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199Y1 - Ktx화장실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Ktx화장실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199Y1
KR200436199Y1 KR2020070005160U KR20070005160U KR200436199Y1 KR 200436199 Y1 KR200436199 Y1 KR 200436199Y1 KR 2020070005160 U KR2020070005160 U KR 2020070005160U KR 20070005160 U KR20070005160 U KR 20070005160U KR 200436199 Y1 KR200436199 Y1 KR 200436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tx
toilet
toilet door
cas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구
Original Assignee
(주)삼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정밀 filed Critical (주)삼성정밀
Priority to KR2020070005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1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1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363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railwa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rest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KTX화장실문의 일단에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KTX화장실의 외부 및 내부에 위치한 사람이 KTX화장실문을 외부 및 내부에서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는 외부잠금부(30)와; 상기 KTX화장실의 내부에 위치한 사람이 KTX화장실문을 내부에서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의 하측에 설치되되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는 내부잠금부(50)를 포함하는 통상의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잠금부(30)는 상기 KTX화장실문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외부핸들(31)과; 상기 외부핸들(31)과 연결되어 함께 동작되며 상기 KTX화장실문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보조외부핸들(31a)과; 상기 외부핸들(31) 및 보조외부핸들(31a)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외부힌지(33a)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부재(33)와; 상기 회전부재(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외측턱으로 입출되어 상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수평하게 장홈(35a)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에 걸림홈(35b)이 형성되며, 후방에 스프링홈(35c)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33)의 일단이 수용되어 걸리도록 장홈(35a)의 일측에 수직홈(35d)이 형성된 외부수평샤프트(35)와; 상기 장홈(35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수평샤프트(35)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외부가이드부재(36)와; 상기 걸림홈(35b)에 일단이 걸리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10)에 감겨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홈(35b)에 걸린 일단과 상기 케이스(10)에 감긴부분의 사이에 소정각도롤 절곡된 절곡부(37a)가 형성된 상부스프링(37)과; 상기 수평샤프트(35)의 수평이동에 의해 상기 절곡부(37a)가 지지되어 상기 수평샤프트(35)의 이동을 결정하는 샤프트위치결정부(38)와; 상기 스프링홈(35c)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1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후방스프링(39)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잠금부(50)는 상기 KTX화장실문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내부핸들(51)과; 상기 내부핸들(5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내부핸들(51)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둔각의 장홈(52)이 형성된 내부회전부재(53)와; 상기 둔각의 장홈(5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둔각의 장홈(52)을 따라 이동하는 내부가이드부재(55)와; 상기 내부가이드부재(55)가 후방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내부가이드부재(55)의 이동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되어 전방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입출되어 상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는 내부수평샤프트(5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KTX화장실문의 내부 및 외부에서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고, KTX화장실문의 내부에서만 KTX화장실문을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KTX화장실, 케이스, 개폐장치

Description

KTX화장실문 개폐장치 {TOILET DOOR LOCKING DEVICE IN KTX}
도 1은 종래의 닫혀진 KTX화장실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열려진 KTX화장실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된 표시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된 표시부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30 : 외부잠금부
50 : 내부잠금부
본 고안은 KTX화장실에 구비되는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도어를 달고 여닫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도어용 경첩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용도에 따라 목재 도어용 경첩과 알루미늄 도어용 경첩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의 닫혀진 KTX화장실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열려진 KTX화장실문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KTX화장실문(1)은 2개의 전방문짝(2) 및 후방문짝(3)이 힌지(9)에 의해 서로 접철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전방문짝(2)에는 개폐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장치(5)에는 개폐장치(5)의 구동에 의해 잠금쇠(7)가 수평으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개폐장치는 잠금쇠가 전방문짝을 관통하여 후방문짝에 걸리게 되어서 KTX화장실문이 잠기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반대로 잠금쇠(7)가 역으로 이동하여 후방문짝(3)에서 빠져나오면 전방문짝(2) 및 후방문짝(3)은 힌지(9)에 의해 회전되어 서로 접철되므로, KTX화장실문(1)은 개방되게 된다.
