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060A -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060A
KR20130018060A KR1020110080899A KR20110080899A KR20130018060A KR 20130018060 A KR20130018060 A KR 20130018060A KR 1020110080899 A KR1020110080899 A KR 1020110080899A KR 20110080899 A KR20110080899 A KR 20110080899A KR 20130018060 A KR20130018060 A KR 2013001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door
fuel
opening
fue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
서경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8060A/ko
Publication of KR2013001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2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sliding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 수가 축소될 수 있고, 장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설치 비용의 절감, 작동 신뢰성 향상, 고장 가능성 감소 등 종래에 비해 여러 이점을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료도어의 개폐동작시 연료도어에 의해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면서 전후 이동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작동기구; 상기 작동기구에 설치되어 작동로드의 전후 이동상태에 따라 연료도어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감지부; 상기 개폐감지부의 신호로부터 연료도어의 개폐상태를 판정하여 연료도어의 열림시 슬라이딩 도어를 록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를 록 시키는 도어래치기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clash of sliding door and fuel filler door in vehicle}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유시와 같이 연료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연료도어와 충돌하지 않도록 해주는 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가 크고 비교적 많은 인원이 빈번히 승하차를 행하는 승합차의 경우 차체 측면에 전후로 슬라이딩시켜 출입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가 주로 설치된다.
슬라이딩 도어는 개폐시의 열림 궤적이 작아 협소한 주차공간에서 개폐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므로 차체가 큰 승합차에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를 차체 양측에 설치할 경우는 물론 슬라이딩 도어를 차체 일측으로 설치할 경우에도 슬라이딩 도어와 동일한 차체 측면에 연료도어가 위치하는 경우가 생긴다.
연료도어는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필러를 덮기 위한 것으로, 주유시 차체 사이드 패널에 설치된 연료필러의 하우징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장착된다.
그러나, 슬라이딩 도어와 연료도어가 동일 측면의 사이드 패널에 설치될 경우 연료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열게 되면 차체가 파손될 수 있다.
즉, 연료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출입구를 열기 위해 후진하는 동안 동일 측면의 연료도어와 충돌할 수 있는 것인데, 충돌시 양측의 도어가 상호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고, 차체나 주유건의 파손, 주유하는 작업자의 상해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 차량에서는 연료도어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일명, 연료도어 세이프티 록킹 시스템)가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은 사이드 패널이고, 도면부호 2는 슬라이딩 도어이며, 도면부호 10은 슬라이딩 도어와 동일 측면의 사이드 패널에 설치된 연료필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는 슬라이딩 도어(2)의 도어 인너 패널(3)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4), 사이드 패널(1)의 스트라이커 대응위치에 설치되는 래치기구(20), 연료필러(10)의 하우징(11)에 설치되어 래치기구(20)와 케이블(29)로 연결되는 작동기구(3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29)에 연동되는 래치기구(20)는 사이드 패널(1)의 외측면에 조립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 사이드 패널(1)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에 조립되는 장착 플레이트(22), 상기 장착 플레이트(22)에 힌지핀(2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시 베이스 플레이트(21)의 래치홀(21a)을 통해 출입하도록 구비되는 래치(23), 상기 장착 플레이트(22)에 힌지핀(2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힌지핀(25)에 장착된 코일스프링(26)에 의해 탄력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일단부는 연결핀(28)을 매개로 래치(23)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케이블(29)에 결합되는 회전레버(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래치(23)는 베이스 플레이트(21)의 래치홀(21a)을 통해 사이드 패널(1)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을 하게 되는데, 연료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 작동기구(30)로부터 케이블(29)이 당겨지면, 회전레버(27)가 당겨져 회전되면서 래치(23)를 회전시키고, 이때 래치(23)가 래치홀(21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래치(23)가 래치홀(21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스트라이커(4)가 래치(23)에 걸리면서 슬라이딩 도어(2)의 열림이 구속되고, 슬라이딩 도어(2)가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되어 연료도어(12)와 충돌하지 않게 된다.
반면, 연료도어(12)가 닫힐 경우 작동기구(30)로부터 케이블(29)의 당김이 해제되고, 이에 회전레버(27)가 코일스프링(2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래치(23)를 반대로 회전시키는바, 래치(23)가 래치홀(21a)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연료도어(12)가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래치(23)는 래치홀(21a)에서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래치(23)가 래치홀(21a)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래치(23)에 스트라이커(4)가 걸리지 않으므로 슬라이딩 도어(2)가 구속 없이 원활히 열릴 수 있게 된다.
