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868A - 자동차용 콘솔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콘솔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868A
KR20140117868A KR1020130032715A KR20130032715A KR20140117868A KR 20140117868 A KR20140117868 A KR 20140117868A KR 1020130032715 A KR1020130032715 A KR 1020130032715A KR 20130032715 A KR20130032715 A KR 20130032715A KR 20140117868 A KR20140117868 A KR 20140117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ever
box
console box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3003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7868A/ko
Publication of KR2014011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콘솔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앞 좌석 시트 사이에 내용물을 담기 위한 보관함과 상기 보관함을 개폐하는 덮개부로 구성되되, 상기 보관함 및 덮개부의 일측과 타측 체결부에 각각 마련된 레버의 회동 젖힘에 의해 덮개부의 양방향 개폐가 가능함에 따라 뒤 좌석 승차자로 하여금 덮개부의 개폐 조작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상기 덮개부가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개방될 때 덮개부 상에 승차자가 휴대한 컵이나 병 종류의 물건들을 안착시켜 거치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승차자가 컵이나 병 종류의 물건들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용 콘솔박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콘솔박스{Console Box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콘솔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앞좌석 시트 사이에 마련된 콘솔박스의 개폐 방향이 양방향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뒷 좌석 시트에 탑승한 승차자가 콘솔박스의 개폐 구현이 용이하고, 콘솔박스를 후방에서도 개폐 가능함에 따라 콘솔박스에 든 내용물의 파악이 신속히 이루어지며, 개방된 덮개에 컵을 안착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콘솔박스는 일반적으로 앞 좌석 시트 방향에서 개방이 가능한 즉, 일측 방향으로만 개폐 구현이 가능하여, 뒷 좌석에 탑승한 승차자가 콘솔박스를 개방함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콘솔박스의 덮개를 앞 좌석 방향에서 개방시, 덮개가 뒷 좌석에 탑승한 승차자의 시야를 가려 콘솔박스에 담긴 내용물을 신속히 파악하기가 곤란하였다.
아울러, 콘솔박스의 덮개는 단순히 콘솔박스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에 뒷 좌석에 탑승한 승차자가 휴대한 컵 등의 물건들을 안착할 수 없는 불편함을 갖고 있다.
한편, 자동차용 콘솔박스와 관련되어 안출된 기술에 있어, 등록실용 제20-0380704호(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0784295호(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20-0446180호(특허문헌 3), 등록특허 제10-1092782호(특허문헌 4) 등의 기술들이 개재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자동차실내에 설치되고 수납공간부와 뚜껑이 구비되어 있는 콘솔박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면에 형성된 수납실과, 상기 수납실에 끼워지고 일측단은 축핀으로 연결 설치되어 여닫을 수 있게 되어 있는 덮판과, 상기 덮판 저면은 메모지클립과 이탈방지편이 구비된 메모지보관부와 필기구보관부로 이루어진 필기용구 보관함이 구성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상술된 바와 같은 양방향 개방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뒤 좌석 탑승자가 콘솔박스를 개폐 조작함에 여전한 불편함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 콘솔박스의 저부에는 선단에 고정브래킷이 설치된 2개의 레일이 이격 설치 되고, 레일의 이격 공간 중앙에는 모터와 연결된 볼스크루가 설치되되, 볼스크루를 따라 전.후진되는 볼너트가 레일상에 설치되는 연결대와 일체로 설치되어, 타단이 연결대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일단이 고정브래킷에 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X형링크가 콘솔박스를 승강시키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는 탑승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컵홀더만이 양방향 개폐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상술된 바와 같은 뒤 좌석 탑승자가 콘솔박스의 내용물을 신속히 파악할 수 없고, 개폐 또한 불편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3의 경우, 양측이 개구된 정방형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개구된 측면에 측면판이 고정 결합되고 그 전면에는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측면판에 체결홀이 형성된 콘솔박스, 콘솔박스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면이 개구되고 그 일측에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콘솔박스의 측면판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 고정되는 보조 수납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3은 양방향 개방은 가능하지만, 차량 트렁크에 설치되는 용도라 앞 좌석 사이의 용도로는 부적합하고, 탑승자의 편리를 위한 목적과는 무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4의 경우, 박스 하우징과, 상기 박스 하우징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구비된 콘솔 리드와, 상기 콘솔 리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콘솔 리드를 박스 하우징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리드개폐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리드개폐수단은 콘솔 리드의 전방에 레버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후방에 연결되어 전, 후 방향으로 안내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부에 가이드홈을 통해 삽입되어 안내되면서 박스 하우징에 형성된 개폐용 고정홈부에 록 또는 언록되는 록커를 갖는 록킹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솔 리드의 양측면부에는 콘솔 리드의 리드 커버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며 박스 하우징의 힌지홈에 힌지축을 매개로 축 고정되는 레일이 구비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4는 콘솔박스의 양방향 개폐는 가능하나, 양방향 개폐를 이루기 위한 부품의 구성이 복잡함에 따라 원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양방향 개폐 작동 방식이 본 발명과 상이하고, 아울러 컵이나 물병을 거치할 수 없는 불편함이 여전하다.
