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175B1 - 창호용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175B1
KR100999175B1 KR1020100038000A KR20100038000A KR100999175B1 KR 100999175 B1 KR100999175 B1 KR 100999175B1 KR 1020100038000 A KR1020100038000 A KR 1020100038000A KR 20100038000 A KR20100038000 A KR 20100038000A KR 100999175 B1 KR100999175 B1 KR 10099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window frame
window
elastic
c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자
Original Assignee
강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자 filed Critical 강인자
Priority to KR1020100038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각종 창호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한층 향상된 개폐 조작성과 록킹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용 록킹장치를 개시한다.
그러한 창호용 록킹장치는, 제1 걸림턱을 구비하고 창호의 창틀 측에 배치되는 제1 걸림구와, 상기 창호의 창틀 안쪽에 끼워지는 창문틀 측에서 상기 제1 걸림구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창문틀의 닫힘 동작 중에 상기 제1 걸림턱과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열림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걸림턱을 구비한 제2 걸림구와, 상기 제2 걸림구를 탄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 걸림구와 탄력적인 걸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제1 안전록킹부 그리고, 상기 창문틀의 닫힘 동작 중에 탄성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1 걸림구와 제2 걸림구가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걸림 접촉 상태가 되도록 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제2 안전록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호용 록킹장치{window lock}
본 발명은 각종 창호의 개폐 동작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창호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외부 시야를 확보함과 아울러, 실내의 채광(採光)이나 환기(換氣)가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창호는 개폐 방식에 따라 미닫이 타입과, 여닫이 타입이 있으며, 특히 미닫이 타입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창문틀을 창틀 내측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면서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개폐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미닫이 창호의 개폐 구조에 의하면, 특히 창문틀이 닫힌 상태일 때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면서 안전하게 록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대부분 창문틀의 록킹을 위한 록킹장치가 함께 제공된다.
상기 록킹장치는 창호의 사이즈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입이 있지만, 그중에서 회동레버를 구비한 회동레버식 록킹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상기 회동레버식 록킹장치는, 회동레버를 회동 조작하면서 창문틀과 창문틀 사이를 걸림 접촉 상태로 연결 고정하면서 록킹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회동레버식 록킹장치는, 창틀 측에 끼워진 복수 개의 창문틀들을 항상 닫은 위치에서만 록킹할 수 있으므로 만족할 만한 사용 편의성을 기대할 수 없다.
즉, 상기 회동레버식 록킹장치는, 창틀 측에 끼워진 창문틀들이 모두 닫힌 상태이거나 열린 상태로만 조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창문틀을 록킹하려면, 창틀 측에서 창문틀을 일측으로 밀어서 닫은 다음, 다시 회동레버를 별도로 조작해야 하므로 창문틀을 신속하게 록킹하기 어렵고, 조작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창문틀과 창문틀 사이를 연결 고정하면서 록킹하는 방식은, 창문틀들이 창틀과 비고정된 상태로 록킹되는 것이므로, 창문틀들이 록킹된 상태에서 창틀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비정상으로 유동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창문틀들이 록킹된 상태에서 비정상으로 유동하면 창호의 상품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소형의 창호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한층 향상된 개폐 조작성과 록킹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용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걸림턱을 구비하고 창호의 창틀 측에 배치되는 제1 걸림구;
상기 창호의 창틀 안쪽에 끼워지는 창문틀 측에서 상기 제1 걸림구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창문틀의 닫힘 동작 중에 상기 제1 걸림턱과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열림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걸림턱을 구비한 제2 걸림구;
상기 제2 걸림구를 탄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 걸림구와 탄력적인 걸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제1 안전록킹부;
상기 창문틀의 닫힘 동작 중에 탄성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1 걸림구와 제2 걸림구가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걸림 접촉 상태가 되도록 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제2 안전록킹부;
를 포함하는 창호용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창틀 측에서 창문틀을 닫을 때 제1 걸림구와, 제2 걸림구의 걸림 접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창문틀을 닫힘 상태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록킹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안전록킹부와, 제2 안전록킹부를 각각 구비하여 탄성부재 및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걸림구와 제2 걸림구의 록킹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안전록킹부의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창문틀을 닫은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나 접촉 등에 의해 상기 제1 걸림구와 제2 걸림구의 걸림 상태가 비정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록킹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록킹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록킹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록킹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제1 걸림구를 지칭하고, 도면 부호 4는 제2 걸림구를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는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창틀(W1)의 개구부(S)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개폐되는 두 개의 창문틀(W2)을 구비한 창호(W) 측에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상기 제1 걸림구(2)는 일단에 제1 걸림턱(Q1)을 구비하고,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할때 상기 창틀(W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림구(2)들은 상기 제1 걸림턱(Q1)이 상기 창틀(W1)의 개구부(S) 안쪽을 향하는 상태로 셋팅된다.
