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780B1 - 자동차 도어 로크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로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780B1
KR101163780B1 KR1020057021159A KR20057021159A KR101163780B1 KR 101163780 B1 KR101163780 B1 KR 101163780B1 KR 1020057021159 A KR1020057021159 A KR 1020057021159A KR 20057021159 A KR20057021159 A KR 20057021159A KR 101163780 B1 KR101163780 B1 KR 101163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ing
lever
coupling element
antitheft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5722A (ko
Inventor
루드거 그라우트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01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45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by blocking the movement of a movab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05B77/265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hand actuated, e.g. by a lever at the edge of the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30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allowing opening by means of an inner door handle, even if the door is 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제는 안전 캐치(1, 2), 하나 이상의 내부 작동 레버(4a, 4b), 외부 작동 레버(10), 도난 방지(16, 17) 장치, 및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20, 21)를 구비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2개의 안전 장치(16, 17; 20, 21)는 공통의 커플링 유닛(11, 19a)에 의해 안전 캐치(1, 2)에 작용한다. 그 공통의 커플링 유닛(11, 19a)은 안전 캐치(1, 2)를 선택적으로 내부 작동 레버(4a, 4b)에, 아니면 외부 작동 레버(10)에, 아니면 그 양자의 레버(4a, 4b; 10)에 커플링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로크{MOTOR VEHICLE DOOR LOCK}
본 발명은 안전 캐치(safety catch), 하나 이상의 내부 작동 레버, 외부 작동 레버, 도난 방지(theft-prevention) 장치, 및 어린이 사고 예방(child-safety)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바와 같이, 안전 캐치는 회전 걸쇠와 래칫(ratchet)을 구비하는데, 래칫은 예컨대 트립 레버(trip lever)에 의해 제쳐질 수 있다.
서두에 언급된 실시 양태의 자동차 도어 로크는 공지된 것이다. 그러한 장치는 그 효능이 입증되어 있으나, 그 구조에 있어 복잡하고, 다수의 레버 기구를 다루고 있다. 그것은 비용을 폭등시킨다. 본 발명은 그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구조가 전반적으로 단순화되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의 감소가 수반되도록 서두에 언급된 구성의 자동차 도어 로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그러한 기술적 과제는 전제된 유형의 자동차 도어 로크에서 전술된 2개의 안전 장치, 즉 도난 방지 장치와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가 공통의 커플링 유닛에 의해 안전 캐치에 작용하되, 그 공통의 커플링 유닛이 안전 캐치를 선택적으로 내부 작동 레버에, 아니면 외부 작동 레버에, 아니면 그 양자의 레버에 커플링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게 된다. 달리 표현하자면, 공통의 커플링 유닛은 그 위치에 따라 내부 작동 레버가, 아니면 외부 작동 레버가, 아니면 내부 작동 레버와 외부 작동 레버가 함께 안전 캐치에 작용할 수 있게 하거나 꼭 그와 같이 작용해야 할 필요가 없게 하려고 마련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커플링 유닛에 의해 3개의 기본 위치, 즉 "도난 방지 오프(off), 어린이 사고 예방 오프" 위치, "도난 방지 오프, 어린이 사고 예방 온(on)" 위치, 및 "도난 방지 온,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한 위치들에서, 가장 먼저 언급된 기능 위치인 "도난 방지 오프, 어린이 사고 예방 오프" 위치는 내부 작동 레버는 물론 외부 작동 레버도 각자 개별적으로 공통의 커플링 유닛에 의해 안전 캐치를 풀 수 있는 상황에 해당한다. 즉, 그러한 위치에 속한 자동차 도어는 안쪽에서는 물론 바깥쪽에서도 열릴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커플링 유닛은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 및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로 이뤄진다.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는 내부 작동 레버와 상호 작용하는 반면에,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는 외부 작동 레버와 상호 작용한다. 양자의 경우에, 그 2개의 커플링 요소는 선택적으로 안전 캐치가 내부 작동 레버에, 아니면 외부 작동 레버에, 아니면 양자의 작동 레버에 커플링되게 하려고 마련된 것이다. 기본적으로,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 및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를 구비한, 이를테면 2 부품의 커플링 유닛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공통의 커플링 유닛도 역시 그러한 기능을 떠맡을 수 있다.
