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470B1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470B1
KR101633470B1 KR1020150120147A KR20150120147A KR101633470B1 KR 101633470 B1 KR101633470 B1 KR 101633470B1 KR 1020150120147 A KR1020150120147 A KR 1020150120147A KR 20150120147 A KR20150120147 A KR 20150120147A KR 101633470 B1 KR101633470 B1 KR 10163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locking
hous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694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5012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470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는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여, 부품수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는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91658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래치와 래치를 로킹하는 링크가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 래치 시스템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수많은 링크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품수가 많아서 제조단가가 증가되고,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품수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 도어 래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도어의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레버연결부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레버연결부가 당김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래치가 배치되고, 제1안전장치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안전장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도어의 레버를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연결부는 도어인레버연결부와, 도어아웃레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제2안전장치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인핸드연결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걸리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안전장치에 걸리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안전장치를 회동시키는 제2안전장치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도어의 레버에 연결되는 레버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래치에는 로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로킹홈에 삽입되는 로킹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레버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며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를 로킹위치까지 회전시키는 래치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가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래치구동부를 통해 상기 래치를 로킹위치까지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구동부에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로킹해제위치까지 복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걸림부가 로킹위치까지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며, 도어의 레버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4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래치구동부가 작동중에 있더라도 상기 제4센서를 통해 상기 레버의 작동이 감지되면 상기 래치를 로킹해제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는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여, 부품수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로킹부재를 바형상으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어서 장치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도어의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레버연결부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레버연결부가 당김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되어, 안전장치 잠김후에 도어아웃레버연결부를 당길때에 와이어가 휘는 것을 방지하고 위치보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로크 및 1,2차로킹해제시 작동구간 도피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래치가 배치되고, 제1안전장치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안전장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도어의 레버를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고정되도록 하여, 차량으로 고속으로 주행시나 필요시에 도어의 레버를 잡아당기더라도 래치의 로킹상태가 유지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연결부는 도어인레버연결부와, 도어아웃레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제2안전장치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인핸드연결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걸리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안전장치에 걸리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도어 바깥쪽 레버를 통해서는 래치의 로킹이 해제되나, 도어 안쪽 레버를 통해서는 래치의 로킹이 해제되지 않게 되어, 유아가 도어 안쪽에서 도어의 레버를 열어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안전장치를 회동시키는 제2안전장치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운전자나 어른이 차량 앞쪽에서 용이하게 제2안전장치를 회전시켜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래치가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래치구동부를 통해 상기 래치를 로킹위치까지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도어를 살짝만 닫아도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래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구동부에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로킹위치까지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센서와, 상기 걸림부가 로킹해제위치까지 복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여, 도어의 자동 닫힘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도어의 레버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4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래치구동부가 작동중에 있더라도 상기 제4센서를 통해 상기 레버의 작동이 감지되면 상기 래치를 로킹해제위치로 복귀시켜서, 도어가 닫히는 중이더라도 옷이나 사람이 도어에 끼었을 때 사용자가 레버를 잡아당기면 래치의 로킹이 해제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도어 래치 시스템의 배면도.
도 5는 도 1의 도어 래치 시스템 제1안전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
도 6은 도 1의 도어 래치 시스템 제2안전장치 사시도.
도 7a는 도 1의 도어 래치 시스템 제2안전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7b는 도 1의 도어 래치 시스템 제2안전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8a는 도 1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열린 상태)
도 8b는 도 1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1차 로킹된 상태)
도 8c는 도 1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2차 로킹된 상태)
도 8d는 도 1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사용자가 레버를 잡아당겨서 슬라이딩부재가 당겨져서 슬라이딩부재가 래치로부터 이탈된 상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도어 래치 시스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12a는 도 9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열린 상태)
도 12b는 도 9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1차 로킹된 상태)
도 12c는 도 9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2차 로킹된 상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도어 래치 시스템 배면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도어 래치 시스템 분리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17a는 도 13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열린 상태)
도 17b는 도 13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1차 로킹된 상태)
도 17c는 도 13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2차 로킹된 상태)
도 17d는 도 13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사용자가 레버를 잡아당겨서 회전부재가 당겨져서 회전부재가 래치로부터 이탈된 상태)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도어 래치 시스템 분리 사시도.
