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291A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4291A KR20170134291A KR1020170158100A KR20170158100A KR20170134291A KR 20170134291 A KR20170134291 A KR 20170134291A KR 1020170158100 A KR1020170158100 A KR 1020170158100A KR 20170158100 A KR20170158100 A KR 20170158100A KR 20170134291 A KR20170134291 A KR 201701342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door
- housing
- latch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6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1272720 Medialuna californ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81 coal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이동될 때 상기 잠금부재에 상기 외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잠금부재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가이드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를 가이드하며 걸림홈이 형성된 캠부를 포함하여,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동시에, 상기 잠금부재를 래치와 동일한 메인기어에 의해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메인기어가 상기 래치를 회전시킬 때 상기 잠금부재의 로킹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이동될 때 상기 잠금부재에 상기 외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잠금부재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가이드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를 가이드하며 걸림홈이 형성된 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535053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의 개폐 또는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도어가 잠금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도어 레버를 잡아당길 경우, 도어 레버와 연결된 래치 등의 여러 부품들에게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의 파손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보수 비용이 과도하게 들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도어닫음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이동될 때 상기 잠금부재에 상기 외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잠금부재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가이드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를 가이드하며 걸림홈이 형성된 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부재는 차일드 잠금부재일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은 두개의 마주하는 제1,2경사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2경사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에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의 양단 사이 중 어느 한 부분이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캠부에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거나 상기 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거나 상기 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외력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닫음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서브 로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가 함께 슬라이딩 되도록 하거나 상기 서브 로킹부재만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연결수단이 이동되어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가 함께 슬라이딩 되거나 상기 서브 로킹부재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에는 돌기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안내부가 상기 돌기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닫음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동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걸림부를 누르는 걸림부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 누름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기본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부 누름부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눌리지 않도록 회피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도어닫음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1차 외력을 가하면 이동된 후에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고, 이어서 2차 외력을 상기 1차 외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하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도어닫음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이동될 때 상기 잠금부재에 상기 외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잠금부재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잠금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가이드부재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를 가이드하며 걸림홈이 형성된 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는 상기 잠금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 스프링은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에도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캠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캠가이드부와, 상기 잠금부재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스프링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캠가이드부의 중심과 상기 스프링가압부의 중심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가압부에는 상기 잠금부재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면의 반대면에 제1평탄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1평탄부와 마주보는 제2평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캠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캠커버에는 상기 잠금부재 및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캠부는 홈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에는 조립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캠커버에는 상기 조립후크가 삽입되는 조립후크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후크체결공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커버에는 캠커버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캠커버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캠커버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캠커버 결합돌기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5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에는 상기 제5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기어 감지부와 상기 제2메인기어 감지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기어 감지부와 상기 제2메인기어 감지부는 상기 메인기어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에는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메인기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닫음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연결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걸림부를 누르는 걸림부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회동부재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래치에 의해 눌릴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회동부재삽입홈은 상기 삽입돌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메인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도어를 닫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기어를 회전시키다가, 상기 제2메인기어 감지부가 상기 제5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1메인기어 감지부가 상기 제5센서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상기 메인기어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래치에는 상기 도어닫음부재에 형성되는 로킹부가 1차로 삽입되는 보조로킹홈과, 상기 로킹부가 2차로 삽입되는 로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킹부가 상기 보조로킹홈에 삽입될 때부터 상기 로킹부가 상기 로킹홈에 삽입될 때까지의 스트라이커의 상하이동거리가 12mm이상 되도록, 상기 로킹홈과 상기 보조로킹홈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에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걸리는 스트라이커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라이커 걸림돌기는 상기 로킹홈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력에 의해 잠금부재가 이동될 때 상기 잠금부재에 상기 외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잠금부재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가이드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를 가이드하며 걸림홈이 형성된 캠부를 포함하여,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동시에, 상기 잠금부재를 래치와 동일한 메인기어에 의해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메인기어가 상기 래치를 회전시킬 때 상기 잠금부재의 로킹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걸림홈은 두개의 마주하는 제1,2경사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2경사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잠금부재의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캠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에 홈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캠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의 양단 사이 중 어느 한 부분이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캠부에 가이드되어, 단순한 구조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잠금부재의 좌우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거나 상기 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거나 상기 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외력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형성되어,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를 닫을 수 있는 동시에 자동으로 차일드 로킹할 수 있다.
로킹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연동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기어에는 키 커넥트가 관통되는 커넥트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에는 상기 잠금 걸림부가 걸리는 두개의 회전 걸림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터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가 슬라이딩 되며, 상기 키 커넥트에는 상기 잠금 걸림부가 걸리는 두개의 키 걸림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키 커넥트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가 슬라이딩 되어, 장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키 커넥트나 모터가 고장날 경우 또는 겨울철에 차량 부품이 얼었을 때 각각 별도로 작동될 수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키 걸림부는 상기 회전 걸림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키 걸림부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키 커넥트가 회전할 때 다른 부재에 걸리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구동성이 더욱 개선된다.
구동부에는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동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에는 상기 걸림부를 누르는 걸림부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 누름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기본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부 누름부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눌리지 않도록 회피굴곡부가 형성되어, 걸림부를 누를 필요가 없는 평상시에 걸림부가 걸림부 누름부에 의해 눌리지 않아서 평상시에는 상기 메인 로킹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력이 상승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에는 돌기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안내부가 상기 돌기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의 회동이 이루어져서,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를 연결하는 구조가 단순해지고, 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상기 잠금부재 스프링은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에도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가 자유로운 상태일 때 한쪽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받게 되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더욱 원활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캠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캠가이드부와, 상기 잠금부재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스프링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캠가이드부의 중심과 상기 스프링가압부의 중심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가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되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스프링가압부에는 상기 잠금부재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면의 반대면에 제1평탄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1평탄부와 마주보는 제2평탄부가 형성되어, 단순한 구조로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가 한쪽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캠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캠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캠커버에는 상기 잠금부재 및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캠부는 홈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통되어, 상기 캠부와 상기 잠금부재 스프링과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와 상기 잠금부재는 모듈화될 수 있어서 조립성이 더욱 개선된다.
상기 잠금부재에는 조립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캠커버에는 상기 조립후크가 삽입되는 조립후크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후크체결공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캠커버의 조립이 원터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캠커버의 조립상태는 유지하되,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캠커버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캠커버에는 캠커버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캠커버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캠커버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캠커버 결합돌기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캠커버의 체결력이 더욱 커져서 캠커버의 조립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메인기어에는 상기 제5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기어 감지부와 상기 제2메인기어 감지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1개의 센서를 통해서 래치를 도어닫힘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메인기어를 기본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메인기어 감지부와 상기 제2메인기어 감지부는 상기 메인기어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다.
회동부재가 상기 래치에 의해 눌릴 때 슬라이딩부재는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회동부재삽입홈은 삽입돌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회동부재가 래치에 의해 우측으로 눌리더라도 슬라이딩부재는 이동되지 않아서, 걸림부 누름부가 걸림부를 누르는 것이 방지된다.
로킹부가 상기 보조로킹홈에 삽입될 때부터 상기 로킹부가 로킹홈에 삽입될 때까지의 스트라이커의 상하이동거리가 12mm이상 되도록, 상기 로킹홈과 상기 보조로킹홈은 형성되어, 기존 스트라이커의 이동거리인 7mm보다 이동거리가 길어져서 탑승자가 더욱 용이하게 도어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고 있는 과정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끼임방지 여유공간이 늘어나게 되어 안전성이 더욱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래치에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걸리는 스트라이커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라이커 걸림돌기는 상기 로킹홈 내부에 배치되어, 스트라이커가 로킹홈에 삽입된 후 빠지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피씨비가 삽입되는 피씨비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피씨비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피씨비의 하부와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피씨비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에 배선 연결을 위한 납땜 등이 배치될 수 있어서, 피씨비를 더욱 용이하게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복귀시키는 제1복귀스프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복귀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복귀스프링의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절곡된 각도가 90도 이상인 절곡부가 형성되어, 조립성이 더욱 개선된다.
상기 구동부는 감속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의 축은 감속기어축 지지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감속기어축 지지판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판 삽입홈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감속기어축 지지판을 용이하게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감속기어축 지지판의 체결력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2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3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래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 로킹부재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걸림레버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정면도.(메인 로킹부재 생략)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서브 로킹부재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잠금플레이트와 로킹구동부와 키 커넥트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키 커넥트와 제2기어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방향전환부 분리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메인기어의 금속부 제거)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구동부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기어 배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기어 분리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잠금부재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네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해제 시 부분 평면도(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구동부를 통한 도어 잠김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위)와 키 커넥트를 통한 도어 잠김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중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2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동작시 걸림레버부가 레버안내부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시 부분 평면도(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위)와 키 커넥트를 통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중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3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해제시 걸림레버부가 서브 로킹부재에 걸린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메인 로킹부재 생략).
도 3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시 평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해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해제시 평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4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4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4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평상시에 도어레버를 잡아당길 때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4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잠금부재 분리 사시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잠금부재 분리 배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로킹 가이드부재의 이동경로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배면 단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정면도.
도 52 내지 도 5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닫는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
도 5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스트라이커의 상하이동거리를 보여주는 정면도.(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
도 5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복귀스프링 정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배면도.(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
도 5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키 커넥터 설치부분 확대 배면도.
도 5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하우징에서 캠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감속기어축 지지판 설치 부분 평면도.(제3하우징 제거한 상태)
도 6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피씨비 설치부분 배면도.(제3하우징 제거한 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2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3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래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 로킹부재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걸림레버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정면도.(메인 로킹부재 생략)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서브 로킹부재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잠금플레이트와 로킹구동부와 키 커넥트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키 커넥트와 제2기어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방향전환부 분리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메인기어의 금속부 제거)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구동부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기어 배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기어 분리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잠금부재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네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해제 시 부분 평면도(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구동부를 통한 도어 잠김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위)와 키 커넥트를 통한 도어 잠김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중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2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동작시 걸림레버부가 레버안내부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시 부분 평면도(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위)와 키 커넥트를 통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중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3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해제시 걸림레버부가 서브 로킹부재에 걸린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메인 로킹부재 생략).
도 3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시 평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해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로킹 해제시 평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4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4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4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평상시에 도어레버를 잡아당길 때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위)와 부분 배면 사시도(아래).
도 4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잠금부재 분리 사시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차일드 잠금부재 분리 배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로킹 가이드부재의 이동경로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배면 단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정면도.
도 52 내지 도 5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닫는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
도 5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스트라이커의 상하이동거리를 보여주는 정면도.(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
도 5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복귀스프링 정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배면도.(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
도 5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키 커넥터 설치부분 확대 배면도.
도 5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하우징에서 캠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감속기어축 지지판 설치 부분 평면도.(제3하우징 제거한 상태)
도 6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피씨비 설치부분 배면도.(제3하우징 제거한 상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
도 1 내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1100)과, 상기 하우징(1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1200)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도어닫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닫음부재는 상기 하우징(1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래치(1200)를 로킹시키는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서브 로킹부재(140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가 함께 슬라이딩 되도록 하거나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만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하우징(1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포함하며,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17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수단이 이동되어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가 함께 슬라이딩 되거나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만 슬라이딩 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1700)가 이동될 때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1700)에 상기 외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잠금부재 스프링(1760)과, 상기 하우징(1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가이드부재(1790)와,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1700)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1790)를 가이드하며 걸림홈(1786)이 형성된 캠부(17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은 하우징(1100)에서 제2하우징(1130)쪽을 의미하며, 후방은 제3하우징(1150) 쪽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서술되는 좌측 및 우측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후면에 형성된 부재의 위치를 설명할 때의 좌측 및 우측도 부재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0)은 제1하우징(1110)과,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1130)과, 제1하우징(1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115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0)의 상부 및 전방에는 차체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101)가 삽입되는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은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30)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10)은 블럭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이하 서술되는 래치(1200)가 안착되는 래치안착홈(1111)과, 이하 서술되는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가 안착되는 잠금부재안착홈(1112)이 형성된다. 잠금부재안착홈(1112)은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가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제1하우징(1110)은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어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제2하우징(1130)은 철판과 같은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강도는 강하게 유지하되 제조는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래치안착홈(1111)의 전방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부품 조립이 용이하다. 래치안착홈(1111)의 전방은 조립시 제2하우징(1130)에 의해 덮인다.
래치안착홈(1111)의 상부는 스트라이커삽입홈(1105)과 연통된다.
나아가,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스프링삽입홈(1113)이 형성된다.
스프링삽입홈(1113)은 래치안착홈(1111)의 후방에 배치되어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된다. 스프링삽입홈(1113)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삽입홈(1113)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1복귀스프링(1250)이 삽입되어 제1복귀스프링(1250)의 타단이 래치(1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10)에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이하 서술되는 제6센서(1910)가 삽입되는 제6센서삽입공(1129)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6센서삽입공(1129)은 스트라이커삽입홈(1105) 하부에 배치된다.
제1하우징(1110)에는 스프링삽입홈(1113) 및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좌측에 걸림부가이드홈(1115)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걸림부가이드홈(1115)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잠금부재안착홈(1112)은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잠금부재안착홈(1112)은 래치안착홈(1111)보다 후방으로 깊게 형성된다.
잠금부재안착홈(1112)은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가 좌우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잠금부재안착홈(1112)에서 서브 로킹부재(1400)가 안착되는 부분의 후방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잠금부재안착홈(1112)에서 후방이 개방된 부분에는 이하 서술할 로킹돌기 안내부(1507)가 삽입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잠금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로드가이드홈(1116)이 형성된다.
