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451B1 - 자동차의 도어 모듈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모듈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451B1
KR100245451B1 KR1019970067506A KR19970067506A KR100245451B1 KR 100245451 B1 KR100245451 B1 KR 100245451B1 KR 1019970067506 A KR1019970067506 A KR 1019970067506A KR 19970067506 A KR19970067506 A KR 19970067506A KR 100245451 B1 KR100245451 B1 KR 10024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ear
function
latch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8736A (ko
Inventor
조현규
Original Assignee
조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규 filed Critical 조현규
Priority to KR101997006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4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4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모듈시스템에 있어, 단순 유리 개폐작동만 수행하던 기능을 기능 변환제어시스템을 구성시켜 도어개방(열림)기능과 도어의 록(잠금), 기능 및 언록(잠금해제)을 통합 작동케하여 그 동안 유리의 개폐작동의 단순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모듈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 유리 개폐 작동 기능만 수행하는 모듈러 시스템에 도어래치도 작동시켜 도어의 개방기능과 도어의 록(잠금), 언록(잠금해제)기능까지 수행케하는 다기능 변환제어시스템(700)에 있어서, 자동차 도어유리개폐작동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러(800) 시스템에 있어 모듈러모터(900) 및 기어(910) 일측 타단에는 도어유리를 올리고 내리고하는 유리개폐작동구동수단기기(300)가 구성 설치되고, 또 다른 일측 타단에는 도어래치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래치작동구동수단(400) 기능을 추가시키는 변환제어기기(700)를 구성하여 도어의 록, 언록 기계적 작동 기능수행이 아니라 전자적 회로 시스템에서 제어하므로서 아주 편리한 기능을 제공 함에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모듈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모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자동차의 도어 유리를 개폐하는 모듈러시스템에 있어서 별개의 기능을 추가하여 모듈러 모터의 회전 운동에너지를 변환제어기기로부터 도어유리도 개폐시키고, 자동차 도어의 개방작동이 함께 이루어지게하여 도어개방기능도 향상시키며, 도어의 록(잠금), 언록(잠금해제) 기능을 통합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어 모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존 모듈러는 도어유리를 개폐시키는 단순기능만 수행하는 구성 시스템으로 되어 있었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 모듈러 시스템(800)은 모듈러 모터(900)에 의하여 케이블로울러기어(330)와 이에 연결되는 모터결합부(802)를 통하여 케이블조절부(801)에서 유리작동케이블(340)을 작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레일(350)에서 연동되는 유리결합부(354)가 상하로 작동되면서 유리(351)가 개폐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인 355는 차량 출입문이고, 356은 결합공, 352는 창틀, 353은 사이드 유리판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중 도어 모듈시스템은 도어의 유리 개폐를 위한 단순기능한 수행하였던 것이므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단순기능의 모듈러의 기능을 도어개방기능과 도어의 록(잠금), 언록(잠금해제)기능 및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97-제54252의 자동차의 보안 및 안전시스템의 다양한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모듈러를 발명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는 기존 단순기능의 모듈러 시스템을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변환제어기기(700)를 발명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출원인이 특허 출원 제97-49252호(97. 9.26.) 된 전동식 도어래치의 경우 구동수단이 별개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도어래치 시스템에 있어 동력원을 전기에너지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구동수단을 도어패널내부에 2중으로 설치할 필요를 베제시키는 발명으로서 어차피 도어유리를 개폐시키는 모듈러의 시스템에 변환제어기기(700)시스템을 구성시켜 도어의 유리개폐도 가
