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000B1 -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000B1
KR101513000B1 KR1020130131859A KR20130131859A KR101513000B1 KR 101513000 B1 KR101513000 B1 KR 101513000B1 KR 1020130131859 A KR1020130131859 A KR 1020130131859A KR 20130131859 A KR20130131859 A KR 20130131859A KR 101513000 B1 KR101513000 B1 KR 101513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hild lock
unit
lin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관
김태원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주) filed Critical 평화정공(주)
Priority to KR1020130131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는: 베이스에 배치되는 릴리스부; 백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링크 구동부; 링크 구동부에 결합되는 가압 링크부; 가압 링크부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차일드락부; 가압 링크부가 차일드락부를 가압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링크 구동부를 구동시킴에 따라 차일드락부가 도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DOOR ROCK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일드락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차일드락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는 래치 기어와 파울 레버를 포함하는 래치부와, 내부 핸들과 외부 핸들과 연결되고, 내부 핸들 또는 외부 핸들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래치부에 전달하여 래치부의 구속 여부를 해제시키는 릴리즈부와, 릴리즈부에 래치부의 해제력이 전달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차단부는 센트롤락 모터가 락 노브 및 키레버 등의 작동 또는 조작에 의해 릴리즈부의 회전력을 래치부에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릴리즈부의 회전력이 래치부에 전달되면,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릴리즈부의 회전력이 래치부에 전달되지 않으면, 도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 손잡이 또는 내부 손잡이를 조작하더라도 릴리즈부의 회전력이 래치부에 전달되지 않으면, 래치부의 도어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2182호(2004. 04. 17 공개, 발명의 명칭: 차일드 락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차량의 밖에서 키를 조작하여 차일드락부를 차일드락 상태로 변경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운전석에서는 차일드락 상태를 확인하기 곤란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일드락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차일드락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는: 베이스에 배치되는 릴리스부; 백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링크 구동부; 상기 링크 구동부에 결합되는 가압 링크부; 상기 가압 링크부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차일드락부; 상기 가압 링크부가 상기 차일드락부를 가압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링크 구동부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차일드락부가 도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일드락부는, 상기 백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인사이드 회전축; 상기 인사이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릴리스부를 가압하는 제1 인사이드 레버;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와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인사이드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 손잡이가 조작될 때에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와 함께 회전되는 제2 인사이드 레버; 및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2 인사이드 레버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제2 인사이드 레버에 구속되고, 상기 가압 링크부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인사이드 레버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는 차일드락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사이드 레버는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일드락 레버는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는, 상기 인사이드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에서 돌출되는 피가압부; 상기 제1 몸체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릴리스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사이드 레버에는 상기 피가압부의 회전 궤적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가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일드락 레버에는, 상기 차일드락 레버가 상기 가압 링크부에 의해 회전되지 않았을 때에 상기 가압홈부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차일드락 레버가 상기 가압 링크부에 의해 회전되었을 때에 상기 피가압부의 회전 궤적을 벗어나도록 회전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 구동부는, 상기 백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부; 및 상기 구동 기어부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 기어부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차일드락 레버를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 링크부를 이동시키는 랙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 구동부가 차일드락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차일드락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차일드락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래치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릴리스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차일드락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링크 구동부와 차일드락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차일드락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차일드락부의 차일드락 레버가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제2 인사이드 레버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래치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는 릴리스부(110), 링크 구동부(140), 가압 링크부(150), 차일드락부(160), 감지부(170),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릴리스부(110)는 베이스(10)에 배치된다. 베이스(10)는 하우징(15)의 내부에 배치된다.
릴리스부(110)는 차일드락부(160)의 구동력을 래치부(40)에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베이스(10)의 내부에는 래치부(40)가 배치된다. 래치부(40)는 래치 기어(41), 펄기어(43) 및 링크부(45)를 포함한다.
베이스(10)에는 도어(미도시)의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인입되도록 인입홈부(13)가 형성된다. 인입홈부(13)는 래치부(40) 근처에 형성된다.
