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550A - 방범 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방범 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550A
KR20090002550A KR1020070065979A KR20070065979A KR20090002550A KR 20090002550 A KR20090002550 A KR 20090002550A KR 1020070065979 A KR1020070065979 A KR 1020070065979A KR 20070065979 A KR20070065979 A KR 20070065979A KR 20090002550 A KR20090002550 A KR 20090002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rotating
shaft
securit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이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호 filed Critical 이강호
Priority to KR102007006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550A/ko
Publication of KR2009000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잠금장치에 방범고리를 더 구비하여 이중의 잠금구조를 이루어 외부의 충격에 의한 도어의 파손 또는 잠금장치의 파손시 이를 보안 함과 아울러, 방범고리의 구동을 자동으로 이루어 사용자가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한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내부에 고정되고, 데드볼트가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를 이루는 락모듈이 구비된 잠금장치 커버와; 상기 잠금장치 커버에 구비되어 도어 외부에 노출되며, 키입력부가 구비된 외부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조작부와 대응하여 도어 내부에 노출되어 잠금레버가 구비된 내부조작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 및 내부조작부를 상호 연결하여 회전되는 축이 구비된 잠금부와; 상기 축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동되는 방범고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 잠금장치, 방범고리, 데드볼트, 락모듈

Description

방범 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Door locking unit with anticrime link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의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의 잠금장치에 디지탈부가 더 구성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잠금장치에 디지탈부가 더 구성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0: 잠금장치 12,112: 잠금장치 커버
13: 도어 14: 도어틀
14a, 14c': 결합홈 14b: 스톱고리
14c: 결합부재 15: 데드볼트
17: 락모듈 20,200: 잠금부
22,202: 키입렵부 24: 외부조작부
26,206: 잠금레버 29,209: 축
30,300: 회전부 32,302: 제1회전부재
34,304: 제2회전부재 36,306: 클러치수단
40,400: 방범고리부 42,402: 힌지축
44,404: 고리부 50: 디지탈부
52: 전자키입력부 54: 모터
56: 동력전달기어 305: 동력전달부재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잠금장치에 방범고리를 더 구비하여 이중의 잠금구조를 이루어 외부의 충격에 의한 도어의 파손 또는 잠금장치의 파손시 이를 보안 함과 아울러, 방범고리의 구동을 자동으로 이루어 사용자가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한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잠금장치는 주택의 현관문, 사무실의 출입문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조작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조작부 및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김 및 개폐를 제어하는 락모듈로 구성되며, 도어틀에는 상기 락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이 형성 되어 락모듈로부터 돌출되는 걸쇠에 의해 도어의 잠김 및 개폐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도어 잠금장치의 락모듈로는 도어 잠금을 위한 데드볼트 및 도어 개폐를 위한 래치볼트로 구성된 모티스형 락모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데드볼트는 돌출된 부분이 단면상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인위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래치볼트는 도어틀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부분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를 열 때에는 핸들을 돌림으로써 래치볼트를 락모듈 내부로 인입시켜 열게 되고, 도어를 닫을 때에는 래치볼트의 경사면이 도어틀에 닿으면서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되어 특별한 핸들 동작없이도 닫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데드볼트를 동작시키는 방식에 따라 기계식 도어 잠금장치 및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도어 잠금장치는 잠금걸쇠와 잠금걸쇠를 제어하기 위한 걸쇠구동부재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잠금기능만 있을 뿐이다.
기계식 도어 잠금장치 또는 보조 도어 잠금장치에서는 실내의 내측 조작부에 데드볼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잠금레버를 구비하여 잠금레버의 조작을 통해 데드볼트를 잠그거나 해제하게 된다.