작동기구(30)는 연료필러(10)의 하우징(11) 내측면에 조립되는 케이싱(31), 상기 케이싱(31)의 내부에 중앙의 힌지핀(3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힌지핀(33)에 장착된 코일스프링(34)에 의해 탄력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일단부가 케이블(29)에 결합되는 V자형 링크(32), 상기 V자형 링크(32)에 연결핀(36)을 매개로 결합되고 V자형 링크(32)의 회전시 케이싱(31) 측면부의 홀(31a)을 통해 이동하는 작동로드(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작동로드(35)는 케이싱(31)의 홀(31a)에 삽입된 상태로 외부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고, 돌출된 상태에서 연료도어(12)의 개폐동작시마다 작동로드(35)의 선단부가 연료도어(12)에 의해 눌려지거나 눌림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연료도어(12)가 닫히게 되면 작동로드(35)가 연료도어(12)에 의해 눌리면서 케이싱(31)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에 V자형 링크(32)에 의한 케이블(29)의 당김은 해제된다.
이에 래치기구(2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23)가 래치홀(21a)을 통해 내부로 들어간 상태가 되어 슬라이딩 도어(2)의 열림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반면, 연료도어(12)가 열리게 되면 연료도어에 의한 작동로드(35)의 눌림이 해제되면서 작동로드가 연료도어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이때 작동로드(35)는 코일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는 V자형 링크(32)에 의해 밀리면서 돌출되는데, V자형 링크(32)를 회전시키는데 작용하는 코일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은 작동로드(35)를 미는 동시에 케이블(29)을 당겨주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결국, 케이블(29)이 당겨짐에 따라 래치기구(2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23)가 래치홀(21a)을 통해 외부로 돌출 작동되고,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스트라이커(4)가 래치(23)에 걸리면서 록킹되므로 슬라이딩 도어(2)가 더 이상 열리지 못하여 열린 상태의 연료도어(12)와 충돌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는 연료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케이블이 연동하여 래치기구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며, 연료도어의 열림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을 제한하여, 슬라이딩 도어와 연료도어 간 충돌 및 그로 인한 제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한 충돌방지장치(연료도어 세이프티 록킹 시스템)는 케이블 작동식의 기구로서, 연료도어 개폐시 동작하는 작동기구와 더불어,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 차체의 스트라이커 대응위치에 설치되는 래치기구, 연료도어의 열림시 작동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래치기구의 래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케이블 등 많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이에 전체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다.
이와 같이 장치의 부품 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할 경우 설치 비용이 증가하여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게 되고,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작동 신뢰성의 저하, 고장 가능성 증가 등 여러 문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부품 수가 축소될 수 있고, 장치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설치 비용의 절감, 작동 신뢰성의 향상, 고장 가능성 감소 등 종래에 비해 여러 이점을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료도어의 개폐동작시 연료도어에 의해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면서 전후 이동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작동기구; 상기 작동기구에 설치되어 작동로드의 전후 이동상태에 따라 연료도어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감지부; 상기 개폐감지부의 신호로부터 연료도어의 개폐상태를 판정하여 연료도어의 열림시 슬라이딩 도어를 록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를 록 시키는 도어래치기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감지부는 상기 작동기구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단자; 및 상기 작동로드에 고정 설치되어 작동로드의 전후 이동상태에 따라 고정단자와의 점점이 개폐되는 가동단자로 구성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단자는 연료도어 열림으로 인한 작동로드 후진상태에서 고정단자로부터 이격 분리되고 연료도어 닫힘으로 인한 작동로드 전진상태에서 고정단자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충돌방지장치에서는 제어기가 작동기구의 개폐감지부를 통해 연료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경우 차량에 기 장착된 도어래치기구를 록킹 동작시켜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바, 슬라이딩 도어의 충돌 방지를 위해 별도로 설치되던 종래의 래치기구가 삭제될 수 있고, 더불어 케이블, 슬라이딩 도어의 스트라이커 등이 함께 삭제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충돌방지장치에서는 부품 수가 축소될 수 있고, 장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설치 비용의 절감, 작동 신뢰성 향상, 고장 가능성 감소 등 종래에 비해 여러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방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에서 작동기구 내 개폐감지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연료도어의 닫힘상태에서 개폐감지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에서 연료도어의 열림시 개폐감지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주유시와 같이 연료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연료도어와 충돌하지 않도록 해주는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충돌방지장치는 연료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연료도어측 작동기구에 연료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부를 설치하여, 제어기가 개폐감지부의 감지신호로부터 연료도어의 열림상태를 판정하는 경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도어래치기구의 록킹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방지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에서 작동기구 내 개폐감지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연료도어의 닫힘상태에서 개폐감지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에서 연료도어의 열림시 개폐감지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돌방지장치는, 연료도어(12)의 개폐동작시 연료도어(12)에 의해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면서 전후 이동하는 작동로드(35)를 구비한 작동기구(30), 상기 작동기구(30)에 설치되어 연료도어(12)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부(37), 상기 개폐감지부(37)의 신호로부터 연료도어(12)의 개폐상태를 판정하여 연료도어(12)의 열림시 슬라이딩 도어(2)를 록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0), 상기 제어기(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2)를 록 시키는 도어래치기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감지부(37)는 작동기구(30) 내에서 작동로드(35)의 전후 이동상태에 따라 연료도어(12)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차량에 기 장착된 도어래치기구(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기(40)가 개폐감지부(37)의 신호를 입력받도록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폐감지부(37)는 작동기구(30)의 케이싱(31)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단자(38a)와, 작동기구(30)의 작동로드(35)에 고정 설치되어 작동로드의 전후 이동상태에 따라 고정단자(38a)와의 점점이 개폐되는 가동단자(38b)로 구성되는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37)는 작동로드(35)의 후진상태에서 가동단자(38b)가 고정단자(38a)로부터 이격 분리되면서 오프(off)되고(접점 열림상태), 반대로 작동로드(35)의 전진상태에서는 가동단자(38b)가 고정단자(38a)와 접촉하게 되면서 온(on)된다(접점 닫힘상태).