"도난 방지 오프,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에서는, 단지 외부 작동 레버만이 작동 중에 있어 안전 캐치를 풀 수 있는 반면에, 내부 작동 레버는 로크(lock)되거나 안전 캐치에 대한 공전 행정을 갖는다. 환언하면, 그러한 위치에 속한 자동차 도어는 안쪽에서는 열릴 수 없게 된다. 그 반면에, 바깥쪽에서 여는 것은 가능하다. 그것은 통상의 어린이 사고 예방 기능에 해당한다.
끝으로, "도난 방지 온,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는 내부 작동 레버뿐만 아니라 외부 작동 레버가 모두 그 "로크된" 위치를 차지하고, 그 결과 안전 캐치에 대한 공전 행정을 각각 행하고 있는 상황에 해당한다. 즉, 그러한 위치에 속한 자동차 도어는 안쪽에서는 물론 바깥쪽에서도 열릴 수 없게 되고, 그에 따라 도난 방지 기능(및 그럼으로써, 그와 동시에 어린이 사고 예방 기능)이 보장되게 된다. 따라서, 유리창 섹터 또는 도어 틈새를 통한 무권한자의 조작적 개입에 의해서는 그러한 위치에 속한 자동차 도어가 열릴 수 없다. 도난 방지는 통상적인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의 기본적 열림을 저지하는 반면에, 어린이 사고 예방은 바깥에서의 도어의 열림을 허용하지만, 안쪽에서의 도어의 열림을 허용하지 않는다. 궁극적으로, 도난 방지 기능이 넣어져 있으면, 어린이 사고 예방에 기능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당연한데, 그것은 전술된 바와 같이 도난 방지가 바깥쪽에서는 물론 안쪽에서의 도어의 열림을 배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공통의 커플링 유닛은
ⅰ) 내부 작동 레버와 외부 작동 레버가 안전 캐치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거나("도난 방지 오프, 어린이 사고 예방 오프"),
ⅱ) 단지 외부 작동 레버만이 안전 캐치에 작용하는 반면에, 내부 작동 레버가 공전 행정을 행하거나("도난 방지 오프, 어린이 사고 예방 온"), 끝으로
ⅲ) 내부 작동 레버는 물론 외부 작동 레버도 사전 로크된 후에 안전 캐치로부터 기계적으로 디커플링되어 양자가 공전 행정을 각각 행하게 하려고("도난 방지 온,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즉 그와 동시에 로크 레버가 사전 로크됨에 의해 그 로크 위치를 차지하게 하려고 마련된 것이다.
전체적으로, 공통의 커플링 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ⅰ), ⅱ), 및 ⅲ)의 3개의 기능 위치가 나타날 수 있다. 그것은 최소의 구조적 수단 및 감소된 부품 수로써 성공적으로 이뤄지는데, 왜냐하면 어린이 사고 예방과 도난 방지의 기능들이 서로 조합되기 때문이다. 부가적으로, 구조 공간이 최소로 국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플링 유닛은 통상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와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를 구비한다. 즉, 커플링 요소는 대부분 2 부품으로 구성되고, 특히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와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에 의해 그와 같이 구성된다.
내부 작동 레버도 역시 대부분 내부 작동 핸들 레버와 내부 작동 트립 레버를 구비한 2 부품 구조를 갖는다. 그러한 2개의 레버, 즉 내부 작동 핸들 레버와 내부 작동 트립 레버는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플링되거나 서로 결합된다. 그 경우에, 내부 작동 핸들 레버는 일반적으로 내부 도어 핸들 또는 도어 내부 핸들에 연결되는 반면에, 내부 작동 트립 레버는 이미 언급된 안전 캐치용 트립 레버에 작용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내부 작동 트립 레버도 역시 트립 레버의 개재 없이 직접 래칫을 제쳐낼 수 있다.
