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895B1 - 여닫이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895B1
KR101331895B1 KR1020120013380A KR20120013380A KR101331895B1 KR 101331895 B1 KR101331895 B1 KR 101331895B1 KR 1020120013380 A KR1020120013380 A KR 1020120013380A KR 20120013380 A KR20120013380 A KR 20120013380A KR 101331895 B1 KR101331895 B1 KR 101331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locking
bracket
door
sw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3081A (ko
Inventor
이호섭
Original Assignee
이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섭 filed Critical 이호섭
Priority to US13/372,14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205922A1/en
Publication of KR2012009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닫이문과 문틀에 선택적으로 각각 설치된 걸림부와 고정부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되어 여닫이문을 일정간격으로만 개방시키는 여닫이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로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의 힌지 부분에 연통시킨 키홈에 걸림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클램프의 힌지 부분의 가압에 의해 걸림수단이 키홈에서 이탈되면 브라켓에서 클램프의 회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여닫이문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ype door}
본 발명은 여닫이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기능 및 걸림방지기능을 갖는 여닫이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출입을 요하는 여닫이문에 있어서 외부인을 안전하게 확인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여닫이문이 일정간격만 열리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외부인의 방문시 안전을 위하여 걸림부에 회전바가 걸린 상태로 문을 열게 되는 경우 걸림부가 회전바의 말단에 걸릴 때까지 여닫이문의 일부만을 개방하여 외부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여닫이문을 완전개방하기 위해 다시 문을 닫은 후 회전바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회전시켜 문을 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잠금장치는 여닫이문은 실내측으로 회동하여 개방하는 방식과 실외측으로 회동하는 방식에 각각 설치하여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잠금장치 10에 관한 것으로서 실외측으로 회동하는 현관문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이다. 이는 문틀에 종래걸림장치 11가 볼트결합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종래걸림장치 11의 일측에는 걸림돌기 12가 좌우가 전환된 'C'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여닫이 문에 설치되는 종래고정장치 20에 힌지결합하는 회절바아 21는 그 단면이 H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절바아 21의 상부 및 하부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 22중 일부가 제거되어 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힌지 결합부분에서 회절운동이 생겨 상기 걸림돌기 12가 회절바아 21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잠금장치 10는 외부인의 방문시 안전을 위하여 걸림돌기 12가 회절바아 21에 삽입된 상태로 문을 열게되는 경우 걸림돌기 12가 회절바아 21의 말단까지 이동 후 걸림턱 22에 걸림으로써 외부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다시 문을 닫은 후 회절바아 21를 회절시켜 걸림돌기 12의 삽입상태를 해지 후 문을 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잠금장치 10는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써, 외부인이 문이 벌어진 약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끈으로써 회절바아 21를 움직인다거나, 문이 벌어진 틈사이로 판상의 부재를 사용하여 밀어넣은 후 문을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회절바아 21를 젖힐 수 있었다.