도 20은 도 18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21a는 도 18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열린 상태)
도 21b는 도 18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1차 로킹된 상태)
도 21c는 도 18의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도어가 2차 로킹된 상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200)와,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200)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하우징(10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200)는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00)는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제1하우징(110)과, 제1하우징(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120)과, 제1,2하우징(110, 120)의 측부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13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상부 및 전방에는 도어(미도시)에 연결된 고리(10)가 삽입되는 고리삽입홈(101)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110)은 블럭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이하 서술되는 래치(200)가 안착되는 래치안착홈(111)과, 이하 서술되는 상기 로킹부재가 안착되는 로킹부재안착홈(112)이 형성된다.
래치안착홈(111)의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고리삽입홈(101)과 연통된다.
로킹부재안착홈(112)은 래치안착홈(111)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로킹부재안착홈(112)은 래치안착홈(111)보다 깊게 형성된다.
롤킹부재안착홈(112)은 슬라이딩부재(300)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재(300)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제1하우징(110)에는 로킹부재안착홈(112)에 연통되도록 가이드홈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제1하우징(110)에는 스프링관통공(113)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스프링관통공(113)은 래치안착홈(111)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래치안착홈(111)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하우징(110) 내벽 하부에는 래치안착홈(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범퍼부재(140)가 설치된다.
이러한 범퍼부재(140)는 래치(200)가 상기 로킹부재에 의해 로킹상태에 있을 때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시켜준다.
제2하우징(12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하우징(110) 전면에 볼트 등을 통해 설치된다.
제3하우징(130)은 판형상의 제1부재(130a)와, 제1부재(130a)의 측부 상부에 배치되는 제2부재(130b)와, 제1부재(130a)의 측부 하부에 배치되는 제3부재(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130b)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부재(130c)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2,3부재(130a,b,c)는 볼트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제3하우징(130)의 전방에는 이하 서술되는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가 관통하는 제1슬릿(13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슬릿(131)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3하우징(130)의 후방에는 이하 서술되는 도어인레버연결부(520)가 관통하는 레버연결부관통부(132)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슬릿(131) 및 레버연결부관통부(132)는 로킹부재안착홈(112)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3하우징(130) 후방에는 레버연결부관통부(132)에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안전장치설치공이 형성된다.
래치(200)는 래치안착홈(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110)에 설치된다.
래치(200)는 제1하우징(110)에 설치되는 래치회동축(230)을 통해 제1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2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래치(200) 외주면에는 제1,2로킹홈(210, 220)이 연속되게 형성된다.
제1로킹홈(210)은 평편하게 형성되는 제1면(210a)과, 제1면(210a)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면(210b)과, 제2면(210b)의 상부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면(210c)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면(210a)과 제2면(210b)은 로킹돌기(3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3면(210c)은 로킹돌기(320)의 상부(321)보다 더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2면(210b)에 대한 경사각이 크다.
제2로킹홈(220)은 제3면(210c)의 상부에 평편하게 형성되는 제4면(220a)과, 고리(10)를 둘러싸도록 굴곡지게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제5면(220b)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6면(220c)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6면(220c)은 제2로킹홈(220)이 래치(200)의 외측을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로킹홈(220)은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래치(200)에는 스프링끼움공(240)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래치(200)의 로킹시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제2로킹홈(220), 제1로킹홈(210), 스프링끼움공(24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로킹해제시 래치(200)가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제1복귀스프링(250)이 구비된다.
제1복귀스프링(250)은 래치회동축(230)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제1복귀스프링(250)의 일단은 제1하우징(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스프링끼움공(240)에 끼워진다.
