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841B1 -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841B1
KR101860841B1 KR1020150187261A KR20150187261A KR101860841B1 KR 101860841 B1 KR101860841 B1 KR 101860841B1 KR 1020150187261 A KR1020150187261 A KR 1020150187261A KR 20150187261 A KR20150187261 A KR 20150187261A KR 101860841 B1 KR101860841 B1 KR 101860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in
latch
gear
trun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405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50187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841B1/ko
Priority to DE112016006089.0T priority patent/DE112016006089T5/de
Priority to PCT/KR2016/014867 priority patent/WO2017116053A1/en
Priority to CN201680073782.9A priority patent/CN108368713A/zh
Priority to US15/778,879 priority patent/US20180347240A1/en
Priority to JP2018532109A priority patent/JP2019505701A/ja
Publication of KR2017007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05B81/36Geared sectors, e.g. fan-shaped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05B81/68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det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트렁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래치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거나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여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동부와 래치가 분리되지 않고 구동부와 래치가 하나의 하우징에 일체형으로 모듈화되어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설치도 용이해지며, 부품수도 절감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latch assembly for trunk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트렁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래치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거나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여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트렁크 리드의 개폐를 주관하는 트렁크 리드 래치는, 래치와 별도로 설치된 액츄에이터의 구동 또는 트렁크 리드 외부에 설치된 키박스의 조작에 의해 작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트렁크 리드 래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도 많으며 이로 인해 제조단가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1998-0487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어서 제조단가가 낮아지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는, 트렁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래치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거나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여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을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열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는 외주면의 일부에 기어 이가 형성된 기어부와 상기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에 비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비기어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는 플라스틱부와 상기 플라스틱부에 인서트되는 금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부는 판형상으로 된 판부와, 상기 판부의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라스틱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부에는 기어 이가 형성된 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부에는 기어 이가 형성되지 않은 비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부에는 상기 메인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기어는 제1웜과, 상기 제1웜에 치합되는 제1웜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에 설치되는 제2웜과, 상기 제2웜에 치합되는 상기 메인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의 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1걸림부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언락링크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걸림부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에는 상기 메인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메인기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걸림부를 상기 메인 래치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언락링크에는 상기 메인기어에 걸리는 제3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가 형성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언락링크에는 상기 레버부재에 걸리는 제4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에는 케이블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블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설치부는 상기 레버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링크의 회동축은 상기 로킹부재의 회동축과 동축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는 상기 메인 래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메인 래치와 상기 메인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보조링크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래치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로킹부재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는 도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메인 래치를 감지하며, 상기 제2센서는 도어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킹부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메인 래치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를 통해 상기 메인 래치가 감지될 때까지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는 플라스틱부와 상기 플라스틱부에 인서트되는 금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부에는 기어 이가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부는 상기 금속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3센서는 상기 플라스틱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스틱부에는 상기 기어 이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제3센서를 누르는 센서누름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는 상기 메인 래치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메인 래치의 로킹을 해제하는 언락링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에는 상기 구멍을 통해 노출되는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는 트렁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에 의해 회전되거나, 상기 레버부재에 연결된 케이블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트렁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래치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거나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여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동부와 래치가 분리되지 않고 구동부와 래치가 하나의 하우징에 일체형으로 모듈화되어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설치도 용이해지며, 부품수도 절감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을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열수 있어서, 하나의 구동부로 도어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는 동시에 도어를 자동으로 열 수도 있다.
메인 래치를 회전시키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메인 래치의 로킹을 해제하는 언락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에는 상기 구멍을 통해 노출되는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에 의해 회전되거나, 상기 레버부재에 연결된 케이블에 의해 회전되어,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어서 제조단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래치를 회동시키는 메인기어는 기어 이가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되어, 메인기어의 내구성은 유지하면서 두께는 감소시킬 수 있어서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비기어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기어 이 부분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는 플라스틱부와 상기 플라스틱부에 인서트되는 금속부를 포함하여, 메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중량도 최소화할 수 있고, 두께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금속부는 판형상으로 된 판부와, 상기 판부의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플라스틱부와 상기 금속부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라스틱부에 배치되어, 기어 이 부분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부에는 기어 이가 형성된 기어부가 형성되어, 기어 이의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부에는 기어 이가 형성되지 않은 비기어부가 형성되어, 메인기어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금속부에는 상기 메인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기어는 제1웜과, 상기 제1웜에 치합되는 제1웜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에 설치되는 제2웜과, 상기 제2웜에 치합되는 상기 메인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단순한 구성으로 감속이 원활하게 될 수 있으며, 장치도 더욱 컴팩트해진다.
상기 메인기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의 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치가 더욱 컴팩트해진다.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1걸림부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언락링크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걸림부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링크와, 상기 메인 래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에는 상기 메인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메인기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걸림부를 상기 메인 래치로부터 이탈시켜서,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닫는 중에 옷이 끼는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도어를 용이하게 열 수 있다.