이처럼 종래잠금장치 10는 문을 일정간격 연 상태에서도 외부인을 확인하는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지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안전성에 치명적인 약점이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구성은 여닫이문을 강하게 닫을 경우 그 충격으로 인해 회절바아 21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회절바 21가 걸림돌기에 삽입되어 내부에 사람이 없을 경우 잠금장치의 해지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회전바가 걸림돌기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여닫이문을 닫는 충격으로 인해 장금장치의 잠금상태가 해지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개방형 여닫이문에 잠금장치를 적용한 경우 밀폐된 상태의 여닫이문 개방을 잠금장치가 단속하여 잠금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개방형 여닫이문에 잠금장치를 적용한 경우 여닫이문의 작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도 잠금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하여 걸림방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닫이문과 문틀에 선택적으로 각각 설치된 걸림부와 고정부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되어 여닫이문을 일정간격으로만 개방시키는 여닫이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로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의 힌지 부분에 연통시킨 키홈에 걸림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에서 클램프가 상하로 부분 이동되게 결합되면서 상기 클램프를 상부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여 키홈에 걸림수단의 걸림 상태를 유지시켜 클램프의 회전을 제한시키고, 상기 클램프의 힌지 부분의 가압에 의해 걸림수단이 키홈에서 이탈되면 브라켓에서 클램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포함한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키홈은 회전영역과 걸림영역으로 구분되게 연통시켜 상기 클램프의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수단이 걸림영역에서 회전영역으로 위치 이동시켜 브라켓에서 클램프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에는 홈을 형성시켜 탄성부재에 탑재된 볼을 홈에 설치하여 클램프를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클램프의 결합부분 외주연에는 걸림홈을 형성시켜 클램프가 수직으로 회전시 걸림홈에 볼이 탄력적으로 내입되어 클램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영역과 회전영역 및 걸림수단은 반 호의 형상을 갖되, 상기 걸림영역은 반 호의 형상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영역이 걸림영역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반 호 형상이 반으로 나뉘어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영역과 걸림수단은 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걸림영역과 연통하는 원형의 회전영역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를 문틀에 설치하고 걸림부는 여닫이문에 설치하여, 상기 여닫이문의 개방을 위해 실내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키홈의 걸림영역에 위치한 걸림수단과 연결된 클램프가 여닫이문의 개방을 단속하고, 상기 걸림수단이 키홈의 회전영역으로 위치되도록 클램프를 가압하면 여닫이문의 부분 또는 전체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를 문틀에 설치하고 고정부는 여닫이문에 설치하여, 실외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던 여닫이문을 닫을 때의 강한 충격에도 상기 키홈의 걸림영역에 위치한 걸림수단과 연결된 클램프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램프는 말굽 형상인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닫이문 잠금장치는 실내개방형 여닫이문에 잠금장치를 적용한 경우 여닫이문에 설치된 걸림부에 문틀에 설치된 고정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의 회전을 제한시켜 밀폐된 여닫이문 개방을 고정부가단속하여 여닫이문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여닫이문의 밀폐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닫이문 잠금장치는 실외개방형 여닫이문에 잠금장치를 적용한 경우 여닫이문에 고정부가 설치되고 문틀에 걸림부를 설치시 상기 고정부의 회전을 제한시켜, 여닫이문의 닫힘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도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잠금장치가 잠금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여닫이문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여닫이문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인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인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여닫이문 잠금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여닫이문 잠금장치 100는 여닫이문 2과 문틀 1에 선택적으로 각각 설치된 걸림부 110와 고정부 120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되어 여닫이문 2을 일정간격으로만 개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고정부 120는 브라켓 121과 상기 브라켓 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122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 121의 힌지 부분에 연통시킨 키홈 123에 걸림수단 124을 결합하여 클램프 122의 회전을 제한시키고, 상기 클램프 122의 힌지 부분의 가압에 의해 클램프 12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클램프 122와 브라켓 121의 연결은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 121의 지지대 121b에는 키홈 123을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 122의 결합부 122a에는 고정홈 127을 형성시켜 키홈 123과 연통시킨 다음 고정홈 127에 걸림수단 124을 끼움 결합한다.
여기서, 고정홈 127과 걸림수단 124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일체로 관통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수단 124은 지지대 121b의 키홈 123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키홈 123은 회전영역 123a과 걸림영역 123b으로 구분되게 연통시켰다.
즉, 클램프 122의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수단 124이 걸림영역 123b에서 회전영역 123a으로 위치 이동하여, 브라켓 121의 지지대 121b에서 클램프 122가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 121의 받침대 121a에는 홈 121c을 형성시켰다. 이러한, 홈 121c에는 탄성부재 126에 탑재된 볼 125을 설치한다.
