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539B1 -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539B1
KR101152539B1 KR1020100045975A KR20100045975A KR101152539B1 KR 101152539 B1 KR101152539 B1 KR 101152539B1 KR 1020100045975 A KR1020100045975 A KR 1020100045975A KR 20100045975 A KR20100045975 A KR 20100045975A KR 101152539 B1 KR101152539 B1 KR 10115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door
bundle
receiving portion
hin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338A (ko
Inventor
장순애
Original Assignee
장순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애 filed Critical 장순애
Priority to KR102010004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53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07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positive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시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출입문에 잠금장치 대신 설치되어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탭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돌기 형태의 구속부가 형성된 고정뭉치, 일측에 상기 탭수용부에 수용되는 뭉치탭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구속부에 접촉되도록 고리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된 회동체, 상기 탭수용부와 뭉치탭을 관통하여 삽입된 체결부 및 상기 탭수용부에 삽입되어 회동체를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에 따르면, 수시로 출입이 이루어지는 출입문에 잠금 기능이 제공되는 힌지장치를 설치하여, 별도의 잠금장치를 출입문에 구비하지 않아도 출입문의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Apparatus for hinge self-opening prevention}
본 발명은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시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출입문에 잠금장치 대신 설치되어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되고 있는 경첩장치는 문틀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고정부와 문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회전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와 회전부는 힌지핀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이동함으로써 상기 문을 회전 이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종래 경첩장치는 문을 고정시킬 수 없기 때문에 문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는 보통 출입문 손잡이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어에 아무런 장치를 부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손잡이 부분에 도어 잠금장치를 설치한다.
그러나, 화장실, 회의실 등의 출입이 빈번하여 수시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도어 같은 경우에 불필요하게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출입문의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시로 출입이 이루어지는 출입문에 잠금 기능이 제공되는 힌지장치를 설치하여, 별도의 잠금장치를 출입문에 구비하지 않아도 출입문의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는, 일측에 탭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돌기 형태의 구속부가 형성된 고정뭉치, 일측에 상기 탭수용부에 수용되는 뭉치탭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구속부에 접촉되도록 고리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된 회동체, 상기 탭수용부와 뭉치탭을 관통하여 삽입된 체결부 및 상기 탭수용부에 삽입되어 회동체를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탭수용부는, 내측으로 구속부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탄성삽입홈이 형성되고, 상하 측으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는 탄성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뭉치탭에는 횡단면이 타원형인 유동공이 형성되고, 탭수용부의 상하측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체결공과 유동공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회동체의 전후방 이동거리는, 유동공의 최대지름길이 방향으로 유동공의 일측부터 타측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회동체는, 전방 이동되면, 구속부와 걸림부의 접촉이 분리되어 회동되고, 탄성력을 제공받아 후방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와 뭉치탭 사이에 받침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에 따르면, 수시로 출입이 이루어지는 출입문에 잠금 기능이 제공되는 힌지장치를 설치하여, 별도의 잠금장치를 출입문에 구비하지 않아도 출입문의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가 출입문에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가 출입문에 설치된 후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술하는 고정뭉치(110)에서 구속부(113)가 위치한 곳을 전방이라 하고, 탭수용부(111)가 위치한 곳을 후방이라 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뭉치(110)와 고정뭉치(110)에 회동 및 전후방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체(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뭉치(110)는 일측에 오목하게 탭수용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돌기 형태의 구속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113)는 탭수용부(111)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회동체(210)는 일측에 상기 탭수용부(111)에 수용되는 뭉치탭(2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구속부(113)에 접촉되도록 오목한 구조를 갖는 고리 형태의 걸림부(213)가 형성된다.
탭수용부(111)에는 내측으로 탄성삽입홈(115)이 형성되고, 상하 측으로 체결공(117)이 각각 형성되며, 뭉치탭(211)에는 단면이 타원형이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형인 유동공(217)이 형성된다.
