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112B1 -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 Google Patents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112B1
KR101031112B1 KR1020090033348A KR20090033348A KR101031112B1 KR 101031112 B1 KR101031112 B1 KR 101031112B1 KR 1020090033348 A KR1020090033348 A KR 1020090033348A KR 20090033348 A KR20090033348 A KR 20090033348A KR 101031112 B1 KR101031112 B1 KR 101031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auxiliary
locking unit
safety devic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786A (ko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천마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마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천마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09003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11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mprising a flexible member, e.g.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에 대한 것으로 도어에 구비된 모티스(mortise), 상기 모티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스트라이크 (strike), 상기 모티스 또는 상기 스트라이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설정된 길이로 돌출하는 보조 잠금 유닛, 상기 보조 잠금 유닛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탄성부 및 상기 모티스 또는 상기 스트라이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보조 잠금 유닛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잠금 유닛과 결합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하며,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지 않고 안전하게 도어를 일부만 개방할 수 있어 침입자 등으로부터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도어락, 디지털 도어락, 안전 고리,

Description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DOOR LOCK PROVIDED WITH SUPPLEMENTAL SAFTY UNIT}
본 발명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안전 유닛이 구비되어 도어를 일부만 개방할 수 있어 외부 침입자 등으로부터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금 장치의 일종인 도어락(Door Lock)은 일반 주택 또는 아파트나 기업체나 연구소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도어락은 래치 볼트(Latch Bolt)와 데드 볼트(Dead Bolt)를 내측에 구비한 모티스(Mortis)가 사용되는데,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가 모티스의 측면에 돌출될 수 있는 구조로 장착되며, 도어의 핸들과 회전 노브 등에 의해 조작되어 스트라이이크의 홈과 결합하여 도어를 된다.
그리고 통상적인 도어락은 키를 도어락에 삽입하여 돌림으로써 잠금 및 해제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기계적인 방식과, 도어락의 내부에 마련된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을 구동시켜 잠금 및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적인 방식(디지털 도 어락)으로 분류된다. 특히 전자식 도어락은 전자카드, 지문인식, 비밀번호 입력 등을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하여 만능키나 복제열쇠로 도어를 개방하기가 쉽지 않고 개별적으로 사용자가 키를 소지할 필요가 없어 그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위와 같은 일반적인 도어락의 구조는 실내측 도어에 설치되는 내부케이스, 실외측 도어에 설치되는 외부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모티스(Mortise)로 구성되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에는 모티스를 작동시켜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핸들이 구비되어, 그 내부에는 도어의 록(Locking) 또는 언록(Unlocking)에 따라 모티스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가 내장된다.
상기 모티스는 전기입력 신호 또는 키(Key)를 통해 구동되는 구동장치를 작동하여 데드 볼트를 작동하여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거나 이탈되도록 한다.
도13은 일반적인 도어에 장착하는 안전 고리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안전 고리는 거주자 등이 방문객 등이 방문시 도어를 일부만 개방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거나 기타 환기 등을 위해 도어를 안전하게 일부만 개방할 할 수 있어 거주자 등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특히 현재 그 사용이 증가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경우, 안전 고리 등이 별도로 장착되지 않아 보안에 충분히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전 고리는 잠금 장치와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 또한 별도로 해야 하는 불 편이 있고, 별도 설치시 비용이 증가하며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락에 안전 고리를 구비하여 안전하게 도어를 일부만 개방할 수 있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설치가 간단하여 생산 비용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은 도어에 구비된 모티스(mortise), 상기 모티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스트라이크 (strike), 상기 모티스 또는 상기 스트라이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설정된 길이로 돌출하는 보조 잠금 유닛, 상기 보조 잠금 유닛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탄성부 및 상기 모티스 또는 상기 스트라이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보조 잠금 유닛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잠금 유닛과 결합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은 그 일단에 상기 걸림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헤드(hea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은 상기 헤드와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감겨진 스크롤 및 상기 스크롤 및 상기 와이어가 구비되는 보조 잠금 유닛 케이스를 포함 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스크롤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스크롤에 감기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은 상기 헤드와 연결된 연결 몸체, 상기 연결 몸체와 연결되는 결합 핀이 구비된 보스 및 상기 연결 몸체와 상기 보스가 구비되며, 상기 보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보조 잠금 유닛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를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구비된 리턴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는 체인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모티스에는 도어를 여닫을 때 상기 헤드가 간섭되지 않도록 헤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헤드와 결합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헤드가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삽입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헤드가 원활히 삽입되도록 경사부가 상기 삽입 슬롯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걸림 유닛과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이 결합된 후 상기 헤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부가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락은 전자식 디지털 도어락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은 수동식 도어락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은 도어락에 안전하게 도어를 일부만 개방할 수 있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되며, 그 설치가 간단하여 생산 비용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보조 안전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와 도어락의 보조 안전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보조 안전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도어를 연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10)은, 도어(1)에 구비된 모티스(mortise; 30), 상기 모티스(30)에 대응하는 위치, 즉, 도어 프레임 또는 벽(2)에 구비되는 스트라이크 (strike; 50), 상기 스트라이크(50)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설정된 길이로 돌출하는 보조 잠금 유닛, 상기 보조 잠금 유닛에 복원력을 제공 하도록 구비된 탄성부 및 상기 보조 잠금 유닛에 대응하여, 즉, 상기 모티스(30)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잠금 유닛과 결합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은 그 일단에 상기 걸림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헤드(head; 51), 상기 헤드(51)와 연결된 와이어(53), 상기 와이어(53)가 감겨진 스크롤(55)와 상기 스크롤(55) 및 상기 와이어(53)가 구비되는 보조 잠금 유닛 케이스(5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가 상기 스크롤(55)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53)가 상기 스크롤(55)에 감기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57)으로 한다.
