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809B1 -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809B1
KR101918809B1 KR1020160013030A KR20160013030A KR101918809B1 KR 101918809 B1 KR101918809 B1 KR 101918809B1 KR 1020160013030 A KR1020160013030 A KR 1020160013030A KR 20160013030 A KR20160013030 A KR 20160013030A KR 101918809 B1 KR101918809 B1 KR 10191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rol board
communication control
closed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021A (ko
Inventor
조병하
Original Assignee
조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하 filed Critical 조병하
Priority to KR1020160013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8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6Speed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에서 문을 자동 폐쇄하고 카드 인식으로 문을 자동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벽에 형성된 관통공 내주에 걸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된 출입문의 개폐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문틀이 일체 설치되고, 하측 바닥에 설치되어 출입문 저면에 돌출 결합된 하부가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상측 문틀 내측에 가로로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하고 출입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서포트빔; 상기 출입문 상단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에 축 결합된 행거롤러가 서포트빔의 트랙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캐리지휠; 상기 서포트빔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인장력을 갖는 태엽방식으로 감긴 와이어가 상기 캐리지휠 일측에 연결된 스프링 도어클로저; 상기 슬라이딩되는 출입문이 폐쇄되는 쪽의 문틀 내부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당겨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전자잠금장치; 상기 전자잠금장치에 장착되어 전자잠금장치의 제어 및 상태를 원격제어장치와 통신으로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보드; 상기 서포트빔에 설치되어 출입문이 완전 개방되었을 때의 접점신호로 전자적으로 작동되어 출입문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개방유지장치; 상기 문틀 일측에 설치되어 무선카드와 비접촉식으로 근거리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통신제어보드를 통해 출입문의 개폐 출입을 통제하는 카드리더, 및 상기 통신제어보드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개별, 그룹별 또는 전체 문을 감시 및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가 적용된 반자동문은 원격에서 개폐할 수 있어 교정시설이나 IBS(인텔리전트 빌딩시스템) 등에서 해당 구역의 방범을 위한 출입통제와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구현할 수 있고, 수동의 반자동문에 제어기능이 결합되어 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 용도에 따른 반자동문의 개방유지가 가능하고, 무선카드를 이용하여 반자동문의 개폐에 따른 데이터의 관리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반자동문의 자동 폐쇄기능으로 보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of Semi Automatic Door having Electronic Locking Device and Holding Open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통제를 위한 전자잠금장치를 설치하여 원격에서 문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고 개방유지장치를 적용하여 반자동문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다 원격에서 문을 자동 폐쇄하거나 카드 인식으로 문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은 건축적인 의미에서 내부와 외부 또는 구획된 공간을 드나들거나 물건을 넣었다 꺼냈다하기 위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시설이다. 문은 개폐하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와 미닫이로 구분할 수 있고, 작동하는 방식에 따라 사람이 열고 닫는 수동문과 문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자동문, 그리고 사람이 문의 개폐를 일부 관여하는 반자동문이 있다.
종래 수동 미닫이 방식의 반자동문은 문을 개폐할 때에 사람이 밀어 문을 열고 통과하면 문이 스스로 닫히고, 문을 장시간 개방할 때에 문을 끝까지 밀면 스프링 판에 의해 개방되었다가 사람이 조금 끌어당기면 문이 자동으로 폐쇄된다. 이때, 문을 장시간동안 열어 두거나 통행자가 고의로 문을 열어놓아 둔 경우에는 사람이 직접 문을 닫아야하는 번거로움과 더불어 방범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8457호(2011.09.28.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출입통제를 위한 반자동문을 개방유지장치로 개방 유지한 때에 원격에서 자동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출입통제를 위한 반자동문을 무선카드의 인식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에 형성된 관통공 내주에 걸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된 출입문의 개폐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문틀이 일체 설치되고, 하측 바닥에 설치되어 출입문 저면에 돌출 결합된 하부가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상측 문틀 내측에 가로로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하고 출입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서포트빔; 상기 출입문 상단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에 축 결합된 행거롤러가 서포트빔의 트랙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캐리지휠; 상기 서포트빔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인장력을 