로드가이드홈(1116)은 래치안착홈(1111)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잠금부재안착홈(1112) 및 로드가이드홈(1116)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이 형성된다.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은 잠금부재안착홈(1112)의 좌측 하부에 배치된다.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은 상부 및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방 우측에는 제1스프링안착홈(1117), 제2스프링안착홈(1119)이 형성된다. 제1스프링안착홈(1117), 제2스프링안착홈(1119)은 잠금부재안착홈(1112)의 우측에 배치되며, 잠금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된다. 제1스프링안착홈(1117), 제2스프링안착홈(1119)의 우측에는 도어인레버 또는 도어아웃레버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각각 연통된다.
제1스프링안착홈(1117)과 제2스프링안착홈(1119) 사이에 메뉴얼 잠금부재(1560)가 삽입되는 메뉴얼 잠금부재 삽입공(1118)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메뉴얼 잠금부재 삽입공(1118)은 잠금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된다.
제1하우징(1110) 하부 및 상부에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범퍼부재(1360)가 각각 삽입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이 형성된다.
하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은 범퍼부재(136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된다.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은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고, 우측부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된다.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은 후방의 직경이 전방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1360)는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범퍼부재(1360)를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에 위에서 삽입하게 되면 삽입후에는 전후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조립이 완성된 후에는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의 상부가 이하 서술되는 제2하우징(1130)에 의해 막힌다. 이와 같이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이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해지게 된다.
하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1360)는 래치(1200)가 회동부재(1370) 및 메인 로킹부재(1300)에 의해 로킹상태에 있을 때 래치(1200)를 지지하여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1360)는 래치(1200)가 메인 로킹부재(1300)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제1복귀스프링(1250)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래치(1200)를 지지하여 래치(1200)가 일정 각도 이내에서만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유격과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한다.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는 제2하우징(1130)의 하부의 수평부분 또는 수직부분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돌출부(1103)가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돌출부(1103)로 인해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30)의 가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공정이 용이해진다.
제1하우징(1110)의 상면에는 오목부(1124)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 우측 하부에는 메뉴얼 잠금부재 안착홈(1125)이 형성된다. 메뉴얼 잠금부재 안착홈(1125)은 메뉴얼 잠금부재 삽입공(1118)에 연통된다.
메뉴얼 잠금부재 안착홈(1125)에는 후술할 메뉴얼 잠금부재 축(1561)이 삽입된다.
제1하우징(1110)의 상면 및 측면 후방에 제3하우징(1150)과의 체결을 위한 잠금후크걸림부(1126)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좌측 후면 하부에는 제1키 커넥트설치부(1127)가 상하부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 좌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메인기어(1630)의 삽입공(1636)에 끼워지는 메인기어축(1114)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 하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잠금플레이트(1500)가 안착되는 잠금플레이트 안착홈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잠금플레이트 안착홈은 잠금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잠금플레이트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는 차일드 잠금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 안착홈은 잠금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 안착홈의 좌측은 걸림부가이드홈(1115)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 안착홈은 상기 잠금플레이트 안착홈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는 우측에 이하 서술되는 감속기어가 안착되는 감속기어안착홈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는 상기 감속기어안착홈의 우측에 모터(1610)의 전방이 안착되는 제1모터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모터안착홈은 상기 감속기어안착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우측 후면에는 상기 잠금플레이트 안착홈의 하부에 이하 서술되는 PCB(1900)의 전방이 끼워지는 제1피씨비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피씨비삽입홈은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좌측 후면 하부에는 모터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안착홈은 상기 잠금플레이트 안착홈의 하부에 배치된다.
한편, 제1하우징(1110) 후면에는 제5센서(1911)가 안착되는 제5센서안착홈(1106)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5센서안착홈(1106)으로 인해 조립시에 제5센서(1911)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5센서안착홈(1106)은 걸림부가이드홈(1115)의 외측에 배치된다.
나아가, 제1하우징(1110)에는 PCB(1900)와 센서(제5센서(1911) 및 제6센서(1910)) 및 이하 서술되는 구동부(모터(1610))를 연결하는 전선이 인서트되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전선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센서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부분 및 PCB(1900)와 연결되는 부분이 제1하우징(111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센서 및 상기 구동부를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각 부재의 안착홈에 끼워넣기만 하면 센서 또는 상기 구동부 또는 PCB(1900)가 상기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1130)은 수직한 판 형상의 수직부재(1131)와, 수직부재(1131)의 상단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된 수평부재(1132)로 이루어진다.
수직부재(1131)에는 리벳으로 구비되는 래치회동축(123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수직부재(1131)에는 상기 축삽입공 둘레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제1돌출부(1135)와 제2돌출부(1136)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1135)와 제2돌출부(1136)는 수직부재(1131)의 후면 다른 부분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제1돌출부(1135)는 이하 서술되는 래치(1200)의 전면 및 회동부재(1370)의 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조립시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는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동시에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와 제2하우징(1130) 사이의 마찰은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2하우징(113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제2하우징(1130)에 대해 회전하는 부재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1돌출부(1135)는 사람인(人)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1135)는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의 회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2돌출부(1136)는 상기 축삽입공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래치(1200)의 전면에 접촉된다.
또한, 이하 서술되는 제3하우징(1150)의 전면에도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제3하우징(1150)에 대해 회전하는 부재(메인 기어)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1하우징(1110) 및 제2하우징(1130)에는 도어(1)에 볼팅체결할 수 있도록 설치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은 제1하우징(1110) 및 제2하우징(1130)의 좌측 상하부와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의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설치공으로 인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제2하우징(1130)에는 리벳으로 구비되는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 회동축(1380), 회동스프링걸림축(1391)이 삽입되는 리벳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에는 제1복귀스프링(1250)의 일단이 걸린다.
제2하우징(1130)의 우측에는 도어레버연결부(1800)가 인출되는 제1하우징(1110)의 우측면을 감싸서 지지하는 수직지지부재(1138)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지지부재(1138)로 인해 하우징(1100)에서 도어레버연결부(1800)를 지지하는 부분의 강도가 보강된다. 수직지지부재(1138)에는 도어레버연결부(1800)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지지부재(1138)로 인해 충격시에도 제1하우징(111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수직부재(1131)는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 복수개의 볼트(1133) 등을 통해 설치되고, 수평부재(1132)는 제1하우징(1110)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1124) 상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볼트(1133)는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의 양측과 제2하우징(1130)과 제1하우징(11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수직부재(1131)와 수평부재(1132)에 걸쳐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하우징(115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통의 형상이다. 제3하우징(1150)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3하우징(1150)의 내부에는 PCB(1900)의 후방이 끼워지는 제2피씨비삽입홈(1154)이 형성된다. 제3하우징(1150)의 내부에는 모터(1610)의 후방이 안착되는 제2모터안착홈(1151)이 형성된다.
제3하우징(1150)의 상부와 양측에는 잠금후크(1153)가 형성된다.
각각의 잠금후크(1153)는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잠금후크걸림부(1126) 중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잠금후크걸림부(1126)와 체결된다. 이로 인해 제1하우징(1110)과 제3하우징(1150)이 결합된다. 추가로, 볼트 등을 통해 제1하우징(1110)과 제3하우징(1150)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3하우징(1150)의 하부에는 제2키 커넥트설치부(1152)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제1키 커넥트설치부(1127)와 제2키 커넥트설치부(1152)에는 후술할 키 커넥트(1550)가 설치된다.
제3하우징(1150)의 좌측 후면에는 좌우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155)가 형성된다.
PCB(1900)는 제1피씨비삽입홈과 제2피씨비삽입홈(1154)에 끼워져서 하우징(1100)에 설치된다. PCB(1900)는 하우징(1100) 내부의 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PCB(1900)에는 제1센서(1901), 제2센서(1903), 제3센서(1905), 제4센서(1907)가 설치된다. 제1센서(1901), 제2센서(1903), 제3센서(1905), 제4센서(1907)는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된다.
제1센서(1901)와 제2센서(1903)는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배치되고, 제3센서(1905)와 제4센서(1907)는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배치된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1센서(1901)는 제2센서(1903)의 좌측에 배치된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3센서(1905)는 제4센서(1907)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1센서(1901)와 제2센서(1903)는 메인 로킹부재(1300)에 형성된 제1감지부(135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도어(1)의 열림과 닫힘에 관여하는 센서이다.
제3센서(1905)와 제4센서(1907)는 잠금플레이트(1500)에 형성된 제2감지부(152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도어(1)의 잠금과 잠금해제에 관여하는 센서이다.
또한, PCB(1900)에는 제5센서(1911)와 제6센서(1910)가 연결된다. 제5센서(1911)와 제6센서(1910)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제5센서(1911)는 제1하우징(1110)과 제3하우징(1150)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제5센서(1911)는 걸림부가이드홈(1115)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5센서(1911)는 메인기어(1630)가 다시 원위치(기본위치)로 복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제6센서(1910)는 래치(1200)가 스트라이커(1101)에 의해 눌려서 회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6센서(1910)는 센서누름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누름부재는 제6센서삽입공(1129)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제6센서(191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누름부재는 래치(120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서 제6센서(1910)를 누르게 된다. 래치(1200)의 후면에 접촉되는 상기 센서누름부재의 전면은 하부로 향할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래치(1200)가 회전될 때 원활하게 상기 센서누름부재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0)는 래치안착홈(1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1110)에 설치된다.
래치(1200)는 제2하우징(1130)에 설치되는 래치회동축(1230)을 통해 제1하우징(1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1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래치(1200)의 외주면에는 로킹홈(1201)이 형성된다.
로킹홈(1201)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진다.
로킹홈(1201)은 평편하게 형성되는 제1면(1203)과, 제1면(1203)의 좌측단에서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면(1205)과, 제2면(1205)의 좌측단에서 연장되고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10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3면(1207)과, 제3면(1207)의 상부 우측단에서 연장되는 제4면(1209)과, 제4면(1209)의 우측단에서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5면(1211)에 의해 둘러싸인다.
로킹홈(1201)은 전후로 관통되고, 외측 단부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래치(1200)에는 로킹홈(1201)의 하부에 보조로킹홈(1202)이 형성된다. 보조로킹홈(1202)은 로킹홈(1201)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로킹홈(1201)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래치(1200) 외주면에는 스프링끼움부(1213)가 형성된다.
스프링끼움부(1213)는 홈형상이나 구멍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끼움부(1213)는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래치(1200)에는 좌측 외주면에 돌기(1215)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기(1215)는 걸림부가이드홈(1115)의 전방에 배치된다.
래치(1200)의 도어 닫힘시 회전하는 방향(시계방향)을 따라 로킹홈(1201), 보조로킹홈(1202), 스프링끼움부(1213), 돌기(1215)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로킹해제시 래치(1200)가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제1복귀스프링(1250)이 구비된다.
제1복귀스프링(1250)의 일단은 제2하우징(1130)의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에 걸리고, 중간은 래치회동축(1230)에 감겨지고, 타단은 스프링끼움부(1213)에 끼워진다.
따라서, 래치(1200)가 회전할 때, 제1복귀스프링(1250)의 타단은 래치(1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메인 로킹부재(1300)는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잠금부재안착홈(111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킹부재(1300)는 몸체(1310)와, 수평바(1340)와, 걸림부 누름부(1330)와, 제1감지부재(1350)로 이루어진다. 메인 로킹부재(1300)는 몸체(1310)와, 수평바(1340)와, 걸림부 누름부(1330)와 제1감지부재(1350)가 일체로 형성된다.
나아가, 메인 로킹부재(1300)는 래치(1200)에 의해 회동하여 메인 로킹부재(1300)를 슬라이딩시키는 회동부재(1370)를 더 포함한다.
몸체(1310)는 제1부분(1311)과, 전면이 제1부분(1311)의 전면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1부분(1311)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부분(1313)으로 이루어진다.
제1부분(1311)은 몸체(1310)의 좌측 상부를 이루며, 제2부분(1313)은 몸체(1310)의 나머지를 이룬다.
제2부분(1313)의 상부에는 후술할 회동부재(1370)의 일부분이 끼워지는 회동부재삽입홈(1317)이 형성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전방은 제2하우징(1130)의 설치로 폐쇄된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좌측면과 우측면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나아가,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우측면에는 원호형상의 회동부재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부재걸림돌기로 인해 회동부재(1370)와 메인 로킹부재(1300)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회동부재(1370)와 메인 로킹부재(1300)가 원활하게 연동될 수 있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좌측면은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우측면보다 경사진 길이가 짧다.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하면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몸체(1310)의 좌측은 회전되는 래치(1200)와 간섭되지 않도록 굴곡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된다.
회동부재(1370)의 하부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제1부분(1311)의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동부재(1370)의 적어도 일부가 메인 로킹부재(1300)의 전방에 배치된다.
회동부재(1370)는 제1하우징(1110)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동축(1380)에 의해 제2하우징(1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동축(1380)은 회동부재(137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회동축(1380)은 리벳으로 구비되어 제2하우징(1130)에 리벳팅된다.
회동부재(1370)는 회동축(138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회동부재(1370)를 복귀시키는 회동스프링(1390)이 구비될 수 있다.
회동스프링(1390)의 일단은 제2하우징(1130)에 리벳팅된 회동스프링걸림축(1391)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회동부재(1370)의 우측에 걸려서 연결된다. 회동스프링(1390)의 중간 부분은 회동축(1380)에 끼워진다.
회동스프링(1390)은 회동부재(1370)에 힘을 가해 반시계방향으로 밀었다가 놓을 경우, 회동부재(137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부재(1370)는 로킹부(1371)와 삽입돌기(1373)로 이루어진다.
