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975B1 -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975B1
KR101778975B1 KR1020150049711A KR20150049711A KR101778975B1 KR 101778975 B1 KR101778975 B1 KR 101778975B1 KR 1020150049711 A KR1020150049711 A KR 1020150049711A KR 20150049711 A KR20150049711 A KR 20150049711A KR 101778975 B1 KR101778975 B1 KR 101778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ing
piece
ring
driv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528A (ko
Inventor
구남호
Original Assignee
구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남호 filed Critical 구남호
Priority to KR102015004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97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3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2Induction for charging or current trans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옥상용 도어에 설치되는 걸림고리; 상기 옥상용 도어를 폐쇄시켰을 때 걸림고리가 일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옥상용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는 도어틀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형태인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를 덮는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걸림고리가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부 내면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삽입홈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걸림고리가 걸림되도록 축 결합되어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 회전되며, 일측으로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래치편과, 상기 제1걸림턱에 대응하여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래치편의 회전 작동에 따라 걸림되며, 축 결합되어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 회전되고, 래치편(20)의 걸림을 해제하는 회전작동편과, 상기 회전작동편 상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작동편에 돌출 연장 형성되어 몸체에 형성된 장공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구동연결바와, 상기 구동연결바에 접촉되어 작동되면서 구동연결바를 작동시키도록 구동연결바의 측면에 접촉되어 몸체 내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걸림되어 안내되며 측면부에 랙기어가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일측이 대각선단지게 경사 형성되어 구동연결바의 측면이 미끄럼 작동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후방으로는 수평면이 연장형성되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랙기어에 맞물려 랙기어를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모터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정, 역회전시켜 래치편이 걸림고리를 걸림 또는 해제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되는 개폐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개폐수단 및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본체 내부에 구성됨으로서 현장에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배선작업이 불필요하여 외관이 향상되고, 구동모터를 통해 작동됨으로서 기존의 마그네틱식 개폐장치에 비해 전력소비량이 현저히 줄어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Door for rooftop of open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청소년 비행, 안전사고, 투신 등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옥상용 도어를 폐쇄시키면서도 화재 시에는 화재탐지기능에 의해 옥상용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도록 하는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옥상에는 옥상용 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옥상용 도어의 경우 평상시에는 시건된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에서의 침입 및 외부인이나 기타 청소년들의 비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화재나 기타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열쇠를 보관하고 있는 경비관계자 또는 관리실 관계자가 시건상태를 해제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인 위급상황이 발생한 상태에서 관리 책임자가 열쇠뭉치를 들고 옥상으로 올라가 시건상태를 해제하는 데에는 상당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옥상용 도어에 마그네트식 접촉 및 접합식기술을 통하여 비상상황 발생 시 자동적으로 도어를 개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도 도어가 열리는 것은 자동으로 열리지만 재잠김이 이루어지지 않아 별도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건물의 옥상이 청소년 비행, 안전사고, 투신과 같은 사고지역이 되어버리는 단점이 있어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3729호(2008.10.2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25675호(2006.03.2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27720호(2006.09.2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75902호(2005.07.