상기 걸림 유닛은, 도7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51)와 결합하는 걸림부(41)가 형성된 걸림쇠(4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41)에는 상기 헤드(51)가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삽입 슬롯(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 슬롯(43) 내측에는 상기 헤드(51)가 원활히 삽입되도록 경사부(45)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걸림 유닛과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이 결합된 후 상기 헤드(5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부(41)가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도3 참조).
상기 모티스(30)에는 상기 도어(1)를 여닫을 때 상기 헤드(51)가 간섭되지 않도록 헤드 가이드부(33)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 가이드부(33)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가 열리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31은 모티스 커버로 상기 모티스(30)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모티스(30)를 장착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티스 커버(31)가 사용될 경우는 상기 헤드 가이드부(33)가 상기 모티스 커버(31)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31)의 작동이 OFF 상태가 되면, 상기 걸림쇠(40)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도4에 도시된 데드 볼트(61)와 랫치 볼트(63)가 각각 상기 핸들(11)이나 미도시한 보조 스위치의 작동이나, 또는 디지털 도어락의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작동에 의해 도9에 도시된 상기 스트라이크(50)의 걸림홈(71)에 결합 또는 해제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1)를 여닫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위치(31)의 작동이 OFF 상태가 되면 일반적인 상태로 상기 도어(1)을 여닫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실내에서 외부 방문객 등을 확인 하는 등의 이유로 상기 도어(1)을 일부만 안전하게 열기를 원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31)를 ON 상태로 하게 된다 (도 5 참조).
그러면, 도5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31)와 연결된 보조 잠금 키 실린더(32)가 상기 걸림쇠(40)를 돌출시키고, 상기 헤드(51)가 상기 걸림쇠(40)의 상기 삽입 슬롯(43)에 안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1)를 열게 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1)가 상기 삽입 슬롯(4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53)가 상기 도어(1) 를 따라 돌출되며, 상기 와이어(53)의 길이에 구속되어 상기 도어(1)가 일부만 열리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내 거주자 등은 외부 방문객 등을 안전하게 확인 하거나, 실내 환기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53)는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금속 소재 등 절단이 용이하지 않은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도어(1)를 완전히 개방하기를 원하게 되면, 상기 도어를 다시 닫고 (도2 참조), 상기 스위치(31)를 OFF 상태로 하여 상기 걸림쇠(40)를 원위치 시킨 후, 상기 도어(1)를 열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45)에 의하여 상기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헤드(51)와 상기 걸림쇠(40)가 쉽게 결합하게 되고, 상기 걸림부(41)가 상기 도어(1)가 열리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상기 도어(1)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헤드(51)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면에는 기계식의 스위치(31)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전자식 스위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1, 도4 및 도8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모티스(30)에 일체로 형성되며, 도1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이 상기 스트라이크(50)에 일체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은 보조 안전 장치를 따로 구입 및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전체 제작 단가 및 설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외관도 종래의 도어에 비하여 깔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모티스(30)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이 상기 스트라이크(50)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은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고, 반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스트라이크(50)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이 상기 모티스(3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도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상기 설명과 도면을 통해 실시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스트라이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보조 잠금 유닛 케이스와 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보조 안전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도어를 연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과 비교하여 보조 잠금 유닛을 제외한 구성과 작동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하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의 보조 잠금 유닛은 상기 헤드(51)와 연결된 연결 몸체(81), 상기 연결 몸체(81)와 연결되는 결합 핀(83)이 구비된 보 스(85) 및 상기 연결 몸체(81)와 상기 보스(85)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 핀(83)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87)가 형성된 보조 잠금 유닛 케이스(89)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를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구비된 리턴 스프링(91)으로 한다.
상기 연결 몸체는 체인(81)으로 할 수 있고,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금속 재료로 형성된 체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81)은 상기 걸림부(87)에 구속되는 상기 보스(85)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만 외부로 돌출되어 실내 거주자 등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스트라이크(50)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이 상기 모티스(3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도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상기 설명과 도면을 통해 실시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의 작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의 작동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은 전자식 디지털 도어락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수동식 즉, 기계식 도어락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또한 제작 단가 및 설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미관상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 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보조 안전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보조 안전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보조 안전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도어를 연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모티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보조 안전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보조 안전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걸림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모티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스트라이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스 트라이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보조 잠금 유닛 케이스와 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의 보조 안전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도어를 연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13은 일반적인 안전 고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어 2: 벽
10: 도어락 11: 핸들
30: 모티스 31: 스위치
32: 보조 잠금 키 실린더 33: 헤드 가이드부
40: 걸림쇠 41: 걸림부
43: 삽입 슬롯 45: 경사부
50: 스트라이크 51: 헤드
53: 와이어 55: 스크롤
57: 토션 스프링 59: 보조 잠금 유닛 케이스
61: 데드 볼트 63: 랫치 볼트
71: 걸림홈 81: 체인
83: 결합 핀 85: 보스
87: 걸림부 89: 보조 잠금 유닛 케이스
91: 리턴 스프링

