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619B1 -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619B1
KR102267619B1 KR1020190131129A KR20190131129A KR102267619B1 KR 102267619 B1 KR102267619 B1 KR 102267619B1 KR 1020190131129 A KR1020190131129 A KR 1020190131129A KR 20190131129 A KR20190131129 A KR 20190131129A KR 102267619 B1 KR102267619 B1 KR 10226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otation
opening
rotation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214A (ko
Inventor
안건형
Original Assignee
(주)우신제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제이에스 filed Critical (주)우신제이에스
Priority to KR102019013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6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1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5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comprising simultaneously pivoting double hook-like loc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회동축을 갖는 손잡이와, 중앙회동부재와, 록킹부재와, 하부보조회동부재를 갖는 하우징이 설치된 창호를 잠금해제부재가 설치된 창호프레임에서 용이하게 지동으로 열리게 하고 창호가 창문프레임에 완전잠기게 하며 록킹부재와 연계되는 회동부재와, 개폐표시부와, 개폐표시공을 구비하여 록킹부재의 잠금 및 열림을 손잡이를 구비한 외측커버에 표시하도록한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는;
창호(a)에 설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부(11)가 형성되고. 좌측에 형성된 홈부(12)와, 상기 홈부(12)의 상부에 형성된 제1입출공(13a)과, 상기 홈부(12)의 하부에 형성된 제2입출공(13b)을 구비한 하우징10)과; 하부에 구동회동축(21)을 구비한 손잡이(20)와; 상기 구동회동축(21)과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부(11)의 중앙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중앙회동부재(30)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상태로부터 해제되는 록킹부재(40)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내부공간부(11)에서 상기 제2입출공(13b)의 내측으로 좌,우로 구동되는 하부보조회동부재(50)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부(11)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60)와: 창호프레임(b)에 설치되고, 상기 홈부(12)에서 입출되며, 상기 록킹부재(40)가 잠기거나 해제되는 잠금해제 걸림홈(71)을 상부에 형성하며, 상기 제2입출공(13b)에 입출되며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좌면과 맞닿는 하부결합부(72)를 구비한 잠금해제부재(70)로 구성되어 상기 창호에 설치된 회전되는 손잡이의 구동회동축과 연결회동되는 중앙회동부재와 이 중앙회동부재와 연계되어 회동되는 록킹부재와 하부보조회동부재로 구비된 하우징이 창호에 구비되고, 록킹부재로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잠금해제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용이하게 잠금 및 해제되고 하부보조회동부재가 잠금해제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부에 용이하게 접촉 및 이탈되게 하여서 중앙회동부재와, 록킹부재와, 하부보조회동부재를 갖는 하우징이 설치된 창호를 잠금해제부재가 설치된 창문프레임에서 자동으로 열리고 잠기도록 하고 창호를 창문프레임에 완전잠기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APPARATUS FOR LOCKING OF AUTOMATIC OPENED AND OPEN-AND-CLOSE DISPLAY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회동축을 갖는 손잡이와, 중앙회동부재와, 록킹부재와, 하부보조회동부재를 갖는 하우징이 설치된 창호를 잠금해제부재가 설치된 창호프레임에서 용이하게 지동으로 열리게 하고 창호가 창문프레임에 완전잠기게 하며 록킹부재와 연계되는 회동부재와, 개폐표시부와, 개폐표시공을 구비하여 록킹부재의 잠금 및 열림을 손잡이를 구비한 외측커버에 표시하도록한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부에는 출입 단속 및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의 창이 마련된다.
이때, 창은 개폐 방식에 따라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중 미닫이식이 주택의 거실 및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중대형 창의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창은 창호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측으로 밀거나 당길 때 창호 하단의 롤러가 창호프레임의 레일에서 회전함에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개폐된다.