즉,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는 내부 작동 핸들 레버를 내부 작동 트립 레버에 기계적으로 결합시켜 내부 도어 핸들 또는 도어 내부 핸들로부터 안전 캐치용 트립 레버까지의 연속된 기계적 결합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즉, 그 경우에, 내부 도어 핸들을 당기는 이동에 의해, 바로 안전 캐치가 풀릴 수 있음에 따라 그에 연결된 자동차 도어가 열릴 수 있게 된다. 그 경우에, 내부 작동 레버는 전체적으로 그 "언로크(unlock)된" 위치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자동차 도어 로크가 "도난 방지 오프, 어린이 사고 예방 오프"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 반면에,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가 내부 작동 핸들 레버와 내부 작동 트립 레버 사이의 기계적 결합을 해제시키면, 내부 작동 레버는 전체적으로 "로크된" 그 기능 위치를 차지하는데, 그것은 내부 작동 핸들 레버가, 그에 따라 내부 도어 핸들이 공전 행정을 행하기 때문이다. 그에 상응하여, 안전 캐치는 안쪽에서 풀릴 수 없게 된다. 그 경우에, 외부 작동 레버가 여전히 안전 캐치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어 있으면, 자동차 도어 로크는 전체적으로 "도난 방지 오프,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를 얻게 된다.
양자의 경우(즉, 외부 작동 레버가 안전 캐치에 커플링되어 있는 경우 또는 외부 작동 레버가 안전 캐치로부터 풀려 있는 경우)에, 전술된 바와 같이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에 의해 어린이 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하는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가 작동될 수 있다.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에서는, 내부 작동 핸들 레버가 내부 작동 트립 레버에 대한, 그에 따라 안전 캐치에 대한 공전 행정을 행한다. 기본적으로, 도난 방지 장치도 역시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의 전술된 작동을 제공할 수 있음이 물론이다.
외부 작동 레버는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의 선택적 개재 하에 안전 캐치의 트립 레버에 작용한다. 그 경우에,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는 통상적으로 도난 방지 요소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그러한 프로파일은 한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도난 방지 요소가 맞물리는 리세스(recess)일 수 있다. 도난 방지 요소는 모터에 의해 또는 기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를 예컨대 모터에 의해 또는 기계적으로 외부 로크 레버 또는 내부 로크 레버에 있는 동력 전달 장치를 경유하여 작동시키는 것도 역시 물론 가능하다.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는 자동차 도어 로크에 부속된 하우징의 하우징 인서트(insert) 또는 로크 케이스 인서트의 가이드에서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스러스트 레버(thrust lever)이다. 일반적으로,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의 작동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 로크 레버이다. 도난 방지 요소가 "도난 방지 온" 위치로 이행되면, 그와 동시에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가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로 동반 이행된다.
즉,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는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와 마찬가지로 그에 부속된 작동 레버가 선택적으로 안전 캐치에 커플링되거나 꼭 커플링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그를 위해,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 또는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한 스러스트 레버는 로크 레버에 의해 그에 상응하게 작동된다. "도난 방지 온" 위치에서는,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 또는 스러스트 레버가 안전 캐치에 대한 외부 작동 레버의 공전 행정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환언하면, 그러한 위치에 속한 자동차 도어는 바깥쪽에서 열릴 수 없게 된다.
그러한 "도난 방지 온" 위치에서는, 그와 동시에 도난 방지 요소가 내부 작동 레버와 연동하는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로 하여금 그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를 차지하게끔 조치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자동차 도어 로크의 "도난 방지 온,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가 얻어지게 된다. 그것은 도난 방지 요소가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로 하여금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에서 내부 작동 핸들 레버와 내부 작동 트립 레버 사이의 기계적 커플링을 해제하게끔 하도록 조치하기 때문이다.
즉, 로크 레버가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 또는 스러스트 레버를 외부 작동 레버에 대한 공전 행정 위치로 이행시킴으로써 "도난 방지 온" 위치가 취해지게 되면,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 또는 스러스트 레버의 프로파일과 상호 작용하는 도난 방지 요소가 그와 동시에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로 하여금 내부 작동 핸들 레버와 내부 작동 트립 레버 사이의 기계적 커플링을 해제하게끔 하도록 조치한다. 따라서, "도난 방지 온" 위치는 곧 "어린이 사고 예방 온"의 기능 위치에 해당하고,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도난 방지 온,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가 설정되게 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어린이 사고 예방 또는 어린이 사고 예방 레버에 도난 방지가 피해를 주지 않게 된다.
