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068Y1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068Y1
KR200247068Y1 KR2020010019426U KR20010019426U KR200247068Y1 KR 200247068 Y1 KR200247068 Y1 KR 200247068Y1 KR 2020010019426 U KR2020010019426 U KR 2020010019426U KR 20010019426 U KR20010019426 U KR 20010019426U KR 200247068 Y1 KR200247068 Y1 KR 200247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door
fastener
rotated
inter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2020010019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068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체결구(13)에 대응 일단에 모따기면(17)이 형성되고 타단에 버팀홈(18)이 형성되며 상기 버팀홈(18) 근접 위치에 제1결합핀(20)이 형성된 잠금부(16)와, 상기 잠금부(16) 후방 저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에 한쌍의 착탈돌부(23)가 형성되며 하단에 긴 길이의 제 1장홈(24)이 형성되어 커버(14)에 형성된 제2결합핀(25)이 상기 제1장홈(24) 내에 위치되는 회동부(22)로 이루어진 록커(15)와; 자유단측 단부에 상기 록커(15)의 제1결합핀(20)이 위치되도록 긴 길이의 제2장홈(29)이 형성되는 회동레버(30)와, 상기 회동레버(30)의 고정단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된 워엄휘일(32)로 이루어진 연동부재(28)와; 상기 연동부재(28)의 워엄휘일(32)에 치합되는 워엄기어(33)와; 상기 워엄기어(33)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정역모터(34)와; 상기 정역모터(34)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공지의 제어부(35)로 이루어진 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도시되지 않은 지문인식부에 지문이 입력되거나 리모콘을 눌러서 제어부(35)에 정보가 공급되면 제어부(35)에 의해 정역모터(34)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워엄기어(33), 워엄휘일(32)이 구동되어 연동부재(28)의 회동레버(30)가 회동되며, 연동부재(28)의 회동시 록커(15)가 제2결합핀(25)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잠금부(16)를 체결구(13)에 착탈시키게 되므로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조작되고, 이 때 문틀(12) 및 도어(11)의 처짐시 발생되는 체결구(13)와 잠금부(16)의 위치차는,제1장홈(24), 및 잠금부(16) 단부의 모따기면(17)에 의해 보완되므로, 도어(11)를 장기간 사용하여서 록커(15)의 잠금부(16)와 체결구(13)의 위치가 어긋난다하더라도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원활히 작동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rock device}
본 고안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또는 문틀의 처짐이 발생되어도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침입자들의 다양한 곁쇠질 기법을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도어 잠금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그 중 한 가지가 유무선에 의한 도어 자동 잠금장치이다.
도1은 이러한 종래 도어 자동 잠금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정면도로써, 이는 커버(1) 외측에 노브(3)가 구비되어 있고, 커버 내측에는 노브(3)의 회전시 문틀의 체결구에 착탈되도록 록커(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록커(2)에는 전동기어(4)가 연결되어 있다.
전동기어(4)에는 워엄휘일(S)이 치합되어 있으며, 이 워엄휘일(5)에는 워엄기어(6)가 치합되어 있고, 워엄기어(6)에는 정역모터(7)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도어 자동 잠금장치는 리모콘, 지문인식부 등을 눌러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작동시키면 이 제어부에 의해 정역모터(7)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워엄기어(6), 워엄휘일(5), 및 전동기어(4)가 회전되어 록커(2)를 착탈구에 착탈시키게 된다.
