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367A -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 Google Patents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73367A KR20100073367A KR1020080132021A KR20080132021A KR20100073367A KR 20100073367 A KR20100073367 A KR 20100073367A KR 1020080132021 A KR1020080132021 A KR 1020080132021A KR 20080132021 A KR20080132021 A KR 20080132021A KR 20100073367 A KR20100073367 A KR 201000733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door
- lock
- locking
- st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에 구비된 후크와, 문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후크와 결합하게 되는 잠금구 및 상기 후크를 밀어내는 탄성을 제공하는 반동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후크와 잠금구에 형성된 걸림부와 대응걸림부의 결합에 의해 도어를 잠그고, 상기 걸림부와 대응걸림부의 분리에 의해 잠금 상태를 해제하되 상기 반동구에 의해 후크가 밀리면서 도어가 문틀에서 이격되도록 한 도어락에서 상기 잠금구의 하강을 일시 정지시키는 낙하방지구를 구비하여 상기 후크가 반동구의 탄성에 의해 완전히 이격된 후 잠금구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도어락, 여닫이문, 후크, 잠금구, 낙하방지구, 오작동, 웨이트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에 구비된 후크와, 문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후크와 결합하게 되는 잠금구 및 상기 후크를 밀어내는 탄성을 제공하는 반동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후크와 잠금구에 형성된 걸림부와 대응걸림부의 결합에 의해 도어를 잠그고, 상기 걸림부와 대응걸림부의 분리에 의해 잠금 상태를 해제하되 상기 반동구에 의해 후크가 밀리면서 도어가 문틀에서 이격되도록 한 도어락에서 상기 잠금구의 하강을 일시 정지시키는 낙하방지구를 구비하여 상기 후크가 반동구의 탄성에 의해 완전히 이격된 후 잠금구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거나 실내의 각 구획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여닫이문과 미닫이문 형태가 채용되며,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출입자를 제한하기 위하여 다양한 도어락(DOOR-LOCK)을 도어 및 문틀에 구비하게 된다.
종래 도어락 중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462120호(공고일자 2004년12월17일)에서는 방범용 미닫이문에 대해서 제안하였는데,
상기 종래의 제안된 기술은 미닫이문에 사용되는 2중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닫이문을 잠그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잠금 상태가 이루어지며, 상부의 잠금 및 측면의 잠금이 이중으로 이루어져 보다 확실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작동구와 걸고리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된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구를 상승시켜 걸고리와 분리되게 해야 하는데, 상기 작동구를 상승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이 인가될 때 작동구를 상승시키게 되나, 작동구가 걸고리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에서 전원이 차단되면 작동구는 다시 낙하하여 걸고리와 맞물린 상태로 복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작동구가 상기 걸고리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못하는 상황은,
도어에 이물질이 끼어 뻑뻑해지거나, 미닫이를 위한 레일의 파손 등의 문제가 있거나, 걸고리를 밀어주는 반동장치의 탄성력이 약해진 경우와 같은 문제가 있는 등의 경우 발생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한 방안으로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공급 하는 시간을 늘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도 있으나, 이는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구성 등이 필요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고, 만약 기설치 된 도어락을 개보수 할 경우에는 이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의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종래기술은 여닫이문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문틀에 잠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문틀에 힌지 결합하는 도어에 걸고리를 구비하여 문틀에 도어가 닫힐 때 상기 걸고리와 잠금구가 맞물리면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나,
상기와 같은 오작동의 문제는 여전히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자동 닫힘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여닫이문에 장착하는 도어-체크(DOOR-CHECK)가 구비된 경우 밀어내는 반동장치의 힘이 상기 도어-체크의 닫히는 힘에 비해 약한 경우에는, 상기 잠금구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상승하나 걸고리가 밀려나가지 못하여 다시 낙하한 잠금구와 걸고리가 맞물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걸림부를 갖는 후크를 도어에 설치하고, 상기 걸림부와 결합되는 대응걸림부를 갖는 잠금구를 문틀에 설치하며, 상기 후크를 밀어내는 탄성을 제공하는 반동구를 구비하여 상기 후크와 잠금구의 각 걸림부가 상호 결합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잠금 상태를 해제할 때는 상기 잠금구의 하강을 일시 정지시키는 낙하방지구를 포함한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후크가 반동장치의 탄성에 의해서 밀려나지 않는 경우에도 잠금구와 후크가 재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때, 상기 잠금구는 솔레노이드기기에 의하여 작동되어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상기 