그러한 "도난 방지 온,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로부터, 예컨대 내부 작동 레버가 그 통상의 작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고, 도난 방지가 예컨대 모터에 의해 해제됨으로써 도난 방지 기능이 꺼지면,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는 도난 방지 요소로부터 풀려나게 된다. 그와 동시에,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가 내부 작동 레버의 2개의 구성 요소를 커플링하는 위치로 도로 이동한다(스프링 힘에 의해). 따라서, 자동차 도어 로크는 "도난 방지 오프, 어린이 사고 예방 오프"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단지 하나의 실시예만을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a 및 도 1b는 "도난 방지 오프, 어린이 사고 예방 오프"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로크를 상이한 시선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들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난 방지 오프,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에 있는 도 1a 및 도 1b에 따른 자동차 도어 로크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난 방지 온, 어린이 사고 온" 기능 위치에 있는 자동차 도어 로크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첨부 도면에는 도 1b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회전 걸쇠(1)와 래칫(2)으로 이뤄진 안전 캐치(1, 2)를 구비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 걸쇠(1)뿐만 아니라 래칫(2)도 횡단면이 U형으로 형성된 로크 케이스(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크 케이스(3)는 도시를 생략한 로크 커버와 함께 자동차 도어 로크의 하우징 또는 로크 하우징을 형성한다.
안전 캐치(1, 2) 이외에도, 도 1b에만 도시된 결합 요소를 경유하여 내부 도어 핸들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내부 작동 레버(4a, 4b)가 구현되어 있다. 내부 도어 핸들(5)을 당기는 이동에 의해, 내부 작동 레버(4a, 4b)가 그 축(6)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도 1b에 도시된 회전 이동을 행하여 안전 캐치(1, 2)를 풀게 된다.
그를 위해, 내부 작동 레버(4a, 4b)는 안전 캐치(1, 2)용 트립 레버(9)에 달린 돌기(8)와 연동하는 돌출 선단(7)을 구비한다(도 3b를 참조). 내부 작동 레버(4a, 4b)의 돌출 선단(7)과 트립 레버(9)의 돌기(8)의 연동에 의해, 트립 레버(9) 및 안전 캐치(1, 2)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내부 작동 레버(4a, 4b)의 반시계 방향 이동이 래칫(2)을 제치는 작용으로, 그에 따라 회전 걸쇠(1)를 풀어 자동차 도어 로크를 여는 작용으로 변환되게 하는 조치가 이뤄진다.
내부 작동 레버(4a, 4b) 이외에도, 트립 레버(9)와 대략 평행하고, 그에 따라 내부 작동 레버(4a, 4b)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외부 작동 레버(10)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한 외부 작동 레버(10)도 역시 트립 레버(9)의 개재 하에 안전 캐치(1, 2)를 풀 수 있다. 그를 위해,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가 선형 이동 가능한 스러스트 레버(11)의 형태로 마련된다.
스러스트 레버(11)는 하우징 인서트 또는 로크 케이스 인서트(E)의 가이드(12)에서 안내된다. 그러한 하우징 인서트 또는 로크 케이스 인서트(E)는 자동차 도어 로크의 유입구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부품이다. 그러한 유입구로는 회전 걸쇠(1)와 연동하는 도시를 생략한 잠금 볼트가 안내된다.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 또는 스러스트 레버(11)는 가이드(12)에 맞물리고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가이드 핀(13) 및 커플링 핀(14)을 구비한다(도 1a 및 도 3a를 참조).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 또는 스러스트 레버(11)의 커플링 핀(14)은 "도난 방지 오프" 위치 및 언로크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외부 작동 레버(10)의 회전 이동이 트립 레버(11)에 의해 수용되어 결과적으로 안전 캐치(1, 2)를 풀게 하려고 마련된 것이다. 그러한 반시계 방향으로의 외부 작동 레버(10)의 회전 이동은 단지 도 1a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외부 핸들(15)에 의해 유발되는데, 그 외부 핸들(15)은 결합 로드, 보덴 케이블(Bowden cable) 등에 의해 도시된 바의 외부 작동 레버(10)에 작용한다.