그런데 도어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도어 또는 문틀의 처짐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록커(2)가 체결구에 제대로 삽입되지 못하게 되며, 결국 고가의 자동 잠금 장치를 설치하고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및 문틀의 처짐이 발생되어도 이를 적절히 보완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도어 잠금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시 이송되어 문틀의 체결구에 착탈되는 록커가 구비되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 대응 일단에 모따기면이 형성되고 타단에 버팀홈이 형성되며 상기 버팀홈 근접 위치에 제1결합핀이 형성된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 후방 저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에 한쌍의 착탈돌부가 형성되며 하단에 긴 길이의 제1장홈이 형성되어 커버에 형성된 제2결합핀이 상기 제1장홈 내에 위치되는 회동부로 이루어진 록커와; 자유단측 단부에 상기 록커의 제1결합핀이 위치되도록 긴 길이의 제2장홈이 형성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회동레버의 고정단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된 워엄휘일로 이루어진 연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의 워엄휘일에 치합되는 워엄기어와; 상기 워엄기어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공지의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도어 잠금장치의 다른 특징은, 모따기면이 상기 잠금부 일단의 양측 및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본 고안 도어 잠금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록커의 회동시 커버 일측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록커가 커버 외측으로 일정 길이 이상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잠금부 상면에 형성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록커의 회동시 회동부의 일측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록커가 커버 내측으로 일정 길이 이상 인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상기 커버 내측에 구비되는 제2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지문인식부에 지문이 입력되거나 리모콘을 눌러서 제어부에 정보가 공급되면 제어부에 의해 정역모터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워엄기어, 워엄휘일이 구동되어 연동부재의 회동레버가 회동되며, 연동부재의 회동시 록커가 제2결합핀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잠금부를 체결구에 착탈시키게 되므로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조작되고, 이 때 문틀 및 도어의 처짐시 발생되는 체결구와 잠금부의 위치차는, 제1장홈, 및 잠금부 단부의 모따기면에 의해 보완되므로, 도어를 장기간 사용하여서 록커의 잠금부와 체결구의 위치가 어긋난다하더라도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원활히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도어 잠금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정면도
도2는 본 고안 도어 잠금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도3은 도어가 잠긴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4는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도어 12 ; 문틀
13 ; 체결구 15 ; 록커
16 ; 잠금부 17 ; 모따기면
20 ; 제1결합핀 21 ; 제1스토퍼
24 ; 제1장홈 28 ; 연동부재
29 ; 제2장홈 32 ; 워엄휘일
33 ; 워엄기어 34 ; 정역모터
35 ; 제어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2는 본 고안 도어 잠금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3은 잠긴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이며, 도4는 닫힌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로써, 이는 록커(15)와, 연동부재(28), 정역모터(34), 제어부(35)로 대분된다.
록커(15)는, 문틀(12) 일측에 설치된 체결구(13)에 착탈되며, 잠금부(16)와 회동부(22)로 이루어진다. 잠금부(16)는 체결구(13)에 대향되는 일단에 모따기면(17)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버팀홈(18)이 형성되어 있으며, 버팀홈(18) 일측에는 잠금부(16)와 일체로 연장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19)에는 후술할 연동부재의 제2장홈(29)이 위치되도록 제1결합핀(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모따기면(17)은 잠금부(16) 일단의 양측 및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잠금부(16) 일단의 사방 모서리에 모두 형성되어 있어 잠금부(16) 또는 체결구(13)가 상하 방향, 전후방향으로 처지거나 뒤틀려서 체결구(13)와 잠금부(16) 사이에 편차가 발생되어도 모따기면에 의해 잠금부(16)가 체결구(13)로 안내된다.
그리고 비팀홈(18)은 외부 침입자가 잠금부(16)의 단부를 눌러서 잠금장치를 해제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바, 잠금부(16)가 체결구(13)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후술할 회동레버(30)의 단부가 버팀홈(18)에 지지되기 때문에, 이들이 이루는 각도상 잠금부(16)의 단부를 눌러도 잠금부(16)가 커버(14) 내측으로 이송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버팀홈(18)은 침입자가 잠금부(16)의 단부를 눌러서 잠금장치를 해제하려는 노력을 포기하도록 한다.
잠금부(16) 상단에는 제1스토퍼(21)가 구비되어 있어, 잠금부(16)가 커버(14) 외측으로 회동될시 커버(14) 일측에 지지되면서 잠금부(16)가 체결구(13)에 적정깊이 만큼만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부(16) 후방 저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는 이와 일체로 회동부(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동부(22) 일측에 한쌍의 착탈돌부(23)가 형성되고, 회동부(22) 하단에는 긴 길이의 제1장홈(24)이 형성되어 있어 커버(14)에 형성된 제2결합핀(25)이 이 제1장홈(24) 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착탈돌부(23) 일측의 커버(14)에는 외부의 침입자가 록킹된 상태의 잠금장치를 해제하지 못하도록 보조록커(26)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부(22) 일측의 커버(14)에는 제2스토퍼(27)가 구비되어 있어, 잠금부(16)가 커버(14) 내측으로 회동될시 이에 지지되면서 잠금부(16)가 커버(14) 내측으로 적정깊이 만큼만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연동부재(28)는 회동레버(30)와 워엄휘일(32)로 이루어지는데, 회동레버(30)는 자유단측 단부에 록커(15)의 제1결합핀(20)이 위치되도록 긴 길이의 제2장홈(29)이 형성되며, 고정단측 단부에는 힌지핀(31)이 결합되어 있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레버(30)의 고정단부측에는 이와 일체로 워엄휘일(32)이 구비된다.
