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676B1 - 현관문 - Google Patents

현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676B1
KR101161676B1 KR1020090075362A KR20090075362A KR101161676B1 KR 101161676 B1 KR101161676 B1 KR 101161676B1 KR 1020090075362 A KR1020090075362 A KR 1020090075362A KR 20090075362 A KR20090075362 A KR 20090075362A KR 101161676 B1 KR101161676 B1 KR 101161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auxiliary door
auxiliar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738A (ko
Inventor
윤형구
Original Assignee
윤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구 filed Critical 윤형구
Priority to KR102009007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6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8Hasp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8Window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관문에 마련되는 방범창을 개폐하는 보조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는 주거 외부에 있는 사람이 주거 내부로 출입할 수 없도록 하는 현관문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은 방범창이 마련되어 주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방범창을 개폐하는 보조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현관문, 방범창, 방충망

Description

현관문{Front door}
본 발명은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문에 마련되는 방범창을 개폐하는 보조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는 주거 외부에 있는 사람이 주거 내부로 출입할 수 없도록 하는 현관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문은 아파트, 사무실 또는 단독주택 등의 주거에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출입구의 한쪽에 힌지 결합되어 출입구를 개폐한다.
근래에는 아파트, 사무실 또는 단독주택 등 주거에 출입권한이 없는 자가 출입하는 주거침입을 예방하기 위해, 현관문의 상부에 투시 창이 구비되어 내부에서 밖의 상황을 살펴보고, 밖의 상황에 따라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현관문이 출시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현관문에 구비되는 투시 창을 통해 볼 수 있는 공간이 작아 주거 밖의 방문객을 확인하는 데에 제약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7278호에는 현관문 중앙의 실외 패널에 일정 크기로 고정된 창살의 방범창과 방범창을 개폐하는 방범 문이 구비된 현관문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된 공보에서 개시되는 현관문은 주거침입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현관문이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주거내부에 있는 사람이 외부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방범창을 개방한 경우라도 주거외부에 있는 사람은 쉽게 현관문을 개방하여 주거침입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범창을 개폐하는 보조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는 현관외부에 있는 사람이 주거 내부로 출입할 수 없도록 하는 현관문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범창이 마련되어 주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방범창을 개폐하는 보조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범창에 설치되는 꽃무늬가 표현된 문양 살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문양살은 상기 주거의 외부 측으로 볼록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방범창과 대응되는 형상과 상기 방범창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방범창의 주거 내부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방충망으로 상기 방범창을 가리기 위한 방충망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충망 유닛은 상기 방충망을 감기위한 권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방충망이 감기는 권취봉과 상기 방충망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권취봉을 회전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은 상기 방범창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지며 상기 방범창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에 설치된 프레임의 걸쇠 홈에 삽입가능 한 걸쇠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걸쇠 홈에 상기 걸쇠를 삽입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도어의 폐쇄 힘에 의해 상기 걸쇠를 상기 걸쇠 홈으로부터 탈거시키는 걸쇠탈거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걸쇠탈거부재는, 상기 보조도어에 의한 폐쇄 힘의 방향을 상기 걸쇠가 상기 걸쇠 홈 방향으로 변경하는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와, 상기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방향을 반전하여 상기 걸쇠에 전달하는 보조도어 폐쇄 힘 반전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도어 폐쇄 힘 반전부재는 그 중심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걸쇠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과, 상기 보조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잠그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보조도어 개폐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도어 개폐감지센서가 상기 보조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보조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도어의 양측에 마련된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회전하는 보조도어 개폐모터와, 상기 제어부에 상기 보조도어 개폐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도어 개폐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보조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보조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잠근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에 의해, 방범창을 개폐하는 보조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는 주거 외부에 있는 사람이 주거 내부로 출입하지 못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에 의해, 환기를 위해 방범창이 개방된 경우 방충망에 의해 방범창이 가려져 주거 외부에 있는 해충이 주거 내부로의 진입하지 못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은 아파트 등 주거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방범창(210)이 마련되며 프레임(100)의 한쪽에 경첩으로 결합되는 도어(200)와, 도어(200)에 설치되어 방범창(210)을 주거 내부 측에서 개폐하는 보조도어(220)와, 도어(200)에 설치되어 방범창(210)을 방충망(411)으로 가리는 방충망 유닛(400) 및 보조도어(220)가 개방됨에 따라 도어(200)를 잠그는 잠금장치(300)를 포함한다.