또한, 모터(도난 방지 장치용 모터)(16)와 도난 방지 요소(17)를 구비한 도난 방지 장치(16, 17)를 첨부 도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난 방지 요소(17)는 내부 작동 레버(4a, 4b)의 축(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도난 방지 레버(17)이다. 그러한 도난 방지 요소 또는 도난 방지 레버(17)는 잠금 암(17a) 및 선회 암(17b)을 구비한 2 암 구성을 갖는다. 잠금 암(17a)은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의 프로파일(18)과 연동하여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를 도 3a에 따른 "언로크된"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는, 그 프로파일(18)이 잠금 암(17a)에 맞물리는 리세스(18)로서 설계되지만,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a에 따른 위치를 차지하면, 도난 방지 요소(17)의 선회 암(17b)은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로 하여금 추후에 상세히 다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도난 방지 온" 위치를 차지하게끔 하도록 조치한다.
도난 방지 장치(16, 17) 이외에도,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20, 21)가 구현되 어 있다. 그러한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20, 21)는 도 1b에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b로부터 도 2b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예컨대 열쇠, 드라이버 등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용 로크 너트(20)를 구비한다. 도시된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용 로크 너트(20)의 반시계 방향 회전 이동에 의해,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용 로크 너트(20)에 연결된 어린이 사고 예방 레버(21)가 도 2b에 도시된 그 빼내진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전술된 어린이 사고 예방 레버(21)의 이동에 의해,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가 축 (22) 상에 위치한 레그 스프링(leg spring)(19c)의 스프링 힘을 거슬러 축(2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는데, 레그 스프링(19c)은 그 하나의 레그에 의해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의 스토퍼(19b)에 지지되고, 그 다른 하나의 레그에 의해 내부 작동 레버(4b)의 돌출부(4c)에 지지된다. 그러한 사실에 의거하여,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는 이제 더 이상 내부 작동 레버(4a, 4b)의 2개의 레버(4a, 4b)를 서로 기계적으로 커플링 할 수 없게 된다. 그러한 위치는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도난 방지 장치(16, 17)에 의해서도 얻어질 수 있다. 그것은 잠금 암(17a)이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의 리세스(18)에 맞물릴 때에, 도난 방지 요소(17)의 선회 암(17b)이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의 해당 선회 이동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즉, 내부 작동 레버(4a, 4b)는 실제로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와 내부 작동 트립 레버(4b)로 이뤄진다.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는 내부 도어 핸들(5)에 연결 되는 반면에, 내부 작동 트립 레버(4b)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트립 레버(9)에 달린 돌기(8)와 연동하는 돌출 선단(7)을 구비한다.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가 안쪽으로 선회한 도 1a및 도 1b에 따른 위치("어린이 사고 예방 오프")에 있으면,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와 내부 작동 트립 레버(4b)는 서로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즉, 내부 도어 핸들(5)로부터 트립 레버(9)에까지, 그리고 최종적으로 안전 캐치(1, 2)에까지 이르는 연속된 작용 연쇄가 제공되어 내부 도어 핸들(5) 및 내부 작동 레버(4a, 4b)를 통해 안전 캐치(1, 2)를 풀 수 있고, 그에 따라 그에 연결된 자동차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어린이 사고 예방 기능이 꺼지고, 결과적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 반면에,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가 바깥쪽으로 선회한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위치는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가 내부 작동 트립 레버(4b)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된 상황에 해당한다. 즉, 내부 도어 핸들(5)을 당기는 이동에 의해, 결과적으로 내부 작동 트립 레버(4b)에 대한, 그에 따라 안전 캐치(1, 2)에 대한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의 공전 행정이 행해진다. 그 경우에,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20, 21)는 "온" 위치에 위치하는데, 그것은 그러한 위치에 속한 자동차 도어가 안쪽에서는 열릴 수 없기 때문이다. "온" 위치에 있는 도난 방지 장치(16, 17)에 의해서도 동일한 작용이 얻어진다.
