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408B1 -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408B1
KR100465408B1 KR10-2002-0026997A KR20020026997A KR100465408B1 KR 100465408 B1 KR100465408 B1 KR 100465408B1 KR 20020026997 A KR20020026997 A KR 20020026997A KR 100465408 B1 KR100465408 B1 KR 100465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case
remote control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7872A (ko
Inventor
전병호
Original Assignee
전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호 filed Critical 전병호
Publication of KR2002005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1)에 의하면; 도어(2)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6)와, 상기 케이스(6)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0)와, 상기 구동모터(10)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12)와; 상기 피니언기어(12)와 맞물려있는 종동기어(14)와; 상기 종동기어(14)와 동축으로 설치된 웜(16)과; 상기 웜(16)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케이스(6)내에 배치된 부채꼴 형상의 웜휠(18)과; 상기 웜휠(18)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케이스(6) 외측으로 출입하여 선단(21)(40a)이 도어 프레임(4)에 설치된 걸림부재(30)에 걸리는 래치(20)(40)와; 상기 케이스(6)내에 배치되며 리모콘(100)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구비된 PCB기판(26)과; 상기 PCB기판(2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6)내에 배치되는 밧데리(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록킹장치(1)가 도어(2)에 내장됨으로써 외부에서 이를 파손하여 강제로 도어(2)를 개방하지 못하는 효과가 있고, 래치(20)를 웜(16)과 웜휠(18)을 통해 구동시킴으로써 외부에서 강제로 레치(20)를 밀어 도어(2)를 개방하지 못하는 효과가 있고, 하나의 리모콘으로 여러 개의 록킹장치(1)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REMOTE CONTROL TYPE LOCKING APPARATUS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는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록킹장치를 도어에 내장 설치함으로써 외부에서 이를 파손하여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래치를 후크의 형태로 하여 외부에서 강제로 래치를 밀어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고, 하나의 리모콘으로 여러 개의 록킹장치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록킹장치는 키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열고 닫는 수동식 록킹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식 록킹장치에서는 반드시 키를 가지고 있어야만 개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키를 분실한 경우에는 별도의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여 록킹장치를 개방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수동식 록킹장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어 외부에 설치된 입력부의 버튼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도어 외부에 설치된 지문인식장치에 지문을 입력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열고 닫는 자동 록킹장치가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이런 자동 록킹장치에서는 침입자가 외부로 노출된 비밀번호 입력부나 지문인식장치를 파손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특별한 방지대책이 없다.
또한, 도어를 무선 리모콘으로 개폐하는 "도어용 무선 리모콘 로크장치"가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1-0086882호로 개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리모콘 로크장치에서는 도어를 실제로 개폐하는 래치가 단순한 슬라이드 운동하는 타입이기 때문에, 래치를 강제로 밀어 넣으면 도어를 간단히 개방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실제로 개폐하는 래치의 동작을 정역 회전하는 웜과 웜휠을 통해 강제로 수행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록킹장치를 도어에 내장함으로써 외부에서 강제로 록킹장치를 파손할 수 없는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록킹장치를 리모콘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리모콘으로 다수의 도어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가 여닫이 도어에 내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 - Ⅱ선에 따른 단면도로, 록킹장치와 걸림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가 미닫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가 여닫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록킹장치 2..도어 4..도어 프레임
6..케이스 10..구동모터 12..피니언기어
14..종동기어 16..웜 18..웜휠
20,40..래치 26..PCB기판 28..밧데리
30..걸림부재 100..리모콘 110..수신부
120..제어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이 피니언기어와 맞물려있는 종동기어와, 이 종동기어와 동축으로 설치된 웜과, 이 웜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케이스내에 배치된 부채꼴 형상의 웜휠과, 이 웜휠의 회전운동으로 케이스 외측으로 출입하여 선단이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걸림부재에 걸리는 래치와, 케이스내에 배치되며 리모콘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구비된 PCB기판과, 이 PCB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밧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식 록킹장치가 여닫이 도어에 내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하여 록킹장치와 걸림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래치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리모콘식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록킹장치가 미닫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어(2)는 도어 프레임(4)에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식 록킹장치(1)는 여닫이식 도어(2)의 가장자리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어 프레임(4)에는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 리모콘식 록킹장치(1)와 대응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래치(20)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재(30)가 고정되어 있다. 즉, 걸림부재(30)는 리모콘식 록킹장치(1)와 대응하는 도어 프레임(4)의 모서리 부위에 스크류를 통해 견실하게 고정되며, 여기에는 리모콘식 록킹장치(1)의 레치(20)가 들어가고 나올 수 있도록 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식 록킹장치(1)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에 내장 설치되도록 슬립형 함체로 이루어진 케이스(6)와, 이 케이스(6)에 내장되어 구동모터(10)와, 이 구동모터(10)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하는 래치(20)를 갖추고 있다.
