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253A -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253A
KR20160026253A KR1020140114404A KR20140114404A KR20160026253A KR 20160026253 A KR20160026253 A KR 20160026253A KR 1020140114404 A KR1020140114404 A KR 1020140114404A KR 20140114404 A KR20140114404 A KR 20140114404A KR 20160026253 A KR20160026253 A KR 20160026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release lever
lev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596B1 (ko
Inventor
권상훈
강보람
성도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5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6Clutch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배터리의 방전시나 래치 모터의 전원케이블 단선시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서도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는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센서를 통해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을 감지하여 래치 모터를 구동시키고 래치 모터의 회전력으로 폴 핀을 작동시켜 도어 오픈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 있어서, 래치 하우징 내부에 래치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클러치 기어; 상기 클러치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릴리즈 레버; 상기 릴리즈 레버에 결합되어 릴리즈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폴 핀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되는 폴 리프트 레버; 차량 키 삽입 후 회전 조작으로부터 도어 록 및 언록을 위한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록 기구; 및 상기 도어록 기구와 릴리즈 레버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차량 키를 이용한 도어 언록 조작시 도어록 기구로부터 발생한 작동력을 도어 오픈을 위한 폴 핀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릴리즈 레버에 전달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Electric door latch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배터리의 방전시나 래치 모터의 전원케이블 단선시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서도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는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의 내부 및 외부에는 도어의 록(lock) 및 언록(unlock), 도어 오픈(open)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 래치(door latch), 도어 오픈 조작을 위한 인사이드 핸들과 아웃사이드 핸들, 키(key)를 이용한 도어 록 및 언록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록 기구, 그리고 도어 록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세이프티 노브(safty knob)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도어록 기구의 키 실린더에 차량 키를 삽입하고 키를 회전시킬 때, 그 회전력이 기계적인 연결 구조에 의해 도어 래치에 전달되면서, 도어 래치의 도어 록 및 언록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는 포브(fob) 키의 버튼 조작으로 도어 록 및 언록이 이루어질 수 있고, 스마트 키라 불리는 PIC(Personal Identification Card)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스마트 키(스마트 카드나 포브 키 등)를 소지하고만 있더라도 개인 인증 과정이 완료되어 도어 록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래치에 의한 도어 록이 해제된 상태, 즉 도어 언록 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이나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할 경우, 핸들과 도어 래치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또는 로드)을 통해 핸들의 조작력이 전달되어 도어 래치의 도어 오픈 작동(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다.
이때, 도어 래치의 도어 언록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할 경우, 케이블(또는 로드)에 의해 도어 래치의 릴리즈 레버(release lever)로 조작력이 전달되고, 이때 릴리즈 레버의 회전에 의해 도어 래치의 오픈 작동이 이루어지는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케이블(또는 로드) 타입의 도어 오픈 구조에 대해 좀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아웃사이드 핸들(10)과 도어 래치(20)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아웃사이드 핸들(10)과 도어 래치(20) 사이에 핸들 조작에 연동하여 스트로크 동작하는 케이블(30)(또는 로드)이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1은 키 실린더를 포함하는 도어록 기구로서, 운전자가 차량 키를 키 실린더의 키 홀(12)에 삽입하여 회전시킬 경우 도어 록/언록을 위한 작동력(회전력)을 도어 래치(2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도 2는 도어 언록 상태에서 도어 오픈을 위한 레버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어 록 상태에서 레버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도어 래치(20)의 미도시된 폴(pawl)이 회전되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도어 오픈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폴의 회전은 폴 핀(pawl pin)(21)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폴 핀(21)의 작동은 폴 리프트 레버(pawl lift lever)(22)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폴 리프트 레버(22)가 이동하여 폴 핀(21)을 걸어당겨줌으로써 폴 핀(21)을 작동시키고, 이러한 폴 핀(21)의 작동에 의해 미도시된 폴이 회전되면서 도어가 오픈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 언록 상태에서는 폴 리프트 레버(22)가 폴 핀(21)을 작동시킬 수 있는 상태 및 위치(걸어당겨줄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되나, 도어 록 상태에서는 폴 리프트 레버(22)의 이동 궤적이 폴 핀(21)을 작동시킬 수 있는 궤적에서 벗어나 있게 된다.