래치 기어(41)와 펄기어(43)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래치 기어(41)에는 차량의 스트라이커가 인입되도록 구속홈부(41a)가 형성된다. 구속홈부(41a)는 인입홈부(13)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구속홈부(41a)의 단부가 인입홈부(13)에 배치된다. 도어가 닫힐 때에 스트라이커가 구속홈부(41a)로 인입되면서 래치 기어(41)를 가압 회전시킨다. 도어가 완전히 닫히면, 구속홈부(41a)의 폐쇄된 부분이 인입홈부(13)에 위치됨에 따라 스트라이커가 구속된다. 이때, 래치 기어(41)는 펄기어(43)와 맞물려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가 래치 기어(41)에 의해 구속된다.
래치 기어(41)의 상측에는 라운드진 형태의 가이드 리브(41b)가 형성된다. 링크부(45)는 래치 기어(4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부(45)에는 가이드 리브(41b)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돌기(46)가 형성된다.
펄기어(43)는 릴리스부(110)의 펄기어 레버(111)에 의해 구속된다. 펄기어(43)가 펄기어 레버(111)의 삽입 리브(111a)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래치 기어(41)가 펄기어(43)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된다. 래치 기어(41)의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도어가 개방되어 스트라이커가 인입홈부(13)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릴리스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릴리스부(110)는 래치 기어(41)와 펄기어(43)의 상측에 배치된다. 릴리스부(110)는 펄기어 레버(111), 제1 릴리스 레버(113) 및 제2 릴리스 레버(115)를 포함한다.
펄기어 레버(111)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펄기어(43)를 구속하는 삽입 리브(111a)와, 차단부재(130)에 의해 가압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압 리브(111b)를 포함한다. 펄기어 레버(111)는 베이스(10)의 회전축에 축결합된다.
제1 릴리스 레버(113)는 베이스(10)의 회전축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릴리스 레버(113)는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외부 손잡이(미도시)에 연결된다. 제1 릴리스 레버(113)에는 제2 릴리스 레버(115)를 가압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가압 보스(113a)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외부 손잡이가 조작되면 케이블이 당겨짐에 의해 제1 릴리스 레버(113)가 회전되고, 제1 릴리스 레버(113)가 회전됨에 따라 제1 릴리스 레버(113)의 가압 보스(113a)가 제2 릴리스 레버(115)를 회전시킨다.
제2 릴리스 레버(115)는 베이스(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펄기어 레버(111)와 동축 상에 배치된다. 제2 릴리스 레버(115)에는 차일드락부(160)의 제1 인사이드 레버(163)의 가압부(163c)에 의해 가압되도록 피가압 리브(115a)가 형성된다. 피가압 리브(115a)는 제2 릴리스 레버(115)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피가압 리브(115a)가 가압됨에 따라 제2 릴리스 레버(115)가 베이스(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2 릴리스 레버(115)에는 차단부재(130)의 락핀(133)이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홈부(115b)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홈부(115b)는 펄기어 레버(111)의 가압 리브(111b)보다 길게 형성된다. 차단부재(130)가 일측(도 4의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락핀(133)이 가압 리브(111b)에 대응되고, 차단부재(130)가 타측(도 4의 좌측)으로 이동됨에 락핀(133)이 가압 리브(111b)의 회전 궤적 외측에 위치된다.
차단부재(130)의 락핀(133)이 펄기어 레버(111)의 가압 리브(111b)에 대응된 경우, 제2 릴리스 레버(115)가 회전되면 펄기어 레버(111)도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펄기어 레버(111)의 삽입 리브(111a)가 펄기어 레버(111)를 회전시킴에 의해 래치 기어(41)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차단부재(130)의 락핀(133)이 펄기어 레버(111)의 가압 리브(111b)의 회전 궤적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 제2 릴리스 레버(115)가 회전되더라도 펄기어 레버(111)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펄기어 레버(111)는 래치 기어(41)를 구속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므로, 외부 손잡이 또는 내부 손잡이를 조작하더라도 도어를 개방할 수 없다.
제2 릴리스 레버(115)의 상측에는 고정 플레이트(117)가 배치된다. 고정 플레이트(117)는 제2 릴리스 레버(115)의 슬라이딩 홈부(115b)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백플레이트(20)에는 센트럴락부(120)가 결합된다. 센트럴락부(120)는 모터부(121), 샤프트 기어부(123) 및 센트럴 기어부(125)를 포함한다.