낙하방지구가 자중에 의해 하부를 향하여 회동하도록 한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비틀림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낙하방지구가 하부를 향하여 회전하도록 한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 낙하방지구의 밀림부에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반동구에 구비된 밀침구가 상기 경사면을 밀어 올려 낙하방지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미끄럼경사부를 갖고, 상기 잠금구는 상기 후크의 미끄럼경사부와 접촉하는 대응경사부를 갖도록 하여 상기 후크가 전진할 때 상기 두 경사부가 맞닿으면서 상기 잠금구를 상승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고 걸림부를 갖는 후크와,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문틀의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를 밀어내는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반동구와, 상기 후크의 걸림부와 결합되는 대응걸림부를 갖고, 상기 문틀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에 의하여 상기 반동구가 후퇴할 경우 각 걸림부가 상호 결합하게 되는 잠금구 및 상기 잠금구에 구비된 피지지부,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여 하강하는 상기 잠금구를 정지시키는 지지부, 밀림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밀림부 사이에 구비된 힌지핀으로 이루어진 낙하방지구, 그리고 상기 반동구에 구비되고 상기 잠금구의 상승으로 상기 후크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반동구가 전진할 경우 상기 낙하방지구의 밀림부를 들어올려 상기 지지부가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밀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잠금구는 솔레노이드기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낙하방지구의 밀림부는 무게가 전방에 쏠려 있는 웨이트를 갖는 것으로, 상기 웨이트쪽으로 상기 낙하방지구가 항상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구는 상기 밀림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하는 비틀림코일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림부는 경사면을 갖도록 하여 상기 반동구의 밀침구가 경사면과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는 미끄럼경사부를 갖고, 상기 잠금구는 상기 후크의 미끄럼경사부와 접촉하는 대응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어를 닫을 때 자동으로 도어가 문틀에 잠금 상태로 변경되는 것으로 별도의 동작 없이 도어를 잠글 수 있으며, 나아가 잠 금 상태를 해제할 때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도어-체크가 구비된 여닫이문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오작동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 향상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구의 하강을 제한하는 낙하방지구를 구비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되, 상기 낙하방지구가 자중에 의해 회동하도록 하여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조립이 수월하고, 유지 보수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벽면에 문틀이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문틀에서 삽입부가 형성된 쪽을 전방이라 하고,
문틀의 삽입부에 끼워지는 후크의 가압에 의해 반동구가 이동하는 쪽을 후방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작동 방지수단(40)이 구비된 도어락(1)이 여닫이문 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1)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2)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닫이문은 벽면(W)에 고정 설치된 문틀(3)과 상기 문틀(3)에 힌지(6) 결합되어 회동하는 도어(2)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1)은 상기 도어(2)에 설치되고 걸림부(13)를 갖는 후크(10)와,
상기 후크(10)가 끼워지는 문틀(3)의 삽입부(3a)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10)를 밀어내는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22)에 의해 지지되는 반동구(20)와,
상기 후크(10)의 걸림부(13)와 결합하는 대응걸림부(33)를 갖고, 상기 문틀(3)의 삽입부(3a)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10)에 의하여 상기 반동구(20)가 후퇴할 경우 각 걸림부가 상호 결합하게 되는 잠금구(30) 및
상기 잠금구(30)에 구비된 피지지부(41)와, 밀림부(421)와, 상기 피지지부(41)를 지지하여 하강하는 상기 잠금구(30)를 정지시키는 지지부(422) 그리고 상기 지지부(422)와 상기 밀림부(421) 사이에 구비된 힌지핀(423)으로 이루어진 낙하방지구(42) 및 상기 반동구(20)에 구비되고 상기 잠금구(30)의 상승으로 상기 후크(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반동구(20)가 전진할 경우 상기 낙하방지구(42)의 밀림부(421)를 들어 올려 상기 지지부(422)가 상기 피지지부(41)를 지지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밀침구(43)를 포함하는 오작동 방지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0)는, 상기 문틀(3)의 삽입부(3a)에 설치된 반동구(20)를 가압하는 가압부(11)와, 후방을 향하여 만곡진 미끄럼경사부(12)와 상기 미끄럼경사부(12)의 전방에 형성된 걸림부(13)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후크(10)는 도어(2)의 손잡이(2a)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어(2)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1)는 미끄럼경사부(12)의 하부에 구비되어 도어(2)가 닫힐 때(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경) 상기 문틀(3)에 구비된 반동구(20)를 가압하여 반동구(20)를 후퇴시키는 것이다.