등록실용 제20-0380704호. 등록특허 제10-0784295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46180호. 등록특허 제10-1092782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콘솔박스는 각종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보관함과 이 보관함을 개폐하는 덮개부의 일측과 타측에 마련된 레버 의 어느 한 레버를 당기거나 밀면서 레버의 젖힘을 이루게 함으로써 보관함으로부터 덮개부가 양방향 개폐를 구현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가 개방될 경우 승차자가 휴대하고 있는 컵 또는 병 종류와 같은 내용물을 안착시켜 거치하도록 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콘솔박스는, 앞 좌석 시트 사이에 내용물을 담기 위한 보관함과 상기 보관함을 개폐하는 덮개부로 구성된 콘솔박스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으로부터 덮개부의 양방향 개폐가 가능하도록 보관함 및 덮개부의 일측과 타측 체결부에 각각 마련되어 젖힘에 의한 덮개부 개방이 이루어지는 레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함의 양측 체결부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서로 이격된 채 고정핀을 삽입하기 위한 끼움공을 각각 형성한 대향된 돌출부와, 상기 대향된 돌출부 사이에 연장 형성되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외측 방향으로 레버의 당김에 따른 젖힘을 이루게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게 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양측 체결부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저면부에 걸림핀을 삽입하기 위한 끼움공을 각각 형성하고, 걸림핀의 외부 노출 없이 걸림핀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되는 함몰부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는 당김을 이룰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걸림핀의 탈리 또는 체결을 이루도록 갈고리 형상을 갖는 후크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후크부 사이의 중간 지점에 고정핀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을 포함하게 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향된 돌출부의 각 끼움공에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어 레버를 보관함에 고정함과 동시, 레버의 회동 젖힘을 이루게 하는 고정핀과, 함몰부의 대향된 벽면에 형성된 각 끼움공에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어 레버의 정역회동 젖힘에 따라 레버의 후크부로부터 탈리 또는 체결되어 덮개부를 해제하여 개방하거나 잠금하여 폐쇄함을 유도하는 걸림핀을 더 포함하게 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는 보관함 및 덮개부의 양측 체결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일측과 타측의 각 대향된 돌출부에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관함 및 덮개부의 양측 체결부에 마련된 레버의 정역 회동 젖힘에 의해 덮개부의 양방향 개폐가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관함 저면부에는 컵을 안착하기 위한 홀딩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솔박스는, 내용물을 담는 보관함으로부터 덮개부가 양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함에 따라, 뒤 좌석 시트에 탑승한 승차자가 보관함으로부터 내용물을 꺼내거나 담기 위한 목적의 용건을 수행할 때, 뒤 좌석에 착석한 상태로 콘솔박스의 덮개부 개폐 조작이 가능하여 뒤 좌석 탑승자에게 덮개부 개폐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뒤 좌석 탑승자로 하여금 뒤 좌석인 후방에서부터 덮개부를 앞 좌석인 전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어, 뒤 좌석 탑승자가 콘솔박스 안에 담긴 내용물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승차자가 휴대하고 있는 컵이나 병 종류의 물건들을 덮개부에 안착하여 거치 가능함에 따라 승차자가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솔박스를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솔박스의 일측 레버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레버 작동 이후 콘솔박스의 덮개부 개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솔박스의 타측 레버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레버 작동 이후 콘솔박스의 