상기 언락링크에는 상기 메인기어에 걸리는 제3걸림부가 형성되어,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열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가 형성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언락링크에는 상기 레버부재에 걸리는 제4걸림부가 형성되어, 레버를 통해 용이하게 도어를 열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에는 케이블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블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설치부는 상기 레버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케이블을 통해 용이하게 도어를 열 수 있다.
상기 보조링크의 회동축은 상기 로킹부재의 회동축과 동축선상에 배치되어, 장치가 더욱 컴팩트해진다.
상기 메인기어는 상기 메인 래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메인 래치와 상기 메인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보조링크의 후방에 배치되어, 장치가 더욱 컴팩트해진다.
메인 래치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로킹부재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메인 래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는 도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메인 래치를 감지하며, 상기 제2센서는 도어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킹부재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메인 래치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를 통해 상기 메인 래치가 감지될 때까지 상기 구동부를 작동되어, 모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는 상기 메인 래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장치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장치가 일체화되어 장치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메인기어가 기본위치(비상시 레버부재를 통해 수동으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는 플라스틱부와 상기 플라스틱부에 인서트되는 금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부에는 기어 이가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부는 상기 금속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3센서는 상기 플라스틱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스틱부에는 상기 기어 이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제3센서를 누르는 센서누름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장치가 더욱 컴팩트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서 외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외부커버 정면 사시도(위)와 배면 사시도(아래).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브라켓 정면 사시도(위)와 배면 사시도(아래).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내부커버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메인 래치 정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구동부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로킹부재 정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레버부재 및 케이블 정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언락링크 정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보조링크 정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도어 열림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메인기어에서 금속부 생략)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도어 닫힘시 첫번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메인기어에서 금속부 생략)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도어 닫힘시 두번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메인기어에서 금속부 생략)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도어 닫힘시 세번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메인기어에서 금속부 생략)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비상시 레버나 케이블을 이용하여 도어를 여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메인기어에서 금속부 생략)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도어 닫힘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때 첫번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때 두번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때 세번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는, 트렁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래치(200)와,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래치(200)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300)와,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거나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여는 구동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은 하우징(100)에서 외부커버(130)쪽을 의미하며, 후방은 브라켓(110) 쪽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서술되는 좌측 및 우측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후면에 형성된 부재의 위치를 설명할 때의 좌측 및 우측도 부재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전방에 배치되는 외부커버(130)와, 후방에 배치되는 브라켓(110)과, 외부커버(130)와 브라켓(110)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커버(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 상부에는 외부커버(130)와 브라켓(110)의 상부에 스트라이커(10)가 삽입되는 스트라이커삽입홈(101)이 상부 및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외부커버(130)와 브라켓(110)과 내부커버(150)의 좌측 및 우측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체결편(102)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체결편(102)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편(102)을 통해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가 트렁크 도어에 설치된다. 체결편(102)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 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체결편(102) 중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편(102)의 체결공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설치오차가 허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버(130)는 상부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외부커버(130)는 전판(131)과 전판(131)의 둘레에 형성되는 측판(132)을 포함한다. 체결편(102)은 측판(132)의 후단에 형성된다.
외부커버(130) 우측에는 레버부재 축 삽입공(134)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외부커버(130)의 우측 하부에는 구멍(133)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외부커버(130)의 전면에는 도어를 여는 방향이 화살표 및 문자를 통해 표시되어 있다.
외부커버(130)의 우측 하부에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부품에 연결된 전선이 인출되는 전선인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커버(130)의 중간 하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케이블(800)이 인출되는 케이블인출부가 형성된다.
외부커버(130)의 배면에는 외부커버(130)와 브라켓(110)과 내부커버(150)를 결합시키는 조립볼트가 체결되는 조립체결부(135)가 형성된다.
조립체결부(135)는 외부커버(130)에서 경사지지 않은 부분인 우측 중간 및 우측 하부 및 좌측 중간의 배면에 각각 배치된다.
외부커버(130)는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0)은 플라스틱보다 강도가 큰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10)은 판소재로 형성되며, 상부에 후방 경사부(112)가 형성된다. 후방 경사부(112)는 브라켓(110)의 상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경사부(112)의 양측 상부에는 전방을 향해 절곡된 절곡판(111)이 형성된다.
절곡판(111)은 측판(132)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절곡판(111)으로 인해 가조립이 더욱 용이해진다.
경사부(112)에는 이하 서술되는 래치축(230)이 끼워지는 래치축삽입공(115)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래치축삽입공(115)은 스트라이커삽입홈(101)의 좌측에 배치된다.
경사부(112)에는 이하 서술되는 로킹부재 축(380)이 삽입되는 로킹부재 축 삽입공(117)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로킹부재 축 삽입공(117)은 스트라이커삽입홈(101)의 우측에 배치된다.