상기 제1 걸림턱(Q1)은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걸림구(2) 일단에서 일방향으로 걸림 접촉이 가능하게 단차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구(2)는 예를 들어, 스크류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상기 창틀(W1) 측에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구(4)는 상기 제1 걸림구(2)의 제1 걸림턱(Q1)과 걸림 접촉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2 걸림턱(Q2)을 구비하고,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할때 상기 창호(W)의 창문틀(W2) 측에서 상기 제1 걸림구(2)와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걸림턱(Q2)은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2 걸림구(4)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 걸림구(2)의 제1 걸림턱(Q1)과 대응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제1 걸림턱(Q1)과 제2 걸림턱(Q2)은 상기 창문틀(4)의 열림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걸림 접촉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걸림구(4)는 상기 창문틀(W2)의 닫힘 동작 중에 상기 창틀(W1)의 제1 걸림구(2)와 자동으로 걸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창문틀(W2) 측에 셋팅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걸림구(4)는 상기 창틀(W1)의 제1 걸림구(2)와 평행하게 겹쳐질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창문틀(W2)의 가장자리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걸림턱(Q2)이 상기 제1 걸림턱(Q1)을 향하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는 창문틀(W2)의 닫힘 동작 중에 원활하게 걸림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하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걸림턱(Q1)과, 제2 걸림턱(Q2)이 도 3에서와 같이 외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F)들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경사면(F)들은 창틀(W1) 측에서 상기 창문틀(W2)을 닫힘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제2 걸림턱(Q2)이 상기 제1 걸림턱(Q1)을 타고 넘는 상태로 이동되면서 원활하게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창문틀(W2)을 닫는 동작 중에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가 자동으로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창문틀(W2)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록킹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의 걸림 접촉에 의해 상기 창문틀(W2)의 닫힘 측 테두리부를 상기 창틀(W1)의 테두리부 측에 직접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의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창틀(W1) 측에 설치된 두 개의 창문틀(W2)의 록킹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창문틀(W2)을 창틀(W1) 측에 직접 걸어서 록킹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의 재질은 강도(强度)는 물론이거니와,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합성수지(예: ABS수지) 중에서 사용하면 좋다.
그러면,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가 서로 걸림 접촉되거나 해제될 때 접촉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이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걸림구(4)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일측에 레버(L)를 구비하고, 상기 창문틀(W2) 측에서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통상의 돌기(H1)와 홈(H2)의 끼움 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 걸림구(4)와 제1 걸림구(2)가 서로 걸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걸림구(4)의 레버(L)를 직접 밀거나 당기는 회동 조작 방식으로 걸림 접촉 상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걸림구(2)를 창틀(W1) 측에 설치하고, 제2 걸림구(4)를 창문틀(W2) 측에 설치한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제1 걸림구(2)를 창문틀(W2) 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2 걸림구(4)를 창틀(W1) 측에 설치하여 상기 창문틀(W2)을 닫는 동작 중에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가 서로 걸림 접촉되면서 자동으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셋팅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록킹장치는,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의 걸림 접촉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안전록킹부(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안전록킹부(6)는, 탄성력으로 상기 제2 걸림구(4)를 일측으로 밀어서 탄력적인 걸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안전록킹부(6)는, 판스프링(A)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걸림구(4)를 회동 방향 일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밀 수 있도록 상기 창문틀(W2) 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판스프링(A)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일단이 상기 창문틀(W2) 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걸림구(4)의 레버(L) 일측과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판스프링(A)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버(L)를 일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2 걸림턱(Q2)이 항상 아래쪽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2 걸림구(4)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안전록킹부(6)가 판스프링(A)으로 구성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상의 비틀림 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과 같은 다양한 탄성부재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제2 걸림구(4) 일측을 탄력적으로 밀어서 상기와 같은 작용이 가능하도록 셋팅된다.
