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007Y1 -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 Google Patents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007Y1
KR200306007Y1 KR20-2002-0035064U KR20020035064U KR200306007Y1 KR 200306007 Y1 KR200306007 Y1 KR 200306007Y1 KR 20020035064 U KR20020035064 U KR 20020035064U KR 200306007 Y1 KR200306007 Y1 KR 200306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creen
door frame
securit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이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수 filed Critical 이경수
Priority to KR20-2002-0035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0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현관문이 설치된 문틀에 설치되는 방충문에 잠금수단과, 비사용시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방충을 위한 메쉬가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성과 내구성 및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함에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관문이 설치된 문틀에 방범틀과 방충망으로 되는 방충문이 힌지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금속메쉬로 되는 방충망과, 잠금기능이 구비된 도어핸들과 도어스토퍼가 설치된 방범틀과, 도어핸들의 괘정돌기가 삽입되는 괘정홈이 설치된 방범문틀로 되는 방충문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강인한 금속망에 의하여 외부의 강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현관을 폐쇄한 상태에서 환기와 통풍을 할 수 있게 되어 외부 침입에 대한 방범기능이 있고, 비사용시에는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어 현관문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Porch Double Door with Complex Function Door}
본 고안은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관문이 설치된 문틀과는 별도로 설치된 문틀에 방충망이 구비된 방충문을 설치한 이중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아파트나 사무실 등에 설치된 현관문은 보안을 위하여 출입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출입구가 완전 차단됨은 물론, 내, 외부 간의 통풍도 이루어지지 않도록 되었다.
따라서 실내를 환기시키거나 하절기 통풍을 위하여 현관문을 열어 놓을 경우에는 복도에서 실내를 들여다볼 수 있어 사생활이 침해되고,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는 등의 문제가 있어, 상기 현관문의 문틀에 방충망이 구비된 방충문을 별도로 설치한 이중 구조의 문이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5-7722호(명칭; 방충문을 측설한 조립식 이중문)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이중문을 첨부한 도면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이중문(100)은 문틀(101)에 현관문(102)과 방충문(103)이 힌지(107)로 결합된 것으로, 방충문(103)은 사각 형태의 방범틀(104) 내측에 직물로 되는 방충망(105)과, 상기 방충망(105)을 보호하기 위한 문살(106)이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이중문(100)을 현관에 설치한 후, 현관문(102)을 개방시키고 방충문(103)을 폐쇄시키면 실내의 공기가 방충망(105)을 통하여 외부로 나감과 아울러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게 되어 양호한 통풍이 이루어지며, 파리나 모기와 같은 해충은 상기 방충망(105)에 의하여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실내는 어둡고 협소한 공간인 반면 실외는 밝고 넓은 공간이어서 실내에서 실외는 보이나, 실외에서 실내는 보이지 않으므로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문(100)은 현관문(102)에만 잠금장치가 있어, 환기나 통풍을 위하여 현관문(102)을 개방시킬 경우, 외부의 침입을 차단하는 수단이 해제되어 도둑이나 강도 등이 침입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방충망(105)이 직물로 되어 있으므로, 아이들이 장난치다 부딪치거나 물건을 옮기는 과정에서 상기 물건의 모서리가 부딪칠 경우, 또는 칼이나 절단기 등의 예리한 도구로 압력을 가할 경우, 상기 방충망(105)이 찢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방충문(103)은 문틀(101)에 설치된 것이므로, 현관을 통하여 실내로 출입하기 위하여 반드시 방충문(103)과 현관문(102)을 개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방충문(103)이 필요없는 계절에는 분리시켜 다른 곳에 보관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현관문이 설치된 문틀에 설치되는 방충문에 잠금수단과, 비사용시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방충을 위한 메쉬가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성과 내구성 및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이중문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문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중문의 잠김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중문 11 : 문틀 12 : 괘정홈
13 : 현관문 14 : 방충문 15 : 방범틀
16 : 방충망 17 : 도어핸들 18 : 괘정돌기
