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334B1 -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334B1
KR102059334B1 KR1020180094276A KR20180094276A KR102059334B1 KR 102059334 B1 KR102059334 B1 KR 102059334B1 KR 1020180094276 A KR1020180094276 A KR 1020180094276A KR 20180094276 A KR20180094276 A KR 20180094276A KR 102059334 B1 KR102059334 B1 KR 102059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groove
hous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8009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334B1/ko
Priority to PCT/KR2019/010024 priority patent/WO202003637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히든 핸들과 전동식 래치가 연동되고, 전동식 래치의 오작동에 의한 도어 열림방지 장치를 구비하고, 전동식 래치에 신칭 모듈을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Electronic Opening and Closing Integrated Apparatus for Vehicle Door}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도어를 전동개폐하는 데 필요한 히든 핸들과 전동식 래치와 신칭 모듈을 통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의 내부 및 외부에는 도어의 록(lock) 및 언록(unlock), 도어 오픈(open) 및 클로즈(close)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 래치(door latch), 도어 오픈 조작을 위한 인사이드 핸들과 아웃사이드 핸들, 키(key) 또는 버튼을 이용한 도어 록 및 언록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록 기구, 그리고 도어 록 상태를 수동조작하기 위한 세이프티 노브(safety knob)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도어록 기구의 키 실린더(도 2에서 도면부호 4)에 차량 키를 삽입하고 키를 회전시킬 때, 그 회전력이 기계적 및 회로적인 연결구조에 의해 도어 래치에 전달되어 도어 록 및 언록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는 리모컨(포브(fob) 키)의 버튼 조작으로 도어 록 및 언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PIC(Personal Identification Card)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서는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에 접근할 경우 도어 래치에 의한 도어 록이 해제되어 운전자가 도어를 바로 오픈시킬 수 있다.
또는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핸들의 버튼을 눌러 도어 록을 해제한 뒤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겨서 도어를 오픈시킨다.
또한, 도어 래치에 의한 도어 록이 해제된 상태, 즉 도어 언록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할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또는 로드)을 통해 핸들의 조작력이 도어 래치로 전달되어 도어 래치의 도어오픈 작동(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도어 언록 상태에서 도어 오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아웃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 간의 기계적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적 사항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아웃사이드 핸들로서 전동식 히든 핸들이 적용된 경우 핸들을 회전 작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는데, 핸들 측의 모터는 핸들을 도어 해제시에만 조작될 수 있도록 도어 패널 외측으로 인출시키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인출되지 않도록 도어패널 내측으로 수납시키기 위한 것으로, 잠금시에는 핸들을 도어 패널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리모컨을 언록 조작하거나 스마트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모터를 구동시켜 핸들을 당김 조작 가능하게 도어 패널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도 1은 본 특허의 전동식 리트랙터블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핸들(2)이 도어 패널(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인입된 상태를, (b)는 핸들(2)이 당김 조작 가능하게 도어 패널(1)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c)는 사용자가 핸들(2)을 당김 조작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이 도어 패널(1)의 장착부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 패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가, 핸들(2)이 미도시된 내부 모터(3)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도어 패널(1) 외측으로 인출된다.
종래의 전동식 히든 핸들과 도어 래치 구조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에 제시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종래의 전동식 리트랙터블 핸들과 도어 래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핸들(2)이 모터(3)에 의해 수납된 상태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핸들(2)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모터(3)가 작동하여 핸들(2)을 당김 조작 가능하게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전동식 리트랙터블 핸들이 적용된 경우에도 도어록 기구의 키 홀에 차량 키를 삽입하고 키를 회전시킬 때 그 회전력이 도어 래치(5)에 전달되어 도어 록 및 언록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모컨(미도시)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에 접근할 경우 도어 래치(5) 내부의 모터를 포함하는 전동 액추에이터(6)에 의해 도어 록/언록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도어 록과 언록 작동은 도어 래치 또한 자체 액추에이터(6)를 가지고 있으므로 핸들의 인출과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핸들(2)과 도어 래치(5)는 케이블(7)을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배선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7)은 도어 오픈작동을 위해 이용된다.
즉, 핸들(2) 측 모터(3)에 의해 핸들이 인출 되었을 때, 도어 언록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당겨주게 되면, 핸들의 조작력이 케이블(7)을 통해 도어 래치(5)로 전달되고, 이로써 케이블(7)에 의해 연결된 도어 래치(5)가 작동하여 도어를 오픈시키게 된다.
이러한 핸들(2)을 인출시키기 위한 모터(3)에는 감속기어가 연결되어 감속기어가 모터(3)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감속기어는 핸들을 인출하는 시스템에 동력을 전달한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의 기술은 도어의 록과 언록만 전동 액추에이터(6)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되고 도어 오픈은 케이블(7)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도어 오픈 작동 또한 전기적으로 작동하게 하여, 기계적 수단보다 더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56175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56175호'에는 래치기어(20)의 동작에 의해 전기접점이 연결 또는 차단되는 감지센서스위치(80)가 포함된다. 감지센서스위치(80)는 래치기어(20)가 열림 상태일 때 전원을 차단하여 래치기어(2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감지센서스위치(80)는 래치기어(20)가 닫힘 상태일 때 전기적 오작동이 발생하여 주행중 래치기어(20)가 열리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주행중 전기적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수단 및 주행중 전기적 오작동이 발생했을 때 래치기어(20)가 열리지 않게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1625'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오픈하는 오픈모터와 도어에 불완전잠김이 발생할 경우 이를 완전히 잠기도록 하는 신칭 모터의 기능을 하나로 합침으로써 하나의 모터로 신칭 기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액추에이터를 차량의 종류에 따라 변경할 수 없어, 신칭 기능을 구동하기 위해 차량마다 필요한 구동력을 충분히 공급해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8495호'에 액추에이터가 분리되어 있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도어래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래치는 고객이 신칭 기능의 추가 여부에 따라 결합 및 분리하기 용이하지 않아 편의성이 떨어진다. 또한,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이 여러 부품을 거쳐 스트라이커를 잠그는 크로 레버에 전달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지고 제조단가가 증가되고,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며, 부피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56175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162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849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히든 핸들과 전동식 래치가 연동되어 동작하고, 히든 핸들과 전동식 래치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2중 연결함으로써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도어 열림방지를 제공하고, 전동식 래치에 신칭 모듈을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는, 도어오픈 기능이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고, 신칭기능이 없는 전동식 래치와,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신칭 모듈로 이루어지되, 전동식 래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신칭기능이 없는 상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전동식 래치와 상기 신칭 모듈이 결합되어 신칭기능이 있는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칭 모듈은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칭 연결부와, 상기 신칭 연결부에 연동되고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차량에 따라 사양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어 패널에 설치되어 필요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히든 핸들과, 일측이 상기 히든 핸들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래치 연결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전동식 래치의 오작동이 기계적으로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래치는 상기 전동식 래치를 구동하는 래치 모터와, 상기 래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래치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래치 연결부는 상기 래치 기어부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 기어부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어 패널에 설치되어 필요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히든 핸들과, 일측이 상기 히든 핸들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래치 연결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전원이 인가 되어 전기적 오작동이 최소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는 상기 전동식 래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식 래치는 상기 전동식 래치를 구동하는 래치 모터와,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감지되면 상기 래치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히든 핸들은 키 실린더를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키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키 실린더와 연동되고, 타측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키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래치는 상기 전동식 래치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오픈 레버와, 상기 오픈 레버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 및/또는 상기 도어키 연결부와 연결되는 오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 레버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픈 레버는 상기 회동부재와 연동되는 제1단과, 상기 제1단 및 상기 구동부와 연동되는 제2단과, 상기 제1단 및 상기 오픈 플레이트와 연동되는 제3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작동 방법은 히든 핸들과, 전동식 래치와, 일측이 상기 히든 핸들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히든 핸들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도어래치 연결부가 연동되어 움직이는 (a)단계와, 도어래치 연결부가 전동식 래치의 구동 범위 내에 위치하면 전동식 래치의 움직임이 저지되어 구동될 수 없고, 도어래치 연결부가 전동식 래치의 구동 범위 밖에 위치하면 전동식 래치가 구동되는 (b)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신칭기능이 없는 전동식 래치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신칭 모듈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신칭 모듈은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칭 연결부와 상기 신칭 연결부에 연동되는 레버로 구성되어,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진다.
상기 레버는 회전되어 도어 패널이 완전히 닫히게 하는 래치와 바로 연동되어 장치의 부품수가 감소되고 장치가 콤팩트해진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동식 래치의 외부에 장착되고, 차량에 따라 사양을 변경할 수 있게 하여, 모든 차량에 적용 가능한 일반 모듈을 제작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차량에 따라 최적화된 액추에이터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오픈 레버와, 상기 오픈 레버를 회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레버를 잡아당기지 않고도 전동식으로 문을 열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과 감성품질이 향상된다.
상기 전동식 래치의 안전 장치를 히든 핸들과, 상기 히든 핸들과 상기 전동식 래치를 연결하는 도어래치 연결부로 구성하여, 단순한 구조로 전동식 래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를 케이블로 구성하여 단순한 구조로 상기 전동식 래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래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래치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래치 연결부는 상기 래치 기어부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 기어부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전동식 래치의 오작동을 기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래치는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감지되면 상기 래치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래치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동식 래치의 오작동을 전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픈 레버를 회전시키는 오픈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하지 않고도 도어를 열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오픈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시키는 도어레버 연결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도어레버 연결부에 연결된 레버는 차량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구동부에 이상이 있는 경우와 같은 비상시에도 도어를 열 수 있어서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히든 핸들은 키 실린더를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키 실린더에 설치되고 상기 오픈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시키는 도어키 연결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구동부에 이상이 있는 경우와 같은 비상시에도 키를 통해 도어를 열 수 있어서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오픈 레버를 상기 회동부재와 연동되는 제1단과, 상기 제1단 및 상기 구동부와 연동되는 제2단과, 상기 제1단 및 상기 오픈 플레이트와 연동되는 제3단으로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작동이 서로 엉키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히든 핸들을 도어 패널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돌기를 삽입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는 리프트로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상기 히든 핸들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고 상기 전동식 래치를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히든 핸들의 인입과 인출 그리고 당김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전동식 리트랙터블 핸들부와 도어 래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정면도(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범퍼부재의 정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슬라이딩 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슬라이딩 부재의 정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키 실린더의 정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키 실린더의 배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구동부의 배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리프트의 배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리프트의 정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막음판의 배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막음판의 정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인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인입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가 인입 및 인출될 때 도어래치 연결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정면 사시도.
도 2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정면 분리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제1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제1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제2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제2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제3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제3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래치의 정면 분리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회동부재 및 오픈 레버의 정면 분리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구동부 및 안전 플레이트의 정면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구동부 및 안전 플레이트의 배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오픈 플레이트의 정면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오픈 플레이트의 배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신칭 모듈의 배면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신칭 모듈의 레버의 정면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연결부 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연결부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정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배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정면도(하우징과 막음판 생략).
도 4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4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슬라이딩 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슬라이딩 부재의 정면 사시도.
도 4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구동부의 배면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구동부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구동부 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리프트의 배면 사시도.
도 5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리프트의 정면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막음판의 배면 사시도.
도 5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막음판의 정면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당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의 바깥 손잡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가 인입 및 인출할 때 도어 레버 연결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콘셉트도.
도 6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정면도.
도 6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배면도.
도 6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 및 신칭 모듈의 부분 배면 분리 사시도.
도 6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배면 사시도.
도 6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정면도.
도 6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배면도.
도 6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 및 신칭 모듈의 부분 정면 사시도.
도 67 은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 및 신칭 모듈의 부분 배면 사시도.
도 6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래치부의 부분 배면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핸들부(1000)가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는 도어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서 전후방은 차량의 좌우방향(폭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방향은 차량의 상하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은 차량의 전후방향(길이방향)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는 핸들부(1000)와 래치부(2000)를 포함한다.
핸들부(1000)와 래치부(2000)는 도어래치 연결부(30)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ECU(미도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품처럼 구동한다.
신칭 모듈(2500)은 래치부(20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핸들부(1000)는 히든 핸들이고,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케이블이고, 래치부(2000)는 전동식 래치이다.
핸들부(1000)와 도어래치 연결부(30)와 래치부(2000)는 패널(10)에 설치된다.
핸들부(1000)의 바깥 손잡이(1800)는 패널(10)의 홈에 위치하며, 인출 시 패널(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래치부(2000)는 패널(10)이 열리도록 한다.
신칭 모듈(2500)은 패널(10)이 완전히 닫히지 않았을 때, 패널(10)이 완전히 닫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는 하우징(110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0)의 후방에는 막음판(1500)이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는, 리프트(1300)와 슬라이딩 부재(1700)와 구동부(1900)와 도어래치 연결부(30)와 도어키 연결부(50)를 포함한다.
구동부(1900)는 모터(1910)와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리드 스크류(1929)를 포함한다.
구동부(1900)는 리드 스크류(1929)에 의해 리프트(1300)와 연결된다.
리프트(1300)는 구동부(190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핸들부(1000)는 바깥 손잡이(1800)와 슬라이딩 부재(1700)를 포함한다.
바깥 손잡이(1800)는 슬라이딩 부재(1700)의 전방에 설치된다.
바깥 손잡이(1800) 및 슬라이딩 부재(1700)는 하우징(110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1700)에는 제1,2핀(1401,1402)이 슬라이딩 부재(1700)의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 부재(1700)는 제1,2핀(1401,1402)에 의해 리프트(1300)와 연결된다.
슬라이딩 부재(1700)는 리프트(130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걸림돌기(31)는 리프트(1300)에 의해 좌측으로 당겨지거나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깥 손잡이>
바깥 손잡이(1800)는 도 1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바깥 손잡이(18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깥 손잡이(1800)의 일측과 타측의 배면에는 결합부 둘레부(1810)가 형성된다. 결합부 둘레부(1810)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바깥 손잡이(1800)의 일측은 결합부 둘레부(18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된 부분에는 키 삽입구(1820)가 형성된다. 키 삽입구(1820)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결합부 둘레부(1810)는 탄성후크(1811)의 상하부 및 좌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결합부 둘레부(1810)에는 지지부재(1400)의 제1,2결합고리(1411,1421)가 유입되는 유입구(1812)가 형성된다. 유입구(1812)는 결합부 둘레부(1810)의 우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 둘레부(1810)는 슬라이딩 부재(1700)의 돌출부(1720)의 전방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둘레부 안착홈(1703)에 안착된다. 둘레부 안착홈(1703)은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탄성후크(1811)는 바깥 손잡이(1800)에 형성되고, 제1,2결합고리(1411,1421)는 지지부재(1400)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탄성후크(1811)는 지지부재(1400)에 형성되고, 제1,2결합고리(1411,1421)는 바깥 손잡이(18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후크(1811)는 바깥 손잡이(1800)의 일측과 타측의 배면에 각각 형성된다. 탄성후크(1811)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탄성후크(1811)의 우측에는 후크돌기가 배치되고, 좌측은 바깥 손잡이(1800)에 고정된다. 탄성후크(1811)는 탄성변형 가능하다. 탄성후크(1811)는 돌출부(1720)의 전방에 형성된 후크 안착홈(1706)의 내부에 배치된다.
바깥 손잡이(1800)는 지지부재(1400)를 통해 슬라이딩 부재(1700)에 연결된다.
지지부재(1400)와 바깥 손잡이(1800)는 좌측 탄성후크(1811)와 우측 탄성후크(1811)가 결합되는 제1,2결합고리(1411,1421)를 통해 결합되어, 바깥 손잡이(1800)의 조립이 용이해지며, 구조도 단순해진다. 제1,2결합고리(1411,1421)는 탄성후크(1811)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써, 전술한 바와 다르게, 고리 형태가 아닌 구멍이나 홈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1800)와 슬라이딩 부재(1700)와 지지부재(1400)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재(1400)의 제1,2결합고리(1411,1421)에 스프링(1430)을 끼워 넣은 후에 슬라이딩 부재(1700)의 지지부재 안착홈(1701)에 삽입한다.
제1지지부재(1410)의 후방에는 제1핀(1401)을 설치하여 제1지지부재(1410)가 조립시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제2지지부재(1420)의 후방에는 제2핀(1402)을 설치하여 제2지지부재(1420)가 조립시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720)에 대해 바깥 손잡이(1800)를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결합부 둘레부(1810)는 둘레부 안착홈(1703)에 안착되고, 탄성후크(1811)는 제1,2결합고리(1411,1421)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조립이 완료된다.
<하우징>
하우징(1100)은 도 7 내지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100)은 장치의 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하우징(1100)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00)은 패널(10)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1100)은 전면과, 상기 전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을 둘러싸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100)의 전면 상부 양측에는 돌출부(1720)가 관통되는 돌출부 관통공(110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돌출부 관통공(1101)을 통해 바깥 손잡이(1800)의 좌우가 하우징(110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1100)의 상부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제1가이드부(1102)가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1102)에는 제1,2핀(1401,1402)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아래쪽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1102)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1700)는 가이드 된다.
제1가이드부(1102)는 상기 둘레부의 인접한 다른 부분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의 후방에는 하우징 돌출부(1110)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돌출부(1110)는 양측의 돌출부 관통공(1101) 사이에 배치된다.
하우징 돌출부(1110)는 슬라이딩 부재(1700)의 제1관통공(170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1700)를 가이드 한다. 또한, 하우징 돌출부(1110)는 속이 비도록 형성되며, 하우징 돌출부(1110)의 내부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 리브에는 패널(10)과 볼팅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를 경량화 할 수 있는 동시에 패널(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돌출부(1110)의 좌측에는 제2센서 설치홈(1111)과 제2센서 감지홈(1112)이 형성된다. 제2센서 설치홈(1111)에는 바깥 손잡이(1800)의 당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22)가 설치된다. 제2센서(22)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되며, 제2센서(22)가 제1지지부재(1410)의 위치에 따라 눌릴 수 있도록 제2센서(22)의 좌측에는 좌우방향 및 후방이 개방되게 제2센서 감지홈(1112)이 형성된다.
하우징 돌출부(1110)의 중앙부에는 램프 설치홈(1113)이 형성된다. 램프 설치홈(1113)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램프 설치홈(1113)의 지름은 램프(24)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램프 설치홈(1113)의 전방에는 상하좌우에 램프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램프(24)가 전방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한다. 램프(24)는 패널(10)이 열렸을 경우 경고를 해주는 역할을 한다. 바깥 손잡이(1800)의 인입, 인출, 당김 여부, 또는 잠김 여부 등을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전면의 전방에는 범퍼 설치부(1114)가 형성된다. 범퍼 설치부(1114)는 양측의 돌출부 관통공(1101)보다 바깥에 사각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범퍼 설치부(1114)는 범퍼부재(1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범퍼 설치부(1114)의 좌측은 바깥 손잡이(1800)의 키 삽입구(1820)가 형성되는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홈이 형성된다.
범퍼 설치부(1114)의 안쪽에는 범퍼부재(1200)의 범퍼 체결공(1204)과 결합되는 범퍼 체결 돌기(1115)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우징(1100)의 후방 하부에는 제3센서(24a,24b)가 설치되는 제3센서 설치홈(1103)이 우측 돌출부 관통공(1101)과 하우징 돌출부(111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두 제3센서 설치홈(1103)의 간격은 리프트(130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거리와 동일 유사하다.
제3센서 설치홈(1103)의 하부에는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04)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는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04)을 통해 외부에서 하우징(1100) 내부로 들어와, 리프트(1300)에 설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04) 및 좌측의 제3센서 설치홈(1103)의 좌측에는 도어래치 연결부 끼움홈(1105)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끼움홈(1105)은 사각판이 수직으로 설치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끼움홈(1105)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상기 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의 후방 우측에는 구동부(1900)가 안착되는 구동부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가 하우징(1100)의 하부가 아닌 우측에 위치함에 따라, 하우징(1100)의 상하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차량용 도어에 대한 장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에는 모터(1910)가 설치되는 제1모터 설치홈(1121)과, 상기 감속기어부가 설치되는 제1더블기어 설치홈(1122)과 제2더블기어 설치홈(1123)이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 설치홈(1122)은 제1모터 설치홈(11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더블기어 설치홈(1123)은 제1모터 설치홈(1121)의 좌측 및 제1더블기어 설치홈(1122)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과 제1더블기어 설치홈(1122)과 제2더블기어 설치홈(1123)의 사이에는 벽이 형성되고, 상기 벽에는 각 기어의 축이 안착되는 축 안착홈이 형성된다.