어린이 사고 예방 기능이 켜진 상태에서, 외부 작동 레버(10)가 안전 캐치(1, 2)에 대한 작용을 발휘하는지 아닌지의 여부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들, 즉 "도난 방지 오프, 어린이 사고 예방 온"(도 2a 및 도 2b) 또는 "도난 방지 온, 어린이 사고 예방 온"(도 3a 및 도 3b) 위치가 얻어지게 된다.
스러스트 레버 또는 외부 작동 커플링 레버(11)가 도 1 및 도 2에 따른 위치를 차지하면, 도난 방지 요소(17)의 잠금 암(17a)은 스러스트 레버(11)의 리세스(18)에 들어갈 수 없다. 도난 방지 장치가 "오프"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데, 그것은 그러한 단주 위치에서는 외부 작동 레버(10)의 작동 시에 스러스트 레버(11)가 그 커플링 핀(14)에 의해 외부 작동 레버(10)와 트립 레버(9) 사이의 기계적 결합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즉, 안전 캐치(1, 2)가 외부 도어 핸들(15)에 의해 바깥쪽에서 풀릴 수 있게 된다.
그 반면에,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 또는 스러스트 레버(11)가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위치를 차지하면, 커플링 핀(14)은 외부 작동 레버(10)와의 맞물림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되고, 그에 따라 외부 작동 레버(10)는 그 작동 시에 안전 캐치(1, 2)에 대한 공전 행정을 행하게 된다. 즉, 그 경우에는 자동차 도어 로크가 바깥쪽에서 열릴 수 없게 된다.
그러한 위치에서는, 도난 방지 요소(17)가 "온" 위치에 위치하여 그 선회 암(17b)이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를 바깥쪽으로 선회시킨다. 그와 같이 하여, 내부 도어 핸들(5)을 당길 때에,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도 역시 공전 행정을 행하게 된다. 즉, 그러한 위치에서는, 내부 작동 레버(4a, 4b)는 물론 외부 작동 레버(10)도 자동차 도어 로크를 열 수 없게 된다. 그것은 "도난 방지 온" 위치에 해당한다. 그와 동시에, 도난 방지 요소(17)와 어린이 사고 예방 레버(21)가 서로 전혀 별개로 작동됨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사고 예방 기능까지도 물론 켜지게 된 다.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 또는 스러스트 레버(11)를 그 핀(13)에 의해 가이드(12) 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로크 레버(23)가 그에 상응하게 작동된다. 그것은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이뤄지거나, 도 1a 및 도 3a에 해당하는 바와 같이 순전히 기계적으로 이뤄진다. 어느 경우든, 도 3a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로크 레버(23)의 회전 이동에 의해, 스러스트 레버(11)가 전술된 선형 이동을 행하게 된다. 그를 위해, 로크 레버(23)는 스토퍼(24)를 구비한다.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는 캔틸레버(26)에 의해 로크 레버(23)를 그 "언로크된" 위치로 이행시킬 수 있다. 그를 위해, 내부 작동 레버(4a, 4b) 또는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의 캔틸레버(26)는 로크 레버(23)에 부속된 스토퍼(25)에 맞닿는다. 그러한 과정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가 그 축(6)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유발된다.
내부 작동 레버(4a, 4b)가 그 작동 시에 로크 레버(23)를 캔틸레버(26)와 스토퍼(25)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 "언로크된" 위치로 이행시키도록 함으로써, 소위 "오버라이드(override)" 기능이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방식으로 자동차 도어 로크를 안쪽에서 "언로크된" 위치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내부 작동 레버(4a, 4b)가, 아니면 외부 작동 레버(10)가, 아니면 양자의 레버(4a, 4b, 10)가 안전 캐치(1, 2)에 커플링되도록 함으로써 도난 방지 장치(16, 17)뿐만 아니라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20, 21)도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 (19a) 및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에 의해 안전 캐치(1, 2)에 작용하게 된다. 그 경우에, 적절한 조작 공구를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용 로크 너트(21)에 맞물려 어린이 사고 예방 레버(21)를 이동시킴으로써 어린이 사고 예방 기능 또는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20, 21)가 기계적으로 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20, 21)를 모터에 의해 작동시키도록 조치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어린이 사고 예방 레버(21)는 바깥쪽에서의 기계적 이동을 허용하는데 적절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모터에 의해 또는 기계적으로 그 기능이 넣어질 수 있는 도난 방지 장치(16, 17)에 대해서도 역시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본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는, 도난 방지 장치용 모터((16)가 도난 방지 요소(17)와 함께 이를테면 이중의 기능을 담당한다. 우선, 첫째로 도난 방지 요소(17)는 잠금 암(17a)이 스러스트 레버(11)의 프로파일과 연동함으로써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 또는 스러스트 레버(11)를 잠근다. 그와 동시에, 그러한 과정 동안 선회 암(17b)은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가 바깥쪽으로 선회하여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와 내부 작동 트립 레버(4b)로 하여금 더 이상 기계적 결합을 이루지 않게끔 하도록 조치한다.