한편, 최근 중대형 미닫이창의 경우 단열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이전에 비해 두꺼운 유리 또는 복층 유리를 창호프레임에 적용하므로 창짝프레임의 하중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및 외기 유입 차단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창호와 창호프레임 사이에 기밀수단을 적용하므로 창호와 기밀수단이 긴밀히 접촉하여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밀거나 당겨 창호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창호의 개방에 대한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창호가 창호프레임에 완전히 기밀하게 잠금상태로 유지되지 않거나, 창호가 창호프레임에 잠겼을때 창호가 창호프레임에 제대로 잠기지않아 방범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창호가 창호프레임에 잠금 및 해제를 사용자가 창호에 설치된 창호열림잠금장치에서 시각적으로 확인되지 않아서 창호가 창호프레임에 잠금 및 해제가 불완전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9-0025864호(2019년 03월 12일 공개)
본 발명은 창호에 설치된 회전되는 손잡이의 구동회동축과 연결회동되는 중앙회동부재와 이 중앙회동부재와 연계되어 회동되는 록킹부재와 하부보조회동부재로 구비된 하우징이 창호에 구비되고, 록킹부재로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잠금해제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용이하게 잠금 및 해제되고 하부보조회동부재가 잠금해제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부에 용이하게 접촉 및 이탈되게 하여서 중앙회동부재와, 록킹부재와, 하부보조회동부재를 갖는 하우징이 설치된 창호를 잠금해제부재가 설치된 창문프레임에서 자동으로 열리고 잠기도록 하고 창호를 창문프레임에 완전잠기게 하며, 록킹부재와 연계되는 회동부재와, 개폐표시부와, 개폐표시공을 구비하여 록킹부재의 잠금 및 열림을 손잡이를 구비한 외측커버에 표시하도록한 새로운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창호(a)에 설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부(11)가 형성되고. 좌측에 형성된 홈부(12)와, 상기 홈부(12)의 상부에 형성된 제1입출공(13a)과, 상기 홈부(12)의 하부에 형성된 제2입출공(13b)을 구비한 하우징10)과; 하부에 구동회동축(21)을 구비하고 외측커버(20a)를 구비한 손잡이(20)와; 상기 구동회동축(21)과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부(11)의 중앙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중앙회동부재(30)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상태로부터 해제되는 록킹부재(40)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내부공간부(11)에서 상기 제2입출공(13b)의 내측으로 좌,우로 구동되는 하부보조회동부재(50)와; 상기 중앙회동부(30)의 좌측상부면과, 상기 록킹부재(40)의 좌측면과 연동되게 설치된 이동부재(50a)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부(11)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60)와: 창호프레임(b)에 설치되고, 상기 홈부(12)에서 입출되며, 상기 록킹부재(40)가 잠기거나 해제되는 잠금해제 걸림홈(71)을 상부에 형성하며, 상기 제2입출공(13b)에 입출되며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좌면과 맞닿는 하부결합부(72)를 하부우측에 구비한 잠금해제부재(70)와: 상기 록킹부재(40)에 형성된 결합공(c)의 외측상부면둘레 형성된 제1걸림구(d1)와, 상기 결합공(c)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회동축(14a)에 결합되게 상기 커버(60)를 관통하는 회동공(e)을 갖는 결합부(e1)와, 상기 제1걸림구(d1)와 연계되며 상기 결합부(e1)의 후방에 제2걸림구(d2)가 삽입연결되어 회동부재(80)와; 상기 회동부재(80)의 상부에 형성되고 개표시부(f1)와 폐표시부(f2)를 구비한 개폐표시부(90)와; 상기 개폐표시부(90)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외측커버(20a)에 형성된 개폐표시공(10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좌측상부에 형성된 좌측상부걸림턱(31)은 상기 이동부재(50a)의 하부와 연계되게 구성되고, 상기 록킹부재(4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걸림턱(41)은 상기 이동부재(50a)의 우측에 형성된 입출홈(50a-1)에 입출되게 연계되게 구성되고,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걸림턱(32)은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돌출걸림턱(51)과 연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하부좌측면에 형성된 결합구(52)는 상기 하부결합부(72)에 형성된 입출공(72a)에 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부(11)의 상부에 형성된 제1회동축(14a)과, 상기 제1회동축(14a)은 상기 록킹부재(40)에 형성된 결합공(c)이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부(11)의 중부에 형성된 제2회동축(14b)과, 상기 제2회동축(14b)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에 형성된 결합공(c)이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부(11)의 하부에 형성된 제3회동축(14c)과, 상기 제3회동축(14c)은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에 형성된 결합공(c)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40)가 결합된 제1회동축(14a)에 삽입된 제1탄성부재(15a)와, 상기 제1탄성부재(15a)의 하부는 상기 록킹부재(40)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15a)의 상부는 상기 록킹부재(40)의 상부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부(16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가 결합된 제3회동축(14c)에 삽입된 제2탄성부재(15b)와, 상기 제2탄성부재(15b)의 하부는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에 