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청소년 비행, 안전사고, 투신 등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옥상용 도어를 폐쇄시키면서도 화재 시에는 화재탐지기능에 의해 옥상용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별도의 관리없이도 옥상의 관리가 이루어지면서도 위급상황시 자동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상용 도어에 설치되는 걸림고리; 상기 옥상용 도어를 폐쇄시켰을 때 걸림고리가 일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옥상용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는 도어틀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형태인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를 덮는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옥상용 도어를 폐쇄시켰을 때 인입되는 걸림고리를 걸림 또는 해제작용을 하는 개폐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걸림고리가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부 내면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삽입홈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걸림고리가 걸림되도록 축 결합되어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 회전되며, 일측으로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래치편과, 상기 걸림고리가 진입하여 래치편을 축회전시키면 토션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걸림고리가 래치편에 걸림될 때, 제1걸림턱에 대응하여 제1걸림턱과 상호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래치편의 회전 작동에 따라 걸림되며, 몸체 상에 설치된 축에 결합되고,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 회전되고, 래치편의 걸림을 해제하는 회전작동편과, 상기 회전작동편의 장반경 회전측에 래치편의 걸림 및 해제를 위해 구동력을 전달하며, 회전작동편에 수직으로 돌출 연장형성하여 고정 설치되어 몸체에 형성된 장공에 관통되어지는 구동연결바와, 상기 구동연결바에 접촉되어 작동되면서 구동연결바를 작동시키도록 구동연결바의 측면에 접촉되어 몸체 내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걸림되어 안내되며 측면부에 랙기어가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일측이 대각선단지게 경사 형성되어 구동연결바의 측면이 미끄럼 작동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후방에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이 형성되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랙기어에 맞물려 랙기어를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모터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정, 역회전시켜 래치편이 걸림고리를 걸림 또는 해제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상기 래치편이 걸림고리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 제어기로 하여 전기적신호를 인가하는 것은, 입력된 숫자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전기적신호를 가하는 키패드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편이 걸림고리를 걸림하도록 제어기에 전기적신호를 인가하는 것은 본체 외측으로 구비된 잠금버튼이고, 상기 구동연결바의 측면에 접촉되어 구동연결바의 승, 하강작동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이동편의 후방에 설치되어 구동연결바의 상승 작동으로 인해 이동편의 후퇴시 이동편의 후면에 접지단자가 접촉되게 구성하여 래치편의 걸림 작동을 감지하는 걸림감지스위치와, 상기 이동편의 전방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으로 인해 이동편의 전진시 이동편의 전면에 접지단자가 접촉되게 구성하여 래치편의 해제 작동을 감지하는 해제감지스위치가 구성되고, 상기 걸림감지스위치와 해제감지스위치에 마찰되는 이동편의 양측단부에는 연질의 마찰체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연결바는 금속재질이고, 상기 삽입홈의 상, 하측에는 자성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전기가 충전되는 콘덴서 또는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연결 설치되어, 제어기로 전기 공급이 차단될시 콘덴서 또는 충전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수단 및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본체 내부에 구성됨으로서 현장에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배선작업이 불필요하여 외관이 향상되고, 구동모터를 통해 작동됨으로서 기존의 마그네틱식 개폐장치에 비해 전력소비량이 현저히 줄어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패드, 화재감지센서, 잠금버튼으로 제어기로 전기적신호를 가함으로서 래치편이 걸림고리의 걸림을 해제작용 또는 걸림작용이 이루어져 별도의 관리인원이 없이도 옥상 출입이 효율적으로 관리되면서도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에서도 자동으로 옥상용 도어가 개방되어 안전사고의 대응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미트스위치, 걸림감지스위치, 해제감지스위치로 하여금 옥상용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별도의 제어실 및 관리실에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서 옥상용 도어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가 옥상용 도어에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 내지 11은 본 발명의 개폐수단이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가 옥상용 도어에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에 의한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용 도어(1)에 설치되는 걸림고리(2)와 더불어 상기 옥상용 도어(1)를 폐쇄시켰을 때 걸림고리(2)가 일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옥상용 도어(1)의 외측에 구비되는 도어틀(3)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형태인 케이스체(4)와 상기 케이스체(4)를 덮는 덮개체(5)로 이루어지는 본체(6)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6)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옥상용 도어(1)를 폐쇄시켰을 때 인입되는 걸림고리(2)를 걸림 또는 해제작용을 하는 개폐수단(7)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7)은 걸림고리(2)가 끼워지는 삽입홈(1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공(14)이 형성되며, 상부 내면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5)이 형성되는 몸체(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몸체(10)는 조립 가능한 케이스 형상으로 제작되며, 각각 볼트를 통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 구성품들이 고정 설치되기 적합하도록 몸체(10)내를 이등분하여 구획되어진 양측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져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삽입홈(12)의 내측으로 걸림고리(2)가 걸림되는 래치편(20)이 연통 구비된다.