상기 미끄럼경사부(12)는 상기 가압부(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구(30)에 구비된 대응경사부(32)와 맞닿아 후크(10)의 이동에 따라 잠금구(30)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것으로, 도면 중 만곡진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사선(斜線)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부(13)는 상기 잠금구(30)의 대응걸림부(33)와 결합하여 후크(1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상기 잠금구(30)가 후크(10)에 의해 상승하다가 후 크(10)의 미끄럼경사부(12)를 벗어난 후 하강했을 때, 상기 걸림부(13)가 잠금구(30)의 대응걸림부(33)에 맞닿아 지지되어 상기 반동구(20)에서 전달되는 탄성에 의해 후크(10)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동구(20)는 상기 문틀(3)의 삽입부(3a)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3a)에 끼워지는 후크(10)의 가압부(11)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21)와 상기 후크(10)를 밀어내기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22)과 상기 스프링(22)이 삽입되는 삽입홈(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가압부(21)는 상기 후크(10)의 가압부(11)와 맞닿아, 잠금 될 때는 상기 후크(10)의 힘을 받아 스프링을 압축하고, 해제 될 때는 스프링의 힘을 받아 후크를 밀어낸다.
이때, 상기 피가압부(21)는 고무, 우레탄수지,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또는 피복되어) 후크(10)와 맞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22)은 도어(2)가 잠금 상태에서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22)이 삽입 되는 삽입홈(23)이 상기 피가압부(21)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 기 후크(10)의 가압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22)을 수용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4)는 후술하는 낙하방지구(42)가 맞닿는 반동구(20)의 상부(24)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구(30)는 상기 문틀(3)의 삽입부(3a)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10)에 형성된 걸림부(13)와 결합하는 대응걸림부(33)와 상기 후크(10)에 형성된 미끄럼경사부(12)와 맞닿는 대응경사부(32) 및 후술하는 솔레노이드기기(55)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31)을 갖는다.
상기 대응경사부(32)는 상기 후크(10)의 미끄럼경사부(12)와 상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응걸림부(33)는 대응경사부(32)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대응경사부(32)가 미끄럼경사부(12)를 벗어나면서 하강한 후 상기 후크(10)의 걸림부(13)와 결합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작동방지수단(40)은, 상기 잠금구(30)에 구비된 피지지부(41)와,
밀림부(421)와, 상기 피지지부(41)를 지지하여 하강하는 상기 잠금구(30)를 정지시키는 지지부(422), 그리고 상기 지지부(422)와 상기 밀림부(421) 사이에 구 비된 힌지핀(423)으로 이루어진 낙하방지구(42)와,
상기 반동구(20)에 구비되고 상기 잠금구(30)의 상승으로 상기 후크(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반동구(20)가 전진할 경우 상기 낙하방지구(42)의 밀림부(421)를 들어 올려 상기 지지부(422)가 상기 피지지부(41)를 지지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밀침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구(30)에 구비된 피지지부(41)는, 잠금구(30)의 상부 후방에 형성되어, 솔레노이드기기(55)에 의해 상승한 잠금구(30)가 솔레노이드기기(55)에 작동이 멈춘 후 하강할 때 낙하방지구(42)의 지지부(422)에 맞닿아 지지되어 잠금구(30)의 하강을 제한한다.
상기 낙하방지구(42)는, 밀림부(421)와, 지지부(422)와, 힌지핀(4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림부(421)는 무게가 전방에 쏠려 있는 웨이트(421a)를 갖고,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421c)을 갖고 이루어진다.
