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631B1 - 안심 도어락용 안전 캐치 - Google Patents

안심 도어락용 안전 캐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631B1
KR102551631B1 KR1020230044115A KR20230044115A KR102551631B1 KR 102551631 B1 KR102551631 B1 KR 102551631B1 KR 1020230044115 A KR1020230044115 A KR 1020230044115A KR 20230044115 A KR20230044115 A KR 20230044115A KR 102551631 B1 KR102551631 B1 KR 10255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atch
door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성
Original Assignee
(주)아신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신금속 filed Critical (주)아신금속
Priority to KR102023004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86Locks with panic function, e.g. allowing opening from the inside without a ley even when locked from the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05B9/084Fastening of lock cylinders, plugs or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의로 잠긴 문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한 도어락용 안전 캐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에 설치된 래치가 끼워져 고정되는 캐치에 래치의 단부를 밀어 캐치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게 함에 의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도어락용 안전 캐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심 도어락용 안전 캐치{Safety catch of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불의로 잠긴 문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한 도어락용 안전 캐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된 래치가 끼워져 고정되는 캐치에 래치의 단부를 밀어 캐치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게 함에 의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도어락용 안전 캐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에는 출입을 위한 도어가 구비되고, 이러한 도어는 문틀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딩도어와, 문틀에 하나 또는 두개의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 여닫이형 도어가 있다.
이러한 도어들에는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어락과 관련된 기술에는 다양한 것이 있다.
여닫이식 도어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문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타단이 회동되어 문틀에 정렬된 상태에서 도어락의 래치가 문틀이나 다른 도어에 캐치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게 함에 의해 잠금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어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손잡이를 갖는 잠금장치가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잠금장치의 예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을 비롯하여 다양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은 화장실이나 호텔룸, 회의실과 같이 다른 사람이 임의로 출입하지 못하도록 구획되게 룸을 만들고, 그 출입문에 도어락을 장치하여 출입문을 잠글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바깥쪽 손잡이가 장치되는 도어락의 외측지지커버에 표시창을 만들고, 표시창 내부에 알림판을 장치하여 룸내측에서 알림판을 회전시켜 표시창에 룸의 사용상태가 표시되게 하고, 알림판을 회전시켜 룸의 사용상태가 사용중으로 표시될 때는 룸 바깥쪽에서 도어락손잡이를 회전시켜도 문이 열리지 않도록 만든 룸 사용 알림과 사용시 열림 방지 기능을 가진 도어락 장치이고,
특허문헌 2는 도어락 손잡이축을 중심으로 제1 및 제 2손잡이가 이격 설치되고, 제 1손잡이와 제 2손잡이는 손잡이축을 동시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고, 제 1손잡이와 제 2손잡이 는 고정링에서 상하로 연장된 수직부와 수직부 끝단에서 나란하게 절곡된 수평부를 갖도록 구성하며, 수직부는 고정링의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수직부는 고정링의 상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수직부의 길이는 수직부의 길이보다 짧도록 하고, 고정링이 결합되는 손잡이축은 일반 도어 보다 낮은 위치에 오도록 구성한 손잡이가 두개인 도어락이며,
특허문헌 3은 합성수지 또는 아연으로 성형되어 출입문틀에 장착되는 도어락본체와, 도어락본체를 출입문에 고정시키기 위해 도어락본체의 내외측에 배치되어 출입문과 도어락본체를 결합하는 고정판과, 내외측 고정판 중심을 통해 도어락본체에 결합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내외측손잡이와, 도어락본체 중심부에 배치되어 내외측이 도어락손잡이 연결관에 결합하는 4각관체로 된 작동축과, 작동축 중앙부에 결합되어 선단이 손잡이 연결관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단부에 돌출단부를 안내하는 안내판이 배치되어 문틀의 걸림부에 출입되는 렛치와, 외측손잡이연결관내에 형성된 자물쇠삽입부에 장착되어 작동축을 개폐하는 실린더정과, 내측손잡이연결관에 장치되어 작동축을 강제 개폐하는 작동축개폐손잡이를 구비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내외측손잡이와, 손잡이 연결관, 그리고 내외측의 고정판 표면에는 스테인레스스틸판재 또는 황동,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판재중에서 선택한 소재를 사용하여 압착성형공법으로 성형하여 손잡이표면에 씌우는 손잡이외피와, 고정판 표면에 씌우는 고정판외피와, 손잡이연결관 외면에 씌우는 손잡이연결관외피를 갖추어서 외관이 비철금속 질감이 나며, 작동축개폐손잡이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전면고정판 내측중심봉에서 손잡이연결관 중심구멍으로 끼워서 작동축에 결합하는 결합관을 형성하고, 결합관과 전면고정판 사이에 환상으로 결합홈을 형성하여 손잡이외피의 결합부에 결합하되, 결합관은 외주면 양측에 일정폭으로 분할되어 외주면이 결합관 외주 표면 보다 높으면서 연결관 내경에 끼워지고, 전면이 결합관축 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결합부를 