19 : 도어스토퍼 20 : 힌지 21 : 방범문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현관문이 설치된 문틀에 방범틀과 방충망으로 되는 방충문이 힌지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금속메쉬로 되는 방충망과, 잠금기능이 구비된 도어핸들과 도어스토퍼가 설치된 방범틀과, 도어핸들의 괘정돌기가 삽입되는 괘정홈이 설치된 방범문틀로 되는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방충문을 잠글 수 있게 되어 현관문이 개방되더라도 외부에서 침입할 수 없고, 방충망이 금속으로 되어 예리한 물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손상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문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중문의 잠김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문틀(11)에 현관문(13)과 방충문(14)을 설치하여 이중문(10)을 구성하는 것으로, 방충문(14)은 방범틀(15)에 금속 메쉬로 되는 방충망(16)을 설치하고, 아울러 상기 방범틀(15)의 중간부분과 하측에 각각 잠금기능이 구비된 도어핸들(17)과 도어스토퍼(19)을 설치하며, 이러한 방충문(14)이 설치되는 방범문틀(21)을 형성하고, 상기 방범문틀(21)에 방충문(14)을 힌지(20)로 결합시키되, 상기 방충문틀(21)을 현관문(13)이 설치된 문틀(11)의 내측에 설치하여 방충문(14)이 실내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후 환기 또는 하절기에 통풍을 위하여 현관문(13)을 개방시킬 경우, 상기 현관문(13)을 완전 개방시킨 상태에서 방충문(14)을 닫고, 도어핸들(17)의 잠금장치를 조작하여 방충문(14)을 잠그면 외부에서 실내로 사람이 들어오는 것은 차단되며, 실내의 공기가 방충망(1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는 실내로 유입되어 환기와 통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방충문틀(21)에 고정 설치된 방충문(14)은 힌지(20)에 의하여 회동되며 개폐되는 것이고, 페쇄시에는 도어핸들(17)에 연결된 잠금장치의 괘정돌기(18)가 방범문틀(21)의 괘정홈(12)에 삽입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조작하면 괘정돌기(18)가 고정되어 잠금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현관을 개방시키지 않고 통풍과 환기를 시킬 수 있게 되므로, 외부의 침입에 대하여 안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방충망(16)이 금속 메쉬로 되어 있으므로, 아이들이 장난하며 부딪치거나 물건의 모서리가 부딪치는 경우, 또는 도둑이나 강도가 침입을 위하여 칼이나 절단기 등과 같은 예리한 도구로 압력을 가하더라 찢어지지 않으며, 아울러 상기 방충망(16)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살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아울러 방충문(14)이 필요없는 계절에는 상기 방충문(14)을 완전 개방시키고, 도어스토퍼(19)의 저면이 바닥에 닿도록 하면 방충문(14)이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실내로 출입시 방충문(14)을 개방 또는 폐쇄할 필요없이 현관문(13)만을 개폐시키면 되므로, 방충문(14)을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현관에 현관문이 설치되는 문틀과 함께 방충문이 설치되는 방범문틀을 설치하고, 이러한 방범문틀에 방충망이 금속메쉬로 되며 방범틀에 잠금기능이 구비된 도어핸들과 도어스토퍼를 설치하여서 된 방범문을 설치하는 것으로, 강인한 금속망에 의하여 외부의 강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현관을 폐쇄한 상태에서 환기와 통풍을 할 수 있게 되어 외부 침입에 대한 방범기능이 있고, 비사용시에는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어 현관문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현관문(12)이 설치된 문틀(11)에 방범틀(15)과 방충망(16)으로 되는 방충문(14)이 힌지(20)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잠금기능이 구비된 도어핸들(17)과 도어스토퍼(19)가 설치된 방범틀(15)과, 도어핸들(17)의 괘정돌기(18)가 삽입되는 괘정홈(12)이 설치된 방범문틀(21)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충망(15)이 금속메쉬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KR20-2002-0035064U 2002-11-23 2002-11-23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KR200306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064U KR200306007Y1 (ko) 2002-11-23 2002-11-23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064U KR200306007Y1 (ko) 2002-11-23 2002-11-23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007Y1 true KR200306007Y1 (ko) 2003-03-03

Family

ID=4940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064U KR200306007Y1 (ko) 2002-11-23 2002-11-23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0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963B1 (ko) * 2015-09-25 2017-07-06 조융 도어구조
KR20190042879A (ko) * 2017-10-17 2019-04-25 국립생태원 푸른베짜기개미 생태 전시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963B1 (ko) * 2015-09-25 2017-07-06 조융 도어구조
KR20190042879A (ko) * 2017-10-17 2019-04-25 국립생태원 푸른베짜기개미 생태 전시장
KR102055863B1 (ko) 2017-10-17 2019-12-13 국립생태원 푸른베짜기개미 생태 전시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90062A1 (en) Storm protection and security window shutter system
US5832666A (en) Window storm shield and guard assembly
US5860465A (en) Combined garage door screen and garage door and method
US6401663B1 (en) Pet enclosure
KR200294880Y1 (ko)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KR200306007Y1 (ko)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US5740628A (en) Removable security apparatus for building openings
AU702496B2 (en) Releasable locking assembly
KR101117942B1 (ko) 출입문
JPH0988446A (ja) ドア装置
JP2001073651A (ja) 防犯格子戸及び網布付き防犯格子戸
KR100742228B1 (ko) 현관문
KR200355513Y1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20090004433U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구조
KR200398812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KR20050094727A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200287511Y1 (ko) 고층아파트 어린이 추락사고 예방용 방범 방충망구조
US20090229201A1 (en) Hurricane and break-in resistant apparatus and method
KR910009333Y1 (ko) 창문틀체에 취부되는 방충, 방범 겸용 보조창문
KR200350069Y1 (ko) 안전 방충 방범창
KR200397159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KR200254634Y1 (ko) 통풍 및 환기를 위한 보조문을 갖는 이중문
KR200176317Y1 (ko) 다기능 보조 창문 및 그것을 이용한 창문 어셈블리
KR200163137Y1 (ko) 건축물의 현관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