이때, 폴 리프트 레버(22)는 도어 래치(20)의 도어 록 및 언록 작동시에 회전되는 록 레버(lock lever)(23)에 의해 록 위치와 언록 위치로 선택 회전되고, 더불어 케이블(30)의 작동력 작용시에 회전되는 릴리즈 레버(24)에 의해 폴 핀(21)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된다.
먼저, 케이블(또는 로드) 타입의 도어 오픈 구조에서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아웃사이드 핸들(10)과 도어 래치(20) 사이가 케이블(30)(또는 로드)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10)을 조작할 경우 케이블(30)(도 2 내지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어 래치(20)의 릴리즈 레버(24)가 당겨져 도 2의 우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회전하는 릴리즈 레버(24)가 폴 리프트 레버(22)를 도면상 아래로 이동시키는데, 도 2와 같이 도어 래치(20)의 언록 상태에서는 록 레버(23)가 폴 리프트 레버(22)를 폴 핀(21)을 작동시킬 수 있는 언록 위치로 회전시켜 놓은 상태이므로, 도면상 아래로 이동하는 폴 리프트 레버(22)에 의해 폴 핀(21) 또한 아래로 당겨져 작동됨으로써 도어가 오픈되게 된다.
반면, 록 레버(23)의 회전에 의한 도어 래치(20)의 록 상태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폴 리프트 레버(22)가 록 위치로 회전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10)을 조작할 경우, 케이블에 의해 도어 래치(20)의 릴리즈 레버(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폴 리프트 레버(22)가 도면상 아래로 이동되더라도, 도 3의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폴 리프트 레버(22)가 폴 핀(21)을 작동시킬 수 있는 궤적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폴 리프트 레버(22)가 폴 핀(21)을 작동시킬 수 없게 된다.
이렇게 폴 핀(21)을 작동시킬 수 없으므로 도어 록 상태에서는 아웃사이드 핸들(10)을 조작하더라도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케이블 타입의 도어 오픈 구조는 케이블(30)의 루트(route)가 한정되어 있고, 케이블(30)의 길이 튜닝이 매우 어려우며,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점은 차량 충돌시 핸들 관성에 의해 도어가 열릴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블 타입의 기계식 도어 래치가 가지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고 충돌시 핸들 관성에 의한 도어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적인 힘으로 구동되는 전동식 도어 래치(E-Door Latch)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전동식 도어 래치의 도어 오픈 작동을 위한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주요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동식 도어 래치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웃사이드 핸들(10)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이용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가 와이어를 통해 컨트롤러(40)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전동식 도어 래치(20)는 도어 오픈 작동을 위한 래치 모터(50)를 포함하는데, 예시된 바와 같이 래치 모터(50)의 구동축에 웜기어(51)가 형성되고, 래치 하우징(20a) 내부에는 웜기어(51)에 치합되는 웜휠(52)이 설치된다.
상기 웜휠(52)은 폴 핀(21)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어로서, 래치 모터(50)의 회전력을 웜기어(51)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며, 예시된 바와 같이 웜휠(52)에 폴 핀(21)이 직접 연결될 수 있는바, 웜휠(52)의 회전시 폴 핀(21)이 작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요컨대, 래치 모터(50)의 구동시 웜기어(51)와 웜휠(52)이 회전되면서 폴 핀(21)을 작동시켜 도어가 오픈될 수 있는 것이다.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도어 언록 상태에서 센서에 의해 아웃사이드 핸들(10)의 조작이 감지되면,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컨트롤러(40)가 래치 모터(50)를 구동시키고, 래치 모터(50)의 구동에 의해 도어 오픈을 위한 도어 래치(20)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10)을 당기면 센서가 핸들 조작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은 컨트롤러(40)가 래치 모터(50)를 구동시키는바, 이러한 래치 모터(50)의 구동에 의해 도어 래치(20)의 도어 오픈 작동(차체측 스트라이커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컨트롤러(40)가 도어 록 조건을 인지한 상태에서는 아웃사이드 핸들(10)의 센서 신호를 무시하고 래치 모터(50)를 구동시키지 않으며, 이에 아웃사이드 핸들(10)을 조작하더라도 도어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기계식 도어 래치의 도어 록 상태에 해당함).
