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401B1 - 창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401B1
KR101332401B1 KR1020120038378A KR20120038378A KR101332401B1 KR 101332401 B1 KR101332401 B1 KR 101332401B1 KR 1020120038378 A KR1020120038378 A KR 1020120038378A KR 20120038378 A KR20120038378 A KR 20120038378A KR 101332401 B1 KR101332401 B1 KR 101332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indow
keeper
operating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764A (ko
Inventor
윤경준
Original Assignee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40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창짝(10)에 장착되는 핸들(10a)과, 창틀(20)에 장착되는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20a)를 구성하되,
상기 핸들(10a)은 핸들축(11)에는 절곡부(11a)와, 상기 절곡부(11a) 끝에 걸림훅(11c)을 일체로 되게 구성하고,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20a)는 핸들축(11)이 작용하는 작동홈(21)과 키퍼 기능을 하는 작동부(22)를 구비하되, 상기 작동부(22)는 작동구멍(22a)과 작동공간(22b), 그리고 마감덮개(23)로 구성하고, 작동공간(22b)에 압축스프링(24)과 함께 걸림턱(25')을 가진 작동편(25)을 설치함으로서 작동편(25)의 선단이 압축스프링(24)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 창짝에 장착하여 핸들과 결합 연동시키던 키퍼가 없기 때문에 부품수가 크게 줄어 원가절감효과가 매우 뛰어남은 물론 창짝에 조립하는 부품수가 줄게 됨에 따라 시공시간이 크게 절감되고 더불어 시공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Description