상기 낙하방지구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웨이트로 인하여 지지부(422)의 지지면(422b)이 전방으로 쏠려 잠금구(30)에 구비된 피지지부(41)를 받치는 위치에 머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도 2의 우측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와 함께(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웨이트를 대체하는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비틀림코일스프링(421b)을 도입하여 상기 힌지핀을 축으로 기울어져 상기 밀림부(421)가 하부를 향하도록 하는 동작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22)는 수직판(422a)과 상기 수직판(422a)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면(422b)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면(422b)이 상기 잠금구(30)에 구비된 피지지부(41)와 맞닿아 잠금구(30)의 하강을 제한하고,
상기 힌지핀(423)은 상기 수직판(422a)의 후방에 구비되어 낙하방지구(42)가 회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밀침구(43)는 상기 반동구(20)에 구비되며,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반동구(20)가 스프링(22)의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할 때 낙하방지구(42)에 형성된 밀림부(421)와 맞닿아 이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는 전자카드를 이용하여 도어(2)를 해제하기 위한 센서부(5)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 도이고, 도 4는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경되는 동작 순서는, 도어(2)의 손잡이(2a)에 결합된 후크(10)가 도어(2)의 이동에 따라 문틀(3)에 형성된 삽입부(3a)에 끼워지고, 상기 삽입부(3a)에 설치된 반동구(20)는 후크(10)에 의해 후퇴하면서 스프링(22)을 압축시키게 되며, 동시에 상기 후크(10)는 잠금구(30)를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후크(10)에 의해 상승하던 잠금구(30)는 후크(10)의 미끄럼경사부(12)를 벗어난 지점에서 하강하고, 상기 후크(10)의 걸림부(13)에 잠금구(30)의 대응걸림부(33)가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되는 후크(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 상태로 변경된다.
이때, 상기 후크(10)에 의해 상승하는 상기 잠금구(30)의 잠금시 이동거리(L1)는, 상기 잠금구(30)가 후퇴하는 반동구(20)를 벗어나 하강하다가 후크(10)와 맞닿게 되는 최저점(L1a)부터, 후크(10)에 의해 상승하다가 후크(10)의 미끄럼경사부(12)를 벗어나기 직전의 최고점(L1b)까지의 거리이며,
상기 잠금구(30)의 잠금시 이동거리(L1)는 상기 잠금구(30)의 피지지부(41)가 상기 낙하방지구(42)의 지지부(422)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이동하게 된 다.
도 3에서 도시된 일점쇄선의 지시선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이중잠금부의 동작 상태 중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동작 상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변경되는 동작 순서는, 상기 잠금구(30)에 결합된 이동봉(51)이 솔레노이드기기(55)에 의해 상승하면,
잠금구(30)가 후크(10)의 걸림부(13)를 벗어나게 되며, 이때 스프링(22)에 의해 가압되는 반동구(20)가 후크(10)를 밀어내게 되고, 상승하는 잠금구(30)는 상기 낙하방지구(42)의 지지부(422)를 벗어나는 높이로 상승한 후 하강하게 된다.
상기 낙하방지구(42)는 상승하는 잠금구(30)에 맞닿아 후방으로 회동하다가 잠금구(30)가 지지부(422)를 벗어나는 순간 낙하방지구(42)의 밀림부(421)에 구비된 웨이트(421a)(또는 도 2의 우측 하부 단면도와 같이, 비틀림코일스프링(421b)이 함께 작용하여)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밀림부(421)가 반동구(20)의 상부(24)와 맞닿으면서 회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 잠금구(30)는 피지지부(41)가 낙하방지구(42)의 지지부(422)에 형성된 지지면(422b)에 맞닿아 지지되면서 하강이 제한되고, 스프링(22)에 의해 가압되는 반동구(20)가 후크(10)를 밀어 내면서 해제 상태로 변경되며,
상기 반동구(20)에 구비된 밀침구(43)가 상기 낙하방지구(42)의 밀림부(421)를 상부로 들어 올려 지지부(422)가 상기 잠금구(30)의 피지지부(41)를 지지하는 상태를 해제하여 잠금구(30)가 하강하게 한 후 다음 동작을 대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는 오작동방지수단(40)을 이루는 상기 낙하방지구(42)가 잠금구(30)가 하강하는 것을 일시 제한하여 상기 후크(10)가 문틀(3)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후크(10)가 문틀(3)에서 이탈하는 순간 후크(10)를 밀어내던 반동구(20)가 상기 낙하방지구(42)를 회동시켜 잠금구(3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잠금구(30)의 해제시 이동거리(L2)는, 잠금구(30)의 대응걸림부(33)가 후크(10)의 걸림부(13)에 결합된 상태의 최하점(L2a)부터 솔레노이드기기(55)에 의해 상승하는 잠금구(30)의 최상점(L2b)까지의 거리로서, 다음과 같은 두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첫 번째 조건으로 상기 걸림부(13)에서 대응걸림부(33)가 결합 해제 되어 후크(10)가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구(30)의 대응걸림부(33)가 상기 후크(10)의 걸림부(13)에서 벗어나는 거리를 가지 고,
두 번째 조건으로, 상기 피지지부(41)가 낙하방지구(42)의 지지부(422)를 벗어나 상기 지지부(422)가 웨이트(421a) 및 비틀림코일스프링(421b)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구(30)의 피지지부(41)가 상기 낙하방지구(42)의 지지부(422)를 벗어난 거리를 가지게 된다.