경사부(112)에는 로킹부재 축 삽입공(117) 및 래치축삽입공(115) 둘레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1돌출부(113)와 제2돌출부(114)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113)와 제2돌출부(114)는 경사부(112)의 다른 부분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1돌출부(113)는 이하 서술되는 메인 래치(200)의 후면 및 로킹부재(300)의 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조립시 메인 래치(200) 및 로킹부재(300)는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동시에 메인 래치(200) 및 로킹부재(300)와 브라켓(110) 사이의 마찰은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브라켓(11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브라켓(110)에 대해 회전하는 부재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1돌출부(113)는 사람인(人)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113)는 메인 래치(200) 및 로킹부재(300)의 회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2돌출부(114)는 래치축삽입공(115)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 래치(200)의 후면에 접촉된다.
경사부(112)에는 이하 서술되는 언락링크축(760)이 삽입되는 언락링크축삽입공(116)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언락링크축삽입공(116)은 로킹부재 축 삽입공(117)의 하부에 배치된다.
경사부(112)의 상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메인 래치 스프링 걸림축(251)이 삽입되는 스프링걸림축삽입공(119)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스프링걸림축삽입공(119)은 래치축삽입공(115)의 상부에 배치된다.
브라켓(110)에서 경사지지 않은 부분의 좌측 및 우측 및 하부에는 조립체결공(118)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조립체결공(118)과 조립체결부(135)에 조립볼트가 체결되어 장치의 조립이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커버(15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브라켓(11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된다.
내부커버(150)의 상부에는 경사부(156)가 가 형성된다. 경사부(156)는 브라켓(110)의 경사부(112)의 일부만 덮도록 작게 형성된다.
내부커버(150)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며 사출성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커버(150)는 용이하게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커버(150)의 전면의 좌측 하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모터(610)가 안착되는 모터안착홈(154)이 형성된다. 모터안착홈(154)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내부커버(150)의 전면에는 이하 서술되는 케이블(800)이 안착되는 케이블안착부(153)가 형성된다. 케이블안착부(153)는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내부커버(150)의 전면의 우측 하부에는 전선이 원활하게 인출되도록 인출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커버(150)에는 상기 전선이 인서트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전선이 보호될 수 있으며,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조립과정이 용이해진다.
내부커버(150)의 전면의 우측 상부에는 레버부재 축(155)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내부커버(150)의 전면의 우측 상부에는 스토퍼편(152)이 상하방향으로 길고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토퍼편(152)은 레버부재 축(155)의 우측 상부에 배치된다.
경사부(156)의 상부 양측에는 센서안착홈(151)이 형성된다. 센서안착홈(151)은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내부커버(150)에도 조립체결공(118)에 연통되는 중간 조립체결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메인 래치(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된다.
메인 래치(200)는 브라켓(110)에 설치되는 래치축(230)을 통해 브라켓(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래치(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메인 래치(200)의 외주면에는 로킹홈(201)이 형성된다.
로킹홈(201)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진다.
로킹홈(201)은 평편하게 형성되는 제1면(203)과, 제1면(203)의 좌측단에서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면(205)과, 제2면(205)의 좌측단에서 연장되고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3면(207)과, 제3면(207)의 상부 우측단에서 연장되는 제4면(209)과, 제4면(209)의 우측단에서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5면(211)에 의해 둘러싸인다.
로킹홈(201)은 전후로 관통되고, 외측 단부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메인 래치(200)에는 로킹홈(201)의 하부에 보조로킹홈(202)이 형성된다. 보조로킹홈(202)은 로킹홈(201)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로킹홈(201)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메인 래치(200) 외주면에는 스프링끼움부(213)가 형성된다.
스프링끼움부(213)는 홈형상이나 구멍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래치(200)에는 좌측 외주면에 돌기(215)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메인 래치(200)의 도어 닫힘시 회전하는 방향(시계방향)을 따라 로킹홈(201), 보조로킹홈(202), 스프링끼움부(213), 돌기(215)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로킹해제시 메인 래치(200)가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메인 래치 복귀스프링(250)이 구비된다.
메인 래치 복귀스프링(250)은 메인 래치(200)의 전방에 배치된다.
메인 래치 복귀스프링(250)의 일단은 브라켓(110)의 메인 래치 스프링 걸림축(251)에 걸리고, 중간은 래치축(230)에 감겨지고, 타단은 스프링끼움부(213)에 끼워진다.
따라서, 메인 래치(200)가 회전할 때, 메인 래치 복귀스프링(250)의 타단은 메인 래치(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600)는 메인 래치(200)를 회전시키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600)는 모터(610)와, 모터(610)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620)와, 감속기어(620)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메인기어(630)를 포함한다.
구동부(600)는 내부커버(150)의 전면과 외부커버(130)의 후면에 설치된다.
구동부(600)는 하우징(100)의 좌측 하부에 배치된다.
모터(610)의 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모터(610)의 축에는 제1웜(611)이 설치되어 있다.
감속기어(620)는 제1웜(611)에 치합되는 제1웜기어(621)와, 상기 제1웜기어(621)에 설치되는 제2웜(622)을 포함한다.