제1복귀스프링(250)의 타단은 스프링관통공(113)을 통해 래치(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는 제1하우징(110)에 설치되어 래치(200)를 로킹시킨다.
상기 로킹부재는 제1하우징(11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300)이다.
슬라이딩부재(300)에는 도어의 레버(미도시)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부재(300)를 슬라이딩시키는 레버연결부(500)가 연결된다.
레버연결부(500)는 와이어로 구비된다.
레버연결부(500)는 도어의 바깥쪽 레버에 연결되는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와, 도어의 안쪽 레버에 연결되는 도어인레버연결부(520)를 포함한다.
도어인레버연결부(520)와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는 끝단에 슬라이딩부재(300)에 걸리는 제1걸림부(501)가 형성된다. 제1걸림부(501)는 볼로 형성되되 와이어 성형시 일체로 성형된다.
도어인레버연결부(520)에는 제1걸림부(501)와 레버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걸림부(502)가 형성된다.
슬라이딩부재(300)는 바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며, 전방과 후방에 제1걸림부(501)가 안착되는 걸림부안착홈(310)이 전방과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안착홈(31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이하 서술되는 제1걸림부(501)가 당김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유동공간이 형성된다.
걸림부안착홈(310)의 우측단에는 레버연결부(500)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안착홈(310)은 제1슬릿(131)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레버연결부(500)를 당길때 당김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300)의 좌측단 상부에는 제1로킹홈(210) 또는 제2로킹홈(220)에 삽입되는 로킹돌기(32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로킹돌기(320)의 하부는 수평하게 형성되며,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로킹돌기(320)의 상부(321)는 로킹돌기(320)의 끝단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부재(300) 후방에는 슬라이딩부재(300)의 좌측단 하부와 로킹둘기(32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리브(301)가 형성되어, 로킹돌기(32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나아가, 슬라이딩부재(300) 우측단 상부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부재(300)의 후면에는 좌우방향으로 가이드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부재(300)의 슬라이딩은 가이드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300)를 복귀시키는 제2복귀스프링(330)은 레버연결부(500)를 통해 슬라이딩부재(300)에 힘을 가하지 않을 때 슬라이딩부재(300)가 래치(200)에 밀착되도록 슬라이딩부재(300)에 탄성력을 가한다.
제2복귀스프링(33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제2복귀스프링(330)은 레버연결부(5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복귀스프링(330)의 우측단은, 제3하우징(130)의 제1부재(130a)에 설치되어 로킹부재안착홈(112)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고정돌기(331)에 끼워지고, 좌측단은 슬라이딩부재(300)의 스프링안착홈에 안착된다.
나아가, 슬라이딩부재(300)의 좌측(일측)에는 래치(200)가 배치되고, 슬라이딩부재(300)의 우측(타측)에는 제1안전장치(600)가 제1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안전장치(600)는 로킹부재안착홈(112) 내부에 배치된다.
제1안전장치(600)는 하부가 회동축(620)에 의해 제1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축(620)은 레버연결부(5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안전장치(600)는 회동축(620)의 상부 중간 부분에 지지돌출부(610)가 형성되어 'ㄴ'자 또는 'ㅗ'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도어인레버연결부(520)와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 사이에 배치된다.
회동축(620)은 제1하우징(110) 후면에 설치되는 제1안전장치구동부(630)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감지되거나, 운전자 또는 어른이 리모콘이나 버튼을 눌러서 제1안전장치구동부(63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안전장치구동부(630)가 작동될 경우, 제1안전장치(6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딩부재(300)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안전장치(600)는 슬라이딩부재(30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의 레버를 잡아당기더라도 슬라이딩부재(300)는 슬라이딩되지 않고 고정되게 되어, 도어의 로킹상태가 유지된다.
차량의 속도 센서나 리모콘이나 버튼 등에 의해 제1안전장치(600)를 해제시키면, 제1안전장치구동부(630)는 제1안전장치(6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1안전장치(600)는 슬라이딩부재(300)의 슬라이딩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300)는 슬라이딩가능하게 된다.