이와 같이 개폐감지부는 작동로드의 전후 이동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37)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전기적 신호가 제어기(40)에 입력될 수 있도록 회로가 구성된다.
스위치(37)의 온/오프(접점 개폐상태 및 통전상태)에 따른 신호가 제어기(40)에 입력되도록 하는 회로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 특정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례로, 고정단자(38a)((+) 단자)에 차량 전원(배터리 전원)이 공급되도록 회로를 연결하고, 가동단자(38b)((-) 단자)를 제어기(40)와 회로로 연결할 경우, 단자 간 통전 상태에 따라 제어기(40)가 스위치(37)의 온/오프 상태를 구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충돌방지장치에서 작동기구(30)의 구성에 있어서는 케이블이 삭제되는 점 외에 종래 구성과 차이가 없으며, 연료필러(10)의 하우징(11) 내측면에 조립되는 케이싱(31), 케이싱(31)의 내부에 힌지핀(3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힌지핀(33)에 장착된 코일스프링(34)에 의해 탄력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링크(32), 케이싱(31) 내에서 연결핀(36)을 매개로 링크(32)에 결합되고 링크(32)의 회전시 케이싱(31) 측면부의 홀(31a)을 통해 이동하는 작동로드(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작동로드(35)는 연료도어(12)의 개폐동작시 연료도어에 의해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면서 전후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는, 작동로드(35)의 선단부가 케이싱(31)의 홀(31a)을 통해 케이싱(31) 외부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고, 연료도어(12)의 개폐동작시마다 외부 돌출된 작동로드(35)의 선단부가 연료도어(12)에 의해 눌려지거나 눌림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연료도어(12)가 닫히게 되면 작동로드(35)가 연료도어(12)에 의해 눌리면서 케이싱(31)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 링크(32)는 회전된다.
반면, 연료도어(12)가 열리게 되면 연료도어에 의한 작동로드(35)의 눌림이 해제되면서 작동로드(35)가 연료도어(12)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작동로드(35)는 코일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는 링크(32)에 의해 밀리면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기구의 구성에서 연료도어(12)의 닫힘으로 인해 작동로드(35)가 케이싱(31)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 즉 작동로드(35)가 연료도어(12)에 눌려 후진된 상태에서는 작동로드측에 고정된 가동단자(38b)가 케이싱(31)측에 고정된 고정단자(38a)로부터 이격 분리된 상태가 된다.
고정단자(38a)와 가동단자(38b)가 이격 분리된 상태인 경우 단자 간 통전 불가 상태(접점 열림)로 스위치(37)의 오프 상태가 되는바, 제어기(40)가 스위치 오프 신호로부터 연료도어(12)의 닫힘상태를 인식하여 슬라이딩 도어(2)를 록(lock) 해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료도어(12)의 닫힘상태에서는 도어래치기구(50)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2)의 록이 해제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마음대로 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주유시 연료도어(12)가 열리게 되면 연료도어에 의한 작동로드(35)의 눌림이 해제되면서 작동로드가 연료도어쪽으로 돌출, 즉 작동로드가 전진 이동하게 되고, 이때 작동로드측의 가동단자(38b)가 케이싱(31)측의 고정단자(38a)와 접촉하게 된다.
고정단자(38a)와 가동단자(38b)가 접촉할 경우 단자 간 통전 상태(접점 닫힘)가 되어 작동기구(30) 내 스위치(37)는 온 상태가 되고, 이에 제어기(40)가 스위치 온 신호로부터 도어래치기구(50)를 록킹 동작시켜 슬라이딩 도어(2)를 록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연료도어(12)가 열리게 되면 도어래치기구(50)가 슬라이딩 도어(2)를 록킹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임의로 열 수 없게 된다.