이러한 전동식 도어 래치(20)는 아웃사이드 핸들(10)과 도어 래치(20)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케이블 루트와 무관하고, 도어 래치를 록/언록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계적 링키지가 필요 없으므로 도어 래치의 소형화 및 구성의 단순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전동식 도어 래치에서는 전기적인 구동력을 이용하므로 기계식 도어 래치에 비해 작동감이 고급스럽게 느껴지는 이점이 있다.
무엇보다 아웃사이드 핸들(10)과 도어 래치(20)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차량 충돌시 도어 오픈 방지가 구현될 수 있으며, 아웃사이드 핸들(10)의 작동력을 튜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식 도어 래치에서는 기구적으로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는 구성이 전혀 없고, 래치 모터가 차량 배터리와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되므로,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이거나 측면 충돌시 도어 변형으로 인해 배터리에서 도어 래치까지의 전원케이블 등이 단선된 상태일 경우, 도어 오픈을 위한 작동이 불가하고,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하더라도 도어를 오픈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차량 배터리 방전시에는 아웃사이드 핸들의 센서 신호가 컨트롤러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하더라도 도어를 오픈시킬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를 오픈시킬 수 없으면 후드를 열어 차량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다른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하여 점프시키는 것이 불가하고, 특히 사고 등의 긴급한 상황에서 도어를 열 수 없으므로 후속 조치가 불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 배터리의 방전시나 래치 모터의 전원케이블 단선시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서도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는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을 감지하여 래치 모터를 구동시키고 래치 모터의 회전력으로 폴 핀을 작동시켜 도어 오픈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 있어서, 래치 하우징 내부에 래치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클러치 기어; 상기 클러치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릴리즈 레버; 상기 릴리즈 레버에 결합되어 릴리즈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폴 핀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되는 폴 리프트 레버; 차량 키 삽입 후 회전 조작으로부터 도어 록 및 언록을 위한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록 기구; 및 상기 도어록 기구와 릴리즈 레버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차량 키를 이용한 도어 언록 조작시 도어록 기구로부터 발생한 작동력을 도어 오픈을 위한 폴 핀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릴리즈 레버에 전달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도어록 기구에 차량 키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록 로드; 상기 록 로드에 연결되어 록 로드의 회전시 회전되는 록 레버; 및 상기 록 레버와 릴리즈 레버 사이에 연결되고 록 레버의 회전시 회전력을 전달하여 폴 핀 작동 및 도어 오픈이 이루어지도록 릴리즈 레버를 회전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서 상기 래치 모터의 구동축에 웜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기어가 상기 웜기어에 치합된 웜휠 형태의 기어로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 기어의 일측에는 회전시 폴 핀 작동 및 도어 오픈이 이루어지도록 릴리즈 레버를 밀어 회전시키는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 기어에는 래치 모터의 구동으로 릴리즈 레버를 밀어주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래치 모터의 회전력이 인가되지 않게 되면 클러치 기어를 복원 회전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 의하면, 도어록 기구와 도어 래치 사이를 연결하는 간단한 기구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차량 배터리의 방전시나 래치 모터의 전원케이블 단선시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서 기구 구성에 의해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아웃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도어 래치에서 도어 언록 상태일 때 도어 오픈을 위한 레버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도어 래치에서 도어 록 상태일 때 레버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의 도어 오픈 작동을 위한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의 도어 오픈 작동을 위한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배터리의 방전시나 래치 모터의 전원케이블 단선시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서도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는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 키 삽입 후 회전 조작시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록 기구를 이용하여 도어를 직접 오픈시킬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비상시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식으로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치는 차량 키를 도어록 기구의 키 실린더에 삽입하여 회전 조작할 경우 도어 오픈을 위한 폴 핀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의 도어 오픈 작동을 위한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아웃사이드 핸들(도 4에서 도면부호 10임)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을 감지한 센서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와이어를 통해 입력받아 도어 오픈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도 4에서 도면부호 40 참조),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오픈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되는 래치 하우징(20a) 내 래치 모터(50)는 종래의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서와 차이가 없다.