형성하여 신축결합부의 내측은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신축결합부 전면은 손잡이외피의 결합부 내면에 접촉되게 하여 손잡이외피 결합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회전이 이루어지게 하여 외관이 비철금속 질감이 나는 내부식성 도어락이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락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에 설치된 래치(100)가 문틀에 설치된 캐치(200)에 형성된 잠금 공간에 끼워져 도어가 문틀에 고정되고, 도어손잡이(300)를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측으로 이동하여 캐치의 잠금 공간으로부터 분리됨에 의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락은 장시간 사용할 경우 래치 자체 또는 래치를 도어손잡이와 연결시키는 부속의 노후로 인하여 도어손잡이가 작동되어도 래치가 도어측으로 당겨지지 않아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되어, 불의로 실내에 갇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독거하는 사람이 늘고 있고, 이렇게 독거 인이 화장실 등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 장시간 갇힐 경우 정신적으로 악영향을 받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875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22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83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불의로 잠긴 문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한 도어락용 안전 캐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된 래치가 끼워져 고정되는 캐치에 래치의 단부를 밀어 캐치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게 함에 의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도어락용 안전 캐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안전 캐치는 도어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래치가 출몰하여 도어를 문틀에 고정 또는 개폐되게 하는 도어락에 설치되는 캐치로, 문틀에 설치되고, 캐치박스에 형성된 래치삽입홈과 대응되는 부분에 래치관통홀이 형성된 판체 형상의 캐치본체; 상기 캐치본체와 캐치박스 사이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관통홀에 대응되는 래치관통홀의 일측에 래치푸싱판부를 형성하여, 수평 이동됨에 의해 래치푸싱판부가 래치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래치의 단부를 래치삽입홈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래치가 래치관통홀로부터 벗어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판체 형상의 래치분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치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래치분리판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리판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판지지수단은 캐치본체와 분리 구성되고, 상기 래치관통홀들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래치관통홀과, 상기 래치분리판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분리판슬라이딩홈과, 상기 캐치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날개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판지지수단은 캐치본체와 일체로 구성되고, 캐치본체의 배면과의 사이에 분리판슬라이딩홈을 형성하고, 래치관통홀의 일측에 스토핑날개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분리판은 래치관통홀의 래치푸싱판부과 대응되는 단부에 이탈방지날개가 더 형성되고, 상기 래치푸싱판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문틀 측으로 굽혀진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안전 캐치는 원하지 않게 래치가 캐치에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음에 의해 도어를 개방할 수 없을 때 래치분리판을 작동시켜 래치가 캐치로부터 벗어나게 함에 의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화장실 등과 같이 좁은 공간에 설치된 도어에서 도어락의 노후에 의해 래치가 캐치 및 캐치박스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어손잡이를 작동시켜도 래치가 캐치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때 래치분리판을 당겨 래치분리판에 형성된 래치푸싱판부가 래치의 단부를 밀어 캐치로부터 벗어나게 함에 의해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도어락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안전 캐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안전 캐치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안전 캐치의 다른 일예의 배면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안전 캐치의 또 다른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안전 캐치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안전 캐치의 작동 상태 횡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임으로 도어락을 구성하는 래치를 캐치로부터 분리하여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용 안전 캐치는 도어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래치(100)가 출몰하여 도어를 문틀에 고정 또는 개폐되게 하는 도어락에 설치되는 캐치(10)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에 설치되고, 캐치박스(20)에 형성된 래치삽입홈(20a)과 대응되는 부분에 래치관통홀(11h)이 형성된 판체 형상의 캐치본체(11); 상기 캐치본체와 캐치박스 사이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관통홀에 대응되는 래치관통홀(12h)의 일측에 래치푸싱판부(12p)를 형성하여, 수평 이동됨에 의해 래치푸싱판부가 래치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래치의 단부를 래치삽입홈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래치가 래치관통홀로부터 벗어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판체 형상의 래치분리판(12)을 포함한다.