우측 하우징(1100)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구동부 안착부의 상하방향 길이에 따라 다른 부분보다 짧게 형성되어 하우징(1100)이 전체적으로 콤팩트해진다.
우측 돌출부 관통공(1101)의 우측에는 제2가이드부(1130)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30)의 좌면은 슬라이딩 부재(1700)의 우면과 접하여 슬라이딩 부재(17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해준다. 제2가이드부(1130)의 상하면은 리프트(1300)의 내면과 접하여 리프트(13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해준다.
제2가이드부(1130)의 우면에는 리드 스크류 관통홈(1132)이 좌우방향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리드 스크류 관통홈(1132)의 상하방향 폭은 리드 스크류(1929)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리드 스크류(1929)와 하우징(110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제2가이드부(1130)의 좌면에는 리드 스크류 설치홈(1133)이 우측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리드 스크류 설치홈(1133)의 상하방향 폭은 리드 스크류(1929)의 축의 외경과 유사 동일하게 형성되어 리드 스크류(1929)의 일측이 하우징(1100)에 고정되게 한다.
제2가이드부(1130)의 중앙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통공(1131)이 형성되어, 제2가이드부(1130)의 강도를 보강하고 동시에 리드 스크류(1929)가 제2가이드부(113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좌측 돌출부 관통공(1101)의 좌측에는 제3가이드부(1140)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1140)의 우면은 슬라이딩 부재(1700)의 좌면과 접하여 슬라이딩 부재(17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해준다. 제3가이드부(1140)의 상하면은 리프트(1300)의 내면과 접하여 리프트(13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해준다.
제3가이드부(1140)의 좌측부는 좌측으로 갈수록 후방에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키 실린더(1600)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좌측부에는 키 실린더(1600)의 키 실린더 지지판(1603)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하는 돌기부가 상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에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하우징(1100)에 키 실린더 지지판(1603)을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사이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키 실린더(1600)가 설치되는 키 실린더 설치홈(1142)이 형성된다.
키 실린더 설치홈(1142)의 중앙부에는 키 실린더 관통홈(114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키 실린더 관통홈(1141)에는 키 실린더(1600)의 전방 일부가 삽입된다.
좌측 하우징(1100)의 상하방향 길이는 키 실린더 지지판(1603)의 상하방향 길이를 고려하여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되어 하우징(1100)이 전체적으로 콤팩트해진다.
상기 둘레부의 상하좌우에는 제1체결홈(1151)이 형성된다. 제1체결홈(1151)은 막음판(1500)의 막음판 돌출부(1503)가 삽입되는 끼움홈을 포함한다. 상기 끼움홈은 하우징(1100)의 내외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체결홈(1151)에 의해 막음판(1500)이 하우징(1100)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둘레부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체결홈(1152)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홈(1152)에는 볼트 체결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체결홈(1152)에 의해 하우징(1100)은 패널(10)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둘레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상하방향 길이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는 제3체결홈(1153)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체결홈(1153)에는 볼트 체결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3체결홈(1153)에 의해 막음판(1500)은 하우징(1100) 후방에 더 견고하게 설치된다.
<범퍼부재>
범퍼부재(1200)는 도 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범퍼부재(1200)의 중앙부에는 바깥 손잡이 안착홈(1201)이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바깥 손잡이 안착홈(1201)의 좌우 양측에는 돌출부(172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돌출부 관통공(1203)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양 돌출부 관통공(1203)의 사이에는 통공(1202)이 형성되어, 램프(24)의 불빛을 패널(10) 외측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범퍼부재(1200) 중앙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하우징(1100)이 패널(10)에 조립될 수 있도록 볼트고정부가 형성된다.
바깥 손잡이 안착홈(1201)의 상부와 하부에는 하우징(1100)의 범퍼 체결 돌기(1115)와 체결되는 범퍼 체결공(1204)이 형성된다.
이러한 범퍼부재(1200)는 바깥 손잡이(1800)가 인입될 때 하우징(1100)과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진, 방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
슬라이딩 부재(1700)는 도 10 내지 도 11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1700)는 판 형상의 걸림부(1710)와 걸림부(1710)의 전방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1720)를 포함한다.
걸림부(1710)는 돌출부(1720)보다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부(1710)의 중심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제1관통공(1702)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1702)은 양측의 돌출부(1720) 사이에 배치된다.
양측 돌출부(1720)의 전방에는 바깥 손잡이(180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 된다.
슬라이딩 부재(1700)의 양측에는 핀 삽입부(1708)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핀 삽입부(1708)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핀 삽입공(1709)이 형성되어, 제1,2핀(1401,1402)이 설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1700)는 리프트(1300)의 장공(1301)을 따라 제1,2핀(1401,1402)이 슬라이딩 되게 리프트(1300)와 연결된다.
슬라이딩 부재(1700)의 양측 돌출부(1720)에는 지지부재 안착홈(170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2지지부재(1410,1420)가 지지부재 안착홈(170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슬라이딩 부재(1700)의 내벽의 상하좌우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지지부재 설치돌기(1707)가 형성된다. 상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지지부재 설치돌기(1707)는 전측의 높이가 후측의 높이보다 높아서, 제1,2지지부재(1410,1420)가 설치될 때, 제1,2지지부재(1410,1420)의 전면이 지지부재 설치돌기(1707)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 설치돌기(1707)에 의해 제1,2지지부재(1410,1420)는 전방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된다.
좌측 돌출부(1720)의 우측면에는 제2센서 걸림방지홈(1704)이 형성된다. 제2센서 걸림방지홈(1704)은 우측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좌측 돌출부(1720)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14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22)가 슬라이딩 부재(1700)에 의해 눌리지 않게 된다.
제2센서 걸림방지홈(1704)의 후방에는 제2센서감지부 삽입홈(1704a)이 형성된다. 제2센서감지부 삽입홈(1704a)은 좌우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바깥 손잡이(1800)가 당겨졌을 때 제1지지부재(1410)의 제2센서감지부(1413)가 제2센서감지부 삽입홈(1704a)에 위치하여, 제2센서(22)를 누르게 된다.
슬라이딩 부재(1700)의 돌출부(1720)의 전면에는 고리 인출공(1705)과 후크 안착홈(1706)이 형성된다. 고리 인출공(1705)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지부재 안착홈(1701) 및 후크 안착홈(1706)에 연통 된다. 후크 안착홈(1706)은 전방과 좌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1700)는 패널(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지지부재>
지지부재(1400)는 바깥 손잡이(18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1410)와 바깥 손잡이(1800)의 타측(우측)에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1420)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1410)는 제1지지본체(1412)와, 제1지지본체(1412)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결합고리(1411)와, 제1지지본체(1412)의 우측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센서감지부(1413)를 포함한다.
제2센서감지부(1413)의 우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로 인해, 바깥 손잡이(1800)가 당겨져서 제1지지부재(141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될 때 손쉽게 제2센서(22)를 누를 수 있다.
이로 인해, 손쉽게 바깥 손잡이(1800)의 당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제2지지부재(1420)는 제2지지본체(1422)와, 제2지지본체(1422)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결합고리(1421)를 포함한다.
제1,2지지본체(1412,1422)의 후방에는 제1,2핀(1401,1402)이 설치되어, 제1,2지지부재(1410,1420)가 후방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제1,2결합고리(1411,1421)에는 탄성후크(1811)가 끼워지는 구멍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2결합고리(1411,1421)는 슬라이딩 부재(1700)의 돌출부(1720)의 전면에 형성된 고리 인출공(1705)을 통해 돌출부(1720) 외측으로 인출된다.
스프링(1430)은 코일 형태로 형성된다.
스프링(1430)은 지지부재(1400)와 슬라이딩 부재(1700)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1430)은 지지부재 안착홈(1701)에 안착되며, 전단은 슬라이딩 부재(1700)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은 제1,2지지본체(1412,1422)에 의해 지지된다.
바깥 손잡이(1800)를 복귀시키는 스프링(1430)으로 인해, 바깥 손잡이(1800)가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센서부>
센서부는 제2센서(22)와 제3센서(23a,23b)를 포함한다.
제2센서(22)와 제3센서(23a,23b)는 전선을 통해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제2센서(22)는 하우징(1100)의 제2센서 설치홈(1111)에 설치된다.
제2센서(22)는 제1지지부재(1410)를 통해 바깥 손잡이(1800)의 당김 여부를 인식한다.
제3센서(23a,23b)는 하우징(1100)의 제3센서 설치홈(1103)에 설치된다.
제3센서(23a,23b)는 리프트(1300)를 통해 바깥 손잡이(1800)의 인출 여부를 인식한다.
<키 실린더>
키 실린더(1600)는 도 12 내지 도 13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키 실린더(1600)는 키 실린더 본체(1601)와, 키 실린더(1600)의 전방에 형성되는 키 삽입구(1602)와, 키 실린더(16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키 실린더 지지판(1603)과, 키 실린더(160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1,2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4,1605) 및 제1,2도어키 연결부 지지부(1606,1607)를 포함한다.
키 실린더 본체(160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키 삽입구(1602)는 바깥 손잡이(1800)의 키 삽입구(1820)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키 삽입구(1602)는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키 실린더 지지판(1603)은 상하방향으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키 실린더 지지판(1603)의 좌측이 키 실린더 지지판(1603)의 우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키 실린더 본체(1601)에 형성된다. 키 실린더 지지판(1603)의 상하 양측에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1100)의 키 실린더 설치홈(1142)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4)의 일측은 키 실린더 본체(16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4)의 타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도어키 연결부(50)의 걸림돌기(51)의 일부가 삽입된다.
제2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5)의 일측은 제1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4)의 타측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제2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5)의 타측은 절곡되어 제1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4)의 타측과 마주보게 형성된다. 제2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5)의 타측의 형상은 제1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4) 타측의 형상과 유사하다. 제2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5)의 타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도어키 연결부(50)의 걸림돌기(51)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관통공을 둘러싼 판은 일부가 끊기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어키 연결부(50)를 제1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4)와 제2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5) 사이에 설치하기가 수월해진다.
제1도어키 연결부 지지부(1606)는 키 실린더 본체(1601)의 좌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된다. 제1도어키 연결부 지지부(1606)는 제1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4)와 키 실린더 지지판(1603) 사이에 배치된다.
제2도어키 연결부 지지부(1607)의 일측은 제1도어키 연결부 지지부(1606)에 45도 각도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제2도어키 연결부 지지부(1607)는 우측아래방향에서 좌측 윗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제2도어키 연결부 지지부(1607)에는 도어키 연결부(50)의 고정부(52)가 설치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좌측 윗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의 내경은 고정부(52)의 둘레에 형성되는 홈의 외경과 유사 동일하여, 고정부(52)는 제2도어키 연결부 지지부(1607)에 고정되게 된다.
초기 상태의 제1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4)의 각도는 제1도어키 연결부 지지부(1607)의 각도와 유사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 삽입구(1602)에 키를 넣고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제1도어키 연결부 삽입부(1604)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돌기(51)에 의해 케이블(53)이 당겨지게 된다.
<구동부>
구동부는 도 14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1900)는 모터(1910)와, 모터(1910)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한다.
구동부(1900)는 차량 도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패널(10)의 내측에 배치된다.
구동부(1900)는 하우징(1100)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감속기어부는 모터(1910)에 의해 회전되는 웜(1921)과, 웜(1921)에 의해 회전되는 제1더블기어(1922)와, 제1더블기어(1922)에 의해 회전되는 제2더블기어(1925)와, 제2더블기어(1925)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1929)를 포함한다.
모터(1910)는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웜(1921)은 모터(1910)의 축에 설치된다. 따라서 웜(1921)의 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더블기어(1922)는 제1웜(1924)과, 제1웜(1924)에 설치되는 제1웜휠(1923)을 포함한다.
제1웜(1924)의 축과 제1웜휠(1923)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웜(1924)과 제1웜휠(1923)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제1웜(1924)과 제1웜휠(1923)이 마주하는 부분에는 제1웜휠(1923)의 기어 이를 연결하는 원판이 형성된다.
제1웜휠(1923)의 외경은 제1웜(1924)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1922)는 웜(1921)에 의해 회전된다. 제1더블기어(1922)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웜휠(1923)에 웜(1921)이 맞물린다. 제1더블기어(1922)의 전방에 웜(1921)이 배치된다.
제2더블기어(1925)는 제2웜(1927)과, 제2웜(1927)에 설치되는 제2웜휠(1926)을 포함한다.
제2웜(1927)의 축과 제2웜휠(1926)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웜(1927)과 제2웜휠(1926)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제2웜(1927)과 제2웜휠(1926)이 마주하는 부분에는 제2웜휠(1926)의 기어 이를 연결하는 원판이 형성된다.
제2웜휠(1926)의 외경은 제2웜(1927)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1925)는 제1더블기어(1922)에 의해 회전된다. 제2더블기어(1925)는 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웜휠(1926)에 제1웜(1924)이 맞물린다. 제2더블기어(1925)의 후방에 제1더블기어(1922)가 배치된다.
리드 스크류(1929)는 리드 스크류(1929)에 설치되는 제3웜휠(1928)과, 지지판(1930)을 포함한다.
리드 스크류(1929)의 축과 제3웜휠(1928)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리드 스크류(1929)와 제3웜휠(1928)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된다.
리드 스크류(1929)와 제3웜휠(1928)이 마주하는 부분에는 제3웜휠(1928)의 기어 이를 연결하는 원판이 형성된다.
제3웜휠(1928)의 외경은 리드 스크류(1929)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리드 스크류(1929)는 제2더블기어(1925)에 의해 회전된다. 리드 스크류(1929)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제3웜휠(1928)에 제2웜(1927)이 맞물린다. 리드 스크류(1929)의 전방에 제2더블기어(1925)가 배치된다.
지지판(1930)은 원통의 둘레에 원판을 끼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통의 지름은 상기 원판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지지판(1930)의 중앙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리드 스크류(1929)에 지지판(1930)을 돌려 끼울 수 있다. 지지판(1930)은 리프트(1300)에 끼워져, 리드 스크류(1929)의 회전에 의해 리프트(130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한다.
제1더블기어(1922)와 제2더블기어(1925)를 웜(1921)과 리드 스크류(1929)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웜(1921)에 리드 스크류(1929)를 바로 맞물리는 구조에 비해 구동부(1900)의 감속비를 높여 고급스러운 작동감을 부여할 수 있다.
구동부(1900)와 바깥 손잡이(1800)는 리프트(1300)와 슬라이딩 부재(1700)를 통해 연결된다.
구동부(1900)는 바깥 손잡이(1800)를 가동시킨다. 구동부(1900)는 바깥 손잡이(18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리프트>
리프트(1300)는 도 15 내지 도 16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리프트(1300)는 우면(1310)과 우면(1310)의 상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상면(1320)과 하면(1330)을 포함한다. 우면(1310)은 상하방향으로는 길게 좌우방향으로는 짧게 형성된다. 상면(1320)과 하면(1330)의 전후방향 폭은 우면(1310)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 유사하다. 상면(1320)의 일단은 우면(1310)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면(1320)의 타단은 상면(1320)의 일단보다 좌측에 위치한다. 하면(1330)의 일단은 우면(1310)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고, 하면(1330)의 타단은 하면(1330)의 일단보다 좌측에 위치한다. 즉, 리프트(1300)는 좌측과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면(1330)의 하부에는 제3센서 누름부(1302)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303)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센서 누름부(1302)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센서 누름부(1302)는 리프트(1300)가 일정이상 우측으로 이동하면 우측에 있는 제3센서(23a)를 누르고, 리프트(1300)가 일정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 좌측에 있는 제3센서(23b)를 누른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303)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303)는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4)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이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303)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303)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4)의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4)의 폭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1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4)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4)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303)에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은 도어래치 연결부(30)가 관통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의 중앙부에서부터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303)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의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가 안착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의 직경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1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우면(1310)의 중앙부에는 제1,2지지판 삽입홈(1306,1307)이 형성된다.
제1지지판 삽입홈(1306)은 전방 및 좌우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1지지판 삽입홈(1306)의 내경은 지지판(1930)의 원통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다.
제2지지판 삽입홈(1307)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지지판 삽입홈(1307)의 상하방향 폭은 지지판(1930)의 원판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다.
이로 인해 리프트(1300)는 리드 스크류(1929) 및 지지판(193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끼워질 수 있다. 제1지지판 삽입홈(1306)의 전방은 하우징(1100)에 막혀, 리드 스크류(1929) 및 지지판(1930)이 상하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방지해준다.
리프트(1300)의 상면(1320)과 하면(1330)의 좌측과 우측에는 제1,2핀(1401,1402)이 관통되는 장공(130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장공(1301)의 일측은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형성된다.
<막음판>
막음판(1500)은 도 17 내지 도 18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막음판(15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음판(1500)의 외곽 형상은 하우징(1100)의 외곽 형상과 동일 유사하다.
막음판(1500)의 중앙에는 하우징 지지부(1510)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우징 지지부(1510)의 후면도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우징 지지부(1510)의 전면은 하우징(1100)의 하우징 돌출부(1110)의 후면에 접한다.
하우징 지지부(1510)의 좌우 양측에는 제2하우징 체결홈(1511)이 형성된다. 제2하우징 체결홈(1511)은 하우징 돌출부(1110)의 볼트 체결홈과 연통하여, 막음판(1500)을 하우징(11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양측 제2하우징 체결홈(1511)의 사이에는 전선 삽입홈(1501a)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전선 삽입홈(1501a)을 통해 램프(24)와 연결되는 전선이 설치된다. 좌측 제2하우징 체결홈(1511)의 좌측에는 전선 삽입홈(1501b)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전선 삽입홈(1501b)을 통해 제2센서(22)와 연결되는 전선이 설치된다.
하우징 지지부(1510)의 좌측에는 제1지지부재 관통공(1505)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지지부재 관통공(1505)에 의해, 바깥 손잡이(1800)가 인입되었을 때, 제1지지부재(1410)의 제2센서감지부(1413)와 막음판(1500)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막음판(1500)의 하부에는 전선 삽입홈(1501c,1501d)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전선 삽입홈(1501c,1501d)을 통해 제3센서(23a,23b)와 연결되는 전선이 설치된다.
막음판(1500)의 우측부(1520)에는 지지판(1502)과 전선 삽입홈(1501e)이 형성된다.
지지판(1502)은 판의 형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판(1502a,1502c)은 제1더블기어(1922)의 축의 후방을 막아주어 제1더블기어(1922)가 후방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지지판(1502b,1502e)은 제2더블기어(1925)의 축의 후방을 막아주어 제2더블기어(1925)가 후방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지지판(1502d,1502f)은 리드 스크류(1929)의 축의 후방을 막아주고 리드 스크류(1929)가 후방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전선 삽입홈(1501e)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전선 삽입홈(1501e)을 통해 모터(1910)와 연결되는 전선이 설치된다.
막음판(1500)의 좌측부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좌측부(1530)에는 키 실린더 설치부(1531)와, 도어키 연결부 관통홈(1532)이 형성된다. 키 실린더 설치부(1531)는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키 실린더(1600)와 막음판(15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도어키 연결부 관통홈(1532)은 좌우 및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도어키 연결부 관통홈(1532)을 통해 도어키 연결부(50)가 설치된다.
막음판(1500)에는 하우징(1100)의 제3체결홈(1153)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1하우징 체결홈(1504)이 형성된다. 그로 인해 막음판(1500)은 손쉽게 하우징(1100)에 조립될 수 있다.
