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529B1 -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529B1
KR102172529B1 KR1020190038217A KR20190038217A KR102172529B1 KR 102172529 B1 KR102172529 B1 KR 102172529B1 KR 1020190038217 A KR1020190038217 A KR 1020190038217A KR 20190038217 A KR20190038217 A KR 20190038217A KR 102172529 B1 KR102172529 B1 KR 10217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hild
rotating member
locking
worm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628A (ko
Inventor
한성희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8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52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고, 내측에 제 1 및 2 중심축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며, 단부에 웜 기어가 형성된 구동모터; 웜 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기어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중심부가 제 1 중심축에 끼워져 웜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 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 일단에 제 2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관통홀에 끼워지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되고, 타단에 제 1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중간링크; 후면부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 3 및 4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제 3 걸림돌기가 제 1 가이드 홈에 끼워짐으로써 중간링크의 좌, 우 이동됨에 따라 같이 이동되는 차일드 링크; 및 제 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제 2 중심축에 장착되며, 차일드 링크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차일드 링크를 회전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를 포함하는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Electric child lock door latch}
본 발명은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동보호를 위해 차일드락 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에 관한 것이다.
차일드 락(Child lock) 장치는 뒷좌석에 어린아이가 탑승하는 경우에 아이들이 무심코 인사이드 도어핸들을 당기더라도 차량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잠금장치의 링크 연결 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차일드 락 장치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878628호가 출원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일드 락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차량에 설치되는 인사이드 핸들부와, 상기 인사이드 핸들부에 연결된 핸들로드와, 상기 핸들 로드와 연결되는 차량의 문을 잠그는 도어 락과, 차량 주행 시에는 차내에서 상기 도어 락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차일드 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 핸들부에 상기 차일드 락을 일체로 구비하기 위해 상기 인사이드 핸들부의 일측에 배치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서로 대향 배치되고, 차량의 주행 시 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 당겨 회전하지 않게 되어 차량의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해주는 전자석부를 포함하고, 차량 정지 시 차내에서 차량의 문을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인사이드 핸들부에 배치된 상기 손잡이부의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는 볼트보다 좌우가 길게 형성된 볼트체결공과;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핸들 로드와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 로드보다 넓은 홀이 형성된 유동홀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요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연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량의 주행 시 전원 공급에 의해 자성이 생긴 상기 전자석부가 상기 손잡이부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연장부와 일체되어 배치되는 자성이 강한 강철 재질의 스틸부를 포함하는 차일드 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차일드 락 장치는, 잠김 상태인 경우에 인사이드 도어핸들을 당기더라도 차량의 도어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없어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것이고 해제 상태인 경우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통해서 도어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평상시의 상태이다.
즉, 차일드 락을 설정하면 차량 내 인사이드 도어핸들로는 열리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타인이 열어주거나, 운전자가 조작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언락을 설정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차일드 락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는 차량 도어의 도어잠금장치 부근에 장착되어 있어, 조작레버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팔을 멀리 뻗거나 몸을 숙여 조작레버를 찾아서 작동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가 손으로 조작레버를 찾더라도 손으로 조작하기가 여의치 않아 열쇠나 별도의 물건을 이용하여 조작레버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처럼 차일드 락 조작레버의 조작이 번거로워 차일드 락을 이용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율이 높아지고, 운전자가 운전중에 차일드 락 또는 언락을 조작하기 위해 몸을 숙이거나 팔을 뻗는 경우 운전에 방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8628호 (등록일; 2009.01.07.)
본 발명은, 전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고, 내측에 제 1 및 2 중심축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며, 단부에 웜 기어가 형성된 구동모터; 상기 웜 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기어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중심부가 상기 제 1 중심축에 끼워져 상기 웜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 일단에 제 2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되고, 타단에 제 1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중간링크; 후면부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 3 및 4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걸림돌기가 상기 제 1 가이드 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중간링크의 좌, 우 이동됨에 따라 같이 이동되는 차일드 링크; 및 상기 제 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 2 중심축에 장착되며, 상기 차일드 링크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일드 링크를 회전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를 포함하는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링크 및 구속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및 3 걸림돌기가 각각 끼워져 가이드 되는 제 2 및 3 가이드 홈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관통홀의 위치와 상반되는 위치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 1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걸림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시, 상기 중간링크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위치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링크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차일드 링크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일드 링크는 전면부에 스톱퍼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에는 상기 스톱퍼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차일드 링크의 좌, 우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톱퍼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는, 내부 구조를 간소화함과 동시에 전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를 제공함으로써, 편의성 향상 및 부품수 감소로 인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차일드 락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중,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의 언락킹 및 락킹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중,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구동모터(120), 회전부재(130), 스위치 링크(180), 스위치(190), 중간링크(140), 차일드 링크(150) 및 작동레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차량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측에 다수의 장착 슬롯(미표기)과, 제 1 및 2 중심축(111, 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장착 슬롯과, 제 1 및 2 중심축(111, 112)에는 본 실시예의 각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다.