덮개부 개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솔박스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콘솔박스는 앞 좌석 시트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앞 좌석 시트나 뒷 좌석 시트에 탑승한 승차자가 용무를 보기 위하여 각종 여러 종류의 내용물들을 담고 있는데, 뒷 좌석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의 용무 편리를 위해 콘솔박스의 덮개부가 전방과 후방에서 개폐가 가능한 양방향 개폐를 구현할 수 있음이 특징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콘솔박스는 일 실시 예로 설명되었고, 이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표현된 도면이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실시 및 변경 등을 감안한 기술적 범위를 포함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솔박스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내용물들을 담기 위한 보관함(10)과, 상기 보관함(10) 상방향에서 보관함(10)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덮개부(20)와, 상기 덮개부(20)의 양방향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보관함(10) 및 덮개부(20)의 일측과 타측부에 회동젖힘이 가능한 레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관함(10)에는 일측과 타측에 연장되어 돌출된 체결부(1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11)는 서로 이격되어 대향된 돌출부(12)와, 상기 대향된 돌출부(12)에 형성된 끼움공(13)과, 상기 대향된 돌출부(12) 사이에서 보관함(10)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을 갖는 경사면(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대향된 돌출부(12)는 보관함(10)의 일측과 타측에서부터 연장된 형태를 이루며, 서로 이격됨을 이루고 있다.
상기 대향된 돌출부(12)에는 끼움공(13)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끼움공(13)은 고정핀(40)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경사면(14)은 레버(30)의 젖힘을 이룰 수 있도록 경사져 있고, 보관함(10)의 일측과 타측에 마련된 각 대향된 돌출부(12) 사이에서 대칭된 형태를 이룬다.
한편, 상기 덮개부(20)에는 일측과 타측에 직사각 형태로 연장되어 돌출된 체결부(2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21)는 저면부에 걸림핀(5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확보하여 걸림핀(50)의 노출 없는 형태를 갖도록 함몰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22)의 대향된 벽면에 걸림핀(50)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끼움공(23)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덮개부(20) 저면부에는 컵을 안착하기 위한 홀딩부(24)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30)는 레버의 당김을 이루기 위한 손잡이부(31)와, 상기 손잡이부(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덮개부(20)의 함몰부(21)에 고정된 걸림핀(50)을 탈거 또는 체결하기 위한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32)와, 상기 손잡이부(31)와 후크부(32) 사이의 중간 지점에 고정핀(40)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손잡이부(31)는 외측방향으로 레버(30)를 당기거나 내측방향으로 레버(30)를 가압시켜 레버(30)의 정역 회동 젖힘을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후크부(32)는 레버(30)의 정방향 회동 젖힘시, 걸림핀(50)에서 탈거되어 보관함(10)으로부터 덮개부(20)의 개방을 이루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관함(10)과, 상기 보관함(10)을 개폐하는 덮개부(20)와, 상기 덮개부(20) 및 보관함(10)의 일측과 타측에 마련된 레버(30)를 연결함에 있어서, 고정핀(40)과 걸림핀(5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핀(40)은 레버(30)를 보관함(10)에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레버(30)의 관통공(40)을 통과한 상태에서 보관함(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대향을 이룬 돌출부(12)의 끼움공(13)에 일단과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레버(30)가 보관함(10)의 양측부에서 각각 회동 젖힘과 동시 고정됨을 이루게 된다.
