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418B1 -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418B1
KR101850418B1 KR1020160030886A KR20160030886A KR101850418B1 KR 101850418 B1 KR101850418 B1 KR 101850418B1 KR 1020160030886 A KR1020160030886 A KR 1020160030886A KR 20160030886 A KR20160030886 A KR 20160030886A KR 101850418 B1 KR101850418 B1 KR 101850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ngaging
locking
groov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225A (ko
Inventor
윤문석
Original Assignee
윤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문석 filed Critical 윤문석
Priority to KR102016003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41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045Hinges for the movable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266Form or shape cur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는, 도어클로저나 플로어 힌지에 의해 자동 닫힘구조를 갖는 도어가 소정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추가 강제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로서,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 걸림부재와, 도어에 설치되는 설치부재에 일단이 지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걸림부재에는, 상기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길게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의 끝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홈이 상기 안내공 보다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홈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지지축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상기 타단의 전면에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걸려 상기 회전 걸림부재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도어가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를 걸림부재 쪽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이동이 허용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의 회전 걸림부재가 고정 걸림부재의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로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도어가 도어 클로저에 의해 임의로 닫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누름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이탈되어 걸림돌기의 걸림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ASSISTANCE LOCKING DEVICE FOR DOOR HAVING STOPPER FUNCTION}
본 발명은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걸림부재가 고정 걸림부재의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로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회전 걸림부재의 안내공 끝단에 형성된 걸림홈에 고정 걸림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어가 도어 클로저에 의해 임의로 닫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누름부를 눌러 걸림돌기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는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과 같은 건물의 각 현관은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주로 적용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여닫이 방식의 현관 도어에는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을 위한 다양한 수단의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어 잠금 장치로는 현관 도어를 잠금 및 해정 상태로 변환시키는 메인 잠금 장치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메인 잠금 장치와 인접한 일정 지점에는 상기 메인 잠금 장치를 해정한 상태에서 방문자 등의 확인을 목적으로 도어가 일정 각도만큼만 개방되도록 단속하는 보조 잠금 장치가 추가로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보조 잠금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는, 도어틀의 일정 지점에 한 쌍의 걸림돌기(1a)를 갖는 걸림부재(1)가 고정 설치되고, 그와 대응되는 도어 내면의 일정 지점에는 힌지 브라켓트(2) 및, 상기 힌지 브라켓트(2)에 일단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상기 걸림돌기(1a)가 슬라이드 되면서 선택적으로 단속되도록 일정 구간의 개방구 및 가이드홈(3a)이 구비된 회전바(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회전바(3)를 회전 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바(3)의 개방구를 통해 상기 걸림돌기(1a)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외부에서 도어(6)를 당겨 개방시킬 시에는 상기 회전바(3)가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바(3)의 가이드홈(3a)에 걸림돌기(1a)가 단속되면서 도어(6)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 잠금장치의 해제 시에는 도어(6)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회전바(3)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돌기(1a)가 상기 회전바(3)의 개방구를 통해 이탈되도록 함에 따라, 도어를 보조 잠금 장치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개방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구조의 보조 잠금장치는, 회전바(3)가 걸림돌기(1a)에 걸린 상태에서 도어(6)를 개방하게 되면, 문틀(5)과 도어(6)에 연결 설치된 도어 클로저(7)의 닫힘 작동에 의해 도어(6)는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05216호(공고일 : 2012.01.13)호에는 현관문용 안전고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현관문용 안전고리는, 문틀에 부착되는 걸림구와, 문에 부착되는 걸쇠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현관문용 안전고리는, 걸쇠부가 걸림구의 돌기에 걸리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면, 걸쇠부가 걸림구의 돌기에 걸림으로써 도어의 추가 개방이 방지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보조 잠금장치나 안전고리 등은 도어가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강도와 같은 외부인의 강제 진입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보조 잠금장치나 안전고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어(6)(현관문 포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의 자동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도어 클로저(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바(3)가 걸림돌기(1a)에 걸린 상태에서 도어(6)를 개방하였던 힘을 제거하면, 도어(6)가 도어 클로저(7)의 자동 닫힘력(유압)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고 있었고, 이로 인하여 외부 방문자와 대화를 나주는 도중에 도어(6)가 닫히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회전바(3)가 걸림돌기(1a)에 걸린 상태에서 도어(6)를 개방하여 외부 방문자를 확인하는 등의 행위가 진행중일 때, 도어(6)를 개방했던 힘을 제거하면 도어(6)는 도어 클로저(7)의 힘에 의해 닫힘으로써 외부 방문자와의 대화가 중단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회전바(3)가 걸림돌기(1a)에 걸린 상태에서 도어(6)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되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05216호(공고일 : 2012.01.13)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의 회전 걸림부재가 고정 