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120B1 - 방범용 미닫이문 - Google Patents

방범용 미닫이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120B1
KR100462120B1 KR1020040025930A KR20040025930A KR100462120B1 KR 100462120 B1 KR100462120 B1 KR 100462120B1 KR 1020040025930 A KR1020040025930 A KR 1020040025930A KR 20040025930 A KR20040025930 A KR 20040025930A KR 100462120 B1 KR100462120 B1 KR 100462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door
locking
sliding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효직
Original Assignee
(주)관동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관동건업 filed Critical (주)관동건업
Priority to KR102004002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창살이 설치된 미닫이문에 유리창으로 막아 외부와의 열의 이동을 차단함은 물론, 문을 닫게 되면 자동으로 문이 록킹되는 방범용 미닫이문에 관한 것으로서, 문틀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문의 상부 지지대 상측에 결합되며, 전측으로 만곡된 슬라이딩면이 형성되는 걸고리와; 상기 문틀의 상부에 결합되며, 후측으로 만곡된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록킹구가 상,하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개폐 작동구와; 상기 문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작동구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록킹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닫이문을 잠그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이루어지며, 아울러, 상부의 잠금 및 측면의 잠금이 이중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확실한 잠금상태가 되므로, 방범이 확실함은 물론, 교도소 등에서는 재소자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창살이 설치된 미닫이문의 목적인 방범 및 보안 등을 위해 출입의 차단을 유지한 채 유리창만을 개방하여 환기 및 난방이 가능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범용 미닫이문{a sliding door for crime prevention}
본 발명은 방범용 미닫이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범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창살이 설치된 미닫이문에 유리창으로 막아 외부와의 열의 이동을 차단함은 물론, 필요시에는 상기 미닫이문은 닫은채로 유리창을 개방하여 환기를 시킬 수도 있으며, 문을 닫게 되면 자동으로 문이 록킹되는 방범용 미닫이문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보안이 필요한 곳의 출입문 및 교도소 등과 같은 곳에서 방범 또는 재소자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출입문의 잠금이 매우 중요한 일이며, 이러한 이유로 미닫이문(1)을 잠그고자 할 시에는 일측 문틀측으로 미닫이문을 완전히 밀착시킨 후, 별도의 잠금장치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잠그게 되나, 잠금조작을 잊어버리거나 잠금상태를 착각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침입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이 되며, 재소자는 출입이 통제되지 않아 탈주의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미닫이문(1)에 창살(2)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창살(2)의 사이로 외부와 그대로 연통이 되므로, 겨울철이나 바람이 심한 날에는 열의 이동이나 바람을 차단할 수 없어 내부에서 생활하는 사람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살(2)이 설치된 상기 미닫이문(1)에 부가적으로 유리창(3)을 설치하여 막는 경우에는 여름철이나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환기구를 설치하지 않는 한은 환기를 시킬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문을 개방하여 환기를 시키게 되면, 방범 또는 재소자의 출입을 금지하기 위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또한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별도로 문을 잠그기 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미닫이문을 문틀의 일측으로 밀착시키기만 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되도록 하여 확실하게 방범이 되도록 함은 물론, 재소자의 출입을 금지할 수 있는 미닫이문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기 위해 창살을 설치하고 부가적으로 유리창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필요시에는 상기 유리창만을 간단하게 개방하여 환기를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닫히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이 잠긴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이 개방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의 반동장치를 확대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의 문틀 및 창살과 유리창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상부 지지대 20 : 걸고리
30 : 개폐 작동구 31 : 록킹구
32 : 연장편 33 : 제어부
40 : 록킹봉 50 : 돌출편
51 : 관통공 52 : 삽입구
53 : 가이드구 54,64 : 탄성체
60 : 반동장치 61 : 함체
62 : 작동봉 63 : 걸림구
65 : 압지구 71: 가이드레일