갖는 태엽방식으로 감긴 와이어가 상기 캐리지휠 일측에 연결된 스프링 도어클로저; 상기 슬라이딩되는 출입문이 폐쇄되는 쪽의 문틀 내부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당겨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전자잠금장치; 상기 전자잠금장치에 장착되어 전자잠금장치의 제어 및 상태를 원격제어장치와 통신으로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보드; 상기 서포트빔에 설치되어 출입문이 완전 개방되었을 때의 접점신호로 전자적으로 작동되어 출입문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개방유지장치; 상기 문틀 일측에 설치되어 무선카드와 비접촉식으로 근거리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통신제어보드를 통해 출입문의 개폐 출입을 통제하는 카드리더, 및 상기 통신제어보드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개별, 그룹별 또는 전체 문을 감시 및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측 문틀 전면에 설치된 커버와, 상기 출입문 상단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출입문이 닫힐 때에 출입문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 상기 서포트빔 내측에 설치되어 감속기와 접촉되는 랙과, 상기 문틀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이나 폐쇄 또는 무선카드의 인증상태를 복수의 색상으로 구분된 LED램프를 통해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잠금장치는 출입문의 잠금고리를 해정 또는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록과, 전자잠금장치의 제어를 위하여 도어록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출입문의 개방과 폐쇄를 감지하는 자석식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원격에서 버튼을 조작하여 출입문의 개폐 조작을 운영하는 제어반이거나 또는 원격에서 운영화면을 조작하여 출입문의 개폐 조작을 운영하는 통합제어용 P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원격제어장치에서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제어신호를 통신제어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원격제어장치에서 수신된 제어신호가 개방신호이면 전자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잠금상태를 해정하는 단계; (c)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정상적인 제어에 의하여 개방되었다면 표시기의 녹색등과 적색등을 각각 점등하는 단계; (d)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었다면 표시기의 적색등을 점등하고 원격제어장치로 경보신호를 전송하여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원격제어장치에서 수신된 제어신호가 폐쇄신호이면 개방유지장치를 작동시켜 출입문을 폐쇄하는 단계; (f)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정상적인 제어에 의하여 폐쇄되었다면 표시기의 녹색등과 적색등을 각각 소등하는 단계, 및 (g)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비정상적으로 폐쇄되었다면 표시기의 적색등을 점등하고 원격제어장치로 경보신호를 전송하여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제어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출입문이 폐쇄된 상태에서 카드리더에 무선카드를 비접촉으로 인식시키면 카드리더는 무선카드의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통신제어보드로 전송하고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의 폐쇄상태를 해정시키기 위한 해정신호를 전자잠금장치로 전송하여 출입문의 잠금상태를 해정하는 단계; (b)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정상적인 제어에 의하여 개방되었다면 표시기의 적색등을 점등하고 녹색등을 소등하는 단계; (c)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었다면 표시기의 적색등을 점등하고 원격제어장치로 경보신호를 전송하여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계; (d)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카드리더에 무선카드를 비접촉으로 인식시키면 카드리더는 무선카드의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통신제어보드로 전송하고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의 개방상태를 폐쇄시키기 위한 폐쇄신호를 개방유지장치로 전송하여 출입문의 개방상태를 폐쇄하는 단계; (e)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정상적인 제어에 의하여 폐쇄되었다면 표시기의 녹색등과 적색등을 소등하는 단계, 및 (f)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비정상적으로 폐쇄되었다면 표시기의 적색등을 점등하고 원격제어장치로 경보신호를 전송하여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제어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a)에서, 출입문이 폐쇄된 상태에서 정전이나 화재발생에 따른 비상상황일 때에 출입문의 문틀에 설치된 수동키로 전자잠금장치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가 적용된 반자동문은 원격에서 개폐할 수 있어 교정시설이나 IBS(인텔리전트 빌딩시스템) 등에서 해당 구역의 방범을 위한 출입통제와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구현할 수 있고, 수동의 반자동문에 제어기능이 결합되어 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 용도에 따른 반자동문의 개방유지가 가능하고, 무선카드를 이용하여 반자동문의 개폐에 따른 데이터의 관리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반자동문의 자동 폐쇄기능으로 보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의 개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의 개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의 폐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의 폐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이 개방에서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의 출입문 측면에 돌출된 잠금고리와 문틀 내에 매립되어 설치된 전자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을 무선카드로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의 