이러한 탄성부재의 셋팅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제1 안전록킹부(6)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판스프링(A)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걸림구(4)를 회동방향 일측으로 항상 미는 상태가 되므로 도 4에서와 같이 창문틀(W2)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가 항상 탄력적인 걸림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제1 안전록킹부(6)는,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의 걸림 접촉력을 높여서 한층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록킹장치는, 상기 제2 걸림구(4)와 대응하는 가드부(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드부(8)는 특히 상기 제2 걸림구(4)가 외부 충격이나 접촉에 의해 파손 또는 변형되거나, 비정상으로 움직이면서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드부(8)는 가드플레이트(G)로 구성되며, 이 가드플레이트(G)는 상기 제2 걸림구(4) 외부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드플레이트(G)는 상기 창문틀(W2) 측에 통상의 방법(예: 볼팅)으로 고정되어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 걸림구(4) 중에서 특히 상기 레버(L)를 가리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가드부(8)는, 상기 창문틀(W2) 상에서 상기 제2 걸림구(4) 외부면 일측을 감싸는 상태로 제공되므로 외부 충격이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걸림구(4)가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비정상으로 움직이면서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가드부(8)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창문틀(W2) 측에서 돌출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예를 들어, 상기 창문틀(W2)을 손으로 개폐하거나, 상기 레버(L)를 회동 조작할 때 일종의 손잡이나 지지대 역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드플레이트(G)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가드용 패드(G1)를 부착하면 좋다. 이 가드용 패드(G)는 고무패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드플레이트(G) 외부면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드플레이트(G)를 손으로 잡을 때 한층 향상된 그립감(grip)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신체 일부가 부딪히더라도 충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록킹장치는,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가 걸림 접촉된 상태에서 이들의 걸림 접촉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안전록킹부(1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안전록킹부(10)는, 탄성체(R)로 구성되며, 이 탄성체(R)는 창문틀(W2)을 닫은 상태에서만 탄성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R)의 재질은 특히 고무나 우레탄을 사용하면 좋다. 일반적으로 고무나 우레탄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오므라지면서 탄성력을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R)는 고무나 우레탄 이외에도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오므라지면서 탄성력을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는 연질의 합성수지들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탄성체(R)는 도 3를 기준으로 할때 상기 창문틀(W3)의 닫힘 방향과 대응하는 테두리부 외부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부 외부면 안쪽에 형성된 홈부(Z) 측에 도면에서와 같이 끼워져서 대향하는 외부면 중에 일측 외부면(K1)은 상기 창문틀(W2)과 대응하고, 타측 외부면(K2)은 창틀(W1)과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창문틀(W2)을 닫는 동작 중에 이 창문틀(W2)의 누름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체(R)의 외부면 중에서 도 4에서와 같이 대향하는 두 개의 외부면(K1, K2) 사이가 오므라지면서 상기 창문틀(W2)의 열림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R)는 상기 창문틀(W2)의 닫힘 방향 테두리부 전체 또는 일부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셋팅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창문틀(W3) 측에 상기 탄성체(R)를 설치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창틀(W1)의 개구부(S) 안쪽 둘레면 중에서 상기 창문틀(W2)의 닫힘 방향과 대응하는 지점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제2 안전록킹부(10)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창문틀(W2)의 닫을 때 상기 탄성체(R)가 탄성력을 발생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의 걸림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창문틀(W2)을 닫을 때 이 창문틀(W2)의 누름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체(R)의 외부면 중에서 대향하는 두 개의 외부면(K1, K2) 사이가 오므라지면서 상기 창문틀(W2)의 열림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의 걸림턱(Q1, Q2)들이 걸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R)의 탄성력에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면, 상기 제1 걸림구(2)와 제2 걸림구(4)의 걸림 접촉력을 증대시켜서 상기 창문틀(W2)이 닫힌 상태에서 록킹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 안전록킹부(10)는 특히 상기 창문틀(W2)을 닫은 상태일 때 이 창문틀(W2)이 예를 들어, 외부 충격이나 진동, 접촉 등에 의해 록킹 상태가 비정상으로 쉽게 해제되는 것을 상기 제1 안전록킹부(6)와 함께 이중으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탄성체(R)의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창문틀(W2)을 닫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접촉 충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창문틀(W2)과 창틀(W1)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틈새를 탄력적으로 메워서 단열(斷熱) 및 차음(遮音) 효과도 높일 수 있고, 바람에 의해 창문틀(W2)이 흔들리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창호용 록킹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특히 소형 창호에 손쉽게 적용하여 한층 향상된 조작 편의성과 록킹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창호용 록킹장치는, 창틀(W1) 측에 설치된 두 개의 창문틀(W2)의 록킹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종래의 창호와 같이 두 개의 창문틀 사이를 걸어 잠그는 방식과 비교할 때 한층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제1 걸림구 4: 제2 걸림구 6: 제1 안전록킹부