감속기어(620)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웜기어(621)는 제2웜(622) 좌측부에 배치되며,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610)가 작동하면 제1웜(611)이 회전하게 되고, 제1웜(611)이 회전함에 따라 제1웜기어(621)이 회전되고, 제1웜기어(621)이 회전되면 제1웜기어(621)에 일체로 형성된 제2웜(622)도 회전하게 되고, 제2웜(622)이 회전함에 따라 메인기어(630)가 회전된다.
감속기어(620)의 축은 축 지지판(6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축지지판(623)은 감속기어(6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외부커버(130)의 후면 및 내부커버(150) 전면에는 축지지판(623)이 삽입되는 지지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감속기어(620)가 하우징(1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속기어(620)를 구비할 경우, 모터(610)의 속도가 대폭 감속되어 모터(610)를 통한 도어 닫힘시 부드럽게 구동이 되고 구동 토크도 확보된다. 또한, 도어 닫힘시 속도가 감소되어 신체나 옷이 도어에 끼는 안전사고 발생 시에 비상으로 도어를 열 수 있다.
메인기어(630)는 제2웜기어로 구비되며, 모터(610)의 구동력을 감속기어(620)를 거쳐 전달 받는다.
메인기어(630)는 감속기어(620)의 상부에 배치된다.
메인기어(630)는 메인 래치(200)의 전방에 배치된다.
메인기어(63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래치축(23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래치축(230)의 외주면에는 메인 래치(200)와 메인기어(630)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판이 형성된다.
메인기어(630)는 외주면의 일부에 기어 이(632)가 형성된 기어부와 상기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에 기어 이(632)가 형성되지 않는 비기어부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부는 메인기어(630)의 하부 일부에만 형성된다.
비기어부는 상기 기어부가 아닌 메인기어(630)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다. 비기어부는 밋밋하거나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비기어부는 이하 서술되는 금속부(642)에 형성된다.
즉, 메인기어(630)는 기어 이(632)가 모든 둘레에 형성되지 않고 일부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기어(630)의 내구성은 유지하면서 전후 두께 및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비기어부보다 전후방향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기어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인기어(630)는 플라스틱부(634)와 플라스틱부(634)에 인서트되는 금속부(642)를 포함한다. 메인기어(630)는 금속부(642)가 플라스틱부(634)에 인서트되어 형성된다.
플라스틱부(634)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기어 이(632)가 형성된다. 플라스틱부(634)는 금속부(642)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플라스틱부(634)의 전면 우측에는 제4언락링크걸림부(633)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4언락링크걸림부(63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라스틱부(634)에는 기어 이(632)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이하 서술되는 제3센서(930)를 누르는 센서누름부(637)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센서누름부(637)의 양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센서누름부(637)는 제4언락링크걸림부(633)의 좌측에 배치된다.
금속부(642)는 판형상으로 된 판부와, 상기 판부의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639)를 포함한다.
상기 판부는 주변 부재와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판부의 중앙부분에는 래치축(23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636)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돌출부(639)는 플라스틱부(634)의 기어부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부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어부에 삽입되는 돌출부(639)는 복수개로 나뉘어져서 형성된다.
상기 판부의 외주면에는 이하 서술되는 걸림부복귀스프링(631d)의 일단이 걸리는 걸림부복귀스프링 걸림부가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판부의 좌측에는 걸림부(63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걸림부(631)는 길게 형성된 설치판(631a)과, 설치판(631a) 일측에 설치되는 걸림부돌기(631b)와, 설치판(631a)의 타측에 설치되는 걸림부축(631c)과, 걸림부돌기(631b)를 복귀시키는 걸림부복귀스프링(631d)을 포함한다.
걸림부축(631c)은 상기 판부의 좌측에 설치된다.
걸림부돌기(631b)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걸림부돌기(631b)는 돌기(215)에 걸려서 메인 래치(200)를 회전시킨다.
걸림부복귀스프링(631d)은 중간부분(코일부분)이 걸림부축(631c)에 끼워지고, 일단이 상기 판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걸림부돌기(631b)에 설치된다.
이러한, 걸림부(631)로 인해, 구동부(600)를 통해 도어를 닫는 중 이나 닫고 난 다음에 구동부(600)가 고장나더라도 레버(531) 또는 케이블(800)을 잡아당기게 되면 수동으로 도어를 열수 있게 된다.
걸림부(631)는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닫을 때, 도어를 완전히 닫지 않더라도 도어가 어느 정도 닫히면 모터(610)의 구동력에 의해 메인 래치(200)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메인 래치(200)를 로킹부재(300)에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로킹부재(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 래치(200)를 로킹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재(300)는 상부에 로킹부재 축(38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30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로킹부재(300) 좌측 하부에는 로킹돌기(310)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로킹돌기(310)의 상면 및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로킹돌기(310)는 우측으로 향할수록 상하폭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다.
로킹돌기(310)는 로킹홈(201) 및 보조로킹홈(202)에 삽입된다.
로킹부재(300) 우측 하부에는 제1언락링크걸림부(320)가 형성된다.