그리고, 뭉치탭(211)이 탭수용부(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공(117)과 유동공(217)을 관통하여 체결부(310)가 삽입된다. 아울러, 체결부(310)는 머리를 가지는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동체(210)가 고정뭉치(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체결될 수 있으며, 고정뭉치(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및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다.
아울러, 탭수용부(111)의 내측에는 탄성삽입홈(115)이 형성되고, 탄성부(330)가 탄성삽입홈(115)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삽입홈(115)는 구속부(113)와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탄성부(330)는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뭉치탭(211)을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고정뭉치(110)와 회동체(210)가 체결부(310)를 통하여 연결되어 구속부(113)와 걸림부(213)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부(330)가 뭉치탭(211)을 가압하여 회동체(210)로 탄성력을 제공하면, 걸림부(213)가 구속부(113)에 밀착되면서 회동체(210)는 고정뭉치(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탄성부(330)에는 뭉치탭(211)을 가압하기 위한 받침부(350)가 구비될 수 있는데, 받침부(350)의 일측은 탄성부(330)에 접속되고, 타측은 뭉치탭(211)에 접촉된다. 따라서, 탄성부(330)와 뭉치탭(211) 사이에 받침부(35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부(350)는 머리를 가지는 핀 형상으로써 머리 부분이 걸리도록 탄성부(33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유동공(217)은 길이(L1)을 가지는 장공형으로 회동체(2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체(2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아울러, 유동공(217)으로 체결부(310)가 관통 삽입된 상태이므로, 회동체(210)가 전후방 이동하면 이에 따라 체결부(310)가 유동공(217)의 일측 또는 타측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뭉치(110)와 회동체(210)가 체결되어 구속부(113)와 걸림부(213)가 서로 접촉된 상태일 때, 탄성부(330)가 뭉치탭(211)을 가압하므로 고리모양의 걸림부(213)는 구속부(113)에 걸리어 회동체(210)는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로 되고, 유동공(217)의 일측으로 체결부(310)가 접면하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체(2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회동체(210)가 이동되면서, 체결부(310)는 유동공(217)의 타측에 접면하는 상태가 되고, 걸림부(213)도 구속부(113)에 대하여 같은 길이만큼 이동되면서 걸림부(213)와 구속부(113)의 구속 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체(210)를 회동시키면, 구속부(113)와 걸림부(213)가 서로 멀어지게 되며, 탄성부(330)가 뭉치탭(211)을 가압하여 밀어내면서 회동체(210)는 후방으로 다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체결부(310)는 유동공(217)의 일측으로 다시 접면하게 된다.
상기에서 체결공(117)이 회동체(210)의 전방 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유동공(217)의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체결공(117) 및 유동공(217) 모두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가 출입문에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가 출입문에 설치된 후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문(500)에 설치될 수가 있다.
여기서, 출입문(500)은 회의실 또는 화장실 등의 수시로 출입이 이루어지는 문에 해당 되며, 그 외에 수시로 출입이 이루어지고, 잠금장치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려는 문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100)를 설치할 수가 있다.
그래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장치(100)에서 고정뭉치(110)를 바닥 또는 벽면에 고정 설치하고, 회동체(210)를 출입문(500)에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힌지장치(100)는 출입문(500)의 형태에 따라서 상부 또는 하부 등으로 복수로 설치될 수가 있다.
아울러, 힌지장치(100)의 회동체(210)가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출입문(500)도 그 이동 거리에 해당하는 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출입문(500)의 이동간격(L2)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힌지장치(100)가 출입문(500)에 설치된 후 출입문(500)을 열기 위해서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510)를 잡고 출입문(500)을 L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출입문(500)에 설치된 회동체(210)도 같이 이동되면서 구속부(113)에서 걸림부(213)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어서, 출입문(500)이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회동체(210)가 회전하게 되어 출입문(500)을 열 수가 있다.