즉, 홈 121c에 설치된 볼 125이 클램프 122의 결합부 122a 하부에 밀착하여 클램프 122를 상부로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클램프 122가 브라켓 121에 젖혀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즉, 기존에는 상기 여닫이문 2에 설치한 고정부 120가 강하게 여닫이문 2을 닫을 경우 문틀 1과의 충격에 의해 클램프 122가 젖혀지면서 틈새 122c가 걸림쇠 111에 걸리는 상태로 전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가능하도록 탄성부재 126를 통해 볼 125이 지지대 121b의 상부로 클램프 122의 결합부 122a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여, 걸림수단 124이 키홈 123의 걸림영역 123b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시켜 브라켓 121에서 클램프 122의 임의적인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반대로, 고정부 120가 걸림부 110의 걸림쇠 11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클램프 122의 결합부 122a를 눌러 압박한다.
압박에 의해 클램프 122가 하부로 이동하면 키홈 123의 걸림영역 123b에 위치하고 있는 걸림수단 124이 회전영역 123a으로 위치 이동하면 브라켓 121과 클램프 122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어서 클램프 122를 회전시켜 걸림부 110의 걸림쇠 111가 틈새 122c로 위치시키면 걸림부 110와 고정부 120와의 걸림 상태를 결정한다.
한편, 키홈 123의 제1실시예는 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회전영역 123a은 걸림영역 123b 연통되며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걸림영역 123b과 회전영역 123a에는 걸림수단 124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시 123d 및 회전부시 123c를 각각 장착한다.
이로써, 평상시 클램프 122는 탄성부재 126를 통해 볼 125이 상향으로 밀어 내는 힘을 지속적으로 제공받아 걸림수단 124이 걸림영역 123b 또는 걸림영역 123b에 장착된 걸림부시 123d에 내입된 상태를 유지시켜 클램프 122의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반대로, 걸림부 110에 고정부 120를 걸림 상태로 전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클램프 122의 결합부 122a를 압박하여 눌러 걸림수단 124이 걸림영역 123b에서 벗어나면서 회전영역 123a 또는 회전부시 123c로 내입되어 브라켓 121과 클램프 122의 상호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클램프 12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브라켓 121에 결합된 클램프 122의 결합부 122a분 외주연에는 걸림홈 129을 형성시켜 클램프 122가 수직으로 회전시 걸림홈에 볼 125이 탄력적으로 내입되어 클램프 12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여닫이문 잠금장치 100는 클램프 122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 122a에 걸림수단 124을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 122a 중 어느 한 개소에 걸림수단 124을 설치하고 다른 개소에는 중심축 128으로 힌지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4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홈 123의 제2실시예는 상기 걸림영역 123b과 회전영역 123a 및 걸림수단 124은 반 호의 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걸림영역 123b은 반 호의 형상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영역 123a이 걸림영역 123b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반 호 형상이 반으로 나뉘어 연통되게 형성된다.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닫이문 잠금장치 100의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즉, 실내 방향으로 회동시켜 개방되는 여닫이문 2에 설치되는 여닫이문 잠금장치 100는 고정부 120를 문틀 1에 설치하고 걸림부 110는 여닫이문 2에 설치한다.
이때, 클램프 122의 틈새 122c로 걸림부 110의 걸림쇠 111를 내입되도록 안내하는 개구부 122d가 클램프 12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클램프 122에 형성된 틈새 122c로 걸림쇠 111를 내입시켜 놓은 상태에서 여닫이문 2을 개방시키기 위해 실내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키홈 123의 걸림영역 123b에 위치한 걸림수단 124과 연결된 클램프 122가 여닫이문 2의 개방을 단속한다.
여기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 124이 키홈 123의 회전영역 123a으로 위치되도록 클램프 122의 힌지부분을 가압하면 클램프 122가 자유롭게 회전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 111가 틈새 122c에 안착된 상태로 여닫이문 2을 개방하면 걸림쇠 111와 클램프 122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되어 클램프 122의 길이만큼 여닫이문 2을 일정간격으로만 개방된다.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 124이 키홈 123의 회전영역 123a으로 위치되도록 클램프 122를 가압한 상태에서 걸림쇠 111가 걸리지 않을 정도로 클램프 122를 회전시키면 여닫이문 2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닫이문 잠금장치 100의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즉, 실외 방향으로 회동시켜 개방되는 여닫이문 2에 설치되는 여닫이문 잠금장치 100는 고정부 120를 여닫이문 2에 설치하고 걸림부 110는 문틀 1에 설치한다.