<연결부>
도어래치 연결부(30)는 래치부(2000)와 리프트(1300) 및 하우징(1100)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래치부(2000)는 종래의 도어 래치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도어가 잠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바깥 손잡이(1800)를 통해 도어가 열리도록 하거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래치 연결부(30)는 리프트(1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을 통해 리프트(1300)와 연결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와이어와 같은 선부재의 케이블(33)을 포함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외주면은 보호 튜브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보호 튜브의 일측에는 둘레에 홈이 형성되는 고정부(32)가 형성되어 하우징(1100)의 도어래치 연결부 끼움홈(1105)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 튜브의 타측에도 고정부(32)와 같은 형상의 스토퍼 고정부(36)가 형성되어 래치부(2000)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이동할 때, 상기 보호 튜브는 이동하지 않고 케이블(33)만 이동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걸림돌기(31)의 직경이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리프트(1300)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타단에는 스토퍼(34)가 형성된다. 스토퍼(34)는 리프트(1300)의 이동에 따라 케이블(33)이 이동하면, 래치부(2000) 내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스토퍼(34)와 스토퍼 고정부(36) 사이에는 스토퍼(34)를 복귀시키는 스토퍼 스프링(35)이 배치된다. 스토퍼 스프링(35)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스토퍼 스프링(35)의 전단은 래치부(2000)에 의해 지지되고, 스토퍼 스프링(35)의 후단은 안전 플레이트(2400)에 의해 지지된다.
도어레버 연결부(40) 및 도어키 연결부(50)의 형상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형상과 동일 유사하다.
<래치부>
래치부(2000)의 설명에서 전후방은 차량의 전후방향(길이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방향은 차량의 좌우방향(폭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은 차량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도 22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2000)는 하우징(2100)과, 하우징(2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2200)와, 래치(2200)를 로킹 또는 언로킹시키는 회동부재(2370)와, 회동부재(2370)를 회전시키는 오픈 레버(2700)와, 오픈 레버(2700)를 회전시키는 오픈 플레이트(2300)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
이하에서는 하우징(2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0)은 제1하우징(2110)과, 제1하우징(2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2130)과, 제1하우징(2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2150)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2110)은 도 24 내지 도 2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하우징(2110)의 후면 둘레와 제3하우징(2150)의 전면 둘레(가장자리) 사이에는 실링부재(2140)가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가 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0)의 상부 및 전방에는 차체에 연결된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삽입되는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이 형성된다.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은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고, 후방은 막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하우징(2110)에 형성된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은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하우징(2130)에 형성된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구멍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2110)은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하우징(2110)은 전면에는 이하 서술되는 래치(2200)가 설치되는 래치설치홈(2111)과, 회동부재(2370)가 설치되는 회동부재 설치홈(2116)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2110)은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어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의 제조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래치설치홈(2111)의 전방은 개방되고 후방은 막히도록 형성되어 부품 조립이 용이하다. 래치설치홈(2111)의 전방은 조립시 제2하우징(2130)에 의해 덮인다.
래치설치홈(2111)의 상부는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과 연통된다.
나아가, 제1하우징(2110)의 전방에는 스프링삽입홈(2113)이 형성된다.
스프링삽입홈(2113)은 래치설치홈(2111)의 후방에 배치되어 래치설치홈(2111)에 연통된다. 스프링삽입홈(2113)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삽입홈(2113)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1복귀스프링(2250)이 삽입되어 제1복귀스프링(2250)의 제2절곡부(2253)가 래치(2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하우징(2110)에는 래치설치홈(2111)에 연통되도록 이하 서술되는 제4센서전달부재(2911)와 제5센서전달부재(2912)가 삽입되는 센서 전달부재 삽입부(2129)가 형성된다. 센서 전달부재 삽입부(2129)는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 하부에 배치된다. 센서 전달부재 삽입부(2129)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홈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2110)에는 스프링삽입홈(2113) 및 래치설치홈(2111)에 연통되도록 좌측에 걸림부가이드홈(2115)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걸림부가이드홈(2115)은 스프링삽입홈(2113) 및 래치설치홈(2111)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동부재 설치홈(2116)은 래치설치홈(2111)의 우측에 배치된다.
회동부재 설치홈(2116)의 전방은 개방되고 후방은 막히도록 형성되어 부품 조립이 용이하다. 회동부재 설치홈(2116)의 전방은 조립시 제2하우징(2130)에 의해 덮인다.
회동부재 설치홈(2116)의 좌측은 래치설치홈(2111)의 우측과 연통된다.
나아가, 제1하우징(2110)의 전방에는 스프링삽입홈(2117)이 형성된다.
스프링삽입홈(2117)은 회동부재 설치홈(2116)의 후방에 배치되어 회동부재 설치홈(2116)에 연통된다. 스프링삽입홈(2117)은 계란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삽입홈(2117)에는 이하 서술되는 회동부재 스프링(2390)이 삽입되어 회동부재 스프링(2390)의 제2절곡부(2393)가 회동부재(237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하우징(2110)의 우측에는 회동부재걸림부 관통공(2118)이 형성된다. 회동부재걸림부 관통공(2118)은 좌우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회동부재걸림부 관통공(2118)은 스프링삽입홈(2117)의 하부에 배치되고, 회동부재 설치홈(2116)에 연동된다.
제1하우징(2110) 중간 및 상부에는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 또는 래치설치홈(2111)에 연통되도록 범퍼부재(2360)가 각각 삽입되는 범퍼부재삽입홈(2123)이 형성된다.
중간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2123)은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범퍼부재삽입홈(2123)의 상부는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에 연통된다.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2123)은 전방이 개방되고, 우측부는 래치설치홈(2111)에 연통된다.
중간에 배치되는 범퍼부재(2360)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에 삽입될 때 제1하우징(2110)과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2360)는 래치(2200)가 회전하여 열림 상태가 될 때 제1하우징(2110)과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하우징(2110)의 가장자리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1하우징(2110)의 후방에도 공간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2110)의 후면 우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모터(2610)가 설치되는 모터설치부(2112)가 형성된다. 모터설치부(2112)의 좌측과 우측에는 모터(2610)의 축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2110)의 후면 우측에는 제1가이드부(2125)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2125)는 모터설치부(2112)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가이드부(2125)의 하면은 이하 서술되는 안전 플레이트(2400)의 상면과 맞닿아, 안전 플레이트(240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준다.
제1하우징(2110)의 후면 우측에는 축(2106)과, 제1오픈 레버 가이드부(2107)와, 제2오픈 레버 가이드부(2108)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축(2106)은 모터설치부(2112)의 좌측 하부에 배치된다. 제1오픈 레버 가이드부(2107)는 축(2106)의 좌측 하부에, 제2오픈 레버 가이드부(2108)는 축(2106)의 우측 하부에 배치된다. 축(2106)에는 오픈 레버(2700)가 끼워진다. 제1,2오픈 레버 가이드부(2107,2108)는 오픈 레버(2700)가 축(2106)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오픈 레버(2700)의 회전 반경 내에 배치된다.
제1하우징(2110)의 후면 좌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레버(2530)의 삽입공(2535)에 끼워지는 레버축(2114)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2110)의 후면 좌측 상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연결부 커버(2800)가 설치되는 제1연결부 커버 설치부(2126)가 형성된다. 제1연결부 커버 설치부(2126)는 제1하우징(2110)의 후면 중앙 상부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 커버 설치부(2128)와 연통된다.
제1연결부 커버 설치부(2126)는 후방 및 우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연결부 커버 설치부(2128)는 후방 및 좌우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연결부 커버 설치부(2128)의 우측으로는 오픈 플레이트(2300)와 안전 플레이트(24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2연결부 커버 설치부(2126,2128)의 상부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연결부 커버(2800)가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제1연결부 커버 설치부(2126)의 좌측과 제2연결부 커버 설치부(2128)의 우측에는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게 돌기가 형성되어, 연결부 커버(2800)가 좌우방향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방지해준다.
제2연결부 커버 설치부(2128) 하부의 상면은 오픈 플레이트(2300) 및 안전 플레이트(2400)의 하면과 맞닿아, 오픈 플레이트(2300) 및 안전 플레이트(240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준다.
제1하우징(2110)의 후면 좌측 하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신칭 연결부(2520)가 설치되는 신칭 연결부 설치부(2119)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신칭 연결부 설치부(2119)의 후방에는 신칭 연결부(2520)의 고정부(2522)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2110)의 후면 중앙에는 제2가이드부(2127)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2127)는 제2연결부 커버 설치부(2128)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2가이드부(2127)는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2127)는 레버축(2114)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2하우징(2130)은 도 26 내지 도 2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2하우징(213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하우징(2130)에는 리벳으로 구비되는 래치회동축(223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2하우징(2130)에는 상기 축삽입공 둘레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제1돌출부(2135)와 제2돌출부(2136)와 제3돌출부(2137)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2135)와 제2돌출부(2136)와 제3돌출부(2137)는 제2하우징(2130)의 후면 다른 부분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제1돌출부(2135)는 이하 서술되는 래치(2200)의 전면 및 회동부재(2370)의 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조립시 래치(2200) 및 회동부재(2370)는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동시에 래치(2200) 및 회동부재(2370)와 제2하우징(213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2하우징(213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제2하우징(2130)에 대해 회전하는 부재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1돌출부(2135)는 사람인(人)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2135)는 래치(2200) 및 회동부재(2370)의 회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2돌출부(2136)는 상기 축삽입공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래치(2200)의 전면에 접촉된다. 상기 축삽입공의 좌측에는 리벳으로 구비되는 제1복귀스프링걸림축(2251)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3돌출부(2137)는 계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돌출부(2135)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3돌출부(2137)에는 회동축(2380), 회동스프링걸림축(2391)이 삽입되는 리벳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하우징(2110) 전면 및 제2하우징(2130)에는 래치부(2000)를 패널(10)에 볼팅체결할 수 있도록 도어 설치부(2124, 2134)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도어 설치부(2124, 2134)는 제1하우징(2110) 및 제2하우징(2130)의 좌측 상하부와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의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하우징(2110)에 형성된 도어 설치부(2124)는 후방으로 함몰된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하우징(2130)에 형성된 도어 설치부(2134)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구멍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제2하우징(2130)의 후면에는 설치 보스(2134a)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설치 보스(2134a)는 제1하우징(2110)의 도어 설치부(2124)에 삽입된다. 설치 보스(2134a)는 제2하우징(2130)에 형성된 도어 설치부(2134)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설치 보스(2134a)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래치부(2000)를 패널(10)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2하우징(2130)에는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의 전방이 개방되도록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에 대응되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제2하우징(2130)은 제1하우징(2110)의 전면에 복수 개의 볼트 등을 통해 설치된다.
제2하우징(2130)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구멍이 스트라이커 삽입홈(2105)을 기준으로 좌측 상하부와 우측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3하우징(2150)은 도 28 내지 도 2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3하우징(2150)은 가장자리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면에 공간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하우징(2150)의 공간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3하우징(2150)은 래치(2200)가 설치되는 면의 반대면인 제1하우징(2110)의 후면을 덮는다. 즉, 제1하우징(2110)의 전면에 제2하우징(2130)이 결합되고, 제1하우징(2110)의 후면에 제3하우징(2150)이 결합된다.
제3하우징(2150)은 제1하우징(2110)의 후면에 볼팅체결된다.
제1하우징(2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2150)에는 볼팅체결을 위한 제1,2체결부(2121,2155)가 각각 형성된다.
제1하우징(2110)에 형성된 제1체결부(2121)는 보스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체결부(2121)에 형성된 볼트가 체결되는 구멍은 전방이 막힌다. 제1체결부(2121)의 후단은 제1하우징(2110)의 가장자리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체결부(21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체결부(2121)는 제1하우징(2110)의 상부 양측 및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하우징(2110)의 우측 상부에는 가이드 보스(212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보스(2122)는 우측의 제1체결부(2121)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가이드 보스(2122)는 이후 서술되는 웜기어(2614)의 관통공에 삽입된다.
제3하우징(2150)에 형성된 제2체결부(2155)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체결부(2155)는 제1체결부(2121)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3하우징의 하부에는 제4,5센서 설치부(2151a)와 제6센서 설치부(2151b)가 형성된다. 제4,5센서 설치부(2151a)와 제6센서 설치부(2151b)는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인서트 터미널 배선이 위치하여, 상기 홈으로 전선이 제4,5,6센서(2901,2902,2903)에 연결된다.
제3하우징(2150)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4돌출부(2152)와 제5돌출부(2153a)가 형성된다.
제4돌출부(2152)는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4돌출부(2152)의 중심과 레버(2530)의 삽입공(2535)의 중심은 일치한다. 제4돌출부(2152)는 레버(2530)의 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조립시 레버(2530)는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동시에 레버(2530)와 제3하우징(2150) 사이의 마찰은 최소화될 수 있다.
제5돌출부(2153a)는 레버(2530)의 회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5돌출부(2153a)는 제4돌출부(2152)의 좌측 하부에 배치된다. 제5돌출부(2153a)는 레버(2530)의 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조립시 레버(2530)는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동시에 레버(2530)와 제3하우징(2150) 사이의 마찰은 최소화될 수 있다.
제5돌출부(2153a) 아래에는 레버 가이드부(2153b)가 좌우로 배치된다. 레버 가이드부(2153b)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레버 가이드부(2153b)에는 레버(2530)의 걸림부재 끼움부(2531)와 신칭 연결부(2520)의 고정부(2522)가 삽입된다. 레버 가이드부(2153b)의 우측은 걸림부재 끼움부(2531)의 회전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걸림부가이드홈(2115) 및 레버 가이드부(2153b)에 의해 레버(2530)의 회전 반경이 제한된다. 레버 가이드부(2153b)의 좌측은 고정부(2522)가 좌우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하우징(2150)의 상부에는 연결부 커버 설치홈(2156)이 형성된다. 연결부 커버 설치홈(2156)은 우측 및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연결부 커버 설치홈(2156)의 상하부 및 좌측에는 연결부 커버 지지부(2157)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연결부 커버 지지부(2157)로 인해 연결부 커버(2800)를 연결부 커버 설치홈(2156)에 설치할 때 마찰이 최소화되어 설치가 쉬워진다.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부 커버 지지부(2157)는 연결부 커버(2800)를 고정하고, 오픈 플레이트(2300) 및 안전 플레이트(2400)의 이탈을 막고 좌우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 해준다. 연결부 커버 설치홈(2156)의 우측 상부는 막혀있어, 연결부 커버(280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게 한다. 연결부 커버 설치홈(2156)의 후방은 막혀있어, 연결부 커버(2800)가 전후로 유동되지 않게 한다.
제3하우징(2150)의 우측 상부에는 제1센서(2907)가 설치되는 제1센서 설치부(2151c)가 형성된다. 제1센서 설치부(2151c)는 연결부 커버 설치홈(2156)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센서 설치부(2151c)는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1센서 설치부(2151c)의 하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제1센서(2907)가 설치될 때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한다. 또한, 제1센서 설치부(2151c)의 하부에는 인서트 터미널 배선이 위치하여, 전선이 제1센서(2907)에 연결된다. 제1센서서 설치부(2151c)의 좌측 상부에는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제1센서(2907)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막아준다. 또한, 상기 돌기의 상면은 안전 플레이트(2400)의 하면과 접하게 형성되어, 안전 플레이트(240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 해줄 수 있다. 제1센서 설치부(2151c)의 중앙에는 제1센서(2907)에 형성된 홈에 끼울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로 인해 제1센서(2907)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3하우징(2150)의 우측 상부에는 오픈 레버(2700)의 제3단(2730)이 회전 반경 내에서 이동할 때 제3하우징(2150)과 간섭되지 않게 제3단 가이드부(2158)가 형성된다. 제3단 가이드부(2158)는 제1센서 설치부(2151c)의 좌측 하부에 배치된다. 제3단 가이드부(2158)는 상부가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3단(2730)은 상기 원호의 좌측 끝과 우측 끝 사이의 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제3하우징(2150)의 좌측 상하부에는 연결부 관통홈(2159a,2159b)이 전방 및 좌우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부의 연결부 관통홈(2159a)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와, 도어레버 연결부(40)와, 도어키 연결부(50)가 설치된다. 상부의 연결부 관통홈(2159a)은 연결부 커버 설치홈(2156)과 연통된다.
하부의 연결부 관통홈(2159b)에는 신칭 연결부(2520)가 설치된다. 하부의 연결부 관통홈(2159b)은 레버 가이드부(2153b)와 연통된다.
제3하우징(2150)의 우측 상부에는 전선연결부(2154)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선연결부(2154)는 연결부 커버 설치홈(2156)과 연통된다. 제3하우징(2150)의 내부의 인서트터미널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전선연결부(2154)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며 제3하우징(2150) 내부에 설치된다.
제3하우징(2150)의 후면에는 리브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3하우징(215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래치>
래치(2200)는 도 30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래치(2200)는 래치설치홈(2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2110)에 설치된다.
래치(2200)는 제2하우징(2130)에 설치되는 래치회동축(2230)을 통해 제1하우징(2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2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래치(2200)의 외주면에는 로킹홈(2201)이 형성된다.
로킹홈(2201)은 전후로 관통되고, 외측 단부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로킹홈(2201)으로 인해 래치(2200)에는 이하 서술되는 회동부재(2370)의 로킹부(2371)가 걸리는 제2로킹 걸림부(2201a)가 형성된다.
로킹홈(2201)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진다.
로킹홈(2201)은 제1면(2203)과, 제1면(2203)의 좌측단에서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면(2205)과, 제2면(2205)의 좌측단에서 연장되고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3면(2207)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면(2203)은 제2로킹 걸림부(2201a)의 상면을 형성한다.
래치(2200)에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걸리는 스트라이커 걸림돌기(2204)가 형성된다.
스트라이커 걸림돌기(2204)는 로킹홈(2201)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로킹홈(2201)에 삽입된 후 빠지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스트라이커 걸림돌기(2204)는 제1면(2203)이 형성된 면(로킹부(2371)가 걸리는 면)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스트라이커 걸림돌기(2204)에서 상기 스트라이커가 로킹홈(2201)에 삽입될 때 마주하는 면 및 상기 스트라이커가 로킹홈(2201)으로부터 빠져나갈 때 마주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로킹홈(220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래치(2200)에는 로킹홈(2201)의 하부에 보조로킹홈(2202)이 형성된다. 보조로킹홈(2202)은 로킹홈(2201)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로킹홈(2201)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즉, 보조로킹홈(2202)과 래치(2200)의 회전중심 사이의 거리는 로킹홈(2201)과 래치(2200)의 회전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길다.
패널(10)을 닫을 때, 로킹부(2371)는 보조로킹홈(2202)에 1차로 삽입되고, 로킹홈(2201)에 2차로 삽입된다.
로킹홈(2201)과 보조로킹홈(2202)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는 패널(10)이 모터(2610)에 의해 닫히고 있는 과정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로킹홈(2201)에서 로킹이 되지 않더라도 보조로킹홈(2202)에서 패널(10)을 잡아주어서, 로킹 안전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보조로킹홈(2202)으로 인해 래치(2200)에는 이하 서술되는 로킹부(2371)가 걸리는 제1로킹 걸림부(2202a)가 형성된다.
나아가, 래치(2200)는 탄성커버(2206)에 의해 둘러싸인다. 탄성커버(2206)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래치(2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탄성커버(2206)는 래치(2200)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탄성커버(2206)에는 슬릿(2209)이 형성된다. 슬릿(2209)은 래치(2200)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2360)와 맞닿는 부분과 상기 스트라이커와 맞닿는 부분과 제1복귀스프링걸림축(2251)과 맞닿는 부분 등에 각각 형성된다. 래치(2200)가 타 부재와 맞닿을 때 이러한 슬릿(2209)으로 인해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나아가, 탄성커버(2206)에는 마찰돌기(2208)가 형성된다. 마찰돌기(2208)는 돌기(2215)와 스프링끼움부(2213)에 근접하게 각각 배치된다. 마찰돌기(2208)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2하우징(2130)에 맞닿는다. 제1복귀스프링에 의해 래치(2200)가 복귀될 때, 마찰돌기(2208)와 제2하우징(2130) 사이의 마찰로 인해 래치(2200)의 회전속도가 조절되게 된다. 이로 인해 도어가 부드럽게 열릴 수 있다.
래치(2200) 외주면에는 스프링끼움부(2213)가 형성된다.
스프링끼움부(2213)는 홈 형상이나 구멍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끼움부(2213)는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래치(2200)에는 좌측 외주면에 돌기(2215)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기(2215)는 걸림부가이드홈(2115)의 전방에 배치된다.
래치(2200)의 패널(10) 닫힘시 회전하는 방향(시계방향)을 따라 로킹홈(2201), 보조로킹홈(2202), 스프링끼움부(2213), 돌기(2215)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로킹해제시 래치(2200)가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제1복귀스프링(2250)이 구비된다.