상기 캐쳐(10)는 도어의 개폐 단부에 설치되는 도어락과 대향되는 문틀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락을 구성하는 렛치(100)가 캐치에 형성된 렛치관통홀에 끼워짐에 의해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래치(100)는 도어락을 구성하는 도어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도어락의 안쪽으로부터 출몰하지만, 도어락의 노후에 의해 도어손잡이를 작동시켜도 래치가 캐치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래치분리판(12)을 설치하여 캐치본체(11)의 래치관통홀(11h)과 캐치박스(20)의 래치삽입홈(20a)으부터 분리시킴에 의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캐치(10)는 도 2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치본체(11)와 래치분리판(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캐치본체(11)는 통상의 캐치와 동일하게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래치가 관통하는 래치관통홀(11h)이 형성되어 있어, 래치의 단부가 래치관통홀(11h)를 통과하여 캐치박스 내부의 래치삽입홈(20a)으로 끼워진 상태가 되면 래치가 문틀에 고정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래치분리판(12)은 캐치본체(11)의 래치관통홀(11h)을 통과하여 캐치박스(20)의 래치삽입홈(20a)에 끼워진 래치를 도어락 측으로 밀어 래치의 단부가 캐치본체의 래치관농홀에 걸리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래치분리판(1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치본체(11)에 형성된 래치관통홀과 대응되는 부분에 래치관통홀(12h)이 형성되어 있어, 캐치본체와 캐치박스 사이로 밀어 넣어진 상태(도 6 (a)참조)에서는 두 래치관통홀(11h, 12h)이 절렬되어 래치가 두 래치관통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래치분리판(12)은 캐치본체(11)의 래치관통홀(11h)을 통과하여 캐치박스(20)의 래치삽입홈(20a)에 끼워진 래치를 바깥쪽으로 밀어낼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래치관통홀(12h)의 일측에 래치푸싱판부(122p)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래치분리판(12)을 바깥쪽으로 당기면 래치푸싱판부(12p)가 캐치본체(11)의 래치관통홀(11h)과 정렬된 상태(도 6 (b)참조)가 되고 이렇게 래치푸싱판부(12p)가 래치관통홀(11h)과 정렬된 상태가 되면 래치푸싱판부(12p)가 래치(100)의 단부를 래치삽입홈(20a)의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래치관통홀(11h)을 벗어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래치분리판(12)은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상기 캐치본체(11)의 일측에는 상기 래치분리판(12)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리판지지수단(13)을 설치하였다.
상기 분리판지지수단(13)은 래치분리판이 캐치본체의 배면에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돌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캐치본체와 분리 구성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치본체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도 3,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치본체와 분리하여 구성한 분리판지지수단(13)은 상기 래치관통홀들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래치관통홀(13s)과, 상기 래치분리판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분리판슬라이딩홈(13s)과, 상기 캐치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날개(13c)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리형으로 구성된 분리판지지수단(13)은 캐치본체와 결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렇게 판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캐치본체에 형성된 래치관통홀(11h)과 대응되는 부분에 래치관통홀(13h)을 형성하여야 래치관통홀(11h)을 통과한 래치가 캐치박스의 래치삽입홈까지 기워질 수 있다.