도 4에서 도시된 일점쇄선의 지시선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이중잠금부의 동작 상태 중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동작 상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도어(2) 및 문틀(3)에 도어-체크(4)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어-체크(4)는 여닫이문이 닫힐 때 자동적으로 천천히 닫히도록 하는 것이며, 도어-클로져(DOOR-CLOSED)라고 불리기도 하는 것으로, 여닫이문의 도어가 닫힐 때 발생하는 충격, 소음 및 이로 인해 발생하는 도어 및 문틀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공개된 기술로는 대표적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376420호(공고일자 2005년03월11일) 등이 있다.
도어-체크(4)가 구비된 여닫이문에 본 발명의 오작동 방지수단(40)이 구비될 때 상기 반동구(20)에 구비된 스프링(22)의 탄성만으로는 도어-체크(4)의 가압력 및 도어(2) 자체의 무게 때문에 도어(2)를 문틀(3)에서 완전히 이격시키지 못하나, 상기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방지구(42)가 잠금구(30)를 지지한 상태에서 반동구(20)가 후크(10)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도어(2)를 밀거나 당겨서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어-체크(4)가 구비된 여닫이문에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작동 방지수단(40)을 미닫이문에서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로서, 상기 후크(10)가 도어(2)가 닫히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10)가 삽입되는 삽입부(3a)가 문틀(3)에 형성된 것으로, 작동 순서는 여닫이문과 동일하다.
나아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기기(55)에 구비된 이동봉(51)과, 상기 이동봉(51)의 상부에 결합하고 일측이 개방되어 그 종단면 형상이 대략 '⊃'자 형태의 이동제한구(52)와,
시건장치(53)와,
상기 시건장치(53)를 이루는 열쇠(531)에 의하여 회동하는 축에서 벗어나 편심 된 축(541)을 구비한 작동부(54)로 이루어진 이중잠금부(50)가 더 구비된다.
도 7(a) 및 도 3의 지시선(일점쇄선)을 참고하여 상기 이중잠금부(50)의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경될 때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해제 상태에서 상기 축(541)은 이동제한구(52)의 내면(521)에 위치하 되, 내면(521)의 상부(521a) 또는 하부(521b) 중 어디에도 맞닿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여 이동제한구(52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제한구(52)가 잠금구(30)의 하강 및 상승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다가 잠금구(30)와 후크(10)의 두 걸림부가 결합되어 잠금 상태로 변경되면,
도 7a의 우측과 같이, 열쇠(531)를 회전시켜 작동부(54)의 축(541)을 하부에 위치하게 하면 이동제한구(52)의 내면 하부(521b)와 맞닿게 되어 이동제한구(52)가 임의로 상승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2)가 문틀(3)에 잠긴 잠금 상태에서 잠금구(30)의 상부 이동이 제한되므로 이중 잠금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b) 및 도 4의 지시선(일점쇄선)을 참고하여 상기 이중잠금부(50)의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변경될 때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열쇠(531)를 회전시켜 작동부(54)의 축(541)을 상부로 회동시키면 이동제한구(52)가 상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봉(51)이 솔레노이드기기(55)에 의해 상승할 때 축(54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동제한구(52)가 잠금구(30)의 승하강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다가 상기 잠금구(30)와 후크(10)가 분리되어 해제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제한구(52)는 내 면(521)의 상부(521a) 및 하부(521b)가 상기 축(541)에 맞닿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여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때, 상부로 회동한 축(541)과 상기 이동제한구(52)의 내면 하부(521b)의 사이에 형성되는 높이는 상기 잠금구(30)의 해제시 이동거리(L2)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도어락, 특히 여닫이문에 설치된 상태의 사용 환경과, 사용법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작동 방지수단이 구비된 도어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작동 방지수단이 문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이 잠금 상태로 변경되는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이 해제 상태로 변경되는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어-체크가 구비된 여닫이문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이 구비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작동 방지수단이 미닫이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7은 이중잠금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 오작동 방지수단
2 : 도어 2a : 손잡이 3 : 문틀
3a : 삽입부 4 : 도어체크 5 : 센서부
6 : 힌지 7 : 솔레노이드기기
10 : 후크
11 : 가압부 12 : 미끄럼경사부 13 : 걸림부
20 : 반동구
21 : 피가압부 22 : 스프링 23 : 스프링삽입홈
30 : 잠금구
31 : 결합공 32 : 대응경사부 33 : 대응걸림부