제1복귀스프링(225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조립부 형상에 대응되게 절곡된 제1,2절곡부(2252,225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절곡부(2252)는 상부를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고, 제2절곡부(2253)는 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다.
제1복귀스프링(2250)의 제1절곡부(2252)는 제1복귀스프링걸림축(2251)에 걸리고, 코일부는 래치회동축(2230)에 감겨지고, 제2절곡부(2253)는 래치(2200)의 스프링끼움부(2213)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제1복귀스프링(2250)에 제1,2절곡부(2252,2253)가 형성되어 조립성이 더욱 개선된다.
래치(2200)가 회전할 때, 제1복귀스프링(2250)의 타단은 래치(2200)와 함께 회전된다.
<회동부재>
회동부재(2370)는 도 31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회동부재(2370)는 폴(Pawl)이라고도 부른다.
회동부재(2370)는 오픈 레버(2700)와 연동된다.
회동부재(2370)는 제1하우징(2110)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동축(2380)에 의해 제2하우징(2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동축(2380)은 회동부재(237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회동축(2380)은 리벳으로 구비되어 제2하우징(2130)에 리벳팅된다.
회동부재(2370)는 회동축(238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회동부재(2370)를 복귀시키는 회동부재 스프링(2390)이 구비될 수 있다.
회동부재 스프링(2390)도 제1복귀스프링(2250)과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양 끝단에 조립부 형상에 대응되게 절곡된 제1,2절곡부(2392,239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절곡부(2392)는 상부를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고, 제2절곡부(2393)는 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다.
회동부재 스프링(2390)의 제1절곡부(2392)는 제2하우징(2130)에 리벳팅된 회동스프링걸림축(2391)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고, 제2절곡부(2393)는 회동부재(2370)의 우측에 형성되는 스프링끼움부(2375)에 걸려서 연결된다. 회동부재 스프링(2390)의 코일부는 회동축(2380)에 끼워진다.
스프링끼움부(2375)는 홈 형상이나 구멍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끼움부(2375)는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동부재 스프링(2390)은 회동부재(2370)에 힘을 가해 반시계방향으로 밀었다가 놓을 경우, 회동부재(237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부재(2370)는 로킹부(2371)와 걸림돌기(2373)로 이루어진다.
로킹부(2371)는 회동부재(2370)의 좌측 하부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로킹부(2371)는 래치(2200)의 위치를 구속(로킹)하는 역할을 하여, 패널(1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로킹부(2371)의 하부에는 패널(10) 닫힘시 래치(2200)의 끝단 일부(제1면(2203))가 삽입되는 래치삽입홈(2372)이 형성된다. 래치삽입홈(2372)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로킹부(2371)와 걸림돌기(2373)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래치삽입홈(2372)으로 인해 패널(10) 닫음시 래치(2200)가 회동부재(2370)에 로킹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로킹부(2371)의 하면 우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373)가 형성된다.
걸림돌기(2373)의 좌측에는 오픈 레버(2700)의 회동부재걸림부(2711)가 삽입된다. 즉, 걸림돌기(2373)는 오픈 레버(2700)의 회전에 따라 회동부재(237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동부재(2370)는 오픈 레버(2700)가 회전할 때 이동될 때 연동되어 회전된다.
또한, 회동부재(2370)에도 전술한 래치(2200)와 같이 탄성커버(2374)가 구비된다. 탄성커버(2374)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회동부재(237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탄성커버(2374)는 회동부재(2370)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회동부재(2370)의 탄성커버에도 슬릿(2376)이 형성된다. 슬릿(2376)은 오픈 레버(2700)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슬릿(2376)은 로킹부(2371)와 걸림돌기(2373) 사이에 배치된다. 회동부재(2370)가 회동부재 스프링에 의해 복귀될 때 회동부재(2370)와 오픈 레버(2700)가 맞닿더라도 슬릿(2376)으로 인해 충격이 흡수된다.
<오픈 레버>
오픈 레버(2700)는 도 31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오픈 레버(2700)는 제1하우징(2110) 후면에 형성된 축(210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오픈 레버(2700)는 하우징(2100)에서 래치(2200)가 설치된 면의 반대면에 설치된다.
오픈 레버(2700)는 제1단(2710)과 제2단(2720)과 제3단(2730)으로 이루어진다. 제1단(2710)과, 제2단(2720)과, 제3단(2730)은 서로 분리될 수 있게 각각 형성된다. 제1단(2710) 후면에 제2단(2720)의 전면이 맞닿고, 제2단(2720)의 후면에 제3단(2730)의 전면이 맞닿게 설치된다.
제1단(27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단(2710)의 전면에는 회동부재(2370)의 걸림돌기(2373)의 좌측과 맞닿는 회동부재걸림부(2711)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회동부재걸림부(2711)는 회동부재걸림부 관통공(2118)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된다.
제1단(2710)의 후면에는 제2단(2720) 및 제3단(2730)의 하부가 걸리는 감지부(271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감지부(2712)는 감지부(2712)의 아래에 설치되는 제6센서(2903)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단(2720)의 전측은 축(2106)에 끼워지는 구멍을 중심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단(2720)의 전측의 상기 구멍 주변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단(2710)과 제2단(2720)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여준다. 이로 인해 제1단(2710)과 제2단(272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단(2720)의 후측은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위쪽에 배치되고, 후방으로 계단형상으로 절곡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단(2720)의 후측의 하부는 상기 구멍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단(2720)의 하부 좌측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제2단 돌기(2722)가 형성되고, 제2단 돌기(2722)의 우측에는 감지부(2712)가 삽입되는 제1감지부 삽입홈(2721)이 형성된다.
제2단(2720)의 상부에는 잠금부재(2615)의 제1,2회전 걸림부(2617,2618) 사이에 삽입되는 제2단 걸림부(2723)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잠금부재(2615)가 회전하여 제2단(2720)이 회전하게 되면, 그에 따라 제1단(2710)도 회전하게 된다.
제3단(2730)은 축(2106)에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아래쪽은 전방으로 계단형상으로 절곡되고, 위쪽은 후방으로 계단형상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단(2730)의 아래쪽의 상부에는 제2단(2720)의 후측이 삽입되는 제2단 가이드부(2734)가 형성된다. 제2단 가이드부(2734)는 상부가 제2단(2720)의 후측의 형상에 맞게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단(2720)과 제3단(273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3단(2730)의 하부 좌측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제3단 돌기(2732)가 형성되고, 제3단 돌기(2732)의 우측에는 감지부(2712)가 삽입되는 제2감지부 삽입홈(2731)이 형성된다.
제3단(2730)의 상부에는 오픈 플레이트(2300)의 제3단 끼움홈(2304)에 삽입되는 제3단 걸림부(2733)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오픈 플레이트(2300)가 슬라이딩하여 제3단(2730)이 회전하게 되면, 그에 따라 제1단(2710)도 회전하게 된다.
<구동부>
구동부는 도 32 내지 도 3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2610)와, 모터(2610)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2614)와, 웜기어(2614)와 동시에 회전하는 잠금부재(2615)와, 잠금부재(2615)에 삽입되는 안전 플레이트(24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제1하우징(2110) 후방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제1하우징(2110)과 제3하우징(2150)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2610)의 축에는 웜(2613)이 설치되어 있다.
웜(2613)은 웜기어(2614)와 치합된다. 웜기어(2614)는 웜(2613)의 상부에 배치된다.
웜기어(2614)와 잠금부재(2615)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잠금부재(2615)는 웜기어(2614)의 후방에 형성된다.
잠금부재(2615) 상부에는 후술할 안전 플레이트(2400)의 잠금 끼움부(2403)가 삽입되는 안전 플레이트 끼움홈(2616)이 형성된다. 잠금부재(2615) 하부에는 양측에 오픈 레버(2700)의 제2단(2720)이 걸리는 두 개의 회전 걸림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 걸림부는 제1회전 걸림부(2617)와 제2회전 걸림부(2618)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 걸림부로 인해, 잠금부재(2615)가 회전되면, 제2단(272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된다.
<안전 플레이트>
안전 플레이트(2400)는 도 32 내지 도 3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안전 플레이트(2400)는 사각형의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전 플레이트(2400) 우측에는 안전 플레이트 감지돌기(2402)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안전 플레이트 감지돌기(2402)에 의해 안전 플레이트(2400)는 바깥 손잡이(1800)의 인출시 전기를 인가하는 제1센서(2907)에 감지된다.
안전 플레이트(2400) 중앙부에는 잠금부재(2615)에 삽입되는 잠금 끼움부(2403)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잠금 끼움부(2403)는 바깥 손잡이(1800)의 인입시 잠금부재(2615)의 안전 플레이트 끼움홈(2616)에 삽입되어 잠금 끼움부(2403)의 회전을 저지한다.
안전 플레이트(2400)의 좌측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설치되는 스토퍼 설치부(2410)가 형성된다. 스토퍼 설치부(2410)는 안전 플레이트(2400)의 다른 부위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토퍼 설치부(2410)는 커버 끼움부(2401)와, 스토퍼 끼움홈(2411)과, 스토퍼 걸림부(2412)와, 스프링 끼움부(2413)를 포함한다.
커버 끼움부(2401)는 스토퍼 설치부(2410)의 상부의 전후 양측에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커버 끼움부(2401)는 연결부 커버(2800)에 삽입되어, 안전 플레이트(2400)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하고, 안전 플레이트(240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폭을 한정해준다.
스토퍼 끼움홈(2411)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스토퍼 끼움홈(2411)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4)가 끼워지고, 스토퍼 끼움홈(2411)의 좌우방향 길이는 스토퍼(34)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스토퍼(34)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어래치 연결부(30) 조립시 케이블(33)이 휘어져 스토퍼(34)가 이동하거나, 스트로크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 걸림부(2412)는 상부가 개방되고, 우측이 스토퍼 끼움홈(2411)의 좌측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스토퍼 걸림부(2412)는 스토퍼 끼움홈(2411)의 좌측에 배치된다. 스토퍼 걸림부(2412)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설치된다. 스토퍼 걸림부(2412)의 전후방향 폭은 스토퍼(34)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좁게 형성되어, 스토퍼(34)가 스토퍼 끼움홈(2411)에서 좌측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 끼움부(2413)는 스토퍼 설치부(2410)의 좌측에 왼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프링 끼움부(2413)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 스프링(35)이 설치된다.
스프링 끼움부(2413)에는 상부가 개방되게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의 전후방향 폭은 스토퍼 걸림부(2412)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 유사하고, 상기 홈은 스토퍼 걸림부(2412)와 연통한다.
안전 플레이트(2400)는 모터(2610)의 좌측 및 상부에 배치된다.
<오픈 플레이트>
오픈 플레이트(2300)는 도 34 내지 도 3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오픈 플레이트(2300)는 우측이 전방으로 절곡되게 굴곡부(2302)가 형성된다. 굴곡부(2302)의 전방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제3단 끼움부(2303)가 형성된다. 제3단 끼움부(2303)의 후면에는 제3단 끼움홈(2304)이 후방 및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3단 끼움홈(2304)의 좌우방향 폭은 제3단(2730)의 제3단 걸림부(2733)의 좌우방향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3단(2730)은 제3단 끼움홈(2304)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오픈 플레이트(2300)의 좌측에는 도어레버 연결부(40) 및 도어키 연결부(50)가 설치되는 스토퍼 설치부(2310)가 형성된다. 스토퍼 설치부(2310)는 오픈 플레이트(2300)의 다른 부위보다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토퍼 설치부(2310)는 커버 끼움부(2301)와, 스토퍼 끼움홈(2311)과, 스토퍼 걸림부(2312)와, 스프링 끼움부(2313)를 포함한다.
커버 끼움부(2301)는 스토퍼 설치부(2310)의 상부의 전후 양측에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커버 끼움부(2301)는 연결부 커버(2800)에 삽입되어, 오픈 플레이트(2300)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하고, 오픈 플레이트(230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폭을 한정해준다.
스토퍼 끼움홈(2311)은 상부가 개방되게 전후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스토퍼 끼움홈(2311)에는 도어레버 연결부(40)의 스토퍼(44)와 도어키 연결부(50)의 스토퍼(54)가 각각 끼워지고, 스토퍼 끼움홈(2311)의 좌우방향 길이는 스토퍼(44,54)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스토퍼(44,54)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어레버 연결부(40) 및 도어키 연결부(50)의 조립시 케이블(43,53)이 휘어져 스토퍼(44,54)가 이동하거나, 스트로크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 걸림부(2312)는 상부가 개방되고, 우측이 각각의 스토퍼 끼움홈(2311)의 좌측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스토퍼 걸림부(2312)는 스토퍼 끼움홈(2311)의 좌측에 배치된다. 스토퍼 걸림부(2312)에는 도어레버 연결부(40)의 케이블(43)과 도어키 연결부(50)의 케이블(53)이 각각 설치된다. 스토퍼 걸림부(2312)의 전후방향 폭은 스토퍼(44,54)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좁게 형성되어, 스토퍼(44,54)가 스토퍼 끼움홈(2311)에서 좌측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 끼움부(2313)는 스토퍼 설치부(2310)의 좌측에 왼쪽으로 돌출되게 전후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스프링 끼움부(2313)에는 도어레버 연결부(40)의 스토퍼 스프링(45)과 도어키 연결부(50)의 스토퍼 스프링(55)이 각각 설치된다.
스프링 끼움부(2313)에는 상부가 개방되게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의 전후방향 폭은 스토퍼 걸림부(2312)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 유사하고, 상기 홈은 스토퍼 걸림부(2312)와 연통한다.
모터가 고장나거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등의 비상시 도어레버 연결부(40)에 연결된 레버를 잡아당기거나, 키 실린더(1600)에 키를 넣고 돌려 도어키 연결부(50)가 당겨지게 되면, 오픈 플레이트(2300)가 슬라이딩 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상기 레버는 조수석 및 뒷좌석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운전석에만 배치될 수 있다.
<신칭 모듈>
신칭 모듈(2500)은 도 36 내지 도 3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신칭 모듈(2500)은 액추에이터(2510)와, 액추에이터(2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칭 연결부(2520)와, 신칭 연결부(2520)에 연동되는 레버(253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2510)는 래치(2200)를 회전시켜서 회동부재(2370)가 래치(2200)를 로킹시키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2510)는 차량에 따라 사양을 변경할 수 있고, 래치부(2000)의 외부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액추에이터(2510)의 사양에 상관없이 래치부(2000)는 동일한 크기를 유지할 수 있고, 고객의 요구에 따라 쉽게 액추에이터(2510)를 제거할 수 있다.
신칭 연결부(2520)는 와이어와 같은 선부재의 케이블로 구비된다. 신칭 연결부(2520)의 외주면은 보호 튜브로 둘러싸여 있다. 신칭 연결부(2520)의 일단은 액추에이터(2510)와 연결된다. 상기 보호 튜브의 타측에는 둘레에 홈이 형성되는 고정부(2522)가 형성되어 제1하우징(2110)의 신칭 연결부 설치부(2119)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신칭 연결부(2520)의 타단에는 걸림부재(2521)가 형성되어, 후술할 레버(2530)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신칭 연결부(2520)가 이동할 때, 상기 보호 튜브는 이동하지 않고 상기 케이블만 이동한다.
신칭 연결부(2520)는 액추에이터(2510)의 구동력을 레버(2530)에 전달한다.
신칭 연결부(2520)에 의해 래치부(2000)에 대한 액추에이터(2510)의 상대적인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레버(2530)는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하우징(2110)의 레버축(2114)에 끼워진다. 레버(2530)와 제1하우징(2110)은 단순하게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레버(2530)를 쉽게 래치부(2000)에서 제거할 수 있다. 레버(2530)는 제1하우징(2110)과 제3하우징(2150) 사이에 배치된다.
레버(2530)에는 신칭 연결부(2520)의 걸림부재(2521)가 끼워지는 걸림부재 끼움부(2531)와, 래치(2200)의 하단이 걸리는 래치 걸림부(2532)와, 제1하우징(2110)과 접하는 레버 돌기(2534)가 형성된다.
레버(2530)의 상부에는 레버축(2114)에 끼워지는 삽입공(2535)이 형성되어 레버(2530)는 삽입공(253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삽입공(2535)의 중심은 래치(2200)의 회전축과 같은 선상에 배치된다.
걸림부재 끼움부(2531)는 레버(2530)의 우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부재 끼움부(2531)는 후방, 하부 그리고 좌측 중앙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걸림부재 끼움부(2531)는 걸림부재(2521)에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걸림부재(2521) 및 신칭 연결부(2520)는 걸림부재 끼움부(2531)의 하부를 통해 삽입되어 좌측에 신칭 연결부(2520)가 놓이도록 설치된다.
걸림부재 끼움부(2531)는 제3하우징(2150)의 전방에 형성되는 레버홈에 삽입된다. 상기 레버홈은 레버(2530)의 회전방향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래치 걸림부(2532)는 레버(2530)의 좌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래치 걸림부(2532)는 레버(2530)의 둘레 형상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래치 걸림부(2532)의 하부에는 래치 걸림부 돌기(2533)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래치 걸림부 돌기(2533)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레버(25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래치 결림부(2532)는 액추에이터(2510)와 연동되어, 액추에이터(2510) 자체에서 신칭 스트로크를 제어할 수 있다.
레버 돌기(2534)는 호형상의 판으로 형성되어, 레버(2530)와 제1하우징(2110)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결부 커버>
연결부 커버(2800)는 도 38 내지 도 3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 커버(28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 커버(2800)의 전방부는 제1하우징(2110)의 제1연결부커버 설치부(2126)에 삽입되고, 연결부 커버(2800)의 후방부는 제3하우징(2150)의 연결부 커버 설치홈(2156)에 삽입된다. 즉, 연결부 커버(2800)는 제1하우징(2110)과 제3하우징(215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연결부 커버(2800)의 우측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걸림홈(2801)이 형성된다. 걸림홈(2801)은 위아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걸림홈(2801)에는 오픈 플레이트(2300)의 커버 끼움부(2301)와, 안전 플레이트(2400)의 커버 끼움부(2401)가 삽입된다. 걸림홈(2801)에 의해 오픈 플레이트(2300) 및 안전 플레이트(2400)는 걸림홈(2801)의 좌우방향 길이만큼만 슬라이딩 된다.
연결부 커버(2800)의 우측 하부에는 안전 플레이트 가이드홈(2802)과 오픈 플레이트 가이드홈(2803)이 우측 및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안전 플레이트 가이드홈(2802)에 의해 안전 플레이트(2400)의 상부 및 좌우가 가이드 된다. 오픈 플레이트 가이드홈(2803)에 의해 오픈 플레이트(2300)의 상부 및 좌우가 가이드 된다.
연결부 커버(2800)의 좌측 하부에는 복수의 연결부 관통홈(2806)이 좌우방향 및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연결부 관통홈(2806)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와, 도어레버 연결부(40)와, 도어키 연결부(50)가 설치된다. 연결부 관통홈(2806)의 전후방향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와, 도어레버 연결부(40)와, 도어키 연결부(50)의 튜브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다.
연결부 관통홈(2806)의 우측에는 제1연결부 안착홈(2804)이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1연결부 안착홈(2804)의 좌측은 연결부 관통홈(2806)과 연통된다. 제1연결부 안착홈(2804)에는 스토퍼 고정부(36,46,56)의 일부가 삽입된다.
제1연결부 안착홈(2804)의 우측에는 복수의 고정부 설치홈(2807)이 좌우방향 및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고정부 설치홈(2807)의 좌측은 제1연결부 안착홈(2804)과 연통된다. 고정부 설치홈(2807)에는 스토퍼 고정부(36,46,56)의 홈이 삽입된다. 고정부 설치홈(2807)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홈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고, 고정부 설치홈(2807)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홈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 유사하여, 스토퍼 고정부(36,46,56)가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고정부 설치홈(2807)의 우측에는 제2연결부 안착홈(2805)이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연결부 안착홈(2805)의 좌측은 고정부 설치홈(2807)과 연통된다. 제2연결부 안착홈(2805)에는 스토퍼 고정부(36,46,56)의 일부가 삽입된다.