고정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15b)의 상부는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상부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부(16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는 상부에 상부돌출걸림턱(51)이 형성되고, 좌측중부에 형성된 연장회동부(53)와, 상기 연장회동부(53)에 결합공(c)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c)은 상기 제3회동축(14c)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회동부(53)의 하부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이동부(54)와, 상기 하부이동부(54)의 좌측하부에 결합구(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창호에 설치된 회전되는 손잡이의 구동회동축과 연결회동되는 중앙회동부재와 이 중앙회동부재와 연계되어 회동되는 록킹부재와 하부보조회동부재로 구비된 하우징이 창호에 구비되고, 록킹부재로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잠금해제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용이하게 잠금 및 해제되고 하부보조회동부재가 잠금해제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부에 용이하게 접촉 및 이탈되게 하여서 중앙회동부재와, 록킹부재와, 하부보조회동부재를 갖는 하우징이 설치된 창호를 잠금해제부재가 설치된 창문프레임에서 자동으로 열리고 잠기도록 하고 창호를 창문프레임에 완전잠기게 하며, 록킹부재와 연계되는 회동부재와, 개폐표시부와 개폐표시공을 구비하여 록킹부재의 잠금 및 열림을 손잡이를 구비한 외측커버에 표시하여 창호가 창문프레임에서 완전 잠김 및 열림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창호가 창문프레임에 완전히 잠금되지 않아 방범에 취약한점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는 하우징(10)과, 손잡이(20)와, 중앙회동부재(30)와, 록킹부재(40)와, 하부보조회동부재(50)와, 커버(60)와, 잠금해제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은 창호(a)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중 선택된 어느 한부분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내부공간부(1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내부공간부(11)에는 후술되는 상기 중앙회동부재(30)와, 상기 록킹부재(40)와,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와, 상기 이동부재(50a)와, 상기 커버(6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좌측에 형성된 홈부(1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홈부(12)의 내부에는 상기 잠금해제부재(70)의 우면이 입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부(12)의 상부에 형성된 제1입출공(13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입출공(13a)에는 후술되는 상기 록킹부재(40)의 좌측상부면에 형성된 걸림 및 이탈구(40a)가 입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홈부(12)의 하부에 형성된 제2입출공(13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부(11)의 상부에 형성된 제1회동축(14a)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동축(14a)은 후술되는 상기 록킹부재(40)에 형성된 결합공(c)이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내부공간부(11)의 중부에 형성된 제2회동축(14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회동축(14b)은 후술되는 상기 중앙회동부재(30)에 형성된 결합공(c)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내부공간부(11)의 하부에 형성된 제3회동축(14c)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회동축(14c)은 후술되는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에 형성된 결합공(c)이 결합되는어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0)의 하부에는 구동회동축(21)에 설치되어서, 상기 구동회동축(21)은 후술되는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결합공(c)의 상부면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회동축(21)은 상기 결합공(c)의 상부에 유동되지않게 고정결합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회동축(21)의 외측둘레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부내측둘레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결합공(c)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20)는 외측커버(20a)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회동축(21)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앙회동부재(3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회동부재(30)는 그 중앙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c)의 상부면에 상기 구동회동축(21)이 삽입 결합되어 상기 결합공(c)의 상부내측둘레에서 상기 구동회동축(21)의 외측둘레가 회전되지않게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중앙회동부재(30)는 상기 내부공간부(11)의 중앙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좌측상부에 형성된 좌측상부걸림턱(31)은 후술되는 상기 이동부재(50a)의 하부와 연계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걸림턱(32)은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돌출걸림턱(51)과 연계되어 구성된다.
상기 록킹부재(4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상기 록킹부재(40)는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상태로부터 해제되게 구성된다.