상기 결합날개(13c)는 분리판지지수단을 캐치본체의 배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캐치본체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접힘에 의해 분리판지지수단이 캐치본체에 고정된다.
물론 결합날개 대신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분리판지지수단을 캐치본체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의 상기 분리판지지수단(1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치본체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 캐치본체의 배면과의 사이에 분리판슬라이딩홈(13s)을 형성하고, 래치관통홀(11h)의 일측에 스토핑날개(13f)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분리판지지수단(13)에서 분리판슬라이딩홈(13s)은 판체를 캐치본체에 설치하여 형성하거나, 캐치본체의 일부를 절단 및 절곡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핑날개(13f) 역시 판체를 캐치본체에 설치하여 형성하거나, 캐치본체의 일부를 절단 및 절곡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며, 특히 래치관통홀(11h)을 형성할 때 일부만 "ㄷ"형태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래치분리판(12)은 래치관통홀(12h)의 래치푸싱판부(12p)과 대응되는 단부에 이탈방지날개(12w)가 더 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날개(12w)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분리판을 당겨 래치푸싱판부가 래치관통홀(11h)측으로 이동한 상태(도 7 (b)참조)에서 래치분리판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캐치박스의 내벽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치분리판(12)의 상기 래치푸싱판부(12p)의 반대측 단부에는 문틀 측으로 굽혀진 손잡이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12c)는 래치분리판을 쉽게 잡아당길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 측으로 굽혀져 손으로 잡아았을 때 굽혀진 부분이 손에 결려 잘 잡을 수 있게 하였다.
물론, 상기 손잡이부(12c)에는 매듭이나 스피커 등 보조 수단을 더 설치하여 손으로 잡기 쉽게 함에 따라 래치분리판을 보다 쉽게 당길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분리판을 구성하는 래치푸싱판부(112p)에는 래치푸싱돌기(12d)를 더 형성할 수 있다.(도 5참조)
상기 래치푸싱돌기(12d)를 더 형성하는 이유는, 캐치본체는 소정의 두께가 있고, 래치분리판이 캐치본체(11)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래치분리판이 장동할 때 래치푸싱판부(112p)가 래치를 밀어도 캐치본체의 두께만큼 덜 밀릴 수 있으며, 이 캐치본체의 두께 만큼 더 밀어주기 위해 상기 래치푸싱돌기(12d)를 더 형성한 것이다.
물론, 캐치본체의 상기 래치푸싱돌기(12d)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돌기홈(11g)을 형성하여 래치분리판이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캐치본체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이탈방지날개(12w)와 스토핑날개(13f)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접촉되어 이탈방지날개가 캐치박스 내벽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여 캐치박스를 보호할 수 있다.
10: 캐치
11: 캐치본체
11h: 래치관통홀 11g: 돌기홈
12: 래치분리판
12p: 래치푸싱판부 12h: 래치관통홀
12c: 손잡이부 12w: 이탈방지날개
12d: 래치푸싱돌기
13: 분리판지지수단
13s: 분리판슬라이딩홈 13f: 스토핑날개
13h: 래치관통홀 13c: 결합날개
20: 캐치박스 래치삽입홈
100: 래치

Claims (5)

  1. 문틀에 설치되고, 도어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출몰하는 래치(100)가 걸리거나 분리되어 도어를 문틀에 고정 또는 개방되게 하는 도어락용 캐치(10)에 있어서,
    문틀에 설치되고, 캐치박스(20)에 형성된 래치삽입홈(20a)과 대응되는 부분에 래치관통홀(11h)이 형성된 판체 형상의 캐치본체(11);
    상기 캐치본체와 캐치박스 사이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관통홀(11h)에 대응되는 래치관통홀(12h)이 형성되되, 상기 래치관통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여 래치푸싱판부(12p)를 형성하였으며, 수평 이동됨에 의해 래치푸싱판부가 래치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래치의 단부를 래치삽입홈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래치가 래치관통홀로부터 벗어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판체 형상의 래치분리판(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안전 캐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본체(11)의 일측에는 상기 래치분리판(12)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리판지지수단(1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안전 캐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지지수단(13)은 캐치본체와 분리 구성되고, 상기 래치관통홀들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래치관통홀(13s)과, 상기 래치분리판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분리판슬라이딩홈(13s)과, 상기 캐치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날개(13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안전 캐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지지수단(13)은 캐치본체와 일체로 구성되고, 캐치본체의 배면과의 사이에 분리판슬라이딩홈(13s)을 형성하고, 래치관통홀(11h)의 일측에 스토핑날개(13f)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안전 캐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분리판(12)은 래치관통홀(12h)의 래치푸싱판부(12p)과 대응되는 단부에 이탈방지날개(12w)가 더 형성되고,
    상기 래치푸싱판부(12p)의 반대측 단부에는 문틀 측으로 굽혀진 손잡이부(12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안전 캐치.