설치환경은 정전 때에 출입문이 폐쇄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자동 시건방식이 적용되어 상시 시건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정전 때에 외부에서 출입문을 개방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수동키로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복수의 출입문을 관리 및 감시하는 관리자가 순찰 중 현장에서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어야 하므로 비접촉식 카드방식의 인식장치를 이용하여 승인된 무선카드(RFID Card)로 출입문을 폐쇄 또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자가 원격에서 출입문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원격의 제어반에서 버튼을 조작하거나 통합제어용 PC의 운영화면에서 개별, 그룹 또는 전체 출입문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관리자가 출입문의 개폐상태와 잠금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반자동 출입문의 개폐상태의 전송과 표시기를 통해 가시적인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욱이 원격 제어시스템에 대한 접근통제와 출입문의 관리 및 유지관리가 가능해야 하므로 접근 암호 및 자동 로그아웃과 통합제어용 PC와의 통신을 통해 출입문 운영데이터의 설정 및 변경과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9에서, 건물 내부에 구획된 공간을 출입하기 위하여 출입문(1)이 설치된다. 출입문에는 구획된 공간의 벽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문틀(7)이 설치된다. 더욱이 문틀(7)은 관통공 내주에 걸쳐 하나 이상의 문짝으로 결합된 출입문(1)의 개폐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일체 설치된다. 즉, 문틀(7)은 상측과 좌우측이 일체로 구성되어 설치되거나, 상측과 좌우측의 문틀 각각이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출입문(1)은 미닫이가 적용되는 것이 좋고, 좌우 한 쌍이 구성되거나 단일의 출입문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문틀(7)과 출입문(1)은 금속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좋지만 목질이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도 있다. 문틀(7)과 출입문(1)은 독거실이나 혼거실에 따라 크기 및 형태가 달라질 수 있고 출입문(1)에 하나 이상의 방범창(4, 5)이 구비된 강화유리가 적용될 수 있으며, 또, 교정시설용 출입문의 경우에는 배식구(6)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문틀(7)과 출입문(1)의 상측 및 하측과 좌측 및 우측 각각의 틈새에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고무가스켓 또는 모헤어를 삽입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모헤어는 상측 문틀의 서포트빔(10)과 출입문(1)의 틈새, 문틀(7)과 출입문(1)의 틈새, 그리고 하부가이드(8) 및 가이드레일(9)과 출입문(1)의 틈새에 각각 부착하여 기밀성이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출입문(1)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동안 접촉되는 부분에 고무가스켓을 적용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노출형태의 작동기기를 사용하여 간편한 시공으로 상부 벽체에 노출 고정시킬 수 있다. 반자동문의 카드리더에 무선카드를 인식시켜 수동으로 출입문을 개방할 때에 완전히 열리지 않으면 바로 출입문이 닫히고, 출입문을 완전히 개방하여 밀고 있으면 개방상태가 유지되며, 폐쇄 때에는 원격에서 닫거나 무선카드의 인식으로 출입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반자동문은 자동문보다 구축 및 운영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원격에 구축된 제어반의 버튼이나 통합제어용 PC의 운영화면을 통해 출입문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고 제어시스템에 대한 접근 통제기능이 구비되어 향상된 보안을 구축 및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9)은 문틀의 하측에 해당하는 바닥(7) 상단에 설치되어 출입문(1) 저면에 돌출 결합된 하부가이드(8)를 안내하는 것으로, 하부가이드(8)가 이동하는 홈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9)은 스테인리스 재질이 적용된다. 하부가이드(8)는 가이드레일(9)로부터 출입문(1)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가이드(8)는 테프론 재질이 적용된다.
서포트빔(Support Beam)(10)은 상측 문틀(7) 내측에 가로로 설치되어 출입문(1)을 지지하고 출입문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것이다. 서포트빔(10)은 알루미늄 재질이 적용되고 캐리지휠(12)을 안내하는 트랙부(10a)와 일체형으로 각종 장치들이 브라켓과 볼트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커버(11)는 문틀의 상측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포트빔(10) 상부에 결합 설치되고, 서포트빔(10) 내부 및 결합된 각종 장치들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설치된다. 커버(11)는 수직에서 대략 45도 이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캐리지휠(12)은 출입문(1) 상단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캐리지휠(12) 내측에 축 결합된 행거롤러(12a)가 서포트빔(10)의 트랙부(10a)에 안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감속기(13)는 캐리지휠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출입문(1)이 닫힐 때에 출입문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으로, 감속기(13)는 출입문의 닫히는 속도가 부드럽게 감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스프링 도어클로저(14)는 서포트빔(10)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인장력을 갖는 태엽방식으로 감긴 스프링와이어(19)가 캐리지휠(12) 일측에 연결된다. 스프링 도어클로저(14)에는 캐리지휠(12)의 브라켓에 스프링와이어(19)의 연결고리를 연결하여 인력으로 출입문을 열면 스프링와이어가 당겨지고 출입문(1)이 열린 상태에서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원공급 없이도 스스로 출입문이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랙(15)은 서포트빔(10) 내측에 설치되어 감속기(13)와 접속하는 것으로, 랙(15)은 나일론 재질의 랙기어로 회전식 댐퍼에 의하여 브레이크 작용을 하는 것이다.