그러한 상태는 도난 방지 요소(17)가 기계적으로 또는 모터에 의해 해제되는 것에 추가하여 로크 레버(23)가 기계적으로 또는 모터에 의해 "언로크된" 위치로 이행됨으로써 다시 없어질 수 있다. 로크 레버(23)를 언로크하는 것은 내부 작동 레버(4a)가 캔틸레버(26)의 행정 범위 내에서 로크 레버(23)에 달린 스토퍼(25)와 상호 작용하여 로크 레버를 "언로크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즉 소위 "오버라이 드"에 의해 이뤄질 수도 있다. 이어서, 이후의 행정 범위 내에서,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가 안전 캐치(1, 2)까지의 연속된 기계적 결합을 이루는 조치를 취하는데, 그런 연후에 안전 캐치(1, 2)는 그 행정 범위 내에서 풀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안전 캐치(1, 2)를 하나의 행정으로 푸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러스트 레버(11) 또는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에 또는 그 위에 도난 방지 요소(17)용 스토퍼가 있다. 그러한 스토퍼는 모터(16)가 "도난 방지 오프" 위치에서 잠기게 하려고 마련된 것이다. 즉, 그 경우에는 스러스트 레버(11)가 "언로크된" 위치에 위치한다. 스러스트 레버(11)가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위치를 차지할 경우에만, 도난 방지 요소(17)가 그 잠금 암(17a)에 의해 리세스(18)에 맞물릴 수 있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스러스트 레버 또는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스프링이 걸린)가 항상 도 1a 및 도 1b에 따른 "도난 방지/어린이 사고 예방 오프"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Claims (11)

  1. 안전 캐치(1, 2), 하나 이상의 내부 작동 레버(4a, 4b), 외부 작동 레버(10), 도난 방지 장치(16, 17) 및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20, 21)를 구비한 자동차 도어 로크에 있어서,
    상기 도난 방지 장치(16, 17)와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20, 21)는 공통의 커플링 요소(11, 19a)에 의해 안전 캐치(1, 2)에 작용하되, 안전 캐치(1, 2)는 공통의 커플링 유닛(11, 19a)을 통하여 내부 작동 레버(4a, 4b), 외부 작동 레버(10) 또는 내부 및 외부 작동 레버(4a, 4b; 10)에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도난 방지 장치(16, 17)는 모터(16) 및 모터(16)에 의하여 작동되는 도난 방지 요소(17)를 포함하되, 도난 방지 요소(17)는 내부 작동 레버(4a, 4b)의 축(6)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2.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유닛(11, 19a)은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 및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부 작동 레버(4a, 4b)는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와 내부 작동 트립 레버(4b)의 2개 레버로 이루어지며, 내부 작동 핸들 레버 및 내부 작동 트립 레버(4a 및 4b)는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에 의해 선택적으로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4. 제3항에 있어서,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는 내부 도어 핸들(5)에 연결되며, 내부 작동 트립 레버(4b)는 안전 캐치(1, 2)를 위하여 트립 레버(9)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5.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는 어린이 사고 예방 장치(20, 21)에 의한 어린이 사고 예방 기능을 수행하도록 작동되어 "어린이 사고 예방 온" 위치에서 내부 작동 핸들 레버(4a)가 내부 작동 트립 레버(4b)에 대하여 공전 행정(idling stroke)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작동 레버(10)는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의 선택적 개재 하에 안전 캐치(1, 2)의 트립 레버(9)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7. 제2항에 있어서,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는 도난 방지 요소(17)와 상호 작용하는 프로파일(1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8. 삭제
  9. 제2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는 가이드(12)에서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한 스러스트 레버(11)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10.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외부 작동 커플링 요소(11)는 로크 레버(23)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11.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난 방지 요소(17)는 "도난 방지 온" 위치에 있을 때 내부 작동 커플링 요소(19a)를 동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KR1020057021159A 2003-05-08 2004-04-30 자동차 도어 로크 KR101163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0439A DE10320439A1 (de) 2003-05-08 2003-05-08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320439.3 2003-05-08
PCT/DE2004/000909 WO2004101926A1 (de) 2003-05-08 2004-04-30 Kraftfahrzeugtürverschlu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722A KR20060015722A (ko) 2006-02-20