제1언락링크걸림부(320)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로킹부재(300) 하부에는 누름굴곡부(330)가 형성된다.
누름굴곡부(330)는 제1언락링크걸림부(320)와 로킹돌기(310) 사이에 배치된다.
로킹부재(300)에는 로킹돌기(310)와 누름굴곡부(330) 사이에 메인 래치(200)의 제1면(203)이 삽입되는 메인래치삽입홈(340)이 형성된다.
레버부재(5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부재(500)는 내부커버(150)의 전방과 외부커버(130)의 후방 사이에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500)는 중심부에 축삽입공(50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축삽입공(501)에는 레버부재 축(155)이 삽입된다.
레버부재(500)를 복귀시키는 레버복귀스프링(5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레버복귀스프링(540)의 중심부(코일부)는 레버부재 축(155)에 끼워지고, 타단은 스토퍼편(152)에 걸리고, 일단은 레버부재(500)에 걸린다.
레버부재(500)의 우측에는 제3언락링크걸림부(510)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언락링크걸림부(510)는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우측으로 향할수록 상하폭이 커진다.
레버부재(500)의 좌측에는 케이블설치부(520)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케이블설치부(520)에는 케이블(800)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801)가 삽입되는 장공(521)이 형성된다. 걸림돌기(801)는 장공(521) 내에서 유동될 수 있다. 장공(521)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801)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블(800)은 트렁크로부터 떨어진 곳인 차량 운전석 쪽에 설치되는 레버나 버튼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레버부재(500)의 하부에는 레버형성부(530)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레버형성부(530)의 하부에는 레버(531)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트렁크 도어에 설치할 경우, 레버(531)는 트렁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레버(531)는 레버부재(500)에 일체로 형성되며, 구멍(13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인해 레버부재(500)는 레버(531)에 의해 회전되거나, 레버부재(500)에 연결된 케이블(800)에 의해 회전된다.
제3언락링크걸림부(510)와 케이블설치부(520)와 레버형성부(530)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레버부재(500)는 전체적으로 "T"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락링크(700)는 레버부재(500)가 회전할 때 메인 래치(200)의 로킹을 해제한다.
언락링크(7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언락링크(700)는 브라켓(110)의 전방과 외부커버(130)의 후방 사이에 배치된다.
언락링크(700)의 중심부에는 언락링크축(76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70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언락링크(700)에는 로킹부재(300)를 회전시키는 제1걸림부(710)와, 제1걸림부(710)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걸림부(720)와, 메인기어(630)에 걸리는 제3걸림부(730)와, 레버부재(500)에 걸리는 제4걸림부(740)가 형성된다.
제1걸림부(710)는 언락링크(700)의 상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걸림부(710)는 제1언락링크걸림부(320)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1걸림부(710)는 제1언락링크걸림부(320)에 걸린다.
제2걸림부(720)는 언락링크(700)의 중간 부분에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걸림부(720)는 좌측 끝단이 아래로 약간 굴곡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걸림부(720)는 좌측 끝단에 굴곡부(721)가 형성된다.
제2걸림부(720)는 이하 서술되는 제2언락링크걸림부(4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걸림부(720)는 제2언락링크걸림부(420)에 걸린다.
제3걸림부(730)는 연결부(751)를 통해 제1걸림부(710)에 연속되게 형성된다.
제3걸림부(730)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연결부(751)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3걸림부(730)는 제1걸림부(710) 및 제2걸림부(720)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3걸림부(730)는 제2걸림부(720)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제3걸림부(730)는 제2걸림부(720)보다 길이가 짧다.
제3걸림부(730)는 제4언락링크걸림부(633)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3걸림부(730)는 제4언락링크걸림부(633)에 걸린다.
제4걸림부(740)는 언락링크(700)의 하부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4걸림부(740)의 하부에는 경사부(741)가 형성된다.
경사부(741)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742)가 형성된다.
돌출부(742)는 제3언락링크걸림부(5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돌출부(742)는 제3언락링크걸림부(510)에 걸린다.
제4걸림부(740)는 스토퍼편(152)의 우측에 배치되어, 제4걸림부(740)가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보조링크(4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걸림부(720)에 의해 회전된다.
보조링크(400)의 좌측은 메인기어(630)와 메인 래치(200) 사이에 배치된다.
보조링크(400)의 우측은 로킹부재(300)와 언락링크(700) 사이에 배치된다. 즉, 로킹부재(300)는 보조링크(400)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링크(400)의 우측 상단에는 로킹부재 축(38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40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보조링크(400)의 회동축은 상기 로킹부재(300)의 회동축인 로킹부재 축(380)과 일체로 형성되어, 동축선상에 배치된다.
보조링크(400)는 하부가 좌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누름부(410)가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부(410)로 인해 보조링크(400)는 전체적으로 "J"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조링크(400)는 누름부(410)와 축삽입공(401) 사이에 제2언락링크걸림부(420)가 형성된다. 제2언락링크걸림부(420)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보조링크(400)를 복귀시키는 보조링크복귀스프링(390)가 더 구비된다.