로킹부(1371)는 좌측 하부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로킹부(1371)는 래치(1200)의 위치를 구속(로킹)하는 역할을 한다.
로킹부(1371)의 하부에는 도어 닫힘시 래치(1200)의 끝단 일부(제1면(1203))가 삽입되는 래치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래치삽입홈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로킹부(1371)의 하면 우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1373)가 형성된다.
삽입돌기(1373)는 회동부재삽입홈(1317)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이유는 래치(1200)의 회동에 의해 회동부재(1370)가 메인 로킹부재(1300)를 슬라이딩시킬 경우,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가 회동부재삽입홈(1317) 내에서 이탈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삽입돌기(1373)는 회동부재(1370)의 회동에 따라 메인 로킹부재(130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역할을 한다.
삽입돌기(1373)의 좌우 폭은 회동부재삽입홈(1317)의 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로킹부재(1300)는 제1하우징(1110)에 설치되어 회동부재(1370)를 통해 래치(1200)를 로킹시킨다.
몸체(1310)의 후면 좌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걸림레버부(1450)가 안착되는 걸림레버 안착홈(1314)이 형성된다. 걸림레버 안착홈(1314)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레버 안착홈(1314)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몸체(1310)의 좌측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레버축(1470)이 끼워지는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부는 막히도록 형성되어, 조립시 걸림레버축(1470)이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에 상부에서 끼워진다.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은 상하부에 배치되는 걸림레버 안착홈(1314)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몸체(1310)의 후면 좌측에는 제2복귀스프링(1460)이 안착되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이 형성된다.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은 상하부에 배치된 걸림레버 안착홈(1314) 사이에 배치된다.
몸체(1310)의 좌측 후면 중간에는 이격돌기(1312)가 형성된다.
이격돌기(1312)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의 중간에 배치되어, 제2복귀스프링(1460)의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를 이격시킨다.
몸체(1310)의 우측 후면에는 서브 로킹부재(1400)가 삽입되는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이 형성된다.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으로 인해 서브 로킹부재(14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몸체(1310)의 우측 후면에는 걸림돌기(1455)가 삽입되는 걸림돌기 삽입공(1319)이 형성된다. 걸림돌기 삽입공(1319)은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몸체(1310)가 형성되어, 서브 로킹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강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컴팩트해질 수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1)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몸체(1310)의 후면에는 걸림레버부(145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걸림레버부가 서브 로킹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1455)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1450)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450)가 걸리는 걸림턱(1405)을 포함한다.
잠금플레이트(1500)나 차일드 잠금부재(1700)와 같은 잠금부재에는 돌기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1450)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안내부가 상기 돌기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1450)의 회동이 이루진다.
상기 돌기는 로킹돌기(1457)와 차일드돌기(1453)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안내부는 로킹돌기 안내부(1507)와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레버부(1450)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1걸림레버부(1450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걸림레버부(1450b)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선택적으로 메인 로킹부재(1300)와 후술할 서브 로킹부재(1400)를 함께 슬라이딩시키거나 서브 로킹부재(1400)만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상기 연결수단이다.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측 끝단에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455)가 형성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좌측 끝단에 걸림레버축(1470)이 관통되는 구멍(145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몸체(131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걸림레버축(1470)을 통해 몸체(13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우측에 로킹돌기(1457)가 형성된다.
로킹돌기(1457)는 제1로킹돌기(1457a)와 제2로킹돌기(1457b)를 포함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에 형성된 제1로킹돌기(1457a)는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걸림레버부(1450b)에 형성된 제2로킹돌기(1457b)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로킹돌기(1457a)와 제2로킹돌기(1457b)는 후술할 잠금플레이트(1500)에 형성된 경사면(1511)의 안내를 받아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각각 회동 되도록 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우측 상부에는 차일드돌기(1453)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차일드돌기(145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차일드돌기(1453)는 로킹돌기(1457)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차일드돌기(1453)는 후술할 차일드 잠금부재(1700)와 제1걸림레버부(1450a) 간의 연동을 위해 형성된다.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귀스프링(1460)이 설치된다.
제2복귀스프링(1460)은 제1,2스프링부(1460a, 1460b)와,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를 연결하는 스프링연결부(1465)를 포함한다.
제1스프링부(1460a)는 제2스프링부(1460b)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는 코일형상의 코일부(1461)와 직선형상의 자유단부를 각각 포함한다.
코일부(1461)는 걸림레버축(1470)에 끼워져서 위치가 고정된다. 코일부(1461)는 제1걸림레버부(1450a)의 하부와 제2걸림레버부(1450b)의 상부에 각각 배치된다.
코일부(1461) 및 스프링연결부(1465)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에 안착된다.
제1,2스프링부(1460a, 1460b)의 자유단부는 후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462)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절곡부(1463)와, 전방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1464)를 포함한다.
제3절곡부(1464)는 제1,2로킹돌기(1457a, 1457b)에 각각 걸리게 되어,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에 각각 연결된다.
스프링연결부(1465)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스프링연결부(1465)는 각각의 코일부(1461)에서 상기 자유단부의 반대편 끝단에 연결된다.
스프링연결부(1465)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에 안착되어, 메인 로킹부재(130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는 일단은 제1,2걸림레버부(1450a, 1450b)에 걸리고, 타단은 메인 로킹부재(130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1걸림레버부(1450a) 및 제2걸림레버부(1450b)에 힘을 가해 회동시켜서 걸림돌기(1455)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 후,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제2복귀스프링(14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걸림레버부(1450a) 및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돌기(1455)는 원상태로 복귀(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제2복귀스프링(1460)의 탄성복원력은 전방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수평바(1340)는 몸체(1310)의 좌측 하부에서 좌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수평바(1340)는 로드가이드홈(1116) 내에서 슬라이딩 되어 메인 로킹부재(1300)의 슬라이딩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걸림부 누름부(1330)는 수평바(1340)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바(1340) 좌측 끝단에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걸림부 누름부(1330)는 원호형상으로 굴곡진 바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부 누름부(1330)는 래치(1200)의 외측에 배치되어, 래치(1200)가 회동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나아가, 메인 로킹부재(1300)의 걸림부 누름부(1330)에는 걸림부 누름부(1330)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금속소재의 누름부 보강부재(1331)가 인서트된다. 누름부 보강부재(1331)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 보강부재(1331)로 인해 메인 로킹부재(1300)의 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누름부 보강부재(1331)는 띠형상의 철판으로 구비되며, 사출물이 통과할 수 있는 사출물 관통공이 여러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누름부 보강부재(1331)는 걸림부 누름부(13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누름부 보강부재(1331)는 걸림부 누름부(1330) 상단부터 제1감지부재(1350) 상부까지 배치된다.
또한, 걸림부 누름부(1330)에는 이하 서술되는 걸림부(1631)가 기본위치에 있을 때 걸림부 누름부(1330)에 의해 걸림부(1631)가 눌리지 않도록 회피굴곡부(1332)가 형성된다.
걸림부(1631)의 상기 기본위치는 도어(1)가 열리도록 래치(1200)가 회전될 때 래치(1200)의 돌기(1215)가 걸림부(1631)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위치이다.
걸림부(1631)의 상기 기본위치는 제5센서(1911)의 위치에 대응된다.
회피굴곡부(1332)는 비상시가 아닌 평상시 사용자가 도어(1)를 열기 위해 도어레버를 잡아당길 때 걸림부 누름부(1330)에 의해 걸림부(1631)가 눌리지 않도록 다른 부분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 누름부(1330)는 걸림부(1631)를 누를 필요가 없는 평상시에 걸림부(1631)가 걸림부 누름부(1330)에 의해 눌리지 않아서 평상시에 메인 로킹부재(1300)를 이동시키는(슬라이딩시키는) 작동력이 상승되는 것이 방지된다.
수평바(1340)의 우측단 하부에는 제1감지부재(1350)가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감지부재(1350)의 하면에는 자석과 같은 제1감지부(1351)가 설치된다.
제1감지부(1351)는 PCB(1900) 상의 제1감지부(135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센서(1901) 또는 제2센서(1903)에 의해 감지된다. 이러한 감지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는 전달받아서 모터(1610)를 제어한다.
메인 로킹부재(1300)의 우측 후방에는 서브 로킹부재(1400)가 배치된다.
서브 로킹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에 삽입된다. 따라서, 서브 로킹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브 로킹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와 마찬가지로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잠금부재안착홈(111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로킹부재(1400)에는 도어레버연결부(1800)가 연결된다.
서브 로킹부재(1400)는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를 포함한다.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는 좌측 상하부 모서리가 라운드처리 되어 메인 로킹부재(1300)에 대해 원활하게 좌우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어레버연결부(1800)는 도어인레버(미도시)와 연결되는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 및 도어아웃레버(미도시)와 연결되는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를 포함한다.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 및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는 와이어로 구비된다.
제1서브 로킹부재(1400a)는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에는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가 연결된다.
제1서브 로킹부재(1400a)는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과, 제1스프링 끼움돌기(1402a)와, 제1걸림턱(1405a)과, 메뉴얼 잠금부재 누름부(1407)를 포함한다.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는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과, 제2스프링 끼움돌기(1402b)와, 제2걸림턱(1405b)을 포함한다.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과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은 전방이 개방되어 있다.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과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은 상하로 긴 원통형상의 제1,2걸림부재(1801a, 1801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인레버 또는 도어아웃레버를 잡아당겨도 제1,2걸림부재(1801a, 1801b)가 서브 로킹부재(14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에는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의 끝단에 형성된 제1걸림부재(1801a)가 안착된다.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에 위치한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의 제1걸림부재(1801a)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몸체(1310)에 의해 전방 측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에는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의 끝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재(1801b)가 안착된다.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에 위치한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의 제2걸림부재(1801b)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몸체(1310)에 의해 전방 측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의 우측단에는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가 인출되는 제1인출공(1403a)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제1인출공(1403a)은 제1걸림부재(1801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를 우측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1걸림부재(1801a)가 제1인출공(1403a)으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제1서브 로킹부재(1400a)는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를 우측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의 우측단에는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가 인출되는 제2인출공(1403b)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제2인출공(1403b)은 제2걸림부재(1801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를 우측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2걸림부재(1801b)가 제2인출공(1403b)으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는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를 우측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도어인레버연결부(1800a)에는 제1걸림부재(1801a)에 근접하게 제1스프링(1803a)이 끼워진다.
제1,2서브 로킹부재(1400a, 1400b)의 우측단에 제1,2인출공(1403a, 1403b)의 상하부에 제1,2스프링 끼움돌기(1402a, 1402b)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2스프링 끼움돌기(1402a, 1402b)에는 제1,2스프링(1803a, 1803b)의 좌측단이 끼워진다.
제1스프링(1803a)은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우측단과 제1하우징(1110)의 제1스프링안착홈(1117) 사이에 배치된다. 제1스프링(1803a)은 외부힘에 의해 우측으로 슬라이딩된 제1서브 로킹부재(1400a)를 외부힘이 제거되었을 때 제1스프링(1803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어아웃레버연결부(1800b)에는 제2스프링(1803b)이 끼워진다.
제2스프링(1803b)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우측단과 제1하우징(1110)의 제2스프링안착홈(1119)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스프링(1803b)은 외부힘에 의해 우측으로 슬라이딩된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를 외부힘이 제거되었을 때 제2스프링(1803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서브 로킹부재(1400)에는 걸림레버부(1450)의 걸림돌기(1455)가 걸리는 걸림턱(1405)이 형성된다. 걸림턱(1405)은 제1걸림턱(1405a)과 제2걸림턱(1405b)을 포함한다.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후방 측에는 제1걸림턱(1405a)이 형성되고,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후방 측에는 제2걸림턱(1405b)이 형성된다.
제1걸림턱(1405a)과 제2걸림턱(1405b)은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좌측 후방이 우측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2걸림턱(1405a, 1405b)은 우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림돌기(1455)가 걸린 후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제1걸림턱(1405a)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의 걸림돌기(1455)가 걸리거나 이탈할 수 있고, 제2걸림턱(1405b)에는 제2걸림레버부(1450b)의 걸림돌기(1455)가 걸리거나 이탈할 수 있다.
제1걸림레버부(1450a), 제2걸림레버부(1450b), 제1걸림턱(1405a) 및 제2걸림턱(1405b)은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가 함께 슬라이딩 되도록 하거나 서브 로킹부재(1400)만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이다.
제1걸림턱(1405a)에 제1걸림레버부(1450a)가 걸려 있고, 제2걸림턱(1405b)에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걸려 있는 상태일 때, 도어인레버(미도시) 또는 도어아웃레버(미도시)를 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는 우측으로 함께 슬라이딩 된다.
즉, 이러한 상태는 도어(1) 잠금해제 상태이다.
반대로 제1걸림턱(1405a)에서 제1걸림레버부(1450a)가 이탈되어 있고, 제2걸림턱(1405b)에서 제2걸림레버부(1450b)가 이탈되어 있는 상태일 때, 도어인레버(미도시) 또는 도어아웃레버(미도시)를 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는 제자리에 있고, 서브 로킹부재(1400)만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즉, 이러한 상태는 도어(1) 잠금 상태이다.
제1서브 로킹부재(1400a)는 우측면 하부에서 외측인 우측으로 연장되는 메뉴얼 잠금부재 누름부(1407)를 구비한다.
메뉴얼 잠금부재 누름부(1407)는 수평한 판으로 구비되며, 전면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전면보다 돌출된다.
메뉴얼 잠금부재 누름부(1407)는 제1하우징(1110)의 제1스프링안착홈(1117)과 제2스프링안착홈(1119) 사이에 위치하여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동시에 좌우로 슬라이딩 된다.