반면에 출입문(500)을 닫게 되면, 회동체(210)가 다시 회전하면서, 걸림부(213)가 구속부(113)에 다시 접촉하게 되고, 탄성부(330)가 뭉치탭(211)을 가압함에 따라 탄성력이 회동체(210)에 제공되면서 걸림부(213)가 구속부(113)에 밀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출입문(500)은 닫힌 상태에서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고정뭉치 111: 탭수용부
113: 구속부 210: 회동체
211: 뭉치탭 213: 걸림부
310: 체결부 330: 탄성부

Claims (6)

  1. 일측에 탭수용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돌기 형태의 구속부(113)가 형성된 고정뭉치(110), 일측에 상기 탭수용부(111)에 수용되는 뭉치탭(2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구속부(113)에 접촉되도록 고리 형태의 걸림부(213)가 형성된 회동체(210), 상기 탭수용부(111)와 뭉치탭(211)을 관통하여 삽입된 체결부(310), 및 상기 탭수용부(111)에 삽입되어 회동체(210)를 가압하는 탄성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뭉치탭(211)에는 횡단면이 장공형인 유동공(217)이 형성되고, 탭수용부(111)의 상하측에 체결공(117)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310)는 체결공(117)과 유동공(217)에 관통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탭수용부(111)는 내측으로 구속부(113)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탄성삽입홈(115)이 형성되고, 상하 측으로 체결공(11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330)는 탄성삽입홈(115)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회동체(210)의 전후방 이동거리는, 유동공(217)의 최대지름길이 방향으로 유동공(217)의 일측부터 타측까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회동체(210)는 전방 이동되면, 구속부(113)와 걸림부(213)의 접촉이 분리되어 회동되고, 탄성력을 제공받아 후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탄성부(330)와 뭉치탭(211) 사이에 받침부(3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KR1020100045975A 2010-05-17 2010-05-17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KR101152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975A KR101152539B1 (ko) 2010-05-17 2010-05-17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975A KR101152539B1 (ko) 2010-05-17 2010-05-17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338A KR20110126338A (ko) 2011-11-23
KR101152539B1 true KR101152539B1 (ko) 2012-06-01

Family

ID=4539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975A KR101152539B1 (ko) 2010-05-17 2010-05-17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949B1 (ko) * 2015-06-30 2017-01-20 태양정보통신(주) 다양한 환경에 설치가 용이한 ftth용 광스플리터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2407U (ko) * 1977-10-31 1979-05-23
JPS5541407U (ko) 1978-09-12 1980-03-17
JPS5622267U (ko) 1979-07-27 1981-02-27
JPS5622269U (ko) 1979-07-27 1981-02-27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2407U (ko) * 1977-10-31 1979-05-23
JPS5541407U (ko) 1978-09-12 1980-03-17
JPS5622267U (ko) 1979-07-27 1981-02-27
JPS5622269U (ko) 1979-07-27 1981-02-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338A (ko)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729B1 (ko) 레일 록킹장치
KR101152539B1 (ko) 자동 열림을 방지하는 힌지장치
EP2397632A1 (en) Assist mechanism for pivoting body
KR101085433B1 (ko) 도어의 보조 잠금 장치
JP6614994B2 (ja) ストッパー機能付きドアシュー
JP2011099270A (ja) シートシャッタのシートガイド
KR100832263B1 (ko)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484591Y1 (ko) 쥐 포획장치
JP2010149671A (ja) パッケージトレイの支持構造
KR100769082B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JP5454941B2 (ja) ラッチ装置および建具
KR101347408B1 (ko) 사물함 손잡이
KR101594606B1 (ko) 슬라이드 자동문용 비상개방문 잠금장치
JP6175733B2 (ja) ドア開錠装置
KR102346960B1 (ko) 창문 잠금장치
KR101684089B1 (ko) 방범 기능을 갖는 창호
KR20090003123U (ko) 대형 도어의 잠금장치
KR101710775B1 (ko) 도어용 경첩
KR20080033722A (ko) 서랍식 저장실의 레일 장치
KR101850418B1 (ko)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KR100999175B1 (ko) 창호용 록킹장치
KR200474293Y1 (ko) 컴팩트 핸들 시스템
KR200164849Y1 (ko)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77052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US20160356062A1 (en) Latching System and Handle for Enclo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