72 : 롤러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틀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구비된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문의 상부 지지대 상측에 결합되며, 전측으로 만곡된 슬라이딩면이 형성되는 걸고리와; 상기 문틀의 상부에 결합되며, 후측으로 만곡된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록킹구가 상,하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개폐 작동구와; 상기 문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작동구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록킹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록킹구의 전측과 연장되는 연장편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편에는 상,하로 긴 형태의 록킹봉이 결합되고, 상기 미닫이문의 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돌출편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록킹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록킹봉이 돌출편의 관통공에 잠금 또는 해정되어 미닫이문을 이중으로 잠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닫이문의 상부 지지대 상측에는 상기 록킹장치가 해정될 때 미닫이문이 일정 거리만큼 스스로 슬라이딩 되도록 반동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봉의 하부에는 완충 스프링이 탄성 결합되어 록킹봉의 하강시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문틀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창살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유리창이 결합된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은 창살이 설치된 미닫이문과 별도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닫이문의 상부 지지대에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유리창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유리창이 미닫이문과 별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문틀(5)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 문틀의 레일(6)을 타고 롤러(7)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미닫이문(1)의 상부 지지대(11) 상측에는 걸고리(20)를 고정 결합하며, 상부 문틀(5)에는 개폐 작동구(30)를 설치하고, 이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3)는 단순한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보안 카드 등으로 제어되는 카드 리더기 일 수도 있으며,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걸고리(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5) 측으로 다소 돌출되어 있으며, 전측이 만곡되어 슬라이딩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작동구(30)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플런져에는 록킹구(31)를 결합하는 바, 상기 록킹구(31)는 후측이 다소 만곡되어 슬라이딩면을 형성한다.
또한, 개폐 작동구(30)의 록킹구(31)의 전측이 연장되어 연장편(32)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편(32)은 중공 형태로 이루어진 문틀(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긴 형태로 구비되는 록킹봉(40)과 결합된다. 또한, 미닫이문(1)의 측면에는 돌출편(50)이 구비되어 문틀(5)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봉(40)이 상,하 이동하며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50)이 삽입되는 문틀(5) 측에는 삽입구(52)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편(50)이 삽입되는 문틀(5)의 다소 상측에는 상기 록킹봉(4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구(5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록킹봉(40)의 하측에는 탄성체(54)를 결합하여 록킹봉(50)의 하강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미닫이문의 상부 지지대(11) 상측에는 걸고리(20)와 별도로 반동장치(60)를 더 구비하며, 이는 중공으로 되어 상부 지지대(11)와 고정 결합되는 함체(61)와, 상기 함체(61)의 내부로 관통 삽입되며, 걸림부(63)가 형성된 작동봉(62)과, 상기 함체(61)의 내부에서 작동봉(62)에 탄지 결합되는 탄성체(64)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반동장치(61)와 접하는 문틀(5)측에는 일정 길이의 압지구(65)를 형성한다. 물론, 상기와 같은 반동장치(60)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 중 하나를 일실시예로 들어 설명한 것인 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의 문틀 및 창살과 유리창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 단면도로서, 문틀(5)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미닫이문(5)에 있어서, 방범을 위해 창살(2)이 설치되고, 내,외부 사이의 열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유리창(3)을 설치한 미닫이문(5)의 상부 지지대(11)에는 가이드 레일(71)을 구비하며, 이 가이드 레일(71)을 타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유리창(3)에는 롤러(72)를 결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문(1)을 문틀(5) 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슬라이딩 시키게 되면, 미닫이문(1)의 상부 지지대(11)에 구비된 걸고리(20)의 슬라이딩면과 개폐 작동구(30)에 구비된 록킹구(31)의 슬라이딩면이 접하면서 