메뉴얼 잠금부재 누름부(1407)는 후술할 메뉴얼 잠금부재(1560)의 제1걸림부(1563)와 서로 접촉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플레이트(15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잠금플레이트(150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플레이트(1500)는 걸림레버부(1450)를 회동시킨다.
잠금플레이트(1500)에는 잠금 걸림부(1502), 제2감지부재(1519), 로킹돌기 안내부(1507),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1515)이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서대로 형성된다.
잠금플레이트(1500)의 좌측 하단에는 잠금 걸림부(1502)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잠금 걸림부(1502)는 수평단면형상이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으로 형성된다. 잠금 걸림부(1502)는 하부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돌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잠금플레이트(1500)를 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로킹구동부(1650)를 더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는 래치(120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600)와 잠금플레이트(1500)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킹구동부(1650)가 별도로 구비된다.
로킹구동부(1650)는 제1하우징(1110)의 좌측 후면 하부에 설치된다.
로킹구동부(1650)는 잠금플레이트(1500)의 좌측 하부에 배치된다.
로킹구동부(1650)는 모터(1651)와, 모터(1651)에 연결되는 제1기어(1652)와, 제1기어(1652)에 연동되는 제2기어(1653)를 포함한다.
모터(1651)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1)의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킹구동부(1650)의 모터(1651)는 구동부(1600)의 모터(1610)보다 소형으로 구비된다. 이로 인해, 로킹구동부(1650)의 모터(1651)가 고장나더라도 제1기어(1652) 및 제2기어(1653)의 역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1651) 고장시나 차량에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때 사용자가 잠금해제케이블(1810) 등을 통해 잠금플레이트(150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모터(1651)는 제1하우징(1110)의 좌측 후방 하부에 형성된 로킹모터 안착홈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로킹모터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모터(1651)는 제1기어(1652) 및 제2기어(1653)의 우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1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모터(1651)가 침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기어(1652)는 웜으로 구비되고, 제2기어(1653)는 웜기어로 구비된다.
따라서, 로킹구동부(1650)와 잠금플레이트(1500)는 웜과 웜기어를 통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구성을 단순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감속비를 줄 수 있다.
제1기어(1652)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기어(1652)는 모터(1651)의 축에 연결된다.
제2기어(1653)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기어(1653)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기어이(1654)가 형성된다.
제2기어(1653)는 제1기어(1652)에 치합된다.
제2기어(1653)는 제1키 커넥트설치부(1127)에 설치된다.
제2기어(1653)의 중심에는 키 커넥트(1550)가 관통되는 커넥트 관통공(1655)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기어(1653)의 상면에는 잠금 걸림부(1502)가 걸리는 두개의 회전 걸림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 걸림부는 제1회전 걸림부(1656)와, 제2회전 걸림부(1657)를 포함한다. 제1회전 걸림부(1656)와, 제2회전 걸림부(1657)는 수평단면형상이 원인 원통형상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회전 걸림부(1656)와 제2회전 걸림부(1657)의 사이각은 180도로 하거나 조건에 따라 조정가능하다.
이로 인해, 로킹구동부(1650)의 모터(1651)가 작동함에 따라 잠금플레이트(15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1100)의 제1하우징(1110) 및 제3하우징(115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홈이 형성되는 키 커넥트(1550)를 더 포함한다.
키 커넥트(1550)는 십자형의 상기 키삽입홈이 형성된 헤드(1551)와, 상기 헤드(15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판에서 일부분이 잘려나간 키 커넥트 절개부(1555)를 가지는 날개부(1553)로 이루어진다.
키 커넥트(155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키 커넥트(1550)는 커넥트 관통공(1655)에 삽입되어 제2기어(165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키 커넥트(1550)의 하부 외주면에는 방수링(1558)이 끼워져서 키 커넥트(1550)와 제2기어(1653)의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방수링(1558)은 제2기어(1653)의 하부에 배치되어, 모터(1651)의 수분 유입을 방지한다.
헤드(1551)는 키 커넥트(1550)의 하부에 형성된다.
날개부(1553)는 키 커넥트(1550)의 상부에 형성되며, 헤드(1551)에 일체로 형성된다.
날개부(1553)의 외경은 커넥트 관통공(1655)의 직경보다는 크고, 제2기어(1653)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날개부(1553)는 상기 회전 걸림부의 상부에 배치된다.
날개부(1553)에서 절개된 면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키 커넥트 절개부(1555)의 중심각은 180도보다 작다.
키 커넥트 절개부(1555)는 깊이가 날개부(1553)의 상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잠금 걸림부(1502)는 키 커넥트 절개부(1555)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날개부(1553)에는 키 커넥트 절개부(1555)로 인해 양측에 잠금 걸림부(1502)가 걸리는 두개의 키 걸림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키 걸림부는 제1 키 걸림부(1554)와 제2 키 걸림부(1552)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키 걸림부로 인해, 키 커넥트(1550)를 회전시킴에 따라 잠금플레이트(15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와 같이, 키 커넥트(1550)의 헤드(1551)를 차량에 장착된 열쇠모듈과 연동하여 회전시키면 날개부(1553)도 회전되어 로킹구동부(1650)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잠금플레이트(150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즉, 키 커넥트(1550)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잠금플레이트(1500)가 직선운동한다
따라서, 키 커넥트(1550)를 이용하면 수동으로 도어(1)를 잠금 상태로 만들거나 잠금 해제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키 커넥트(1550)는 제2기어(1653) 내부에 배치되어,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키 커넥트(1550)나 모터(1651)가 고장날 경우 또는 겨울철에 차량 부품이 얼었을 때 각각 별도로 작동될 수 있어서 잠금플레이트(150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잠금플레이트(1500)에는 잠금 걸림부(1502)의 우측 하부에 수평가이드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가이드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모터(1651)의 상부에 배치된다.
잠금플레이트(1500)에는 상기 수평가이드의 우측 하부에 제2감지부재(1519)가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감지부재(1519)는 하부가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제2감지부재(1519)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부분의 하면에 자석과 같은 제2감지부(1521)가 설치되어 있다.
제2감지부(1521)는 PCB(1900) 상의 제2감지부(15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3센서(1905) 및 제4센서(1907)에 의해 감지된다. 이러한 제3센서(1905) 및 제4센서(1907)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차량의 알림 장치에 전달되어 운전자는 도어(1)의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를 알 수 있다.
잠금플레이트(1500)에는 제2감지부재(1519)의 우측에 로킹돌기 안내부(1507)가 형성된다.
로킹돌기 안내부(1507)는 잠금플레이트(1500)의 우측 전면에 전방(걸림레버부(1450)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로킹돌기 안내부(1507)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후에 우측으로 절곡된 후 끝단이 다시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로킹돌기 안내부(1507)와 잠금플레이트(1500)의 전면 사이에는 로킹돌기(1457)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509)이 형성된다. 삽입공간(1509)은 상하부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로킹돌기 안내부(1507)의 내측면(로킹돌기(1457)와 접촉하는 면)에는 경사면(1511)이 형성되어, 삽입공간(1509)의 전후 간격은 좌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로킹돌기 안내부(1507)가 로킹돌기(1457)를 원활하게 후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로킹돌기 안내부(1507)의 상부는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제1로킹돌기(1457a)를 안내하고, 로킹돌기 안내부(1507)의 하부는 제2걸림레버부(1450b)의 제2로킹돌기(1457b)를 안내한다.
로킹돌기 안내부(1507)가 로킹돌기(1457)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안내함에 따라 걸림레버부(1450)의 회동이 이루어져서, 잠금플레이트(1500)의 슬라이딩에 의해 걸림레버부(1450)가 걸림턱(1405)에 걸리면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가 함께 슬라이딩(도어 잠금 해제) 되고, 잠금플레이트(1500)의 슬라이딩에 의해 걸림레버부(1450)가 걸림턱(1405)에서 이탈하면 서브 로킹부재(1400)만 슬라이딩(도어 잠금) 된다.
상세하게는, 제1로킹돌기(1457a)와 제2로킹돌기(1457b)가 로킹돌기 안내부(1507)에 의해 삽입공간(1509)에 배치될 경우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각각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제1걸림턱(1405a)과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제2걸림턱(1405b)에서 이탈한 상태로써 도어(1)가 잠금 상태이다.
제1로킹돌기(1457a)와 제2로킹돌기(1457b)가 삽입공간(1509)으로부터 이탈할 경우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각각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제1걸림턱(1405a)과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제2걸림턱(1405b)에 걸린 상태로써 도어(1)가 잠금 해제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로킹돌기 안내부(1507)는 잠금플레이트(1500)의 좌우 슬라이딩에 따라 제1걸림레버부(1450a) 및 제2걸림레버부(1450b)를 회동시켜 도어(1)를 잠금 상태로 만들거나 도어(1)를 잠금 해제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잠금플레이트(1500)와 상기 하우징(1100) 중 하나에는 제1스토퍼돌기(1107)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1스토퍼돌기(1107)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제1스톱스프링(157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토퍼돌기(1107)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스톱스프링(1570)은 잠금플레이트(1500)의 우측 후면에 설치된다.
잠금플레이트(1500)의 우측 하부에는 제1스토퍼돌기(1107)가 관통되는 스토퍼장공(157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토퍼장공(1571)은 로킹돌기 안내부(1507)의 우측 하부에 배치된다.
잠금플레이트(1500) 후면에는 스토퍼장공(1571)의 좌측에 제1스톱스프링(1570)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고리(1573)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잠금플레이트(1500) 후면에는 스토퍼장공(1571)의 우측에 제1스톱스프링(1570)의 타측(끝단)이 끼워지는 제2고리(157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은 금속소재의 와이어의 중간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1스톱스프링(1570)은 대체로 핀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스톱스프링(1570)은 이형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 일측에는 제1고리(1573)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1578)가 형성된다. 제1끼움부(1578)는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은 제1끼움부(1578)의 우측에 상하부가 제1스토퍼돌기(1107)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정지부(1577)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돌기(1107)는 잠금플레이트(1500)가 도어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제1정지부(1577)에 안착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은 제1정지부(1577)의 우측에 상부 및 하부가 제1스토퍼돌기(1107)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각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제2정지부(1575)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돌기(1107)는 잠금플레이트(1500)가 도어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2정지부(1575)에 안착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은 제1정지부(1577)와 제2정지부(1575) 사이에 상하폭이 제1정지부(1577) 및 제2정지부(1575)보다 작은 탄성변형부(1576)가 형성된다. 즉, 탄성변형부(1576)의 상하폭은 제1스토퍼돌기(1107)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탄성변형부(1576)는 상부는 아래로 오목하고, 하부는 위로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1스톱스프링(1570)의 우측 끝단에는 스프링끝단부(1574)가 형성된다. 스프링끝단부(1574)는 상하폭이 제2정지부(1575)보다 좁게 형성된다. 스프링끝단부(1574)는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며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스토퍼돌기(1107)는 단면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플레이트(1500)가 연결위치에서 연결해제위치로 이동(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탄성변형부(1576)의 상하 사이간격이 벌어지도록 탄성변형된 후에 이동된다. 즉, 잠금플레이트(1500)를 도어 잠금 해제 위치에서 도어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잠금플레이트(1500)를 도어 잠금 위치에서 도어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스톱스프링(1570)의 탄성변형부(1576)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을 만큼의 힘으로 잠금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켜야 한다.
또한, 잠금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킬 때에는 제1스톱스프링(1570)의 탄성변형부(1576)가 제1스토퍼돌기(1107)에 접촉되어 마찰력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잠금플레이트(1500)가 연결위치 또는 연결해제위치에 있을 때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져도 잠금플레이트(1500)가 연결위치 또는 연결해제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외부 충격에 의해 잠금플레이트(1500)가 오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는 잠금플레이트(1500)의 우측단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에는 잠금해제케이블(1810)이 설치되어, 노브(6)를 작동시키면 잠금해제케이블(181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당겨져 잠금플레이트(15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잠금해제케이블(1810)은 이하 서술되는 도어레버연결부(1800)와 같이 제1하우징(1110)의 우측으로 인출된다.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는 잠금플레이트(1500)의 후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플레이트(1500)에 잠금해제케이블(1810)을 조립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잠금해제케이블(1810)과 노브(6) 사이에는 방향전환부(20)가 설치된다.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의 좌측단에는 잠금해제케이블(1810)이 연결되어 노브(6) 등을 작동시키면 잠금해제케이블(181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당겨져 잠금플레이트(15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1501) 후면에는 잠금해제케이블(1810)의 제1걸림부재가 안착되는 제1걸림부재안착홈이 후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플레이트(1500)에 잠금해제케이블(1810)을 조립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잠금해제케이블(1810)의 제1걸림부재도 상하로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방향 전환부(20)는 방향전환하우징과,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레버(30)를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은 제1방향전환하우징(21)과, 상기 제1방향전환하우징(21)의 후방을 덮는 제2방향전환하우징(22)을 포함한다.
제1방향전환하우징(21)은 후면에 각각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방향전환하우징(21)에는 노브(6)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24)과, 상기 잠금해제케이블(1810)에 연결된 케이블블럭(40)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23)이 형성된다.
케이블블럭(40) 후면에는 잠금해제케이블(1810)의 제2걸림부재가 안착되는 제2걸림부재안착홈(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해제케이블(1810)은 케이블블럭(40)에 연결된다.
제1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3)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3)에는 노브(6) 또는 잠금해제케이블(1810)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우측과 좌측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홈(24)은 제2가이드홈(23)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3)에는 노브(6)와 케이블블럭(40)의 전면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홈과 상기 슬라이딩돌출부로 인해 노브(6) 및 케이블블럭(40)이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에 대해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1방향전환하우징(21)에는 제1,2가이드홈(24,23)에 연통되도록 전환레버(30)가 이동될 수 있는 장공(25)이 형성된다. 장공(25)은 제1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3) 사이에 배치된다.