상기 록킹부재(40)는 좌측상부면에 걸림 및 이탈구(40a)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잠금해제부재(70)의 잠금해제 걸림홈(71)에 입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록킹부재(40)의 하부면에 형성된 하부걸림홈(41)에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상기 상부걸림턱(31)이 걸림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록킹부재(4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걸림턱(41)은 후술되는 상기 이동부재(50a)의 우측에 형성된 입출홈(50a-1)에 입출되게 연계되게 구성된다.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내부공간부(11)에서 상기 제2입출공(13b)의 내측으로 좌,우로 구동되는 하부보조회동부재(5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록킹부재(40)가 결합된 제1회동축(14a)에 삽입된 제1탄성부재(15a)로 구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5a)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15a)의 하부는 상기 록킹부재(40)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5a)의 상부는 상기 록킹부재(40)의 상부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부(16a)에 고정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5a)는 상기 록킹부재(40)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구동으로 상기 잠금해제 걸림홈(71)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1탄성부재(15a)의 복원력으로 상기 록킹부재(40)는 잠금에서 해제로 자동으로 제위치로 복원되게 하여준다.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는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하부에 설치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는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내부공간부(11)에서 상기 제2입출공(13b)의 내측으로 좌,우로 구동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가 결합된 제3회동축(14c)에 삽입된 제2탄성부재(15b)로 구성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15b)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부재(15b)의 하부는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15b)의 상부는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상부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부(16b)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15b)는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구동으로 상기 제2입출공(13b)에 입출되는 상기 하부결합부(72)의 우측면에 닿았다 이탈시 상기 제2탄성부재(15b)의 복원력으로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는 좌측면으로 이동되었다 우측으로 제위치로 복원되게 하여준다.
한편,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는 상부에 상부돌출걸림턱(5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좌측중부에 형성된 연장회동부(5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장회동부(53)에 결합공(c)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c)은 상기 제3회동축(14c)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연장회동부(53)의 하부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이동부(54)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이동부(54)가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하부이동부(54)의 좌측면이 상기 제2입출공(13b)에 입출되는 상기 하부결합부(72)의 우측면과 용이하게 맞닿았다 이탈되게 하여 상기 잠금해재부재(70)가 설치된 상기 창호프레임(b)에서 상기 하우징(10)이 설치된 상기 창호(a)의 잠금이 기밀하게 이루이지고, 상기 창호(a)를 상기 창호프레임(b)에서 용이하게 자동으로 열고 닫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이동부(54)의 좌측하부에 결합구(5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구(52)는 상기 하부결합부(72)에 형성된 입출공(72a)에 입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하부좌측면에 형성된 결합구(52)는 상기 하부결합부(72)에 형성된 입출공(72a)에 입출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구(52)가 상기 입출공(72a)에 결합 및 이탈되게 하는 것은, 상기 결합구(52)를 갖는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상기 하부이동부(54)가 상기 하부결합부(72)에 정밀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동부재(50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회동부(30)의 좌측상부면과, 상기 록킹부재(40)의 좌측면과 연동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부재(50a)의 하부면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좌측상부면에 의해 승강되고, 상기 록킹부재(30)의 좌측면이 상기 이동부재(50a)에 형성된 입출홈(50a-1)에 입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커버(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부(11)의 개방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금해제부재(7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해제부재(70)는 창호프레임(b)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잠금해제부재(70)의 우측면은 상기 홈부(12)의 내측에서 입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잠금해제부재(70)는 상기 록킹부재(40)가 잠기거나 해제되는 잠금해제 걸림홈(71)을 상부에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입출공(13b)에 입출되며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좌면과 맞닿는 하부결합부(72)를 하부우측에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결합부(72)는 상기 제2입출공(13b)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상기 하부이동부(54)의 좌측면과 맞닿았다 이탈되게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8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80)는 상기 록킹부재(40)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c)의 외측상부면둘레 형성된 제1걸림구(d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c)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회동축(14a)에 결합되게 상기 커버(60)를 관통하는 회동공(e)을 갖는 결합부(e1)로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e1)는 상기 커버(60)에 형성된 삽입조립공(g)을 통과하여 상기 회동축(14a)에 상기 결합부(e1)에 형성된 상기 회동공(e)이 삽입되도록 구
된다.