전자잠금장치(22)는 우측 문틀(7), 예컨대, 폐쇄되는 출입문(1) 단부에 돌출된 잠금고리(3)가 구비된 쪽의 문틀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전자잠금장치(22)에는 전압의 인가 유무에 따라 동작하는 도어록(23), 예컨대, 데드볼트 록(Dead Bolt Lock)이 설치되어 1차의 당김(Pull) 단계와 2차의 유지 2단계로 작용한다. 도어록(23)은 스테인리스 재질이 적용된다. 전자잠금장치(22)는 도어록의 동작상태, 즉 해정 또는 잠금 위치(Lock Open/Lock Close Position)를 감지한다. 전자잠금장치(22)에는 제어를 위한 감지장치로 마이크로스위치(Micro Switch)(24)와 자석식스위치(Magnetic Door Contact)(25)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스위치(24)는 롤러방식으로 전자잠금장치(22)를 덮는 커버가 개방되는지를 감지하고, 자석식스위치(25)는 출입문(1)의 개방과 폐쇄를 감지한다. 전자잠금장치(22)는 인가되는 전원(DC24V)이 차단되거나 정전 때에 폐쇄형(Fail Secure)으로 작동한다. 즉 전자잠금장치(22)는 비상시에 수동키를 이용하여 잠금과 해정이 가능하다.
통신제어보드(27)는 전자잠금장치(22) 일측에 설치된다. 통신제어보드(27)는 원격제어장치(100)와 데이터통신(RS485 2Wire Multidrop)을 통해 전자잠금장치(22)의 제어와 출입문(1)의 열림이나 닫힘 상태 또는 전자잠금장치(22)의 잠금이나 해정 상태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통신제어보드(27)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가 적용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비활성 기억장치(EEPROM)를 이용하여 읽어 들인 무선카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원격제어장치(100)와의 통신 이상 때에도 정상 작동된다. 통신제어보드(27)는 출입문(1)의 개폐 상태, 잠금 위치 및 동작 상태를 입력받아 전자잠금장치(22)의 1차 당김과 2차 유지의 두 단계를 제어한다.
개방유지장치(16)는 서포트빔(10)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1)이 완전 개방되었을 때에 통신제어보드(27)의 접점신호를 받아 전자적으로 작동된다. 즉 개방유지장치(16)는 출입문(1)이 완전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힌지 결합된 스토퍼(17)가 캐리지휠(12)을 홀딩한 상태에서 통신제어보드(27)의 접점신호를 받으면 스토퍼(17)가 해제되어 출입문(1)이 스프링 도어클로저(1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에서, 카드리더(21)는 문틀(7) 일측에 설치되어 무선카드(28)와 비접촉식으로 근거리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통신제어보드(27)를 통해 출입문(1)의 개폐를 통제하는 것이다. 카드리더(21)는 예컨대, 사용전압이 DC5V-50mA이고, 사용주파수는 125KHz 또는 13.56MHz이며, 출력은 위건드 효과(Wiegand Effect, 26bit/34bit)를 이용하는 것이고, 무선카드(28)의 인식거리는 5~10cm이내이다.
표시기(20)는 문틀(7)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1)의 개폐나 잠금이나 해정 상태 또는 무선카드(28)의 인증 상태를 표시등을 이용하여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표시기(20)는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색상으로 나타내는 표시등으로 LED램프가 적용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적색등의 점등은 출입문의 개방을 표시하고, 적색등이 점멸될 때에는 통신의 이상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녹색등은 무선카드의 인증이 정상인 경우에 점등되고, 녹색등이 점멸될 때에는 무선카드가 미등록된 카드임을 표시한다.
원격제어장치는 복수로 설치된 출입문(1)의 개폐를 제어 및 감시하는 관리자가 근무하는 관리자실에 설치된 것으로, 제어반(30)이거나 통합제어용 PC(4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흐름도에서, 출입문(1)을 개폐하기 위하여 원격에서 제어하는 경우이다.
원격에서 복수의 출입문(1)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관리자가 관리자실 등에 설치된 원격제어장치, 즉 제어반(30) 또는 통합제어용 PC(40)를 조작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S1). 이때, 제어신호는 폐쇄된 출입문(1)을 개방하기 위하여 전자잠금장치(22)를 해정시키기 위한 신호이거나 또는 개방유지장치(16)에 의하여 개방된 출입문(1)을 폐쇄시키기 위한 신호가 될 것이다. 따라서 원격제어장치(100)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원격의 통신제어보드(27)로 전송되고, 통신제어보드(27)는 수신된 제어신호로 전자잠금장치(22) 또는 개방유지장치(16)의 작동을 제어한다.