케이스(6)는 도어(2)에 내장 설치되면서 이의 일측면(6a)이 스크류(6b)를 통해 고정된다. 또한, 걸림부재(30)의 개구(32)와 대응하는 케이스(6) 일측면(6a)의 중앙 상측에는 래치(20)의 선단이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6)의 내부 상측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10)가 설치되며, 이 구동모터(10)의 축 선단에는 피니언기어(12)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기어(12)에는 일측으로 종동기어(14)가 맞물려 있으며, 이 종동기어(14)에는 동축으로 웜(16)이 설치되어 있어서, 구동모터(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웜(16)이 정역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웜(16)에는 부채꼴 형상의 웜휠(18)이 맞물려있고, 이 웜휠(18)은 핀(19)에 의하여 후크 형상의 래치(20)와 함께 케이스(6)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핀(19)은 케이스(6)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서, 웜휠(18)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래치(20)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웜(16)과 웜휠(18)의 맞물림 작용에 의해 래치(20)의 선단(21)이 개구(8)의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강제로 회전시켜 개구(8) 안으로 밀어 넣으려고 하더라도 역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래치(20)가 잠김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래치(20)의 하측에는 센서A(22)가 설치되어 있고, 래치(20)가 해제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래치(20)의 상측에는 센서B(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A(22) 및 센서B(24)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일종인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스위치 등 어느 것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케이스(6)의 내부 중앙에는 리모콘(100,도 5참조)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구동모터(10)를 제어하기 위한 PCB기판(26)이 장착되어 있다. 이를 위해 PCB기판(26)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100)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10)와, 이 수신부(110) 및 센서A,B(22)(2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구동모터(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리모콘(100) 및 제어부(120)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문이 열렸습니다" 또는 "문이 닫혔습니다"라는 음성을 제어부(120)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도어(2)가 열리거나 닫혔을 때 그 상태를 리모콘(100)으로 선택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어(2)가 닫혔을 때 이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리모콘(100)으로 선택한 후 자동으로 록킹장치(1)가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미설명부호 28은 케이스(6)의 내부 하측에 위치된 밧데리(28)로, 제어부(120) 및 구동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식 록킹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리모콘(100)을 통해 잠김신호를 도어(2)에 내장된 록킹장치(1)로 송신하면, PCB기판(26)에 구비된 수신부(110)가 그 신호를 수신 받는다. 계속하여 제어부(120)에서는 구동모터(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며, 이것에 의해 웜(1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20)가 잠금위치로 회전되며(화살표 A 방향), 이로 인해 래치(20)의 선단(21)이 도어 프레임(4)의 걸림부재(30)에 형성된 개구(32)로 들어가 도어(2)를 잠근 상태로 유지시킨다.