또다른 목적으로 도어래치의 도난침입의 보안을 주 목적으로 기능이 수행되게 하여 모듈러의 기능을 다양하게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듈러 모터(900) 1개로서 모듈러 모터(900)의 회전 운동에너지를 변환제어기기(700)로부터 도어유리도 개폐시키고, 자동차 도어의 개방작동도 병행하게 하여 도어개방기능을 향상시키며, 도어의 록(잠금), 언록(잠금해제) 기능을 통합 제어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도는 통상적인 자동차 도어의 유리창을 개폐하는 장치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도어 모듈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 모듈러의 수동언록킹 시스템부를 보인 확대도이고,
제4도는 도어의 유리창이 작동되는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 모듈러 시스템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 모듈러 시스템의 전체 구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래치기어 22 : 걸림홈
30 : 폴(록킹플레이트)기어 31 : 걸림턱
300 : 도어유리작동구동수단부 310 : 릴리스기어
320 : 솔레노이드 330 : 케이블 롤러기어
340 : 유리작동 케이블 350 : 유리작동 네일
400 : 도어래치작동 구동수단부 410 : 릴리스 기어
420 : 솔레노이드 430 : 구동기어
440 : 반달톱니기어 450 : 작동기기
460 : 밀림판 470 : 수동 언록킹 시스템
480 : 수동 조작레버 490 : 작동부
500 : 힌지축 510 : 작동기기 케이블
520 : 작동기기 보호관 100 : 도어래치 본체
700 : 변환제어기기 800 : 모듈러 시스템
900 : 모듈러 모터 910 : 모터 기어
1000 : 발명된 모듈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에 있어서, 도어유리 개폐작동 기능 및 도어의 개방기능과 도어의 록, 언록기능을 통합 작동 제어가능케하는 변환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진다.
각종 자동차의 도어 유리를 개폐하는 모듈러 시스템에 있어 기존 모듈러의 기능은 도어유리를 개폐시키는 단순기능만 수행하는 구성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시스템을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듈러 모터 1개로서 모듈러 모터의 회전 운동에너지를 변환제어기기로 부터 운동에너지를 변환작동시켜 도어유리를 개폐시키고, 자동차 도어의 개방작동도 수행 하게하여 도어개방기능도 향상시키며, 도어의 록(잠금), 언록(잠금해제) 기능등을 통합 제어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진다.
이하,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본 발명의 도어 모듈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제3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 모터(900)에 결합되어 있는 모터 기어(910) 일측에는 도어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도어유리작동구동수단부(300)가 배설되어 있으며, 또다른 일측에는 도어래치를 작동시키는 도어래치작동 구동수단부(400)가 배설 구성되어 변환제어기기(700)이 구성되며, 중앙제어부로부터 제어를 받아 이들의 기능들이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모듈러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변환제어기기(7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 출원인이 기술한 내용의 변환제어기기(700)부의 구조 및 동력원의 구성이 다르게도 개발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기술적 내용을 한가지 예로서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한다.
더욱더 상세하게는 지금까지 도어의 유리를 개폐시키는 모듈 시스템에 있어 유리작동기능의 단순 기능만 수행하던 모듈시스템을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제97-49252호의 전동식 도어래치를 작동시키는 기능 시스템과 통합제어가능한 모듈러로 개발한 것이다.
유리 개폐작동기능에 있어서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각 제어 스위치 중에서 도어유리를 개폐 작동시키는 윈도 파워 스위치를 작동시켰을 때 변환제어
더욱더 상세하게는 파워윈도 스위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공급받은 모듈러(1000)의 변환제어기(700)의 도어유리작동 구동수단부(300)의 솔레노이드(320)가 릴리스기어(310)를 모듈모터(900)의 기어(910)쪽으로 멀리서 결합시키며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은 모듈모터(900)가 구동되면서 모터기어(910)가 릴리스기어(310)를 구동시키며, 릴리스기어는 케이블 롤러기어(330)를 구동시키며, 롤러기어(330)에 감겨있는 유리작동수단의 케이블 끝에 지지되어 있는 유리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릴리스기어(310)는 솔레노이드(320)에 전원이 차단되면 솔레노이드(320)가 리턴되면서 릴리스기어(310)도 따라 리턴되어 모듈모터기어(910)와 분리되기 때문에 도어유리 개폐작동기능이 정지되는 시스템이므로 전원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로부터 릴리스기어(310)가 튀어나가 모듈모터기어(910)와 결합되어 모터가 구동되면 도어유리개폐작동이 개시되는 것이다.
