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900B1 - 에프오비 키 홀더 - Google Patents

에프오비 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900B1
KR100715900B1 KR1020060051274A KR20060051274A KR100715900B1 KR 100715900 B1 KR100715900 B1 KR 100715900B1 KR 1020060051274 A KR1020060051274 A KR 1020060051274A KR 20060051274 A KR20060051274 A KR 20060051274A KR 100715900 B1 KR100715900 B1 KR 100715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rawer
fob key
door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2Bags or wallets for holding key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45C13/007Hinges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0Key holders; Key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2Bags or wallets for holding keys
    • A45C2011/322Sheath-like bags for protecting a key-blade or for receiving a key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프오비 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식의 팝업 타입으로 Fob 키가 홀더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충돌시 운전자 상해로부터 안전한 Fob 키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b 키 홀더는 전방이 개방된 직사각 상자체 형태로 구성되는 홀더 본체(110)와, 상기 홀더 본체(11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인출 및 수납되고 Fob 키(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과 상방이 개방된 직사각 상자체 형태로 구성되는 서랍(120)과, 상기 홀더 본체(110)의 전방을 개폐하고, 전면판(130a)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면(130b)을 가지며 그 양측 절곡면(130b)이 서랍(120)의 양 측면(120a)에 회동축(170)으로 결합하는 도어(130) 및 상기 도어(130)가 홀더 본체(110)에 닫힌 상태에서 도어(130)가 록킹되어 열리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190)을 포함한다.
Fob 키, 서랍, Pop-up, 압축스프링, 탄성계수

Description

에프오비 키 홀더{Fob Key Hol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Fob 키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홀더 본체의 상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홀더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홀더에 서랍이 수납된 상태에서의 평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나타낸 홀더의 록킹 해제시 인디케이터 부분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홀더 110: 홀더 본체
112: 고정판 114: 걸림홀
120: 서랍 122: 날개
130: 도어 132: 걸림돌기
140: 인디케이터 142: 스위치
144: 스프링 146: 인디케이터 본체
148: 케이스 150: 열림 압축스프링
160: 저항 압축스프링 170: 회동축
180,182: 공간 190: 록킹수단
200: Fob 키
본 발명은 에프오비 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식의 팝업 타입으로 Fob 키가 홀더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충돌시 운전자 상해로부터 안전한 Fob 키 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전자키의 보편화에 따라 운전자가 Fob 키와 같은 별도의 키 삽입이나 작동버튼을 누르지 않고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하며, 나아가 Fob 키가 실내에 있는 지를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경우에 키 홈에 Fob 키 삽입과정 없이 시동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는 버튼시동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 버튼시동 기술은 향후 개발 차종의 중요한 트렌드로 매우 중요한 아이템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운전자가 Fob 키를 소지하면 차량에서 이를 인지하여 키 삽입없이 시동버튼을 눌러 시동을 걸 수 있지만, Fob 키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나 외란으로 인하여 Fob 키의 통신거리가 보장되지 않는 경우 등과 같은 Fob 키를 차량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는 비상시동을 하여야 한다.
비상시동이란 상기한 바와 같이 Fob 키를 차량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 Fob 키를 차량 내부의 트랜스폰더 통신모듈과 근접한 거리로 이동시켜 Fob 키 내부의 트랜스폰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말하며, 홀더에 Fob 키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식과 홀더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은 홀더를 사용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Fob 키가 홀더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홀이 외부로 노출되어 이물질이 삽입될 우려가 있으며 외관상 좋지 않다.