샤프트 기어부(123)는 나선형으로 기어부가 형성되고, 센트럴 기어부(125)의 외측면에는 샤프트 기어부(123)와 치합되도록 기어부가 형성된다. 센트럴 기어부(125)는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부(121)가 구동됨에 따라 샤프트 기어부(123)가 회전되고, 샤프트 기어부(123)가 회전됨에 의해 센트럴 기어부(125)가 회전된다.
센트럴 기어부(125)의 회전 중심에는 축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축부에는 오버라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오버라이드부는 오버라이드 레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오버라이드 레버에는 차단부재(130)가 결합된다. 오버라이드부가 구동됨에 따라 차단부재(130)가 이동되므로, 제2 릴리스 레버(115)의 슬라이딩 홈부(115b)에서 차단부재(130)의 락핀(133)이 이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차일드락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링크 구동부와 차일드락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링크 구동부(140)는 백플레이트(20)에 배치된다. 링크 구동부(140)는 구동 모터(141), 구동 기어부(143) 및 랙기어부(145)를 포함한다. 링크 구동부(140)는 가압 링크부(150)를 이동시켜 차일드락부(160)를 가압하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구동 모터(141)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구동된다. 구동 기어부(143)는 구동 모터(141)의 샤프트에 결합된다. 구동 기어부(143)는 외측면에 톱니부가 형성된다. 랙기어부(145)는 구동 기어부(143)에 치합되어 구동 기어부(143)가 회전됨에 의해 이동된다. 랙기어부(145)가 이동됨에 따라 차일드락 레버(167)를 가압하도록 가압 링크부(150)를 이동시킨다.
가압 링크부(150)는 랙기어부(14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151)와, 제1 링크(151)에 링크 결합되는 제2 링크(152)와, 제2 링크(152)에 링크 결합되고 차일드락부(160)의 차일드락 레버(167)를 가압하는 제3 링크(153)를 포함한다.
차일드락부(160)는 릴리스부(110)를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차일드락부(160)는 가압 링크부(150)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차일드락부(160)는 인사이드 회전축(161), 제1 인사이드 레버(163), 제2 인사이드 레버(165) 및 차일드락 레버(167)를 포함한다.
인사이드 회전축(161)은 백플레이트(20)에 결합된다. 인사이드 회전축(161)은 백플레이트(20)의 후면에 배치된다.
제1 인사이드 레버(163)는 인사이드 회전축(1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인사이드 레버(163)는 제2 릴리스 레버(115)를 가압함에 의해 릴리스부(110)에서 스트라이커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제1 인사이드 레버(163)는 인사이드 회전축(161)에 결합되는 제1 몸체부(163a)와, 제1 몸체부(163a)에서 돌출되는 피가압부(163b)와, 제1 몸체부(163a)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릴리스부(110)의 피가압 리브(115a)를 가압하는 가압부(163c)와, 제1 몸체부(163a)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퍼(163d)를 포함한다. 제1 인사이드 레버(163)가 인사이드 회전축(161)에 설치되었을 때에, 가압부(163c)는 하측에 위치되고, 스토퍼(163d)는 상측에 위치된다.
제2 인사이드 레버(165)는 제1 인사이드 레버(163)와 동축을 이루도록 인사이드 회전축(161)에 결합된다. 제2 인사이드 레버(165)는 도어의 내부 손잡이가 조작될 때에 제1 인사이드 레버(163)와 함께 회전된다. 제2 인사이드 레버(165)는 제1 탄성부재(165b)에 의해 회전축에 결합된다. 제2 인사이드 레버(165)는 제1 탄성부재(165b)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된다. 제2 인사이드 레버(165)는 제1 인사이드 레버(163)와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인사이드 레버(165)는 제1 인사이드 레버(163)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 인사이드 레버(165)에는 피가압부(163b)의 회전 궤적 내측에 배치되도록 가압홈부(165a)가 형성된다. 제2 인사이드 레버(165)가 인사이드 회전축(161)에 설치되었을 때에 가압홈부(165a)는 상측에 배치된다. 제2 인사이드 레버(165)는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내부 손잡이(미도시)와 연결된다. 내부 손잡이가 조작됨에 의해 제2 인사이드 레버(165)가 회전된다.