또다른 기능으로서,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리게 되는 시스템으로서 중앙제어기에서 신호를 공급받은 도어핸들스위치는 운전자나 승차자가 자동차에 승차하기위하여 도어핸들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도어핸들 스위치는 즉시 구동기기(400)와 모듈러모터(900)에 순차적으로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 구동시키므로 도어래치(100)가 연계 작동되어 도어가 개방(열린다)되는 시스템으로서, 운전자가 도어핸들
본 시스템의 또다른 기능으로서 모듈러(1000)와 도어래치작동 구동수단(400)의 작동기기(450)와 도어래치(100)와 연결 결합되어 있는 작동기기케이블(510)을 외부의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관(520)으로 감싸 보안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래치(100)는 본 출원인의 상기 출원 명세서에 잘 나타나 있으며, 이는 작동기기케이블(510)을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1)에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케하며, 하우징 블록의 내부에는 주요 부품인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구성요소인 걸림턱(31)이 래치기어(20)의 록킹홈에 안착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기어(20)의 하단에는 스트라이크 핀(110)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래치기어(20)의 타단과 하우징 블록의 하단 내부에는 구동기기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능의 감지센서스위치(140)가 설치되고, 감지센서스위치(140)는 래치기어의 작동스위치를 감지하여 구동기기로 보내지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며, 또다른 기능으로서 구동기기에 계속해서 전해지는 전기적 에너지의 과부하를 차단하여 주는 2차적 안전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이 수행된다.
그리고,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듈러(1000)의 변환제어기기(700)의 일측에는 수동조작언록킹레버시스템(470)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구동기기의 고장으로 변환제어기기가 작동이 되지 않을 경우에 조작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작동기기(450)의 단부에 밀림판(460)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연계작동될 수 있도록 수동조작레바(4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동조작레바(480)는 일단에 작동봉(49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힌지축(481)에 의하여 작동되게 하고, 이에 스프링(482)이 한쪽 방향으로 탄지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조작레버(480)를 수동 조작 작동시키면 연계작동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에 구성 형성된 걸림턱(31)이 상응 작동되어 연계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래치기어(20)는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구속하고 있던 스트라이크핀(110)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지에 대한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개방 작동기능 수행에 있어서 운전자나 승차자가 승하차를 하기 위하여 도어핸들 스위치를 작동시켰을 때, 모듈러(1000)의 변환제어기(700)의 도어래치작동 구동수단부(400)의 솔레노이드(420)가 릴리스기어(410)를 모듈모터(900)의 기어(910)쪽으로 밀어서 결합시키며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은 모듈모터(900)가 구동되면서 모터기어(910)가 릴리스기어(410)를 구동시키며, 릴리스기어(410)는 구동기어(430)를 구동시키며, 구동기어는 구동기어에 형성되어 있는 반달 톱니기어(440)를 구동시키며, 반달톱니기어(440)의 타단에는 작동기기(45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반달 톱니기어(440)가 구동되면서 작동기기(450)를 작동시킨다.
이때 작동기기(450)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기기케이블(510)이 도어래치(100)의 폴(록킹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폴(록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턱이 래치기어(20)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어 래치기어(20)를 구속 해제하며, 래치기어(20)는 구속하고 있던 스트라이커 핀(110)을 방출시켜 도어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어가 열리게되는 전기적 시스템으로서 중앙제어기부에서 전원 및 신호를 공급받은 도어핸들스위치는 운전자나 승차자가 자동차에 승차하기 위하여 도어핸들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도어핸들 스위치는 즉시 구동기기(400)와 모듈러모터(900)에 순차적으로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 구동시키므로 도어래치(100)가 연계 작동되어 도어가 개방(열린다)되는 것이다.