보조링크복귀스프링(390)의 일단은 보조링크(400)의 제2언락링크걸림부(420)에 걸리고, 타단은 로킹부재(300)의 제1언락링크걸림부(320)에 걸린다.
보조링크(400)는 누름부(410)를 통해 걸림부(631)를 외측으로 눌러서, 걸림부(631)를 메인 래치(200)로부터 이탈시킨다.
메인 래치(200)를 감지하는 제1센서(910)와, 로킹부재(300)를 감지하는 제2센서(920)와, 메인기어(6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930)와, 제1센서(910)와 제2센서(920)와 제3센서(93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구동부(60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센서(910)와, 제2센서(920)와, 제3센서(930)는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센서(910)와, 제2센서(920)는 센서안착홈(151)에 삽입된다.
제3센서(930)는 외부커버(130)의 배면에 형성된 센서안착홈에 삽입된다.
제1센서(910)는 메인 래치(200) 하부에 배치된다.
제2센서(920)는 로킹부재(300) 하부에 배치된다.
제3센서(930)는 메인기어(630)의 플라스틱부(634)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3센서(930)는 금속부(642)의 판부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센서(910)는 도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메인 래치(200)에 의해 눌린다.
제1센서(910)는 도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메인 래치(200)를 감지한다.
제2센서(920)는 도어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로킹부재(300)에 의해 눌린다.
제2센서(920)는 도어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로킹부재(300)를 감지한다.
제3센서(930)는 메인기어(630)가 기본위치(비상시 레버부재(500)를 통해 수동으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있을 때 센서누름부(637)에 의해 눌린다.
제3센서(930)는 메인기어(630)가 기본위치에 있을 때 메인기어(630)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센서(910)와 제2센서(920)가 감지되지 않을 때 구동부(600)를 통해 메인 래치(200)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제1센서(910)를 통해 메인 래치(200)가 감지될 때까지 구동부(600)를 작동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메인기어(630)가 제3센서(930)를 통해 감지될 때까지 모터(610)를 반대로 회전시켜서 메인기어(630)를 기본위치로 복귀시킨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모터를 이용한 트렁크 도어 닫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도어가 열려있으면 로킹부재(300)가 제2센서(920)를 누른다. 따라서, 로킹부재(300)는 제2센서(920)에 의해 감지된다. 또한, 메인 래치(200)는 제1센서(910)를 누르지 않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의 트렁크 도어를 사용자가 살짝 닫으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0)가 래치(200)를 눌러서 래치(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로킹돌기(310)가 보조로킹홈(202)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로킹부재(300)가 제2센서(920)를 누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센서(910)와 제2센서(920)가 메인 래치(200)와 로킹부재(300)에 의해 눌리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는 모터(610)를 작동시킨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610)가 작동되면 메인기어(63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부(631)의 걸림부돌기(631b)가 돌기(215)에 걸린다. 따라서, 메인기어(630)가 회전함에 따라 메인 래치(20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로 인해, 메인 래치(200)는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로킹홈(201)에 로킹돌기(310)가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로킹홈(201)에 로킹돌기(310)가 걸리게 되면, 도어 닫힘은 완료가 된다. 이때, 로킹부재(300)가 제2센서(920)를 누르지 않고, 메인 래치(200)는 제1센서(910)를 누른다.
상기 제어부는 제1센서(910)를 통해 메인 래치(200)가 감지될 때까지 모터(610)를 작동시킨다.
이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제3센서(930)를 통해 메인기어(630)가 감지될 때까지 모터(610)를 역회전시켜서 메인기어(630)를 기본위치로 복귀시킨다.
트렁크에 갇혔을 경우나 모터(610)에 고장이 생겼을 경우에 차내에 연결된 케이블(800)이나 레버(531)를 작동시키면 간단하게 수동으로 트렁크 도어를 열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31)나 케이블(800)을 당기면 레버부재(5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되는 레버부재(500)의 제3언락링크걸림부(510)에 돌출부(742)가 걸려서 언락링크(7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되는 언락링크(700)의 제1걸림부(710)에 로킹부재(300)의 제1언락링크걸림부(320)가 걸려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걸림부(720)에 보조링크(400)의 제2언락링크걸림부(420)가 걸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로킹부재(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로킹돌기(310)가 로킹홈(201)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또한, 보조링크(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부(63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부돌기(631b)는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걸림부돌기(631b)는 돌기(215)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메인 래치(200)는 메인 래치 복귀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인해, 스트라이커(10)는 로킹홈(201)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열린다.
이후, 레버(531)나 케이블(800)을 놓으면 언락링크(700)와 레버부재(500)와 보조링크(400)는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돌아온다.