또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또는 전동식 보조 도어 잠금장치에서는 데드볼트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의 전동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잠금레버와 함께 병행하여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는 외부의 침입을 방지효과가 있으나, 불순한 의도에 의한 강제적 도어의 파손 또는 잠금장치의 파손에 대한 방범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의의 방문자를 가장한 침입자의 판별이 어려움에 따라 도어에 별도의 방범창 또는 카메라 등의 보조 확인장치를 구비하여 선의의 방문자를 판별하고 도어의 개방을 이루나, 이는 방문자의 외모에 의한 판별로서 도어의 개방시 방문자가 침입자로 돌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 잠금고리를 도어에 더 구비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보조 잠금고리는 잠금고리가 도어에 고정되고, 도어틀에 잠금고리와 상호 결합을 이루어 잠금고리를 고정하는 스톱고리가 구성되어 도어의 개방시 잠금고리가 스톱고리에 결합을 이루어 가이드 되어 소정의 공간만큼 도어의 개방을 이루게 구성되어 방문자의 정확한 판별 및 침입자의 위협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보조 잠금고리를 사용자가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항시 보조 잠금고리를 조작하여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보조 잠금고리 해제시 사용자가 별도로 잠금장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잠금장치에 방범고리를 더 구비하여 이중의 잠금구조를 이루어 외부의 충격에 의한 도어의 파손 또는 잠금장치의 파손시 이를 보안 함과 아울러, 방범고리의 구동을 자동으로 이루 어 사용자가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한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 내부에 고정되고, 데드볼트가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를 이루는 락모듈이 구비된 잠금장치 커버와; 상기 잠금장치 커버에 구비되어 도어 외부에 노출되며, 키입력부가 구비된 외부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조작부와 대응하여 도어 내부에 노출되어 잠금레버가 구비된 내부조작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 및 내부조작부를 상호 연결하여 회전되는 축이 구비된 잠금부와; 상기 축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동되는 방범고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축에 고정되는 제1회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제1 및 제2회전부재가 베벌기어로 구성되어 직각방향으로 상호 회전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내측면에 고정되고, 잠금걸쇠가 구비되며, 도어의 개폐를 이루는 걸쇠구동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커버와; 상기 잠금장치 커버에 구비되어 도어 외부에 노출된 키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키입력부와 대응하여 잠금장치 커버 내측에 노출된 잠금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키입력부 및 잠금레버를 상호 연결하여 회전되는 축이 구비된 잠금부와; 상기 축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동되는 방범고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축에 고정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에 의해 직선으로 구동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의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10)은 도어(13)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잠금장치 본체(12)와, 상기 잠금장치 본체(12)에 결합되는 잠금부(20)와, 상기 잠금장치 본체(20) 내부에 구비되어 잠금부(2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30)와, 상기 회전부(30)에 의해 도어 내측으로 회동되는 방범고리부(40)로 구성된다.
잠금장치 본체(12)는, 도어(13)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데드볼트(15)가 구비되고, 데드볼트(15)에 의한 도어(13)의 개폐를 이루는 락모듈(17)이 구비되어 도어틀(14)의 결합홈(14a)과 상호 대응되어 데드볼트(15)의 잠금 및 해제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락모듈(17) 및 데드볼트(15)의 구성은 보편적인 도어 잠금장치에 구성되는 락모듈(17) 및 데드볼트(15)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잠금부는, 상기 잠금장치 커버(12)에 고정된 락모듈(17)와 상호 결합 고정되 어 데드볼트(15) 및 래치볼트(16)의 잠금 및 해제를 이루기 위해 도어(13) 외부에 노출되게 키입력부(22)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사용자가 고유의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도어(13)의 개폐를 이루는 외부조작부(24)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조작부(24)와 대응하여 도어(13) 내측으로 노출되게 잠금레버(26)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내부에서 잠금장치(10)의 개폐를 이루는 내부조작부(28)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 및 내부조작부(24,28)가 상호 연결하여 구동되는 축(29)이 상기 락모듈(17)와 상호 결합을 이루게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외부조작부(24)와 내부조작부(28) 및 축(29)이 락모듈(17)과 결합을 이루는 구성은 보편적인 도어 잠금장치에 구성되는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는 제1회전부재(32), 제2회전부재(34)로 구성된다.
제1회전부재(32)는, 상기 잠금부(20)의 축(29)에 고정되어 축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베벌기어로 구성된다.