본 시스템과 연계작동되는 도어래치는 외부의 비정상적인 도구들(자대, 갈고리등)의 침입을 완전방지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 실내 내부쪽에서만 수동조작으로 작동될 수 있는 기계적 작동구동단인 수동조작 언록킹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동조작 언록킹 레버 시스템이 없을 경우, 도어를 부수지 않고는 도어를 열 수 없으므로 반드시 비상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동식 도어개방기능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수동조작 언록킹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래치작동 구동수단(400)의 작동기기(450)의 일측은 밀림판(45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수동조작 언록킹레버시스템(470)이 배설되며, 수동조작 언록킹레버시스템(470)의 구성으로서 수동조작레버(480)와 작동봉(490)이 형성되며, 레버중간에는 힌지축(481)이 형성되며,
이러한 수동조작언록킹시스템(470)의 작동은 변환제어기기(700)가 고장날경우나 변환제어기기(700)의 솔레노이드(420) 및 모듈모터(9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 만 비상 수단으로서 수동조작으로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며 평상시에는 도어핸들 스위치를 주 메카니즘으로 사용하여 도어를 수동조작에 의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본 시스템의 또다른 기능으로서 모듈러(1000)와 도어래치작동 구동수단(400)의 작동기기(450)와 도어래치(100)와 연결 결합되어 있는 작동기기케이블(510)을 외부의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관(520)으로 감싸 보안목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다른 기능으로서 도어핸들 스위치로부터 계속해서 전해지는 전류로 인하여 각 구동수단의 솔레노이드 및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막기위하여 도어래치가 작동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즉시 각 구동수단 및 모터(900)로가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감지센서스위치(80)가 래치기어(20) 타단에는 배설 구성되며, 감지센서(80)는 래치기어(20)의 작동위치에 감응하여 구동기기(400)로 보내지는 전기적 신호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된 정확한 전기에너지 콘트롤시스템을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중앙제어기(1)로부터 선별적 제어가 되어 유리작동기능과 도어 래치 작동기능이 작동되며, 록, 언록의 기능수행에 있어 기계적인 수단을 베제하고
더욱더 상세하게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운전자가 전자키나 원격무선리모콘의 송신기의 ON, OFF 신호를 출력하면 수신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중앙제어부의 회로시스템(본 출원인이 특허출원중인 자동차의 보안 및 안전시스템의 중앙제어부 : 출원번호 제97-54252호)에 의하여 도어핸들 스위치까지 전기적 에너지 및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는 것만으로 언록(잠금해제)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며, 이러한 언록 기능시스템은 기존 기계식 도어래치의 경우 록, 언록시킬 경우 푸시풀노브등이 기계적으로 작동되어 록, 언록 기능이 수행되지만, 본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러한 기계적 작동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회로적 기능수행으로 제어되는 것이다.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록(잠금), 언록(잠금해제)기능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운전자가 ON, OFF 키 및 원격리모콘을 ON 작동시키면 중앙제어기기에서 도어핸들스위치까지 전기적 에너지 및 전기적 신호를 도어핸들스위치까지만 보내는 것으로 도어의 언록(잠금해제)가 되는 것이며, 록(잠금) 기능수행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OFF 신호를 출력하면 중앙제어기기에서 도어핸들 스위치까지 가는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차단시켜주는 것으로 록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더욱더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도어를 닫으면 도어래치(100)의 래치 기어(20)가 스트라이커 핀(110)을 구속한 상태 그대로 전원 및 전기적신호를 공급받지 못한 구동수단기기(400)와 모듈러 모터(900)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작동이 멈추게되어 자연적으로 록(잠금)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자동차 도어유리의 개폐작동만하는 모듈러의 단순기능을 여러 가지의 기능을 도모할 수 있는 종합모듈러시스템을 발명하므로 자동차 도어의 모듈러기능을 향상시키며, 도어유리의 개폐는 물론 도어의 잠금 및 해제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 도어 모듈시스템(1000)에 구성되는 변환제어기기(700)에는 도어유리를 개폐시키는 도어유리 작동구동수단부(300)와 도어래치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래치작동 구동수단부(400)가 구성되며, 모듈러 모터(900)의 운동에너지를 변환제어기기(700)에서 변환 작동시켜 도어유리와 자동차 도어의 개방작동이 가능토록 구성하며, 전기적 회로시스템에 의하여 도어의 록(잠금), 언록(잠금해제) 기능을 통합 제어가능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모듈러.