그러나, KTX화장실문(1)이 정확히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KTX화장실문(1)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걸림쇠(7)가 휘게 되어 개폐장치(5)의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KTX화장실문의 내부 및 외부에서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KTX화장실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KTX화장실문의 내부에서만 KTX화장실문을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KTX화장실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KTX화장실문의 일단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KTX화장실의 외부 및 내부에 위치한 사람이 KTX화장실문을 외부 및 내부에서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는 외부잠금부와; 상기 KTX화장실의 내부에 위치한 사람이 KTX화장실문을 내부에서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하측에 설치되되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는 내부잠금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잠금부는 상기 KTX화장실문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외부핸들과; 상기 외부핸들과 연결되어 함께 동작되며 상기 KTX화장실문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보조외부핸들과; 상기 외부핸들 및 보조외부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외부힌지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외측턱으로 입출되어 상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수평하게 장홈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후방에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이 수용되어 걸리도록 장홈의 일측에 수직홈이 형성된 외부수평샤프트와; 상기 장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수평샤프트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외부가이드부재와; 상기 걸림홈에 일단이 걸리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에 감겨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린 일단과 상기 케이스에 감긴부분의 사이에 소정각도롤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상부스프링과; 상기 수평샤프트의 수평이동에 의해 상기 절곡부가 지지되어 상기 수평샤프트의 이동을 결정하는 샤프트위치결정부와; 상기 스프링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후방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잠금부는 상기 KTX화장실문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내부핸들과; 상기 내부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내부핸들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둔각의 장홈이 형성된 내부회전부재와; 상기 둔각의 장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둔각의 장홈을 따라 이동하는 내부가이드부재와; 상기 내부가이드부재가 후방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내부가이드부재의 이동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되어 전방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입출되어 상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는 내부수평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KTX화장실문의 내부 및 외부에서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고, KTX화장실문의 내부에서만 KTX화장실문을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KTX화장실문에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KTX화장실의 외부에 위치한 사람이 KTX화장실문을 외부에서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외부잠금부(30)와; 상기 KTX화장실의 내부에 위치한 사람이 KTX화장실문을 내부에서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내부잠금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KTX화장실의 문턱(미도시)에는 KTX화장실문이 힌지(미도시)에 의해 회전되어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케이스(10)는 사각함체의 형상이 바람직하고, 전면 및 후면은 볼트 또는 리벳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10)는 KTX화장실문턱과 인접하도록 KTX화장실문의 측면 끝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외부잠금부(30)와 내부잠금부(50)는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외부잠금부(30)는 KTX화장실문의 외부 및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가 모두 개폐할 수 있으나, 내부잠금부(50)는 KTX화장실문의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만이 개폐할 수 있다.
도 5는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고, 도 6은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잠금부(30)는 상기 KTX화장실문 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외부핸들(31)과; 상기 외부핸들(3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외부힌지(33a)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부재(33)와; 상기 회전부재(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입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수평하게 장홈(35a)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에 걸림홈(35b)이 형성되며, 후방에 스프링홈(35c)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33)의 일단이 수용되어 걸리도록 장홈(35a)의 일측에 수직홈(35d)이 형성된 외부수평샤프트(35)와; 상기 장홈(35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수평샤프트(35)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외부가이드부재(36)와; 상기 걸림홈(35b)에 일단이 걸리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10)에 감겨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홈(35b)에 걸린 일단과 상기 케이스(10)에 감긴부분의 사이에 소정각도롤 절곡된 절곡부(37a)가 형성된 상부스프링(37)과; 상기 수평샤프트(35)의 수평이동에 의해 상기 절곡부(37a)가 지지되어 상기 수평샤프트(35)의 이동을 결정하는 샤프트위치결정부(38)와; 상기 스프링홈(35c)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1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후방스프링(3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외부핸들(31)과 일체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외부핸들(31)과 대칭되게 KTX화장실문의 내부에 배치되게 보조외부핸들(31a)이 설치된다. 이 보조외부핸들(31a)은 KTX화장실문의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가 KTX화장실문을 개방하기 위해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수평샤프트(35)의 전방 끝단에는 KTX화장실문에서 돌출되어 KTX화장실문턱에 걸릴 수 있는 외부돌기(31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핸들(31)에는 회전부재(33)를 회전시키는 핑거(31b)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부재(33)는 외부힌지(33a)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양단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양단 중 일단은 외부핸들(31)의 핑거(31b)에 지지되고, 타단은 외부수평샤프트(35)의 수직홈(35d)에 수용된다.