도어(200)는 일반적인 철재로 구현되어 한쪽이 경첩(201)에 의해 프레임(100)의 한쪽에 결합된다. 경첩(201)은 도어(200)가 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복수개로 구현된다. 경첩(201)은 도어(200)의 고정 단이 되어 도어(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도어(200)는 회동되어 주거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경첩(201)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 쪽의 도어(200)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도 어 손잡이(230)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도어 손잡이(230)를 회전하여 도어(200)를 당기거나 밀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어 손잡이(230)에는 열쇠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20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락(250)이 마련된다.
도어 손잡이(230)의 인근에는 보조 도어락(250)이 더 마련되고, 이 보조 도어락(250)은 도어(200)의 잠김 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높인다.
방범창(210)에는 문양살(260)이 설치된다. 문양살(260)은 주거의 내부공기가 주거 외부로 이동하게 하거나 주거 외부공기가 주거 내부로 이동하게 하여, 주거 내부가 환기되도록 한다. 그리고 문양살(260)은 꽃무늬 등의 문양을 가지며, 이 문양은 주거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거부감을 감소시키며 친근감을 준다. 나아가서, 문양살(260)은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20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현되어 주거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부드러운 이미지를 더 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문양살(260)은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문양살(260)이 방범창(210)에 결합되는 부분 즉, 문양살(260)의 테두리부분이 문양살(260)의 중앙 쪽을 경사지게 상승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문양살(260)의 문양은 주거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친근감을 주거나 거부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하는 어떤 문양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보조도어(220)는 도어(200) 즉, 방범창(210)의 일 측에 보조도어 경첩(222)에 의해 결합되며, 보조도어(220)를 당기거나 밀 수 있도록 하는 보조도어 손잡이(223)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도어(220)는 사용자가 보조도어 손잡이(223)를 당기거나 미는 힘에 의해 방범창(210)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또한, 보조도어 손잡 이(220)는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조도어(220)의 내면 즉, 보조도어(220)가 방범창(210)을 폐쇄 경우 주거 내부에서 보조도어(220)가 보이는 면에는 손잡이 홈이 마련되고, 손잡이 홈에 보조도어 손잡이(2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도어(220)의 내면이 미려해진다.
보조도어(220)의 외면 즉, 보조도어(220)가 방범창(210)을 폐쇄한 경우 방범창(210)에 접하는 면은 도어(200)의 외면과 동일한 색상 및 질감이도록 마련된다. 또한, 보조도어(220)의 외면은 열 강화유리 또는 원목문양이 있는 필름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도어(220)가 방범창(220)을 폐쇄한 경우 주거 외부에 있는 사람은 도어(200)와 보조도어(220)가 일체인 것으로 느끼게 되어, 주거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거부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보조도어(220)는 방범 창(210)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방범창(210)보다 크게 마련되고, 이렇게 마련되는 이유는 보조도어(220)의 외면이 도어(200)의 외면과 동일한 색상 및 질감이도록 마련되는 이유와 같다.
잠금장치(300)는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200) 내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360)에 의해 안내되어 프레임(100)에 마련되는 걸쇠 홈(370)에 삽입되는 걸쇠(340), 걸쇠(340)를 걸쇠 홈(370)쪽으로 미는 스프링(350) 및 보조 도어(220)가 폐쇄됨에 따라 발생하는 폐쇄 힘에 의해 걸쇠(340)를 걸쇠 홈(370)으로부터 탈거시키는 걸쇠탈거 부재(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걸쇠탈거 부재(320)는 보조도어(220)가 닫히는 동안 발생한 보조도어 폐쇄 힘을 전달하며 이 힘의 방향을 걸쇠(340)가 걸쇠 홈(370)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꾸는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 재(320)와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321)에 의해 전달되는 힘의 방향을 반전하여 걸쇠(340)에 전달하는 보조도어 폐쇄 힘 반전부재(330)를 포함한다.