  2. 제1항에 있어서, 변환제어기기(700)의 도어래치작동 구동수단부(400)는 중앙제어부에서 신호를 공급받은 도어핸들스위치로부터 구동기기(400)와 모듈러모터(900)에 순차적으로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어핸들 스위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은 도어래치작동 구동수단부(400)의 솔레노이드(420)가 릴리스기어(410)를 모듈모터(900)의 기어(910)쪽으로 밀어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고,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은 모듈모터(900)가 구동되면서 모터기어(910)가 릴리스기어(410)를 구동시키며, 릴리스기어(410)는 구동기어(33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구동기어는 구동기어에 형성되어 있는 반달 톱니기어(440)를 구동시켜 작동기기(4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작동기기(450)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기기케이블(510)이 도어래치(100)의 폴(록킹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도어래치작동 구동수단부(400)의 작동기기(450)의 일측은 밀림판(460)으로 형성되며, 타단에는 수동조작 언록킹레버(470) 시스템이 배설되며, 수동조작 언록킹레버(470)은 수동조작레버(480)와 작동봉(490)이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중간에는 힌지축(481)이 형성되며, 일측의 상기 레버(480)를 작동시키면 일측의 작동부(490)가 작동기기(450)의 밀림판(460)을 밀어 작동기기(450)를 구동시켜 도어래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도어래치(100)의 래치기어(20) 타단에는 래치기어의 작동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80)가 배설되며, 감지센서(80)는 래치기어의 작동에 감응하여 모듈모터(900) 및 구동기기(400)로 보내지는 전원 및 전기적 신호수단등을 공급 및 차단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듈러.
KR1019970067506A 1997-12-10 1997-12-10 자동차의 도어 모듈러 KR10024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506A KR100245451B1 (ko) 1997-12-10 1997-12-10 자동차의 도어 모듈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506A KR100245451B1 (ko) 1997-12-10 1997-12-10 자동차의 도어 모듈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736A KR19990048736A (ko) 1999-07-05
KR100245451B1 true KR100245451B1 (ko) 2000-02-15

Family

ID=1952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506A KR100245451B1 (ko) 1997-12-10 1997-12-10 자동차의 도어 모듈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4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736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236A (en) Motor-vehicle door latch for remote actuation
EP2990572B1 (en) Vehicle door latch control device
US5722272A (en) Vehicle door lock actuator
EP1402139B1 (en) Closure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latch arrangement
EP0775793B1 (en) Vehicle door lock actuator
US4739585A (en) Automatic deck lid closer for automotive vehicles
US7770946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EP2463462B1 (en) Vehicle door lock device
EP0775791B1 (en) Vehicle door lock actuator
US7000956B2 (en) Last assembly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latch assembly
EP2902574B1 (en) Vehicle door latch controller
WO1990005822A1 (en) Door locking systems for motor vehicles
EP0959205B1 (en) Vehicle door lock
EP1323884B1 (en) Vehicle
FI101734B (fi) Sähkötoimilaite ovia ja ikkunoita varten
KR100245451B1 (ko) 자동차의 도어 모듈러
KR100256175B1 (ko)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KR20160026253A (ko)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KR200224925Y1 (ko) 자동잠금기능과 침입탐지 경보기능을 가진 도어잠금장치
CN219012317U (zh) 一种汽车门开关装置及其汽车门、汽车
KR19980017016U (ko) 스위치에 의해 도어 오픈이 가능하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 록
KR19990018381U (ko) 자동차 도어개폐장치
KR20040017595A (ko) 차량 도어의 자동 조작 장치
KR20050026745A (ko) 도난사고 방지형 전자식 도어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