KR1020230044115A 2023-04-04 2023-04-04 안심 도어락용 안전 캐치 KR10255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115A KR102551631B1 (ko) 2023-04-04 2023-04-04 안심 도어락용 안전 캐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115A KR102551631B1 (ko) 2023-04-04 2023-04-04 안심 도어락용 안전 캐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631B1 true KR102551631B1 (ko) 2023-07-05

Family

ID=8715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115A KR102551631B1 (ko) 2023-04-04 2023-04-04 안심 도어락용 안전 캐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6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575A (ko) * 2010-07-07 2012-01-13 재신건설(주) 도어 핸들용 래치 캐처구
KR101458754B1 (ko) 2012-09-13 2014-11-05 박덕훈 룸 사용 알림과 사용시 열림 방지 기능을 가진 도어록 장치
KR101798337B1 (ko) 2016-11-16 2017-11-16 (주)아신금속 부시 일체형 고정판을 구비한 방화문 도어락 손잡이 조립체
KR20180092201A (ko) 2017-02-08 2018-08-17 장화성 손잡이가 두개인 도어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575A (ko) * 2010-07-07 2012-01-13 재신건설(주) 도어 핸들용 래치 캐처구
KR101458754B1 (ko) 2012-09-13 2014-11-05 박덕훈 룸 사용 알림과 사용시 열림 방지 기능을 가진 도어록 장치
KR101798337B1 (ko) 2016-11-16 2017-11-16 (주)아신금속 부시 일체형 고정판을 구비한 방화문 도어락 손잡이 조립체
KR20180092201A (ko) 2017-02-08 2018-08-17 장화성 손잡이가 두개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498A (en) Latch assembly
JP5114407B2 (ja) 窓固定の手段および方法
US11578516B2 (en) Multifunction securing mechanism for door
KR102551631B1 (ko) 안심 도어락용 안전 캐치
US4446798A (en) Safe bolt mechanism
KR200436199Y1 (ko) Ktx화장실문 개폐장치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IE57111B1 (en) Improvements in locking mechanisms and security grilles
LU101528B1 (en) Ventilation device and window or door incorporating same
KR20100024649A (ko) 창호용 잠금장치
JP6414889B2 (ja) 開き扉の施解錠機構
EP2281984A1 (en) A lock assembly
KR20220142104A (ko) 선박용 슬라이딩도어
KR100704985B1 (ko) 도어 개폐 방법 및 그 장치
JP3975216B2 (ja) 非常用開放機構付き開き戸
KR101786705B1 (ko) 차량의 대향 개폐형 도어구조
JP6419002B2 (ja) 建具
CN218912584U (zh) 一种便携折叠式阻门器
KR10226012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661398B1 (ko) 갇힘 방지용 도어록
KR101299493B1 (ko) 도어의 보조 잠금장치
KR102267619B1 (ko)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KR101195925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200463094Y1 (ko) 창호형 핸들의 휴대 수납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