차일드락 레버(167)는 제1 인사이드 레버(163)에 축결합된다. 이때, 차일드락 레버(167)에는 축부(167a)가 형성되고, 제1 인사이드 레버(163)에는 축부(167a)가 결합되도록 결합홀(163e)이 형성된다. 결합홀(163e)은 인사이드 회전축(161)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차일드락 레버(167)는 제1 인사이드 레버(163)의 타측에 결합된다. 차일드락 레버(167)는 제2 탄성부재(167b)에 의해 제1 인사이드 레버(163)와 결합된다. 차일드락 레버(167)는 제2 탄성부재(167b)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된다.
차일드락 레버(167)는 제2 인사이드 레버(165)와 함께 회전되도록 제2 인사이드 레버(165)에 구속된다. 또한, 차일드락 레버(167)는 가압 링크부(15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제2 인사이드 레버(165)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된다. 또한, 차일드락 레버(167)는 가압 링크부(150)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에는 제1 인사이드 레버(163) 및 제2 인사이드 레버(165)와 동시에 회전된다.
차일드락 레버(167)에는 회전돌기부(167c)가 형성된다. 회전돌기부(167c)는 차일드락 레버(167)가 제1 인사이드 레버(163)에 설치되었을 때에 제2 인사이드 레버(165)의 가압홈부(165a)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차일드락 레버(167)가 가압 링크부(150)에 의해 회전되지 않았을 때에, 회전돌기부(167c)는 가압홈부(165a)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제1 인사이드 레버(163)의 피가압부(163b)를 가압한다. 회전돌기부(167c)가 피가압부(163b)를 가압하면, 차일드락 레버(167)와 제1 인사이드 레버(163) 및 제2 인사이드 레버(165)가 동시에 회전된다. 따라서, 제1 인사이드 레버(163)의 가압부(163c)가 제2 릴리스 레버(115)의 피가압 리브(115a)를 가압하므로, 제2 릴리스 레버(115)가 회전된다.
또한, 회전돌기부(167c)는 차일드락 레버(167)가 가압 링크부(150)에 의해 회전되었을 때에 피가압부(163b)의 회전 궤적을 벗어나도록 이동된다. 이때, 회전돌기부(167c)는 피가압부(163b)의 회전 궤적을 벗어나므로, 내부 손잡이를 조작하여 제2 인사이드 레버(165)를 회전시키더라도 제1 인사이드 레버(163)와 차일드락 레버(167)는 회전되지 않는다. 제1 인사이드 레버(163)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제2 릴리스 레버(115)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래치 기어(41)가 펄기어(43)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므로, 도어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감지부(170)는 가압 링크부(150)가 차일드락부(160)를 가압하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감지부(170)는 랙기어부(145)의 이동을 감지하여 가압 링크부(150)가 차일드락부(160)를 가압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70)는 구동 모터(141)의 구동을 감지하여 가압 링크부(150)가 차일드락부(160)를 가압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70)는 차일드락부(160)의 가압 여부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감지부(17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차일드락부(160)의 도어 잠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링크 구동부(140)를 구동시킴에 따라 차일드락부(160)가 도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링크 구동부(140)를 구동시킴에 따라 가압 링크부(150)를 구동하므로, 가압 링크부(150)가 차일드락부(160)의 차일드락 레버(167)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180)에 의해 차일드락부(160)가 차일드락 상태 또는 차일드락 해제 상태로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서 차일드락부(160)를 차일드락 상태 또는 차일드락 해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차일드락 상태는 내부 손잡이 또는 외부 손잡이를 조작하더라도 도어가 잠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차일드락 해제 상태는 내부 손잡이 또는 외부 손잡이를 조작하면 도어가 열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차일드락 상태 또는 차일드락 해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므로, 운전자가 차일드락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의 작용에 관해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링크 구동부와 차일드락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차일드락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조작부에서 차일드락 해제를 선택한 경우, 링크 구동부(14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링크 구동부(140)가 구동되지 않으면 가압 링크부(150)가 이동되지 않는다.
