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520B1 -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520B1
KR100581520B1 KR1020050063094A KR20050063094A KR100581520B1 KR 100581520 B1 KR100581520 B1 KR 100581520B1 KR 1020050063094 A KR1020050063094 A KR 1020050063094A KR 20050063094 A KR20050063094 A KR 20050063094A KR 100581520 B1 KR100581520 B1 KR 100581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atch
tri
locking device
digit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찬
Original Assignee
(주)서울프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울프레스 filed Critical (주)서울프레스
Priority to KR102005006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45/08Electric alarm locks with contact making inside the lock or in the striking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 바디에 트라이 래치 2개가 대칭되어 구비되도록 하여 좌측 또는 우측 어느 방향에 설치되더라도 트라이 래치 2개중 하나가 밀려서 잠겨 질 수 있도록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래치바디(latch body, 11); 상기 래치바디(11)에 서로 대칭되도록 장착되며, 도어가 닫힐 때 2개의 트라이 래치 중 하나가 밀려들어가는 2개의 트라이 래치(13)(15); 상기 트라이 래치암(17)에 의해 후진하는 실린더 바디(cylinder body, 21); 도어가 닫힌 경우 장력으로 상기 트라이 래치(13)(15)를 전(前)방향으로 밀어내는 래치 탄성수단(23)을 포함하는 이중 잠금장치(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도어락, 좌/우수 겸용, 트라이 래치

Description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 WITH DOUBLE LOCKING SYSTEM FOR BOTH HANDS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적용된 트라이 래치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5 : 이중잠금장치 33 : 개폐장치
37 : 제어부 40 : 개폐감지장치
45 : 잠금장치
본 발명은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래치 바디에 트라이 래치 2개가 대칭되어 구비되도록 하여 좌측 또는 우측 어느 방향에 설치되더라도 트라이 래치 2개중 하나가 밀려서 잠겨 질 수 있도록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도어의 바깥쪽과 안쪽에 각각 설치된 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래치 또는 데드볼트가 출몰하면서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도어락에 설치되는 클러치 장치는 출입자가 입력한 비밀번호 또는 카드가 미리 입력된 신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외부 손잡이의 회전을 데드 볼트 또는 래치에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클러치 장치라 함은 외부 손잡이의 회전을 문 내측에 설치된 별도의 잠금장치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장치를 뜻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락은 도어의 열림 방향에 따라 좌수용과 우수용이 있다.
좌수용 도어락의 경우에는 도어 좌측단에 힌지가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대개 왼손(左手)을 이용하여 도어의 회전 손잡이를 회전시킨다. 즉, 사용자는 회전 손잡이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락을 열게 된다.
이에 비하여, 우수용 도어락의 경우에는 도어 우측단에 힌지가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대개 오른손(右手)을 이용하여 도어의 회전 손잡이를 회전시킨다. 즉, 사용자는 회전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락을 열게(解鍵) 된다.
이와 같이, 좌수용 도어락과 우수용 도어락의 회전 손잡이의 회전 방향이 서 로 다르기 때문에, 도어락에 설치되는 클러치 장치는 좌수용과 우수용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도어락이 좌수용인지 또는 우수용인지에 따라 클러치를 따로 각각 제조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058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도어에 최초 설치시에 좌수용 또는 우수용으로 설정되면, 전자제어회로에 의하여 자동으로 좌수용 또는 우수용 도어락에 적합하도록 제어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전자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식 도어 잠금장치이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고 고장이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 바디에 트라이 래치 2개가 대칭되어 구비되도록 하여 좌측 또는 우측 어느 방향에 설치되더라도 트라이 래치 2개 중 하나가 밀려서 잠겨 질 수 있도록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래치바디(latch body, 11); 상기 래치바디(11)에 서로 대칭되도록 장착되며, 도어가 닫힐 때 2개의 트라이 래치 중 하나가 밀려들어가는 2개의 트라이 래치(13)(15); 상기 트라이 래치암(17)에 의해 후진하는 실린더 바디(cylinder body, 21); 도어가 닫힌 경우 장력으로 상기 트라이 래치(13)(15)를 전(前)방향으로 밀어내는 래치 탄성수단(23)을 포함하는 이중 잠금장치(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은 첨부된 도면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잠금장치(25), 개폐장치(33), 개폐감지장치(40), 제어부(37), 경보음 발생부(41), 잠금장치(45)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7)와 경보음 발생부(41)는 일반적인 회로소자와 함께 별도의 PCB 상에 구축된다.