Claims (12)

  1. 도어에 구비된 모티스(mortise);
    상기 모티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스트라이크 (strike);
    상기 스트라이크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설정된 길이로 돌출하는 보조 잠금 유닛;
    상기 보조 잠금 유닛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탄성부; 및
    상기 보조 잠금 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모티스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잠금 유닛과 결합하는 걸림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은
    그 일단에 상기 걸림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헤드(head)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헤드와 결합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걸림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은
    상기 헤드와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감겨진 스크롤; 및
    상기 스크롤 및 상기 와이어가 구비되는 보조 잠금 유닛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스크롤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스크롤에 감기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4. 제1항에서,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은
    상기 헤드와 연결된 연결 몸체;
    상기 연결 몸체와 연결는 결합 핀이 구비된 보스; 및
    상기 연결 몸체와 상기 보스가 구비되며, 상기 보스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보조 잠금 유닛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를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구비된 리턴 스프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5. 제4항에서,
    상기 연결 몸체는 체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 된 도어락.
  6. 제1항에서,
    상기 모티스에는
    도어를 여닫을 때 상기 헤드가 간섭되지 않도록 헤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헤드가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삽입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9. 제8항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헤드가 원활히 삽입되도록 경사부가 상기 삽입 슬롯 내측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10. 제1항에서,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걸림 유닛과 상기 보조 잠금 유닛이 결합된 후 상기 헤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부가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11. 제1항에서,
    상기 도어락은 전자식 디지털 도어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12. 제1항에서,
    상기 도어락은 수동식 도어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KR1020090033348A 2009-04-16 2009-04-16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KR10103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48A KR101031112B1 (ko) 2009-04-16 2009-04-16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48A KR101031112B1 (ko) 2009-04-16 2009-04-16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86A KR20100114786A (ko) 2010-10-26
KR101031112B1 true KR101031112B1 (ko) 2011-04-25

Family

ID=4313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48A KR101031112B1 (ko) 2009-04-16 2009-04-16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476B1 (ko) * 2017-06-14 2018-07-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자 도어락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6587A (ja) * 1992-01-25 1993-11-19 Miwa Lock Kk ガードアーム錠のガードアーム係止機構
JP2003027798A (ja) 2001-07-13 2003-01-29 Toshiro Kimura ドアチェーンを利用したドアの補助錠
JP2004027810A (ja) 2002-06-26 2004-01-29 Morifuji Tomoko 戸外からも掛け外しができる鎖錠
KR200446544Y1 (ko) * 2009-03-23 2009-11-06 김원영 안전걸쇠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6587A (ja) * 1992-01-25 1993-11-19 Miwa Lock Kk ガードアーム錠のガードアーム係止機構
JP2003027798A (ja) 2001-07-13 2003-01-29 Toshiro Kimura ドアチェーンを利用したドアの補助錠
JP2004027810A (ja) 2002-06-26 2004-01-29 Morifuji Tomoko 戸外からも掛け外しができる鎖錠
KR200446544Y1 (ko) * 2009-03-23 2009-11-06 김원영 안전걸쇠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86A (ko)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7686A (en) Door closure assembly
JP5069680B2 (ja) 入り口バリアのための保安システム
US9262875B1 (en) Lock structure of dual protection
KR101833524B1 (ko) 잠금식별이 가능한 창호용 잠금장치
KR100891104B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KR101031112B1 (ko)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CN208441727U (zh) 隐藏式防盗门防闯装置
KR200409377Y1 (ko) 문틀 내측에 형성되는 출입문 잠금장치
KR101645522B1 (ko) 방범기능을 갖춘 실내용 개폐문틀
KR200449153Y1 (ko) 창호용 겸용 잠금장치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1222600B1 (ko) 전기정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JP4005954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US7000955B2 (en) Portable casement window securing device
KR200182658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US20140117680A1 (en) Sliding glass door safety latch
KR101002238B1 (ko) 다굴절 자물쇠 잠금장치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200205791Y1 (ko) 출입문 잠금장치의 개폐기
CN214943368U (zh) 一种门锁
KR200255360Y1 (ko) 접이식 문의 잠금장치
KR102406353B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0325797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