도어래치기구(50)는 슬라이딩 도어(2)를 록 시키기 위해 차량에 기 장착되어 있는 기구로, 슬라이딩 도어를 록 시켜 열리지 않게 하거나 록 해제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열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모터 구동식 도어래치기구가 장착된 차량에서는 제어기(BCM:Body Control Module)가 모터 구동을 제어하여 도어래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도어의 록/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연료도어(12)의 열림시 슬라이딩 도어(2)가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 래치기구(도 1에서 도면부호 20임)의 사용 없이 제어기(40)에 의해 록/해제 동작이 제어되는 기존의 도어래치기구(50)를 이용하게 된다.
즉, 제어기(40)가 작동기구(30)의 개폐감지부(스위치,37)를 통해 연료도어(12)의 열림상태를 감지할 경우 차량에 기 장착되어 있는 도어래치기구(50)를 작동시켜(모터 작동) 슬라이딩 도어(2)를 록 시키며, 이를 통해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게 하는바, 슬라이딩 도어가 연료도어와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충돌방지장치에서 사용하던 별도 래치기구 및 스트라이커, 케이블 등이 삭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2 : 슬라이딩 도어 12 : 연료도어
30 : 작동기구 31 : 케이싱
31a : 홀 32 : 링크
33 : 힌지핀 34 : 코일스프링
35 : 작동로드 36 : 연결핀
37 : 개폐감지부(스위치) 38a : 고정단자
38b : 가동단자 40 : 제어기
50 : 도어래치기구

Claims (3)

  1. 연료도어(12)의 개폐동작시 연료도어(12)에 의해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면서 전후 이동하는 작동로드(35)를 구비한 작동기구(30);
    상기 작동기구(30)에 설치되어 작동로드(35)의 전후 이동상태에 따라 연료도어(12)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감지부(37);
    상기 개폐감지부(37)의 신호로부터 연료도어(12)의 개폐상태를 판정하여 연료도어(12)의 열림시 슬라이딩 도어(2)를 록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0); 및
    상기 제어기(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2)를 록 시키는 도어래치기구(50);
    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부(37)는,
    상기 작동기구(30)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단자(38a); 및
    상기 작동로드(35)에 고정 설치되어 작동로드(35)의 전후 이동상태에 따라 고정단자(38a)와의 점점이 개폐되는 가동단자(38b)로 구성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38b)는 연료도어(12) 열림으로 인한 작동로드(35) 후진상태에서 고정단자(38a)로부터 이격 분리되고, 연료도어(12) 닫힘으로 인한 작동로드(35) 전진상태에서 고정단자(38a)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20110080899A 2011-08-12 2011-08-12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 KR20130018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899A KR20130018060A (ko) 2011-08-12 2011-08-12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899A KR20130018060A (ko) 2011-08-12 2011-08-12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060A true KR20130018060A (ko) 2013-02-20

Family

ID=4789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899A KR20130018060A (ko) 2011-08-12 2011-08-12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80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7020A (zh) * 2016-02-24 2017-09-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燃料门打开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7020A (zh) * 2016-02-24 2017-09-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燃料门打开器
US10155441B2 (en) 2016-02-24 2018-12-18 Hyundai Motor Company Fuel door opener
CN107117020B (zh) * 2016-02-24 2022-03-2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燃料门打开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5289B2 (en) Vehicular closure latch assembly with roller-type latch mechanism and cinch mechanism
US10392838B2 (en) Key cylinder release mechanism for vehicle closure latches, latch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 of mechanically releasing a vehicle closure latch
US7568740B2 (en) Motor vehicle lock
JP3430436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US10358846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CN107916847B (zh) 包括具有棘轮保持功能的系拉机构的电力闭合闩锁组件
KR20140006806A (ko) 잠금 식별을 포함하는 충전 플러그
CN110219525B (zh) 用于车门的闭合闩锁组件及用于致动该闩锁组件的方法
JP2008509303A (ja) パワー解除式二重ロックラッチ
KR100974549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GB2374381A (en) Vehicle door latch with powered closure
JP4953711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20160017644A1 (en) Vehicle sliding door locking system and latch assembly
US20170183893A1 (en) Vehicle door operating device
KR101273515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랫치 어셈블리
JPH1178527A (ja) 車両における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装置
KR20130018060A (ko)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장치
EP3081730B1 (en) Vehicle door system comprising door latch device
KR101209607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료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113438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료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2633868B1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JP487542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5248485A (ja) ドア閉鎖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
KR20160026253A (ko)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US20240167303A1 (en) Motor vehicle lock, in particular motor vehicle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