제2연결부 안착홈(2805)의 우측에는 케이블 관통홈(2808)이 좌우방향 및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케이블 관통홈(2808)의 좌측은 제2연결부 안착홈(2805)과 연통되고, 케이블 관통홈(2808)의 우측은 안전 플레이트 가이드홈(2802) 및 오픈 플레이트 가이드홈(2803)과 연통된다. 케이블 관통홈(2808)에는 안전 플레이트(2400)에 설치된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과, 오픈 플레이트(2300)에 설치된 도어레버 연결부(40)의 케이블(43)과 및 도어키 연결부(50)의 케이블(53)이 설치된다. 케이블 관통홈(2808)의 전후방향 폭이 스토퍼 스프링(35,45,55)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스토퍼 스프링(35,45,55)이 좌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상세한 콘셉트는 도 5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어의 잠금 여부를 입력받는 도어 잠금 입력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 여부를 입력받는 구동입력부와, 센서와, 상기 도어 잠금 입력부 및 상기 구동입력부 및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잠금 입력부는 버튼이나 스위치 형태로 도어 또는 차 키(remote control)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의 프런트 도어(front door)에 구비되는 상기 도어 잠금 입력부는 센트럴 락 스위치, 센트럴 언락 스위치, 차일드 락 스위치, 차일드 언락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트럴 락 스위치는 모든 도어를 잠금으로 설정할 때 사용되고, 센트럴 언락 스위치는 모든 도어를 잠금 해제할 때 사용되며, 차일드 락 스위치는 양 뒷도어를 내부에서 열지 못하게 할 때 사용되며, 차일드 언락 스위치는 양 뒷도어를 내부에서 열 수 있도록 할 때 사용된다.
차량의 리어 도어(rear door)에 구비되는 상기 도어 잠금 입력부는 도어 락 스위치, 도어 언락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락 스위치는 해당 도어를 잠금으로 설정할 때 사용되고, 도어 언락 스위치는 해당 도어를 잠금 해제할 때 사용된다.
차 키에 구비되는 상기 도어 잠금 입력부는 데드 락(dead lock) 스위치와 데드 언락(dead unlock) 스위치를 포함한다. 데드 락 스위치는 모든 도어를 내,외측에서 열 수 없도록 설정할 때 사용되고, 데드 언락 스위치는 모든 도어를 내,외측에서 열 수 있도록 설정할 때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는 핸들부(1000)에 구비되는 제1제어부(main ECU)와, 신칭 모듈(2500)에 구비되는 제2제어부(E latch door ECU)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잠금 입력부 및 상기 구동입력부는 제1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제어부는 래치부(2000)의 모터(26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센트럴 락 스위치가 작동되면 어느 도어의 상기 구동입력부를 통해 도어 오픈이 입력되더라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모터(26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센트럴 언락 스위치가 작동되면 도어의 구동입력부를 통해 도어 오픈이 입력되면 도어가 열리도록 모터(26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일드 락 스위치가 작동되면 양 리어 도어의 구동입력부에서 도어 오픈이 입력되더라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모터(26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일드 언락 스위치가 작동되면 양 리어 도어의 구동입력부에서 도어 오픈이 입력되면 도어가 열리도록 모터(26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도어 락 스위치가 작동되면 해당 도어의 구동입력부에서 도어 오픈이 입력되더라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모터(26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도어 언락 스위치가 작동되면 해당 도어의 구동입력부에서 도어 오픈이 입력되면 도어가 열리도록 모터(26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데드 락 스위치가 작동되면 도어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입력부를 통해 도어 오픈이 입력되더라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모터(26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데드 언락 스위치가 작동되면 도어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구동입력부를 통해 도어 오픈이 입력되면 도어가 열리도록 모터(2610)를 제어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바깥 손잡이 인출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1800)가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에는 바깥 손잡이(1800)가 인출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키나 리모컨, 스위치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1800)가 인출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1900)를 작동시킨다.
모터(1910)가 작동되면 웜(1921)이 회전하게 되고, 웜(1921)이 회전함에 따라, 제1더블기어(1922)가 회전하고, 제1더블기어(1922)가 회전함에 따라 제2더블기어(1925)가 회전하고, 제2더블기어(1925)가 회전함에 따라 리드 스크류(1929)가 회전하게 된다.
리드 스크류(1929)가 회전하면, 지지판(193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지판(193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지지판(1930)과 삽입되어 있는 리프트(1300)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리프트(13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리프트(1300)의 장공(1301)에 위치해있는 제1,2핀(1401,1402)이 장공(1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제1,2핀(1401,1402)이 장공(1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1,2핀(1401,1402)이 삽입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1700) 및 바깥 손잡이(1800)가 하우징(1100) 및 패널(10)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1700)의 돌출부(1720)는 돌출부 관통공(1101)을 통해 패널(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바깥 손잡이(1800)도 패널(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슬라이딩 부재(1700)의 돌출부(1720)가 인출될 때 걸림부(1710)는 패널(10) 및 하우징(1100)에 걸린다.
바깥 손잡이(1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1800)와 패널(10) 사이에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1800)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즉, 바깥 손잡이(1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1800)는 패널(10)의 외측면으로 이격 된다.
리프트(13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에 의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된다.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4)가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1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4)가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2400)의 안전 플레이트 감지돌기(2402)가 제1센서(2907)에 의해 감지된다. 제1센서(2907)가 눌리게 되면, 제1센서(2907)의 신호에 의해 래치부(2000)의 모터(2610)에 전원이 인가된다.
또한, 바깥 손잡이(1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4)가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2400)의 잠금 끼움부(2403)가 잠금부재(2615)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어, 잠금부재(2615)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한편, 바깥 손잡이(1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되면, 리프트(1300)가 제3센서(23b)를 누르게 된다. 리프트(1300)가 제3센서(23b)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1900)의 작동을 멈춘다.
<바깥 손잡이 인입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1800)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에는 바깥 손잡이(1800)가 인입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키나 리모컨, 스위치, 차량의 속도 값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1800)의 인입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1900)를 작동시킨다.
모터(1910)가 바깥 손잡이(1800)의 인출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프트(13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리프트(130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리프트(1300)의 장공(1301)에 위치해있는 제1,2핀(1401,1402)이 장공(1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제1,2핀(1401,1402)이 장공(1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1,2핀(1401,1402)이 삽입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1700) 및 바깥 손잡이(1800)가 하우징(1100) 및 패널(10)에 대해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1700)의 돌출부(1720)는 돌출부 관통공(1101)을 통해 패널(1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바깥 손잡이(1800)도 패널(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리프트(130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5)에 의해 당겨져 있던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돌아온다. 케이블(33)이 원상태로 돌아오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4)가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게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1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4)가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2400)의 안전 플레이트 감지돌기(2402)가 제1센서(2907)에서 벗어나게 된다. 제1센서(2907)가 눌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래치부(2000)의 모터(2610)에 전원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바깥 손잡이(1800)가 인입되어 있을 때 래치부(2000)가 전기적으로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깥 손잡이(1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4)가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2400)의 잠금 끼움부(2403)가 잠금부재(2615)의 안전 플레이트 끼움홈(2616) 완전히 삽입 되어, 잠금부재(2615)의 회전이 불가능해진다.
한편, 바깥 손잡이(1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면, 리프트(1300)가 제3센서(23a)를 누르게 된다. 리프트(1300)가 제3센서(23a)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1900)의 작동을 멈춘다.
<신칭 모듈을 통한 도어 닫음>
열린 상태의 패널(10)을 사용자가 닫으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가 래치(2200)를 눌러서 래치(2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래치(22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되다가 제4센서(2901)를 누르게 되고, 회동부재(2370)의 로킹부(2371)가 래치(2200)의 보조로킹홈(2202)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패널(10)을 닫는 동작을 멈추면, 패널(10)은 불완전하게 닫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패널(10)을 완전하게 닫으면, 래치(2200)는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이 되어 제5센서(2902)를 누르게 된다. 제4센서(2901)에서 신호가 온 뒤 일정 시간 이내에 제5센서(2902)에서 신호가 오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액추에이터(2510)의 모터를 작동시켜서 신칭 연결부(2520)를 액추에이터(2510) 쪽으로 당긴다. 신칭 연결부(2520)가 당겨짐에 따라 신칭 연결부(2520)와 결합되어 있는 레버(25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된다. 레버(2530)가 회전 되면, 레버(2530)의 래치 걸림부(2532)에 의해 래치(2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신칭 연결부(2520)의 걸림부재(2521)는 레버(2530)의 회전에 따라 높이에 변동이 생기지만, 신칭 연결부(2520)가 굽힘성 있는 케이블로 구비되어 레버(2530)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래치(2200)의 외주면(보조로킹홈(2202)과 로킹홈(2201) 사이)은 회동부재(2370)의 로킹부(2371)를 밀게 된다. 따라서, 회동부재(237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패널(10)이 완전하게 닫히면, 로킹부(2371)가 회동부재 스프링(239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킹홈(2201)에 삽입되고, 제5센서(2902)에 의해 래치(2200)가 감지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5센서(290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액추에이터(2510)의 작동을 멈추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액추에이터(2510) 내부의 정해진 일정 스트로크에 따라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530)가 레버(2530)의 초기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액추에이터(2510)를 작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달리 레버(2530)의 래치 걸림부 돌기(2533)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레버(2530)의 위치를 감지하여 액추에이터(25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2530)는 기본위치로 복귀된다.
<바깥 손잡이를 통한 도어 열림>
바깥 손잡이(1800)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1800)를 잡아 당기면, 제1지지부재(141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제1지지부재(141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하면, 제1지지부재(1410)의 후방에 형성된 제2센서감지부(1413)가 제2센서(22)를 누르게 된다. 제2센서(22)가 눌러지면,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입력받아 래치부(2000)의 모터(2610)를 작동시킨다.
모터(2610)가 작동되면 웜(2613)이 회전하고, 웜(2613)이 회전함에 따라 웜기어(2614)가 회전하고, 웜기어(2614)가 회전함에 따라 잠금부재(26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잠금부재(26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단(27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단(2720)의 제1감지부 삽입홈(2721)에 걸려있는 제1단(2710)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단(27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단(2710)의 회동부재걸림부(2711)에 걸려있는 회동부재(23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2200)의 로킹이 해제된다. 래치(2200)의 로킹이 해제되면 래치(2200)는 제1복귀스프링(2250)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널(10)이 열리게 된다.
그 후, 회동부재(237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모터(2610)는 반대로 회전한다. 모터(2610)가 반대로 회전하면 제2단(2720) 및 제1단(27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회동부재(2370) 또한 회동부재 스프링(239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단(2710)의 감지부(2712)가 제6센서(2903)에 의해 감지되고 제4,5센서(2901,2902)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는 모터(2610)의 회전을 멈춘다.
<도어레버 연결부를 통한 도어 열림>
패널(1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레버 연결부(40)를 잡아 당기면, 도어레버 연결부(40)와 연결되어 있는 오픈 플레이트(230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오픈 플레이트(230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제3단(27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3단(2730)의 제2감지부 삽입홈(2731)에 걸려있는 제1단(2710)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단(27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단(2710)의 회동부재걸림부(2711)에 걸려있는 회동부재(23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2200)의 로킹이 해제된다. 래치(2200)의 로킹이 해제되면 래치(2200)는 제1복귀스프링(2250)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널(10)이 열리게 된다.
도어레버 연결부(40)는 모터(2610)에 의한 전동개방이 불가능한 비상시에, 수동으로 패널(10)을 열 수 있으므로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키를 통한 도어 열림>
패널(1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 실린더(1600)에 키를 넣고 돌리게 되면, 도어키 연결부(50)가 당겨져서, 도어키 연결부(50)와 연결되어 있는 오픈 플레이트(230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오픈 플레이트(230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제3단(27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3단(2730)의 제2감지부 삽입홈(2731)에 걸려있는 제1단(2710)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단(27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단(2710)의 회동부재걸림부(2711)에 걸려있는 회동부재(23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2200)의 로킹이 해제된다. 래치(2200)의 로킹이 해제되면 래치(2200)는 제1복귀스프링(2250)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널(10)이 열리게 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서 전후방은 차량의 좌우방향(폭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방향은 차량의 상하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은 차량의 전후방향(길이방향)을 의미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는 핸들부(3000)와 래치부(7000)를 포함하고, 핸들부(3000)는 하우징(3100)을 포함한다.
핸들부(3000)와 래치부(7000)는 도어래치 연결부(30)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ECU(미도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품처럼 구동한다.
신칭 모듈(7500)은 래치부(70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핸들부(3000)는 히든 핸들이고,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케이블이고, 래치부(7000)는 전동식 래치이다.
하우징(3100)의 후방에는 막음판(3500)이 설치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는, 리프트(3300)와 슬라이딩 부재(3700)와 구동부(3900)와 도어래치 연결부(30)를 포함한다.
구동부(3900)는 모터(3910)와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제1웜(3921)과 제1더블기어와 제2더블기어와 제1메인기어(3926)와 제2메인기어(3927)와 랙을 포함한다.
구동부(3900)는 상기 랙에 의해 리프트(3300)와 연결된다.
리프트(3300)는 구동부(39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핸들부(3000)는 바깥 손잡이(3800)와 슬라이딩 부재(3700)를 포함한다.
바깥 손잡이(3800)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전방에 설치된다.
바깥 손잡이(3800) 및 슬라이딩 부재(3700)는 하우징(310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양측에 슬라이딩 부재(37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373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돌기(3730)에 의해 리프트(3300)와 연결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리프트(330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걸림돌기(31)는 리프트(3300)에 의해 위로 당겨지거나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하에서는 도 44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깥 손잡이>
바깥 손잡이(3800)는 도 56 내지 도 5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바깥 손잡이(38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깥 손잡이(3800)의 일측과 타측의 배면에는 결합부 둘레부(3810)가 형성된다. 결합부 둘레부(3810)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바깥 손잡이(3800)에는 제1실시예와 달리 키 삽입구가 형성되지 않는다.
<하우징>
하우징(3100)은 도 45 및 도 46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3100)은 장치의 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하우징(3100)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3100)은 패널(10)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3100)은 전면과, 상기 전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을 둘러싸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하우징(3100)의 전면 상부 양측에는 돌출부(3720)가 관통되는 돌출부 관통공(310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돌출부 관통공(3101)을 통해 바깥 손잡이(3800)의 좌우가 하우징(310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3100)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가이드부(3102)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3102)에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상면에 맞닿는 복수의 돌기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3102)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3700)는 가이드 된다.
상기 전면의 후방에는 하우징 돌출부(3110)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돌출부(3110)는 양측의 돌출부 관통공(3101) 사이에, 제1가이드부(3102) 하부에 배치된다.
하우징 돌출부(3110)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제1관통공(370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3700)를 가이드 한다. 또한, 하우징 돌출부(3110)는 속이 비도록 형성되며, 하우징 돌출부(3110)의 내부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 리브에는 패널(10)과 볼팅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를 경량화 할 수 있는 동시에 패널(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돌출부(3110)의 중앙부에는 램프 설치홈(3113)이 형성된다. 램프 설치홈(3113)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램프 설치홈(3113)의 지름은 램프(24)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램프 설치홈(3113)의 전방에는 상하좌우에 램프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램프(24)가 전방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한다. 램프(24)는 패널(10)이 열렸을 경우 경고를 해주는 역할을 한다. 바깥 손잡이(3800)의 인입, 인출, 당김 여부, 또는 잠김 여부 등을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전면의 전방에는 범퍼 설치부(3114)가 형성된다. 범퍼 설치부(3114)는 양측의 돌출부 관통공(3101)보다 바깥에 사각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범퍼 설치부(3114)는 범퍼부재(3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범퍼 설치부(3114)의 안쪽에는 범퍼부재(3200)의 범퍼 체결공과 결합되는 범퍼 체결 돌기(3115)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범퍼부재(3200)의 형상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되, 범퍼부재(3200)의 우측은 범퍼부재(3200)의 좌측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하우징 돌출부(3110)의 하부에는 제2가이드부(3103)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3103)에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하면에 맞닿는 복수의 돌기가 위쪽으로 돌출되게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가이드부(3103)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3700)는 가이드 된다.
제2가이드부(3103)에는 위아래 및 후방이 개방되게 전선 관통홈(3104)이 형성된다. 전선 관통홈(3104)을 통해 램프(24)와 연결되는 전선이 설치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3100)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제3가이드부(3105)가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3105)에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우측의 돌기(37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좌측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3가이드부(3105)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3700)는 가이드 된다. 제3가이드부(3105)는 상기 둘레부의 인접한 다른 부분보다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3100)의 좌측에 배치되도록 제4가이드부(3106)가 형성된다. 제4가이드부(3106)에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좌측의 돌기(37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우측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4가이드부(3106)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3700)는 가이드 된다. 제4가이드부(3106)는 상기 둘레부의 인접한 다른 부분보다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우징(3100)의 후방 우측에는 제3센서(23a,23b)가 설치되는 제3센서 설치홈(3107)이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에 형성된다. 제3센서 설치홈(3107)은 제3가이드부(3105)의 하부에 배치된다. 두 제3센서 설치홈(3107)의 간격은 리프트(33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거리와 동일 유사하다.
양측 제3센서 설치홈(3107) 사이의 공간의 좌측은 리프트(3300)의 제3센서 누름부(3302)가 제3센서(23a,23b)를 누를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의 우측 하단에는 전선 연결부(3108)가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3100)의 후방 중앙부에는 제1메인기어 설치부(3124)와 제2메인기어 설치부(3126)가 형성된다. 제1,2메인기어 설치부(3124,3126)는 제2가이드부(3103) 하부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설치부(3124)는 제2메인기어 설치부(3126)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1,2메인기어 설치부(3124,3126)는 후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띠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2메인기어 설치부(3124,3126)에 의해 제1,2메인기어(3926,3927)는 전방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1,2메인기어 설치부(3124,3126)의 중앙에는 구동부 커버(3150)와 볼팅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제1메인기어 설치부(3124)의 좌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도어래치연결부 고정부(3125)가 형성된다. 도어래치연결부 고정부(3125)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중공이 형성되어, 하우징(3100)을 경량화할 수 있다. 도어래치연결부 고정부(3125)의 후방에는 상하에 각각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고정부(32)가 설치될 수 있는 홈이 상하방향 및 후방이 개방되게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형성된다. 위쪽의 상기 홈의 전방은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위쪽의 상기 홈의 내경은 고정부(32)의 둘레에 형성된 홈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고, 후방에는 홈 안쪽으로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고정부(32)가 설치된 후로 후방으로 쉽게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아래쪽의 상기 홈의 좌우방향 폭은 고정부(32)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 유사하다.
하우징(3100)의 후방 하부에는 구동부(3900)가 안착되는 구동부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에는 상기 감속기어부가 안착되는 제1더블기어 설치부(3122)와 제2더블기어 설치부(3123)가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설치부(3123)는 제1메인기어 설치부(3124)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더블기어 설치부(3122)는 제2더블기어 설치부(3123)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더블기어 설치부(3122)는 하우징(3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에 각각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 설치부(3122)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육면체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는 웜 지지판(3930)이 끼워진다. 제1더블기어 설치부(3122) 중 위쪽에 형성되는 제1더블기어 설치부(3122)는 좌측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상기 제2더블기어의 큰 기어(3924)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더블기어 설치부(3122)와 웜 지지판(3930)으로 인해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전방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2더블기어 설치부(3123)는 하우징(3100)의 후방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설치부(3123)의 중앙에는 구동부 커버(3150)와 볼팅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더블기어 설치부(3123)에 의해 상기 제2더블기어는 전방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 안착부에는 모터(3910)가 안착되는 모터 설치홈(3121)이 형성된다. 모터 설치홈(3121)은 제1더블기어 설치부(3122)의 우측에 배치된다.
하우징(3100)의 좌측 상부에는 키 실린더 설치부(3130)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키 실린더 설치부(3130)의 상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후방에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키 실린더(3600)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키 실린더(3600)의 형상은 제1실시예의 키 실린더(3600)의 형상과 동일 유사하다. 키 실린더 설치부(3130)의 상부에는 키 실린더(3600)의 키 실린더 지지판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하는 돌기부가 상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에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하우징(3100)에 상기 키 실린더 지지판을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사이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키 실린더(3600)가 설치되는 키 실린더 설치홈(3132)이 형성된다.