반면에, 도어(2)가 개방되는 과정은 위의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 리모콘(100)을 통해 개방신호를 록킹장치(1)로 송신하면, PCB기판(26)에 구비된 수신부(110)가 그 무선신호를 받고, 상기 제어부(120)에 의하여 구동모터(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며, 이것에 의해 웜(1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잠금위치에 있던 래치(20)가 개방위치로 회전되며(도 4의 화살표 A의 반대방향),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20)의 선단(21)이 도어 프레임(4)의 걸림부재(30)의 개구(32)를 빠져 나와 도어(2)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록킹장치(1)는 도어(2)에 내장하고, 걸림부재(30)는 도어 프레임(4)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걸림부재(30)를 도어(2)측에 설치하고, 록킹장치(1)를 도어 프레임(4)에 내장하여도 본 발명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록킹장치(1)와 걸림부재(30)가 여닫이식 도어에 설치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들을 미닫이식 도어 또는 미닫이 창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장치(1)를 도어 프레임(4)에 내장하고, 걸림부재(30)를 미닫이식 도어(2)에 설치하면, 미닫이식 도어에 있어서도 확실한 록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식 도어 로킹장치의 구성을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로킹장치는 웜과 웜휠을 통해 작동하는 래치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로킹장치와 동일하게 때문에,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식 도어 로킹장치(1)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40)가 웜휠(18)에 맞물려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후진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케이스(1) 내부에는 개구(8)와 인접하도록 슬라이드 래치(40)가 수평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래치(40)의 하면에는 웜휠(18)의 상측 일부와 이물림되도록 랙기어(4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래치(40)의 수평이동을 위해, 케이스(6)의 바닥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가이드레일(9)이 마련되며, 슬라이드 래치(40)의 중앙부에는 가이드레일(9)이 여유있게 수용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웜휠(18)의 정 역회전에 따라 슬라이드 래치(40)는 가이드레일(9)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 후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슬라이드 래치(40)의 선단(40a)이 개구(8)를 통해 케이스(6) 외부로 나오고 들어가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래치(40)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걸림턱(43L)(43R)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43L)(43R)들과 인접하는 케이스(6) 내부 상측에는 슬라이드 래치(40)의 전후진 위치에 따라 구동모터(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50L)(50R)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된 마이크로 스위치(50L)의 스위칭부는 슬라이드 래치(40)가 전진하면서 전방측 걸림턱(43L)에 걸려 작동하게 되며, 후방측에 위치된 마이크로 스위치(50R)의 스위칭부는 슬라이드 래치(40)가 후진하면서 후방측 걸림턱(43R)에 걸려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 스위치(50L)(50R)들의 전기적인 작동 신호가 도어 록킹장치(1)의 제어부(120,도 5참조)에 전달되어 구동모터(1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작동을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리모콘(100)을 통해 잠김신호를 도어 록킹장치(1)로 송신하면, 제어부(120)에서는 구동모터(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며, 이것에 의해 웜(1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웜(16)과 이물림된 웜휠(18)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 인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래치(40)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선단(40a)이 케이스(6)의 개구(8)를 빠져나간다. 계속하여 슬라이드 래치(40)의 선단(40a)이 걸림부재(30)의 개구(32)내로 삽입되면, 도어(2)가 잠겨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슬라이드 래치(40)가 전진 이동(화살표 B 방향)하면서 전방측 걸림턱(43L)이 전방측의 마이크로 스위치(50L)의 스위칭부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10)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리모콘(100)을 통해 해제신호를 도어 록킹장치(1)로 송신하면, 제어부(120)에서는 구동모터(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며, 이것에 의해 웜(1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웜(16)과 이물림된 웜휠(18)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 인해 슬라이드 래치(40)는 후진하면서 케이스(6) 내부로 들어간다. 계속하여 도 7과 같이, 슬라이드 래치(40)가 케이스(6)내로 완전하게 들어가면, 도어(2) 잠금상태가 완전하게 해제된다. 이 때, 슬라이드 래치(40)가 후진 이동하면서 후방측 걸림턱(43R)이 후방측의 마이크로 스위치(50R)의 스위칭부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10)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2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에 의하면, 록킹장치의 케이스가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완전히 내장되어 외부에서 이를 파손할 수가 없으므로 보다 확실한 방범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후크형상의 래치 및 슬라이드 래치가 웜과 웜휠에의하여 작동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래치를 강제로 밀어 넣어 개방할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여닫이식 도어 뿐만 아니라 미닫이식 도어, 미닫이 창문 및 금고문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적용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생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콘으로 여러 개의 록킹장치를 동시에 개폐할 수가 있으므로 관리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도어(2)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6)와;
    상기 케이스(6)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0)와;
    상기 구동모터(10)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12)와;
    상기 피니언기어(12)와 맞물려있는 종동기어(14)와;
    상기 종동기어(14)와 동축으로 설치된 웜(16)과;