제2회전부재(34)는, 상기 제1회전부재(32)와 상호 접촉을 이루며 직각으로 회전을 이루기 위해 베벌기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재(32)의 일측 또는 제2회전부재(34)의 일측으로 클러치수단(36)이 구비되어 제1회전부재(32) 또는 제2회전부재(34)가 상호 이탈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클러치수단(36)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치의 구성이라 할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 수단(3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부재(34)의 일측에 구비되게 도시되었으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1회전부재(32)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방범고리부(40)는 도어(13) 내부에 고정된 잠금장치 커버(12) 일측에 위치되어 회전부(30)의 제2회전부재(34)에 고정된 힌지축(42)에 의해 도어(13) 내측으로 회동되며, ㄷ자형상을 이룬 고리부(44)로 구성되어 도어틀(14)에 구비된 스톱고리(14b)에 결합을 이루어 도어(13)의 이중잠금장치를 이루게 구성된다.
아울러, 도어(13) 내측에 방범고리부(40)가 안착을 이루는 안착홈(미도시)이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 잠금장치의 제1실시 예에 대한 결합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 내부에 고정수단(미도시)으로 고정된 장금장치 커버(12)에 고정되는 락모듈(17)에 데드볼트(15)가 구비되며, 상기 락모듈(17)과 잠금부(20)의 축(29)이 결합을 이루어 데드볼트(15)의 제어를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축(29)의 양측에 결합을 이루어 고정된 외부조작부(24) 및 내부조작부(28)가 도어(13)의 외측 및 내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락모듈(17)의 어느 일측으로 제1회전부재(32)가 축(29)에 고정되어 축(29)의 구동에 의해 회전을 이루게 구성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32)와 상호 직각을 이룬 제2회전부재(34)가 제 1회전부재(32)와 상호 접촉을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34)의 일측으로 클러치수단(36)이 구비되어 외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회전부재(34)가 상기 제1회전부재(32)와 상호 이탈을 이루게 구성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34)에 고정된 힌지축(42)에 의해 도어(13)의 내측으로 회동을 이루어 도어(13)의 이중잠금을 이루는 방범고리부(40)가 상호 결합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상호 결합을 이룬 도어 잠금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13) 외측으로 노출된 잠금부(20)의 외부조작부(24)에 구비된 키입력부(22)에 고유의 키(미도시)을 삽입하여 잠금장치(1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외부조작부(24)를 조작하여 도어(13)의 개방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잠금장치(10)의 해제시 축(29)에 고정된 제1회전부재(32)가 축(29)에 의해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1회전부재(32)의 회전에 의해 제2회전부재(34)가 긱각 회전을 이루며, 상기 제2회전부재(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회전부재(34)에 결합 고정된 힌지축(42)이 회전을 이루고, 상기 힌지축(42)의 회전에 의해 ㄷ자 형상을 이룬 고리부(44)가 도어(13)측으로 회동을 이루어 도어(13)의 개방을 이루게 된다.