상기 래치편(20)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몸체(10) 상에 형성된 축(21)에 걸림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그 축(21) 상에 토션스프링(22)을 설치하여 래치편(20)과 연결함으로써 래치편(20)이 탄성을 가지면서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래치편(20)은 삽입홈(12)을 통해 끼워지는 걸림고리(2)의 강제진입에 의해 축회전되면서 걸림고리(2)를 구속하는데, 이때 걸림고리(2)를 구속하기 위해 래치편(20)의 축회전을 정지시키는 걸림수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래치편(20)의 회전판에 제1걸림턱(25)을 형성하고, 마주하는 회전작동편(30) 상에 상기 제1걸림턱(25)에 대응하여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제2걸림턱(35)을 형성하여 제1, 2걸림턱(25,35) 끼리 상호 걸림이 이루어져 래치편(20)이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래치편(20)의 축(21) 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22)의 양단부는 도 3에서와 같이 몸체(10) 내측과 래치편(20)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어 래치편(20)의 탄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토션스프링(22)에 의해 래치편(20)이 해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걸림고리(2)가 진입하여 래치편(20)을 축회전시키면 토션스프링(22)이 압축되면서 걸림고리(2)가 래치편(20)에 걸림이 되고, 이와 동시에 마주하는 회전작동편(30)의 제2걸림턱(35)에 래치편(20)의 제1걸림턱(25)이 걸림으로써 걸림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때 회전작동편(30)은 몸체(10) 상에 축(31) 설치되며 토션스프링(32)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회전작동편(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고리(2)에 의한 래치편(20)의 걸림상태를 유지시켜주며, 또한 반대로 후술되는 구동연결바(40)의 작동에 의해 래치편(20)의 걸림상태를 해체시켜주는 역할까지 수행하게 된다.
상기 회전작동편(30)의 장반경 회전측에 래치편(20)의 걸림 및 해제를 위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연결바(40)를 회전작동편(30)에 수직으로 돌출 연장형성하여 고정 설치되어 몸체(10)에 형성된 장공(14)에 관통되어진다.
상기 구동연결바(40)에 접촉되어 작동되면서 구동연결바(40)를 작동시키도록 구동연결바(40)의 측면에 접촉되어 몸체(10) 내면에 형성된 안내홈(15)에 걸림되어 안내되며 측면부에 랙기어(51)가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일측이 대각선단지게 경사 형성되어 구동연결바(40)의 측면이 미끄럼 작동되도록 경사면(57)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7)의 후방에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58)이 형성되는 이동편(5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이동편(50)의 상부에 걸림바(52)가 형성되어 걸림바(52)가 안내홈(15)에 걸림되어 안내홈(15)에서 이동편(50)이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편(50)의 랙기어(51)에 맞물려 랙기어(51)를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63)와, 피니언기어(6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1)로 구성되는 구동수단(6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60)의 구동모터(61)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정, 역회전시켜 래치편(20)이 걸림고리(2)를 걸림 또는 해제시키는 제어기(c)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수단(7)은 제어기(c)를 통하여 구동모터(61)로 전기적 신호가 가해지면 구동모터(61)의 회전구동으로 피니언기어(63)를 통해 이동편(50)이 전, 후방으로 이동되어지고, 이동편(50)의 전방측 단부는 대각선단지게 경사 형성된 경사면(57)에서 구동연결바(40)가 미끄럼 작동되어 상승 또는 하강운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구동연결바(40)와 연결되는 회전작동편(30)과 래치편(20)이 작동되어 걸림고리(2)의 걸림 또는 해제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폐수단(7) 및 개폐수단(7)을 제어하는 제어기(c)가 본체(6) 내부에 구성됨으로서 현장에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배선작업이 불필요하여 외관이 향상되고, 구동모터(61)를 통해 작동됨으로서 기존의 마그네틱식 개폐장치에 비해 전력소비량이 현저히 줄어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기(c)로 전기적신호를 가하는 것은 래치편(20)이 걸림고리(2)의 걸림을 해제 또는 걸림하는 두 가지 경우가 구분된다.