제3하우징(130)에는 제2안전장치(400)가 안전장치설치공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제2안전장치(400)는 제3하우징(130)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제2안전장치(400)는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제1원통부재(410)와, 제1원통부재(410)의 내부에 끼워지는 제2원통부재(420)를 포함한다.
제1원통부재(410)의 외주면에는 제2걸림부(502)가 걸리는 걸림편(415)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편(415)에는 도어인레버연결부(520)가 관통되는 제2슬릿(416)이 전방이 개방되도록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원통부재(410)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절개홈(411)과, 제1절개홈(411)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절개홈(413)과, 제1절개홈(411)과 제2절개홈(413)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홈(412)과, 연결홈(412)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홈(414)이 형성된다.
제2원통부재(420)의 외주면에는 걸림봉(422)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봉(422)이 제1절개홈(411) 또는 제2절개홈(413)에 삽입되어, 제2원통부재(420)를 회전시키면 제1원통부재(410)도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걸림편(415)도 회전되게 된다.
제2원통부재(420)의 하부에는 스프링(424)이 배치되어, 제2원통부재(420)가 상부로 탄성력을 받는다.
제2원통부재(420) 상부에는 공구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구홈(421)이 형성된다.
제2안전장치(400) 작동시 공구를 공구홈(421)에 삽입하여 제2원통부재(420)를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제2원통부재(420) 및 제1원통부재(410) 및 걸림편(415)이 회전된다. 회전시 걸림편(415)은 제3하우징(130)의 제1부재(130a)에 걸려서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도어인레버연결부(520)가 제2슬릿(416)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도어의 안쪽에 있는 레버를 잡아당기더라도 제2걸림부(502)가 걸림편(415)에 걸려서 레버의 당기는 힘이 슬라이딩부재(300)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300)는 슬라이딩되지 않게 되어, 도어는 열리지 않게 된다. 단, 제2안전장치(400)가 작동하더라도 사용자가 도어의 바깥쪽 레버를 잡아당기면 도어는 열리게 된다.
나아가, 제2안전장치(40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안전장치구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안전장치구동부는 모터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안전장치구동부에 연결된 리모콘이나 버튼 등을 통해 상기 제2안전장치구동부가 자동으로 제2안전장치(400)가 온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안전장치구동부를 통해 운전자나 어른이 차량 앞쪽에서 용이하게 제2안전장치(400)를 회전시켜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차체쪽으로 근접시켜서 고리(10)를 제2로킹홈(220)에 삽입하면 래치(200)는 고리(10)에 의해 눌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부재(300)의 로킹돌기(320)는 제1로킹홈(210)에 삽입되어, 제1면(210a)에 걸리게 된다. 이로써 래치(2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게 로킹상태가 되어, 도어가 1차 로킹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도어를 더 차체쪽으로 근접시키면 고리(10)가 래치(200)를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로킹돌기(320)는 제3면(210c)을 타고 슬라이딩되다가 제2로킹홈(220)에 삽입되어 제4면(220a)에 걸리게(치합) 된다. 이로써 도어가 완전하게 닫힌 2차 로킹상태가 된다. 2차 로킹상태에서, 래치(200)의 반대편은 범퍼부재(140)에 의해 지지되어, 래치(200)와 슬라이딩부재(300)의 밀착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로킹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때에 도어의 바깥쪽 또는 안쪽의 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 또는 도어인레버연결부(520)가 잡아당겨진다.
이로 인해 제1걸림부(501)가 슬라이딩부재(300)에 걸리게 되어 슬라이딩부재(300)도 레버연결부(500)와 같이 당겨져서, 슬라이딩부재(300)는 슬라이딩되어 래치(200)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래치(200)의 로킹은 해제가 되고, 래치(200)는 제1복귀스프링(25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복귀된다. 이로 인해, 고리(10)는 래치(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되어, 도어는 열리게 된다.