링크 구동부(140)가 차일드락 레버(167)를 가압하지 않았을 때에, 차일드락 레버(167)의 회전돌기부(167c)는 제1 인사이드 레버(163)의 피가압부(163b)의 회전 궤적 내에 위치되고, 제2 인사이드 레버(165)의 가압홈부(165a)에 대응된다.
내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제2 인사이드 레버(165)가 회전된다. 이때, 차일드락 레버(167)의 회전돌기부(167c)는 제2 인사이드 레버(165)의 가압홈부(165a)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제2 인사이드 레버(165)와 함께 회전된다. 또한, 차일드락 레버(167)의 회전돌기부(167c)는 제1 인사이드 레버(163)의 피가압부(163b)의 회전 궤적 내에 위치되므로, 차일드락 레버(167)가 회전될 때에 회전돌기부(167c)가 제1 인사이드 레버(163)의 피가압부(163b)를 가압한다. 따라서, 제1 인사이드 레버(163)가 차일드락 레버(167)와 함께 회전된다.
이처럼, 링크 구동부(140)가 차일드락 레버(167)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인사이드 레버(165)가 내부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면, 차일드락 레버(167), 제1 인사이드 레버(163) 및 제2 인사이드 레버(165)가 동시에 소정 각도(θ1) 회전된다.
제1 인사이드 레버(163)가 회전될 때에 제1 인사이드 레버(163)의 가압부(163c)는 제2 릴리스 레버(115)의 피가압 리브(115a)를 가압한다. 피가압 리브(115a)가 가압됨에 따라 제2 릴리스 레버(115)는 베이스(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차단부재(130)의 락핀(133)이 펄기어 레버(111)의 가압 리브(111b)에 대응된 경우, 제2 릴리스 레버(113)가 회전됨에 따라 펄기어 레버(111)의 가압 리브(111b)가 가압된다. 펄기어 레버(111)의 가압 리브(111b)가 가압됨에 따라 제1 릴리스 레버(113)와 제2 릴리스 레버(115)가 동시에 회전된다.
제1 릴리스 레버(113)가 회전됨에 따라 제1 릴리스 레버(113)의 삽입 리브(111a)가 펄기어(43)의 구속을 해제한다. 펄기어(143)의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래치 기어(41)는 차일드락 해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외부 손잡이 또는 내부 손잡이를 조작하면서 도어를 개방하면, 래치 기어(41)가 스트라이커에 의해 회전되고, 스트라이커가 래치 기어(41)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다.
도 8은 도 6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차일드락부의 차일드락 레버가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제2 인사이드 레버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조작부에서 차일드락 모드를 선택한 경우, 링크 구동부(140)에 전원이 공급된다. 링크 구동부(140)가 구동되면 가압 링크부(150)가 차일드락 레버(167) 측으로 이동된다.
링크 구동부(140)가 차일드락 레버(167)를 가압하여 차일드락 레버(167)를 회전시키면, 차일드락 레버(167)의 회전돌기부(167c)는 제1 인사이드 레버(163)의 피가압부(163b)의 회전 궤적을 벗어나고, 제2 인사이드 레버(165)의 가압홈부(165a)의 회전 궤적을 벗어나게 된다.
내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제2 인사이드 레버(165)가 소정 각도(θ2) 회전된다(도 8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때, 차일드락 레버(167)의 회전돌기부(167c)는 제2 인사이드 레버(165)의 가압홈부(165a)의 회전 궤적을 벗어나므로, 차일드락 레버(167)가 제2 인사이드 레버(165)와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차일드락 레버(167)의 회전돌기부(167c)는 제1 인사이드 레버(163)의 피가압부(163b)의 회전 궤적을 벗어나도록 위치되므로, 제2 인사이드 레버(165)가 회전되더라도 제1 인사이드 레버(163)는 회전되지 않는다.