한편, 상기 회동공(e)은 상기 외측커버(20a)의 내측에 형성된 회동안내돌기(e2)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걸림구(d1)와 연계되며 상기 결합부(e1)의 후방에 제2걸림구(d2)가 삽입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개폐표시부(90)는 상기 회동부재(80)의 상부에 형성되고 개표시부(f1)와 폐표시부(f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개표시부(f1)와 상기 폐표시부(f2)는 서로 색상으로 달리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개표시부(f1)는 문자 "개"자로 표시하고, 상기 폐표시부(f2)를 문자 "폐"자로 표시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80)의 상기 결합부(e1)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e1)의 외측둘레가 삽입되는 삽입공(g1)을 구비한 보조결합부(80a)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표시공(10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표시공(100)은 상기 외측커버(20a)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표시공(100)은 상기 개폐표시부(90)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외측커버(20a)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재(40)와 연동되는 상기 회동부재(80)와, 상기 회동부재(80)에 구비된 상기 개폐표시부(90)를 상기 외측커버(20a)에 형성된 상기 개폐표시공(100)으로 상기 록킹부재(40)가 창호(a)에 설치된 본 발명의 자동열림잠금장치에 구비되어서, 상기 창호(a)가 상기 창호프레임(b)에 개폐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어 상기 창호(a)가 상기 창호프레임(b)에 완전 잠금 및 완전열리도록 하여 기존의 상기 창호(a)가 상기 창호프레임(b)에 잠기지않아서 방범에 대한 취약점을 극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을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창호(a)를 상기 창문프레임(b)의 내측에서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손잡이(20)를 파지하여 상기 손잡이(20)를 우측으로 회전하면,상기 손잡이(20)와 연결된 상기 구동회동축(21)이 상기 중앙회동부재(30)를 우측으로 회전하면, 우측으로 회전되는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상기 상부걸림턱(31)은 상기 록킹부재(40)의 하부우측면을 좌측상부로 회동하여주면, 상기 록킹부재(40)의 상기 걸림 및 이탈구(40a)가 상기 잠금해제부재(700의 상기 잠금해제 걸림홈(71)에서 이탈되게 하여준다.
이때,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좌측의 상부면과 상기 록킹부재(40)의 좌측면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상기 이동부재(50a)가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작용과 동시에 회전되는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상기 하부걸림턱(32)은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상기 상부돌출걸림턱(51)을 우측으로 회동게 하여 상기 보조회동부재(50)의 상기 하부이동부(54)를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2입출공(13b)에 삽입되었던 상기 하부결합부(72)를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이탈되게 하여주면,
상기와 작용과 동시에 상기 잠금해제부재(70)의 우측면은 상기 홈부(12)에서 이탈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작용과 동시에 상기 록킹부재(40)와 연동되는 상기 회동부재(80)에 구비된 상기 개폐표시부(90)의 상기 개표시부(f1)가 상기 외측커버(20a)에 형성된 상기 개폐표시공(100)에 색상 또는 문자"개"자로 표시하여 준다.
상기 창호(a)를 상기 창호프레임(b)의 내부에서 폐쇄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작용을 반대로 하여주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11: 내부공간부
12: 홈부 13a: 제1입출공
13b: 제2입출공 14a: 제1회동축
14b: 제2회동축 14c: 제3회동축
15a: 제1탄성부재 15b: 제2탄성부재00
16a,16b: 지지부 20: 손잡이
21: 구동회동축 30: 중앙회동부재
31: 좌측상부걸림턱 32: 하부걸림턱
40: 록킹부재 41: 상부걸림턱
50: 하부보조회동부재 51: 상부돌출걸림턱
50a: 이동부재 50a-1: 입출홈
52: 결합구 53: 연장회동부
54: 하부이동부 60: 커버
70: 잠금해제부재 71: 잠금해제 걸림홈
72: 하부결합부 72a: 입출공
80: 회동부재 90: 개폐표시부
100: 개폐표시공
a: 창호 b: 창호프레임
c: 결합공 d1: 제1걸림구
d2: 제2걸림구 e: 회동공
e1: 결합부 f1:개표시부
f2: 폐표시부 g: 삽입조립공
g1: 삽입공

Claims (7)

  1. 창호(a)에 설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부(11)가 형성되고. 좌측에 형성된 홈부(12)와, 상기 홈부(12)의 상부에 형성된 제1입출공(13a)과, 상기 홈부(12)의 하부에 형성된 제2입출공(13b)을 구비한 하우징(10)과; 하부에 구동회동축(21)을 구비하고 외측커버(20a)를 구비한 손잡이(20)와; 상기 구동회동축(21)과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부(11)의 중앙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중앙회동부재(30)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상태로부터 해제되는 록킹부재(40)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내부공간부(11)에서 상기 제2입출공(13b)의 내측으로 좌,우로 구동되는 하부보조회동부재(50)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부(11)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60)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좌측상부면과, 상기 록킹부재(40)의 좌측면과 연동되게 설치된 이동부재(50a)와; 창호프레임(b)에 설치되고, 상기 홈부(12)에서 입출되며, 상기 록킹부재(40)가 잠기거나 해제되는 잠금해제 걸림홈(71)을 상부에 형성하며, 상기 제2입출공(13b)에 입출되며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좌면과 맞닿는 하부결합부(72)를 하부우측에 구비한 잠금해제부재(70)와; 상기 록킹부재(40)에 형성된 결합공(c)의 외측상부면둘레에 형성된 제1걸림구(d1)와, 상기 결합공(c)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회동축(14a)에 결합되게 상기 커버(60)를 관통하는 회동공(e)을 갖는 