록킹구(31)는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미닫이문(1)은 상기 록킹구(31)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기 걸고리(20)가 록킹구(31)의 끝단을 지나게 되면, 자유로워진 록킹구(31)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걸고리(20)는 록킹구(31)에 의해 록킹이 되므로, 미닫이문(1)은 잠금 상태가 되어 개방이 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미닫이문(1)이 문틀(5) 측으로 밀착될 시, 돌출편(50)이 문틀(5)의 삽입구(52)에 삽입되며, 상기 록킹구(31)의 연장편(32)과 결합된 록킹봉(40)이 록킹구(31)의 상승에 의해 일체로 상승한 후, 다시 상기 록킹구(31)의 하강에 의해 일체로 하강하면서 상기 돌출편(50)의 관통공(51)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 작동구(30)의 잠금과 함께 2중으로 잠금이 된다. 또한, 상기 록킹봉(40)이 하강할 시, 하부에 결합된 스프링 등의 탄성체(54)가 완충작용을 하여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문틀(5)의 압지구(65)에 의해, 반동장치(60)의 함체(61) 내에 구비된 탄성체(64)가 압축되어 탄지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잠금된 미닫이문(1)을 해정하여 개방하고자 하면, 별도로 구비된 제어부(33)의 스위치 또는 카드리드기 등을 제어하여, 상기 개폐 작동구(30)의 작동을 인가하면, 솔레노이드 밸브의 플런져가 삽입됨에 따라 록킹구(31)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고리(20)는 록킹이 해제되어 미닫이문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구(31)가 상승함에 따라 돌출편(50)에 결합되어 있던 록킹봉(40)이 상승하면서 이 부분도 해정이 된 상태로 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 작동구(30)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의해 록킹구(31)가 상승하여, 상기 걸고리(20)가 자유로워짐과 동시에 반동장치(60)가 함체(61)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64)의 탄성에 의해 순간적으로 반동이 되어 문틀(5)과 밀착되어 있던 미닫이문(1)이 일정 간격만큼 이격이 되고, 걸고리(20)는 상기 록킹구(31)의 하측 또는 상기 록킹구(31)를 지나쳐서 후측에 위치하게 되며, 돌출편(50)도 문틀(5)의 삽입구(52)에서 인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닫이문(1)이 록킹구(31)의 후측을 지나쳐서 상기 록킹구(31)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일체로 결합된 록킹봉(40)도 하강하여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구(31)의 전측과 걸고리(20)에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미닫이문(1)을 잠근 상태에서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하지 않고, 비정상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걸고리(20)와 록킹구(31)의 전측이 일정 시간 이상 단락이 되게 되면, 별도의 싸이렌 등의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미닫이문(1)에 창살(2)과 함께 결합된 유리창(3)은 상기 미닫이문(1)이 잠겨 있거나 개방된 상태이거나 상관없이 별도로 개방이 가능한 바, 유리창(3)을 당기면 상기 유리창(3) 위에 구비된 롤러(72)가 상부 지지대(11)의 가이드레일(71)을 타고 유리창(3)만 개방이 가능하게 되어, 창살(3)에 의해 방범의 목적은 유지한 채 환기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미닫이문을 잠그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이루어지며, 아울러, 상부의 잠금 및 측면의 잠금이 이중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확실한 잠금상태가 되므로, 방범이 확실함은 물론, 교도소 등에서는 재소자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창살이 설치된 미닫이문의 목적인 방범 및 보안 등을 위해 출입의 차단을 유지한 채 유리창만을 개방 가능하므로 환기 및 난방이 가능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Claims (6)

  1. 문틀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문의 상부 지지대 상측에 결합되며, 전측으로 만곡된 슬라이딩면이 형성되는 걸고리와;
    상기 문틀의 상부에 결합되며, 후측으로 만곡된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록킹구가 상,하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개폐 작동구와;
    상기 문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작동구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록킹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미닫이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구의 전측과 연장되는 연장편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편에는 상,하로 긴 형태의 록킹봉이 결합되고, 상기 미닫이문의 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돌출편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록킹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록킹봉이 돌출편의 관통공에 잠금 또는 해정되어 미닫이문을 이중으로 잠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미닫이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문의 상부 지지대 상측에는
    상기 록킹장치가 해정될 때 미닫이문이 일정 거리만큼 스스로 슬라이딩 되도록 반동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미닫이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봉의 하부에는 완충 스프링이 탄성 결합되어 록킹봉의 하강시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미닫이문.