걸림부재의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로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도어가 도어 클로저에 의해 임의로 닫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걸림돌기의 걸림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클로저나 플로어 힌지에 의해 자동 닫힘구조를 갖는 도어가 소정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추가 강제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로서,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 걸림부재와, 도어에 설치되는 설치부재에 일단이 지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걸림부재에는, 상기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길게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의 끝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홈이 상기 안내공 보다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홈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지지축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상기 타단의 전면에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걸려 상기 회전 걸림부재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도어가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를 걸림부재 쪽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이동이 허용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설치부재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가압용 볼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가압용 볼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회전된 위치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홈들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상기 위치 결정홈과 근접한 영역에는 상기 가압용 볼이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렸을 때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타단 쪽이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 걸림부재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만곡면을 구비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만곡면이 상기 고정 걸림부재 쪽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용 볼의 중심선은, 상기 지지축의 중심선보다 상기 걸림홈 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손가락이 안착되도록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지지부와,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어 걸리도록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 확장 형성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축과 안내부 끝단 사이의 상기 안내공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기 위한 진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진입부로 진입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 걸림부재를 상기 고정 걸림부재 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진입부 쪽에서 상기 걸림홈 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 주변의 만곡면에는, 상기 걸림홈의 바닥과 상기 만곡면 사이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상기 만곡면의 표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의 회전 걸림부재가 고정 걸림부재의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로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도어가 도어 클로저나 플로어 힌지를 포함하는 자동 닫침장치에 의해 임의로 닫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누름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이탈되어 걸림돌기의 걸림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안전 고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설치부재와 회전 걸림부재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10)는, 도어클로저(20)나 플로어 힌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자동 닫힘구조를 갖는 도어(30A)가 소정각도로 개방된 상태, 즉 회전 걸림부재(50)에 고정 걸림부재(40)의 걸림돌기(42)가 걸린 상태에서 추가 강제 개방을 방지하되, 도어(30A)의 일부 개방상태를 임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걸림돌기(42)를 구비하여 문틀(30B)에 설치되는 고정 걸림부재(40)와, 도어(30A)에 설치되는 설치부재(60)에 일단이 지지축(70)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걸림부재(50)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 걸림부재(50)에는, 일단(51)에서 타단(53) 쪽으로 길게 안내공(52)이 형성되고, 안내공(52)의 끝부분에는 걸림돌기(42)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홈(54)이 안내공(52) 보다 확장되어 형성되며, 안내공(52)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걸림돌기(42)를 걸림홈(54)으로 안내하거나 지지축(70) 쪽 또는 일단(52)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56)가 각각 형성되며, 걸림홈(54)이 형성된 타단(53)의 전면에는 누름부(58)가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10)는, 걸림돌기(42)가 안내공(52)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30A)가 개방되면, 걸림돌기(42)가 걸림홈(54)에 삽입되면서 걸려 회전 걸림부재(50)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30A)가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 걸림돌기(42)가 걸림홈(54)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누름부(58)를 걸림부재(40) 쪽으로 누르게 되면 걸림돌기(42)가 걸림홈(54)에서 이탈되면서 회전 걸림부재(50)의 이동이 허용되어 도어(30A)의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30A)에는 도어 클로저(20) 또는 플로어 힌지를 포함한 다양한 자동 닫힘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잠금장치는, 자동 닫힘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고정 걸림부재(40)의 걸림돌기(42)는, 안내공(52)에 삽입되어 안내공(5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지지부(42A)와, 걸림홈(54)에 안착되어 걸리도록 지지부(42A)의 끝단에 확장 형성되는 걸림부(42B)로 이루어진다. 걸림부(42B)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판형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는 걸림부(42B)가 안착되는 걸림홈(54)이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지부(42A)가 형성된 것은, 고정 걸림부재(40)의 외측면과 이 외측면과 마주보는 걸림부(42B)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거리)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지부(42A)에 의해 걸림부(42B)와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걸림부(42B)가 걸림홈(54)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누름부(58)를 누르면 걸림부(42B)가 걸림홈(54)에서 이탈되도록 회전 걸림부재(50)가 고정 걸림부재(40) 쪽으로 이동(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 걸림부재(50)를 회전 지지하는 설치부재(60)에는, 스프링(64)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가압용 볼(62)이 마련된다. 이 가압용 볼(62)은 2개가 한 쌍을 이룬다. 이러한 가압용 볼(62)들은, 회전 걸림부재(50)의 일단(51)에 형성되는 각 위치 결정홈(55)들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회전 걸림부재(50)의 회전된 위치를 임시로 고정하기 것이다.