창호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틀에 장착되는 키퍼와, 창문 즉 창짝에 장착되며 핸들에 의해 연동하여 키퍼에 잠금 또는 풀림작용이 이루어지는 스트라이커로 구성된 통상의 창호잠금장치에 있어서, 핸들축 끝에 선단에 걸림훅을 가진 절곡부를 형성하고, 스트라이커 또한 키퍼 기능 및 스트라이커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게끔 일체화시켜서 된 창호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창문틀, 즉 창짝에는 창문을 여닫기 편하게끔 실내 측으로 레버, 또는 그립형의 핸들이 노출된 형태로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창짝의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핸들의 축과 연결되어 핸들에 의해 작용되는 한 개 또는 한 쌍의 훅을 가진 키퍼가 장착되며, 창틀에는 상기 창짝에 장착된 키퍼의 훅이 작용하는 스트라이커가 장착 고정되어 창문을 닫을 때는 키퍼의 훅이 걸림부에 자동으로 걸리게 되고, 열 때는 레버 또는 그립형 핸들의 작용에 의해 걸림부에서 훅이 벌어져 이탈됨으로서 개방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한 종래의 창호잠금장치는 창짝에 장착되는 핸들과, 창짝에 매립되며 상기 핸들에 의해 작용하는 키퍼, 그리고 창틀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 등 모두 3가지 구성품이 반드시 갖춰져야만 잠금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들 구성품 중 어느 하나라도 없으면 잠금장치로서의 기능을 전혀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3가지 구성품들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줄이면서 종래와 동일한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면 제조원가 절감은 물론 운반, 보관 등 취급 용이, 그리고 시공에 있어서도 인력절감과 공기단축 등 많은 이점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까지는 구성품을 줄인 발명은 전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특히, 창호 잠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3가지 구성품 중 키퍼와 스트라이커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서 구성품 중 하나(종래 창짝에 매립 설치되던 키퍼)를 없애고 핸들축 끝에 걸림훅을 형성함으로서, 원가절감 및 생산성 극대화, 그리고 인력절감 및 공기단축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신뢰성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잠금장치(100)는 창짝(10)에 장착되는 핸들(10a)과 창틀(20)에 장착되는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20a)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핸들(10a)에는 핸들축(11) 끝을 절곡시켜 선단에 걸림훅(11c)을 가진 절곡부(11a)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훅(11c)은 바깥쪽 면을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서 창문을 닫을 때 걸림훅(11c)의 바깥쪽 곡면부분이 후술하는 작동편(25)의 곡면에 닿아 마찰되면서 작동편(15)을 원활하게 밀어 올릴 수 있게 하며,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20a)는 전면에 작동홈(21)과 작동부(22)가 구비되는데, 상기 작동부(22)는 작동구멍(22a)과 작동공간(22b), 그리고 마감덮개(23)로 구성하여, 작동공간(22b)에는 압축스프링(24)과 함께 걸림턱(25')을 가진 작동편(25)을 설치함으로서 작동편(25)의 선단이 압축스프링(24)에 의해 출몰가능하게 하고 또, 상기 작동편(25)의 선단 일 측을 곡면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양측면에 안내홈(25a)을 구비함으로서 작동구멍(22a)과 마감덮개(23)에 형성된 안내돌부(23a')(23')에 의해 작동편(25)이 안정적으로 출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 창짝에 장착하여 핸들과 결합 연동시키던 키퍼가 없기 때문에 부품 수가 종래 3개에서 2개로 크게 줄어 생산성증대 및 원가절감효과가 매우 뛰어남은 물론, 인력절감 및 공기단축으로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핸들과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키퍼의 종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6A∼도 6D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종래 창짝(10)에 장착되던 별도 구성의 키퍼가 없다. 또, 핸들(10a)에는 핸들축(11) 끝에 걸림훅(11c)을 형성하고 스트라이커에는 키퍼 기능을 일체로 구성하여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20a)를 구성한 점이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사각축(또는 육각축)으로 형성된 핸들축(11) 끝에 직각으로 절곡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1a) 끝에 걸림훅(11c)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창짝(10)에 장착하여 핸들(10a)을 잡아 돌리면 핸들축(11)이 회전되면서 핸들축(11) 끝에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절곡부(11a)가 핸들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절곡부(11a) 끝에 직각으로 형성된 걸림훅(11c)이 후술하는 작동편(25)으로부터 이탈됨으로서 창문의 해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스트라이커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20a)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20a)는, 양측에 고정나사 체결구멍(31)이, 그리고 후면에 끼움홈(32)이 형성된 통상의 키퍼에 있어서, 핸들축(11)이 작용하는 작동홈(21)과 스트라이커의 훅크 기능을 하는 작동부(22)가 구비되는데, 상기 작동부(22)는 작동구멍(22a)과 작동공간(22b), 그리고 마감덮개(23)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공간(22b)에 압축스프링(24)과 함께 걸림턱(25')을 가진 작동편(25)을 삽입 설치함으로서 작동편(25)의 선단이 압축스프링(24)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되고, 또, 작동편(25)의 선단 일 측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창문을 닫을 때 핸들축(11)의 걸림훅(11c)에 형성된 곡면 부분이 작동편(25)의 곡면 부분에 작용하게 되며, 이때 작동편(25)은 압축스프링(24)을 가압하면서 작동구멍(22a) 안으로 밀려들어가다가 2차 절곡부(11b)가 작동편(25)을 통과하는 순간 압축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편(25)이 복귀됨으로서 창문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작동편(25)에는 안내홈(25a)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구멍(22a) 내부 양측에는 안내돌부(23a')가 형성되어 있어 작동편(25)이 매우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출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창짝(10)에 핸들(10a)이, 그리고 창틀(20)에는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20a)가 장착되는데, 상기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20a)에는 압축스프링(24)에 의해 출몰 작용하는 작동편(25)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핸들축(11) 끝에는 절곡부(11a) 및 걸림훅(11c)이 형성되어 있어 창문을 닫을 때는 걸림훅(11c) 끝이 작동편(25)에 작용하여 작동편(25)을 밀어 올리다가 걸림훅(11c)이 작동편(25)을 통과하는 순간 압축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편(25)이 복귀하여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며, 창문(20)을 열기 위해 핸들(10a)을 돌리면 핸들축(11)이 회전하면서 걸림훅(11c) 끝이 작동편(25) 끝에서 이탈되면서 창문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핸들과 스트라이커, 키퍼로 이루어진 잠금장치를 2가지 부품으로 구성함으로서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시공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가 따르게 된다.
10: 창짝 10a: 핸들 11: 핸들축
11a: 절곡부 20: 창틀 20a: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
21:작동홈 22: 작동부
22a: 작동구멍 22b: 작동공간 23:마감덮개
24: 압축스프링 25: 작동편 25': 걸림턱
25a: 안내홈 31, 31':체결구멍 32: 끼움홈