걸쇠(340)는 일반적인 막대기 형상의 철재로 구현된다. 도어(200)가 주거의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걸쇠(340)가 걸쇠 홈(370)에 삽입되면 도어(200)는 잠기게 된다. 즉, 도어(200)는 도어 손잡이(230)를 통해서도 개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스프링(350)은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고, 도어(100)의 내부에서 걸쇠(340)의 후 측 즉, 걸쇠(340)가 걸쇠 홈(320) 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뒤쪽에 마련되는 스프링 하우징(331)에 수용된다. 이러한 스프링(350)은 걸쇠(340)가 보조도어 폐쇄 힘 반전부재(330)로부터 힘을 전달 받지 않는 경우, 걸쇠(340)를 밀어 걸쇠(340)가 걸쇠 홈(370)에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스프링(350)의 탄성력은 걸쇠(340)가 보조도어 폐쇄 힘 반전부재(330)로부터 힘을 전달받는 경우 수축될 정도로 설계된다.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321)는 일부가 방범창(210)에 노출되도록 하여 도어(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321)는 보조도어가 닫히는 경우 보조도어(220)에 접촉되어 프레임(100) 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러한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321)의 일 측에는 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 가이드(310)가 더 마련된다.
보조도어 폐쇄 힘 반전부재(330)는 그 중심이 도어(2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은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321)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걸 쇠(340)에 연결된다. 따라서 보조도어 폐쇄 힘 반전부재(330)는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350)로부터 힘을 받으면 회전되어,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350)로부터 전달받은 힘을 이 힘의 반대 방향으로 바꾸어 걸쇠(340)로 전달한다.
방충망 유닛(400)은 방범창(210)의 상방에 설치되는 권취부(430)와 권취부(430)에 감기는 방충망(410)을 포함한다.
권취부(430)는 권취봉(431)과 권취봉(431)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복원력이 증가하는 스파이럴 스프링(432)으로 이루어진다. 권취봉(431)은 방범창(210)의 상부 도어(200)의 내부에서 방범창(210)의 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파이럴 스프링(432)의 내측 단은 권취봉(431)에 연결되고, 외측 단은 도어(200) 내부에 고정된다.
방충망(410)은 해충 즉, 모기가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섬세한 그물로 구현된다. 방충망(2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그 폭(D2)이 방범창(210)의 폭(D1)보다 크고, 그 길이가 방범창(210)의 길이(L)보다 길게 구현되고, 이에 따라 방범창(210) 전부를 가릴 수 있게 된다. 방충망(410)의 일단은 권취봉(432)에 연결되고, 타단은 막대기 모양을 가지는 방충망 손잡이(411)에 연결된다. 방충망 손잡이(411)의 양단은 방범창(210)의 양측에 마련되는 방충망 가이드 홈(420)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충 망 유닛(400)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방충망 손잡이(411)를 당기어 방범창(210)을 가릴 수 있고, 당기는 것을 해제하여 방충망(410)이 권취부(430)의 권취 봉(432)에 감기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의 방충망 유닛과 잠금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방충망 유닛(400)의 작용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보조도어 손잡이(223)를 이용하여 보조 도어(220)를 개방방향(O1)으로 당기면 방범창(210)은 개방된다. 그리고 방충망 손잡이(411)를 아래도 당긴다. 이렇게 하면, 스파이럴 스프링(431)의 복원력이 커지면서 권취봉(432)이 회전되어 방충 망(410)은 권취봉(432)으로부터 풀린다. 이어서, 방충망 손잡이(411)를 계속하여 방범창(210)의 하단까지 당긴 후에 방충망 손잡이(411)에 마련된 고정 후크(412)를 방범창(210)의 하단에 마련되는 고정 고리(413)에 건다. 이렇게 하면, 방충 망(410)은 방범창(210) 전체를 가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고정 후크(412)를 고정 고리(413)로부터 해제 하면 스파이럴 스프링(431)에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방충 망(411)은 다시 권취 봉(432)에 감기면서 방충 망(411)은 걷어진다.