장공(25)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장공(25)에는 전환레버(30)가 삽입된다.
제1방향전환하우징(21)에는 장공(25) 내부에 배치되도록 전환레버(30)의 회전축(26)이 형성된다. 회전축(26)은 제1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3) 사이에 배치된다.
노브(6)의 후면에는 제1연결돌기(6a)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케이블블럭(40)의 후면에는 제2연결돌기(4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2연결돌기(6a, 4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전환레버(30)는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전환레버(30)는 일측에 제1연결돌기(6a)가 삽입되는 제1연결돌기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연결돌기(42)가 삽입되는 제2연결돌기 삽입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환레버(30)의 일측에는 노브(6)가 제1연결돌기(6a)를 통해 피봇연결되고, 전환레버(30)의 타측에는 잠금해제케이블(1810)이 제2연결돌기(42)를 통해 피봇연결된다. 따라서, 노브(6)의 슬라이딩운동은 전환레버(3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고, 전환레버(30)의 회전운동은 케이블블럭(40)의 슬라이딩운동으로 다시 전환된다.
전환레버(3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회전축(26)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26)은 전환레버(30)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다. 즉, 회전축(26)은 노브(6)와 케이블블럭(4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전환레버(30)로 인해, 노브(6)를 누르게 되면(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케이블블럭(40)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케이블블럭(40)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잠금플레이트(1500)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 잠금이 된다. 또한, 노브(6)를 잡아당기게 되면(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케이블블럭(4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케이블블럭(4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잠금플레이트(1500)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 잠금 해제가 된다.
이와 같이, 전환레버(30)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노브(6)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반대로 바꿔서 잠금플레이트(1500)에 전달한다.
따라서, 잠금해제케이블(1810)의 인출방향을 변경하더라도 노브(6)의 동작을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도어(1)에 설치할 때에 모터(1610)나 PCB(1900) 같은 전자제품이 차량의 상부로 향하도록 할 수 있어서, 모터(1610)나 PCB(1900)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잠금플레이트(1500)는 우측단 상부에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1515)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1515)은 전후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잠금플레이트(1500)의 전면에는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1515)에 근접하게 덧살이 형성되어, 잠금플레이트(150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메뉴얼 로킹 가이드장공(1515)에는 후술되는 메뉴얼 잠금부재(1560)의 제2걸림부(1562)가 삽입된다.
메뉴얼 잠금부재(1560)는 중심부에 메뉴얼 잠금부재 축(1561)이 관통되는 축관통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메뉴얼 잠금부재 축(1561)은 메뉴얼 잠금부재 안착홈(1125)에 안착된다.
메뉴얼 잠금부재 축(1561)의 후방에 배치되는 메뉴얼 잠금부재 덮개(1564)에 의해 메뉴얼 잠금부재 안착홈(1125)의 후방이 막혀서 메뉴얼 잠금부재 축(1561)은 메뉴얼 잠금부재 안착홈(112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메뉴얼 잠금부재 덮개(1564)에는 제2걸림부(1562)가 인출되는 제2걸림부 인출공이 형성된다.
메뉴얼 잠금부재(1560)는 메뉴얼 잠금부재 삽입공(1118)에 삽입된다. 따라서, 메뉴얼 잠금부재(1560)는 제1하우징(1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메뉴얼 잠금부재(1560)의 전방에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메뉴얼 잠금부재 누름부(1407)에 걸리는 제1걸림부(1563)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잠금플레이트(1500)에 걸리는 제2걸림부(156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걸림부(1563)와 상기 제2걸림부(1562)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걸림부(1563)와 상기 제2걸림부(1562)의 끝단의 모서리는 라운드처리 된다.
이와 같은 메뉴얼 잠금부재(1560)로 인해 구조가 단순한 동시에 도어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인레버를 한번 잡아당기면 도어 잠금이 해제되고 도어인레버를 한번 더 잡아당기면 도어(1)가 열리게 된다.
본 실시예는 래치(1200)를 회동시키거나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부(1600)를 더 포함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600)는 모터(1610)와, 모터(1610)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1620)와, 감속기어(1620)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메인기어(1630)를 포함한다.
구동부(160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1150)의 전면에 설치된다.
구동부(1600)는 하우징(1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도어(1)에 설치할 때 구동부(1600)는 스트라이커삽입홈(1105)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모터(1610)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모터(1610)는 PCB(1900)의 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거나 구동력의 발생을 멈출 수 있도록 PCB(1900)와 연결된다.
차량의 디자인에 따라 모터(1610)의 축(1611)과 하우징(1100)의 전면 사이의 각이 0도(수평) 이거나 원하는 각도(경사)가 되도록 모터(1610)는 배치될 수 있다.
모터(1610)의 축(1611)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모터(1610)의 축(1611)에는 제1웜(1613)이 설치되어 있다.
감속기어(1620)는 제1웜(1613)에 치합되는 제1웜기어(1621)와, 상기 제1웜기어(1621)에 설치되는 제2웜(1622)을 포함한다.
감속기어(1620)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웜기어(1621)는 제2웜(1622) 상부에 배치되며, 일체로 형성된다. 제1웜기어(1621)와 제2웜(1622)의 최대 외경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모터(1610)가 작동하면 제1웜(1613)이 회전하게 되고, 제1웜(1613)이 회전함에 따라 제1웜기어(1621)이 회전되고, 제1웜기어(1621)이 회전되면 제1웜기어(1621)에 일체로 형성된 제2웜(1622)도 회전하게 되고, 제2웜(1622)이 회전함에 따라 메인기어(1630)가 회전된다.
감속기어(1620)의 축은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은 감속기어(16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 및 제3하우징(1150) 전면에는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이 삽입되는 지지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감속기어(1620)가 하우징(11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속기어(1620)를 구비할 경우, 모터(1610)의 속도가 대폭 감속되어 모터(1610)를 통한 도어 닫힘시 부드럽게 구동이 되고 구동 토크도 확보된다. 또한, 도어 닫힘시 속도가 감소되어 신체나 옷이 도어에 끼는 안전사고 발생 시에 비상으로 도어를 열 수 있다.
메인기어(1630)는 제2웜기어로 구비되며, 모터(1610)의 구동력을 감속기어(1620)를 거쳐 전달 받는다.
메인기어(163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기어축(111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어(1630)는 외주면의 일부에 기어 이(1638)가 형성된 기어부(1632)와 상기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에 기어 이(1638)가 형성되지 않는 비기어부(1643)가 형성된다.
기어부(1632)는 메인기어(1630)의 우측 일부에만 형성된다.
비기어부(1643)는 기어부(1632)가 아닌 메인기어(1630)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다. 비기어부(1643)는 밋밋하거나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메인기어(1630)는 기어 이(1638)가 모든 둘레에 형성되지 않고 일부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기어(1630)의 내구성은 유지하면서 전후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기어부(1632)는 비기어부(1643)보다 전후방향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기어부(163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인기어(1630)는 플라스틱부(1634)와 플라스틱부(1634)에 인서트되는 금속부(1642)를 포함한다. 메인기어(1630)는 금속부(1642)가 플라스틱부(1634)에 인서트되어 형성된다.
플라스틱부(1634)는 판형상으로 된 플라스틱판부(1645)와 플라스틱판부(1645)의 외주면 일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기어부(1632)를 포함한다.
한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도어(1)에 설치될 때 후면 중간 부분은 도어 창문이 내려올 때 도어 창문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어 창문은 내려올 때 수직하게 아래로 내려오지 않고 경사지게 아래로 내려온다. 이로 인해, 도어 창문이 내려올 때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후면 좌측 중간 부분이 도어 창문과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후면 좌측 중간 부분이 후방으로 튀어나오게 되면 내려오는 도어 창문에 걸리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후방 좌측에 배치되는 메인기어(1630)의 기어 이(1638)가 우측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되어, 기어 이(1638)는 두껍게 하여 내구성은 유지하면서 메인기어(1630)의 좌측 중간 부분의 두께는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도어(1)에 장착시 도어 창문(2)과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플라스틱판부(1645)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인서트돌기(1637)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인서트돌기(1637)는 메인기어축(1114)이 삽입되는 삽입공(1636) 주위에 다수 개 형성된다.
플라스틱판부(1645) 전면 좌측 하부에는 래치(1200)를 회전시키는 걸림부(1631)가 형성된다. 걸림부(1631)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1631)는 플라스틱판부(1645)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외통(1649)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외통(1649)은 속이 비고,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외통(1649)의 좌우측에는 슬라이딩 가이드장공(1649a)이 형성된다. 가이드장공(1649a)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장공(1649a)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걸림부(1631)는 머리부(1631a)와, 머리부(1631a) 후방에 형성되는 내통부(1631b)를 포함한다.
머리부(1631a)는 전면 좌측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면으로 인해 걸림부 누름부(1330)가 머리부(1631a)를 원활하게 누를 수 있다.
머리부(1631a)의 외측단은 래치(12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부 누름부(1330)로 머리부(1631a)를 누르더라도 회전되는 래치(1200)와 걸림부 누름부(1330)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내통부(1631b)는 외통(1649) 내부에 삽입된다.
내통부(1631b)의 후방 외주면 양측에는 외통 걸림돌기(1631c)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외통 걸림돌기(1631c)는 가이드장공(1649a)에 삽입된다.
내통부(1631b)는 속이 비고,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내통부(1631b)와 외통(1649) 사이에는 걸림부(1631)를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걸림부 리턴스프링(1648)이 배치된다.
리턴스프링(1648)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다. 리턴스프링(1648)의 전단은 내통부(1631b)에 삽입된다.
이러한, 걸림부(1631)로 인해, 구동부(1600)를 통해 도어(1)를 닫는 중 이나 닫고 난 다음에 구동부(1600)가 고장나더라도 도어인레버 또는 도어아웃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수동으로 도어(1)를 열수 있게 된다.
걸림부(1631)는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도어(1)를 닫을 때, 도어(1)를 완전히 닫지 않더라도 도어(1)가 어느 정도 닫히면 모터(1610)의 구동력에 의해 래치(1200)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래치(1200)를 회동부재(1370) 및 메인 로킹부재(1300)에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플라스틱판부(1645) 외주면에는 걸림부(1631)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5센서감지부(1641)가 형성된다. 제5센서감지부(1641)는 메인기어(1630)의 걸림부(1631)가 기본위치로 복귀하면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되는 제5센서(1911)를 누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기어(1630)가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이동시키거나 래치(1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한 후, 다시 원위치(기본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플라스틱부(1634)의 하부 일부는 절개된다. 플라스틱부(1634)의 절개된 공간에는 메인기어 걸림돌기(1710)가 삽입된다. 이로인해, 플라스틱부(1634)의 하부에는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슬라이딩시키는 차일드 잠금부재 걸림부(1635)가 형성된다.
차일드 잠금부재 걸림부(1635)는 메인기어(1630)의 회전에 따라 메인기어걸림돌기(1710)를 밀어서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메인기어 걸림돌기(1710)는 금속부(1642) 전방에 배치된다.
금속부(1642)는 판형상으로 된 판부(1644)와, 상기 판부(1644)의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1639)를 포함한다.
판부(1644)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판부(1644)의 중앙부분에는 메인기어축(1114)이 삽입되는 삽입공(1636) 주위에 인서트돌기홈(1646)이 형성된다. 인서트돌기홈(1646)에는 인서트돌기(1637)가 삽입된다.
돌출부(1639)는 플라스틱부(1634)의 기어부(1632) 및 걸림부(1631)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기어부(1632) 및 걸림부(1631)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기어부(1632)에 삽입되는 돌출부(1639)는 복수개로 나뉘어져서 형성되고, 걸림부(1631) 내부에 배치되는 돌출부(1639)는 기어부(1632) 내부의 돌출부(1639)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래치(1200)를 이용한 도어(1)의 열림 및 닫힘과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이용한 도어(1)의 잠금 및 잠금해제는 하나의 구동부(1600)에 의해서 가능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1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더 포함한다.
차일드 잠금부재(170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는 차일드 잠금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 안착홈은 잠금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차일드 잠금부재(1700)는 구동부(16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잠금플레이트(15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차일드 잠금부재(1700)는 잠금플레이트(1500)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차일드 잠금부재(1700)는 좌측에 차일드 잠금부재 걸림부(1635)에 걸리는 메인기어걸림돌기(1710)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차일드 잠금부재(1700)는 중간부분 후방에 제3감지부설치부(1740)가 형성된다. 제3감지부설치부(1740)는 메인기어걸림돌기(1710)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3감지부설치부(1740)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바형상으로 구비되며, 하단에 제3감지부(1741)가 설치된다. 제3감지부(1741)는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PCB(1900)에는 제3감지부(1741)를 감지하는 제7센서(1904)와, 제8센서(1902)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제7센서(1904)와, 제8센서(1902)는 차일드 로킹 해제상태인지, 차일드 로킹 상태인지 감지한다. 이러한 신호는 차량 ECU 등에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차일드 로킹 여부를 점등 등을 통해 알린다.