상기 이중 잠금장치(25)는 래치바디(latch body, 11)에 서로 대칭되도록 장착된 2개의 트라이 래치(13)(15)가 힌지에 의해 실린더 바디(cylinder body, 21)에 결합되어, 도어가 닫힐 때 2개의 트라이 래치(13)(15) 중 먼저 문틀에 접촉하는 하나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다른 하나와 일직선상에 위치되면서 밀려들어가도록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 바디(21)의 홈(12)에 래치 탄성수단(23)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가 닫힌 경우 장력으로 상기 트라이 래치(13)(15)를 전(前)방향으로 밀어내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개폐장치(33)는 상기 래치 바디(11)에 접촉되어 상기 래치 바디(11)의 직선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27)와, 도어가 열릴 경우 상기 스톱퍼(27)의 현재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가이드(3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톱퍼 암의 일측에 홈(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28)에 가이드(31)에 형성된 돌기(32)가 삽입 결합되어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스톱퍼(27)가 현재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27)는 “U"자 형상을 가진다.
개폐 감지장치(40)는 상기 가이드(3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35)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5)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응하여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열림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39)를 정회전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5)가 가이드(31)와 접속되는 경우 경보음 발생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7)와, 상기 모터구동신호에 응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모터(39)와, 상기 경보음 발생신호에 응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4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31)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5)와 접점을 이루고, 상기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5)로부터 떨어져,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5)가 온오프되도록 한다.
상기 잠금장치(45)는 상기 모터(39)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원운동하는 바벨 기어(41)와, 상기 바벨 기어(4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벨기어(41)의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데드볼트(42)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크로스 기어(43)와, 상기 크로스 기어(43)에 의해 데드볼트의 이동상태를 감지하여 종료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4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크로스 기어(43)는 샤프트 바(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 바(45)가 상기 데드볼트 바디(44)에 형성된 홈(46)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7)는 상기 포토센서(47)의 종료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39)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를 닫게 되는 경우 래치 바디(11)에 대칭되어 탑재된 2개의 트라이 래치(13)(15)는 문틀에 밀려서 2개 중 1개가 밀리면서 트라이 래치(13)(15) 암 부분이 실린더 바디(17)의 전면부를 밀면서 뒤로 후진하게 된다.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래치바디(latch body, 11)에 서로 대칭되도록 장착된 2개의 트라이 래치(13)(15)가 힌지(60)에 의해 실린더 바디(cylinder body, 21)에 결합되어, 도어가 닫힐 때 2개의 트라이 래치(13)(15) 중 먼저 문틀에 접촉하는 하나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다른 하나와 일직선상에 위치되면서 밀려들어가도록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 바디(21)의 홈(12)에 래치 탄성수단(23)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가 닫힌 경우 장력으로 상기 트라이 래치(13)(15)를 전(前)방향으로 밀어내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라이 래치(13)(15) 2개 중 1개가 도어가 닫힐 때 도어가 결합되어 있는 문틀에 의해 밀리면서 힌지(6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므로 왼쪽, 오른쪽 어느 방향에 설치하더라도 작동가능하다.
그리고, 도어가 닫히게 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 바디(17)의 홈(12)에 삽입되어 있는 래치 스프링(23)의 장력으로 실린더 바디(17)가 전방향으로 밀려나가고, 이에 따라 트라이 래치(13)(15) 또한 실린더 바디(17) 앞으로 밀려나가게 되며, 결국 트라이 래치(13)(15)가 도어트림 내부로 안착되어 잠금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가 잠금상태를 이루게 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 바디(17)는 U 자형 스톱퍼(27)에 의해 현재 위치를 유지한다. 그리고, 스톱퍼(27)는 커버 스프링(50)에 의해 래치 바디(11)에 밀착되므로, 스톱퍼(27) 또한 실린더 바디(17)와 같이 현재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톱퍼(27)는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가 열려 있을 경우 스톱퍼(27)의 홈(32)에 삽입 결합된 가이드(31)의 돌기 부분이 상기 스톱퍼(27)를 눌러줌으로써 래치 바디(11)와 접촉하지 못하게 하여 해제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를 닫을 때 가이드(31)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마이크로 스위치(35)의 접점이 떨어지게 되어 마이크로 스위치(35)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제어부(37)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37)는 도어가 닫혔다고 인식을 하고 모터(39)가 정회전되도록 하고, 모터(39)가 정회전되면서 바벨기어(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크로스 기어(43)가 회전되어 크로스 기어(43)에 형성된 샤프트 바(45)가 데드볼트 바디(44)를 전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데드볼트(42)가 튀어나오게 되어 도어트림 내부로 안착되어 잠금상태가 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어가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 손잡이를 돌려 도어를 강제로 열고자 하는 경우 가이드(31)가 튀어나가 마이크로 스위치(35)가 가이드(31)와 접점을 이루고, 마이크로 스위치(35)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제어부(37)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37)는 비정상 작동상태로 인식하고 경보음 발생부(41)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되도록 한다.