<모터를 이용한 트렁크 도어 오픈>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차량 외부나 내부에서 트렁크 도어 열림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600)를 작동시킨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610)가 회전하면, 메인기어(6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메인기어(630)의 제4언락링크걸림부(633)에 언락링크(700)의 제3걸림부(730)가 걸리면, 언락링크(7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되는 언락링크(700)의 제1걸림부(710)에 로킹부재(300)의 제1언락링크걸림부(320)가 걸려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걸림부(720)에 보조링크(400)의 제2언락링크걸림부(420)가 걸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로킹부재(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로킹돌기(310)가 로킹홈(201)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래치(200)는 메인 래치 복귀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인해, 스트라이커(10)는 로킹홈(201)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열린다.
이후,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제3센서(930)를 통해 메인기어(630)가 감지될 때까지 모터(610)를 역회전시켜서 메인기어(630)를 기본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600)를 통해 트렁크 도어를 닫을 수 있는 동시에 트렁크 도어를 열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트라이커
100 : 하우징 101 : 스트라이커삽입홈
102 : 체결편
110 : 브라켓
111 : 절곡판 112 : 후방 경사부
113 : 제1돌출부 114 : 제2돌출부
115 : 래치축삽입공 116 : 언락링크축삽입공
117 : 로킹부재 축 삽입공 118 : 조립체결공
119 : 스프링걸림축삽입공
130 : 외부커버 131 : 전판
132 : 측판 133 : 구멍
134 : 레버부재 축 삽입공 135 : 조립체결부
150 : 내부커버 151 : 센서안착홈
152 : 스토퍼편 153 : 케이블안착부
154 : 모터안착홈 155 : 레버부재 축
156 : 경사부
200 : 메인 래치 201 : 로킹홈
202 : 보조로킹홈 203 : 제1면
205 : 제2면 207 : 제3면
209 : 제4면 211 : 제5면
213 : 스프링끼움부 215 : 돌기
230 : 래치축 250 : 메인 래치 복귀스프링
251 : 메인 래치 스프링 걸림축
300 : 로킹부재 301 : 축삽입공
310 : 로킹돌기 320 : 제1언락링크걸림부
330 : 누름굴곡부 340 : 메인래치 삽입홈
380 : 로킹부재 축 390 : 보조링크복귀스프링
400 : 보조링크 401 : 축삽입공
410 : 누름부 420 : 제2언락링크걸림부
500 : 레버부재 501 : 축삽입공
510 : 제3언락링크걸림부 511 : 경사면
520 : 케이블설치부 521 : 장공
530 : 레버형성부 531 : 레버
540 : 레버복귀스프링
600 : 구동부 610 : 모터
611 : 제1웜 620 : 감속기어
621 : 제1웜기어 622 : 제2웜
623 : 축지지판 630 : 메인기어
631 : 걸림부 631a : 설치판
631b : 걸림부돌기 631c : 걸림부축
631d : 걸림부복귀스프링 632 : 기어 이
633 : 제4언락링크걸림부 634 : 플라스틱부
636 : 축삽입공 637 : 센서누름부
639 : 돌출부 642 : 금속부
700 : 언락링크 701 : 축삽입공
710 : 제1걸림부 720 : 제2걸림부
721 : 굴곡부 730 : 제3걸림부
740 : 제4걸림부 741 : 경사부
742 : 돌출부 751 : 연결부
760 : 언락링크축
800 : 케이블 801 : 케이블걸림돌기
910 : 제1센서 920 : 제2센서
930 : 제3센서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트렁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래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거나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여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는 플라스틱부와 상기 플라스틱부에 인서트되는 금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부에는 기어 이가 형성된 기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9. 트렁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래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거나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여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는 플라스틱부와 상기 플라스틱부에 인서트되는 금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부에는 기어 이가 형성되지 않은 비기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10. 트렁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래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거나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여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는 플라스틱부와 상기 플라스틱부에 인서트되는 금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부에는 상기 메인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11. 삭제
  12. 삭제
  13. 트렁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래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거나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여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1걸림부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언락링크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걸림부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에는 상기 메인 래치를 회전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메인기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걸림부를 상기 메인 래치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언락링크에는 상기 메인기어에 걸리는 제3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가 형성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언락링크에는 상기 레버부재에 걸리는 제4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에는 케이블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블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설치부는 상기 레버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의 회동축은 상기 로킹부재의 회동축과 동축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는 상기 메인 래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메인 래치와 상기 메인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보조링크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트렁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래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거나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여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상기 제3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기어는 플라스틱부와 상기 플라스틱부에 인서트되는 금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부에는 기어 이가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부는 상기 금속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3센서는 상기 플라스틱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스틱부에는 상기 기어 이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제3센서를 누르는 센서누름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24. 삭제