즉, 회전 걸림부재(50)의 일단(51)에는 지지축(70)이 관통 설치되는 원통형의 축 지지체(72)가 설치되는데, 이 축 지지체(72)를 사이에 두고 일단(51) 양쪽의 외측면에 위치 결정홈(55)들이 만곡지게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각 위치 결정홈(55)들은 지지축(7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일단(51)의 양쪽에 형성된 각 위치 결정홈(55)에, 회전 걸림부재(50)가 회전될 때 각각의 가압용 볼(62)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회전 걸림부재(50)의 회전된 위치를 임시로 고정하는 것이다.
전술한 가압용 볼(62)은, 설치부재(60)에 형성된 설치홈의 내부에 스프링(64)이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고, 회전 걸림부재(50)의 일단이 지지축(70)에 의해 설치부재(60)의 지지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 스프링(64)의 탄성력으로 회전 걸림부재(50)의 일단(51) 외측면을 가압하거나 위치 결정홈(55)에 삽입되는 것이다.
회전 걸림부재(50)는, 일단(51)이 지지축(70)에 의해 설치부재(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고정 걸림부재(40)의 걸림돌기(42)에 걸려 도어(30A)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걸림돌기(42)가 걸림홈(54)에 삽입되어 걸렸을 때 걸림돌기(42)가 걸림홈(54)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 걸림부재(50)의 타단(53) 쪽이 지지축(70)을 기준으로 고정 걸림부재(40)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만곡면(57)을 구비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되되, 만곡면(57)이 고정 걸림부재(40) 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 걸림부재(50)가 직선형이 아닌 원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일단(51)이 설치부재(60)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53)을 고정 걸림부재(40) 쪽으로 누르게 되면 회전 걸림부재(50)는 자체 탄성에 의해 전방쪽(고정 걸림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안내부(56)에 안내되어 걸림홈(54)으로 이동하여 삽입된 걸림돌기(42)의 걸림부(42B)가 임의로 걸림홈(54)에서 이탈되지 않고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타단(53)이 전방쪽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회전 걸림부재(50)의 위치 결정홈(55)과 근접한 영역, 즉, 만곡면(57)에 접한 영역에는 가압용 볼(62)이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59)이 형성된다. 이 가압면(59)은, 회전 걸림부재(50)가 걸림돌기(42)에 걸린 상태에서, 가압용 볼(62)이 가압하도록 하여 회전 걸림부재(50)의 타단(53)이 전방쪽으로 회전하려는 탄성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 걸림부재(50)가 걸림돌기(42)에 걸린 상태에서, 스프링(64)에 의해 탄력 지지된 가압용 볼(62)이 만곡면(57)(회전 걸림부재의 배면-걸림부재를 향하는 면)과 접한 일단(51) 쪽의 가압면(59)을 가압하게 되므로, 걸림돌기(42)에 걸린 상태의 회전 걸림부재(50) 타단(53)이 전방쪽으로 회전하려는 탄성 또는 회전력을 갖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걸림돌기(42)의 걸림부(42B)가 걸리홈(54)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용 볼(62)이 가압면(59)를 가압함에 따라 회전 걸림부재(50)이 전방쪽으로 회전하려는 탄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가압용 볼(62)의 중심선이 지지축(7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걸림홈(54) 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압용 볼(62)이 지지축(70)의 중심선를 기준으로 걸림홈(54) 쪽으로 더 치우진 가압면(59)을 가압하게 되므로, 회전 걸림부재(50)는 지지축(70)을 중심으로 전방쪽으로 회전하려는 탄성을 부여 받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압용 볼(62)의 중심선과 지지축(70)의 중심선이 서로 일치되도록 가압용 볼(62)의 위치를 선정할 수도 있다.