또한, 미도시된 폴이 회전되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도어 오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구적 구성(도시하지 않음), 폴의 회전이 폴 핀(21)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기구적 구성(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상기 폴 핀(21)의 작동이 폴 리프트 레버(22)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 폴 리프트 레버(22)의 이동이 릴리즈 레버(24)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기계식 도어 래치 장치에서와 차이가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의 구성에서는 평상시 래치 모터(50)가 릴리즈 레버(24)와 폴 리프트 레버(22)를 동작시켜 폴 핀(21)을 작동시키는데, 래치 모터(50)의 회전력이 후술하는 클러치 기어(53)를 통해 릴리즈 레버(24)에 전달되어 릴리즈 레버가 회전되고, 상기 릴리즈 레버(24)가 회전되면 이 릴리즈 레버에 결합된 폴 리프트 레버(22)가 이동되어 폴 핀(21)을 작동시키며, 결국 이때의 폴 핀 작동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어진다.
상기 래치 모터(50)의 구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컨트롤러가 도어 록 조건을 인지한 상태에서는 아웃사이드 핸들의 센서 신호를 무시하고 래치 모터를 구동시키지 않으므로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하더라도 도어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기계식 도어 래치 장치의 도어 록 상태에 해당함).
또한, 본 발명의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는, 키 실린더를 포함하는 도어록 기구(11)와 도어의 록/언록/오픈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 래치(20) 사이에 연결되고 키 실린더에 삽입된 차량 키(1)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릴리즈 레버(24)를 도어 오픈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회전시키는 연결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도어록 기구(11)는 차량 키(1)의 삽입 후 회전 조작시에 도어 록 및 언록을 위한 작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연결기구는 차량 키(1)를 이용한 도어 언록 조작시 도어록 기구(11)로부터 발생한 작동력을 도어 오픈을 위한 폴 핀(21)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릴리즈 레버(24)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기구는 키 실린더의 키 홀(12)에 삽입된 차량 키(1)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그 회전력을 전달하는 록 로드(13)와, 상기 록 로드(13)에 연결되어 록 로드의 회전시 회전되는 록 레버(14)와, 상기 록 레버(14)와 릴리즈 레버(24)를 연결하는 케이블(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록 로드(13)는 도어록 기구(11)에서 도어 록 및 언록을 위한 차량 키(1)의 회전 조작시 차량 키의 회전력을 도어 래치(20)에 전달하는 부재이고, 록 레버(14)는 록 로드(13)의 회전시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도어 록 및 언록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레버로서, 이는 키 조작에 따라 도어 록 및 언록이 이루어지도록 기 적용되는 부품들이 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5)은 록 레버(14)의 회전시에 릴리즈 레버(24)를 도어 오픈 작동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연결부재로서, 록 레버(14)의 일단부와 릴리즈 레버(24)의 일단부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서 록 레버(14)와 릴리즈 레버(24) 사이를 케이블(15)로 직접 연결하여 록 레버(14)의 회전시 릴리즈 레버(24)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폴 리프트 레버(22)의 이동과 동시에 폴 핀(21)이 작동하여 도어가 오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래치 모터(50)의 구동축에 웜기어(51)가 형성되고, 래치 하우징(20a)에는 웜기어(51)에 치합되는 웜휠(52) 형태의 클러치 기어(53)가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 기어(53)는 폴 핀(21)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어로서, 주연부를 따라 치가 형성되어 웜기어(51)의 치에 치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래치 모터(50)의 구동시 웜기어(51)가 회전될 경우 치합된 클러치 기어(53) 또한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클러치 기어(53)의 측면 일측에는 회전시 릴리즈 레버(24)를 밀어 회전시킬 있도록 된 돌기(54)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도면상 