  25. 트렁크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래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래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를 닫거나 상기 트렁크 도어를 여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메인 래치의 로킹을 해제하는 언락링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에는 상기 구멍을 통해 노출되는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는 트렁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에 의해 회전되거나, 상기 레버부재에 연결된 케이블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20150187261A 2015-12-28 2015-12-28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86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61A KR101860841B1 (ko) 2015-12-28 2015-12-28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DE112016006089.0T DE112016006089T5 (de) 2015-12-28 2016-12-19 Verriegelungsanordnung für den Kofferraum-Deckel eines Fahrzeugs
PCT/KR2016/014867 WO2017116053A1 (en) 2015-12-28 2016-12-19 Latch assembly for vehicle trunk door
CN201680073782.9A CN108368713A (zh) 2015-12-28 2016-12-19 用于车辆行李箱门的闩锁组件
US15/778,879 US20180347240A1 (en) 2015-12-28 2016-12-19 Latch Assembly for Vehicle Trunk Door
JP2018532109A JP2019505701A (ja) 2015-12-28 2016-12-19 車両用トランクドアラッチアセンブ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61A KR101860841B1 (ko) 2015-12-28 2015-12-28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405A KR20170077405A (ko) 2017-07-06
KR101860841B1 true KR101860841B1 (ko) 2018-05-28

Family

ID=5922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261A KR101860841B1 (ko) 2015-12-28 2015-12-28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347240A1 (ko)
JP (1) JP2019505701A (ko)
KR (1) KR101860841B1 (ko)
CN (1) CN108368713A (ko)
DE (1) DE112016006089T5 (ko)
WO (1) WO2017116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434A (ko) * 2016-12-19 2018-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US11131127B2 (en) * 2016-12-19 2021-09-28 Kiekert Ag Motor vehicle door latch
US10683683B2 (en) * 2017-04-25 2020-06-16 Kiekert Ag Latch with closure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10577840B2 (en) * 2017-07-21 2020-03-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nlatched condition of closure
DE102017123622A1 (de) * 2017-10-11 2019-04-11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Heckklappenschloss
CN110872919B (zh) * 2018-09-03 2023-03-10 开开特股份公司 汽车锁
CZ308266B6 (cs) * 2019-01-22 2020-04-01 Brano A.S. Ovládací mechanismus západky zámku
CN111794611B (zh) * 2019-04-02 2022-04-05 麦格纳博科股份有限公司 用于与车辆闭合闩锁组件一起使用的具有凸轮驱动式双线缆致动机构的动力致动器
KR102656179B1 (ko) * 2019-09-11 2024-04-11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레치장치
DE102020105304A1 (de) 2020-02-28 2021-09-0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ombination aus einem Kraftfahrzeug-Schloss und einer Zuzieh-/Öffnungseinrichtung
JP2022064378A (ja) * 2020-10-14 2022-04-26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作動伝達構造、及び当該構造を備えた検出装置並びに当該検出装置を備えた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DE102021120893A1 (de) * 2021-08-11 2023-02-16 Kiekert Aktiengesellschaft Zuzieh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DE102021121544A1 (de) 2021-08-19 2023-02-23 Kiekert Aktiengesellschaft Elektromotorische Stell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technische Anwendung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104A (ja) * 2001-10-04 2003-04-23 Denso Corp ドアロック駆動装置
US20140225382A1 (en) * 2011-09-27 2014-08-14 Shiroki Corporation Lock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3671B4 (de) * 2004-03-19 2006-07-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oss, insbesondere für Fahrzeugtüren oder -klappen
FI120109B (fi) * 2006-05-02 2009-06-30 Abloy Oy Lukkorunko
EP2155991B1 (en) * 2007-05-25 2015-09-09 Magna Closures Inc. Latch in particular for decklid, with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snowload lever
CN101109246B (zh) * 2007-08-10 2010-12-01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汽车电动门锁
WO2009060730A1 (ja) * 2007-11-09 2009-05-14 Hi-Lex Corporation ロック解除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104A (ja) * 2001-10-04 2003-04-23 Denso Corp ドアロック駆動装置
US20140225382A1 (en) * 2011-09-27 2014-08-14 Shiroki Corporation Loc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68713A (zh) 2018-08-03
US20180347240A1 (en) 2018-12-06
DE112016006089T5 (de) 2018-09-13
JP2019505701A (ja) 2019-02-28
KR20170077405A (ko) 2017-07-06
WO2017116053A1 (en)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841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6178918B2 (ja) ドアラッチシステム
JP4852544B2 (ja) パワー解除式二重ロックラッチ
JP6518011B2 (ja) ドアラッチシステム
JP5884766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2518596B1 (ko) 파워 차일드 록 조작장치
KR102059334B1 (ko)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KR10180854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21243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363862B1 (ko) 안전 장치가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
KR102287273B1 (ko) 차량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KR101897186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6338921B2 (ja) 車両用のドアラッチ装置
CN110254520B (zh) 用于车辆的发动机罩锁钩装置
KR101936818B1 (ko)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JP6648373B2 (ja) 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付きドアラッチ装置及び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の組付方法
KR20180105048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CN114096731B (zh) 车门电子锁闩
JP6070978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2023178877A (ja) 車両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4810685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4220286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KR102290866B1 (ko) 차량용 래치장치
JP625238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JP2022519957A (ja) 非常解除可能な車両用電動式ドア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