결합부(e1)와, 상기 제1걸림구(d1)와 연계되며 상기 결합부(e1)의 후방에 제2걸림구(d2)가 삽입연결되는 회동부재(80)와;; 상기 회동부재(80)의 상부에 형성되고 개표시부(f1)와 폐표시부(f2)를 구비한 개폐표시부(90)와; 상기 개폐표시부(90)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외측커버(20a)에 형성된 개폐표시공(10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좌측상부에 형성된 좌측상부걸림턱(31)은 상기 이동부재(50a)의 하부와 연계되게 구성되고, 상기 록킹부재(40)의 상에 형성된 상부걸림턱(41)은 상기 이동부재(50a)의 우측에 형성된 입출홈(50a-1)에 입출되게 연계되게 구성되고, 상기 중앙회동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걸림턱(32)은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돌출걸림턱(51)과 연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하부좌측면에 형성된 결합구(52)는 상기 하부결합부(72)에 형성된 입출공(72a)에 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부(11)의 상부에 형성된 제1회동축(14a)과, 상기 제1회동축(14a)은 상기 록킹부재(40)에 형성된 결합공(c)이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부(11)의 중부에 형성된 제2회동축(14b)과, 상기 제2회동축(14b)은 상기 중앙회동부재(30)에 형성된 결합공(c)이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부(11)의 하부에 형성된 제3회동축(14c)과, 상기 제3회동축(14c)은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에 형성된 결합공(c)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40)가 결합된 제1회동축(14a)에 삽입된 제1탄성부재(15a)와, 상기 제1탄성부재(15a)의 하부는 상기 록킹부재(40)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15a)의 상부는 상기 록킹부재(40)의 상부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부(16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가 결합된 제3회동축(14c)에 삽입된 제2탄성부재(15b)와, 상기 제2탄성부재(15b)의 하부는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에 고정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15b)의 상부는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의 상부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부(16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조회동부재(50)는 상부에 상부돌출걸림턱(51)이 형성되고, 좌측중부에 형성된 연장회동부(53)와, 상기 연장회동부(53)에 결합공(c)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c)은 내부공간부(11)의 하부에 형성된 제3회동축(14c)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회동부(53)의 하부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이동부(54)와, 상기 하부이동부(54)의 좌측하부에 결합구(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KR1020190131129A 2019-10-22 2019-10-22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KR10226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29A KR102267619B1 (ko) 2019-10-22 2019-10-22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29A KR102267619B1 (ko) 2019-10-22 2019-10-22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214A KR20210049214A (ko) 2021-05-06
KR102267619B1 true KR102267619B1 (ko) 2021-06-22

Family

ID=7591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129A KR102267619B1 (ko) 2019-10-22 2019-10-22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6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640B1 (ko) * 2016-07-04 2018-08-13 안건형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2063732B1 (ko) 2019-02-28 2020-01-09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214A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518B1 (ko)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52529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US6941997B2 (en) Door assembly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US4679353A (en) Security door
US4213315A (en) Key actuated security entry system
KR102267619B1 (ko)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CA1315320C (en) Latch mechanisms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101172417B1 (ko) 창문용 록킹장치
KR20230104475A (ko)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KR101053302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2098676B1 (ko) 보안성 및 위생성 개선을 위한 미서기 창
JPH0137095Y2 (ko)
KR200436199Y1 (ko) Ktx화장실문 개폐장치
KR101583997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
KR102442051B1 (ko) 잠김방지 기능을 갖는 창호개폐장치
KR101195925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102555731B1 (ko) 여닫이 창호용 턴 락킹장치
KR102356619B1 (ko)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CN218912551U (zh) 一种窗户儿童安全锁
KR101053339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1122311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JP3906468B2 (ja) 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