먼저, 출입문(1)이 전자잠금장치(22)에 의해 잠금상태가 유지되어 폐쇄된 상태에서 출입문을 해정시켜 개방하기 위하여 원격제어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개방버튼 중 해당하는 출입문의 개방버튼을 누른다. 개방버튼은 해당하는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하거나 폐쇄상태의 출입문을 개방할 때 선택한다. 개방버튼의 해당 개방버튼이 선택되어 눌러지면 원격제어장치(100)에서 개방신호가 통신제어보드(27)로 전송되고(S2), 통신제어보드(27)는 전자잠금장치(22)를 작동시켜 잠금상태를 해정시킨다(S3). 이때, 통신제어보드(27)는 전자잠금장치(22)의 해정신호를 원격제어장치(100)로 전송하여 원격제어장치(100)가 정상적인 해정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S4). 전자잠금장치(22)가 정상적으로 해정되었다면 표시기(20)의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된다(S5). 전자잠금장치(22)가 해정상태가 되면 관리자가 출입문(1)의 손잡이(2)를 잡고 밀면 출입문을 개방시킬 수 있다. 더욱이 출입문(1)을 계속 밀어 열면 개방유지장치(16)가 캐리지휠(12)을 구속하여 출입문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전자잠금장치(22)가 비정상적으로 해정되었다면 표시기(20)의 적색등이 점등된다(S6). 비정상적인 해정은 원격제어장치(100) 또는 통신제어보드(27)를 통해 제어신호로 해정되지 않고 외압이나 여타의 수단으로 전자잠금장치(22)를 해정시켰을 때이다. 따라서 원격제어장치(100)는 전자잠금장치(22)의 비정상적인 해정에 대하여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고 표시창을 통해 해정상태를 문자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비정상적인 해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7).
다음으로, 출입문(1)이 개방유지장치(16)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하기 위하여 원격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해당하는 출입문의 개방버튼의 해당 개방버튼을 누른다. 개방버튼이 선택되어 눌러지면 원격제어장치(100)에서 폐쇄신호가 통신제어보드(27)로 전송되고(S8), 통신제어보드(27)는 개방유지장치(16)를 작동시켜 구속된 캐리지휠(12)을 해제시킨다. 따라서 스프링 도어클로저(14)에 스프링와이어(19)로 연결된 캐리지휠(12)이 스프링 와이어의 탄성으로 당겨지면서 출입문(1)이 닫히게 된다(S9). 이때, 통신제어보드(27)는 개방유지장치(16)의 폐쇄신호를 원격제어장치(100)로 전송하여 원격제어장치(100)가 정상적인 폐쇄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S10). 개방유지장치(16)의 작동으로 출입문(1)이 정상적으로 폐쇄되었다면 표시기(20)의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소등된다(S11). 그리고 출입문(1) 측면에 돌출된 잠금고리(3)는 전자잠금장치(22)의 도어록(23)에 의해 1차의 당김 단계와 2차의 유지 단계를 거쳐 잠금상태가 된다. 그러나 출입문(1)이 개방유지장치(16)의 작동 이후에 폐쇄시간이 설정된 시간보다 지연되면 표시기(20)의 적색등이 점등된다(S12). 출입문(1)의 폐쇄시간이 지연되면 개방유지장치(16)의 오작동이나 출입문이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은 외적인 요인이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원격제어장치(100)는 폐쇄시간의 지연에 따른 개방유지장치(16)의 오작동이나 외적인 요인으로 출입문(1)이 정상적으로 폐쇄되지 않고 있음을 원격제어장치(100)에 구비된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고 표시창(31)을 통해 폐쇄되지 않은 상태를 문자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13). 따라서 원격제어장치(100)를 통해 복수의 출입문(1)을 개별, 팀별 또는 전체를 원격에서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다음은 도 11의 흐름도에서, 출입문을 입구에서 개폐하기 위하여 카드키, 즉 무선카드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경우이다.