구동모터(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측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20)의 단부에는 웜 기어(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회전부재(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120)는 웜 기어(121)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회전부재(130)는 중심부가 제 1 중심축(111)에 끼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130)는 제 1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130)는 웜 기어(121)와 치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130)는 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되는 웜 기어(121)의 회전에 따라 제 1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재(130)는 제 1 중심축(11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관통홀(13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중간링크(140)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회전부재(13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관통홀(130a)의 위치와 상반되는 위치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 1 걸림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스위치 링크(180) 및 스위치(190)의 구성과 연관하여 부연하도록 한다.
제 1 걸림돌기(131)에는 스위치 링크(180)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위치 링크(180)가 제 1 걸림돌기(131)에 걸리도록 결합됨으로써, 스위치 링크(180)가 회전부재(13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130)의 회전됨에 따라 의해 좌, 우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링크(180)와 제 1 걸림돌기(131)가 연결되는 부분과 반대되는 위치에 스위치(19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스위치(190)는 스위치 링크(180)에 의해 on/off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부재(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스위치 링크(180)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스위치(190)의 레버(미표기)를 가압함으로써 스위치(190)가 ON 상태가 된다. 반면, 회전부재(1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스위치 링크(180)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스위치(190)의 상기 레버를 가압 해제함으로써 스위치(190)가 OFF상태가 된다.
한편, 중간링크(140)는 회전부재(13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간링크(140)는 관통홀(130a)을 관통하기 위한 제 2 걸림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걸림돌기(141)가 관통홀(130a)에 장착됨으로써 중간링크(140)가 회전부재(13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링크(140)는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중간링크(140)는 단부에 제 1 가이드 홈(14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가이드 홈(140a)에는 차일드 링크(150)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일드 링크(150)의 후면부에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 3 및 4 걸림돌기(151, 1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3 걸림돌기(151)가 제 1 가이드 홈(140a)에 끼워짐으로써, 차일드 링크(150)가 중간링크(140)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차일드 링크(150)는 중간링크(140)의 좌, 우 움직임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중간링크(140) 및 차일드 링크(150) 사이에는 가이드 부재(17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70)에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 2 및 3 가이드 홈(171, 17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및 3 가이드 홈(171, 172)에 제 3 및 제 4 걸림돌기(151, 152)가 각각 끼워져 가이드 될 수 있다. 즉, 중간링크(140)와 연결된 차일드 링크(150)는 가이드 부재(170)에 형성된 제 2 및 3 가이드 홈(171, 172)을 따라 좌, 우로 소정 정도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차일드 링크(150)는 전면부에 스톱퍼(153)가 형성되어 후술할 작동레버(160)의 회전에 의해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작동레버(160)와 연관하여 부연하도록 한다.
작동레버(160)는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 2 중심축(112)에 장착되어 제 2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레버(160)는 차일드 링크(150)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제 2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작동레버(160)에는 걸림홈(160a)이 형성되며, 걸림홈(160a)에 스톱퍼(153)가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기상태의 경우, 스톱퍼(153)가 걸림홈(160a)이 걸려있기 때문에 작동레버(160)의 회전 시, 차일드 링크(150)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반면, 중간링크(140)에 의해 차일드 링크(15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스톱퍼(153)가 걸림홈(160a)으로부터 걸림 해제상태가 됨으로써, 작동레버(160)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의 언락킹 및 락킹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의 초기상태, 즉 차일드 링크(160)가 언락킹(Unlocking) 상태에서는 차일드 링크(150)에 형성된 스톱퍼(153)가 작동레버(160)의 걸림홈(160a)에 걸리게 됨으로써, 작동레버(160)의 회전시 차일드 링크(150)가 같이 회전될 수 있다(도 5의 (a) 참고).
이후, 구동모터(120)가 작동하면, 웜 기어(121)에 맞물려 있던 회전부재(130)가 회전되고, 회전부재(130)의 하부측과 연결된 스위치 링크(180)가 좌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반면, 회전부재(130)의 관통홀(130a)에 연결된 중간링크(140)는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좌측으로 이동된 스위치 링크(180)는 스위치(190)의 상기 레버를 가압함으로써 스위치(190)를 작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중간링크(140)와 연결되어 있는 차일드 링크(150)가 가이드 부재(170)의 제 2 및 3 가이드 홈(171, 172)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됨으로써, 걸림홈(160a)에 걸려있던 스톱퍼(153)의 걸림이 해제된다. 다시 말하면, 스톱퍼(153)가 걸림홈(160a)으로부터 걸림 해제됨으로써, 차일드 링크(150) 및 작동레버(160)의 연결이 해제된다.