한편, 래치(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복귀시 래치(200)의 일측이 제1하우징(110)에 걸리게 되어 래치(200)가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래치(200)와 슬라이딩부재(300)만으로 도어의 열고 닫힘을 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링크방식에 비해 부품수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내구성도 향상되며, 장치도 컴팩트해지는 이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래치(200'')를 로킹위치까지 회전시키는 래치구동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래치구동부(240)는 모터 등으로 구비되고, 구동부브라켓(243)에 의해 제1하우징(110'')의 후방에 설치된다.
래치구동부(240)의 축(241)에는 걸림부(24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부(242)는 축(241)으로터 방사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래치구동부(240)의 축(241)에는 감속기어(미도시)가 설치된다.
제1하우징(110'')에는 스프링관통공(113)에 연통되도록 좌측에 걸림부가이드홈(116)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걸림부가이드홈(116)에 걸림부(242)가 삽입되어 걸림부(242)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걸림부가이드홈(116)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래치(200)에는 좌측 외주면에 걸림부(242)에 걸리는 돌기(26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래치(200)가 정해진 각도만큼(1차 로킹상태가 되는 각도)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710)를 더 포함한다.
제1센서(710)는 래치안착홈(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110'') 전면에 설치된다.
제1센서(710)는 래치안착홈(111)의 우측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걸림부(242)가 2차 로킹위치까지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센서(730)가 더 구비된다.
제3센서(730)는 걸림부가이드홈(116)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걸림부(242)가 로킹해제위치까지 복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720)를 포함한다.
제2센서(720)는 걸림부가이드홈(116)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하우징(110'')에는 제2,3센서(720, 730)가 관통하는 제2,3센서관통공이 형성되어, 제2,3센서(720, 730)는 제1하우징(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3센서관통공은 걸림부가이드홈(116)에 연통된다.
나아가, 도어의 레버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4센서(740)를 더 포함한다.
제4센서(740)는 슬라이딩부재(300)를 감지하여 레버의 작동여부를 감지한다.
제1하우징(110'')에는 제4센서(740)가 관통하는 제4센서관통공이 형성되어, 제4센서(740)는 제1하우징(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4센서관통공은 로킹부재안착홈(112)에 연통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2,3,4센서(710, 720, 730, 7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래치구동부(240)를 작동시킨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도어 래치 시스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차체쪽으로 근접시켜서 고리(10)를 제2로킹홈(220)에 삽입하면 래치(200'')는 고리(10)에 의해 눌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부재(300)의 로킹돌기(320)는 제1로킹홈(210)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1차 로킹상태까지 래치(200'')가 회전되면, 즉, 래치(200'')가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면, 래치(200'')가 제1센서(710)를 가리게 된다. 이로 인해, 제1센서(710)는 래치(200'')가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었음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한다.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는 래치구동부(240)를 정방향(시계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이로 인해 걸림부(24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260)는 걸림부(242)에 걸려서 걸림부(242)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로킹돌기(320)는 제2로킹홈(220)에 삽입되어 걸리게(치합) 된다. 이로써 도어가 완전하게 닫힌 2차 로킹상태가 된다.
상기 제어부는 래치(200'')가 2차 로킹위치까지 회전되도록 래치구동부(24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가 완전히 닫힐만큼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살짝만 닫아도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3센서(73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걸림부(242)가 로킹위치까지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걸림부(242)가 로킹위치까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래치구동부(240)를 역회전(반시계방향)시켜서 걸림부(242)를 복귀시킨다.
이로 인해, 래치구동부(240)와 래치(200'')의 연결은 해제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2센서(7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걸림부(242)가 로킹해제위치까지 복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걸림부(242)가 로킹해제위치까지 복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래치구동부(240)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제2,3센서(720, 730)를 통해 래치구동부(240)의 작동이 정밀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킹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때에 도어의 바깥쪽 또는 안쪽의 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 또는 도어인레버연결부(520)가 잡아당겨진다.