우선 제어기(c)로 래치편(20)이 걸림고리(2)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하여 전기적신호를 인가하는 것은, 입력된 숫자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전기적신호를 가하는 키패드(110)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1) 외측으로 잠금버튼(130)이 구비되어 잠금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기(c)로 래치편(20)이 걸림고리(2)를 걸림하도록 전기적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관리인원이 없이도 옥상 출입이 효율적으로 관리되면서도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에서도 자동으로 옥상용 도어가 개방되어 안전사고의 대응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연결바(40)의 측면에 접촉되어 구동연결바(40)의 승, 하강작동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7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편(50)의 후방에 설치되어 구동연결바(40)의 상승 작동으로 인해 이동편(50)의 후퇴시 이동편(50)의 후면에 접지단자(81)가 접촉되게 구성하여 래치편(20)의 걸림 작동을 감지하는 걸림감지스위치(8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편(50)의 전방에 설치되어 구동수단(60)의 회전구동으로 인해 이동편(50)의 전진시 이동편(50)의 전면에 접지단자(91)가 접촉되게 구성하여 래치편(20)의 해제 작동을 감지하는 해제감지스위치(90)가 구성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70), 걸림감지스위치(80), 해제감지스위치(90)로 하여금 옥상용 도어(1)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리미트스위치(70), 걸림감지스위치(80), 해제감지스위치(90)의 감지여부를 별도의 제어실 및 관리실에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옥상용 도어(1)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감지스위치(80)와 해제감지스위치(90)에 마찰되는 이동편(50)의 양측단부에는 연질의 마찰체(s)가 구성되어 이동편(50)이 걸림감지스위치(80)와 해제감지스위치(90)에 마찰될 때 마찰체(s)로 하여금 걸림감지스위치(80)와 해제감지스위치(9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연결바(40)는 금속재질임과 아울러 상기 삽입홈(12)의 상, 하측에는 자성체(m)가 형성되어 구동연결바(40)가 인입된 상태에서 걸림고리(2)를 걸림 또는 해제하도록 래치편(20)이 힌지회동할 때 토션스프링(22)과 더불어 회동된 위치의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어기(c)는 전기가 충전되는 콘덴서(100) 또는 충전기(10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연결 설치되어, 제어기(c)로 전기 공급이 차단될시 콘덴서(100) 또는 충전기(101)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화재발생이나 정전시에도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1 : 옥상용 도어 2 : 걸림고리
3 : 도어틀 4 : 케이스체
5 : 덮개체 6 : 본체
7 : 개폐수단
10 : 몸체 12 : 삽입홈
14 : 장공 15 : 안내홈
20 : 래치편 22 : 토션스프링
25 : 제1걸림턱 30 : 회전작동편
32 : 토션스프링 35 : 제2걸림턱
40 : 구동연결바 50 : 이동편
51 : 랙기어 57 : 경사면
58 : 수평면 60 : 구동수단
61 : 구동모터 63 : 피니언기어
70 : 리미트스위치 80 : 걸림감지스위치
90 : 해제감지스위치 100 : 콘덴서
101 : 충전기 110 : 키패드
120 : 화재감지센서 130 : 잠금버튼
c : 제어기 s : 마찰체
m : 자성체

Claims (7)

  1. 옥상용 도어(1)에 설치되는 걸림고리(2);
    상기 옥상용 도어(1)를 폐쇄시켰을 때 걸림고리(2)가 일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옥상용 도어(1)의 외측에 구비되는 도어틀(3)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형태인 케이스체(4)와 상기 케이스체(4)를 덮는 덮개체(5)로 이루어지는 본체(6);
    상기 본체(6)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옥상용 도어(1)를 폐쇄시켰을 때 인입되는 걸림고리(2)를 걸림 또는 해제작용을 하는 개폐수단(7);이 포함되고,
    상기 개폐수단(7)은 걸림고리(2)가 끼워지는 삽입홈(1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공(14)이 형성되며, 상부 내면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5)이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삽입홈(12)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걸림고리(2)가 걸림되도록 축(21) 결합되어 토션스프링(22)에 의해 탄성 회전되며, 일측으로 제1걸림턱(25)이 형성되는 래치편(20)과, 상기 걸림고리(2)가 진입하여 래치편(20)을 축회전시키면 토션스프링(22)이 압축되면서 걸림고리(2)가 래치편(20)에 걸림될 때, 제1걸림턱(25)에 대응하여 제1걸림턱(25)과 상호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2걸림턱(35)이 형성되어 래치편(20)의 회전 작동에 따라 걸림되며, 몸체(10) 상에 설치된 축(31)에 결합되고, 토션스프링(32)에 의해 탄성 회전되고, 래치편(20)의 걸림을 해제하는 회전작동편(30)과, 상기 회전작동편(30)의 장반경 회전측에 래치편(20)의 걸림 및 해제를 위해 구동력을 전달하며, 회전작동편(30)에 수직으로 돌출 연장형성하여 고정 설치되어 몸체(10)에 형성된 장공(14)에 관통되어지는 구동연결바(40)와, 상기 구동연결바(40)에 접촉되어 작동되면서 구동연결바(40)를 작동시키도록 구동연결바(40)의 측면에 접촉되어 몸체(10) 내면에 형성된 안내홈(15)에 걸림되어 안내되며 측면부에 랙기어(51)가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일측이 대각선단지게 경사 형성되어 구동연결바(40)의 측면이 미끄럼 작동되도록 경사면(57)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7)의 후방에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58)이 형성되는 이동편(50)과, 상기 이동편(50)의 랙기어(51)에 맞물려 랙기어(51)를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63)와, 피니언기어(6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1)로 구성되는 구동수단(60)과, 상기 구동수단(60)의 구동모터(61)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정, 역회전시켜 래치편(20)이 걸림고리(2)를 걸림 또는 해제시키는 제어기(c)로 구성되고,