먼저, 도 11a에서, 출입문(1)이 폐쇄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정전이나 화재 등 비상상황인 경우(S21), 출입문(1)의 문틀(7)에 설치된 전자잠금장치(22)의 도어록(23)을 수동키로 해정시키면 출입문(1)을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S22). 출입문(1)을 수동으로 개방시켜야 하는 비상상황이 아니라면 문틀(7)에 설치된 카드리더(21)에 무선카드(28)를 비접촉으로 인식시킨다(S23). 카드리더(21)는 무선카드(28)와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통신제어보드(27)로 전송한다. 통신제어보드(27)는 카드리더(21)에서 수신된 해정신호를 판단한다(S24). 이때, 카드리더(21)에 무선카드(28)가 인식되는 동안 표시기(20)의 적색등은 점등되고 녹색등은 소등 상태가 된다(S25). 그리고 통신제어보드(27)는 전자잠금장치(22)를 작동시켜 도어록(23)이 해정되도록 하여 출입문(1)이 개방되도록 한다(S26). 통신제어보드(27)는 전자잠금장치(22)의 해정신호를 원격제어장치(100)로 전송하여 원격제어장치(100)가 정상적인 해정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S27). 전자잠금장치(22)가 정상적으로 해정되었다면 표시기(20)의 녹색등은 점등되고 적색등은 소등 상태가 된다(S28). 전자잠금장치(22)가 해정상태가 되면 관리자가 출입문(1)의 손잡이(2)를 잡고 밀면 출입문을 개방시킬 수 있다. 더욱이 출입문(1)을 계속 밀어 열면 개방유지장치(16)가 캐리지휠(12)을 구속하여 출입문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킨다. 카드리더(21)에 무선카드(28)가 인식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출입문(1)이 개방되지 않고 지연되면 통신제어보드(27)는 표시기(20)의 적색등을 점등시킨다(S29). 그리고 통신제어보드(27)는 원격제어장치(100)에 출입문(1)의 개방이 지연되었음을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고 표시창을 통해 해당 상황을 문자로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30).
다음으로, 도 11b에서, 개방유지장치(16)에 의해 출입문(1)이 개방 유지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출입문 입구에서 출입문(1)을 폐쇄시키기 위하여 문틀(7)에 설치된 카드리더(21)에 무선카드(28)를 비접촉으로 인식시킨다(S31). 카드리더(21)는 무선카드(28)와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통신제어보드(27)로 전송한다. 통신제어보드(27)는 카드리더(21)에서 수신된 폐쇄신호를 판단한다(S32). 따라서 스프링 도어클로저(14)에 와이어로 연결된 캐리지휠(12)이 와이어의 탄성으로 당겨지면서 출입문(1)이 닫히게 된다. 이때, 카드리더(21)에 무선카드(28)가 인식되는 동안 표시기(20)의 적색등은 점등되고 녹색등은 소등 상태가 된다(S33). 통신제어보드(27)는 개방유지장치(16)를 작동시켜 구속된 캐리지휠(12)이 해제되도록 한다(S34). 그리고 통신제어보드(27)는 개방유지장치(16)의 폐쇄신호를 원격제어장치(100)로 전송하여 원격제어장치(100)가 정상적인 폐쇄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S35). 개방유지장치(16)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다면 표시기(20)의 녹색등과 적색등은 모두 소등 상태가 된다(S36). 카드리더(21)에 무선카드(28)가 인식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출입문(1)이 폐쇄되지 않고 지연되면 통신제어보드(27)는 표시기(20)의 적색등을 점등시킨다(S37). 그리고 통신제어보드(27)는 원격제어장치(100)에 출입문(1)의 폐쇄가 지연되었음을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고 표시창을 통해 해당 상황을 문자로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38).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프링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개폐하는 방식은 스프링의 인장력으로 출입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여 출입문 설비를 단순화하고, 레일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출입문을 개폐하는 방식은 경사진 트랙에 의하여 출입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여 출입문 설비를 단순화한 것이다. 더욱이 전자잠금장치에 의하여 출입문을 폐쇄할 때에 자동으로 잠김으로 상시 보안을 유지할 수 있고, 출입문이 닫히는 도중에 정정이 되더라도 수동으로 출입문을 닫으면 자동으로 잠기게 되고 출입문을 개방할 때에는 수동키를 이용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정전 때에도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으며, 별도의 출입통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도 출입통제 시스템과 반자동문 및 전자잠금장치를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편의성, 보안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관리자실에서 출입문의 개폐가 가능하므로 출입문을 관리 및 감시가 용이하며, 팀관리실은 관리자가 근무하지 않는 시간에 감시할 수 있고, 운영데이터의 설정 및 변경, 출입을 위한 무선카드의 등록 및 삭제 등의 출입관리가 가능하여 시스템 제어를 위한 이중화 구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출입문 2: 손잡이 3: 잠금고리 4, 5: 방범창 6: 배식구 7: 문틀 8: 하부가이드 9: 가이드레일 10: 스포트빔 11: 커버 12: 캐리지휠 13: 감속기 14: 스프링 도어클로저 15: 랙 16: 개방유지장치 17: 스토퍼 18: 고정구조물 19: 스프링와이어 20: 표시기 21: 카드리더 22: 전자잠금장치 23: 도어록 24: 마이크로스위치 25: 자석식스위치 27: 통신제어보드 28: 무선카드 30: 제어반 40: 통합제어용 PC 100: 원격제어장치