위와 같이, 방충 망(410)이 방범 창(210)을 완전히 가린 상태가 되면, 주거의 내외 공기가 문양 살(250)을 통과하여 주거 내부가 환기됨과 동시에 주거 외부에 있는 모기 등의 해충이 주거 내부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잠금장치(300)의 작용 중 도어(200)를 푸는 작용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보조도어(220)를 닫으면 보조도어(220)는 보조도어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갖는 보조도어 폐쇄 힘(FD1)을 발생한다. 이 보조도어 폐쇄 힘은 보조도어(220)와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320)가 접촉함으로써 보조도어 힘 변경부재(320)에 전달된다. 보조도어 폐쇄 힘을 전달 받은 보조도어 힘 변경부 재(320)는 프레임(100) 쪽을 향하는 이동하여 프레임(100)을 향한 프레임 방향 힘을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프레임 방향 힘은 보조도어 폐쇄 힘 반전부재(330)를 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걸쇠(340)에 전달된다. 이 회전력은 걸쇠(340)를 후진하도록 하여 걸쇠(340)가 걸쇠 홈(370)으로부터 탈거되도록 한다. 이로써, 걸쇠(340)는 걸쇠 홈(370)에서 빠지게 되어, 도어(200)가 프레임(100)으로부터 풀린 상태가 된다. 한편, 이런 작동 중에 걸쇠(340)가 후진하면서 발생한 걸쇠 후진 힘은 스프링(350)에 저장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잠금장치(300)의 작용 중 도어(200)를 잠그는 작용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보조도어(220)를 보조도어 손잡이(223)를 개방하면, 보조도어 폐쇄 힘에 의한 보조도어 폐쇄 힘 반전부재(330)의 회전력이 없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350)의 복원력은 걸쇠(340)에 전달되어, 걸쇠(340)는 프레임(100)쪽으로 이동되어 걸쇠 홈(370)에 삽입된다. 이로써, 도어(200)는 프레임(100)에 잠기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를 참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현관은 보조도어(510)가 전동식 보조도어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고, 잠금장치가 전자식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보조도어 개폐장치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보조도어 개폐장치는, 도 12 및 도 13에서 도시되 는 바와 같이, 방범창(210)의 양측에 마련되는 보조도어 가이드(560)에 슬라이딩되어 방범창(210)을 개폐하는 보조도어(510)와, 보조도어(510)의 양측에 마련되는 랙(511)과, 랙(511)에 맞물리는 피니언(521)과, 피니언(521)을 회전하는 보조도어 개폐 모터(520), 및 보조도어 개폐 모터(52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500)에는 입력부(530)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부(530)를 통해 제어부(500)에 보조도어 폐쇄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500)는 보조도어 개폐모터(520)를 제어하여 보조도어(510)가 방범창(210)을 폐쇄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50))가 보조도어 개폐모터(520)를 폐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피니언(521)은 폐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피니언(521)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521)에 맞물리는 랙(521)이 보조도어 폐쇄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조도어(510)가 방범창(210)을 폐쇄한다. 반면, 사용자가 입력부(530)를 통해 제어부(500)에 보조도어 개방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500)는 보조도어 개폐모터(520)를 제어하여 보조도어(510)가 방범창(210)을 개방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500)가 보조도어 개폐모터(520)를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피니언(521)은 개방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피니언(521)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521)에 맞물려 있는 랙(511)이 보조도어 개방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조도어(510)가 방범창(210)을 개방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잠금장치는 도어(200)에 설치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디지털 도어 락(540)과 디지털 도어락(54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500)의 입 력측에는 입력버튼(531)을 구비한 입력부(530)가 제공되고, 출력측에는 보조도어 개폐모터(520)가 제공된다.
제어부(500)는 보조도어(510)가 개방되는 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540)에 신호를 제공하여 디지털 도어락(540)이 도어(200)를 잠그거나 풀도록 한다. 즉, 보조도어(51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00)는 디지털 도어락(540)에 잠금 신호를 제공하여 디지털 도어락(540)이 도어(220)를 잠그도록 한다. 반면, 보조도어(510)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00)는 디지털 도어락(540)에 풀림 신호를 제공하여 디지털 도어락(540)이 도어(220)를 풀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500)가 보조도어(220)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입력부(530)를 통하여 입력되는 보조도어 개방신호 또는 폐쇄신호이다. 그리고 보조도어(220)의 개폐를 감지하는 보조도어 개폐감지센서가 더 마련되고, 이로부터 입력되는 보조도어 개폐신호의 입력을 분석하는 방법이 제어부(500)가 보조도어(220)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례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을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의 보조도어 손잡이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의 잠금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의 방충망 유닛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의 문양 살의 변형 예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의 문양 살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용 중 도어 품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용 중 도어 잠금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방충 망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현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200: 도어
210: 방범창 260: 문양 살
300: 잠금장치 400: 방충 망
500: 제어부 520: 보조도어 개폐모터
530: 입력부 540: 디지털 도어락

Claims (14)