    상기 래치편(20)이 걸림고리(2)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 제어기(c)로 하여 전기적신호를 인가하는 것은, 입력된 숫자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전기적신호를 가하는 키패드(110)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편(20)이 걸림고리(2)를 걸림하도록 제어기(c)에 전기적신호를 인가하는 것은 본체(1) 외측으로 구비된 잠금버튼(130)이고,
    상기 구동연결바(40)의 측면에 접촉되어 구동연결바(40)의 승, 하강작동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70)와, 상기 이동편(50)의 후방에 설치되어 구동연결바(40)의 상승 작동으로 인해 이동편(50)의 후퇴시 이동편(50)의 후면에 접지단자(81)가 접촉되게 구성하여 래치편(20)의 걸림 작동을 감지하는 걸림감지스위치(80)와, 상기 이동편(50)의 전방에 설치되어 구동수단(60)의 회전구동으로 인해 이동편(50)의 전진시 이동편(50)의 전면에 접지단자(91)가 접촉되게 구성하여 래치편(20)의 해제 작동을 감지하는 해제감지스위치(90)가 구성되고,
    상기 걸림감지스위치(80)와 해제감지스위치(90)에 마찰되는 이동편(50)의 양측단부에는 연질의 마찰체(s)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연결바(40)는 금속재질이고, 상기 삽입홈(12)의 상, 하측에는 자성체(m)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c)는 전기가 충전되는 콘덴서(100) 또는 충전기(10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연결 설치되어, 제어기(c)로 전기 공급이 차단될시 콘덴서(100) 또는 충전기(101)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49711A 2015-04-08 2015-04-08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 KR101778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711A KR101778975B1 (ko) 2015-04-08 2015-04-08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711A KR101778975B1 (ko) 2015-04-08 2015-04-08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528A KR20160120528A (ko) 2016-10-18
KR101778975B1 true KR101778975B1 (ko) 2017-09-18

Family

ID=5724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711A KR101778975B1 (ko) 2015-04-08 2015-04-08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630A1 (ko) * 2017-05-04 2018-11-08 김갑식 도어 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561B1 (ko) * 2010-02-18 2011-01-24 구남호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래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664B1 (ko) 2004-01-16 2006-03-07 박준홍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KR20060025675A (ko) 2004-09-17 2006-03-22 김순식 비상문 자동 개폐 장치
KR200427720Y1 (ko) 2006-06-21 2006-09-29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KR20080093729A (ko) 2007-04-18 2008-10-22 채병태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561B1 (ko) * 2010-02-18 2011-01-24 구남호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래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528A (ko)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072B2 (en) Safety switch for a moveable guard door
US8562040B2 (en) Electromechanical locking device intended for remote access control
KR20140006806A (ko) 잠금 식별을 포함하는 충전 플러그
KR101363098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US6834464B2 (en) Overhead door lock system and control unit therefor
CN107973201B (zh) 电磁锁和施工升降系统
KR100747983B1 (ko) 데드볼트식 전자석도어록
KR101778975B1 (ko)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
KR102026109B1 (ko) 엘리베이터의 인터로크 장치
KR102044100B1 (ko) 일체형 자동문 어셈블리
JP2006328636A (ja) 扉の自動閉鎖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ドア装置
KR101010561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래치 구조
JP3517193B2 (ja) 引き戸のロック装置
JP5108626B2 (ja) 扉装置
JPH063956Y2 (ja) 電動ガレ−ジ扉
JP2005016214A (ja) 電動式開閉戸の防犯装置
EP1167675B1 (en) Automatic sliding door opening/closing system
KR101509067B1 (ko) 창문 개폐장치
KR102388548B1 (ko) 건설현장용 리프트 도어 잠금장치
KR102380471B1 (ko)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KR20060130351A (ko) 리모컨을 이용한 셔터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KR20130018060A (ko)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0465408B1 (ko)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JPH0526218Y2 (ko)
CN106869622B (zh) 一种新型卷闸门电插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