이처럼, 링크 구동부(140)가 차일드락 레버(167)를 가압한 상태에서 제2 인사이드 레버(165)가 내부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소정 각도(θ3) 회전되더라도, 차일드락 레버(167) 및 제1 인사이드 레버(163)가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제1 인사이드 레버(163)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차단부재(130)의 락핀(133)이 펄기어 레버 레버(111)의 가압 리브(111b)에 대응되든지 가압 리브(111b)의 외측에 위치되든지 상관없이 제1 릴리스 레버(113)와 제2 릴리스 레버(115)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손잡이 또는 내부 손잡이를 조작하더라도, 래치 기어(41)가 펄기어(43)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므로, 스트라이커가 래치 기어(41)로부터 구속된 상태인 차일드락 상태를 유지한다. 나아가, 내부 손잡이를 조작하더라도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서 차일드락부(160)가 차일드락 또는 차일드락 해제 상태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린 후 키를 돌려 차일드락 상태로 변경할 필요가 없다.
한편, 감지부(170)는 랙기어부(145)의 이동됨에 따라 가압 링크부(150)가 차일드락부(160)의 차일드락 레버(167)를 가압하는지를 감지한다. 감지부(170)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180)는 차일드락 또는 차일드락 해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가압 링크부(150)가 차일드락 상태인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도어가 차일드락 상태인 것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링크부(150)가 차일드락 해제 상태인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도어가 차일드락 상태가 해제된 것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부(170)의 신호에 의해 차일드락 및 차일드락 해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13: 인입홈부
20: 백플레이트 40: 래치부
41: 래치 기어 41a: 구속홈부
41b: 가이드 리브 43: 펄기어
45: 링크부 46: 가이드 돌기
110: 릴리스부 111: 펄기어 레버
111a: 삽입 리브 111b: 가압 리브
113: 제1 릴리스 레버 113a: 가압 보스
115: 제2 릴리스 레버 115a: 피가압 레버
115b: 슬라이딩 홈부 120: 센트럴락부
121: 모터부 123: 샤프트 기어부
125: 센트럴 기어부 130: 차단부재
133: 락핀 140: 링크 구동부
141: 구동 모터 143: 구동 기어부
145: 랙기어부 150: 가압 링크부
151: 제1 링크 152: 제2 링크
153: 제3 링크 160: 차일드락부
161: 인사이드 회전축 163: 제1 인사이드 레버
163a: 제1 몸체부 163b: 피가압부
163c: 가압부 163d: 스토퍼
163e: 결합홀 165: 제2 인사이드 레버
165a: 가압홈부 165b: 제1 탄성부재
167: 차일드락 레버 167a: 축부
167b: 제2 탄성부재 167c: 회전돌기부
170: 감지부 180: 제어부

Claims (6)

  1. 베이스에 배치되는 릴리스부;
    백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링크 구동부;
    상기 링크 구동부에 결합되는 가압 링크부;
    상기 가압 링크부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차일드락부;
    상기 가압 링크부가 상기 차일드락부를 가압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링크 구동부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차일드락부가 도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일드락부는,
    상기 백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인사이드 회전축;
    상기 인사이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릴리스부를 가압하는 제1 인사이드 레버;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와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인사이드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 손잡이가 조작될 때에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와 함께 회전되는 제2 인사이드 레버; 및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2 인사이드 레버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제2 인사이드 레버에 구속되고, 상기 가압 링크부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인사이드 레버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는 차일드락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구동부는,
    상기 백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부; 및
    상기 구동 기어부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 기어부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차일드락 레버를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 링크부를 이동시키는 랙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랙기어부의 이동 또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을 감지하여, 상기 차일드락부의 가압 여부에 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차일드락부의 도어 잠금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링크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링크 구동부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가압 링크부가 상기 차일드락 레버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도록 하며,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서 상기 차일드락부를 차일드락 상태 또는 차일드락 해제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차일드락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차일드락 상태 또는 차일드락 해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사이드 레버는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일드락 레버는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사이드 레버는,
    상기 인사이드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에서 돌출되는 피가압부;
    상기 제1 몸체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릴리스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사이드 레버에는 상기 피가압부의 회전 궤적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가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일드락 레버에는, 상기 차일드락 레버가 상기 가압 링크부에 의해 회전되지 않았을 때에 상기 가압홈부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차일드락 레버가 상기 가압 링크부에 의해 회전되었을 때에 상기 피가압부의 회전 궤적을 벗어나도록 회전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6. 삭제