한편, 회전 걸림부재(50)의 타단(53)에 형성된 누름부(58)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타단(53)의 전면에 만곡지게 오목한 누름부(58)가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정되게 안착되어 누름부(58)를 누르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회전 걸림부재(50)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추가로 구비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70)과 안내부(56) 끝단 사이의 안내공(52)에는, 걸림부(42B)가 삽입되기 위한 진입부(52A)가 형성되고, 안내부(56)는, 진입부(52A)로 진입한 걸림부(42B)가 걸림홈(54) 쪽으로 이동하면서 회전 걸림부재(50)를 고정 걸림부재(40) 쪽으로 가압하도록 진입부(52A) 쪽에서 걸림홈(54) 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56A)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경사면(56A)은 진입부(52A) 쪽에서 걸림홈(54) 쪽으로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경사부(56)가 진입부(52A) 쪽에서 걸림홈(54) 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56A)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압용 볼(62)이 가압면(59)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30A)가 개방되면서 회전 걸림부재(50)가 이동함에 따라 걸림부(42B)가 경사면(56A)에 안내되면, 걸림부(42B)가 회전 걸림부재(50)를 고정 걸림부재(40) 쪽으로 가압하는 현상을 발생시키면서 걸림홈(54)에 안착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 걸림부재(50)는 전방쪽으로 회전하는 탄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 걸림부재(50)의 걸림홈(54) 주변의 만곡면(57)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54)의 바닥과 만곡면(57) 사이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57A)가 만곡면(57)의 표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57A)에 의해 걸림부(42B)가 걸림홈(54)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걸림홈(54)이 파손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문틀(30B)에 걸림돌기(42)를 구비한 고정 걸림부재(40)가 설치되고, 도어(30A)에는 설치부재(60)가 설치되며, 설치부재(60)에 회전 걸림부재(50)가 지지축(7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만곡면(57)이 문틀(30B) 쪽을 향하도록 결합한다.
이때, 도어(30A)에는 도어 클로저(20)가 설치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플로어 힌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잠금장치(10)가 문틀(30B)과 도어(30A)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 걸림부재(50)를 고정 걸림부재(40) 쪽으로 회전시켜 걸림돌기(42)가 진입부(52A)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인이 방문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도어(30A)를 바깥쪽(실외)으로 밀어 개방하게 되면, 회전 걸림부재(50)가 도어(30A)에 의해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부(42B)가 안내부(56)의 경사면(56A)에 안내되어 걸림홈(54) 쪽으로 이동한 후 걸림홈(54)에 안착되면서 걸리게 된다. 걸림홈(54)은 경사면(56A)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면(56A)을 따라 타단(53) 쪽으로 안내된 걸림부(42B)는 걸림홈(54)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걸림부(42B)가 걸림홈(54)에 걸리면, 도어(30A)는 추가로 열리지도 않고, 도어 클로저(20)의 닫힘력에 의해 다시 닫히지도 않게 된다. 이는 걸림돌기(42)의 걸림부(42A)가 걸림홈(54)에 삽입되어 걸려 있기 때문이다.
한편, 걸림부(42B)가 걸림홈(54)에 걸린 상태에서, 회전 걸림부재(50)는 지지축(70)을 중심으로 타단(53)이 전방쪽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또는 회전력)을 갖게 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걸림부재(50)가 전방쪽으로 만곡진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가압용 볼(62)이 가압면(59)을 가압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걸림부(42B)가 걸림홈(54)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회전 걸림부재(50)의 타단이 지지축(7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력은, 회전 걸림부재(50)가 전체적으로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56A)에 걸림부(42B)가 안내되면서 회전 걸림부재(50)의 타단(53) 쪽을 고정 걸림부재(40) 쪽으로 당기는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며, 이에 더하여 가압용 볼(62)이 배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걸림부(42B)가 걸림홈(54)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도어(30A)가 도어 클로저(2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 기능이 발현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42B)가 걸림홈(54)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도어(30A)가 도어 클로저(2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30A)를 닫기 위해서 누름부(58)를 누르게 되면, 회전 걸림부재(50)는 지지축(70)을 중심으로 고정 걸림부재(40) 쪽으로 탄성을 발생시키면서 변형된다. 이는 회전 걸림부재(50)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압용 볼(62)가 가압면(59)을 가압하고 있으며, 걸림부(42B)과 고정 걸림부재(40)의 외측면 사이에 지지부(42A)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누름부(58)를 누르게 되면 걸림홈(54)에 삽입되어 있던 걸림부(42B)가 걸림홈(54)에서 빠져 나오기 때문에 도어(30A)의 임시 닫힘 방지상태가 해제되므로, 도어(30A)는 도어 클로저(20)에 의해 닫히게 된다. 그리고, 회전 걸림부재(50)가 최초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실내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걸림부(42B)는 경사면(56A)을 따라 진입부(52A)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42)가 진입부(52A)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30A)를 개방하면 걸림돌기(42)가 걸림홈(54)에 걸림으로써 도어(30A)의 열림상태, 즉 닫힘 방지상태가 유지됨은 물론 추가 개방도 방지되고, 누름부(58)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걸림돌기(42)가 걸림홈(54)에 이탈되므로 도어(30A)의 닫힘 방지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10)에 의하면, 도어 클로저(20)를 포함하는 자동 닫힘장치를 구비한 도어(30A)가 보조 잠금장치(10)에 의해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 추가 열림은 방지하면서 자동 닫힘 방지상태도 유지할 수 있고, 자동 닫힘 방지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보조 잠금장치(10)의 잠금상태에서 도어(30A)의 일부만 개방하여 외부 방문자와 대화를 나누는 동안 도어(30A)가 자동 닫힘장치에 의해 닫히는 등의 불편함 등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보조 잠금장치(10)의 자동 닫힘 방지상태가 별도의 행위 없이 보조 잠금장치(10)의 잠금상태에서 도어(30A)를 개방하는 것만으로도 설정되고, 자동 닫힘 방지상태의 해제가 누름부(58)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잠금과 해제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보조 잠금장치 20 : 도어 클로저