즉, 작동레버(160)만 회전되는 상태(차일드 링크(150)의 락킹상태)로 전환되고, 이와 동시에 스위치(190)가 ON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탑승자가 차일드 링크(150)가 락킹(Locking)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도 5의 (b) 참고).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는 내부 구조를 간소화함과 동시에 전동으로 작동이 가능하므로, 편의성 향상 및 부품수 감소로 인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110:베이스 플레이트
111: 제 1 중심축 112: 제 2 중심축
120: 구동모터 121: 웜 기어
130: 회전부재 130a: 관통홀
131: 제 1 걸림돌기 140: 중간링크 140a: 제 1 가이드 홈 141: 제 2 걸림돌기
150: 차일드 링크 151: 제 3 걸림돌기
152: 제 4 걸림돌기 153: 스톱퍼
160: 작동레버 160a: 걸림홈
170: 가이드 부재 171: 제 2 가이드 홈
172: 제 3 가이드 홈 180: 스위치 링크
190: 스위치

Claims (6)

  1. 차량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고, 내측에 제 1 및 2 중심축(111, 112)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측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며, 단부에 웜 기어(121)가 형성된 구동모터(120);
    상기 웜 기어(121)에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기어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관통홀(130a)이 형성되며, 중심부가 상기 제 1 중심축(111)에 끼워져 상기 웜 기어(1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130);
    일단에 제 2 걸림돌기(14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30a)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되고, 타단에 제 1 가이드 홈(140a)이 형성되는 중간링크(140);
    후면부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 3 및 4 걸림돌기(151, 152)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걸림돌기(151)가 상기 제 1 가이드 홈(140a)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중간링크(140)의 좌, 우 이동됨에 따라 같이 이동되는 차일드 링크(150); 및
    상기 제 2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 2 중심축(112)에 장착되며, 상기 차일드 링크(150)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일드 링크(150)를 회전시키는 작동레버(160); 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링크(140) 및 차일드 링크(15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및 3 걸림돌기(151, 152)가 각각 끼워져 가이드 되는 제 2 및 3 가이드 홈(171, 172)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 부재(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3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관통홀(130a)의 위치와 상반되는 위치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 1 걸림돌기(13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돌기(131)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130)의 회전 시, 상기 중간링크(14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위치 링크(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링크(18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차일드 링크(150)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스위치(1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130)는 상기 웜기어(121)에 맞물리는 기어가 일측에 위치되며 헬리컬 기어 형태로 형성되는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링크(150)는 전면부에 스톱퍼(153)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160)에는 상기 스톱퍼(153)가 걸리는 걸림홈(160a)이 형성되어, 상기 차일드 링크(150)의 좌, 우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톱퍼(153)가 상기 걸림홈(160a)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100).
KR1020190038217A 2019-04-02 2019-04-02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KR10217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217A KR102172529B1 (ko) 2019-04-02 2019-04-02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217A KR102172529B1 (ko) 2019-04-02 2019-04-02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628A KR20200116628A (ko) 2020-10-13
KR102172529B1 true KR102172529B1 (ko) 2020-10-30

Family

ID=7288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217A KR102172529B1 (ko) 2019-04-02 2019-04-02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5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7541A (ja) * 2010-09-27 2012-04-05 Mitsui Kinzoku Act Corp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216625B1 (ko) * 2010-10-27 2012-12-31 평화정공 주식회사 개량된 차일드락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리어 도어래치
KR101513000B1 (ko) * 2013-10-31 2015-04-17 평화정공(주)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KR101615823B1 (ko) * 2014-11-04 2016-05-13 평화정공 주식회사 측면 충돌시 도어열림 방지형 래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628B1 (ko) 2007-09-19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일드 락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7541A (ja) * 2010-09-27 2012-04-05 Mitsui Kinzoku Act Corp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216625B1 (ko) * 2010-10-27 2012-12-31 평화정공 주식회사 개량된 차일드락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리어 도어래치
KR101513000B1 (ko) * 2013-10-31 2015-04-17 평화정공(주)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KR101615823B1 (ko) * 2014-11-04 2016-05-13 평화정공 주식회사 측면 충돌시 도어열림 방지형 래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628A (ko)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2583B2 (en) Door latch with emergency lock actuator and ‘impatient passenger’ feature
KR101492273B1 (ko) 전동 스티어링 락 장치
KR101871838B1 (ko) 디지털 도어락
JP2784950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KR102172529B1 (ko)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KR101163780B1 (ko) 자동차 도어 로크
KR102237182B1 (ko) 잼 방지용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KR100727187B1 (ko) 도어 래치
JP7327124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674167B1 (ko) 무전원 방식 양방향 구동 모티스
JP3671503B2 (ja) 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JP5252899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884464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200483321Y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KR20200116627A (ko) 데드록 기능이 구비된 도어래치
KR20070105739A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JP6565820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S589223B2 (ja) 自動車におけるドア用ロックの遠隔操作機構
TWI687580B (zh) 感應式鎖具
KR101097064B1 (ko) 도어락 어셈블리
US20230220705A1 (en) Closure latch assembly with release cable arrangement having an anti-rattle mechanism
KR101517025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JP2018159174A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
KR101470440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