차일드 잠금부재(1700)는 제3감지부설치부(1740)의 우측 전면에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가 형성된다.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는 전방(제1걸림레버부(1450a)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후에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와 차일드 잠금부재(1700)의 전면 사이에는 차일드돌기(145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은 하부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의 수평단면형상은 로킹돌기 안내부(1507)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의 내측면(차일드돌기(1453)와 접촉하는 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구조가 더욱 단순해지며 내구성도 향상된다.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가 차일드돌기(1453)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의 제1걸림레버부(1450a)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의 차일드 잠금부재(1700)가 이동될 때 차일드 잠금부재(1700)에 상기 외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잠금부재 스프링(1760)과, 상기 하우징(1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가이드부재(1790)와,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1700)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1790)를 가이드하며 걸림홈(1786)이 형성된 캠부(17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잠금부재를 차일드 잠금부재(1700)로 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잠금부재는 잠금플레이트(1500)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외력은 구동부(1600)의 메인기어(1630)에 의해 형성되어, 하나의 구동부(1600)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1)를 닫을 수 있는 동시에 자동으로 차일드 로킹할 수 있다.
메인기어(1630)는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우측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킨다.
잠금부재 스프링(176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우측단은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형성된 잠금부재 스프링안착홈에 안착되고, 좌측단은 차일드 잠금부재(1700)의 우측단에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프링 끼움돌기(1761)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잠금부재 스프링(1760)은 하우징(1100)과 차일드 잠금부재(1700) 사이에 배치된다.
로킹 가이드부재(179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설치되는 본체부(1792)와, 상기 본체부(179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부(1791)를 포함한다.
본체부(1792)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형성된 본체부 안착홈에 안착된다.
본체부(1792)는 수직 단면형상이 원형상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1792)는 상부본체부와 상기 상부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본체부와 상기 하부본체부는 수직 단면형상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본체부와 상기 하부본체부의 맞닿는 면은 평편하게 형성되며, 맞닿는 면에는 로드부(1791)의 중간 부분이 삽입되는 로드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삽입홈은 로드부(1791)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축부분이 삽입되는 전후홈과, 상기 전후홈에 연통되며 로드부(1791)가 인출되는 인출홈을 포함한다. 상기 인출홈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인출홈은 로드부(1791)가 상기 축부분을 중심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각도 이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인출홈은 본체부(1792)의 외측을 향할수록 상하폭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로드부(1791)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로드부(1791)는 중간 부분의 양측이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 끝단이 중심을 향하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된다.
로드부(1791)의 양 끝단은 캠부(1780)에 가이드된다.
로드부(1791)의 일측은 차일드 잠금부재(1700)의 전방에 배치되고, 타측은 차일드 잠금부재(1700)의 후방에 배치된다.
로드부(1791)의 중간 부분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축부분 역할을 한다.
로드부(1791)의 양단 사이 중 어느 한 부분인 중간 부분은 상기 전후홈에 삽입되어, 본체부(179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로킹 가이드부재(1790)가 형성되어, 단순한 구조를 유지하는 동시에 차일드 잠금부재(1700)의 좌우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캠부(1780)는 차일드 잠금부재(1700)의 전면 및 후면에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캠부(178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차일드 잠금부재(1700)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캠부(1780)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로드부(1791)의 일측 끝단은 전방의 캠부(1780)에 삽입되고, 로드부(1791)의 타측 끝단은 후방의 캠부(1780)에 삽입된다.
캠부(1780)는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와 스프링 끼움돌기(1761) 사이에 배치된다. 캠부(1780)는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 및 스프링 끼움돌기(1761)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캠부(1780)는 우측에 배치되는 제1부분(1781)과, 제1부분(1781)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제2부분(1785) 및 제2부분(1785)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5부분(1782)과, 제2부분(1785)에 연속되는 제3부분과, 제3부분에 연속되는 제2경사면(1784)과, 제2경사면(1784)에 연속되는 제1경사면(1783)과, 제1경사면(1783)에 연속되는 제4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캠부(1780)는 찌그러진 하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부분(1781)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제2부분(1785) 및 제5부분(1782)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5부분(1782)은 제2부분(1785)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5부분(1782)과 제2부분(1785)이 만나는 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제5부분(1782)이 이루는 각은 상기 수평선과 제2부분(1785)이 이루는 각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부분(1785)과, 상기 제3부분과, 제2경사면(1784)은 상부 경로를 형성한다.
제1경사면(1783)과, 상기 제4부분과, 제5부분(1782)은 하부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경로와 상기 하부 경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걸림홈(1786)은 캠부(1780)의 좌측에 배치된다.
걸림홈(1786)은 상기 상부 경로와 상기 하부 경로 사이에 배치된다.
걸림홈(1786)은 우측으로 움푹 패이도록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걸림홈(1786)은 두개의 마주하는 제1,2경사면(1783,1784)에 의해 형성된다.
제1경사면(1783)은 제2경사면(1784)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경사면(1783)은 제2경사면(1784)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도어(1) 잠금 상태에서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는 도중에 도어 잠금 해제를 실행하여도 기능의 엉킴(잼/JAM) 없이 잠금 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잠금 상태에 있는 도어(1)의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긴다.
이때, 걸림레버부(1450)는 서브 로킹부재(1400)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잡아당긴 도어레버(미도시)를 따라 서브 로킹부재(1400)가 메인 로킹부재(1300)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메인 로킹부재(1300)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런 동작을 실행하는 중에 키나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동작을 실행하면 걸림레버부(1450)가 서브 로킹부재(1400)에 연결되기 위해 전방으로 회동한다.
하지만, 도어레버(미도시)를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걸림레버부(1450)가 회동하기 때문에 메인 로킹부재(1300)와 이격되어 있던 서브 로킹부재(1400)에는 걸림레버부(1450)가 연결되지 않고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걸림레버부(1450)가 들어가게 된다.
이때, 당기고 있던 도어레버(미도시)를 놓게 되면 서브 로킹부재(1400)가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메인 로킹부재(13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걸림레버부(1450) 내측으로 서브 로킹부재(1400)가 들어와서 걸림레버부(1450)가 서브 로킹부재(1400)에 체결완료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PCB(1900)에 설치된 센서들은 룸램프(미도시), 계기판(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사용자는 도어(1)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 닫힘>
도 22 내지 도 25에는 차량의 사이드에 있는 도어가 닫히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의 도어(1)를 사용자가 닫으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01)가 래치(1200)를 눌러서 래치(1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래치(12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되다가 제6센서(1910)를 누르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도어(1)가 닫히고 있다는 것으로 인지하지만, 모터(1610)는 아직 작동하지 않는다. 이때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0)의 외주면이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를 밀게 되어, 메인 로킹부재(1300)는 우측으로 밀려난다. 따라서, 제1감지부(1351)가 제1센서(1901)에 의해 감지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1)를 닫는 힘에 의해 래치(1200)는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되어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가 보조로킹홈(1202)에 삽입되면서 제1감지부(1351)가 제1센서(1901)에 의해 감지된다.
이와 같이, 제6센서(1910)와 제1센서(1901)가 모두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모터(1610)를 작동시킨다.
즉, 스트라이커(1101)가 래치(1200)를 눌러서 래치(1200)가 일정각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모터(1610)가 작동한다.
이 때문에 도어(1)가 열려 있는 경우 모터(1610)가 작동하는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모터(1610)의 작동으로 인해 메인기어(1630)의 전면에 설치된 걸림부(16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1200)의 돌기(1215)를 시계방향 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1200)의 로킹홈(1201)에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가 삽입되어 도어(1)가 닫히게 된다.
이때,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가 회동스프링(139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킹홈(1201)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로킹부(1371)의 래치삽입홈에 래치(1200)의 제1면이 삽입된다.
모터(1610)에 의해 걸림부(1631)가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 닫힘 위치까지 가면, 로킹부(1371)가 로킹홈(1201)에 삽입되어 제1감지부(1351)가 제1센서(1901)에 의해 감지된다. 이와 같이 모터(1610)가 도어 닫힘을 위해 작동하는 중에 제1감지부(1351)가 제1센서(1901)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걸림부(1631)가 도어 닫힘 위치까지 회전되었다고 판단하여 모터(1610)를 통해 걸림부(16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제5센서감지부(1641)가 제5센서(1911)를 누를 때까지 모터(161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메인기어(1630)는 기본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메인기어(1630)가 도어 닫힘이나 도어 잠금 작동 후에는 기본위치로 복귀되어 운전자가 수동으로도 도어 잠금 및 도어 닫힘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모터(1610)를 작동시켜 도어(1)를 닫고 있는 도중 도어(1)와 차체 사이에 유아의 손가락이나 옷이 끼는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도어레버(미도시)를 당기면 우측으로 이동한 제1감지부(1351)를 제2센서(1903)가 감지함에 따라 모터(1610)를 역회전시켜 걸림부(1631)를 로킹해제위치(기본위치)로 보내 도어(1)가 열릴 수 있게 한다.
<
도어잠금
>
도 26 내지 도 28에는 차량의 사이드에 있는 도어가 잠기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상태인 도어(1)가 키/리모컨/잠금버튼/노브/도어아웃레버센서/차량 속도 임계값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로킹구동부(1650)의 모터(1651)를 통한 도어 잠금이 입력되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51)가 작동하여 제2기어(16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기어(165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회전 걸림부(1656)가 잠금플레이트(1500)의 잠금 걸림부(1502)를 밀어서 잠금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잠금플레이트(15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로킹돌기 안내부(1507)의 경사면(1511)을 타고 삽입공간(1509)에 삽입되어 걸림돌기(1455)가 후방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455)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에서 각각 이탈된다. 이로 인해, 도어(1)가 잠금 상태가 되어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 걸림부(1656)는 잠금플레이트(1500)의 제2감지부(1521)를 제4센서(1907)에서 감지할 때까지 잠금플레이트(1500)를 밀고,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어(1)를 키를 통해 잠금하려면, 키를 차량의 키삽입홈에 넣어서 키 커넥트(1550)를 운전자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키 커넥트(1550)가 회전하면 제1 키 걸림부(1554)가 잠금플레이트(1500)의 잠금 걸림부(1502)를 밀어서 잠금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잠금플레이트(15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돌기(1455)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에서 각각 이탈된다. 이로 인해, 도어(1)가 잠금 상태가 된다.
제어부가 제4센서(1907)에서 신호를 전달받으면 잠금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사용자는 키를 반대로 돌린 후에 키를 빼낸다. 이를 통해 키 커넥트(155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
도어잠금해제
>
도 29 및 도 30에는 차량의 사이드에 있는 도어가 잠금해제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인 도어(1)가 키/리모컨/레버 잠금버튼/노브/도어아웃레버센서/차량 속도 임계값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로킹구동부(1650)의 모터(1651)를 통한 도어 잠금 해제가 입력되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51)가 작동하여 제2기어(165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기어(165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회전 걸림부(1657)가 잠금 걸림부(1502)를 밀어서 잠금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잠금플레이트(15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로킹돌기 안내부(1507)의 삽입공간(1509)에서 빠져나오고 제2복귀스프링(1460)에 의해 걸림돌기(1455)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455)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에 각각 걸리게 된다. 이로인해, 도어(1)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에 힘이 전달된다.
제2회전 걸림부(1657)는 잠금플레이트(1500)의 제2감지부(1521)를 제3센서(1905)에서 감지할 때까지 잠금플레이트(1500)를 밀고,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어(1)를 키를 통해 잠금해제하려면, 키를 차량의 키삽입홈에 넣어서 키 커넥트(1550)를 운전자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키 커넥트(1550)가 회전하면 제2 키 걸림부(1552)가 잠금플레이트(1500)의 잠금 걸림부(1502)를 밀어서 잠금플레이트(1500)를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잠금플레이트(15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돌기(1455)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에 각각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도어(1)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제어부가 제3센서(1905)에서 신호를 전달받으면 잠금해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사용자는 키를 반대로 돌린 후에 키를 빼낸다. 이를 통해 키 커넥트(155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
도어인레버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해제
>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잠금 상태일 때,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인레버(미도시)를 한번 잡아당기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때,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메뉴얼 잠금부재 누름부(1407)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동시에 메뉴얼 잠금부재(1560)의 제1걸림부(1563)를 우측으로 밀게 된다. 이로 인해 메뉴얼 잠금부재(1560)의 제2걸림부(1562)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걸림부(1562)는 잠금플레이트(1500)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플레이트(1500)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로킹돌기 안내부(1507)의 삽입공간(1509)에서 빠져나오고 제2복귀스프링(1460)에 의해 걸림돌기(1455)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455)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에 각각 걸리게 된다. 이로인해, 도어(1)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이때, 도어인레버(미도시)를 다시 한번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의 로킹부(1371)에서 래치(1200)가 이탈하여 도어(1)가 열리게 된다.
<
차일드
잠금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운전자가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을 버튼 등을 통해 입력하면 구동부(1600)의 모터(1610)가 작동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10)가 작동되면 메인기어(1630)도 회전한다. 메인기어(1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차일드 잠금부재 걸림부(1635)에 메인기어걸림돌기(1710)가 걸려서, 차일드 잠금부재(1700)도 우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메인기어(1630)가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우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차일드 잠금부재(1700)에 1차로 외력이 가해지면 잠금부재 스프링(1760)은 수축되고, 캠부(1780)의 제1부분(1781)에 있던 로드부(1791)는 상기 하부 경로로 이동되어 걸림홈(1786)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차일드 잠금부재(1700)는 좌측방향으로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탄성력을 받게 되어 차일드 잠금부재(1700)의 위치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즉, 차일드 잠금부재(1700)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된다.
차일드 잠금부재(17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차일드 돌기(1453)가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에 걸려서 후방으로 안내된다. 이로 인해, 제1걸림레버부(1450a)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제1걸림턱(1405a)에서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메인 로킹부재(1300)는 분리되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메인 로킹부재(1300)는 함께 슬라이딩하지 않게 된다.