또한, Fob 키가 홀더로 삽입된 경우에 Fob 키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관상 좋지 않고 운전자의 안전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제로 충돌테스트시에 Fob 키 홀더가 운전자 무릎 근처에 있을 경우 무릎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판정되어 감점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랍식의 팝업 타입으로 Fob 키가 홀더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충돌시 운전자 상해로부터 안전하며 Fob 키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이물질이 홀더에 들어갈 염려가 없는 Fob 키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b 키 홀더는, 전방이 개방된 직사각 상자체 형태로 구성되는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인출 및 수납되고 Fob 키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과 상방이 개방된 직사각 상자체 형태로 구성되는 서랍과, 상기 홀더 본체의 전방을 개폐하고, 전면판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가지며 그 양측 절곡면이 서랍의 양 측면에 회동축으로 결합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홀더 본체에 닫힌 상태에서 도어가 록킹되어 열리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Fob 키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홀더 본체의 상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홀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홀더에 서랍이 수납된 상태에서의 평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나타낸 홀더의 록킹 해제시 인디케이터 부분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Fob 키 홀더(100)는 홀더 본체(110), 서랍(120), 도어(130), 인디케이터(140), 압축스프링(150,160) 그리고 회동축(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홀더 본체(110)는 전방이 개방된 직사각 상자체 형태로 구성되어 Fob 키(200)가 수용되는 서랍(120)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서랍(120)은 상기 홀더 본체(110)의 내부에 슬라이드식으로 인출 및 수납되며 Fob 키(200)의 수용이 용이하도록 전방과 상방이 개방된 직사각 상자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서랍(120)의 측면(120a)과 홀더 본체(110)의 측면(110a)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180)이 형성되고, 서랍(120)의 후면(120b)과 홀더 본체(110)의 후면(110b) 사이에도 소정의 공간(182)이 형성되며, 이 공간(180,182)에는 슬라이드식으로 서랍(120)의 인출 및 수납이 용이하도록 압축스프링(160,150)이 탄력지지된다.
상기 서랍(120)의 측면(120a)과 홀더 본체(110)의 측면(110a) 사이의 공간(180)으로는 서랍(120)의 후면(120b)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122)가 형성되 고, 홀더 본체(110)의 측면(110a) 길이방향 중간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판(112)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180)에는 저항 압축스프링(160)이 개재되어 고정판(112)에 고정된 저항 압축스프링(160)에 의해 서랍(120)이 탄력지지된다.
서랍(120)의 후면(120b)과 홀더 본체(110)의 후면(110b) 사이의 공간(182)에는 열림 압축스프링(150)이 개재되어 홀더 본체(110)의 후면(110b)에 고정된 열림 압축스프링(150)에 의해 서랍(120)이 탄력지지된다.
이때 열림 압축스프링(150)과 저항 압축스프링(160)은 반대 방향으로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되, 상기 열림 압축스프링(150)의 탄성계수가 저항 압축스프링(160)의 탄성계수보다 크다.
상기 열림 압축스프링(150)은 서랍(120)이 인출되는 경우에 서랍(120)을 앞으로 미는 역할을 수행하여 서랍(120)이 외부로 팝업(pop-up)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항 압축스프링(160)은 서랍(120)이 수납되는 경우에 서랍(120)을 뒤로 미는 역할을 수행하여 누름시 누름 강성을 향상시키고 열림 압축스프링(150)의 강한 반발력으로 서랍(120)이 갑자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홀더 본체(110)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고, 전면판(130a)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면(130b)을 가지며 양측 절곡면(130b)과 서랍(120)의 측면(120a)이 회동축(170)으로 결합한다.
상기 도어(130)의 전면판(130a)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32)는 상측으로 걸림턱(134)이 형성되어 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홀더 본체(110)에 상 면(110c)에 형성된 걸림홀(114)에 걸려 록킹 상태가 된다(도 4a).
즉, 상기 걸림턱(134)이 형성된 걸림돌기(132)와 홀더 본체(110)의 상면(110c)에 형성된 걸림홀(114)이 도어(130)를 록킹하는 록킹수단(190)이 된다.
인디케이터(140)는 Fob 키(200)의 인증 등의 상태를 표시해주는 LED로서의 표시기능 이외에 상기 도어(130)의 록킹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디케이터(140)는 걸림홀(114)이 형성된 위치의 홀더 본체(110) 상면(110c)에 전방이 개방되도록 설치된 케이스(148)와, 상기 케이스(148) 내로 출몰되어 걸림턱(134)의 걸림을 해제하는 인디케이터 본체(146)와, 상기 인디케이터 본체(146)의 전면에 설치되는 스위치(142)와, 상기 인디케이터 본체(146)를 케이스(148) 내의 후방에서 탄력지지하여 스위치(142)를 누를 경우에 인디케이터 본체(146)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14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디케이터 본체(146)의 후단부는 테이퍼지거나 둥글게 라운드되어 스프링(144)에 의해 탄지된 상태에서는 걸림턱(134)에 접촉되지 않으나, 스위치(142)를 눌러 인디케이터 본체(146)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인디케이터 본체(146)의 하면이 걸림홀(114)에 걸린 걸림턱(134)을 하방으로 밀어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도어(130)가 열린 상태에서 Fob 키(200)를 서랍(120)에 수용하고, 서랍(120)에 회동축(170)에 의해 결합하여 아래 방향으로 처진 도어(130)을 들어올려 수납되는 후방으로 밀면, 저항 압축스프링(160)은 압축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변하고, 열림 압축스프링(150)은 이완 상태에서 압축 상태로 변한다.