이때, 실외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던 여닫이문 2을 닫을 때의 강한 충격에도 상기 키홈 123의 걸림영역 123b에 위치한 걸림수단 124과 연결된 클램프 122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클램프 122의 틈새 122c로 걸림부 110의 걸림쇠 111가 내입되도록 안내하는 개구부 122d가 클램프 122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 121의 힌지 부분에 연통시킨 키홈 123에 걸림수단 124을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 121에서 클램프 122가 상하로 부분 이동되게 결합되면서 상기 클램프 122가 상부로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이로써, 키홈 123에 걸림수단 124의 걸림 상태를 유지시켜 클램프 122의 회전을 제한시킨다.
이때,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 124이 키홈 123의 회전영역 123a으로 위치되도록 클램프 122를 가압하면 브라켓 121에서 클램프 122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브라켓 121의 지지대 121b에는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고정홈 127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클램프 122의 결합부 122a에는 키홈 123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키홈 123은 클램프 122의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수단 124이 걸림영역 123b에서 회전영역 123a으로 위치 이동시켜 브라켓 121에서 클램프 122가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처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회전이 가능한 클램프 122에 형성된 틈새 122c로 걸림쇠 111를 내입시켜 놓은 상태에서 여닫이문 2을 개방시키기 위해 실외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걸림쇠 111와 클램프 122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되어 클램프 122의 길이만큼 여닫이문 2을 일정간격으로만 개방된다.
특히, 개구부 122d를 클램프 122의 외/내측에 형성시켜 여닫이문 2이 열리는 방향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도 있어서, 호환성이 향상된다.
도 12 내지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닫이문 잠금장치 100의 제3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 120는 여닫이문 2에 고정되는 브라켓 121과 상기 브라켓 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122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 121은 받침대 121a와 상기 받침대 121a 상부면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한 지지대 121b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 121a에는 구멍을 형성시켜 나사를 통해 여닫이문 2 모서리 경계 부근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대 121b는 받침대 121a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클램프 122는 한 쌍의 결합부 122a가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힌지부가 연결된 걸이대 122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대 122b는 틈새 122c가 형성되도록 말굽 형상으로 절곡한다. 이러한, 틈새 122c에 걸림부 110가 선택적으로 걸림 되도록 하여 여닫이문 2이 일정 간격으로만 개방되도록 한다.
여기서, 걸림부 110는 하우징 112 내부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걸림쇠 111를 전방으로 노출시켰다. 이러한, 걸림쇠 111가 클램프 122의 틈새 122c에 걸림되어 여닫이문 2 개방 정도를 결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문틀 2 : 여닫이문
100 : 잠금장치 110 : 걸림부
111 : 걸림쇠 112 : 하우징
120 : 고정부 121 : 브라켓
121a : 받침대 121b : 지지대
121c : 홈 122 : 클램프
122a : 결합부 122b : 걸이대
122c : 틈새 122d : 개구부
123 : 키홈 123a : 회전영역
123b : 걸림영역 123c : 회전부시
123d : 걸림부시 124 : 걸림수단
125 : 볼 126 : 탄성부재
127 : 고정홈 128 : 중심축
129 : 걸림홈

Claims (9)

  1. 여닫이문에 걸림부를 설치하고 문틀에 설치한 고정부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되어 여닫이문을 일정간격으로만 개방시키는 여닫이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로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의 힌지 부분에 연통시킨 키홈에 걸림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에서 클램프가 상하로 부분 이동되게 결합되면서 상기 클램프를 상부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여 키홈에 걸림수단의 걸림 상태를 유지시켜 클램프의 회전을 제한시키고, 상기 클램프의 힌지 부분의 가압에 의해 걸림수단이 키홈에서 이탈되면 브라켓에서 클램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포함하여,