또한, 도어(13)의 잠금시 내부조작부(28)의 잠금레버(26) 또는 외부조작부(24)의 키입력부(22)를 잠금상태로 조작을 이루면 축(29)의 회전에 의해 제1회전부재(32)와 제2회전부재(34)가 상호 회전하여 방범고리부(40)의 고리부(44)가 도어(13) 내측으로 회동되게 되어 도어틀(14)에 구비된 스톱고리부(14b)와 상호 결합을 이루기 위해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13)의 잠금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의 의한 도어(13)의 파손 또는 잠금장치(10)의 파손을 이루어 강제로 도어(13)의 개방을 이루고자 할 시에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범고리부(40)의 고리부(44)가 도어틀(14)의 스톱고리(14b)와 결합을 이루어 도어(13)의 완전개방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13) 내부에서 제2회전부재(34)의 클러치수단(36)를 조작하여 제2회전부재(34)가 제1회전부재(32)와 상호 이탈을 이루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잠금부(20)의 잠금해제와 상관없이 고리부(44)가 도어(13) 내측으로 위치되어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44)에 의한 도어(13)의 완전개방을 방지하는 것으로 방문자의 갑작스런 돌변에 의한 침입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의 잠금장치에 디지탈부가 더 구성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10)의 제 1 실시 예와 구성 및 작용효과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 커버(12)에 더 구비되어 암호의 입력 내지 고유의 전자키(미도시)에 의해 도어(13)의 개폐를 이루기 위한 전자키입력부(52)가 도어(13) 외측으로 노출을 이루게 구비되며, 상기 전자키입력부(52)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되는 모터(54)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54)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회전부(30)의 제1회전부재(30)와 접촉을 이루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56)로 구성된 디지탈부(50)가 더 구성되어 사용자가 고유의 암호 또는 고유의 전자키(미도시)로 전자키입력부(52)를 조작하여 자동으로 도어(13)의 잠금해제 및 방범고리부(42)의 회동을 이루게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동력전달기어(56)는 제1회전부재와 상호 접촉을 이루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베벨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잠금장치는 도어의 내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보조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100)은 도어(13) 내측에 고정수단(미도시)으로 고정되는 잠금장치 본체(112)와, 상기 잠금장치 본체(112)에 구비되는 잠금부(200)와, 상기 잠금장치 본체(112) 내부에 구비되어 잠금부(20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300)와, 상기 회전부(300)에 의해 도어(13) 내측으로 회동되는 방범고리부(400)로 구성된다.
잠금장치 본체(112)는 도어(13)의 내측에 고정되며, 잠금장치 본체(112) 내부에 잠금걸쇠(115)가 구비되며, 상기 잠금걸쇠(115)의 잠금 및 해제를 이루는 걸쇠구동부(117)가 구비되고, 도어틀(14)의 내측면에 구비된 결합부재(14c)의 결합홈(14c')과 상호 대응되게 구성되어 도어(13)의 개폐시 상기 잠금걸쇠(115)가 도어틀(14)의 내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결합부재(14c)의 결합홈(14c')에 삽입고정 및 해제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걸쇠구동부(117)와 잠금걸쇠(115)의 구성은 보편적인 보조 도어 잠금장치에 구성되는 걸쇠구동부(117)와 잠금걸쇠(115)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잠금부(200)는 상기 잠금장치 커버(112)에 고정된 걸쇠구동부(17)와 상호 결합 고정되어 잠금걸쇠(15)의 잠금 및 해제를 이루기 위해 도어(13) 외부에 노출된 키입력부(202)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사용자가 고유의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도어(13)의 개폐를 이루게 구비되고, 키입력부(202)와 대응하여 잠금장치 커버(112) 내측으로 노출되게 잠금레버(206)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내부에서 잠금장치(100)의 개폐를 이루게 구비되며, 상기 키입력부(202) 및 잠금레버(206)를 상호 연결하여 구동되는 축(209)이 상기 걸쇠구동부(117)와 상호 결합을 이루게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키입력부(202)와 잠금레버(206) 및 축(209)이 걸쇠구동부(117)와 결합을 이루는 구성은 보편적인 보조 도어 잠금장치에 구성되는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0)는 제1회전부(302), 연결부재(303), 제2회전부재(304)로 구성된다.
제1회전부재(302)는, 상기 잠금부(200)의 축(209)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된다.
연결부재(303)는, 상기 제1회전부재(302)와 상호 접촉을 이루어 직선구동을 이루기 위해 연결부재(303)의 일측 하부에 제1기어부(303a)가 구비되고, 연결부재(303)의 타측 정면에 제2기어부(303b)가 구비된 래크기어로 구성된다.