이때, 사용자가 외부핸들(31)을 잡아서 회전시켜 회전부재(33)가 회전되면 회전부재(33)의 타단은 외부힌지(33a)를 축으로 회전되어 수직홈(35d)의 내부측면을 밀게 되고, 이에 의해 외부수평샤프트(35)는 후방으로 수평이동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외부핸들(31)을 놓으면 샤프트위치결정부(38)에 탄력지지되는 상부스프링(37)의 탄력과 후방스프링(39)의 탄력에 의해 외부수평샤프트(35)는 전방으로 수평이동되어 최초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수평이동된 외부수평샤프트(35)는 KTX화장실문을 잠금 및 해제하므로, KTX화장실문은 정확하게 개폐되어 사용자가 KTX화장실을 출입할 수 있다.
상기 내부잠금부(50)는 상기 KTX화장실문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내부핸들(51)과; 상기 내부핸들(5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내부핸들(51)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둔각의 장홈(52)이 형성된 내부회전부재(53)와; 상기 둔각의 장홈(5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둔각의 장홈(52)을 따라 이동하는 내부가이드부재(55)와; 상기 내부가이드부재(55)가 후방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내부가이드부재(55)의 이동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되어 전방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입출되는 내부수평샤프트(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내부핸들(51)을 회전시키면 내부회전부재(53)가 회전되고, 이에 의해 내부수평샤프트(57)가 수평하게 이동되어, KTX화장실문을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내부이동부재(55)가 둔각의 장홈(52)을 따라 정확하게 꺽여서 안내되므로, 내부수평샤프트(57)는 전/후진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내부수평샤프트(57)의 전방 끝단에는 KTX화장실문에서 돌출되어 KTX화장실문턱에 걸릴 수 있는 내부돌기(5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핸들(51)은 KTX화장실문의 내부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KTX화장실문의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만 KTX화장실문을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된 표시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고,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된 표시부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잠금부(50)는 상기 내부핸들(51)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핸들(5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어, 상기 KTX화장실문의 내부에 사람이 있음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5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시부(59)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사용중"이라는 문자가 프린트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비었음"이라는 문자가 프린트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외측면에는 원의 1/4만큼 표시창(59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KTX화장실문의 내부에 사람이 내부핸들(51)을 90도 각도로 회전시키면 "사용중"이라는 문자가 표시창(59a)을 통해 KTX화장실문의 외부에 표시되어 KTX의 승객들이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KTX화장실문을 개방하고 외부로 나오고자할 때 내부핸들(51)을 90도 각도로 반대로 회전시키면 KTX화장실문이 개방됨과 동시에, "비었음"이라는 문자가 표시창(59a)을 통해 KTX화장실문의 외부에 표시되어 KTX의 승객들이 차례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KTX화장실문에 설치되는 본 고안은 개폐 및 잠금동작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제조과정이 단순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설계변경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범주로 간주한다.