Claims (2)

  1. 창짝 표면에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과 결합 연동되며 창짝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키퍼, 그리고 창틀에 매립 설치되는 스트라이커로 이루어진 창호 잠금장치에 있어서,
    핸들축(11)에 직각으로 절곡부(11a)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11a) 끝에 측방향으로 직각의 걸림훅(11c)을 형성하여서 된 핸들(10a);과,
    상기 핸들(10a)에 의해 회전하는 핸들축(11)의 걸림훅(11c)이 회전 작용하는 공간인 작동홈(21) 및,
    작동구멍(22a)과 작동공간(22b), 그리고 마감덮개(23)로 구성되어 작동공간(22b)에 압축스프링(24)과 함께 걸림턱(25')을 가진 작동편(25)이 삽입 설치된 통상의 작동부(22)가 일체로 형성된 키퍼 일체형 스트라이커(20a);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잠금장치.
  2. 삭제
KR1020120038378A 2012-04-12 2012-04-12 창호 잠금장치 KR101332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78A KR101332401B1 (ko) 2012-04-12 2012-04-12 창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78A KR101332401B1 (ko) 2012-04-12 2012-04-12 창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64A KR20130115764A (ko) 2013-10-22
KR101332401B1 true KR101332401B1 (ko) 2013-11-25

Family

ID=4963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378A KR101332401B1 (ko) 2012-04-12 2012-04-12 창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95B1 (ko) 2015-07-09 2016-11-04 주식회사 대현상공 창호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120B1 (ko) 2004-04-14 2004-12-17 (주)관동건업 방범용 미닫이문
JP4133115B2 (ja) 2002-08-22 2008-08-13 美和ロック株式会社 引戸錠
KR20100073367A (ko) * 2008-12-23 2010-07-01 천영민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KR20110138544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호의 자동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3115B2 (ja) 2002-08-22 2008-08-13 美和ロック株式会社 引戸錠
KR100462120B1 (ko) 2004-04-14 2004-12-17 (주)관동건업 방범용 미닫이문
KR20100073367A (ko) * 2008-12-23 2010-07-01 천영민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KR20110138544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호의 자동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95B1 (ko) 2015-07-09 2016-11-04 주식회사 대현상공 창호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64A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857B2 (en) Door lock of key-driven transmission structure
JP2015529291A (ja) ロックを備えた完全埋め込み式のドアハンドル
US9771744B2 (en) Glove box for vehicle
CN204960528U (zh) 插芯锁的斜舌机构
CN105113856A (zh) 插芯锁的斜舌机构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1332401B1 (ko) 창호 잠금장치
KR200421611Y1 (ko) 도어 손잡이의 잠금핀 구조
US9145718B1 (en) Latch assembly with an anti-picking function
JP5341418B2 (ja) 扉のラッチ錠
TWM493576U (zh) 門鎖
KR101496018B1 (ko) 도어레버
CN103998292A (zh) 座间储物箱的门
US20090229322A1 (en) Storm door lock assembly
KR200464751Y1 (ko) 슬라이드창문용 노출형 잠금장치
KR101283100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유닛
JP6853548B2 (ja) ドア及びドア装置
TWM492354U (zh) 門鎖及其鎖閂結構
KR100999175B1 (ko) 창호용 록킹장치
TWI510700B (zh) Door lock
KR200448479Y1 (ko) 도어 쇄정 장치
KR102076163B1 (ko)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200461723Y1 (ko)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CN209924622U (zh) 门锁
KR200484945Y1 (ko) 손 끼임 방지 도어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