    상기 여닫이문의 개방을 위해 실내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키홈의 걸림영역에 위치한 걸림수단과 연결된 클램프가 여닫이문의 개방을 단속하고, 상기 걸림수단이 키홈의 회전영역으로 위치되도록 클램프를 가압하면 여닫이문의 부분 또는 전체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여닫이문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은 회전영역과 걸림영역으로 구분되게 연통시켜 상기 클램프의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수단이 걸림영역에서 회전영역으로 위치 이동시켜 브라켓에서 클램프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홈을 형성시켜 탄성부재에 탑재된 볼을 홈에 설치하여 클램프를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클램프의 결합부분 외주연에는 걸림홈을 형성시켜 클램프가 수직으로 회전시 걸림홈에 볼이 탄력적으로 내입되어 클램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장치.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영역과 걸림수단은 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걸림영역과 연통하는 원형의 회전영역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말굽 형상인 것을 포함하는 여닫이문 잠금장치.
KR1020120013380A 2011-02-14 2012-02-09 여닫이문 잠금장치 KR101331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72,148 US20120205922A1 (en) 2011-02-14 2012-02-13 Locking device of hinged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984 2011-02-14
KR20110012984 2011-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081A KR20120093081A (ko) 2012-08-22
KR101331895B1 true KR101331895B1 (ko) 2013-11-21

Family

ID=4688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380A KR101331895B1 (ko) 2011-02-14 2012-02-09 여닫이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418B1 (ko) * 2016-03-15 2018-04-19 윤문석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69B1 (ko) * 2015-03-06 2016-09-3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현관문 안전고리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회전구속기구
KR102032901B1 (ko) * 2017-12-29 2019-11-08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도어 보조 잠금장치의 걸림부재
KR20200076826A (ko) 2018-12-19 2020-06-30 이지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문 잠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374A (ja) 2003-10-29 2005-05-26 Ryobi Ltd ドアガード
JP2005248551A (ja) * 2004-03-04 2005-09-15 Cosmo Kinki Kk ドアガード
JP2006207262A (ja) 2005-01-28 2006-08-10 Guard Lock:Kk ドアガード装置
KR20100042195A (ko) * 2008-10-15 2010-04-23 박미영 여닫이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374A (ja) 2003-10-29 2005-05-26 Ryobi Ltd ドアガード
JP2005248551A (ja) * 2004-03-04 2005-09-15 Cosmo Kinki Kk ドアガード
JP2006207262A (ja) 2005-01-28 2006-08-10 Guard Lock:Kk ドアガード装置
KR20100042195A (ko) * 2008-10-15 2010-04-23 박미영 여닫이문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418B1 (ko) * 2016-03-15 2018-04-19 윤문석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081A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895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KR101331892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TW201728821A (zh) 可逆之可左右安裝閂鎖
KR101138288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1043377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AU2020220810A1 (en) Poly-axial closure hinge mechanism
KR101020525B1 (ko) 도어 자동잠금장치
KR101107767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US20120205922A1 (en) Locking device of hinged door
KR101544144B1 (ko) 힌지장치
KR200396665Y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EP2085552A1 (en) Three-bar hinge incorporating a window estrictor
JP2004257177A (ja) シャッターの錠装置及びその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KR100925199B1 (ko)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KR200390738Y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JP3232458U (ja) 新規ロック付家具用引戸
KR200272726Y1 (ko) 함체의 로킹장치
JP3093332U (ja) ピッキング防止装置
JP2012102480A (ja) 建具
KR200480524Y1 (ko)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KR101469956B1 (ko) 도어 닫힘 방지장치
US20120043769A1 (en) Door security device
KR101521380B1 (ko)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