이 연동부재(28)의 워엄휘일(32)에는 워엄기어(33)가 치합되어 있으며, 워엄기어(33)에는 이를 회전시키도록 정역모터(34)가 연결된다. 그리고 정역모터(34)에는 이를 제어하도록 공지의 제어부(35)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도어 잠금장치는, 유,무선 리모콘을 조작하거나 지문 인식부 지문을 입력하여서 제어부(35)에 데이터를 입력시키면 제어부(35)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정역모터(34)가 구동되어 워엄기어(33)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위엄기어(33)가 회전되면 이에 치합된 워엄휘일(32)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연동부재(28)의 회동레버(30)가 힌지핀(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록커(15)의 잠금부(16)를 문틀(12)의 체결구(13) 측으로 밀게 된다.
즉, 연동부재(28)와 록커(15)는 제2장홈(29) 및 제1결합핀(20)에 의해 서로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동부재(28)가 회전되면 록커(15)가 제2결합핀(25)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l결합핀(20)은 제2장홈(29)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제1결합핀(20)의 직경보다 제2장홈(29)의 폭이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연동부재(28)와 록커(15)가 서로 회동되면서 발생되는 간섭, 즉 회전반경 차이를 보완하게 된다.
한편 도어(11)나 문틀(12)은 장기간 사용할시 서서히 처짐이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록커(15)의 잠금부(16)가 문틀(12)의 체결구(13)에 제대로 착탈되지 않게 되는데, 이때 잠금부(16) 단부의 모따기면(17)과, 제1장홈(24) 및 제2결합핀(25)이 이들의 편차를 보완하게 된다.
즉 제1장홈(24)의 폭을 모따기면(17)의 수직 높이와 같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시키고, 문틀(12)이나 도어(11)의 처짐이 모따기면(17)의 수직높이보다 작은 범위내에서 발생되면 그 처짐이 적절히 보완된다.
이러한 경우 록커(15)의 작동은 다음과 같은바, 연동부재(28)가 회동되면 록커(15)가 제2결합핀(25)을 중심으로 연동되고, 록커(15)의 잠금부(16)가 체결구(13) 내로 삽입된다. 이때 문틀(12) 또는 도어(11)의 처짐에 의해 잠금부(16)의 모따기면(17) 중 어느 한 두 모따기면(17)이 편심된 측의 체결구(13) 모서리에 접촉되고, 연동부재(28)가 계속 회동되면서 록커(15)의 잠금부(16)를 체결구(13)측으로 계속 밀게 되면 모따기면(17)에 의해 잠금부(16) 단부가 체결구(13) 중앙측으로 유도되며, 제1장홈(24)은 제2결합핀(25)에 결합된 상태에서편심된 거리만큼 유동되면서 록커(15)의 잠금부(16)가 체결구(13)에 정확히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도어 잠금장치는 제2장홈(29)에 의해 연동부재(28)와 록커(15)가 회동되면서 발생되는 간섭이 보완되므로 이들의 회동이 제한받지 않게 되며, 록커(15)의 모따기면(17)과 제1장홈(24)에 의해서 문틀(12)이나 도어(11)에 발생된 처짐이 보완되어서 록커(15)의 잠금부(16)가 체결구(13)에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상술한 구동에 의해 록커(15)의 잠금부(16)가 체결구(13)에 어느 정도 삽입되면 제l스토퍼(21)가 커버(14)의 대응 일측에 지지되면서 그 삽입을 제한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는 회동레버(30)의 자유단이 잠금부(16)의 버팀홈(18)에 안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 침입자가 록커(15)의 단부를 밀어도 록커(15)가 회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3과 같이 도어 잠금장치가 록킹된 상태에서 보조록커(26)를 이송시켜서 이를 착탈돌부(23)에 체결시키면 외부에서 록커(15)의 회동이 확실하게 차단된다.