Claims (7)

  1. 벽에 형성된 관통공 내주에 걸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된 출입문의 개폐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문틀이 일체 설치되고, 하측 바닥에 설치되어 출입문 저면에 돌출 결합된 하부가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상측 문틀 내측에 가로로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하고 출입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서포트빔;
    상기 출입문 상단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에 축 결합된 행거롤러가 서포트빔의 트랙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캐리지휠;
    상기 서포트빔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인장력을 갖는 태엽방식으로 감긴 와이어가 상기 캐리지휠 일측에 연결된 스프링 도어클로저;
    상기 슬라이딩되는 출입문이 폐쇄되는 쪽의 문틀 내부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당겨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출입문의 잠금고리를 해정 또는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록과, 전자잠금장치의 제어를 위하여 도어록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출입문의 개방과 폐쇄를 감지하는 자석식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잠금장치;
    상기 전자잠금장치에 장착되어 전자잠금장치의 제어 및 상태를 원격제어장치와 통신으로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보드;
    상기 서포트빔에 설치되어 출입문이 완전 개방되었을 때 상기 통신제어보드의 접점신호를 받아 전자적으로 작동되어 출입문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되 상기 통신제어보드의 접점신호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개방유지장치;
    상기 문틀 일측에 설치되어 무선카드와 비접촉식으로 근거리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통신제어보드를 통해 출입문의 개폐 출입을 통제하는 카드리더;
    상기 통신제어보드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개별, 그룹별 또는 전체 문을 감시 및 제어하는 것으로, 원격에서 버튼을 조작하여 출입문의 개폐 조작을 운영하는 제어반이거나 또는 원격에서 운영화면을 조작하여 출입문의 개폐 조작을 운영하는 통합제어용 P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 및
    상기 상측 문틀 전면에 설치된 커버와, 상기 출입문 상단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출입문이 닫힐 때에 출입문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상기 서포트빔 내측에 설치되어 감속기와 접촉되는 랙과, 상기 문틀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이나 폐쇄 또는 무선카드의 인증상태를 복수의 색상으로 구분된 LED램프를 통해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유지장치는 출입문이 완전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힌지 결합된 스토퍼가 캐리지휠을 홀딩한 상태에서 통신제어보드의 접점신호를 받으면 스토퍼가 힌지 회전하면서 해제되어 출입문이 스프링 도어클로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닫히도록 하는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원격제어장치에서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제어신호를 통신제어보드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원격제어장치에서 수신된 제어신호가 개방신호이면 전자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잠금상태를 해정하는 단계;
    (c)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정상적인 제어에 의하여 개방되었다면 표시기의 녹색등과 적색등을 각각 점등하는 단계;
    (d)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었다면 표시기의 적색등을 점등하고 원격제어장치로 경보신호를 전송하여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원격제어장치에서 수신된 제어신호가 폐쇄신호이면 개방유지장치를 작동시켜 출입문을 폐쇄하는 단계;
    (f)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정상적인 제어에 의하여 폐쇄되었다면 표시기의 녹색등과 적색등을 각각 소등하는 단계, 및
    (g)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비정상적으로 폐쇄되었다면 표시기의 적색등을 점등하고 원격제어장치로 경보신호를 전송하여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단계에서, 상기 통신제어보드의 접점신호에 의해 전자적으로 작동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상기 개방유지장치는, 출입문이 완전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힌지 결합된 스토퍼가 출입문의 상단에 고정된 캐리지휠을 홀딩한 상태에서 상기 통신제어보드의 접점신호를 받으면 스토퍼가 힌지 회전하면서 해제되어 출입문이 스프링 도어클로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닫히도록 이루어진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제어방법.