40 : 고정 걸림부재 42 : 걸림돌기
42A : 지지부 42B : 걸림부
50 : 회전 걸림부재 51 : 일단
52 : 안내공 52A : 진입부
53 : 타단 54 : 걸림홈
55 : 위치 결정홈 56 : 안내부
56A : 경사면 57 : 만곡면
58 : 누름부 59 : 가압면
60 : 설치부재 62 : 가압용 볼
64 : 스프링 70 : 지지축
72 : 축 지지체

Claims (9)

  1. 도어클로저나 플로어 힌지에 의해 자동 닫힘구조를 갖는 도어가 소정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추가 강제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로서,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 걸림부재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가압용 볼이 마련된 설치부재에 일단이 지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설치부재에 지지축으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가압용 볼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회전된 위치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홈들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홈과 근접한 영역에는, 상기 가압용 볼이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길게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의 끝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홈이 상기 안내공 보다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홈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지지축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상기 타단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정되게 안착되어 누르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원호형으로 만곡진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렸을 때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타단 쪽이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 걸림부재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만곡면을 구비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만곡면이 상기 고정 걸림부재 쪽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 주변의 만곡면에는,
    상기 걸림홈의 바닥과 상기 만곡면 사이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상기 만곡면의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지지부와,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어 걸리도록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 확장 형성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고정 걸림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걸림부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걸려 상기 회전 걸림부재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도어가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를 걸림부재 쪽으로 누르면 상기 회전 걸림부재가 상기 공간만큼 상기 고정 걸림부재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이동이 허용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과 안내부 끝단 사이의 상기 안내공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기 위한 진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진입부로 진입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 걸림부재를 상기 고정 걸림부재 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진입부 쪽에서 상기 걸림홈 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9. 삭제
KR1020160030886A 2016-03-15 2016-03-15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KR101850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86A KR101850418B1 (ko) 2016-03-15 2016-03-15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86A KR101850418B1 (ko) 2016-03-15 2016-03-15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225A KR20170107225A (ko) 2017-09-25
KR101850418B1 true KR101850418B1 (ko) 2018-04-19

Family

ID=6003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886A KR101850418B1 (ko) 2016-03-15 2016-03-15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4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427A (ja) * 2002-03-22 2003-10-02 Ryobi Ltd ドアガード装置
KR101331895B1 (ko) * 2011-02-14 2013-11-21 이호섭 여닫이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427A (ja) * 2002-03-22 2003-10-02 Ryobi Ltd ドアガード装置
KR101331895B1 (ko) * 2011-02-14 2013-11-21 이호섭 여닫이문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225A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565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KR20120115268A (ko) 디스크 텀블러 실린더 자물쇠와 열쇠의 결합구조
KR101850418B1 (ko)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KR101020525B1 (ko) 도어 자동잠금장치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419837Y1 (ko) 수동식 도어락 장치
KR200488839Y1 (ko) 캐비넷 도어개폐장치
KR100832263B1 (ko)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479071Y1 (ko)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
JP2016053291A (ja) 打掛錠
KR100716026B1 (ko)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US7377143B2 (en) Door lock with button stopper
KR20140028478A (ko) 도어용 오픈 스토퍼
KR20160048253A (ko) 도어락 장치용 내부 핸들
KR20220073228A (ko) 손잡이 회전 조작이 필요없는 도어락 장치
TW201712206A (zh) 用於拉門的配件及拉門的安裝方法
JP7267218B2 (ja) 障子開口量制限具及び建具
KR101152539B1 (ko)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KR100709147B1 (ko) 미서기 잠금장치의 보조 손잡이
KR102661398B1 (ko) 갇힘 방지용 도어록
KR101684089B1 (ko) 방범 기능을 갖는 창호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2006188871A (ja) シャッター装置の施錠装置
JP4330544B2 (ja) 自動閉止式の引戸
KR102618779B1 (ko) 도어용 비상 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