KR101163780B1 true KR101163780B1 (ko) 2012-07-06

Family

ID=3339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159A KR101163780B1 (ko) 2003-05-08 2004-04-30 자동차 도어 로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629166B1 (ko)
KR (1) KR101163780B1 (ko)
AT (1) ATE449894T1 (ko)
DE (2) DE10320439A1 (ko)
WO (1) WO2004101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2190A1 (de) * 2005-10-28 2007-05-03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202007001974U1 (de) 2007-02-10 2007-05-24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0035083B4 (de) 2010-08-21 2023-03-0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2017286A1 (de) 2012-08-31 2014-03-06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nd Verfahren zum wahlweisen Betrieb eines solchen Kraftfahrzeugtürverschlusses mit oder ohne Sicherungsvorrichtung
DE102012024302A1 (de) * 2012-12-12 2014-06-1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3104566A1 (de) * 2013-05-03 2014-11-06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202013105695U1 (de) * 2013-12-13 2015-03-16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DE102015116283A1 (de) * 2015-09-25 2017-03-30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DE102017124527A1 (de) * 2017-10-20 2019-04-25 Kiekert Ag Kraftfahrzeug
DE102020112079A1 (de) 2020-05-05 2021-11-11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2776A1 (de) * 1988-08-13 1990-02-15 Kiekert Gmbh Co Kg Kraftfahrzeugtuerverschluss mit zentralverriegelungsantrieb und diebstahlsicherung
DE4433994C1 (de) * 1994-09-23 1996-03-14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reversierbarem Zentralverriegelungsantrieb
DE19635414C2 (de) * 1996-08-31 2001-07-12 Mannesmann Vdo Ag Schloß, insbesondere für Fahrzeugtüren oder derglei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1926A1 (de) 2004-11-25
ATE449894T1 (de) 2009-12-15
EP1629166A1 (de) 2006-03-01
KR20060015722A (ko) 2006-02-20
DE502004010421D1 (de) 2010-01-07
EP1629166B1 (de) 2009-11-25
DE10320439A1 (de) 200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3484A (en) Motor-vehicle door latch
US5494322A (en) Power-actuated motor-vehicle door latch with child-safety cutout
RU2401372C2 (ru) Задвижка боковой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US6406073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double action mechanism
US6607222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one-motion door opening mechanism and antitheft mechanism
US5667260A (en) Motor vehicle door lock with a rotary central interlock
US6568722B2 (en) Motor-vehicle door latch
US5961163A (en) Motor-vehicle door latch with antitheft protection
US6343817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double action mechanism
US5066054A (en) Motor-vehicle door latch with antitheft feature
US6764113B1 (en) Powered vehicle door latch and actuator therefor
US6371538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block type anti-theft mechanism
CN104204387A (zh) 用于例如引擎盖的封闭板的双拉闩锁
CA2183618A1 (en) Double-locking vehicle door latches and a double-locking sub-assembly therefor
KR101163780B1 (ko) 자동차 도어 로크
JP392104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EP1121503B1 (en) Door latch
JPH0223670B2 (ko)
US4097077A (en) Closure latch
CN114080484B (zh) 机动车门锁
US6431619B1 (en) Door mechanism
CA2382487C (en) A powered vehicle door latch and actuator therefor
US6843517B2 (en) Manually lockable motor-vehicle power latch
US5474340A (en) Theft-resistant motor-vehicle door latch
US11293205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