  6. (a) 출입문이 폐쇄된 상태에서 카드리더에 무선카드를 비접촉으로 인식시키면 카드리더는 무선카드의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통신제어보드로 전송하고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의 폐쇄상태를 해정시키기 위한 해정신호를 전자잠금장치로 전송하여 출입문의 잠금상태를 해정하며, 출입문이 폐쇄된 상태에서 정전이나 화재발생에 따른 비상상황일 때에 출입문의 문틀에 설치된 수동키로 전자잠금장치를 개방하는 단계;
    (b)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정상적인 제어에 의하여 개방되었다면 표시기의 적색등을 점등하고 녹색등을 소등하는 단계;
    (c)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었다면 표시기의 적색등을 점등하고 원격제어장치로 경보신호를 전송하여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계;
    (d)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카드리더에 무선카드를 비접촉으로 인식시키면 카드리더는 무선카드의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통신제어보드로 전송하고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의 개방상태를 폐쇄시키기 위한 폐쇄신호를 개방유지장치로 전송하여 출입문의 개방상태를 폐쇄하는 단계;
    (e)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정상적인 제어에 의하여 폐쇄되었다면 표시기의 녹색등과 적색등을 소등하는 단계, 및
    (f) 상기 통신제어보드는 출입문이 비정상적으로 폐쇄되었다면 표시기의 적색등을 점등하고 원격제어장치로 경보신호를 전송하여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 상기 통신제어보드의 접점신호에 의해 전자적으로 작동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상기 개방유지장치는, 출입문이 완전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힌지 결합된 스토퍼가 출입문의 상단에 고정된 캐리지휠을 홀딩한 상태에서 상기 통신제어보드의 접점신호를 받으면 스토퍼가 힌지 회전하면서 해제되어 출입문이 스프링 도어클로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닫히도록 이루어진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제어방법.
  7. 삭제
KR1020160013030A 2016-02-02 2016-02-02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1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30A KR101918809B1 (ko) 2016-02-02 2016-02-02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30A KR101918809B1 (ko) 2016-02-02 2016-02-02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21A KR20170092021A (ko) 2017-08-10
KR101918809B1 true KR101918809B1 (ko) 2018-11-14

Family

ID=5965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030A KR101918809B1 (ko) 2016-02-02 2016-02-02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373B1 (ko) * 2017-08-21 2018-07-23 고재평 슬라이딩 도어 반자동 개폐 시스템
KR101949223B1 (ko) * 2018-06-12 2019-02-18 서환수 버튼에 대한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자석 조립체
KR102248438B1 (ko) * 2020-10-27 2021-05-06 (주)씨아이시스템 초과근무 관리 시스템
CN114613032B (zh) * 2020-12-08 2023-10-27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线路阀室安全状态检测方法、系统及计算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120B1 (ko) 2004-04-14 2004-12-17 (주)관동건업 방범용 미닫이문
JP2007218074A (ja) * 2006-01-17 2007-08-30 Bunka Shutter Co Ltd 戸袋付き引戸装置
JP2014181554A (ja) * 2013-03-18 2014-09-29 Yuichi Umeda ハイブリッド半自動ドア
KR101486323B1 (ko) * 2014-08-19 2015-01-2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교정시설용 도어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120B1 (ko) 2004-04-14 2004-12-17 (주)관동건업 방범용 미닫이문
JP2007218074A (ja) * 2006-01-17 2007-08-30 Bunka Shutter Co Ltd 戸袋付き引戸装置
JP2014181554A (ja) * 2013-03-18 2014-09-29 Yuichi Umeda ハイブリッド半自動ドア
KR101486323B1 (ko) * 2014-08-19 2015-01-2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교정시설용 도어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21A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809B1 (ko)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58538B1 (ko)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
EP2545238B1 (en) Sliding door with large opening
KR101424077B1 (ko)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US9695015B1 (en) Elevator door safety lock system
GB2494229A (en) A fasten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MXPA04002019A (es) Prevencion de accenso no autorizado a cajas de ascensor.
AU2007219056A1 (en) Door locking/unlocking unit
US8471676B1 (en) Security door control system
EP1845053B1 (en) Landing door device of elevator
JP2006219956A (ja) 自動ゲート開閉システム
US20060130404A1 (en) Quick release for security bars system
KR20110007369A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US20030140666A1 (en) Building structures
JP2006097237A (ja) 窓ないし戸の開閉装置
EP3604720A2 (en) Motorised closure system and method
KR101252792B1 (ko)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JP5174486B2 (ja) 機械式駐車設備及びその入出庫制御方法
KR102349413B1 (ko)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US20190345736A1 (en) Garage door lock system
KR100739093B1 (ko)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KR20210079094A (ko) 위치에 상관없이 체결되는 슬라이딩도어 부착형 잠금장치
KR200285116Y1 (ko) 방화겸용 도난방지문
WO2014057269A1 (en) Swinging door frame comprising a collapsible door jamb acting as a stop
JP2005213778A (ja) 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