상기 걸림핀(50)은 레버(30)의 후크부(32)로부터 탈거 또는 걸림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덮개부(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함몰부(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22)의 대향된 벽면에 형성된 끼움공(23)에 일단과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레버(30)의 정역 회동에 기인한 후크부(32)에서의 탈거 또는 걸림에 의해 종국에는 보관함(10)으로부터 덮개부(20) 잠금을 해제하여 덮개부(20)를 개방하거나 덮개부(20) 잠금으로 덮개부(20)를 폐쇄하여 함을 유도하게 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콘솔박스의 조립 및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레버(30)의 관통공(33)에 고정핀(40)을 삽입하여 통과시킨 후, 상기 고정핀(40)의 일단과 타단을 보관함(10)의 대향된 돌출부(12)에 형성된 끼움공(13) 각각에 끼워 삽입함으로써 보관함(10)에 레버(3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레버(30)는 고정핀(40)에 의해 보관함(10)의 대향된 돌출부(12) 사이에서 정역 회동에 따른 젖힘 구현을 이루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레버(30)의 고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덮개부(20)의 각 함몰부(22) 사이로 걸림핀(50)을 수용하고, 수용된 걸림핀(50)의 일단과 타단을 함몰부(22)에 대향된 벽면의 끼움공(23)으로 삽입함으로써 덮개부(20)에 걸림핀(5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덮개부(20)의 일측과 타측 각 함몰부(22)에 끼움고정된 걸림핀(50)을 각 레버(30)의 후크부(32)에 걸림되도록 끼운 다음, 레버(30)의 손잡이부(31)를 보관함(10) 내측 방향으로 밀면서 가압시킴으로써 보관함(10) 상부에 덮개부(20)가 폐쇄됨을 이루며 덮개부(20) 잠금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콘솔박스의 작동을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 좌석 시트에 탑승한 승차자가 콘솔박스 내의 내용물을 꺼내고자 할 경우, 콘솔박스 후방에 마련된 즉, 콘솔박스 타측에 마련된 레버(30)의 손잡이부(31)를 콘솔박스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레버(30)가 보관함(10)의 대향된 돌출부(12) 사이에서 콘솔박스 내측 방향으로 회동 젖힘을 이루게 된다.
이때, 레버(30)가 콘솔박스 내측 방향으로 회동 젖힘되는 이유는 보관함(10)의 대향된 돌출부(12) 사이에 연장된 경사면(14)이 콘솔박스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레버(30)가 콘솔박스 내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젖혀질 때에, 걸림핀(50)을 걸림하고 있는 레버(30)의 후크부(32)가 걸림핀(50)을 해제시키면서 덮개부(20)의 잠금이 해제되고, 곧 덮개부(20)를 보관함(10)으로부터 개방한 다음, 보관함(10) 내의 내용물을 뒤 좌석 승차자가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이때, 덮개부(20)는 뒷좌석 방향인 후방에서부터 개방되어 앞좌석 방향인 전방으로 완전한 개구를 이루게 된다.
한편, 이때 앞 좌석인 전방에 해당되는 콘솔박스의 일측에 마련된 레버(30)는 작동됨 없이 단순히 덮개부(20)의 힌지 역할만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 덮개부(20)의 완전한 개구로 덮개부(20) 저면부가 완전히 노출됨에 따라 덮개부(20) 저면부에 형성된 홀딩부(24)에 승차자가 휴대하고 있는 컵 종류의 물건들을 안착시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뒷 좌석에 탑승한 승차자가 보관함(10)으로부터 내용물을 꺼낸 다음, 덮개부(20)를 보관함(10)에 폐쇄하기 위하여 앞 좌석 전방으로 개구된 상태의 덮개부(20)를 다시 뒷 좌석 후방으로 젖히며 보관함(10)을 폐쇄한 다음, 덮개부(20) 잠금을 위하여 뒷 좌석 후방 방향인 콘솔박스 타측에 마련된 레버(30)를 다시 콘솔박스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민다.
이때, 레버(30)의 회동 젖힘에 의해 후크부(32)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덮개부(20)의 걸림핀(50)을 걸어 덮개부(20)의 잠금을 이루게 된다.