40 : 오작동방지수단
41 : 피지지부 42 : 낙하방지구 43 : 밀침구
421 : 밀림부 422 : 지지부 423 : 힌지핀
50 : 이중잠금부
51 : 이동봉 52 : 이동제한구 53 : 시건장치
L1 : 잠금구의 잠금시 이동거리 L2 : 잠금구의 해제시 이동거리
Claims (6)
- 도어에 설치되고 걸림부를 갖는 후크;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문틀의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를 밀어내는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반동구;상기 후크의 걸림부와 결합되는 대응걸림부를 갖고,상기 문틀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에 의하여 상기 반동구가 후퇴할 경우 각 걸림부가 상호 결합하게 되는 잠금구; 및상기 잠금구에 구비된 피지지부,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여 하강하는 상기 잠금구를 정지시키는 지지부, 밀림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와 밀림부 사이에 구비된 힌지핀으로 이루어진 낙하방지구, 그리고상기 반동구에 구비되고 상기 잠금구의 상승으로 상기 후크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반동구가 전진할 경우 상기 낙하방지구의 밀림부를 들어 올려 상기 지지부가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밀침구를 포함하는 오작동 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잠금구는 솔레노이드기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낙하방지구의 밀림부는 무게가 전방에 쏠려 있는 웨이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낙하방지구는 상기 밀림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하는 비틀림코일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밀림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후크는 미끄럼경사부를 갖고,상기 잠금구는 상기 후크의 미끄럼경사부와 접촉하는 대응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2021A KR101031232B1 (ko) | 2008-12-23 | 2008-12-23 |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2021A KR101031232B1 (ko) | 2008-12-23 | 2008-12-23 |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3367A true KR20100073367A (ko) | 2010-07-01 |
KR101031232B1 KR101031232B1 (ko) | 2011-04-29 |
Family
ID=4263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2021A KR101031232B1 (ko) | 2008-12-23 | 2008-12-23 |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12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2401B1 (ko) * | 2012-04-12 | 2013-11-25 |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 창호 잠금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55489A (en) | 1985-04-16 | 1987-04-07 | Southco, Inc. | Fastening device |
KR100462120B1 (ko) | 2004-04-14 | 2004-12-17 | (주)관동건업 | 방범용 미닫이문 |
KR20080040937A (ko) * | 2006-11-06 | 2008-05-09 | 남동우 | 창문 잠금장치 |
-
2008
- 2008-12-23 KR KR1020080132021A patent/KR1010312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2401B1 (ko) * | 2012-04-12 | 2013-11-25 |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 창호 잠금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1232B1 (ko) | 2011-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9618Y1 (ko) | 자전거용 2단 주차장치 | |
US3708917A (en) | Locking device for overhead garage door | |
KR101031232B1 (ko) |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 |
US5809613A (en) | Foot-operated door stop assembly | |
KR100958056B1 (ko) | 리프트슬라이드식 창호의 레버식 잠금장치 | |
CN114892940B (zh) | 一种智能调平升降平台 | |
KR102094885B1 (ko) | 방폭형 스위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장치 | |
CN108167310B (zh) | 一种自动解锁挂钩及其使用方法 | |
KR200447060Y1 (ko) | 도어 스토퍼 | |
KR100538464B1 (ko) | 건축용 문의 열림 각도 고정장치 | |
JP4542853B2 (ja) |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 |
CN118125267A (zh) | 一种电梯门锁 | |
CN109653604B (zh) |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锁 | |
JP2008261154A (ja) | シャッターの手動操作装置 | |
CN102182367B (zh) | 滑动门的锁紧装置 | |
CN113700388B (zh) | 一种转舌锁电子控制装置及防盗保险柜用电子机械双控锁 | |
KR102654284B1 (ko) | 도어 잠금장치 | |
CN214740632U (zh) | 一种插销机构 | |
CN214330464U (zh) | 一种原料放置架安全门 | |
CN217353907U (zh) | 电梯门锁及平开门装置 | |
JP2019120007A (ja) | キャビネット | |
JPS6344522Y2 (ko) | ||
CN201460509U (zh) | 印刷机操作面箱门重力自锁装置 | |
CN217380137U (zh) | 防风室内门装置 | |
CN221635197U (zh) | 一种拉杆伸缩控制锁定装置、可伸缩拉杆以及拉杆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