이로 인해, 래치(200'')의 로킹은 해제가 되고, 래치(200)는 제1복귀스프링(25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복귀된다. 이로 인해, 고리(10)는 래치(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되어, 도어는 열리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4센서(7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레버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레버가 작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래치구동부(240)가 작동(정방향회전)되어 래치(200'')를 로킹위치로 회전시키는 중에 있더라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걸림부(242)를 로킹해제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로 인해, 래치(200'')의 돌기(260)는 걸림부(242)에 걸리지 않게 되고, 슬라이딩부재(300)도 작동된 레버에 의해 당겨져서 래치(200'')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래치(200'')는 로킹해제위치로 제1복귀스프링(250)에 의해 복귀된다.
따라서, 도어가 래치구동부(24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중이더라도 옷이나 사람이 도어에 끼었을 때 사용자가 레버를 잡아당기면 래치의 로킹이 해제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3실시예>==============================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상기 로킹부재는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340)와 슬라이딩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제1하우징(110')은 전면에 래치안착홈(111')에 연통되도록 제1복귀스프링(250)이 유동될 수 있는 홈형상의 스프링유동부(113')가 형성된다.
스프링유동부(113')는 래치안착홈(111') 내부에 배치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 전면에는 래치안착홈(111')의 우측 상부에 배치되도록 회전부재안착홈(115)이 형성된다. 회전부재안착홈(115)은 래치안착홈(111')에 연통된다.
회전부재안착홈(115) 및 래치안착홈(111')에 연통되도록 로킹부재안착홈(112')이 제1하우징(110') 전면에 형성된다.
로킹부재안착홈(112')은 회전부재안착홈(115)의 후방 및 래치안착홈(111')의 우측에 배치된다.
로킹부재안착홈(112')은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홈들로 인해 상기 로킹부재 및 래치(200')는 로킹위치 및 로킹해제위치에서 제1하우징(110')에 걸려서 과도하게 이동되지 않게 된다.
범퍼부재(140')는 래치안착홈(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110')의 내벽에 설치된다.
회전부재(340)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부재(340)는 회전부재회전축(345)을 통해 제1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340)는 제1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재회전축(345)은 회전부재(340)의 상부에 배치된다.
회전부재(340)는 좌측에 제1로킹홈(210) 또는 제2로킹홈(220)에 삽입되는 로킹돌기(341)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로킹돌기(341)는 상부 및 하부가 원호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래치(200')에서 로킹돌기(341)와 맞닿는 부분은 로킹돌기(34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회전부재(340)는 우측에 회전부재복귀스프링(346)의 타단이 걸리는 스프링걸림돌기(343)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회전부재복귀스프링(346)은 일단이 제1하우징(110')에 연결되고, 회전부재회전축(345)에 끼워져서 제1하우징(110')에 설치된다. 회전부재복귀스프링(346)은 회전부재(340)를 로킹위치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로킹돌기(341) 및 스프링걸림돌기(343)는 회전부재회전축(345)의 하부에 배치된다.
회전부재(340)의 하부는 과도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1하우징(110')에 걸린다.
회전부재(340)의 하부에는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의 제1걸림부(501)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고리부(550)가 결합되는 레버연결부결합부(342)가 형성된다.
레버연결부결합부(342)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으로 형성되며, 우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부재(300')는 좌측에 배치되는 박육부(301)와 우측에 배치되는 후육부(302)를 포함한다.
후육부(302)는 박육부(301)보다 전후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단차지게 된다.
후육부(302) 전면 및 후면에는 걸림부안착홈(310)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걸림부안착홈(310)에 제1걸림부(501)가 삽입되어, 레버연결부(500)는 슬라이딩부재(300')에 연결된다.
전면에 배치되는 걸림부안착홈(3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인출공(311,312)이 각각 형성되어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는 후육부(302)를 관통하게 된다.