한편, 모터(1610)는 제3감지부(1741)를 제8센서(1902)에서 감지할 때까지 작동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1600)를 통해 자동으로 차일드 로킹한 후에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10)는 반대로 회전하여 기본위치로 이동한다. 메인기어(1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차일드 잠금부재(1700)에는 걸리지 않는다.
<
차일드
잠금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해제>
운전자가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해제를 버튼 등을 통해 입력하면 구동부(1600)의 모터(1610)가 작동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10)가 작동되면 도어 잠금할 때와 동일하게 메인기어(163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잠금 상태에 있다가 잠금 해제 상태로 하기 위해 메인기어(1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메인기어(1630)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회전시킨 후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기본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메인기어(1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차일드 잠금부재 걸림부(1635)에 메인기어걸림돌기(1710)가 걸려서, 차일드 잠금부재(1700)도 약간 우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메인기어(1630)가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우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차일드 잠금부재(1700)에 2차로 외력이 가해지면 로드부(1791)는 걸림홈(1786)에서 빠져나온다.
이후 메인기어(1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차일드 잠금부재(1700)는 메인기어(1630)에도 걸리지 않아서 좌측방향으로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탄성력만 받게 된다. 따라서,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탄성력으로 인해 차일드 잠금부재(1700)는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 잠금부재(1700)가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로드부(1791)는 상기 상부 경로로 이동되어 캠부(1780)의 제1부분(1781)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차일드 잠금부재(170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돌기 안내부(1720)에서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차일드 돌기(1453)는 빠져나와서,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우측은 제2복귀스프링(146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1걸림레버부(1450a)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제1걸림턱(1405a)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메인 로킹부재(1300)는 연결되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메인 로킹부재(1300)는 함께 슬라이딩한다.
한편, 제3감지부(1741)가 제7센서(1904)에서 감지되면 제어부는 차일드 로킹 해제되었음을 알린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일드 잠금부재(1700)는 1차 외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부 경로로 로드부(1791)의 끝단이 이동되어 걸림홈(1786)에 걸리고, 2차 외력을 가했을 때 로드부(1791)의 끝단이 걸림홈(1786)에서 빠져나와 상기 상부 경로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차일드 잠금부재(1700)는 1차 외력을 가하면 이동된 후에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고, 이어서 2차 외력을 상기 1차 외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하면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단순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차일드 잠금부재(1700)를 래치(1200)와 동일한 메인기어(1630)에 의해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메인기어(1630)가 상기 래치(1200)를 회전시킬 때 차일드 잠금부재(1700)의 로킹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10)를 통해 도어(1)를 자동으로 닫기 위해 걸림부(1631)가 상기 도어 닫힘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나 이동 중 또는 기본위치로 복귀중에 모터(1610)가 고장이 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어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킹부재(130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걸림부 누름부(1330)도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걸림부 누름부(1330)는 걸림부(1631)의 머리부(1631a)를 누르게 된다. 머리부(1631a)가 눌리게 되면 머리부(1631a)는 래치(1200)의 돌기(1215)보다 후방으로 이동되어 걸림부(1631)와 래치(1200)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후,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1)를 잡아당기게 되면 스트라이커(1101)가 래치(1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어(1)는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1600)를 통해 도어(1)를 닫는 중이나 닫은 후에 구동부(1600)가 고장나더라도 도어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수동으로 도어(1)를 열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도어레버를 놓게 되면 걸림부(1631)는 리턴스프링(1648)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원위치된다.
한편,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가 아닌 평상시(걸림부(1631)가 기본위치에 있을 때)에는 사용자가 도어(1)를 열거나 도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도어레버를 잡아당기더라도 회피굴곡부(1332)로 인해 걸림부 누름부(1330)에 의해 걸림부(1631)는 눌리지 않는다. 따라서, 평상시에 메인 로킹부재(1300)를 이동시키는(슬라이딩시키는) 작동력이 상승되는 것이 방지된다.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조립방법>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설치되는 부재들(잠금플레이트 구동부 차일드 잠금부재(1700) 등)을 설치한다. 이어서 제3하우징(1150)을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볼트나 리벳을 통해 결합 및 체결한다.
제1하우징(1110) 전면에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등을 설치한다. 제2하우징(1130)의 후면에 래치(1200)와 제1복귀스프링(1250)과 회동부재(1370)와 회동스프링(1390)이 래치회동축(1230)과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과 회동축(1380)과 회동스프링걸림축(1391)에 의해 설치된다. 이어서,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30)을 볼트나 리벳을 통해 서로 결합 및 체결시켜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공정을 통해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조립 공정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잠금해제케이블연결부가 잠금플레이트의 좌측에 형성되어, 도어레버연결부(2800)와 반대방향인 잠금해제케이블(2810)이 하우징(2100)의 좌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1)의 창문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노브(6)는 잠금해제케이블(2810)를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잠금해제케이블(2810)을 길게 늘여서, 모터(2610)가 스트라이커삽입홈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도어(1)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터(2610)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47 내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외력에 의해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3700)가 이동될 때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3700)에 상기 외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잠금부재 스프링(3760)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3700)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가이드부재(3790)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3790)를 가이드하며 걸림홈(3786)이 형성된 캠부(37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3790)는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37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부(3780)는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3110)의 배면에 형성된다.
잠금부재 스프링(376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잠금부재 스프링(3760)은 이하 서술되는 캠커버(3730)와 차일드 잠금부재(3700) 사이에 배치된다.
차일드 잠금부재(3700)의 우측 후면에는 잠금부재 스프링(3760)의 전방이 안착되는 제1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안착홈은 후방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캠커버(3730)의 내측에는 좌우방향으로 잠금부재 스프링(3760)의 후방이 안착되는 제2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스프링안착홈은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잠금부재 스프링(3760)은 우측단이 캠커버(3730) 즉 제1하우징(3110)에 지지되고, 좌측단이 로킹 가이드부재(3790)의 스프링가압부(3794)에 지지된다. 로킹 가이드부재(3790)의 스프링가압부(3794)는 차일드 잠금부재(3700)의 제2평탄부(3752)와 잠금부재 스프링(3760)의 좌측단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잠금부재 스프링(3760)의 탄성력은 차일드 잠금부재(3700) 뿐만 아니라 로킹 가이드부재(3790)에도 전달된다.
로킹 가이드부재(3790)는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일드 잠금부재(3700)의 우측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차일드 잠금부재(3700)의 우측 전방에는 로킹 가이드부재(3790)가 안착 및 유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유동홈(3751)이 형성된다. 가이드부재유동홈(3751)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로킹 가이드부재(3790)에는 상기 캠부(3780)에 의해 가이드되는 캠가이드부(3793)와, 상기 잠금부재 스프링(3760)의 탄성력을 받는 스프링가압부(3794)가 형성된다.
캠가이드부(379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로킹 가이드부재(3790)의 우측 끝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로킹 가이드부재(3790)가 차일드 잠금부재(3700)에 설치되었을 때, 캠가이드부(3793)는 인접한 차일드 잠금부재(3700)의 다른 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로킹 가이드부재(3790)에서 캠가이드부(3793)에 근접한 부분은 캠가이드부(3793)로 향할수록 상하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로킹 가이드부재(3790)의 좌측 후방에는 힌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차일드 잠금부재(3700)에는 로킹 가이드부재(3790)의 힌지가 관통되는 힌지구멍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힌지구멍은 우측은 굴곡지고, 좌측은 평평하여 반달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구멍은 로킹 가이드부재(3790)의 힌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구멍이 반달모양으로 형성되더라도 차일드 잠금부재(3700)에 대해 로킹 가이드부재(379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로인해, 로킹 가이드부재(3790)는 차일드 잠금부재(37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구멍 전방은 가이드부재유동홈(3751)에 연통된다. 상기 힌지구멍 후방은 상기 제1스프링안착홈에 연통된다.
스프링가압부(3794)는 로킹 가이드부재(3790)의 힌지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가압부(3794)는 로킹 가이드부재(3790)의 좌측에 후방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로킹 가이드부재(3790)의 부품수가 감소하고 구조도 단순해진다.
스프링가압부(3794)의 단면형상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가압부(3794)에는 상기 잠금부재 스프링(3760)의 탄성력을 받는 면의 반대면에 제1평탄부(3794a)가 형성된다. 스프링가압부(3794)에서 제1평탄부(3794a)와 굴곡부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3700)에는 상기 제1평탄부(3794a)와 마주보는 제2평탄부(3752)가 형성된다.
상기 캠가이드부(3793)의 수평 중심과 상기 스프링가압부(3794)의 수평 중심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캠가이드부(3793)의 중심은 상기 스프링가압부(3794)의 중심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외력이 없어지면 잠금부재 스프링(3760)에 의해 제1평탄부(3794a)와 제2평탄부(3752)는 맞닿게 되어 로킹 가이드부재(3790)의 캠가이드부(3793)은 상부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차일드 잠금부재(3700)가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캠부(3780)는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31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캠커버(3730)의 내측 전방에 일체로 형성된다.
캠커버(3730)에는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3700) 및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3790)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373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홈(3731)은 좌측은 개방되고 우측은 막히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홈(3731)은 상기 제2스프링안착홈에 연통된다. 따라서, 차일드 잠금부재(3700)의 우측은 캠커버(3730)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캠커버(3730)는 잠금부재 스프링(3760)과 로킹 가이드부재(3790)와 차일드 잠금부재(3700)를 둘러싸서,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모듈화될 수 있어서 조립성이 더욱 개선된다.
차일드 잠금부재(3700)의 우측 상부 및 하부에는 조립후크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커버(37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조립후크가 삽입되는 조립후크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후크체결공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일드 잠금부재(3700)와 캠커버(3730)의 조립상태는 유지하되, 차일드 잠금부재(3700)는 캠커버(373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립후크 및 상기 조립후크체결공으로 인해, 모듈화가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캠커버(3730)의 전면 하부에는 제1하우징(3110)의 후면에 형성된 캠커버 결합홈에 끼워지는 캠커버 결합돌기(373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캠커버 결합돌기(3732)로 인해, 캠커버(3730)는 제1하우징(311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캠부(3780)는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캠부(3780)는 슬라이딩홈(3731)에 연통된다.
캠부(3780)는 우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제1경사면(3781)과, 제1경사면(3782)의 하단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우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제2경사면(3782)과, 제2경사면(3782)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좌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제3경사면(3783)과, 제3경사면(3783)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좌측으로 오목하게 원호형상으로 굴곡져서 걸림홈(3786)을 형성하는 제1굴곡부와, 상기 제1굴곡부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우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제4경사면과, 상기 제4경사면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좌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위로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2굴곡부(3787)에 의해 형성된다. 제2굴곡부(3787)는 제1경사면(3781)의 상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캠부(3780)가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캠가이드부(3793)가 걸림홈(3786)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1경사면(3781)과 제2경사면(3782)과 제3경사면(3783)과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4경사면과 제2굴곡부(3787)는 캠커버(3730)의 내벽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캠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캠부(3780)는 로킹 가이드부재(3790)와 차일드 잠금부재(37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경사면(3781)과 제2경사면(3782)과 제3경사면(3783)은 하부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4경사면과 제2굴곡부(3787)는 상부경로를 형성한다.
캠부(3780)는 제3경사면(3783)과 제1굴곡부와 제4경사면과 제2굴곡부(3787)에 의해 형성된 부분의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캠커버(3730)를 사출성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차일드 잠금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운전자가 차일드 잠금부재(3700)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을 버튼 등을 통해 입력하면 구동부의 모터가 작동된다. 모터가 작동되면 차일드 잠금부재(3700)도 우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차일드 잠금부재(3700)에 1차로 외력이 가해지면 잠금부재 스프링(3760)은 수축되고, 캠부(3780)의 좌측에 있던 로킹 가이드부재(3790)는 상기 하부 경로로 이동되어 걸림홈(3786)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차일드 잠금부재(3700)는 좌측방향으로 잠금부재 스프링(3760)의 탄성력을 받게 되어 차일드 잠금부재(3700)의 위치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제1실시예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도어인레버를 잡아당겨도 도어는 열리는 않게 된다.
<차일드 잠금부재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해제>
운전자가 차일드 잠금부재(3700)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 해제를 버튼 등을 통해 입력하면 구동부의 모터가 작동된다. 모터가 작동되면 도어 잠금할 때와 동일하게 메인기어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잠금 상태에 있다가 잠금 해제 상태로 하기 위해 메인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메인기어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회전시킨 후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기본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메인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차일드 잠금부재(3700)도 약간 우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차일드 잠금부재(3700)에 2차로 외력이 가해지면 로킹 가이드부재(3790)의 캠가이드부(3793)는 잠금부재 스프링(3760)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향하게 되어 걸림홈(3786)에서 빠져나온다.
이후 메인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차일드 잠금부재(3700)는 메인기어에도 걸리지 않아서 좌측방향으로 잠금부재 스프링(3760)의 탄성력만 받게 된다. 따라서, 잠금부재 스프링(3760)의 탄성력으로 인해 차일드 잠금부재(3700)는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차일드 잠금부재(3700)가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로킹 가이드부재(3790)는 상기 상부 경로로 이동되어 캠부(3780)의 좌측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차일드 잠금부재(370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도어인레버를 통해 도어를 열수 있게 된다.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제1하우징(3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3130)은 두개로 분할되어 구비된다. 분할된 제2하우징(3130)은 각각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3130)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금속 제2하우징(3130a)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제2하우징(3130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2하우징(3130)은 형성되어 내구성은 유지하는 동시에 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금속 제2하우징(3130a)은 장치의 좌측에 배치되고, 플라스틱 제2하우징(3130b)은 장치의 우측 하부에 배치된다.