반대로, 상기에서와 같은 작동 방식과 동일하게 덮개부(20)를 앞 좌석인 전방에서부터 뒷 좌석인 후방으로 개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콘솔박스는, 양방향 개폐를 이룰 수 있어 뒤 좌석 탑승자에게 덮개부 개폐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하며, 콘솔박스 안에 담긴 내용물의 신속한 파악이 가능하고, 개방된 덮개부를 통하여 승차자가 휴대하고 있는 컵이나 병 종류의 물건들을 안착하여 거치 가능함에 따라 승차자가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보관함 11 : 체결부
12 : 돌출부 13 : 끼움공
14 : 경사면
20 : 덮개부 21 : 체결부
22 : 함몰부 23 : 끼움공
24 : 홀딩부
30 : 레버 31 : 손잡이부
32 : 후크부 33 : 관통공
40 : 고정핀 50 : 걸림핀

Claims (9)

  1. 앞 좌석 시트 사이에 내용물을 담기 위한 보관함과 상기 보관함을 개폐하는 덮개부로 구성된 콘솔박스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으로부터 덮개부의 양방향 개폐가 가능하도록 보관함 및 덮개부의 일측과 타측 체결부에 각각 마련되어 젖힘에 의한 덮개부 개방이 이루어지는 레버를 포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의 양측 체결부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서로 이격된 채 고정핀을 삽입하기 위한 끼움공을 각각 형성한 대향된 돌출부;
    상기 대향된 돌출부 사이에 연장 형성되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외측 방향으로 레버의 당김에 따른 젖힘을 이루게 하는 경사면;
    을 포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양측 체결부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저면부에 걸림핀을 삽입하기 위한 끼움공을 각각 형성하고, 걸림핀의 외부 노출 없이 걸림핀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되는 함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당김을 이룰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걸림핀의 탈리 또는 체결을 이루도록 갈고리 형상을 갖는 후크부;
    상기 손잡이부와 후크부 사이의 중간 지점에 고정핀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
    을 포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대향된 돌출부의 각 끼움공에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어 레버를 보관함에 고정함과 동시, 레버의 회동 젖힘을 이루게 하는 고정핀;
    함몰부의 대향된 벽면에 형성된 각 끼움공에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어 레버의 정역회동 젖힘에 따라 레버의 후크부로부터 탈리 또는 체결되어 덮개부를 해제하여 개방하거나 잠금하여 폐쇄함을 유도하는 걸림핀;
    을 더 포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
  6.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보관함 및 덮개부의 양측 체결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일측과 타측의 각 대향된 돌출부에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
  8. 제1 항에 있어서,
    보관함 및 덮개부의 양측 체결부에 마련된 레버의 정역 회동 젖힘에 의해 덮개부의 양방향 개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
  9. 제2항에 있어서,
    보관함 저면부에는 컵을 안착하기 위한 홀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20130032715A 2013-03-27 2013-03-27 자동차용 콘솔박스 KR20140117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15A KR20140117868A (ko) 2013-03-27 2013-03-27 자동차용 콘솔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15A KR20140117868A (ko) 2013-03-27 2013-03-27 자동차용 콘솔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868A true KR20140117868A (ko) 2014-10-08

Family

ID=5199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715A KR20140117868A (ko) 2013-03-27 2013-03-27 자동차용 콘솔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78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848A (ko) 2022-05-04 2023-11-1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콘솔커버의 양방향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848A (ko) 2022-05-04 2023-11-1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콘솔커버의 양방향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1596A1 (en) Mot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box
JP2019142336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9126304A (ja) アームレストのスライドロック機構
JP2001055091A (ja) スライド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958852B2 (ja) 車両の燃料供給口蓋構造
KR20140117868A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JP5222182B2 (ja) アームレスト
JP2008037203A (ja) 蓋付き装置
JP2018204319A (ja)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333136B2 (ja) 車両用支持構造
JP5122926B2 (ja) リッド開閉機構
JP5108441B2 (ja) リッド開閉機構
JP3621077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4332381B2 (ja) 車両における収容装置
KR20130068989A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JP5335119B2 (ja) リッド開閉機構
JP2008207584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JP6071058B2 (ja) リッド係止機構
JP4947550B2 (ja)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
KR0140400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JP2005028937A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082936B2 (ja) 自動車後部トランク構造
JP2009126365A (ja) 収納ボックス
JP2023154835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120041353A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