키 실린더 설치홈(3132)의 중앙부에는 키 실린더 관통홈(313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키 실린더 관통홈(3131)에는 키 실린더(3600)의 전방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둘레부의 좌우의 위쪽 및 아래쪽에는 제1체결홈(3141)이 형성되어 있다. 제1체결홈(3141)은 막음판(3500)의 막음판 돌출부(3505)가 삽입되는 끼움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끼움홈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체결홈(3141)에 의해 막음판(3500)이 하우징(3100)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의 우측에는 구동부 커버(3150)와 볼팅 체결할 수 있는 제2체결홈(3142)이 형성된다. 제2체결홈(3142)에는 중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통해 하우징(3100)과 구동부 커버(3150)를 볼팅 체결할 수 있다.
아래쪽의 제1더블기어 설치부(3122)의 좌측에는 구동부 커버(3150)와 볼팅 체결할 수 있는 제3체결홈(3143)이 형성된다. 제3체결홈(3143)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통해 하우징(3100)과 구동부 커버(3150)를 볼팅 체결할 수 있다.
제1메인기어 설치부(3124)와 제2메인기어 설치부(3126) 사이에는 구동부 커버(3150)의 하우징 끼움홈(3162)에 삽입되는 제4체결홈(3144)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4체결홈(3144)을 통해 하우징(3100)과 구동부 커버(3150)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
슬라이딩 부재(3700)는 도 47 내지 도 48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판 형상의 걸림부(3710)와 걸림부(3710)의 전방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3720)를 포함한다.
걸림부(3710)는 돌출부(3720)보다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부(3710)의 중심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제1관통공(3702)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3702)은 양측의 돌출부(3720) 사이에 배치된다.
양측 돌출부(3720)의 전방에는 바깥 손잡이(380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 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좌우 양측에는 돌기(3730)가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3700)는 장공(3301)을 따라 양측의 돌기(3730)가 슬라이딩 되게 리프트(3300)와 연결된다.
돌기(3730)와 슬라이딩 부재(37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가이드용 원판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의 후방에는 지지부재 설치홈(3701)이 형성된다. 지지부재 설치홈(3701)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재 설치홈(3701)의 내벽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지지부재 설치돌기(3707)가 형성된다. 지지부재 설치돌기(3707)는 지지부재 설치홈(370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지지부재 설치돌기(3707)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3700)에 대해 지지부재(3400)가 슬라이딩될 때 마찰이 감소된다. 또한, 지지부재 설치돌기(3707)는 전측의 높이가 후측의 높이보다 높아서, 지지부재(3400)가 설치될 때 2지지부재(3400)의 전면이 지지부재 설치돌기(3707)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 설치돌기(3707)에 의해 지지부재(3400)는 전방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좌측 하단에는 제2센서 설치홈(3704)이 형성된다. 제2센서 설치홈(3704)은 좌측의 지지부재 설치홈(3701)과 연통된다. 제2센서 설치홈(3704)은 지지부재 설치홈(3701)의 하부에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의 전면에는 고리 인출공(3705)과 후크 안착홈(3706)이 형성된다. 고리 인출공(3705)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지부재 설치홈(3701) 및 후크 안착홈(3706)에 연통 된다. 후크 안착홈(3706)은 전방과 좌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좌측 하단에는 전선 삽입부(3709)가 형성된다. 전선 삽입부(3709)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전선 삽입부(3709)의 맨 우측에는 전방과 후방 및 하부가 관통된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과 후방 및 하부의 홈은 ㄱ자 형태로 연결된다. 상기 홈 바로 좌측 전방에는 좌우방향 폭이 전선 삽입부(3709)의 상하방향 폭보다 좁고, 전후방향 폭은 걸림부(3710)의 전후방향 폭의 1/2보다 작은 제1판이 형성된다. 상기 제1판 바로 좌측 후방에는, 일정한 좌우방향 간격을 두고, 좌우방향 폭이 상기 제1판의 좌우방향 폭보다 크고, 전후방향 폭은 상기 제1판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 유사한 제2판이 형성된다. 상기 제2판의 바로 좌측에는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이 번갈아가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은 일정한 좌우방향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의 좌우방향 폭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전선 삽입부(3709)의 좌측은 제2센서 설치홈(3704)의 하부와 연통된다.
돌출부(3720)의 후방에는 핀 삽입홈(3708)이 형성된다. 핀 삽입홈(3708)은 양측 돌출부(3720)에 좌우에 각각 2개씩 형성된다.
제1관통공(3702) 방향의 핀 삽입홈(3708)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제1관통공(3702)과 연통된다. 이로 인해, 제1,2핀(3401,3402)은 제1관통공(3702)을 통해 삽입할 수 있으며, 하우징(3100)과 슬라이딩 부재(3700)의 조립 후엔 하우징(3100)의 하우징 돌출부(3110)에 핀 삽입홈(3708)이 가로막혀 제1,2핀(3401,3402)이 제1관통공(3702) 쪽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돌기(3730) 방향의 핀 삽입홈(3708)은 돌기(3730) 쪽 면이 막혀 있어, 삽입된 제1,2핀(3401,3402)이 돌기(3730) 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돌출부(3720)의 전방의 상부 및 하부에는 둘레부 설치홈(3703)이 형성된다. 둘레부 설치홈(3703)은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둘레부 설치홈(3703)에는 바깥 손잡이(3800)의 결합부 둘레부(3810)가 안착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차량 도어의 패널(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지지부재>
지지부재(3400)는 바깥 손잡이(38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3410)와 바깥 손잡이(3800)의 타측(우측)에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3420)를 포함한다.
제1,2지지부재(3410,3420)는 제1,2지지본체(3412,3422)와, 제1,2지지본체(3412,3422)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2결합고리(3411,3421)를 포함한다.
제1,2지지부재(3410,3420)의 제1,2지지본체(3412,3422)의 후방에는 제1,2핀(3401,3402)이 설치된다. 제1,2핀(3401,3402)의 양측은 슬라이딩 부재(3700)의 핀 삽입홈(3708)에 설치되어, 제1,2지지부재(3410,3420)는 슬라이딩 부재(3700)보다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는다.
제1,2지지본체(3412,3422)의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의 하부는 바깥 손잡이(3800)가 인입 완료된 후 슬라이딩 부재(3700)의 배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기의 하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로 인해, 제1지지부재(341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때 손쉽게 제2센서(22)를 누를 수 있다.
제1지지부재(3410)는 바깥 손잡이(3800)를 당기기 전에는 제2센서(22)를 누르고 있다가, 바깥 손잡이(3800)를 당겨 제1지지부재(34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센서(22)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손쉽게 바깥 손잡이(3800)의 당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지지부재(3400)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의 후방에 형성된 지지부재 설치홈(3701)에 안착된다.
제1,2결합고리(3411,3421)에는 탄성후크(3811)가 끼워지는 구멍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2결합고리(3411,3421)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의 전면에 형성된 고리 인출공(3705)을 통해 돌출부(3720) 외측으로 인출된다.
<구동부>
구동부(3900)는 도 43 및 도 49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3900)는 모터(3910)와, 모터(3910)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한다.
구동부(3900)는 차량 도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패널(10)의 내측에 배치된다.
구동부(3900)는 하우징 돌출부(3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모터(3910)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3100)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킨다.
상기 감속기어부는 모터(3910)에 의해 회전되는 제1웜(3921)과, 제1웜(3921)에 의해 회전되는 제1더블기어와, 상기 제1더블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제2더블기어와, 상기 제2더블기어에 회전되는 제1메인기어(3926)와, 제1메인기어(3926)에 의해 회전되는 제2메인기어(3927)와, 제1,2메인기어(3926,3927)에 의해 위아래로 슬라이딩 되는 랙을 포함한다.
제1웜(3921)은 모터(3910)의 축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웜(3921)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제2웜(3923)과, 제2웜(3923)에 설치되는 웜 휠(3922)과 상기 제1더블기어의 축 양단에 끼워지는 웜 지지판(3930)을 포함한다.
제2웜(3923)의 축과 웜 휠(3922)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웜(3923)과 웜 휠(3922)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제2웜(3923)과 웜 휠(3922)이 마주하는 부분에는 웜 휠(3922)의 기어 이를 연결하는 원판이 형성된다.
웜 휠(3922)의 외경은 제2웜(3923)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제1웜(3921)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1더블기어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웜 휠(3922)에 제1웜(3921)이 맞물린다. 상기 제1더블기어의 후방에 제1웜(3921)이 배치된다.
웜 지지판(3930)은 사각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웜 지지판(3930)의 중앙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더블기어의 축을 끼울 수 있다. 웜 지지판(3930)은 하우징(3100)의 제1더블기어 설치부(3122)에 끼워져, 상기 제1더블기어가 하우징(3100)에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더블기어를 제1웜(3921)과 상기 제2더블기어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제1웜(3921)에 상기 제2더블기어를 바로 맞물리는 구조에 비해 구동부(3900)의 감속비를 높여 고급스러운 작동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더블기어는 큰 기어(3924)와 작은 기어(3925)를 포함한다. 큰 기어(3924)의 외경은 작은 기어(392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큰 기어(3924)의 축과 작은 기어(3925)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큰 기어(3924)와 작은 기어(3925)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제2더블기어는 제2웜(3923)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2더블기어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큰 기어(3924)는 제2웜(3923)과 맞물리고, 작은 기어(3925)는 제1메인기어(3926)와 맞물린다. 상기 제2더블기어는 상기 제1더블기어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큰 기어(3924)는 작은 기어(3925)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3926)는 작은 기어(3925)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3926)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3926)의 좌측은 제1랙(3928)과 맞물린다.
제2메인기어(3927)는 제1메인기어(3926)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2메인기어(3927)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메인기어(3927)의 우측은 제2랙(3929)과 맞물린다.
랙은 제1랙(3928)과 제2랙(3929)을 포함한다.
제1,2랙(3928,3929)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랙(3928)의 우측과 제2랙(3929)의 좌측에는 서로 대칭되게 기어 이가 형성된다.
제1,2랙(3928,3929)에는 리프트(3300)와 볼트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랙(3928)은 제1메인기어(3926)와 맞물리고, 제2랙(3929)은 제2메인기어(3927)와 맞물리고, 제1,2랙(3928,3929)은 리프트(3300)와 볼트체결된다.
구동부(3900)와 바깥 손잡이(3800)는 리프트(3300)와 슬라이딩 부재(3700)를 통해 연결된다.
구동부(3900)는 바깥 손잡이(3800)를 가동시킨다. 구동부(3900)는 바깥 손잡이(38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구동부 커버>
구동부 커버(3150)는 도 50 및 도 51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 커버(3150)는 모터 커버(3151)와 감속기어부 커버(3152a,3152b)를 포함한다.
모터 커버(3151)는 모터(3910)의 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모터 커버(3151)는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모터 커버(3151)의 중앙부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원기둥의 형태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모터 커버(3151)는 모터 설치홈(3153)을 포함한다.
모터 설치홈(3153)은 모터(3910)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 중 모터(3910)의 몸체를 지지하는 격벽은 모터(3910)의 몸체의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격벽 중 모터(3910)의 축을 지지하는 격벽은 모터축 설치홈(3154)을 포함한다.
모터축 설치홈(3154)은 모터(3910)의 축의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모터 커버(3151)는 하우징(3100)의 모터 설치홈(3121)의 측벽의 일부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모터 커버(3151)의 우측면에는 볼트 체결부(3159b)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3159b)의 일단은 모터 커버(3151)와 연결된다.
볼트 체결부(3159b)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52a)는 감속기어부의 후방 및 좌측 및 상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감속기어부 커버(3152a)는 전방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52a)의 상부는 상기 제1더블기어와 제2더블기어의 상부 형상에 따라 우측은 평평한 형태로, 좌측은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52a)는 제1웜기어 설치홈(3156)과 제1더블기어 지지부(3157)와 제2더블기어 돌기부(3158a)를 포함한다.
제1웜기어 설치홈(3156)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원기둥의 형태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웜기어 설치홈(3156)은 제1웜(3921)의 축을 지지할 수 있는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어 제1웜(3921)의 축이 삽입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3157)는 감속기어부 커버(3152a)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에 각각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3157)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육면체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는 웜 지지판(3930)이 끼워진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3157) 중 위쪽에 형성되는 제1더블기어 지지부(3157)는 좌측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감속기어부의 큰 기어(3924)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더블기어 지지부(3157)와 웜 지지판(3930)으로 인해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전후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3157)는 모터 설치홈(3153)의 좌측에 배치된다.
아래쪽 제1더블기어 지지부(3157)의 좌측에는 볼트 체결부(3159c)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3159c)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3158a)는 감속기어부 커버(3152a)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3158a)의 전면은 제2더블기어의 큰 기어(3924)의 후면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제2더블기어 돌기부(3158a)는 상기 제2더블기어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도 큰 기어(3924)와 제2웜(3923), 또는 작은 기어(3925)와 제1메인기어(3926)가 맞물린 부분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큰 기어(3924)의 후면과 충분히 가깝도록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3158a)는 제1더블기어 지지부(3157)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3158a)의 중앙부에는 볼트 체결부(3159a)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3159a)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조립 후, 하우징(3100)의 제2더블기어 설치부(3123)에 형성된 체결부와 연통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52b)는 감속기어부의 후방을 막도록 형성된다. 즉, 감속기어부 커버(3152b)는 전방 및 상하좌우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52a)는 감속기어부의 후방 및 좌측 및 상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감속기어부 커버(3152a)는 전방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52b)는 제1메인기어 돌기부(3158b)와, 제2메인기어 돌기부(3158c)와, 고정부 관통공(3155)과, 돌출부(3160)를 포함한다.
감속기어부 커버(3152b)는 모터 커버(3151)와 감속기어부 커버(3152a)의 위쪽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돌기부(3158b)는 감속기어부 커버(3152b)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호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메인기어 돌기부(3158b)의 전면은 제1메인기어(3926)의 후면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제1메인기어 돌기부(3158b)는 제1메인기어(3926)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도 제1메인기어(3926)와 다른 기어 사이에 맞물린 부분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제1메인기어(3926)의 후면과 충분히 가깝도록 형성된다.
제1메인기어 돌기부(3158b)는 제2더블기어 돌기부(3158a)의 위쪽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돌기부(3158b)의 중앙부에는 볼트 체결부(3159d)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3159d)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조립 후, 하우징(3100)의 제1메인기어 설치부(3124)에 형성된 체결부와 연통된다.
제2메인기어 돌기부(3158c)는 감속기어부 커버(3152b)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메인기어 돌기부(3158c)의 전면은 제2메인기어(3927)의 후면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제2메인기어 돌기부(3158c)는 제2메인기어(3927)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도 제2메인기어(3927)와 다른 기어 사이에 맞물린 부분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제2메인기어(3927)의 후면과 충분히 가깝도록 형성된다.
제2메인기어 돌기부(3158c)는 제1메인기어 돌기부(3158b)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2메인기어 돌기부(3158c)의 중앙부에는 볼트 체결부(3159e)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3159e)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조립 후, 하우징(3100)의 제2메인기어 설치부(3126)에 형성된 체결부와 연통된다.
고정부 관통공(3155)은 감속기어부 커버(3152b)를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고정부 관통공(3155)에는 하우징(3100)의 도어래치연결부 고정부(3125)가 삽입된다.
고정부 관통공(3155)은 감속기어부 커버(3152b) 좌측에 형성된다
돌출부(3160)는 감속기어부 커버(3152b)의 상부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3160)의 상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하부는 아래쪽이 뾰족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사각형 부분에는 상부의 일부 및 전방이 개방되게 전선 관통홈(3161)이 형성된다. 전선 관통홈(3161)을 통해 하우징(3100)의 전선 관통홈(3104)을 지나 램프(24)에 연결되는 전선이 설치된다. 상기 램프(24)에서 나온 전선은 전선 관통홈(316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설치되어, 하우징(310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삼각형 부분에는 전방이 개방되게 하우징 끼움홈(3162)이 형성된다. 하우징 끼움홈(3162)에는 하우징(3100)의 제4체결홈(3144)이 삽입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3100)과 구동부 커버(3150)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3900)는 하우징(3100)과 구동부 커버(3150)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부 커버(3150)는 볼트 체결부(3159a,3159b,3159c,3159d,3159e)에 의해 하우징(3100)의 후방 하부에 볼팅 체결 된다. 따라서 구동부 커버(3150)는 하우징(31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리프트>
리프트(3300)는 도 52 및 도 53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리프트(3300)는 하면(3310)과 하면(3310)의 좌우 양단에 각각 연결된 좌면(3320)과 우면(3330)을 포함한다. 하면(3310)의 좌우방향 폭은 슬라이딩 부재(3700)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 유사하다. 좌면(3320)과 우면(3330)의 전후방향 폭은 하면(3310)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좌면(3320)과 우면(3330)은 하면(331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좌면(3320)은 하면(3310)의 좌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하면(3310)과 연결된다. 우면(3330)은 하면(3310)의 우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하면(3310)과 연결된다.
즉, 리프트(3300)는 상부와 하부 그리고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면(3310)에는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이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은 하면(3310)의 좌측에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은 하면(33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은 원형의 홈과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을 연결하는 선형의 홈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의 홈의 직경은 상기 선형의 홈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원형의 홈의 직경은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선형의 홈의 전후방향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선형의 홈의 전후방향 폭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3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의 좌측에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은 하면(3310)에 윗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은 도어래치 연결부(30)가 관통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의 중앙부에서부터 우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하면(3310)을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의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홈의 직경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3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가 안착되는 상부홈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의 상기 원형의 홈을 통해 도어래치 연결부(30)를 아래에서 위로 삽입한 후,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의 상기 선형의 홈을 따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에 설치할 수 있다.
좌면(3320)의 후방 하부에는 좌면 돌출부(3321)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우면(3330)의 후방 하부에는 우면 돌출부(3331)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좌면 돌출부(3321) 및 우면 돌출부(3331)의 전면은 좌면(3320) 및 우면(3330)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좌면 돌출부(3321)와 좌면(3320) 사이의 공간에는 제1랙(3928)이 안착되는 랙 안착부(3305)가 형성된다. 좌면 돌출부(3321)에는 제1랙(3928)을 볼트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우면 돌출부(3331)와 우면(3330) 사이의 공간에는 제2랙(3929)이 안착되는 랙 안착부(3305)가 형성된다. 우면 돌출부(3331)에는 제2랙(3929)을 볼트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우면(3330) 하부에는 제3센서 누름부(3302)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센서 누름부(3302)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센서 누름부(3302)는 리프트(3300)가 일정이상 내려가면 아래쪽에 있는 제3센서(23a)를 누르고, 리프트(3300)가 일정이상 올라가면 위쪽에 있는 제3센서(23b)를 누른다.
좌면(3320)과 우면(3330)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기(3730)가 관통되는 장공(3301)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장공(3301)의 일측은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형성된다.
<막음판>
막음판(3500)은 도 54 내지 도 55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막음판(350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음판(3500)의 좌우방향 너비는 하우징(3100)의 좌우방향 너비와 동일 유사하다.
막음판(3500)의 상부에는 제1돌출부(3503)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막음판(3500)으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3700)가 인입되었을 때, 슬라이딩 부재(3700)의 후면이 제1돌출부(3503)의 전면에 닿아 지지된다.
제1돌출부(3503)의 중앙부의 하부는 돌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3700)가 인입되었을 때, 램프(24)와 연결되고, 슬라이딩 부재(3700)의 후방을 통해 전선 관통홈(3104)을 지나는 전선이 막음판(3500)과 간섭되지 않는다.
막음판(3500)의 하부에는 제2돌출부(3504)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제2돌출부(3504)는 리프트(33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리프트(3300)의 후면이 제2돌출부(3504)의 전면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리프트(3300)는 제2돌출부(3504)의 상면까지만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막음판(3500)의 하부 좌측에는 도어래치 연결부 안착홈(3501)과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3502)이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안착홈(3501)은 막음판(35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함몰되어 후방 및 상하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안착홈(3501)은 제2돌출부(3504)의 좌측에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안착홈(3501)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안착한다. 도어래치 연결부 안착홈(3501)은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안착되었을 때,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제2돌출부(3504)의 후면보다 안쪽에 안착될 수 있도록 충분히 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3502)은 막음판(3500)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3502)은 도어래치 연결부 안착홈(3501)의 위쪽에 배치되고, 제2돌출부(3504)의 일부가 걸쳐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3502)을 통해 도어래치 연결부(30)는 핸들부(3000)의 외부에서 리프트(3300)에 연결된다.