다음,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자 디지털 도어락 외부에 구비된 열림스위치를 누르게 되는 경우 제어부(37)는 상기 열림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열림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39)를 역회전되면서 바벨기어(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벨기어(41)에 연결된 크로스 기어(43)의 샤프트 바(45)가 데드볼트 바디(44)를 후진시켜 데드볼트(42)가 도어트림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데드볼트(42)가 도어트림으로부터 이탈된 후 사용자가 도어락에 구비된 손잡이를 당기는 경우 가이드(31)가 뒤로 후진하고, 이에 따라 스톱퍼(27)도 뒤로 후진하게 된다. 그러면 래치스프링(23)과 함께 래치 바디(11)가 후진하게 되고, 상기 래치 바디(11)에 대칭되어 탑재된 2개의 트라이 래치(13)(15)가 뒤로 후진하면서 도어 트림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도어를 연 상태에서 손잡이를 놓는 경우 상기 트라이 래치(13)(15)는 래치 스트링(23)의 장력으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스톱퍼(27)는 가이드(31)의 돌기(32)에 의해 현재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비상시에는 비상 손잡이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비상 손잡이를 동작시킬 경우 샤프트 바(45)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 바(450에 의해 크로스 기어(44)가 뒤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어 데드볼트(42)가 도어트림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도어가 열려질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래치 바디에 트라이 래치 2개가 대칭되어 구비되도록 하여 좌측 또는 우측 어느 방향에 설치되더라도 트라이 래치 2개 중 하나가 밀려서 잠겨 질 수 있도록 하여 시공 전에 임의로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래치바디(latch body, 11)에 서로 대칭되도록 장착된 2개의 트라이 래치(13)(15)가 힌지에 의해 실린더 바디(cylinder body, 21)에 결합되어, 도어가 닫힐 때 2개의 트라이 래치(13)(15) 중 먼저 문틀에 접촉하는 하나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다른 하나와 일직선상에 위치되면서 밀려들어가도록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 바디(21)의 홈(12)에 래치 탄성수단(23)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가 닫힌 경우 장력으로 상기 트라이 래치(13)(15)를 전(前)방향으로 밀어내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바디(11)에 접촉되어 상기 래치 바디(11)의 직선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27);
    도어가 열릴 경우 상기 스톱퍼(27)의 현재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가이드(31)로 이루어진 개폐장치(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암의 일측에 홈(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28)에 가이드(31)에 형성된 돌기(32)가 삽입 결합되어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스톱퍼(27)가 현재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27)는 "U"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3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35);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5)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응하여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7);
    상기 모터구동신호에 응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모터(39)로 이루어진 개폐 감지장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31)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5)와 접점을 이루고, 상기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5)로부터 떨어져,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5)가 온오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7)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열림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39)를 정회전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5)가 가이드(31)와 접속되는 경우 경보음 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개폐 감지장치(40)는 상기 경보음 발생신호에 응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39)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원운동하는 바벨 기어(41);
    상기 바벨 기어(4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벨기어(41)의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데드볼트(42)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크로스 기어(43)로 이루어진 잠금장치(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기어(43)는,
    샤프트 바(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 바(45)가 상기 데드볼트 바디(44)에 형성된 홈(46)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45)는,
    상기 크로스 기어(43)에 의해 데드볼트의 이동상태를 감지하여 종료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4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7)는 상기 포토센서(47)의 종료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39)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KR1020050063094A 2005-07-13 2005-07-13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KR10058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094A KR100581520B1 (ko) 2005-07-13 2005-07-13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094A KR100581520B1 (ko) 2005-07-13 2005-07-13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1520B1 true KR100581520B1 (ko) 2006-05-22

Family

ID=3718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094A KR100581520B1 (ko) 2005-07-13 2005-07-13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140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휴앤텍 보안성이 향상된 도어폰 연동 도어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140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휴앤텍 보안성이 향상된 도어폰 연동 도어록 시스템
KR102311910B1 (ko) 2019-11-22 2021-10-14 주식회사 휴앤텍 보안성이 향상된 도어폰 연동 도어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5797B2 (ja) ロック装置
US10301854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20100212374A1 (en) Door latch device for a motor vehicle
ATE381768T1 (de) Antriebsvorrichtung eines elektischen schaltgerätes mit schaltsperre
US6655179B2 (en) Automotive door lock assembly
US10612277B2 (en) Vehicle door opening/close device
JP3788968B2 (ja) 電気錠
JP2832235B2 (ja) トランク用扉のロック装置
CN114450460B (zh) 闩锁组件
KR100581520B1 (ko)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KR100811244B1 (ko)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JP6442732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及び該ドアラッチ装置を備えているドアシステム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JP2010095988A (ja) 車両用ストライカ機構
CN110911983B (zh) 一种适于内部管理人员使用的开关柜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101058354B1 (ko) 절전형 디지털 도어록 백셋
KR100834212B1 (ko) 연결 구조가 개선된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래치
KR20070008237A (ko) 인사이드 핸들 모듈
KR20180024584A (ko) 디지털 푸쉬 풀 도어락
JP2003307058A (ja) カ−ド式錠装置
JP3075412U (ja) 開閉扉の施錠装置
JP3845481B2 (ja) 引戸用電気錠のデッドボルトの出没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