예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클러치 기어(53)에는, 래치 모터(50)의 구동으로 클러치 기어(53)가 릴리즈 레버(24)를 밀어주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래치 모터 구동 후 회전력이 인가되지 않게 될 경우 클러치 기어(53)를 복원 회전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아울러, 클러치 기어(53)의 복원 회전시 폴 핀(21)을 당겨주었던 릴리즈 레버(24)도 복원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릴리즈 레버(24)에 복원 회전을 위한 스프링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그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평상시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김 조작할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을 센서가 감지하여 작동 감지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상기 센서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컨트롤러가 입력받게 되면, 컨트롤러는 현재 상태가 도어 록 조건, 예를 들어 차량 실내에 구비된 도어 록 스위치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도어 록 스위치의 온 상태라면 컨트롤러가 센서 신호를 무시하여 래치 모터(50)를 구동시키지 않고 도어 록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 오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반면, 아웃사이드 핸들의 당김 조작에 의해 센서 신호가 입력되고 도어 록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라면, 컨트롤러는 래치 모터(50)를 구동시켜 웜기어(51)를 통해 클러치 기어(53)를 도 6 및 도 7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클러치 기어(53)는 돌기(54)를 통해 릴리즈 레버(2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릴리즈 레버(24)가 폴 리프트 레버(22)를 도면상 하방향으로 작동시키면, 폴 핀(21)이 하방향으로 당겨져 작동되면서 도어가 오픈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 오픈을 위한 폴 핀(21)의 작동은 래치 모터(50)가 구동하기 시작하여 이루어지는데, 폴 핀(21)이 작동되도록 래치 모터(50)가 구동되고 나면 스프링에 의해 릴리즈 레버(24)와 클러치 기어(53)가 복원 회전되면서 폴 리프트 레버(22) 또한 초기 위치로 이동되고, 이후 도어가 다시 닫히면 래치 모터(50)가 다시 구동되기 전까지는 도어 록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운전자가 도어록 기구(11)의 키 실린더에 차량 키(1)를 삽입하고 회전시키면 록 로드(13)와 록 레버(14)가 회전되면서 키 회전방향에 따라 도어 록 및 언록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어를 록 시켰을 때에는 이를 컨트롤러가 인지한 상태에서 통상의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아웃사이드 핸들 조작이 있더라도 래치 모터(50)를 구동시키지 않으며(센서에 의해 핸들 작동이 감지되더라도 센서 신호를 무시함), 이에 도어 오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평상시 차량 키(1)를 도어록 기구(11)의 키 실린더에 삽입하고 록 해제 방향, 즉 언록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어 언록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이에 더하여 도어 오픈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차량 배터리 방전시에는 도어를 오픈시키기 위해 차량 키(1)를 이용하여 도어록 기구(11)를 작동시켜야 하며, 이때 차량 키(1)를 키 실린더에 삽입한 뒤 언록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를 오픈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어록 기구(11)를 작동시키면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 없이도 직접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평상시뿐만 아니라, 특히 차량 배터리 방전시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서 도어를 오픈시키는데 도어록 기구(11)를 이용할 수 있다.
차량 배터리 방전시 컨트롤러에 센서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므로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하더라도 도어가 열리지 않으나, 차량 키(1)로 도어록 기구(11)를 언록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록 로드(13) 및 록 레버(14)의 회전과 동시에 케이블(15)이 당겨지고, 당겨지는 케이블(15)에 의해 릴리즈 레버(24)가 도 6 및 도 7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결국 폴 리프트 레버(22)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폴 리프트 레버(22)가 폴 핀(21)을 하방향으로 작동시켜 도어를 오픈시키게 된다.