막음판(3500)의 좌측에는 좌측부(3510)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좌측부(3510)는 하우징(3100)의 키 실린더 설치부(31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측부(3510)의 중앙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게 키 실린더 설치부(3511)가 형성된다. 키 실린더 설치부(3511)는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키 실린더 설치부(3511)에는 키 실린더(3600)의 후방이 삽입된다.
키 실린더 설치부(3511)의 하면에는 도어키 연결부 관통홈(351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어키 연결부 관통홈(3512)을 통해 도어키 연결부(50)가 핸들부(3000) 외부에서 키 실린더(3600)에 설치된다.
막음판(3500)의 좌우 양측에는 복수의 막음판 돌출부(3505)가 형성된다. 막음판 돌출부(3505)는 후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음판 돌출부(3505)는 하우징(3100)의 제1체결홈(3141)에 끼워진다.
그로 인해 막음판(3500)은 손쉽게 하우징(3100)에 조립될 수 있다.
<래치부>
래치부(7000)의 설명에서 전후방은 차량의 전후방향(길이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방향은 차량의 좌우방향(폭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은 차량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래치부(7000)는 도 60 내지 도 61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래치부(7000)는 하우징(7100)과, 하우징(7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7200)와, 래치(72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메인 열림부재(7300)를 포함하며 래치(7200)를 로킹 또는 언로킹시키는 도어개폐부재와, 메인 열림부재(7300)를 슬라이딩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한다.
래치부(700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7100)은 제1하우징(7110)과, 제1하우징(7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7130)과, 제1하우징(7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7150)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7110)의 전방에는 래치(7200) 및 회동부재(7370)가 배치된다. 래치(7200) 및 회동부재(7370)는 제1하우징(7110)과 제2하우징(7130) 사이에 배치된다.
제2실시예의 래치(72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의 회동부재(737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의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2실시예의 도어래치 연결부(30)의 타단에는 스토퍼 커버(37)가 더 포함된다. 스토퍼 커버(37)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토퍼 커버(37)에는 스토퍼(34)가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부는 모터(7610)와, 모터(7610)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7630)를 포함한다.
메인기어(7630)는 제1하우징(7110)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스토퍼 커버(37)는 메인기어(76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해진다.
메인기어(7630)의 전면에는 래치(7200)를 회전시키는 걸림부(7631)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메인기어(7630)의 전면에는 메인 열림부재(7300)를 슬라이딩시키는 도어개폐부재 걸림부(7635)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7631)와 도어개폐부재 걸림부(7635)는 메인기어(7630)의 비기어부에 형성된다.
메인기어(7630)의 외주면에는 제6센서(7903)에 의해 감지되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7632)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7633)가 구비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7632)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7633)는 메인기어(7630)의 비기어부에 형성된다. 제6센서(7903)는 메인기어(7630)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7632)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7633)와 도어개폐부재 걸림부(7635)와 걸림부(7631)가 시계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메인기어(7630)에는 신칭 모듈(7500)의 레버(7530)가 걸리는 신칭 걸림부(7638)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메인기어 감지부(7632)의 좌측에는 스토퍼 걸림홈(7639)이 배치되어, 스토퍼 커버(37)가 걸리게 된다.
메인 열림부재(7300)는 제1실시예의 오픈 레버(2700)와 오픈 플레이트(2300)의 기능을 합친 것이다.
메인 열림부재(7300)의 좌측은 메인기어(763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모터(7610) 및 메인기어(7630)를 포함한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메인기어(7630)가 모터(761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메인 열림부재(7300)는 도어개폐부재 걸림부(7635)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메인 열림부재(7300)의 전방에는 회동부재(737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메인 열림부재(730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회동부재(7370)가 반시계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메인 열림부재(7300)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는 메인 열림부재(73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하면 제7센서(7905)에 의해 감지된다.
메인 열림부재(7300)의 우측에는 도어레버 연결부(40)가 설치된다. 메인 열림부재(7300)의 우측에는 도어키 연결부(5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칭 모듈(7500)은 액추에이터(7510)와, 액추에이터(7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칭 연결부(7520)와, 신칭 연결부(7520)에 연동되는 레버(753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7510)는 래치(7200)를 회전시켜서 메인 열림부재(7300) 및 회동부재(7370)가 래치(7200)를 로킹시키도록 하는 제2구동부 및 PCB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구동부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7510)는 차량에 따라 사양을 변경할 수 있고, 래치부(7000)의 외부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액추에이터(7510)의 사양에 상관없이 래치부(7000)는 동일한 크기를 유지할 수 있고, 고객의 요구에 따라 쉽게 액추에이터(7510)를 제거할 수 있다.
신칭 연결부(7520)는 케이블로 구비된다. 신칭 연결부(7520)의 일단은 액추에이터(7510)와 연결된다. 신칭 연결부(7520)의 타단에는 걸림부재(7521)가 형성되어, 후술할 레버(7530)에 끼워진다.
신칭 연결부(7520)는 액추에이터(7510)의 구동력을 레버(7530)에 전달한다.
신칭 연결부(7520)에 의해 래치부(7000)에 대한 액추에이터(7510)의 상대적인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레버(7530)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하우징(7110)에 끼워진다. 레버(7530)와 제1하우징(7110)은 단순하게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레버(7530)를 쉽게 래치부(7000)에서 제거할 수 있다.
레버(7530)에는 신칭 연결부(7520)의 걸림부재(7521)가 끼워지는 걸림부재 끼움부(7531)와, 메인기어(7630)의 신칭 걸림부(7638)가 걸리는 메인기어 걸림부(7532)가 형성된다.
레버(7530)의 중앙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장치를 경량화하는 동시에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걸림부재 끼움부(7531)는 레버(7530)의 일측에 좌측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걸림부재 끼움부(7531)는 걸림부재(7521)에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메인기어 걸림부(7532)는 레버(7530)의 타측 상단에 전후방 및 위쪽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메인기어 걸림부(7532)의 좌우방향 길이는 메인기어(7630)가 모터(7610)에 의해 회전할 때 메인기어 걸림부(7532)와 신칭 걸림부(7638)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메인기어 걸림부(7532)의 상하방향 길이는 메인기어(7630)가 레버(753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신칭 걸림부(7638)가 메인기어 걸림부(7532)를 아래방향으로 밀어내지 않도록 형성된다.
<바깥 손잡이 인출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키나 리모컨, 스위치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3900)를 작동시킨다.
모터(3910)가 작동되면 제1웜(3921)이 회전하게 되고, 제1웜(3921)이 회전함에 따라 제1더블기어의 웜 휠(3922)이 회전하게 되고, 웜 휠(3922)과 함께 제2웜(3923)도 회전하게 된다.
제2웜(3923)이 회전하면 제2더블기어의 큰 기어(3924)가 회전하게 되고, 큰 기어(3924)와 함께 작은 기어(3925)도 회전하게 된다.
작은 기어(3925)가 회전하면 제1메인기어(3926)가 회전하게 되고, 제1메인기어(3926)가 회전하면 제2메인기어(3927)가 회전하고, 제1랙(3928)이 윗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 제2메인기어(3927)가 회전하면, 제2랙(3929)이 윗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
제1,2랙(3928,3929)이 윗방향으로 올라가면 제1,2랙(3928,3929)과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3300)도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리프트(3300)가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리프트(3300)의 장공(3301)에 위치해있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기(3730)가 장공(3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돌기(3730)가 장공(3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돌기(3730)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3700) 및 바깥 손잡이(3800)가 하우징(3100) 및 패널(10)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는 돌출부 관통공(3101)을 통해 패널(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바깥 손잡이(3800)도 패널(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가 인출될 때 걸림부(3710)는 하우징(3100)에 걸린다.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3800)와 패널(10) 사이에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3800)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즉,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3800)는 패널(10)의 외측면으로 이격 된다.
리프트(3300)가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5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3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에 의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된다.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4)가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 커버(37)가 제1센서(7907)에 감지된다. 제1센서(7907)가 눌리면, 제1센서(7907)의 신호에 의해 래치부(7000)의 모터(7610)에 전원이 인가된다.
또한,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 커버(37)가 메인기어(7630)의 회전반경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어, 메인기어(7630)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한편,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되면, 리프트(3300)가 제3센서(23b)를 누르게 된다. 리프트(3300)가 제3센서(23b)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3900)의 작동을 멈춘다.
<바깥 손잡이 인입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3800)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키나 리모컨, 스위치, 차량의 속도 값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3800)의 인입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3900)를 작동시킨다.
모터(3910)가 바깥 손잡이(3800)의 인출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프트(3300)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리프트(3300)가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리프트(3300)의 장공(3301)에 위치해있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기(3730)가 장공(3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돌기(3730)가 장공(3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돌기(3730)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3700) 및 바깥 손잡이(3800)의 슬라이딩부가 하우징(3100) 및 패널(10)에 대해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는 돌출부 관통공(3101)을 통해 패널(1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바깥 손잡이(3800)도 패널(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리프트(3300)가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5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3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에 의해 당겨져 있던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도 5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돌아온다. 케이블(33)이 원상태로 돌아오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4)가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처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3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 커버(37)가 제1센서(7907)에서 벗어난다. 제1센서(7907)가 눌리지 않으면, 제1센서(7907)의 신호에 의해 래치부(7000)의 모터(7610)에 전원이 차단된다.
이로 인해 바깥 손잡이(3800)가 인입되어 있을 때 래치부(7000)가 전기적으로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깥 손잡이(3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 커버(37)가 설치된 메인기어(7630)의 회전반경 내에 삽입 되어, 패널(10)이 열리는 방향으로 메인기어(7630)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바깥 손잡이(3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면, 리프트(3300)가 제3센서(23a)를 누르게 된다. 리프트(3300)가 제3센서(23a)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3900)의 작동을 멈춘다.
<신칭 모듈을 통한 도어 닫음>
열린 상태의 패널(10)을 사용자가 닫으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가 래치(7200)를 눌러서 래치(7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된다.
래치(72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되다가 제4센서(7901)를 누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패널(10)을 닫는 동작을 멈추면, 패널(10)은 불완전하게 닫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패널(10)을 완전하게 닫으면, 래치(7200)는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이 되어 제5센서(7902)를 누르게 된다. 제4센서(7901)에서 신호가 온 뒤 일정 시간 이내에 제5센서(7902)에서 신호가 오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액추에이터(7510)의 모터를 작동시켜서 신칭 연결부(7520)를 액추에이터(7510) 쪽으로 당긴다. 신칭 연결부(7520)가 당겨짐에 따라 신칭 연결부(7520)와 결합되어 있는 레버(7530)가 제1하우징(7110)의 좌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레버(7530)가 슬라이딩 되면 메인기어 걸림부(7532)에 삽입되어 있는 메인기어(7630)의 신칭 걸림부(7638)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메인기어(7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메인기어(7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부(7631)가 래치(72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패널(10)이 완전하게 닫히면, 제1메인기어 감지부(7632)가 제6센서(7903)에 의해 감지된다. 또한 래치(7200)에 의해 제5센서(7902)가 눌리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5,6센서(7902,7903)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액추에이터(7510)의 작동을 멈추고, 액추에이터(7510)의 모터(미도시)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7510)가 레버(7530)를 우측으로 슬라이딩 시키고, 레버(7530)의 메인기어 걸림부(7532)에 걸리게 되는 신칭 걸림부(763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되어 메인기어(7630)를 역회전 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제2메인기어 감지부(7633)가 제6센서(7903)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메인기어(7630)를 역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제2메인기어 감지부(7633)가 제6센서(7903)를 누르면 모터(7610)의 작동을 멈춘다.
따라서, 메인기어(7630)와 레버(7530)는 기본위치로 복귀된다.
<바깥 손잡이를 통한 도어 열림>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3800)를 잡아 당기면, 제1지지부재(341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제1지지부재(341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하면, 제1지지부재(3410)가 제1지지부재(3410) 후방에 위치한 제2센서(22)를 누르지 않게 된다. 제2센서(22)가 눌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입력받아 래치부(7000)의 모터(7610)를 작동시킨다.
모터(7610)가 작동되면 메인기어(7630)가 회전하고, 메인기어(7630)가 회전함에 따라 메인 열림부재(73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메인 열림부재(7300)에 의해 회동부재(73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7200)의 로킹이 해제된다. 모터(7610)는 메인 열림부재(7300)가 제7센서(7905)에 감지될 때까지 작동한다. 래치(7200)의 로킹이 해제되면 래치(7200)는 래치(7200)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널(10)이 열리게 된다.
그 후, 메인 열림부재(7300) 및 메인기어(76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모터(7610)는 반대로 회전한다. 모터(7610)가 반대로 회전하면 메인기어(7630)도 반대로 회전하여 제자리로 돌아오게 되고, 회동부재(7370) 및 메인 열림부재(7300) 또한 각각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메인기어(7630)의 제2메인기어 감지부(7633)가 제6센서(7903)에 의해 감지되고 제4,5센서(7901,7902)가 눌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모터(7610)의 회전을 멈춘다.
<도어레버 연결부를 통한 도어 열림>
패널(1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상시 수동으로 도어레버 연결부(40)를 잡아 당기면, 도어레버 연결부(40)와 연결되어 있는 메인 열림부재(73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메인 열림부재(73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회동부재(73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7200)의 로킹이 해제된다. 래치(7200)의 로킹이 해제되면 래치(7200)는 래치(7200)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널(10)이 열리게 된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는 핸들부(3000)와 래치부(8000)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의 핸들부(3000)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래치부(8000)의 설명에서 전후방은 차량의 전후방향(길이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방향은 차량의 좌우방향(폭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은 차량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래치부(8000)는 도 64 내지 도 6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래치부(8000)는 하우징(8100)과, 하우징(8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8200)와, 래치(82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메인 열림부재(8300)를 포함하며 래치(8200)를 로킹 또는 언로킹시키는 도어개폐부재와, 메인 열림부재(8300)를 슬라이딩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한다.
하우징(8100)은 제1하우징(8110)과, 제1하우징(8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8130)과, 제1하우징(8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8150)을 포함한다.
제3하우징(8150)의 상부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3하우징(8150)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부에는 제3하우징 커버(8156)가 배치된다.
제1하우징(8110)의 전방에는 래치(8200) 및 회동부재(8370)가 배치된다. 래치(8200) 및 회동부재(8370)는 제1하우징(8110)과 제2하우징(8130) 사이에 배치된다.
제3실시예의 래치(82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개폐부재는 상기 래치(8200)를 로킹시키는 회동부재(8370)와, 메인 열림부재(8300)와 메인 열림부재(8300)를 슬라이딩시키는 오픈 플레이트(8700)를 포함한다.
메인 열림부재(8300)는 제1하우징(8110)의 후방에 배치된다.
메인 열림부재(8300) 상부의 후방에는 도어레버 연결부(40)가 끼워지는 레버연결부 삽입홈(8315)이 형성된다.
오픈 플레이트(8700)는 메인 열림부재(8300)에 대해 회동 가능하다.
오픈 플레이트(87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오픈 플레이트(8700)의 중앙에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오픈 플레이트(8700)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오픈 플레이트(8700)의 일측에는 구동부 걸림부(8707)가 형성된다.
구동부 걸림부(8707)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구동부 걸림부(8707)의 상단은 후술할 잠금부재(8615)에 걸린다.
오픈 플레이트(8700)의 타측에는 메인 열림부재 걸림부(8701)와 회동부재 걸림부(8708)가 형성된다.
메인 열림부재 걸림부(8701)는 원통의 형상으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메인 열림부재(8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오픈 플레이트 걸림홈(8330)에 삽입된다. 메인 열림부재 걸림부(8701)는 제7센서(8905)에 의해 감지된다. 제7센서(8905)는 메인 열림부재 걸림부(8701)의 우측에 배치된다. 오픈 플레이트 걸림홈(8330)은 오픈 플레이트(8700)가 후술할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도 메인 열림부재(8300)가 간섭되지 않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회동부재 걸림부(8708)는 원통의 형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동부재(8370)의 하부에 걸린다.
오픈 플레이트(8700)는 잠금부재(8615)의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오픈 플레이트(8700)는 제1하우징(8110)과 메인 열림부재(8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오픈 플레이트(8700)로 인해, 오픈 플레이트(8700)가 회전함에 따라 회동부재(837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된다.
도 66 내지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부는 모터(8610)와, 모터(8610)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8614)와, 웜기어(8614)와 동시에 회전하는 잠금부재(8615)와, 잠금부재(8615)에 삽입되는 안전 플레이트(8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는 제1하우징(8110) 후방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구동부 및 메인 열림부재(8300)는 제1하우징(8110)과 제3하우징(815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구동부는 제3하우징(8150)과 제3하우징 커버(8156)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8610)의 축에는 웜(8613)이 설치되어 있다.
웜(8613)은 웜기어(8614)와 치합된다. 웜기어(8614)는 웜(8613)의 전방에 배치된다.
웜기어(8614)와 잠금부재(8615)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잠금부재(8615)는 웜기어(8614)의 하부에 형성된다.
잠금부재(8615) 하부의 후방에는 후술할 안전 플레이트(8400)의 잠금 끼움부(8403)가 삽입되는 안전 플레이트 끼움홈(8616)이 형성된다. 잠금부재(8615) 하부의 전방에는 양측에 오픈 플레이트(8700)가 걸리는 두 개의 회전 걸림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 걸림부는 제1회전 걸림부(8617)와 제2회전 걸림부(8618)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 걸림부로 인해, 잠금부재(8615)가 회전되면, 오픈 플레이트(87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된다.
안전 플레이트(8400)는 후방이 좌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안전 플레이트(8400) 후방의 좌측에는 안전 플레이트 감지돌기(840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안전 플레이트 감지돌기(8402)에 의해 안전 플레이트(8400)는 바깥 손잡이(3800)의 인입시 전기를 차단하는 제1센서(8907)에 감지된다.
안전 플레이트(8400) 전방의 하부에는 스토퍼(34)가 삽입되는 스토퍼 끼움부(8401)가 형성된다.
안전 플레이트(8400)의 전방에는 잠금부재(8615)에 삽입되는 잠금 끼움부(8403)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안전 플레이트(8400)는 모터(8610)의 우측 및 후방에 배치된다.
신칭 모듈(8500)은 액추에이터(8510)와, 액추에이터(8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칭 연결부(8520)와, 신칭 연결부(8520)에 연동되는 레버(8530)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의 액추에이터(8510)와 신칭 연결부(8520)와 레버(853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깥 손잡이 인출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의 바깥 손잡이(3800) 인출 과정은 도어래치 연결부(30)와 관련된 과정을 제외하면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리프트(3300)가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5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3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에 의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된다.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4)가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8400)가 도 6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 커버(37)가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8400)의 안전 플레이트 감지돌기(8402)가 제1센서(8907)에 감지된다. 제1센서(8907)가 눌리면, 제1센서(8907)에 의해 래치부(8000)의 모터(8610)에 전원이 인가된다.
또한,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 커버(37)가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8400)의 잠금 끼움부(8403)가 잠금부재(8615)의 안전 플레이트 끼움홈(8616)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어, 잠금부재(8615)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바깥 손잡이 인입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3800)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의 바깥 손잡이(3800) 인출 과정은 도어래치 연결부(30)와 관련된 과정을 제외하면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리프트(3300)가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5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3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에 의해 당겨져 있던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도 5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돌아온다. 케이블(33)이 원상태로 돌아오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4)가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8400)가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처럼 좌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3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 커버(37)가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8400)의 안전 플레이트 감지돌기(8402)가 제1센서(8907)에서 감지되지 않게 된다. 제1센서(8907)가 눌리지 않게 되면, 제1센서(8907)의 신호에 의해 래치부(8000)의 모터(8610)에 전원이 차단된다.
이로 인해 바깥 손잡이(3800)가 인입되어 있을 때 래치부(8000)가 전기적으로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깥 손잡이(3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 커버(37)가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8400)의 잠금부재(8615)의 안전 플레이트 끼움홈(8616)에 삽입 되어, 잠금부재(8615)의 회전이 불가능해진다.
<신칭 모듈을 통한 도어 닫음>
열린 상태의 패널(10)을 사용자가 닫으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가 래치(8200)를 눌러서 래치(8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된다.