한편 제어부(35)에 의해 정역모터(34)가 역회전하면 록커(15)의 잠금부(16)가 체결구(13)로부터 이탈되면서 커버(14) 내측으로 삽입되어 잠금장치가 해제되며, 잠금부(16)가 체결구(13)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커버(14) 내측으로 인입되면 회동부(22)의 일측이 제2스토퍼(27)에 지지되면서 그 회동이 정지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 도어 잠금장치는 장기간 사용시 문틀(12), 도어(11)에 발생되는 처짐 및 비틀림에도 불구하고 잠금장치의 록킹 및 해제가 자동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에 의하면, 도시되지 않은 지문인식부에 지문이 입력되거나 리모콘을 눌러서 제어부(35)에 정보가 공급되면 제어부(35)에 의해 정역모터(34)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워엄기어(33), 워엄휘일(32)이 구동되어 연동부재(28)의 회동레버(30)가 회동되며, 연동부재(28)의 회동시 록커(15)가 제2결합핀(25)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잠금부(16)를 체결구(13)에 착탈시키게 되므로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조작되고, 이 때 문틀(12) 및 도어(11)의 처짐시 발생되는 체결구(13)와 잠금부(16)의 위치차는, 제1장홈(24), 및 잠금부(16) 단부의 모따기면(17)에 의해 보완되므로. 도어(11)를 장기간 사용하여서 록커(15)의 잠금부(16)와 체결구(13)의 위치가 어긋난다하더라도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원활히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시 이송되어 문틀의 체결구에 착탈되는 록커가 구비되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3)에 대응 일단에 모따기면(17)이 형성되고 타단에 버팀홈(18)이 형성되며 상기 버팀홈(18) 근접 위치에 제1결합핀(20)이 형성된 잠금부(16)와, 상기 잠금부(16) 후방 저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에 한쌍의 착탈돌부(23)가 형성되며 하단에 긴 길이의 제1장홈(24)이 형성되어 커버(14)에 형성된 제2결합핀(25)이 상기 제1장홈(24) 내에 위치되는 회동부(22)로 이루어진 록커(15)와;
    자유단측 단부에 상기 록커(15)의 제1결합핀(20)이 위치되도록 긴 길이의 제2장홈(29)이 형성되는 회동레버(30)와, 상기 회동레버(30)의 고정단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된 워엄휘일(32)로 이루어진 연동부재(28)와;
    상기 연동부재(28)의 워엄휘일(32)에 치합되는 워엄기어(33)와;
    상기 워엄기어(33)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정역모터(34)와;
    상기 정역모터(34)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공지의 제어부(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면(17)이 상기 잠금부(16) 일단의 양측 및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15)의 회동시 커버(14) 일측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록커(15)가 커버(14) 외측으로 일정 길이 이상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잠금부(16) 상면에 형성되는 제1스토퍼(21)와,
    상기 록커(15)의 회동시 회동부(22)의 일측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록커(15)가 커버(14) 내측으로 일정 길이 이상 인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커버(14) 내측에 구비되는 제2스토퍼(2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2020010019426U 2001-06-27 2001-06-27 도어 잠금장치 KR200247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426U KR200247068Y1 (ko) 2001-06-27 2001-06-27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426U KR200247068Y1 (ko) 2001-06-27 2001-06-27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068Y1 true KR200247068Y1 (ko) 2001-10-17

Family

ID=7310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426U KR200247068Y1 (ko) 2001-06-27 2001-06-27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0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08B1 (ko) * 2002-02-01 2005-01-13 전병호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08B1 (ko) * 2002-02-01 2005-01-13 전병호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0769A (en) Computer front cover mounting arrangement
US5959834A (en) Diskdrive sliding case system with lock and power switch
KR101871838B1 (ko) 디지털 도어락
WO2004076789A1 (en) Lockable pet door
JPH11336410A (ja) 自動ドアのこじ開け防止装置
US20020157317A1 (en) Automatic door assembly including a braking mechanism.
KR200247068Y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90009954U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JP2001220935A (ja) 建 具
KR100436497B1 (ko)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KR100427402B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448080B1 (ko)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CN108278045A (zh) 一种后置离合驱动锁结构及指纹锁
KR940007712B1 (ko) 전자식 금고용 괘해정 장치
JPS6140860Y2 (ko)
KR102197823B1 (ko)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시스템
KR200276151Y1 (ko)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JPH0233571Y2 (ko)
JP3017474U (ja) 錠装置
KR100469556B1 (ko) 도어 잠금장치
KR950002384Y1 (ko) 개폐문 로크(lock)
KR200353555Y1 (ko) 전자식 도어록장치에 구비된 실내도어 개방수단
JP3409979B2 (ja) サッシ
KR200175232Y1 (ko)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
JP2539192Y2 (ja) 引戸の外れ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