본 고안은 KTX화장실문의 내부 및 외부에서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KTX화장실문의 내부에서만 KTX화장실문을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KTX화장실문의 일단에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KTX화장실의 외부 및 내부에 위치한 사람이 KTX화장실문을 외부 및 내부에서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는 외부잠금부(30)와; 상기 KTX화장실의 내부에 위치한 사람이 KTX화장실문을 내부에서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의 하측에 설치되되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는 내부잠금부(50)를 포함하는 통상의 KTX화장실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잠금부(30)는
    상기 KTX화장실문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외부핸들(31)과;
    상기 외부핸들(31)과 연결되어 함께 동작되며 상기 KTX화장실문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보조외부핸들(31a)과;
    상기 외부핸들(31) 및 보조외부핸들(31a)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외부힌지(33a)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부재(33)와;
    상기 회전부재(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외측턱으로 입출되어 상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수평하게 장홈(35a)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에 걸림홈(35b)이 형성되며, 후방에 스프링홈(35c)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33)의 일단이 수용되어 걸리도록 장홈(35a)의 일측에 수직홈(35d)이 형성된 외부수평샤프트(35)와;
    상기 장홈(35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수평샤프트(35)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외부가이드부재(36)와;
    상기 걸림홈(35b)에 일단이 걸리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10)에 감겨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홈(35b)에 걸린 일단과 상기 케이스(10)에 감긴부분의 사이에 소정각도롤 절곡된 절곡부(37a)가 형성된 상부스프링(37)과;
    상기 수평샤프트(35)의 수평이동에 의해 상기 절곡부(37a)가 지지되어 상기 수평샤프트(35)의 이동을 결정하는 샤프트위치결정부(38)와;
    상기 스프링홈(35c)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1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후방스프링(39)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잠금부(50)는
    상기 KTX화장실문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내부핸들(51)과;
    상기 내부핸들(5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내부핸들(51)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둔각의 장홈(52)이 형성된 내부회전부재(53)와;
    상기 둔각의 장홈(5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둔각의 장홈(52)을 따라 이동하는 내부가이드부재(55)와;
    상기 내부가이드부재(55)가 후방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내부가이드부재(55)의 이동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되어 전방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입출되어 상기 KTX화장실문턱에 잠금 및 해제되는 내부수평샤프트(5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KTX화장실문 개폐장치.
  4. 삭제
KR2020070005160U 2007-03-29 2007-03-29 Ktx화장실문 개폐장치 KR200436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60U KR200436199Y1 (ko) 2007-03-29 2007-03-29 Ktx화장실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60U KR200436199Y1 (ko) 2007-03-29 2007-03-29 Ktx화장실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199Y1 true KR200436199Y1 (ko) 2007-06-29

Family

ID=4163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160U KR200436199Y1 (ko) 2007-03-29 2007-03-29 Ktx화장실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1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11Y1 (ko) * 2013-09-10 2014-03-11 (주)애플코퍼레이션 화장실 도어의 사용여부 표시장치
CN112196399A (zh) * 2020-09-30 2021-01-0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厕所门及其控制策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11Y1 (ko) * 2013-09-10 2014-03-11 (주)애플코퍼레이션 화장실 도어의 사용여부 표시장치
CN112196399A (zh) * 2020-09-30 2021-01-0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厕所门及其控制策略
CN112196399B (zh) * 2020-09-30 2023-02-24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厕所门及其控制策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5741B1 (en) Latch mechanism
KR200461272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US10773652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KR200436199Y1 (ko) Ktx화장실문 개폐장치
KR200439800Y1 (ko) 창문 손잡이
EP2592210B1 (en) Locking assembly for windows or doors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EP3130730B1 (en) Safety catch release mechanism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KR102551631B1 (ko) 안심 도어락용 안전 캐치
JP4602092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施錠装置
KR102061730B1 (ko) 양방향 개방형 여닫이문
KR101049153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도어
WO2019218913A1 (zh) 闸门机构、钞箱及自助设备
KR10226012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JP4453913B2 (ja) 自動扉の施錠装置
KR101195925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JP3733173B2 (ja) 扉の係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両開き扉の係止装置
JP3980369B2 (ja) フラップ扉付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扉のラッチ装置
KR100250908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6419002B2 (ja) 建具
KR102267619B1 (ko)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