이때 저항 압축스프링(160)은 열림 압축스프링(150)보다 탄성계수가 적으면서 열림 압축스프링(150)과는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힘을 절약시켜주고, 누름감을 향상시키며, 열림 압축스프링(150)은 도어(130)가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130)를 밀어 서랍(120)이 홀더 본체(110)의 끝까지 슬라이드 이동되면 인디케이터(140) 아래의 홀더 본체(110) 상면(110c)에 형성된 걸림홀(114)에 도어(130)의 걸림턱(134)이 걸려 도어가 록킹 상태가 된다(도 4a).
따라서 외부에서 스위치(142)를 강제적으로 밀지 않으면 서랍(120)의 수납 상태가 유지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인디케이터(140)가 도어(130)의 록킹 상태를 어떻게 해제하는지 보여준다.
인디케이터 본체(146)의 후단부가 테이퍼지거나 라운드되어 있어 록킹 상태에서 인디케이터 본체(146)는 걸림돌기(132)의 걸림턱(134)에 접촉되지 않아 록킹 상태의 해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런 상태에서 스위치(142)를 외부에서 후방으로 밀면, 스프링(144)이 압축되고 인디케이터 본체(146)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인디케이터 본체(146)의 하면이 걸림턱(134)을 아래 방향으로 밀게 되어 걸림턱(134)은 걸림홀(114)에서 이탈된다(도 4b).
이와 같이 하여 록킹이 해제되면 탄성계수가 큰 저항 압축스프링(160)보다 상대적으로 큰 열림 압축스프링(150)의 탄발력에 의해 서랍(120)이 전방으로 슬라 이드 이동하게 된다(도 4c).
이때 저항 압축스프링(160)은 열림 압축스프링(150)의 강한 반발작용으로 인하여 서랍(120)이 갑자기 앞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13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30)를 밀지 않는 한 탄성계수가 열림 압축스프링(150)이 더 크기 때문에 도어(130)가 자동으로 닫히지 않고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만약의 사고에 의해 운전자의 신체가 부딪히는 경우에 도어(130)와 서랍(120)이 홀더 본체(110)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납되므로 안전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인디케이터(140) 부분이 도어(130)의 록킹이나 록킹을 해제하는 걸림쇠 역할을 하고, 반대 방향으로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진 압축스프링(150,160)으로 감성 품질 향상과 소음을 제거하며, 서랍(120)에 Fob 키(200)를 수용하여 홀더 본체(110) 수납함으로써 Fob 키(200)의 형상에 상관없이 공용할 수 있으므로 향후 개발되는 많은 차종에 공용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며, 서랍식의 팝업 타입으로 Fob 키가 완전히 삽입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충돌시 운전자 상해로부터 안전하며, 탄성계수가 다른 압축스프링에 의해 인출 및 수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Fob 키가 없는 상태에서 홀더에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7)

  1. 전방이 개방된 직사각 상자체 형태로 구성되는 홀더 본체(110);
    상기 홀더 본체(11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인출 및 수납되고 Fob 키(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과 상방이 개방된 직사각 상자체 형태로 구성되는 서랍(120);
    상기 홀더 본체(110)의 전방을 개폐하고, 전면판(130a)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면(130b)을 가지며 그 양측 절곡면(130b)이 서랍(120)의 양 측면(120a)에 회동축(170)으로 결합하는 도어(130); 및
    상기 도어(130)가 홀더 본체(110)에 닫힌 상태에서 도어(130)가 록킹되어 열리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190)을 포함하는 Fob 키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120)의 측면(120a)과 홀더 본체(110)의 측면(110a) 사이의 공간(180)으로 서랍(120)의 후면(120b)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122)가 형성되고, 홀더 본체(110)의 측면(110a) 길이방향 중간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판(112)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180)에 개재된 저항 압축스프링(160)에 의해 서랍(120)이 탄력지지되며,