KR1020130131859A 2013-10-31 2013-10-31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KR101513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859A KR101513000B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859A KR101513000B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000B1 true KR101513000B1 (ko) 2015-04-17

Family

ID=5305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859A KR101513000B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00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782A (ko) * 2017-11-24 2017-12-08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CN107975309A (zh) * 2016-10-25 2018-05-01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门锁装置
EP3517716A1 (en) * 2018-01-30 2019-07-31 Hyundai Motor Company Power child lock operating device
KR20200059048A (ko) * 2018-11-20 2020-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차일드록 시스템
CN111622624A (zh) * 2019-02-28 2020-09-0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电动儿童锁操作装置
KR20200116628A (ko) * 2019-04-02 2020-10-13 대동도어 주식회사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US20210214975A1 (en) 2020-01-10 2021-07-15 Hyundai Motor Company Electric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US11441336B2 (en) * 2019-05-02 2022-09-13 Hyundai Motor Company 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382A (ko) * 2011-02-16 2012-08-24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382A (ko) * 2011-02-16 2012-08-24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1939B2 (en) 2016-10-25 2021-08-17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Door lock apparatus
CN107975309A (zh) * 2016-10-25 2018-05-01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门锁装置
CN107975309B (zh) * 2016-10-25 2020-01-03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门锁装置
KR101971149B1 (ko) * 2017-11-24 2019-04-22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70135782A (ko) * 2017-11-24 2017-12-08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EP3517716A1 (en) * 2018-01-30 2019-07-31 Hyundai Motor Company Power child lock operating device
CN110094120A (zh) * 2018-01-30 2019-08-0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动力儿童锁操作装置
KR20190092174A (ko) * 2018-01-30 2019-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차일드 록 조작장치
KR102518596B1 (ko) * 2018-01-30 2023-04-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파워 차일드 록 조작장치
US11187016B2 (en) 2018-01-30 2021-11-30 Hyundai Motor Company Power child lock operating device
CN110094120B (zh) * 2018-01-30 2021-10-0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动力儿童锁操作装置
US11365567B2 (en) * 2018-11-20 2022-06-21 Hyundai Motor Company Power child lock system for vehicle
KR20200059048A (ko) * 2018-11-20 2020-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차일드록 시스템
KR102540933B1 (ko) 2018-11-20 2023-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차일드록 시스템
CN111622624A (zh) * 2019-02-28 2020-09-0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电动儿童锁操作装置
KR102172529B1 (ko) * 2019-04-02 2020-10-30 대동도어 주식회사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KR20200116628A (ko) * 2019-04-02 2020-10-13 대동도어 주식회사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US11441336B2 (en) * 2019-05-02 2022-09-13 Hyundai Motor Company 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US20210214975A1 (en) 2020-01-10 2021-07-15 Hyundai Motor Company Electric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US11802425B2 (en) 2020-01-10 2023-10-31 Hyundai Motor Company Electric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000B1 (ko)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US6681603B1 (en) Steel cable lock structure with internal multidirectional locking effect
JP4852544B2 (ja) パワー解除式二重ロックラッチ
WO2014175007A1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制御装置
WO2006030610A1 (ja) リッド開閉装置
WO2014041958A1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制御装置
JP5781025B2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US9926728B2 (en) System for opening a door, in particular for the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WO2014041957A1 (ja) 車両のドアロック表示通電制御装置
WO2014010326A1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KR101212591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JP2017150236A (ja) 電気錠
KR10247449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0402198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JP2007217933A (ja) 錠前の解錠機構
KR101912381B1 (ko) 디지털 도어락
EP3269908A1 (en) Door latch device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200442949Y1 (ko) 패닉 릴리스 감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CN211549234U (zh) 车辆用门开闭操作装置
CN106481156B (zh) 门锁用插芯锁及具备该门锁用插芯锁的门锁装置
JP2007198089A (ja) 鎌錠の自動施錠機構
JP2007205056A (ja) ドアの開閉装置
JP2018112041A (ja)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CN114215432B (zh) 自动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