후면에 배치되는 걸림부안착홈(310)에는 우측에만 인출공이 형성된다.
박육부(301)의 후면에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어, 제2복귀스프링(330')이 안착된다.
이로 인해 제2복귀스프링(330')의 좌측단은 슬라이딩부재(300')에 걸리고 우측단은 제1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스프링고정돌기(331')에 걸린다.
스프링고정돌기(331')도 상기 스프링안착홈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커버(53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1하우징(110')에는 설치커버(530)가 끼워지는 설치홈(114)이 형성된다. 설치홈(114)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설치커버(530)를 상부에서 밀어넣으면 끼움홈에 제1하우징(110')이 삽입되면서 조립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레버연결부(500)의 와이어에는 원통형상의 설치커버(530)가 끼워진다.
레버연결부(500)의 와이어에는 원통형상의 가이드커버(540)가 끼워져서, 레버연결부(500)의 당김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차체쪽으로 근접시켜서 고리(10)를 제2로킹홈(220)에 삽입하면 래치(200')는 고리(10)에 의해 눌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340)의 로킹돌기(341)는 제1로킹홈(210)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로써 래치(2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게 로킹상태가 되어, 도어가 1차 로킹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도어를 더 차체쪽으로 근접시키면 고리(10)가 래치(200')를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로킹돌기(341)는 제2로킹홈(220)에 삽입되어 걸리게(치합) 된다. 이로써 도어가 완전하게 닫힌 2차 로킹상태가 된다. 2차 로킹상태에서, 래치(200')의 반대편은 범퍼부재(140')에 의해 지지되어, 래치(200')와 회전부재(340)의 밀착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로킹상태에서 회전부재(340)의 하부는 제1하우징(110')에 걸려서 회전부재(340)는 시계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게 되고,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이 허용된다.
이와 같이 로킹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때에 도어의 바깥쪽 또는 안쪽의 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 또는 도어인레버연결부(520)가 잡아당겨진다.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가 잡아당겨지면, 회전부재(3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래치(200')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래치(200')의 로킹은 해제가 되고, 래치(200')는 제1복귀스프링(25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복귀된다. 이로 인해, 고리(10)는 래치(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되어, 도어는 열리게 된다.
또한, 도어인레버연결부(520)가 잡아당겨지면, 제1걸림부(501)가 슬라이딩부재(300')에 걸리게 되어 슬라이딩부재(300')도 도어인레버연결부(520)와 같이 당겨진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부재(300')에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에 의해 연결된 회전부재(340)도 당겨져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래치(200')의 로킹은 해제가 되고, 래치(200')는 제1복귀스프링(25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복귀된다.
=============================<제4실시예>==============================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시스템은, 제3실시예의 로킹부재를 포함하며, 래치(200')를 로킹위치까지 회전시키는 래치구동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래치구동부(240')는 구동부브라켓(243')에 의해 제1하우징(110')의 후방에 설치된다. 구동부브라켓(243')은 3지점이 제1하우징(110')에 고정되도록 체결부가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센서(710)는 래치안착홈(111') 내부에 배치되고, 제2센서(720)는 걸림부가이드홈(116)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3센서(730)는 걸림부가이드홈(116)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4센서(740)는 로킹부재안착홈(112') 상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부재(300')를 감지한다.
래치(200')의 좌측 하부에는 걸림부(242)가 걸리는 돌기(260)가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도어 래치 시스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차체쪽으로 근접시켜서 고리(10)를 제2로킹홈(220)에 삽입하면 래치(200')는 고리(10)에 의해 눌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340)의 로킹돌기(341)는 제1로킹홈(210)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1차 로킹상태까지 래치(200')가 회전되면, 즉, 래치(200')가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면, 래치(200')가 제1센서(710)를 가리게 된다. 이로 인해, 제1센서(710)는 래치(200')가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었음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한다.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는 래치구동부(240)를 정방향(시계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이로 인해 걸림부(24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260)는 걸림부(242)에 걸려서 걸림부(242)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로킹돌기(341)는 제2로킹홈(220)에 삽입되어 걸리게(치합) 된다. 이로써 도어가 완전하게 닫힌 2차 로킹상태가 된다.