금속 제2하우징(3130a)에는 장치를 도어에 볼팅체결할 수 있도록 설치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 제2하우징(3130a)에는 래치 및 회동부재 등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
>===================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52 내지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4200)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4200)를 로킹시키는 도어닫음부재와, 상기 래치(420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래치(4200)를 회동시키는 메인기어(463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46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5센서(4911)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4630)에는 상기 제5센서(4911)에 의해 감지되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46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와 상기 제2메인기어 감지부(4633)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닫음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4110)의 전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411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연결되는 회동부재(437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래치(4200)를 로킹시키는 메인 로킹부재(4300)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43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서브 로킹부재를 포함한다.
메인 로킹부재(4300)와 서브 로킹부재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4610)와, 모터(4610)의 축에 설치되는 제1웜(4613)과, 제1웜(4613)에 치합되는 감속기어(4620)와, 감속기어(4620)에 치합되어 래치(4200)를 회동시키는 메인기어(4630)를 포함한다.
또한, 제1하우징(4110)에는 메인기어(46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5센서(4911)가 설치된다. 제5센서(4911)는 메인기어(4630)가 기본위치에 있을 때 감지되도록 배치된다. 제5센서(4911)의 상세한 설치 위치 및 설치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인기어(4630)는 래치(42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기어(4630)에는 래치(4200)를 회전시키는 걸림부(4631)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부(4631)는 래치(4200)의 돌기(4215)에 걸린다.
걸림부(463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메인기어(463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메인기어(4630)에는 제5센서(4911)에 의해 감지되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4633)가 구비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는 걸림부(4631)의 외통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제1하우징(4110)의 후면과 메인기어(4630)의 전면 사이에는 이하 서술되는 차일드 잠금부재(4700)가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는 차일드 잠금부재 걸림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차일드 잠금부재 걸림부에는 차일드 잠금부재(4700)의 메인기어 걸림돌기가 걸린다. 이와 같은 차일드 잠금부재 걸림부를 통해 상기 구동부는 차일드 잠금부재(4700)를 차일드 로킹 위치 또는 차일드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도 한다.
즉, 걸림부(4631)가 제1메인기어 감지부 및 차일드 잠금부재 걸림부 역할도 한다.
제2메인기어 감지부(4633)는 차일드 잠금부재(4700)의 후방에 배치되어 메인기어(4630)가 회전될 때 차일드 잠금부재(4700)에 걸리지 않게 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4633)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메인기어 감지부(4633)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4633)는 상기 메인기어(463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4633)를 단순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4633)는 메인기어(4630)의 비기어부에 형성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4633)는 중심부로 향할 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되는 제5센서(4911)를 원활하게 누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메인 로킹부재(4300)에는 걸림부(4631)를 누르는 걸림부 누름부(4330)가 형성된다. 걸림부 누름부(4330)의 구체적인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동부재(4370)에는 로킹부(4371)와 삽입돌기(4373)가 형성된다.
또한, 회동부재(4370)에는 래치(4200)에서 상부로 돌출된 제1면(4203)이 삽입되는 래치삽입홈(4372)이 형성된다. 래치삽입홈(4372)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로킹부(4371)와 삽입돌기(4373)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래치삽입홈(4372)으로 인해 도어 닫음시 래치(4200)가 회동부재(4370)에 로킹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메인 로킹부재(4300)에는 삽입돌기(4373)가 삽입되는 회동부재삽입홈(4317)이 형성된다.
회동부재(4370)가 상기 래치(4200)에 의해 눌려서 우측으로 이동될 때 메인 로킹부재(4300)는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회동부재삽입홈(4317)은 삽입돌기(4373)보다 좌우폭이 크게 형성된다. 즉, 회동부재삽입홈(4317)은 삽입돌기(4373)보다 회동부재(4370)의 회동방향으로의 폭이 크게 형성된다. 그러나, 메인 로킹부재(4300)가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회동부재(4370)도 연동되어 우측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로 인해, 회동부재(4370)가 래치(4200)에 의해 우측으로 눌리더라도 메인 로킹부재(4300)는 이동되지 않아서, 도어가 닫힐 때 걸림부 누름부(4330)가 걸림부(4631)를 누르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를 통해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닫을 때 오작동 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어 닫힘>
도 52 내지 도 54에는 차량의 사이드에 있는 도어가 닫히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열린 상태의 도어를 사용자가 닫으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4201)에 삽입되면서 래치(4200)를 눌러서 래치(4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래치(42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되다가 제6센서를 누르게 되고, 회동부재(4370)의 로킹부(4371)가 보조로킹홈(4202)에 삽입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6센서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구동부의 모터(4610)를 작동시켜서 걸림부(46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걸림부(4631)에 래치(4200)는 걸려서 래치(4200)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4200)의 외주면(보조로킹홈과 로킹홈 사이)이 회동부재(4370)의 로킹부(4371)를 밀게 된다. 그러나, 회동부재삽입홈(4317)에는 회동부재(4370)의 삽입돌기(4373)가 우측으로 도피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메인 로킹부재(4300)는 우측으로 밀려나지 않고 원위치를 유지한다.
이어서,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610)에 의해 걸림부(4631)가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 닫힘 위치까지 가면, 로킹부(4371)가 로킹홈(4201)에 삽입되고, 제2메인기어 감지부(4633)가 상기 제5센서(4911)에 의해 감지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5센서(491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모터(46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가 제5센서(4911)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상기 메인기어(4630)를 역회전시킨다. 즉,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4631)가 제5센서(4911)를 누르면 모터(4610)의 작동을 멈춘다.
따라서, 메인기어(4630)는 기본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메인기어(4630)가 도어 닫힘이나 도어 잠금 작동 후에는 기본위치로 복귀되어 운전자가 수동으로도 도어 잠금 및 도어 닫힘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1개의 센서를 통해서 래치(4200)를 도어닫힘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메인기어(4630)를 기본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4200)에는 상기 도어닫음부재의 회동부재(4370)에 형성되는 로킹부(4371)가 1차로 삽입되는 보조로킹홈(4202)과, 상기 로킹부(4371)가 2차로 삽입되는 로킹홈(4201)이 형성된다.
로킹부(4371)가 보조로킹홈(4202)에 삽입될 때(도 55의 a)부터 로킹부(4371)가 로킹홈(4201)에 삽입될 때(도 55의 b)까지의 스트라이커(1101)의 상하이동거리(d)가 12mm이상 되도록, 로킹홈(4201)과 보조로킹홈(4202)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기존 스트라이커(1101)의 이동거리인 7mm보다 이동거리가 길어져서 탑승자가 더욱 용이하게 도어가 모터(461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고 있는 과정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끼임방지 여유공간이 늘어나게 되어 안전성이 더욱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래치(4200)에는 스트라이커(1101)가 걸리는 스트라이커 걸림돌기(4204)가 추가로 형성된다.
스트라이커 걸림돌기(4204)는 로킹홈(4201) 내부에 배치되어,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4201)에 삽입된 후 빠지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스트라이커 걸림돌기(4204)는 제1면(4203)이 형성된 면(로킹부(4371)가 걸리는 면)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스트라이커 걸림돌기(4204)에서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4201)에 삽입될 때 마주하는 면 및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4201)으로부터 빠져나갈 때 마주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4201)에 원활하게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다.
또한, 래치(4200)를 복귀시키는 제1복귀스프링(425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제1복귀스프링(425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절곡된 각도가 90도 이상인 제1,2절곡부(4252,4253)가 형성된다. 제1절곡부(4252)는 상부를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고, 제2절곡부(4253)는 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다.
제1복귀스프링(4250) 제1절곡부(4252)는 제1복귀스프링걸림축(4251)에 걸리고, 코일부는 래치회동축에 감겨지고, 제2절곡부(4253)는 래치(4200)의 스프링끼움부(4213)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제1복귀스프링(4250)에 제1,2절곡부(4252,4253)가 형성되어 조립성이 더욱 개선된다.
또한, 회동부재(4370)를 복귀시키는 회동스프링도 제1복귀스프링(4250)과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양 끝단에 절곡된 각도가 90도 이상인 제1,2절곡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해제 시키는 잠금플레이트(4500)는 차일드 잠금부재(47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잠금플레이트(4500)는 상기 로킹구동부에 의해서 로킹 위치 또는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잠금플레이트(4500)의 우측 하부에는 스토퍼장공(457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토퍼장공(4571)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스토퍼장공(4571)의 양측 상하폭은 중심부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스토퍼장공(4571)의 중심부에는 잘록부(4576)가 형성된다.
스토퍼장공(4571)에는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퍼돌기(4107)가 삽입된다.
따라서,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잠금플레이트(4500)는 로킹 위치 또는 로킹 해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잠금플레이트(4500)에는 스토퍼장공(4571)의 잘록부(4576)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슬릿(4578)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4578)으로 인해 스토퍼돌기(4107)가 스토퍼장공(4571)의 잘록부(4576)를 통과할 때 원활하게 잠금플레이트(4500)가 탄성변형될 수 있다.
키 커넥트(4550)는 상기 로킹구동부의 제2기어(4653)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키 커넥트(4550)에 형성된 제1,2키 걸림부(4554, 4552)는 상기 제2기어(4653)에 형성된 제1,2회전걸림부(4656, 4657)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2키 걸림부(4554, 4552)의 하부에는 경사면(4556)이 형성된다.
경사면(4556)은 제1,2키 걸림부(4554, 4552)의 상하두께가 끝단을 향할수록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2키 걸림부(4554, 4552)가 형성되어, 키 커넥트(4550)가 회전할 때 다른 부재에 걸리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구동성이 더욱 개선된다.
차일드 잠금부재(4700)는 상기 연결수단을 이동시켜서 제1서브 로킹부재와 메인 로킹부재(4300)를 연결하거나 분리한다.
차일드 잠금부재(4700)를 차일드 로킹위치나 차일드 로킹해제 위치에 정지시키는 캠부(4780)는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캠커버(4730)에 형성된다.
캠커버(4730)의 전면에는 캠커버 결합돌기(47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는 상기 캠커버 결합돌기(4732)가 삽입되는 캠커버 결합홈(4121)이 형성된다.
캠커버 결합돌기(4732)는 캠부(4780)의 좌측에 배치된다.
캠커버 결합돌기(4732)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며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캠커버 결합돌기(4732)는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캠커버 결합돌기(4732)로 인해, 캠커버(4730)의 체결력이 더욱 커져서 캠커버(4730)의 조립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의 감속기어(4620)의 축은 감속기어축 지지판(46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감속기어축 지지판(4623)에는 감속기어(4620)의 축이 끼워지는 축관통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감속기어축 지지판(4623)은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형성된 지지판 삽입홈(4122)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감속기어축 지지판(4623)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관통공은 감속기어축 지지판(4653)의 후방에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감속기어축 지지판(4623)이 형성되어, 감속기어축 지지판(4623)은 지지판 삽입홈(4122)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감속기어축 지지판(4623)을 용이하게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감속기어축 지지판(4623)의 체결력이 더욱 향상된다.
제1하우징(4110)의 우측 후면 하부에는 피씨비(PCB:4900)가 삽입되는 피씨비삽입홈(4102)이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4110)의 내벽에는 피씨비(4900)의 양측을 지지하는 피씨비 지지부(4104)가 형성된다. 피씨비 지지부(4104)에는 피씨비(4900)의 양측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피씨비(4900) 하부와 제1하우징(4110)에서 피씨비(4900)의 하부와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피씨비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에 배선 연결을 위한 납땜 등이 배치될 수 있어서, 피씨비(4900)를 더욱 용이하게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씨비(4900) 상부와 제1하우징(4110)에서 피씨비(4900)의 상부와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피씨비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 : 하우징
1200 : 래치
1300 : 메인 로킹부재
1400 : 서브 로킹부재
1450 : 걸림레버부
1500 : 잠금플레이트
1600 : 구동부
1700 : 차일드 잠금부재
1800 : 도어레버연결부
1900 : PCB
1100 : 하우징
1200 : 래치
1300 : 메인 로킹부재
1400 : 서브 로킹부재
1450 : 걸림레버부
1500 : 잠금플레이트
1600 : 구동부
1700 : 차일드 잠금부재
1800 : 도어레버연결부
1900 : PCB
Claims (2)
-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도어닫음부재;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는 잠금부재;
상기 래치를 회동시키거나 상기 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잠금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잠금부재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8100A KR20170134291A (ko) | 2017-11-24 | 2017-11-24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8100A KR20170134291A (ko) | 2017-11-24 | 2017-11-24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7326A Division KR101808548B1 (ko) | 2015-12-28 | 2015-12-28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4291A true KR20170134291A (ko) | 2017-12-06 |
Family
ID=6092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8100A KR20170134291A (ko) | 2017-11-24 | 2017-11-24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34291A (ko) |
-
2017
- 2017-11-24 KR KR1020170158100A patent/KR2017013429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8548B1 (ko)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
KR101821243B1 (ko)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
KR101808547B1 (ko) | 도어 래치 시스템 | |
KR102363862B1 (ko) | 안전 장치가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 | |
KR101972508B1 (ko)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
JP6178918B2 (ja) | ドアラッチシステム | |
US11958440B2 (en) | Vehicle interior component | |
KR102059334B1 (ko) |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 |
KR101995346B1 (ko)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
KR101781531B1 (ko)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
KR101971149B1 (ko) | 도어 래치 시스템 | |
KR20170134291A (ko)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
CN114096731B (zh) | 车门电子锁闩 | |
KR20180105047A (ko)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
KR20170135783A (ko) | 도어 래치 시스템 | |
KR102122714B1 (ko) | 비상 해제 가능한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 |
KR101633470B1 (ko) |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