래치(82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되다가 제4센서(8901)를 누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패널(10)을 닫는 동작을 멈추면, 패널(10)은 불완전하게 닫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패널(10)을 완전하게 닫으면, 래치(8200)는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이 되어 제5센서(8902)를 누르게 된다. 제4센서(7901)에서 신호가 온 뒤 일정 시간 이내에 제5센서(8902)에서 신호가 오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액추에이터(8510)의 모터를 작동시켜서 신칭 연결부(8520)를 액추에이터(8510) 쪽으로 당긴다. 신칭 연결부(8520)가 당겨짐에 따라 신칭 연결부(8520)와 결합되어 있는 레버(85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레버(8530)가 회전 되면 레버(8530)의 래치 걸림부(8532)에 의해 래치(8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신칭 연결부(8520)의 걸림부재(8521)는 레버(8530)의 회전에 따라 높이에 변동이 생기지만, 신칭 연결부(8520)가 굽힘성 있는 케이블로 구비되어 레버(8530)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패널(10)이 완전하게 닫히면, 래치 걸림부 돌기(8533)가 제6센서(8903)에 의해 감지된다. 또한 래치(8200)에 의해 제5센서(8902)가 눌리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5,6센서(8902,8903)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액추에이터(8510)의 작동을 멈추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액추에이터(8510) 내부의 정해진 일정 스트로크에 따라 레버(8530)의 걸림부재 끼움부(8531)가 제3하우징(8150)의 상기 레버홈의 우측 끝에 걸릴 때까지 작동한다.
따라서, 레버(8530)는 기본위치로 복귀된다.
<바깥 손잡이를 통한 도어 열림>
바깥 손잡이(3800)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3800)를 잡아 당기면, 제1지지부재(341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제1지지부재(341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하면, 제1지지부재(3410)가 제1지지부재(3410) 후방에 위치한 제2센서(22)를 누르지 않게 된다. 제2센서(22)가 눌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입력받아 래치부(8000)의 모터(8610)를 작동시킨다.
모터(8610)가 작동되면 잠금부재(86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잠금부재(86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오픈 플레이트(87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오픈 플레이트(8700)가 회전하면 오픈 플레이트(8700)와 결합된 회동부재(83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8200)의 로킹이 해제된다. 모터(8610)는 오픈 플레이트(8700)가 제7센서(8905)에 감지될 때까지 작동된다. 래치(8200)의 로킹이 해제되면 래치(8200)는 래치(8200)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널(10)이 열리게 된다.
그 후, 모터(8610)는 잠금부재(8615)가 원상태로 복귀될 때까지 반대로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달리 잠금부재(8615)는 스프링 탄성으로 인해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잠금부재(8615)가 원위치로 돌아오면, 회동부재(8370) 및 오픈 플레이트(8700)가 회동부재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도어레버 연결부를 통한 도어 열림>
패널(1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상시 수동으로 도어레버 연결부(40)를 잡아 당기면, 도어레버 연결부(40)와 연결되어 있는 메인 열림부재(83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메인 열림부재(83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오픈 플레이트(87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오픈 플레이트(8700)가 회전하면 오픈 플레이트(8700)와 결합된 회동부재(83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8200)의 로킹이 해제된다. 래치(8200)의 로킹이 해제되면 래치(8200)는 래치(8200)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널(10)이 열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도어 패널 2: 핸들
3: 모터 4: 키 실린더
5: 도어 래치 6: 액추에이터
7: 케이블 10: 패널
22: 제2센서 23a: 제3센서
23b: 제3센서 24: 램프
30: 도어래치 연결부 31: 걸림돌기
32: 고정부 33: 케이블
34: 스토퍼 35: 스토퍼 스프링
36: 스토퍼 고정부 37: 스토퍼 커버
40: 도어레버 연결부 43: 케이블
44: 스토퍼 45: 스토퍼 스프링
46: 스토퍼 고정부
50: 도어키 연결부 51: 걸림돌기
52: 고정부 53: 케이블
54: 스토퍼 55: 스토퍼 스프링
56: 스토퍼 고정부
1000: 핸들부
1100: 하우징 1101: 돌출부 관통공
1102: 제1가이드부 1103: 제3센서 설치홈
1104: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 1105: 도어래치 연결부 끼움홈
1110: 하우징 돌출부 1111: 제2센서 설치홈
1112: 제2센서 감지홈 1113: 램프 설치홈
1114: 범퍼 설치부 1115: 범퍼 체결 돌기
1121: 제1모터 설치홈 1122: 제1더블기어 설치홈
1123: 제2더블기어 설치홈 1130: 제2가이드부
1131: 통공 1132: 리드 스크류 관통홈
1133: 리드 스크류 설치홈 1140: 제3가이드부
1141: 키 실린더 관통홈 1142: 키 실린더 설치홈
1151: 제1체결홈 1152: 제2체결홈
1153: 제3체결홈
1200: 범퍼부재 1201: 바깥 손잡이 안착홈
1202: 통공 1203: 돌출부 관통공
1204: 범퍼 체결공
1300: 리프트 1301: 장공
1302: 제3센서 누름부 1303: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
1304: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 1305: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
1306: 제1지지판 삽입홈 1307: 제2지지판 삽입홈
1310: 우면 1320: 상면
1330: 하면
1400: 지지부재 1401: 제1핀
1402: 제2핀 1410: 제1지지부재
1411: 제1결합고리 1412: 제1지지본체
1413: 제2센서감지부 1420: 제2지지부재
1421: 제2결합고리 1422: 제2지지본체
1430: 스프링
1500: 막음판 1501: 전선 삽입홈
1502: 지지판 1503: 막음판 돌출부
1504: 제1하우징 체결홈 1505: 제1지지부재 관통공
1510: 하우징 지지부 1511: 제2하우징 체결홈
1520: 우측부 1530: 좌측부
1531: 키 실린더 설치부 1532: 도어키 연결부 관통홈
1600: 키 실린더 1601: 키 실린더 본체
1602: 키 삽입구 1603: 키 실린더 지지판
1604: 제1도어키 연결부 삽입부 1605: 제2도어키 연결부 삽입부
1606: 제1도어키 연결부 지지부 1607: 제2도어키 연결부 지지부
1700: 슬라이딩 부재 1701: 지지부재 안착홈
1702: 제1관통공 1703: 둘레부 안착홈
1704: 제2센서 걸림방지홈 1704a: 제2센서감지부 삽입홈
1705: 고리 인출공 1706: 후크 안착홈
1707: 지지부재 설치돌기 1708: 핀 삽입부
1709: 핀 삽입공 1710: 걸림부
1720: 돌출부
1800: 바깥 손잡이 1810: 결합부 둘레부
1811: 탄성후크 1812: 유입구
1820: 키 삽입구
1900: 구동부 1910: 모터
1921: 웜 1922: 제1더블기어
1923: 제1웜휠 1924: 제1웜
1925: 제2더블기어 1926: 제2웜휠
1927: 제2웜 1928: 제3웜휠
1929: 리드 스크류 1930: 지지판
2000: 래치부 2100: 하우징
2105: 스트라이커 삽입홈 2106: 축
2107: 제1오픈 레버 가이드부 2108: 제2오픈 레버 가이드부
2110: 제1하우징 2111: 래치설치홈
2112: 모터설치부 2113: 스프링삽입홈
2114: 레버축 2115: 걸림부가이드홈
2116: 회동부재 설치홈 2117: 스프링삽입홈
2118: 회동부재걸림부 관통공 2119: 신칭 연결부 설치부
2121: 제1체결부 2122: 가이드 보스
2123: 범퍼부재삽입홈 2124: 도어 설치부
2125: 제1가이드부 2126: 제1연결부 커버 설치부
2127: 제2가이드부 2128: 제2연결부 커버 설치부
2129: 센서 전달부재 삽입부
2130: 제2하우징 2133: 볼트 체결부
2134: 도어 설치부 2134a: 설치 보스
2135: 제1돌출부 2136: 제2돌출부
2137: 제3돌출부 2140: 실링부재
2150: 제3하우징 2151a: 제4,5센서 설치부
2151b: 제6센서 설치부 2151c: 제1센서 설치부
2152: 제4돌출부 2153a: 제5돌출부
2153b: 레버 가이드부 2154: 전선연결부
2155: 제2체결부 2156: 연결부 커버 설치홈
2157: 연결부 커버 지지부 2158: 제3단 가이드부
2159a: 연결부 관통홈 2159b: 연결부 관통홈
2200: 래치 2201: 로킹홈
2201a: 제2로킹 걸림부 2202: 보조로킹홈
2202a: 제1로킹 걸림부 2203: 제1면
2204: 스트라이커 걸림돌기 2205: 제2면
2206: 탄성커버 2207: 제3면
2208: 마찰돌기 2209: 슬릿
2213: 스프링끼움부 2215: 돌기
2230: 래치회동축 2250: 제1복귀스프링
2251: 제1복귀스프링걸림축 2252: 제1절곡부
2253: 제2절곡부
2300: 오픈 플레이트 2301: 커버 끼움부
2302: 굴곡부 2303: 제3단 끼움부
2304: 제3단 끼움홈 2310: 스토퍼 설치부
2311: 스토퍼 끼움홈 2312: 스토퍼 걸림부
2313: 스프링 끼움부
2360: 범퍼부재 2370: 회동부재
2371: 로킹부 2372: 래치삽입홈
2373: 걸림돌기 2374: 탄성커버
2375: 스프링끼움부 2376: 슬릿
2380: 회동축 2390: 회동부재 스프링
2391: 회동스프링걸림축 2392: 제1절곡부
2393: 제2절곡부
2400: 안전 플레이트 2401: 커버 끼움부
2402: 안전 플레이트 감지돌기 2403: 잠금 끼움부
2410: 스토퍼 설치부 2411: 스토퍼 끼움홈
2412: 스토퍼 걸림부 2413: 스프링 끼움부
2500: 신칭 모듈 2510: 액추에이터
2520: 신칭 연결부 2521: 걸림부재
2522: 고정부 2530: 레버
2531: 걸림부재 끼움부 2532: 래치 걸림부
2533: 래치 걸림부 돌기 2534: 레버 돌기
2535: 삽입공
2610: 모터 2613: 웜
2614: 웜기어 2615: 잠금부재
2616: 안전 플레이트 끼움홈 2617: 제1회전 걸림부
2618: 제2회전 걸림부
2700: 오픈 레버 2710: 제1단
2711: 회동부재걸림부 2712: 감지부
2720: 제2단 2721: 제1감지부 삽입홈
2722: 제2단 돌기 2723: 제2단 걸림부
2730: 제3단 2731: 제2감지부 삽입홈
2732: 제3단 돌기 2733: 제3단 걸림부
2734: 제2단 가이드부
2800: 연결부 커버 2801: 걸림홈
2802: 안전 플레이트 가이드홈 2803: 오픈 플레이트 가이드홈
2804: 제1연결부 안착홈 2805: 제2연결부 안착홈
2806: 연결부 관통홈 2807: 고정부 설치홈
2808: 케이블 관통홈
2901: 제4센서 2902: 제5센서
2903: 제6센서 2907: 제1센서
2911: 제4센서전달부재 2912: 제5센서전달부재
3000: 핸들부 3100: 하우징
3101: 돌출부 관통공 3102: 제1가이드부
3103: 제2가이드부 3104: 전선 관통홈
3105: 제3가이드부 3106: 제4가이드부
3107: 제3센서 설치홈 3108: 전선 연결부
3110: 하우징 돌출부 3113: 램프 설치홈
3114: 범퍼 설치부 3115: 범퍼 체결 돌기
3121: 모터 설치홈 3122: 제1더블기어 설치부
3123: 제2더블기어 설치부 3124: 제1메인기어 설치부
3125: 도어래치연결부 고정부 3126: 제2메인기어 설치부
3130: 키 실린더 설치부 3131: 키 실린더 관통홈
3132: 키 실린더 설치홈 3141: 제1체결홈
3142: 제2체결홈 3143: 제3체결홈
3144: 제4체결홈
3150: 구동부 커버 3151: 모터 커버
3152a: 감속기어부 커버 3152b: 감속기어부 커버
3153: 모터 설치홈 3154: 모터축 설치홈
3155: 고정부 관통공 3156: 제1웜기어 설치홈
3157: 제1더블기어 지지부 3158a: 제2더블기어 돌기부
3158b: 제1메인기어 돌기부 3158c: 제2메인기어 돌기부
3159: 볼트 체결부 3160: 돌출부
3161: 전선 관통홈 3162: 하우징 끼움홈
3200: 범퍼부재
3300: 리프트 3301: 장공
3302: 제3센서 누름부 3303: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
3304: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 3305: 랙 안착부
3310: 하면 3320: 좌면
3321: 좌면 돌출부 3330: 우면
3331: 우면 돌출부
3400: 지지부재 3401: 제1핀
3402: 제2핀 3410: 제1지지부재
3411: 제1결합고리 3412: 제2지지본체
3420: 제2지지부재 3421: 제2결합고리
3422: 제2지지본체
3500: 막음판 3501: 도어래치 연결부 안착홈
3502: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 3503: 제1돌출부
3504: 제2돌출부 3505: 막음판 돌출부
3510: 좌측부 3511: 키 실린더 설치부
3512: 도어키 연결부 관통홈
3600: 키 실린더
3700: 슬라이딩 부재 3701: 지지부재 설치홈
3702: 제1관통공 3703: 둘레부 설치홈
3704: 제2센서 설치홈 3705: 고리 인출공
3706: 후크 안착홈 3707: 지지부재 설치돌기
3708: 핀 삽입홈 3709: 전선 삽입부
3710: 걸림부 3720: 돌출부
3730: 돌기
3800: 바깥 손잡이 3810: 결합부 둘레부
3811: 탄성 후크
3900: 구동부 3910: 모터
3921: 제1웜 3922: 웜 휠
3923: 제2웜 3924: 큰 기어
3925: 작은 기어 3926: 제1메인기어
3927: 제2메인기어 3928: 제1랙
3929: 제2랙 3930: 웜 지지판
7000: 래치부 7100: 하우징
7110: 제1하우징 7130: 제2하우징
7150: 제3하우징 7200: 래치
7300: 메인 열림부재 7370: 회동부재
7500: 신칭 모듈 7510: 액추에이터
7520: 신칭 연결부 7521: 걸림부재
7530: 레버 7531: 걸림부재 끼움부
7532: 메인기어 걸림부 7610: 모터
7630: 메인기어
7631: 걸림부 7632: 제1메인기어 감지부
7633: 제2메인기어 감지부 7635: 도어개폐부재 걸림부
7638: 신칭 걸림부 7639: 스토퍼 걸림홈
7901: 제4센서 7902: 제5센서
7903: 제6센서 7905: 제7센서
7907: 제1센서
8000: 래치부 8100: 하우징
8110: 제1하우징 8130: 제2하우징
8150: 제3하우징 8156: 제3하우징 커버
8200: 래치 8300: 메인 열림부재
8315: 레버연결부 삽입홈 8330: 오픈 플레이트 걸림홈
8370: 회동부재 8380: 회동축
8390: 회동부재 스프링 8391: 회동스프링걸림축
8400: 안전 플레이트 8401: 스토퍼 끼움부
8402: 안전 플레이트 감지돌기 8403: 잠금 끼움부
8500: 신칭 모듈 8510: 액추에이터
8520: 신칭 연결부 8521: 걸림부재
8530: 레버 8531: 걸림부재 끼움부
8532: 래치 걸림부 8533: 래치 걸림부 돌기
8534: 레버 돌기 8610: 모터
8613: 웜 8614: 웜기어
8615: 잠금부재 8616: 안전 플레이트 끼움홈
8617: 제1회전 걸림부 8618: 제2회전 걸림부
8700: 오픈 플레이트 8701: 메인 열림부재 걸림부
8707: 구동부 걸림부 8708: 회동부재 걸림부
8901: 제4센서 8902: 제5센서
8903: 제6센서 8905: 제7센서
8907: 제1센서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도어 패널에 설치되어 필요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히든 핸들;
    도어오픈 기능이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고, 신칭기능이 없는 전동식 래치;
    일측이 상기 히든 핸들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신칭 모듈;를 포함하고,
    전동식 래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신칭기능이 없는 상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전동식 래치와 상기 신칭 모듈을 결합하여 신칭기능이 있는 상태로 사용하고,
    상기 전동식 래치는 상기 전동식 래치를 구동하는 래치 모터와, 상기 래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래치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래치 연결부는 상기 래치 기어부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 기어부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 연결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전동식 래치의 오작동이 기계적으로 방지되는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6. 삭제
  7. 도어 패널에 설치되어 필요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히든 핸들;
    도어오픈 기능이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고, 신칭기능이 없는 전동식 래치;
    일측이 상기 히든 핸들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신칭 모듈;를 포함하고,
    전동식 래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신칭기능이 없는 상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전동식 래치와 상기 신칭 모듈을 결합하여 신칭기능이 있는 상태로 사용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는 상기 전동식 래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식 래치는 상기 전동식 래치를 구동하는 래치 모터와,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감지되면 상기 래치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도어 래치 연결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전동식 래치의 전기적 오작동이 최소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8. 청구항 5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히든 핸들은 키 실린더를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키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키 실린더와 연동되고, 타측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키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래치는 상기 전동식 래치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오픈 레버와, 상기 오픈 레버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 및/또는 상기 도어키 연결부와 연결되는 오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 레버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픈 레버는 상기 회동부재와 연동되는 제1단과, 상기 제1단 및 상기 구동부와 연동되는 제2단과, 상기 제1단 및 상기 오픈 플레이트와 연동되는 제3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10. 삭제
KR1020180094276A 2018-08-13 2018-08-13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KR102059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76A KR102059334B1 (ko) 2018-08-13 2018-08-13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PCT/KR2019/010024 WO2020036373A1 (en) 2018-08-13 2019-08-08 Integrated apparatus for electronic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76A KR102059334B1 (ko) 2018-08-13 2018-08-13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334B1 true KR102059334B1 (ko) 2019-12-26

Family

ID=6910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276A KR102059334B1 (ko) 2018-08-13 2018-08-13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9334B1 (ko)
WO (1) WO20200363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746A1 (en) * 2020-04-21 2021-10-28 Woobo Tech Co., Ltd. Electric latch for vehicle door
DE112020000008T5 (de) 2020-04-16 2021-12-23 Woobo Tech Co., Ltd. Bündig versenkbarer Griff für eine Fahrzeugtü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0956B (zh) * 2022-03-18 2024-02-09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计算机用侧向双开式散热机箱
CN114856334B (zh) * 2022-07-04 2022-09-20 宁波华翔汽车饰件有限公司 隐藏式门把手及车辆
CN115387680B (zh) * 2022-07-22 2023-10-27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一种车门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749472B (zh) * 2022-11-23 2023-09-15 江苏旭顺东明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门锁电释放与开启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913Y1 (ko) * 2004-05-28 2004-08-21 조재현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어셈블리
JP3673986B2 (ja) * 1998-03-09 2005-07-20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8790B2 (ja) * 1996-02-28 2005-12-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ロックシステム
KR0175819B1 (ko) * 1996-05-29 1999-04-01 김태구 자동차의 보조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3986B2 (ja) * 1998-03-09 2005-07-20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200359913Y1 (ko) * 2004-05-28 2004-08-21 조재현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어셈블리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20000008T5 (de) 2020-04-16 2021-12-23 Woobo Tech Co., Ltd. Bündig versenkbarer Griff für eine Fahrzeugtür
WO2021215746A1 (en) * 2020-04-21 2021-10-28 Woobo Tech Co., Ltd. Electric latch for vehicle door
KR20210129951A (ko) 2020-04-21 2021-10-29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CN114096731A (zh) * 2020-04-21 2022-02-25 牛步科技有限公司 车门电子锁闩
DE112021000048T5 (de) 2020-04-21 2022-04-28 Woobo Tech Co., Ltd. Elektrisches Schloss für eine Fahrzeugt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6373A1 (en)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334B1 (ko)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KR102363862B1 (ko) 안전 장치가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
KR101860841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808547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0854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21243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JP5985621B2 (ja) 充電コネクタ掛止装置
KR10197250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059335B1 (ko)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897186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936818B1 (ko)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KR101781531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80105048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122714B1 (ko) 비상 해제 가능한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KR101971149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363859B1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KR20180105047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70134291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70135783A (ko) 도어 래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