상기 제어부는 래치(200')가 2차 로킹위치까지 회전되도록 래치구동부(24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가 완전히 닫힐만큼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살짝만 닫아도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3센서(73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걸림부(242)가 로킹위치까지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걸림부(242)가 로킹위치까지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래치구동부(240')를 역회전(반시계방향)시켜서 걸림부(242)를 복귀시킨다.
이로 인해, 래치구동부(240')와 래치(200')의 연결은 해제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2센서(7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걸림부(242)가 로킹해제위치까지 복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걸림부(242)가 로킹해제위치까지 복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래치구동부(240')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제2,3센서(720, 730)를 통해 래치구동부(240')의 작동이 정밀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킹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때에 도어의 바깥쪽 또는 안쪽의 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어아웃레버연결부(510) 또는 도어인레버연결부(520)가 잡아당겨진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3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래치(200')의 로킹은 해제가 되고, 래치(200')는 제1복귀스프링(25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복귀된다. 이로 인해, 고리(10)는 래치(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되어, 도어는 열리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4센서(7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레버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레버가 작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래치구동부(240')가 작동(정방향회전)되어 래치(200')를 로킹위치로 회전시키는 중에 있더라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걸림부(242)를 로킹해제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로 인해, 래치(200')의 돌기(260)는 걸림부(242)에 걸리지 않게 되고, 회전부재(340)도 작동된 레버에 의해 당겨져서 래치(200')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래치(200')는 로킹해제위치로 제1복귀스프링(250)에 의해 복귀된다.
따라서, 도어가 래치구동부(24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중이더라도 옷이나 사람이 도어에 끼었을 때 사용자가 레버를 잡아당기면 래치의 로킹이 해제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200 : 래치
300 : 슬라이딩부재 400 : 제2안전장치
600 : 제1안전장치 500 : 레버연결부

Claims (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래치에 형성된 로킹홈에 삽입되는 로킹돌기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돌기에 의해 상기 래치는 로킹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되면 상기 래치는 로킹해제되며,
    상기 래치는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도어의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레버연결부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레버연결부가 당김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를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홈에는 상기 도어의 고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0150120147A 2015-08-26 2015-08-26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633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147A KR101633470B1 (ko) 2015-08-26 2015-08-26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147A KR101633470B1 (ko) 2015-08-26 2015-08-26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359A Division KR101577214B1 (ko) 2014-03-14 2014-03-14 도어 래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694A KR20150107694A (ko) 2015-09-23
KR101633470B1 true KR101633470B1 (ko) 2016-06-24

Family

ID=5424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147A KR101633470B1 (ko) 2015-08-26 2015-08-26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4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2083A1 (en) * 2006-11-20 2008-10-16 Southco, Inc. Electromechanical rotary pawl latch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0168A (en) * 1995-11-13 2000-01-04 Johnson; James B. High security rotary lat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2083A1 (en) * 2006-11-20 2008-10-16 Southco, Inc. Electromechanical rotary pawl l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694A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214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0854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633469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JP4362556B2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US10995526B2 (en) Door latch system
KR101821243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60841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US9163434B2 (e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US10458158B2 (e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KR10197250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US11692376B2 (en) Vehicle door latch with safety device
JP6794712B2 (ja) 車両開閉体操作装置
KR101936818B1 (ko)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KR101995346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633470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97186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613018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781531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80105047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JP6975698B2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JP7047654B2 (ja) 建設機械の乗降口開閉装置
KR101802369B1 (ko) 자동차용 잠금장치
JP2022519957A (ja) 非常解除可能な車両用電動式ドアラッチ
KR20170134291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70135783A (ko) 도어 래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