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031Y1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031Y1
KR200208031Y1 KR2020000019235U KR20000019235U KR200208031Y1 KR 200208031 Y1 KR200208031 Y1 KR 200208031Y1 KR 2020000019235 U KR2020000019235 U KR 2020000019235U KR 20000019235 U KR20000019235 U KR 20000019235U KR 200208031 Y1 KR200208031 Y1 KR 2002080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unit
door
lock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풀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풀베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풀베이스
Priority to KR2020000019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0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0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열고 닫거나 잠금 등을 하여서 되는 도어 잠금장치에 부가하여 구비하는 보조잠금장치를 일체로 함과 동시에 휴대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주파수 방식으로 도어를 안전하게 개·폐토록 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벽체(600)에 형성된 제1잠금공(610)과, 도어에 부착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 일측면의 제1통공(130)으로 손잡이부(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잠금공(610)으로 입·출하는 제1잠금슬라이더(120)를 구비한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슬라이더(120)의 잠금됨을 고정하는 고정부(200)와, 상기 벽체(600)에 입·출하여서 고정하는 보조잠금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200)와 보조잠금부(300)는 무선으로 암호를 송·수신하여 제어하는 제1무선송수신부(420)와, 무선으로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420)와 암호를 송·수신하여 잠금 및 해제를 조작하는 제2무선송수신부(520)를 구비한 제어부(400)와 스위치부(5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는 불법도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에 돌출 되어져 있는 열쇠공 등을 외부에서 무단으로 조작하여서 발생하는 침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중의 잠금장치를 일체로 마련하여서 외관상 또는 돌출부의 걸림 등에 따른 외상 등을 입게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와 함께 더 나아가서는 상기 잠금장치들을 하나하나 작동시켜야만 하는 시간 및 노동 등이 소비되는 작동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해서는 절대로 열 수 없으며 일정한 주파수에만 반응하여 개·폐되는 도어 잠금장치를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locking apparatus}
본 고안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열고 닫거나 잠금 등을 하여서 되는 도어 잠금장치에 부가하여 구비하는 보조잠금장치를 일체로 함과 동시에 휴대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주파수 방식으로 도어를 안전하게 개·폐토록 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선, 일반적인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체(600′)에 형성된 잠금공(610′)과, 도어(700′)에 부착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 일측면의 통공으로 손잡이(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공(610′)으로 입·출하는 잠금슬라이더(120′)를 구비한 잠금장치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손잡이 및 열쇠를 사용한 열쇠삽입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잠금슬라이더(120′)의 입·출로 벽체(600′)에 도어가 잠금 및 해지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 잠금장치는 금속제 열쇠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잠금 및 해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열쇠삽입부로 이물질이나 다른 열쇠도구 등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침입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보조의 잠금장치를 사용하나 이 또한 열쇠삽입부로 이물질이나 다른 열쇠도구 등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침입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도어에 손잡이와 잠금장치 그리고 보조잠금장치를 더 마련하여서 외관상 또는 돌출부의 걸림 등에 따른 외상 등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상기 잠금장치들을 하나하나 작동시켜야만 하는 시간 및 노동 등이 소비되는 작동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신문이나 우유 등을 투입하는 투입구로 도구 등을 이용하여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레버 등을 조작하여 침입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불법도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에 돌출 되어져 있는 열쇠공 등을 외부에서 무단으로 조작하여서 발생하는 침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중의 잠금장치를 일체로 마련하여서 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해서는 절대로 열 수 없으며 일정한 주파수에만 반응하여 개·폐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2, 도3, 도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5는 종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몸체부 110-손잡이부 111-회전레버
120-제1잠금슬라이더 121-걸림홈 122-고정단부
130-제1통공 131-제2통공 200-고정부
210-제1회전모터 220-감속부 230-제1피니언기어
240-고정슬라이더 241-제1레크기어 300-보조잠금부
310-제2회전모터 320-감속부 330-제2피니언기어
340-제2레크기어 400-제어부 410-전원부
420-제1무선송수신부 500-스위치부 510-스위치
520-제2무선송수신부 600-벽체 610-제1잠금공
620-제2잠금공 700-도어
그럼,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1’,‘도2’, ‘도3’그리고, ‘도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체(600)에 형성된 제1잠금공(610)과, 도어(700)에 부착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 일측면의 제1통공(130)으로 손잡이부(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잠금공(610)으로 입·출하는 제1잠금슬라이더(120)를 구비한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슬라이더(120)의 잠금됨을 고정하는 고정부(200)와,
상기 벽체(600)에 입·출하여서 고정하는 보조잠금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7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회전등에 의해 열거나 닫도록 하는 손잡이부(110)와,
상기 손잡이부(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레버(111)와,