제2회전부재(304)는 상기 연결부재(303)의 타측에 구비된 제2기어부(303b)와 상호 접촉을 이루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재(302)의 일측 또는 제2회전부재(304)의 일측으로 클러치수단(306)이 구비되어 제2회전부재(304) 또는 제1회전부재가(302) 상호 이탈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클러치수단(306)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치의 구성이라 할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 수단(30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부재(302)의 일측에 구비되게 도시되었으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2회전부재(304)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방범고리부(400)는 도어 내측에 고정된 잠금장치 커버(112) 상부에 위치되어 회전부(300)의 제2회전부재(304)에 고정된 힌지축(402)에 의해 도어(13) 내측으로 회동되며, ㄷ자형상을 이룬 고리부(404)로 구성되어 도어틀(14)에 구비된 스톱고리(14b)에 결합을 이루어 도어(13)의 이중잠금장치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 잠금장치의 제2실시 예에 대한 결합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 내측에 고정수단(미도시)으로 고정된 장금장치 커버(112)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장치 커버(112)에 결합 되는 잠금걸쇠(115)가 구비되며, 상기 잠금걸쇠(115)을 구동하기 위한 걸쇠구동부(117)가 잠 금부(200)의 축(209)에 결합을 이루어 잠금걸쇠(115)의 제어를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축(209)의 양측에 결합을 이루어 고정된 키입력부(202) 및 잠금레버(206)가 도어(13)의 외측 및 잠금장치 커버(112) 내측에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걸쇠구동부(117)의 어느 일측으로 제1회전부재(302)가 축(209)에 고정되어 축(209)의 구동에 의해 회전을 이루게 구성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302) 상부에 위치되어 상호 접촉을 이룬 연결부재(303)의 제1기어부(303a)에 의해 연결부재(303)가 직선구동을 이루게되며, 상기 연결부재(303)의 타측에 구비된 제2기어부(303b)와 상호 접촉을 이룬 제2회전부재(304)가 연결부재(303)에 의해 회전을 이루게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302)의 일측으로 클러치수단(306)이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302)가 상기 제2회전부재(304)와 상호 이탈을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34)에 고정된 힌지축(402)에 의해 도어(13)의 내측으로 회동을 이루어 도어(13)의 이중잠금을 이루는 방범고리부(400)가 상호 결합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결합을 이룬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의 작용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의 작용효과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축(209)에 고정된 제1회전부재(302)가 축(209)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 연결부재(303)가 직선운동을 이루고, 연결부재(303)의 직선운동에 의해 연결부재(303) 타측에 접촉을 이룬 제2회전부재(304)가 회전을 이루어 잠금장치 커버(112) 상부에 구비된 방범고리부(400)가 회동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잠금장치에 디지탈부가 더 구성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100)의 제 2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효과는 동일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디지탈부(50)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10)의 제 1 실시 예의 다른 실시 예의 디지탈부(50)의 구성 및 작용효과가 동일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잠금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 잠금부(200)의 축(209)에 고정되어 회전을 이루는 회전부(300)에 동력전달부재(305)가 더 포함되게 구성되어 동력전달기어(56)와 상호 접촉을 이루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잠금장치(100)의 구동을 자동으로 이루게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동력전달부재(305)는 축(209)에 고정되어 디지탈부(50)의 동력전달기어(56)와 상호 접촉을 이루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베벨기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잠금장치에 구성된 회전부 및 방범고리부는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서로 혼용 또는 변경하여 사용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물론 변경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고리부는 ㄷ자 형상의 고리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한 예를 기술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방 범고리부의 형상 및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물론 변경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 잠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방범고리를 더 구성하여 자동으로 도어가 이중 잠김에 따라 도어의 파손 및 잠금장치의 파손에 의한 외부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범고리를 구동함에 있어 단순한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이 디지탈부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자동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도어(13) 내부에 고정되고, 데드볼트(15)가 구비되어 도어(13)의 개폐를 이루는 락모듈(17)이 구비된 잠금장치 커버(12)와;
    상기 잠금장치 커버(12)에 구비되어 도어(13) 외부에 노출되며, 키입력부(22)가 구비된 외부조작부(24)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조작부(24)와 대응하여 도어(13) 내부에 노출되어 잠금레버(26)가 구비된 내부조작부(28)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 및 내부조작부(24,28)를 상호 연결하여 회전되는 축(29)이 구비된 잠금부(20)와;