    상기 웜(16)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케이스(6)내에 배치된 부채꼴 형상의 웜휠(18)과;
    상기 웜휠(18)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케이스(6) 외측으로 출입하여 선단(21)(40a)이 도어 프레임(4)에 설치된 걸림부재(30)에 걸리는 래치(20)(40)와;
    상기 케이스(6)내에 배치되며 리모콘(100)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구비된 PCB기판(26)과;
    상기 PCB기판(2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6)내에 배치되는 밧데리(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20)는 상기 웜휠(18)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선단(21)이 상기 케이스(6) 외부를 출입하는 후크 형상의 래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20)의 하측에는 상기 래치(20)의 잠김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A(22)가 배치되며,
    상기 래치(20)의 상측에는 상기 래치(20)의 해제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B(24)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40)는 상기 웜휠(18)의 상단부에 일부가 이물림되도록 하단을 따라 랙기어(41)가 형성되며, 전후로 이동하면서 선단(40a)이 상기 케이스(6) 외부를 출입하는 슬라이드 래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래치(40)의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래치(40)의 전후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50L)(50R)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1) 및 걸림부재(30)를 여러 개의 도어(2)에 설치하고, 하나의 리모콘(100)으로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KR10-2002-0026997A 2002-02-01 2002-05-16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KR100465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808A KR20020024190A (ko) 2002-02-01 2002-02-01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내장되는 리모콘식 로킹장치
KR1020020005808 2002-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872A KR20020057872A (ko) 2002-07-12
KR100465408B1 true KR100465408B1 (ko) 2005-01-13

Family

ID=197190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808A KR20020024190A (ko) 2002-02-01 2002-02-01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내장되는 리모콘식 로킹장치
KR10-2002-0026997A KR100465408B1 (ko) 2002-02-01 2002-05-16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808A KR20020024190A (ko) 2002-02-01 2002-02-01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내장되는 리모콘식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241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57B1 (ko) * 2006-06-10 2007-03-23 김종수 선박 휠하우스의 슬라이드식 도어용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1284234B1 (ko) * 2011-03-04 2013-07-17 강원일 방범기능을 갖는 다기능 창호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039A (en) * 1995-04-12 1997-05-06 Solari; Antonio Electronic safety-lock
KR200194141Y1 (ko) * 2000-02-19 2000-09-01 민경양 도어록 장치의 데드볼트 잠금장치
KR200208031Y1 (ko) * 2000-07-05 2000-12-15 주식회사풀베이스 도어 잠금장치
KR20010070658A (ko) * 2001-05-29 2001-07-27 김종기 도어 록킹장치
KR20010084987A (ko) * 2001-07-03 2001-09-07 윤효중 감속기어 조합체가 구비된 도어록 장치
KR200247068Y1 (ko) * 2001-06-27 2001-10-17 구홍식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039A (en) * 1995-04-12 1997-05-06 Solari; Antonio Electronic safety-lock
KR200194141Y1 (ko) * 2000-02-19 2000-09-01 민경양 도어록 장치의 데드볼트 잠금장치
KR200208031Y1 (ko) * 2000-07-05 2000-12-15 주식회사풀베이스 도어 잠금장치
KR20010070658A (ko) * 2001-05-29 2001-07-27 김종기 도어 록킹장치
KR200247068Y1 (ko) * 2001-06-27 2001-10-17 구홍식 도어 잠금장치
KR20010084987A (ko) * 2001-07-03 2001-09-07 윤효중 감속기어 조합체가 구비된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872A (ko) 2002-07-12
KR20020024190A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039A (en) Electronic safety-lock
WO2009116843A3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US10612277B2 (en) Vehicle door opening/close device
US6834464B2 (en) Overhead door lock system and control unit therefor
KR200422612Y1 (ko) 문자동개폐장치
KR100718290B1 (ko) 자동방범기능을 갖춘 건축용 창구조
KR100465408B1 (ko)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EP0581901B1 (en) Electrical operator for doors and windows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100731999B1 (ko) 리모컨을 이용한 셔터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KR200442949Y1 (ko) 패닉 릴리스 감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100732602B1 (ko) 문자동개폐장치
KR100702440B1 (ko) 전자식 출입문 잠금장치
KR200166893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448138Y1 (ko)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102268726B1 (ko)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JP2001073614A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KR200418943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479978B1 (ko) 도어록 백세트
KR101778975B1 (ko)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
KR20050028339A (ko) 자동 도어록 장치
CN114096726B (zh) 用于窗、门等的锁扣系统
KR100581520B1 (ko)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US10827048B2 (en) Card tray opening/closing mechanism, card tray, mobile phone, and card tray opening/closing method
KR200353556Y1 (ko) 도어용 로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