상기 회전레버(11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걸림홈(121)을 마련한 제1잠금슬라이더(120)와,
상기 제1잠금슬라이더(120)가 입·출하여서 되는 제1통공(130)을 마련한 몸체를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잠금슬라이더(120)는 벽체(6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1잠금공(610)으로 입·출하여서 잠금 및 해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잠금슬라이더(120)가 닫힘 하여 고정하는 고정부(200)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200)는 전원을 인가받아 출력하는 전원부(410)와,
잠금 및 해지를 조작하는 스위치부(500)와,
상기 스위치부(500)의 조작에 의해 전원과 전체시스템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일측에 구비된 제1피니언기어(230)를 정·역회전는 하는 제1회전모터(210)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23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래크기어를 (241)구비한 고정슬라이더(240)와,
상기 고정슬라이더(24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지지되는 고정단부(122)를 더 구비한 제1잠금슬라이더(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잠금부(3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으로 상기 벽체(600)에 마련한 제2잠금공(620)과,
상기 몸체부(100) 일측면의 제2통공(131)으로 상기 벽체(600)에 마련된 제2잠금공(620)으로 입·출하는 제2잠금슬라이더와,
상기 전원부(410)와 상기 스위치부(500)와 상기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제2피니언기어(330)를 정·역회전하는 제2회전모터(310)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33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래크기어를 구비한 제2잠금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잠금부(300)의 제2피니언기어(330)와 제2래크기어는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과 같은 실시예로서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회전모터(210)와 제1피니언기어(230) 그리고, 제2회전모터(310)와 제2피니언기어(330)에는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부(220)(3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500)는 무선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400)는 스위치부(500)와 무선으로 암호를 송·수신하여 제어하는 제1무선송수신부(420)와,
상기 스위치부(500)에는 무선으로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420)와 암호를 송·수신하여 잠금 및 해제를 조작하는 제2무선송수신부(5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되어지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손잡이부(110)를 회전하여 이에 따른 회전레버(111)가 회전하여 걸림홈(121)이 구비된 제1잠금슬라이더(120)를 이송하여 상기 제1잠금공(610)에서 이탈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어(700)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잠금부(300) 역시 제2잠금공(620)에서 제2잠금슬라이더가 이탈되어져 있는 상태로 평상 시 도어(700)를 열어두거나 열고 닫을 때의 동작상태이다.
그리고, ‘도3’은 도어(700)를 벽에 고정하여서 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손잡이부(110)를 원위치 시켰을 때 도어(700)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1잠금슬라이더(120)가 벽체(600)의 제1잠금공(610)에 삽입되어져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4’는 도어(700)를 잠금 하고자 할 때의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잠그고자 하는 상기 스위치부(500)의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스위치부(500)의 제2무선송수신부(520)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제1무선송수신부(420)로 제1암호코드를 변조·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수신된 암호코드와 몸체부(100)의 제1무선송수신부(420)의 설정된 코드가 일치하면 몸체부(100)의 제1무선송수신부(420)에서 제2암호코드를 제2무선송수신부(520)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제2암호코드를 제2무선송수신부(520)에서 확인하여 일치하면 역시 제1무선송수신부(420)로 제3암호코드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암호코드를 입력받은 제1무선송수신부(420)는 이의 제3암호코드와 일치됨을 확인하여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회전모터(210)와 제2회전모터(310)를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제1회전모터(210)에 연결되어져 있는 제1피니언기어(230)의 회전에 의해 고정슬라이더(240)에 마련된 제1레크기어(241)를 구동하여 상기 제1잠금슬라이더(120)의 고정단부(122)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회전모터(310)에 연결되어 있는 제2피니언기어(330)의 회전에 의해 이와 대응되는 제2래크기어를 마련한 제2잠금슬라이더가 이송되어 상기 벽체(600)의 제2잠금공(620)에 인입하여 잠금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0)와 보조잠금부(300)를 열림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위치를 조작하여서 상기 스위치부(500)에서 송·수신한 암호와 상기 제어부(400)에서 송·수신한 암호 및 제어에 의해 상기 기술한 작동과정과 같으며, 이 후 회전모터의 회전만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부(400)에서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도어 잠금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상기 손잡이부(110)를 이용하여 열고 닫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몸체부(100)는 일체로 도어(700)의 일측내부에 마련되어져 손잡이를 제외한 돌출부가 없으므로 해서 외관상 또는 걸림 등에 따르는 상해 등을 예방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0)는 도어(700)를 잠그고자 할 경우 제1잠금슬라이더(120)를 확실히 고정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잠금부(300) 역시 제1잠금슬라이더(120)와 함께 벽체(600)에 삽입으로 잠금되어져 외부의 압력에 더욱더 확실히 견뎌내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부의 압력이나 불법으로 열림이 되더라도 고정슬라이더(240)를 고정하여서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몸체부(100)는 우유나 편지 등을 넣도록 하는 물품투입구로 도구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작동하여 열 수 있는 돌출 및 삽입하는 작동수단을 마련하지 않고 단지 무선으로 작동하는 스위치로만 작동됨으로 보안 및 외부의 불법작동에 의한 열림 등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위치부(500)의 한번의 작동으로 손잡이부(110)를 고정하는 고정부(200)와 보조잠금부(300)를 작동하여서 되는 편리함과 함께 이중의 잠금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는 