    상기 축(29)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부(30); 및
    상기 회전부(30)에 의해 회동되는 방범고리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는 축(29)에 고정되는 제1회전부재(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32)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부재(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는 제1 및 제2회전부재(32,34)가 베벌기어로 구성되어 직각방향으로 상호 회전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4. 도어(13) 내측면에 고정되고, 잠금걸쇠(115)가 구비되며, 도어(13)의 개폐를 이루는 걸쇠구동부(117)가 구비된 잠금장치 커버(112)와;
    상기 잠금장치 커버(112)에 구비되어 도어(13) 외부에 노출된 키입력부(202)가 구비되고, 상기 키입력부(202)와 대응하여 잠금장치 커버(112) 내측에 노출된 잠금레버(206)가 구비되며, 상기 키입력부(202) 및 잠금레버(206)를 상호 연결하여 회전되는 축(209)이 구비된 잠금부(200)와;
    상기 축(209)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부(300); 및
    상기 회전부(300)에 의해 회동되는 방범고리부(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0)는 축(209)에 고정되는 제1회전부재(302)와; 상기 제1회전부재(302)에 의해 직선으로 구동되는 연결부재(303)와; 상기 연결부재(303)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부재(30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0)는 제1 및 제2회전부재(302,304)가 피니언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부재(302,304)에 상호 접촉하여 직선구동을 이루며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305)가 래크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0)는 축(209)에 고정되어 동력의 전달을 이루는 동력전달부재(30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300)는 제1회전부재(32,302) 또는 제2회전부재(34,304)중 어느 하나에 클러치수단(36,30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고리부(40,400)는 도어(13)에 고정된 잠금장치 커버(12,112) 일측 또는 상부에 위치되어 회전부(30,303)에 의해 도어(13) 내측으로 회동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 커버(12,112)에 더 구비되고, 암호의 입력 내지 고유의 전자키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이루기 위한 전자키입력부(52)가 구비되며, 상기 전자키입력부(52)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되는 모터(54)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54)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회전부(30,300)에 접촉을 이루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56)로 구성된 디지탈부(50);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KR1020070065979A 2007-07-02 2007-07-02 방범 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KR20090002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979A KR20090002550A (ko) 2007-07-02 2007-07-02 방범 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979A KR20090002550A (ko) 2007-07-02 2007-07-02 방범 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50A true KR20090002550A (ko) 2009-01-09

Family

ID=4048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979A KR20090002550A (ko) 2007-07-02 2007-07-02 방범 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5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510B1 (ko) *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1629730B1 (ko) * 2015-12-29 2016-06-14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510B1 (ko) *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1629730B1 (ko) * 2015-12-29 2016-06-14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09516A (ja) 二重ロック機構を有する金庫
KR20090002550A (ko) 방범 고리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KR20180106707A (ko) 디지털 도어락
KR100516150B1 (ko) 도어락장치의 레버 어셈블리
KR100786338B1 (ko) 전자도어락의 백셋
KR10187647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자 도어락 장치
KR100720192B1 (ko) 도어 로크장치
KR102203195B1 (ko) 실내 해정식 디지털 도어락
US20130340492A1 (en) Locking Device And Leaves Outfitted Therewith And Leaf Installation
KR102053952B1 (ko) 도어 파손에 의한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락 장치
US20140117680A1 (en) Sliding glass door safety latch
TWM534768U (zh) 允許電子與機械方式解鎖的門禁裝置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KR20110065861A (ko) 디지털 도어락용 클러치 장치
KR200392359Y1 (ko) 키실린더의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0436497B1 (ko)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KR102580801B1 (ko) 디지털 도어락
TWM472095U (zh) 複合式連動鎖裝置
KR100263981B1 (ko) 도어 잠금 장치
KR100826475B1 (ko) 도어잠금장치
KR200398176Y1 (ko) 불법 해체방지기능을 갖는 출입문용 문틀 차단구조
KR102380471B1 (ko)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KR200208031Y1 (ko) 도어 잠금장치
KR102584674B1 (ko)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KR200363944Y1 (ko)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