  1. 방범창이 마련되어 주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방범창을 개폐하는 보조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현관문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에 설치된 프레임의 걸쇠 홈에 삽입가능하도록 마련된 걸쇠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걸쇠를 상기 걸쇠 홈에 삽입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도어의 폐쇄 동작시 상기 보조도어의 폐쇄 힘에 의해 상기 걸쇠를 상기 걸쇠 홈으로부터 탈거시키는 걸쇠탈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탈거부재는 상기 걸쇠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걸쇠 일측에 상기 걸쇠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보조도어의 폐쇄 동작시에는 상기 보조도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보조도어에 밀려 상기 걸쇠 홈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보조도어의 개방 동작시에는 상기 보조도어와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마련된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와,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걸쇠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보조도어의 폐쇄 동작시에는 상기 걸쇠가 상기 걸쇠 홈으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걸쇠를 상기 보조도어 폐쇄 힘 변경부재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보조도어의 개방 동작시에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걸쇠 홈 쪽으로 삽입되도록 이동하는 상기 걸쇠의 이동 동작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보조도어 폐쇄 힘 반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창에 설치되는 꽃무늬가 표현된 문양 살을 더 포함하는 현관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살은 상기 주거의 외부 측으로 볼록한 현관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방범창과 대응되는 형상과 상기 방범창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방범창의 주거 내부 측에 배치되는 현관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방충망으로 상기 방범창을 가리기 위한 방충망 유닛을 더 포함하는 현관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 유닛은 상기 방충망을 감기위한 권취부를 포함하는 현관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 상기 방충망이 감기는 권취봉과 상기 방충망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권취봉을 회전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는 현관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은 상기 방범창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지며 상기 방범창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현관문.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075362A 2009-08-14 2009-08-14 현관문 KR101161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362A KR101161676B1 (ko) 2009-08-14 2009-08-14 현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362A KR101161676B1 (ko) 2009-08-14 2009-08-14 현관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738A KR20110017738A (ko) 2011-02-22
KR101161676B1 true KR101161676B1 (ko) 2012-07-03

Family

ID=4377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362A KR101161676B1 (ko) 2009-08-14 2009-08-14 현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19B1 (ko) * 2011-12-13 2014-01-09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방범도어가 구비된 현관출입문
CN106593202A (zh) * 2016-12-23 2017-04-26 安徽景昌铝业有限公司 一种三合一入户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931Y1 (ko) 1997-03-17 2000-01-15 송천길 현관문에 설치되는 배달물 수취용 방범문
KR200288712Y1 (ko) * 2002-06-20 2002-09-11 서옥희 방범창을 가진 도어
KR200316822Y1 (ko) * 2003-03-12 2003-06-18 황원학 보조도어 기능을 갖는 현관문
KR200340875Y1 (ko) * 2003-11-25 2004-02-05 지창규 출입문용 방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931Y1 (ko) 1997-03-17 2000-01-15 송천길 현관문에 설치되는 배달물 수취용 방범문
KR200288712Y1 (ko) * 2002-06-20 2002-09-11 서옥희 방범창을 가진 도어
KR200316822Y1 (ko) * 2003-03-12 2003-06-18 황원학 보조도어 기능을 갖는 현관문
KR200340875Y1 (ko) * 2003-11-25 2004-02-05 지창규 출입문용 방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738A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20180132368A1 (en) Access device housing with deployable cover for user interface
KR200450395Y1 (ko) 손끼임 방지 안전 도어
JP4875953B2 (ja) 開閉手段を備える開口部装置
KR101161676B1 (ko) 현관문
JP2011058250A (ja) 扉装置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100462120B1 (ko) 방범용 미닫이문
JP4613119B2 (ja) 開閉ドア
KR200381606Y1 (ko) 방충망 잠금 장치
KR200246124Y1 (ko) 출입문용 방범창
JP6841432B2 (ja) 複合型引き違いサッシ
KR200294880Y1 (ko)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101053302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200386711Y1 (ko) 창문용 잠금장치
KR20120105083A (ko)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102286550B1 (ko) 안전용 출입문장치
KR101031112B1 (ko)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KR102267619B1 (ko)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KR200219628Y1 (ko)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현관문
KR200306007Y1 (ko)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KR101122311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KR200463601Y1 (ko) 자동 미닫이문 장치
KR20010069373A (ko) 가변 프레임의 이중 보안 자동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