8: 가드부 10: 제2 안전록킹부 W: 창호
W1: 창틀 W2: 창문틀

Claims (6)

  1. 제1 걸림턱을 구비하고 창호의 창틀 측에 배치되는 제1 걸림구;
    상기 창호의 창틀 안쪽에 끼워지는 창문틀 측에서 상기 제1 걸림구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창문틀의 닫힘 동작 중에 상기 제1 걸림턱과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열림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걸림턱을 구비한 제2 걸림구;
    상기 제2 걸림구를 탄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 걸림구와 탄력적인 걸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제1 안전록킹부;
    상기 창문틀의 닫힘 동작 중에 이 창문틀과 창틀 사이에서 대향하는 외부면 사이가 접촉력에 의해 오므라지면서 탄성력을 발생하는 고무나 우레탄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상기 창문틀이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걸림구와 제2 걸림구가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제2 안전록킹부;
    상기 제2 걸림구 일부를 가리는 상태로 설치되며 외부면에 연질의 가드용 패드가 부착된 가드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가드부;
    를 포함하는 창호용 록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구 및 제2 걸림구는,
    상기 창틀 측에서 상기 창문틀이 닫힘 방향으로 움직일 때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상기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이 걸려지면서 상기 창문틀의 열림 방향으로 걸림 접촉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 또는 창문틀 측에 설치되는 창호용 록킹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록킹부는,
    판스프링, 코일스프링, 비틀림 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탄성부재로 사용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 걸림구의 제2 걸림턱이 상기 제1 걸림구의 제1 걸림턱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셋팅되는 창호용 록킹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38000A 2010-04-23 2010-04-23 창호용 록킹장치 KR100999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00A KR100999175B1 (ko) 2010-04-23 2010-04-23 창호용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00A KR100999175B1 (ko) 2010-04-23 2010-04-23 창호용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175B1 true KR100999175B1 (ko) 2010-12-07

Family

ID=4351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000A KR100999175B1 (ko) 2010-04-23 2010-04-23 창호용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28Y1 (ko) 2012-05-22 2013-09-09 박덕교 창호용 그립 타입 손잡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655Y1 (ko) 2005-07-07 2005-10-06 최동식 개폐용 샤시 프레임의 완충구조
KR200447014Y1 (ko) * 2009-03-09 2009-12-17 (주)림산건설 완충기가 설치된 미닫이 창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655Y1 (ko) 2005-07-07 2005-10-06 최동식 개폐용 샤시 프레임의 완충구조
KR200447014Y1 (ko) * 2009-03-09 2009-12-17 (주)림산건설 완충기가 설치된 미닫이 창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28Y1 (ko) 2012-05-22 2013-09-09 박덕교 창호용 그립 타입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021B1 (ko) 창호 잠금장치
US8601743B2 (en) Side hung and bottom hung double-opening window, structure, and control device thereof
TWI553209B (zh) 鎖裝置及門窗
EP3336285B1 (en) Closure latch assemblies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1237642B1 (ko)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KR100999175B1 (ko) 창호용 록킹장치
US7159909B1 (en) Cabinet enclosure handle
KR101260189B1 (ko) 권취식 방충망의 승강프레임 고정장치
JP6823142B1 (ja) 窓開閉ロック装置
KR20170023452A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200487213Y1 (ko) 문 급속 닫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기구
KR101209895B1 (ko) 창호의 자동 잠금장치
US10676973B2 (en) Latch hook-type positioning device
US20190345750A1 (en) Fitting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slidable and tiltable leaf
EP2248969A1 (en) Lock and modification package for a lock
JP6228815B2 (ja) 戸当り
KR200465469Y1 (ko) 프로젝트 창문용 로킹암
JP2012107472A (ja) ラッチ装置および建具
KR101332401B1 (ko) 창호 잠금장치
JP2019108797A (ja) 建具
KR10140165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1328429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자동 잠금 크리센트
JP6175733B2 (ja) ドア開錠装置
KR101365414B1 (ko)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