물론, 도어 오픈을 위해 차량 키(1)를 키 홀(12)에 삽입하여 도어를 언록시키고 도어록 기구(11)가 도어를 오픈시킬 때의 작동 과정은 평상시와 비상시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가 적용될 경우, 도어록 기구(11)는 평상시 차량 키(1)를 이용하여 도어를 록 및 언록시키기 위한 수단이 되지만, 언록 조작시 도어를 오픈시키는 아웃사이드 핸들 기능까지 수행하므로, 차량 배터리 방전시와 같은 비상상황에서 도어를 오픈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배터리 방전시 도어록 기구(11)를 이용하여 도어를 오픈시킨 뒤 도어를 다시 닫으면 아웃사이드 핸들로 도어를 오픈시키는 것이 불가하므로 별도의 도어 록 행위는 필요 없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아웃사이드 핸들 11 : 도어록 기구
12 : 키 홀 13 : 록 로드
14 : 록 레버 15 : 케이블
20 : 도어 래치 21 : 폴 핀
22 : 폴 리프트 레버 23 : 록 레버
24 : 릴리즈 레버 30 : 케이블
40 : 컨트롤러 50 : 래치 모터
51 : 웜기어 52 : 웜휠
53 : 클러치 키어 54 : 돌기

Claims (4)

  1. 센서를 통해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을 감지하여 래치 모터를 구동시키고 래치 모터의 회전력으로 폴 핀을 작동시켜 도어 오픈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 있어서,
    래치 하우징 내부에 래치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클러치 기어;
    상기 클러치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릴리즈 레버;
    상기 릴리즈 레버에 결합되어 릴리즈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폴 핀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되는 폴 리프트 레버;
    차량 키 삽입 후 회전 조작으로부터 도어 록 및 언록을 위한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록 기구; 및
    상기 도어록 기구와 릴리즈 레버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차량 키를 이용한 도어 언록 조작시 도어록 기구로부터 발생한 작동력을 도어 오픈을 위한 폴 핀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릴리즈 레버에 전달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도어록 기구에 차량 키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록 로드;
    상기 록 로드에 연결되어 록 로드의 회전시 회전되는 록 레버; 및
    상기 록 레버와 릴리즈 레버 사이에 연결되고 록 레버의 회전시 회전력을 전달하여 폴 핀 작동 및 도어 오픈이 이루어지도록 릴리즈 레버를 회전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 모터의 구동축에 웜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기어가 상기 웜기어에 치합된 웜휠 형태의 기어로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 기어의 일측에는 회전시 폴 핀 작동 및 도어 오픈이 이루어지도록 릴리즈 레버를 밀어 회전시키는 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어에는 래치 모터의 구동으로 돌기를 통해 릴리즈 레버를 밀어주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래치 모터의 구동 후 회전력이 인가되지 않게 되면 클러치 기어를 복원 회전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KR1020140114404A 2014-08-29 2014-08-29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KR102187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04A KR102187596B1 (ko) 2014-08-29 2014-08-29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04A KR102187596B1 (ko) 2014-08-29 2014-08-29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253A true KR20160026253A (ko) 2016-03-09
KR102187596B1 KR102187596B1 (ko) 2020-12-07

Family

ID=5553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404A KR102187596B1 (ko) 2014-08-29 2014-08-29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5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3674A (zh) * 2019-09-29 2019-12-20 金湖县微晶控制系统有限公司 门锁离合装置
US10844639B2 (en) 2016-05-31 2020-11-24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E-latch with mechanical backup and electronic override cancel fea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4863A (ja) * 1991-09-25 1993-08-24 Robert Bosch Gmbh 自動車のドアのロック装置
JP4455646B2 (ja) * 2007-12-20 2010-04-2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4863A (ja) * 1991-09-25 1993-08-24 Robert Bosch Gmbh 自動車のドアのロック装置
JP4455646B2 (ja) * 2007-12-20 2010-04-2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4639B2 (en) 2016-05-31 2020-11-24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E-latch with mechanical backup and electronic override cancel feature
CN110593674A (zh) * 2019-09-29 2019-12-20 金湖县微晶控制系统有限公司 门锁离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596B1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4184B (zh) 用于车辆的后背门打开和关闭装置
EP2990572B1 (en) Vehicle door latch control device
JP5972919B2 (ja) 車両のドア装置
US10619385B2 (en) Closure latch for a rear vehicle door having an emergency child lock release mechanism
EP2902574B1 (en) Vehicle door latch controller
US20140200774A1 (en) Vehicle door latch system and method
US20040195845A1 (en) Latch arrangement
CN113107289B (zh) 用于车辆的电动车门闩锁设备
WO2015182008A1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20180133019A (ko)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KR20200107082A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KR20180072013A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KR102187596B1 (ko)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US20170058576A1 (en) Closing elemen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CN114080484B (zh) 机动车门锁
EP3081730B1 (en) Vehicle door system comprising door latch device
JPH09317290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10311663B2 (en) Vehicle door control device
JP2008111285A (ja) 車両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2005248485A (ja) ドア閉鎖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
KR101795156B1 (ko) 비상시 도어 오픈을 위한 차량의 시트벨트 연동형 스트라이커 가변 장치
JP2005163357A (ja) ドア開閉装置
CN219974191U (zh) 用于车门的门把手组件
KR102681036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KR100245451B1 (ko) 자동차의 도어 모듈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