불법도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에 돌출 되어져 있는 열쇠공 등을 외부에서 무단으로 조작하여서 발생하는 침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중의 잠금장치를 일체로 마련하여서 되는 도어 잠금장치를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700)에 손잡이와 잠금장치 그리고 보조잠금장치를 더 마련하여서 외관상 또는 돌출부의 걸림 등에 따른 외상 등을 입게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와 함께 더 나가서는 상기 잠금장치들을 하나하나 작동시켜야만 하는 시간 및 노동 등이 소비되는 작동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해서는 절대로 열 수 없으며 일정한 주파수에만 반응하여 개·폐되는 도어 잠금장치를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벽체(600)에 형성된 제1잠금공(610)과, 도어(700)에 부착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 일측면의 제1통공(130)으로 손잡이부(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잠금공(610)으로 입·출하는 제1잠금슬라이더(120)를 구비한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슬라이더(120)의 잠금됨을 고정하는 고정부(200)와,
    상기 벽체(600)에 입·출하여서 고정하는 보조잠금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전원을 인가받아 출력하는 전원부(410)와,
    잠금 및 해지를 조작하는 스위치부(500)와,
    상기 스위치부(500)의 조작에 의해 전원과 전체시스템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일측에 구비된 제1피니언기어(230)를 정·역회전는 하는 제1회전모터(210)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23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래크기어(241)를 구비한 고정슬라이더(240)와,
    상기 고정슬라이더(24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지지되는 고정단부(122)를 더 구비한 제1잠금슬라이더(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잠금부(3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으로 상기 벽체(600)에 마련한 제2잠금공(620)과,
    상기 몸체부(100) 일측면의 제2통공(131)으로 상기 벽체(600)에 마련된 제2잠금공(620)으로 입·출하는 제2잠금슬라이더와,
    상기 전원부(410)와 상기 스위치부(500)와 상기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제2피니언기어(330)를 정·역회전하는 제2회전모터(310)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33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래크기어(340)를 구비한 제2잠금슬라이더(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4. 제2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모터(210)와 제1피니언기어(230) 그리고, 제2회전모터(310)와 제2피니언기어(330)에는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부(220)(3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5. 제2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스위치부(500)와 무선으로 암호를 송·수신하여 제어하는 제1무선송수신부(420)와,
    상기 스위치부(500)에는 무선으로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420)와 암호를 송·수신하여 잠금 및 해제를 조작하는 제2무선송수신부(5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2020000019235U 2000-07-05 2000-07-05 도어 잠금장치 KR2002080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235U KR200208031Y1 (ko) 2000-07-05 2000-07-05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235U KR200208031Y1 (ko) 2000-07-05 2000-07-05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031Y1 true KR200208031Y1 (ko) 2000-12-15

Family

ID=1966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235U KR200208031Y1 (ko) 2000-07-05 2000-07-05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0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08B1 (ko) * 2002-02-01 2005-01-13 전병호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KR20050019183A (ko) * 2003-08-18 2005-03-03 강춘섭 도어의 열림 방지장치
KR100491760B1 (ko) * 2002-02-19 2005-05-27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도어핸들용 원격제어 전자식 키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08B1 (ko) * 2002-02-01 2005-01-13 전병호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KR100491760B1 (ko) * 2002-02-19 2005-05-27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도어핸들용 원격제어 전자식 키박스
KR20050019183A (ko) * 2003-08-18 2005-03-03 강춘섭 도어의 열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9271A3 (en) Door latch with child security lock and unlocking assembly
WO2002040812A3 (de) Schliesssystem mit einer funktionssteuerungsmechanik
KR200208031Y1 (ko) 도어 잠금장치
EP2096239A1 (en) Remotely controlled module for a cylinder lock
EP1863987B1 (en) A key box for locked storage of coded access items - such as access cards and keys
EP1457932A2 (en) Passive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KR20180106707A (ko) 디지털 도어락
KR200204780Y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407914Y1 (ko) 가구용 원격 잠금 시스템
KR100380836B1 (ko) 잠금장치
KR100263981B1 (ko) 도어 잠금 장치
KR101449437B1 (ko) 추가 내부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200334250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226748Y1 (ko) 도어 잠금 시스템
KR100479978B1 (ko) 도어록 백세트
KR102053952B1 (ko) 도어 파손에 의한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락 장치
KR20010090074A (ko) 전자식 시건 장치
KR200486251Y1 (ko) 양방향 잠금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잠금장치
KR200245223Y1 (ko)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도어 잠금장치
JP2005139853A (ja) 電子式ドアロック装置
JP3548895B2 (ja) 窓用クレセント
KR200318694Y1 (ko) 도어 잠금장치의 안전손잡이
KR101950948B1 (ko) 세이프 핸들 장치
KR200163325Y1 (ko) 무선송,수신기를이용한잠금장치
KR20090002550A (ko) 방범 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