스 커버(150)의 후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하로 한쌍의 힌지홀(130)이 구비되고, 중앙에 핸들 결합홀(180)이 형성되는 핸들커버(100);와
    핸들커버(100)의 힌지홀(130)에 결합되는 일측의 힌지(210)를 기점으로 회전되며, 중앙 후면에는 노출공(260)이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에 스프링 고정돌기(270)가 구비된 걸림부재 결합부(250)가 일체로 형성된 핸들(200);과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10)가 걸림부재 결합부(250)의 노출공(260)을 통해 상부로 출몰되도록 핸들(200)의 걸림부재 결합부(250)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에 고정돌기(320)가 형성되는 걸림부재(300);와
    걸림부재 결합부(250)의 스프링고정돌기(270)와 걸림부재(300)의 고정돌기(320) 사이에 끼워져 걸림부재(300)를 승강시키는 핸들스프링(400);과
    일측 끝단(510)이 외측커버(160)의 괘정공에 끼워져 괘정되도록 글로브박스 커버(150) 후면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핸들(200)의 상승된 걸림돌기(310)에 걸려 동력을 부여받는 돌기부(520)가 구비되고, 타측단이 제1랙기어부(530)로 형성된 제1괘정간(500);과
    제1랙기어부(530)가 일측에 치합되어 해정시는 제1랙기어부(530)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받고, 괘정시는 제1괘정간(500)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600);와
    일측단에 구비된 제2랙기어부(730)는 제1랙기어부(530)와 반대로 동작하도록 피니언기어(600)를 사이에 두고 대향으로 치합되어 피니언기어(600)를 통해 동력을 부여받거나 회전력을 부여하여, 타측 끝단(710)이 외측커버(160)와 타측 괘정공에 끼워져 괘정되는 제2괘정간(700);과
    제2괘정간(700)의 스프링결합부(750)와 글로브박스커버(150) 후면에 스프링고정부(155) 사이에 설치되어 제2괘정간(700)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로드스프링(80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핸들(200)에 잠금부재 결합홀(290)을 형성하고, 걸림부재(300)에 수평으로 길다란 잠금홀(350)을 형성하며, 일측에 키홀(9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부재(300)의 잠금홀(350)에 결합되는 돌기(920)를 구비하는 잠금부재(900)를 핸들(200)의 잠금부재 결합홀(29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잠금부재(900)를 회전시켜 걸림부재(300)를 고정시킴으로써 글로브박스 커버(150)의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핸들커버(100)의 상부면 일측에 완충부재(190)를 구비하여,
    핸들(200) 작동 시 핸들(200)과 핸들커버(1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핸들커버(100)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한쌍의 힌지홀(130) 사이에 코일스프링(410)이 힌지(210)에 의해 고정되고, 코일스프링(410)의 시작과 끝단은 핸들커버(100)의 스프링 고정홀(1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KR1020100102768A 2010-10-21 2010-10-21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KR20120041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768A KR20120041353A (ko) 2010-10-21 2010-10-21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768A KR20120041353A (ko) 2010-10-21 2010-10-21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353A true KR20120041353A (ko) 2012-05-02

Family

ID=4626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768A KR20120041353A (ko) 2010-10-21 2010-10-21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13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801A (zh) * 2018-01-22 2018-07-20 东莞广泽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车用手套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801A (zh) * 2018-01-22 2018-07-20 东莞广泽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车用手套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5912B1 (en) Rear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for vehicle bodies
JP2019006218A (ja) 車両用内装装置
JP2013060064A (ja) 車両後部構造
CN112776572A (zh) 用于车辆的滑动/摆动复合车门
JP2017159839A (ja) 車体後部構造
JP2007022201A (ja) 車両用ドア
JP4329055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KR20120041353A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JP2013220779A (ja) シート部材固定用留め具
JP2003048486A (ja) トノカバー装置
JP4332827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KR100558409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1929550B1 (ko) 글로브박스의 잠금 장치
JP3656422B2 (ja) 巻取式間仕切り装置
JP6187271B2 (ja) オープンカーにおけるルーフ部材のロック装置
CN220645575U (zh) 一种用于触发多种功能的按钮总成
JP5579514B2 (ja) 乗り物用物入れ装置
KR101126903B1 (ko) 차량 내 수납 공간
JP4573744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KR20230169802A (ko) 자동차의 슬라이드 콘솔박스구조
KR20040098364A (ko) 자동차의 슬라이드 콘솔박스구조
JP2004276939A (ja) 車載用収容ボックス
KR20140117868A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20240066743A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장치
JPH1095278A (ja) 自動車のトノ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