  5. 삭제
  6. 삭제
KR1020040025930A 2004-04-14 2004-04-14 방범용 미닫이문 KR100462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930A KR100462120B1 (ko) 2004-04-14 2004-04-14 방범용 미닫이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930A KR100462120B1 (ko) 2004-04-14 2004-04-14 방범용 미닫이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2120B1 true KR100462120B1 (ko) 2004-12-17

Family

ID=37383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930A KR100462120B1 (ko) 2004-04-14 2004-04-14 방범용 미닫이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12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83B1 (ko) 2008-01-28 2008-08-26 박명식 전자파 차폐룸용 차폐도어
WO2009119986A1 (ko) * 2008-03-28 2009-10-01 Sin Jae-Hyeok 미닫이문의 무단 열림 방지용 고정장치
KR200448881Y1 (ko) 2008-05-22 2010-05-31 (주)관동건업 여닫이문의 방범구조
KR101031232B1 (ko) 2008-12-23 2011-04-29 (주)관동건업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KR101332401B1 (ko) 2012-04-12 2013-11-25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호 잠금장치
KR101383459B1 (ko) 2012-06-20 2014-04-08 한국산업은행 철도차량 객실 통로문 시스템
KR101383497B1 (ko) 2012-07-03 2014-04-17 한국산업은행 벨트구동식 철도차량용 도어 개폐장치
KR20160077599A (ko) 2014-12-24 2016-07-04 이청종 방범용 여닫이문의 결합구조
KR101918809B1 (ko) 2016-02-02 2018-11-14 조병하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83B1 (ko) 2008-01-28 2008-08-26 박명식 전자파 차폐룸용 차폐도어
WO2009119986A1 (ko) * 2008-03-28 2009-10-01 Sin Jae-Hyeok 미닫이문의 무단 열림 방지용 고정장치
KR200448881Y1 (ko) 2008-05-22 2010-05-31 (주)관동건업 여닫이문의 방범구조
KR101031232B1 (ko) 2008-12-23 2011-04-29 (주)관동건업 오작동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KR101332401B1 (ko) 2012-04-12 2013-11-25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호 잠금장치
KR101383459B1 (ko) 2012-06-20 2014-04-08 한국산업은행 철도차량 객실 통로문 시스템
KR101383497B1 (ko) 2012-07-03 2014-04-17 한국산업은행 벨트구동식 철도차량용 도어 개폐장치
KR20160077599A (ko) 2014-12-24 2016-07-04 이청종 방범용 여닫이문의 결합구조
KR101918809B1 (ko) 2016-02-02 2018-11-14 조병하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120B1 (ko) 방범용 미닫이문
WO2014094071A1 (en) Latch mechanism
KR100718290B1 (ko) 자동방범기능을 갖춘 건축용 창구조
KR100783420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100919233B1 (ko) 개폐정도 유지 및 방범기능을 갖는 미서기용 창문
US11795743B2 (en) Security device
KR101645522B1 (ko) 방범기능을 갖춘 실내용 개폐문틀
KR200246124Y1 (ko) 출입문용 방범창
KR20090089227A (ko) 길이가 조절되는 문의 잠금장치
KR200182658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CN115162922B (zh) 一种集成式多功能门
KR101161676B1 (ko) 현관문
KR20000019120U (ko) 자동문의 비상 개방장치
KR200386711Y1 (ko) 창문용 잠금장치
KR101172417B1 (ko) 창문용 록킹장치
KR200385530Y1 (ko) 이동식 방범창
CN219826531U (zh) 一种窗户防火锁的自锁结构及门窗
KR200397160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KR20060096235A (ko) 이동식 방범창
US4409757A (en) Security latch assembly
KR200357498Y1 (ko) 이동식 방범창
KR200192853Y1 (ko) 미닫이 창문의 열림 제어장치
KR200307287Y1 (ko) 미닫이 샤시문의 보조 잠금창치
KR102442051B1 (ko) 잠김방지 기능을 갖는 창호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