    상기 서랍(120)의 후면(120b)과 홀더 본체(110)의 배면(110b) 사이의 공간(182)에 개재된 열림 압축스프링(150)에 의해 상기 서랍(120)이 탄력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Fob 키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림 압축스프링(150)과 저항 압축스프링(160)은 반대 방향으로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되, 상기 열림 압축스프링(150)의 탄성계수가 저항 압축스프링(160)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b 키 홀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190)은 홀더 본체(110)의 상면(110c)에 형성된 걸림홀(114)과, 상기 걸림홀(114)에 걸리도록 상측으로 형성된 걸림턱(134)을 갖고 상기 도어(130)의 전면판(130a)에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b 키 홀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114)이 형성된 홀더 본체(110)의 상면(110c)에 Fob 키(200)의 인증 등의 상태를 표시하고, 도어(13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인디케이터(1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b 키 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140)는 걸림홀(114)이 형성된 위치의 홀더 본체(110) 상 면(110c)에 전방이 개방되도록 설치된 케이스(148)와, 상기 케이스(148) 내에서 출몰되어 걸림턱(134)의 걸림을 해제하는 인디케이터 본체(146)와, 상기 인디케이터 본체(146)의 전면에 설치되는 스위치(142)와, 상기 인디케이터 본체(146)를 케이스(148) 내의 후방에서 탄력지지하여 스위치(142)를 누를 경우에 인디케이터 본체(146)를 복귀시키는 스프링(1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b 키 홀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본체(146)의 후단부는 테이퍼지거나 둥글게 라운드되어 스위치(142)를 눌러 인디케이터 본체(146)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인디케이터 본체(146)의 하면이 걸림홀(114)에 걸린 걸림턱(134)을 하방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b 키 홀더.
KR1020060051274A 2006-06-08 2006-06-08 에프오비 키 홀더 KR100715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274A KR100715900B1 (ko) 2006-06-08 2006-06-08 에프오비 키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274A KR100715900B1 (ko) 2006-06-08 2006-06-08 에프오비 키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900B1 true KR100715900B1 (ko) 2007-05-08

Family

ID=3827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274A KR100715900B1 (ko) 2006-06-08 2006-06-08 에프오비 키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9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24A (ko) * 1996-07-10 1998-04-30 박병재 지문 감지에 의해 열쇠 핀이 돌출하는 시동키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24A (ko) * 1996-07-10 1998-04-30 박병재 지문 감지에 의해 열쇠 핀이 돌출하는 시동키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공보 10-1998-9724
공개공보 20-1998-839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US7535704B2 (en) Small form factor hard disk drive bracket latch/release mechanism
US6606241B2 (en) Ejection bay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s
KR20090062177A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박스의 고정 구조
JP2005247232A (ja)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JP5295074B2 (ja)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扉
US7733641B2 (en) Hard disk drive lever with button-induced ejection, and over-travel button-induced ejection, and over-travel indicator
KR100973134B1 (ko) 글러브 박스
KR100715900B1 (ko) 에프오비 키 홀더
US8130490B2 (en) Detachable hard drive with an electromagnetic switch
KR100553100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기구
KR101295957B1 (ko)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KR100543759B1 (ko) 자동차의 트레이 개폐 구조
JP4650766B2 (ja) 収納装置
KR200471689Y1 (ko)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JP5479217B2 (ja) 物品収納什器における開閉体の施解錠装置
CN211818755U (zh) 箱包锁及应用该箱包锁的箱包
CN219109029U (zh) 储物器
CN214215633U (zh) 一种车辆仪表板的储物盒、车辆仪表板及车辆
KR20030062214A (ko) 로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차량용 수납장치
CN117188868A (zh) 智能门锁
JP6886373B2 (ja) ロック装置
US20100328876A1 (en) Ejection Mechanisms For Computer Equipment
JP3730766B2 (ja) 車両用灰皿
JP3446997B2 (ja) カードイジェクタ装置とこのカードイジェクタ装置を用いた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